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제자훈련을 위한 역량모델링 및 평가 설문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

        성민경 한국실천신학회 2016 신학과 실천 Vol.0 No.51

        본 연구는 제자훈련생을 위한 역량모델링을 실시하고 평가를 위한 설문도구를 개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제자훈련은 1970년대부터 시작하여 1990년대부터는 교회 내의 프로그램으로서 평신도 지도자를 양산할 뿐만 아니라 교회 체질을 유기적인 것으로 개선하여 신앙과 인격이 함께 성장해 가는 그리스도인을 세우기 위해 시행되고 있다. 제자훈련이 효과적으로 지속되기 위해서는 요구분석, 계획, 개발, 실행뿐만 아니라 적절한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 다시 말해, 제자훈련을 통해 어떤 영역의 역량들이 개발되는지 측정할 수 있어야 한다. 본 연구는 문헌연구를 통해 역량모델링을 시행하고 평가를 위한 설문도구를 개발하였다. 목회자와 평신도를 대상으로 하는 두 차례의 초점집단인터뷰를 통해 타당도를 검증하였고 기초설문조사를 통해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개발된 설문도구는 지성, 감성, 영성, 관계성, 공동체성으로 분류되었고 총 76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인지 역량의 하위 역량으로는 의사결정력, 창의적 혁신, 문제해결력이 제시되었고 정서 역량의 하위 역량으로는 자기인식, 자기주장, 자기평가, 공감, 융통성, 자기통제, 적응력이 제시되었다. 영성 역량의 하위 역량으로는 신앙고백, 영적 건강성 유지, 소명의식의 중요성, 영성훈련의 일상화가 제시되었고, 관계성 역량의 하위 역량으로는 갈등관리, 관계구축, 협력, 경청, 말하기가 제시되었다. 마지막으로 공동체성 역량의 하위 역량으로 공동의 필요인식, 멤버십, 영향력, 공유된 책무, 참여가 제시되었다. 본 연구는 이미 많은 교회에서 시행되고 있으나 적절한 도구의 부재로 실시되지 못한 제자훈련의 평가를 가능하게 하였고, 평가도구를 다섯 가지의 영역으로 구분하여 제자훈련을 통한 다양한 영역의 효과성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는 점에서 기여도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competency modeling and evaluation inventory for discipleship training. Discipleship training introduced in 1970s began in local churches as a program in order to cultivate the laity leaders and improve the organic constitution of the church. In 1990s, it is used for Christians to grow in faith and personality. Effective discipleship training should have proper evaluation as well as needs analysis, design,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Evaluation should be able to measure what kinds of competencies are developed by participating in discipleship training. This study developed competency modeling through literature study and the preliminary study using an focused group interview. It also developed an evaluation inventory for discipleship training, followed by two focused group interviews targeting the laity leaders and pastors to confirm validity and a preliminary survey to confirm the reliability of the inventory. The final evaluation inventory is classified into cognitive, affective, spiritual, relational, and community domains, and composed of a total of 76 items. Subordinate competencies of cognitive competency are decision-making, creative innovation, and problem-solving. Subordinate competencies of affective competency are self-recognition, self-assertion, self-evaluation, empathy, flexibility, self-control, and adaptability. Subordinate competencies of spiritual competency are confession of faith, keeping the spiritual health, importance of calling, and daily practice of spiritual training. Subordinate competencies of relational competency are conflict management, building relationship, cooperaton, listening, and speaking. Lastly, subordinate competencies of community competency are recognizing common needs, membership, influence, shared responsibility, and participation. This study contributes to a development of an inventory that was divided into five areas of cognitive, affective, spiritual, relational, and community competencies so that churches can properly implement an evaluation process.

      • KCI등재

        육군 군사학교 교관의 교수역량 모델링

        박종옥(JongOk Par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1

        목적 본 연구는 육군 군사학교 교관의 교수역량 모델링을 통해 교수역량을 정의하고, 교수역량의 상위 및 하위영역의 구성요소를 밝히기 위해 수행되었다. 방법 먼저 교수역량 모델링 관련 선행연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21년 1~3월)하였으며, 이어서 3~5월에 육군 군사학교 우수교관(21명)과의 초점집단면담, 행동사건면담 등 심층 면담 분석과 교육전문가 델파이 조사(14명)를 통해 교수역량 정의 및 구성요소에 대해 도출하였다. 또한 역량모델링 검증을 위해 6~8월에 우수·보통 교관들에게 설문지로 예비조사(100명)를 진행하였으며 잠정 구성된 교수역량 구성요소에 대해 통계적으로 타당도 및 신뢰도를 분석하여 확인하였다. 결과 군사학교 교관의 교수역량으로 4개의 역량군(기본역량, 수업역량, 조직역량, 디지털역량), 11개의 상위역량(교육자로서의 태도 및 자세, 관계형성 등), 27개의 하위역량(교관으로서의 책임감, 솔선수범 등), 100개의 행동지표가 선정되었다. 척도의 신뢰도는 .80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에서 도출된 군사학교 교수역량은 군 교육훈련 현장에서 교관이 성공적으로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 어떤 교수역량을 개발해야 하는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연구의 결과는 향후 교수역량 진단도구 개발 및 이에 기초한 교수역량 강화 프로그램 개발 등을 통해 군사학교 교육의 질 제고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Objectives Purpose In this study, the definition of teaching competence was established by modeling the teaching competency of military school instructors in the Army, and the composition of upper and lower areas was developed. In addition, preliminary investigations were conducted to identify the teaching competency components of military school instructors through feasibility verification and reliability analysis. Methods First, prior research data related to teaching competency modeling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rom January to March 21), followed by in-depth interviews such as focus group interviews with excellent military school instructors (21) and behavioral event interviews (14 students). In addition, in order to verify competency modeling, a preliminary survey (100 students) was conducted on excellent and ordinary instructors from June to August as a questionnaire, and statistically validity and reliability were analyzed and confirmed for the tentatively constructed teaching competency components. Results By verifying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results, the teaching competence of military school instructors was selected for four competencies (basic competence, teaching competence, organizational competence, digital competence), 11 higher competence (teacher attitude and posture, relationship formation, etc.), 27 lower competence (teacher responsibility, initiative, etc.) and 100 action indicators. The reliability of the scale showed a high confidence of more than .80. Conclusions It is valuable as the first teaching competency modeling study for all military school instructors, and it has been expanded from lecture competency-oriented studies revealed in previous studies to find organizational and digital competencies.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create a professor s competency diagnosis tool after a full-scale survey of instructors, and based on this, it is necessary to supplement the limitations of this research through effect analysis by implementing follow-up education programs.

      • 역량프로파일과 육성 인터벤션 연관성을 모티브로 한 창의적 역량 모델링 전개방법에 관한 연구

        안병룡(Ahn Byung-Yong),유영만(You Yeong-Mahn) 한양대학교 교육공학연구소 2012 학습과학연구 Vol.6 No.1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시각의 대안적인 관점에서 역량모델링의 방법론을 탐구 및 정리하여 은행조직에서의 합리적이고 실제적인 적용과 실증중심의 역량에 대한 깊은 통찰력을 키워 보고자 하였다. 또한 인적자원(HR) 시스템환경에서 전행적 차원의 역량규명과정과 그 이후 바람직한 모습으로 전개되어야 하는 후속활동(확보, 육성, 평가, 보상시스템)을 중심으로 역량과의 과학적인 연결고리를 탐색하여 일반화함으로써 은행비즈니스에 적합한 역량체계와 HR 활동에의 적용가능성을 탐색하고 실행 가능한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역량모델링을 통한 역량 프로파일을 도출하는 대안적인 프레임을 제시하였다. 나아가 역량프로파일에서 도출된 결과가 기업교육의 커리큘럼(커리큘럼)에 어느 정도 반영되고 있는지 파악할 수 있도록, 유형 분류 (Type Classification)과 커버리지 포인트(Coverage Point)라는 개념을 소개 및 도입하여 이를 은행조직 사례에 적용하여 보고, HRM과 HRD의 효과적인 인터벤션 프로세스에 대해 기술하였다. 이를 통해서 조직역량의 강화, 생산성혁신에 기여할 수 있을 뿐 만 아니라, 역량 모델링의 활착을 위하여 제기힐 수 있는 한계와 문제점들을 중심으로, 효과적 역량중심의 HR 시스템구성 방안을 제시하였다. In Bank Industry, competency modeling’s mechanism and thoughts are confronting difficulty to overcome barriers of traditional practices under existing organization. In addition, after defining competency standards, there’s limitation in alignments with overall activities/tasks which should be further developed as step. Therefore, defining suitable competency framework and modeling in Bank business is the one the essential in area of strengthen in competencies for employees as scientific approach as well as organizational productivity innovation from the HR perspective. For those reasons, the study has been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exploring methodologies on competency modeling in aspect of new visual and alternatives, demonstrating a reasonable and practical application of empirical based competency. Subsequent follow-up activities should be developed with a right presence (attraction, development, performance management, and reward systems). The center of a scientific link between the ability to generalize the search by the bank for business development activities and human resource capacity of the system is applied to explore the possibilities and present a viable alternative to the strengthening of the organizational capabilities, to contribute to productivity, innovation, as well as modeling of the survival skills to the limit and can raise issues around effective human resource capacity-driven system configuration. The suggestions found by seeking for bank business innovation and human resources will become a new breakthrough.

      • KCI등재

        IT 개발자를 위한 역량모델링 수립: 42서울 이노베이션 아카데미 사례연구

        권상집 한국인적자원개발학회 2024 인적자원개발연구 Vol.27 No.1

        IT 개발자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데 비해 이들의 역량을 향상하는 데 기업 및 공공기관의 노력과 지원은 부족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42서울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IT 개발자 교육기관인 이노베이션 아카데미의 역량모델 개선에 초점, IT 개발자의 소프트 스킬을 향상할 수 있는 역량모델링 수립에 관한 사례연구를 진행하였다. 역량모델링 수립은 2023년 6월부터 12월까지 진행되었으며 문헌 분석, 외부 전문가 인터뷰, 패널 토의 워크샵, 내부 경영진 검토 등을 거쳐 창의적 사고, 의사소통, 분석적 사고, 변화관리, 계획수립 및 구조화라는 5대 역량을 선정하였고 각각의 역량을 개발할 수 있도록 행동 지표를 도출하였다. 행동 지표는 IT 개발자의 눈높이에 맞게 학습-적용-성과로 이어지는 과정에 맞춰 3단계로 역량의 레벨을 확정하였다. 역량을 통해 IT 개발자의 학습과 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행동 지표는 BARS 척도로 수립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IT 개발자를 위한 역량모델링 수립에 관한 실천적 기여도를 제공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인적자원개발연구에서 더 많은 역량모델링 연구가 진행될 수 있도록 역량 관련 연구의 초석을 쌓는 데 공헌하였다. While the interest in IT programmers is increasing, there has been a lack of effort and support from corporations and public institutions to enhance their competencies. This study focuses on the improvement of the competency model of Innovation Academy, which runs the 42 Seoul program, an educational institution for IT programmers, and conducts an in-depth case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a competency model that can enhance the soft skills of IT programmers. Through literature review, focus group interviews with external experts, panel discussion workshops, and internal management review, five competencies were selected: creative thinking, communication, analytical thinking, change management, and planning and structuring, and behavioral indicators were derived to develop each competency. The behavioral indicators are designed to meet the needs of IT programmers, and the competency levels are organized in three stages to match the process of learning, application, and performance. The behavioral indicators were established based on the BARS scale so that IT programmers' learning and performance can be evaluated through the competency model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practical contributions to stimulate more attention in establishing competency modeling for IT programmers. In addition, this study contributes to laying the foundation for further research directions on competency modeling in human resource development research domain.

      • KCI등재

        인터넷정보보안 솔루션기업의 역량모델링 사례연구

        조수민(Jo, Su Min),조형기(Cho, Hyung Gi)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012 인적자원관리연구 Vol.19 No.4

        인터넷정보보안 산업은 짧은 기간 동안 괄목할만한 발전을 통해 성과를 보이고 있으며, 국내외 시장이 성장함에 따라 체계적인 인적자원 육성이 중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는 국내 인터넷정보보안 산업 내 A기업의 전문적인 역할 수행과 경쟁력 제고를 위한 역량을 규명하고 이를 체계화하는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A기업이 업계 10위권의 중견급 중소기업이고 체계적인 역량기반 인적자원관리가 어려웠던 상황임을 감안한다면 금번 역량모델링 사례연구는 의미 있다고 하겠다. A기업 역량모델링(competency modeling) 4단계 프로세스는 역량구조 정립, 역량기초자료확보, 잠정역량 추출, 추출역량 검증절차를 거쳤다. 첫째, A기업의 역량구조는 공통역량, 리더십역량, 직무역량으로 정립하였고, 둘째, 역량 기초자료는 문헌과 자료연구 및 맥버(Mcber) 역량사전을 활용하였으며, 셋째, 정립된 역량군은 고성과자 인터뷰와 워크샵으로 잠정역량(ad-hoc competency)을 도출하였고, 넷째, 도출된 잠정역량은 타당성 제고를 위해 내용전문가들이 환류(feedback)하는 단계를 거쳤다. 이같은 절차를 통해 A기업 공통역량은 ‘조직헌신성’과 ‘성취지향성’을 도출하였고, 리더십역량은 ‘개념적사고, 자신감, 성취지 향성, 육성력, 팀리더십, 관계구축력’의 6가지 역량을 추출하였다. 직무역량은 15개 직무군에 대하여 65개의 역량이 도출되어 정의되었다. 본 사례연구는 인터넷정보보안 산업의 특징인 전문성, 국가방위산업, 미래지향성의 특징을 반영함과 동시에 인적자원관리를 위한 역량모델링의 보편성과 현실성, 모델의 실행가능성을 극대화했다는 특징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A기업이 가지고 있는 인적ㆍ물적자원의 한계와 도입초기로 인한 경험부족 등은 역량기반 인적자원관리의 성공을 판단하기에 시기상조라는 한계점을 내포하고 있다. 역량개념을 정확히 이해하고, 전사적 조직시스템 차원에서 역량기반 인적자원관리시스템을 일관성있게 추진하려는 노력은 지속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competencies for a professional roles and competitiveness of information security company. For this purpose, competencies of the target company were defined by using the competency modeling. The process of building a competency model was applied through the method of using a resource panel, and 4 steps of procedure was designed. Each step are as follows. First, to get a top frame of the competency modeling, three areas of competencies ; core competency, leadership competency and job competency were established as a competency structure. Second, to extract the basic data about the competencies, literature study was carried out and 5 competency groups were structured. Third, to derive the competencies under 5 competency groups, the potential competency model was established through SMEs' interview and workshop. Fourth, in order to increase the validity of the derived results, SMEs and staffs went through the steps which reviewed and got feedback the competencies. Through the above research procedure, core competency for all employees of target company was identified as「Organizational Commitment」and「Achievement Orientation」based on core value and talents. For leadership competency, the three keywords like induction of team member's capability, leading execution, and performance management is defined as a key role of team leader, and 「Conceptual Thinking」,「Self-Confidence」,「Achievement Orientation」,「Developing Others」,「Team Leadership」, and 「Relationship Building」were able to extract by assigning the generic competency model. For Job competency about 15 job groups, 18 attitudes and 65 knowledges and skills were derived and defined.

      • KCI등재

        초등 인공지능 교육을 위한 핵심역량 모델링

        조수경,최미설 핵심역량교육학회 2022 핵심역량교육연구 Vol.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concept of talent for the artificial intelligence era and to provide the foundation for designing the directivity of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by modeling core competencies for upp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ere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is initiated in public education. To this end, experts one-to-one interviews, focus group interviews, and Delphi surveys were repeatedly conducted, in which process, core competency components of elementary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were derived and validated. The core competencies of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included 15 competencies in the ‘artificial intelligence understanding’ category, 8 competencies in the ‘artificial intelligence ethics’ category, and 8 competencies in the ‘artificial intelligence social emotions’ category, resulting in a total of 31 competencies in 3 categories. As a result of the Delphi survey on the final draft, the overall response average was 3.66/4 points, the CVI average was 0.930, and the CVR average was 0.863, which exceeded the CVI minimum value of 0.70 and the CVR minimum value of 0.455. In particular, the validity and importance of the competencies of 'AI awareness', 'AI utilization' in the 'artificial intelligence understanding' category, ‘AI ethics problem recognition’ in the 'artificial intelligence ethics’ category, and 'human-AI collaboration', 'active self-management' in the 'artificial intelligence social emotions' category were found to be high. This study attempted to contribute to expanding the perspective beyond artificial intelligence principle education to artificial intelligence ethics and social-emotional education through modeling of core competencies for elementary schoolers and presented the basis for the systematic perspective of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It is also meaningful to lay the foundation for introducing competency-based convergence education into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본 연구는 인공지능 교육이 공교육에 도입되기 시작하는 초등학교 고학년을 대상으로 인공지능 핵심역량을 모델링함으로써 인공지능 시대의 인재상을 명확히 하고, 인공지능 교육의 방향성 수립에 기초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전문가 일대일 면담, 포커스 그룹 인터뷰, 델파이 조사 등 의견수렴 및 타당화 과정을 반복적으로 실시하였고, 이러한 과정에서 초등 인공지능 교육의 핵심역량 구성요인을 도출하고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인공지능 교육 핵심역량은 ‘인공지능 이해’ 범주에 15개 역량, ‘인공지능 윤리’ 범주에 8개 역량, ‘인공지능 사회정서’ 범주에 8개 역량이 포함되어 총 3개 범주 31개 역량이 도출되었다. 최종안에 대한 델파이 조사결과, 전체 응답평균 3.66/4점, CVI 평균 0.930, CVR 평균 0.863으로 CVI 최솟값 0.70과, CVR 최솟값 0.455를 상회하는 등 높은 공감대를 획득하였다. 특히, ‘인공지능 이해’ 범주의 ‘AI 인지’와 ‘AI 활용’, ‘인공지능 윤리’ 범주의 ‘AI 윤리 문제인식’, ‘인공지능 사회정서’ 범주의 ‘인간-AI 협업’과 ‘능동적 자기관리’ 역량의 타당도와 중요도가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초등 맥락의 인공지능 교육 핵심역량 모델링을 통해 인공지능 이해 교육을 넘어 인공지능 윤리와 사회정서 교육까지로 시야를 넓히는데 기여하고자 하였으며, 초중등 인공지능 교육의 체계를 마련하는데 기초를 제시하였다. 또한 인공지능 교육에 역량중심 융합교육을 도입할 수 있도록 토대를 마련한 것에 의의를 가진다.

      • KCI등재

        수학적 모델링 과제의 실행과 수정을 통한 현직 교사의 수학적 모델링 교수 역량 신장 사례 분석

        정혜윤,이경화 대한수학교육학회 2021 수학교육학연구 Vol.3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teachers demonstrate ‘mathematical modeling teaching competencies’ (MMTCs) by implementing and modifying mathematical modeling tasks, as well as to suggest how teacher education should support teachers for teaching mathematical modeling. A teacher with three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participated in this study. Data sources include transcripts, student worksheets, interviews and the researcher’s field notes. The findings indicate that the participant edited tasks to improve the realism and complexity of mathematical modeling tasks. The edits included simplifying and specifying; the participant also decomposed tasks into multiple subtasks. Through iterative implementations and modifications, the participant improved his MMTCs in four dimensions -- diagnostic, theoretical, task, and instructional dimensions were promoted in relays and cyclically. The implementation and modification of the task contributed to connecting theoretical knowledge and practical competencies to mathematical modeling. The study recommends the following areas of need in order to develop teachers’ MMTCs: combining theoretical and practical experiences, improving teachers’ diagnostic competencies, and creating teacher-researcher communities. 본 연구에서는 수학적 모델링 과제를 반복적으로 실행하고 수정하는 과정에서 교사의 수학적 모델링 교수 역량이 신장되는 과정을 살펴보고, 향후 수학적 모델링 교수 역량 강화를 위한 교사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3년 경력의 현직 교사로, 중학교 3학년 수업 시간에 수학적 모델링 과제를 실행한 뒤 연구자와 함께 실행 결과를 분석하고 과제를 수정하는 과정을 거쳤다. 전 과정을 녹화, 녹음한 자료와 학생들의 활동지, 교사 인터뷰, 연구자의 현장 노트 등의 자료가 수집,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첫째, 수학적 모델링 과제와 수학적 모델링 과정의 현실성과 복잡성을 개선하기 위해 과제를 간략화, 구체화, 단계화하는 모습이 관찰되었다. 둘째, 반복적인 수학적 모델링 과제의 실행 및 수정 과정에서 네 가지 차원의 수학적 모델링 교수 역량이 신장되는 모습이 관찰되었다. 이때, 수학적 모델링 과제의 실행과 수정은 수학적 모델링에 대한 이론적 지식과 실제 수행 능력을 연결하는 역할을 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수학적 모델링 교수 역량 강화를 위한 교사교육의 방안으로, 이론과 실행의 균형있는 경험, 학생 수준 진단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 교사연구공동체의 구성을 제안한다.

      • KCI등재후보

        통신업체 대면 상담사의 핵심역량 모델링 : A통신사 비수도권역을 중심으로

        김윤진,심지현 한국산업교육학회 2020 산업교육연구 Vol.40 No.2

        서비스 산업 중 통신서비스는 대부분의 국가에서 중요한 사업 분야로 인식되고 있 다. 특히 한국은 스마트폰이 보급된 이후 크게 성장하여 1인 1대 이상의 가입률을 보 이고 있다. 고객을 확보하기 위한 통신사들의 노력이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고객접점 서비스의 질에 따라 통신사에 대한 만족도는 큰 영향을 받는다. 본 연구는 A통신사의 대면 상담업무를 진행하는 상담사의 핵심역량모델을 개발하 여 고객의 만족도 수준을 향상시키는 데 목적을 두고 진행하였다. A통신사를 경험하 는 고객의 여정을 분석하는 서비스 경험 분석 방법을 통해 고객의 접점별 감정을 분 석한 이후 문헌과 선행연구를 통해 수집된 역량을 대입하여 A통신사에 필요한 역량 을 1차 도출하였다. FGI, 전문가 자문 등을 수행하여 주요 역량을 도출하고 수정하였 으며, 역량모델의 타당성 검증은 상담과 관리자 경험이 있는 대상자를 선정하여 도출 된 역량의 중요도와 조직에서의 활용도에 대한 설문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차별된 점은 역량모델링을 시행하기 전 서비스기업의 중요한 성과인 고 객만족도의 영향 요인 분석을 위해 고객관점에서의 분석을 실시하였다는 점이다. 하 지만 이후 Dubois의 일반모델 덧씌우기 방법을 사용하여 문헌과 선행연구를 통해 도 출된 역량이 A통신사의 핵심역량으로 정확히 반영되었다고 볼 수 없다. 따라서 이러 한 한계점을 극복하고자 각 역량별 구체적인 행동 지표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mprove the level of customer satisfaction by developing the core competency model of the counselor who conducts face-to-face counseling for A telecommunication company. After analyzing the customer's feelings by contact point through the service experience analysis method that analyzes the customer's journey through A carrier, the necessary capabilities for A carrier were derived by substituting the capabilities collected through literature and prior research. Major competencies were derived and modified by conducting FGI and expert advice, and feasibility verification of competency model was conducted by selecting persons with counseling and administrative experience to conduct surveys on the importance of derived competencies and their utilization in the organization. The difference in this study is that prior to the implementation of competency modeling, the analysis was conducted from a customer perspective to analyze the impact factors of customer satisfaction, which are important achievements of the service company. However, the capabilities derived through literature and prior research using Dubois' general model overlay method are not accurately reflected in A carrier's core competency. Therefore, specific behavioral indicators for each competency were presented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 KCI등재

        수학 교과 역량 관점에서의 수학적 모델링에 관한 선행 연구 탐색

        최경아 한국학교수학회 2017 韓國學校數學會論文集 Vol.20 No.2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문제해결능력 함양을 위한 교수・학습 방법으로 수학적 모델링이 제시되면서, 국내에서 1990년 이래로 꾸준하게 연구되어 온 수학적 모델링에 관한 논의가 더욱 활발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수학적 모델링의 교육적 가치와 현장 적용의 필요성을 재음미해보고자, 수학 교과 역량의 관점에서 수학적 모델링에 관한 선행 연구를 고찰하였다. 그 결과, 수학적 모델링은 수학 교과 역량 중 문제해결의 하위 요소로 제시되고는 있지만, 문제해결 뿐만 아니라 추론, 의사소통, 창의·융합, 정보 처리, 태도 및 실천을 지지하는 교수・학습 방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측면에서, 수학 교과 역량에서의 수학적 모델링의 위치에 대한 논의의 필요성과 학교 현장 적용을 위한 방안으로 수학적 모델링에 대한 교사 교육 및 수학 교과서와 수업에서 수학적 모델링 과제의 적극적인 활용을 제안하였다. The animated discussion about mathematical modeling that had studied consistently in Korea since 1990s has flourished, because mathematical modeling was involved in the teaching-learning method to improve problem solving competency on 2015 reformed mathematics curriculum. In an attempt to re-examine the educational value and necessity of application to school education field,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literature of mathematical modeling in mathematical competencies perspective. As a result, mathematical modeling could not only be involved the components of problem solving competency, but also support other competencies; reasoning, creativity-amalgamation, data-processing, communication, and attitude -practice. In this regard, This paper suggested the necessity of the discussion about the position of mathematical modeling in mathematical competencies and the active use of mathematical modeling tasks in mathematics textbook or school classes.

      • KCI등재

        미래 학교 교사의 교수학습 역량 모델링

        홍선주 ( Hong Sunjoo ),안유민 ( Ahn Yumin ),최영인 ( Choi Youngin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9 교육문화연구 Vol.25 No.3

        미래 사회에는 첨단 지능형 정보기술이 학교교육에 도입됨에 따라 미래 학교 및 교사의 역할에는 현재와 다른 큰 변화가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 연구에서는 미래 교육에서 변화한 교수학습 전문가로서의 교사 역할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역량을 규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역량 모델링을 실시하여 미래 교사에게 요구되는 교수학습 역량의 층위 모형 및 교수학습 역량과 정의, 행동지표를 도출하였다. 이를 위해 관련 문헌을 분석을 통한 미래 학교 및 교사의 역할 변화에 대한 전망을 바탕으로 교수학습 역량의 기초 내용을 탐색하였다. 또한 역량의 개발 과정에서 미래 학교 교사의 교수학습 역량 모델링 전문가인 대학 교수 또는 박사 학위를 가진 연구원 13명을 대상으로 3회, 미래 학교의 교수학습 상황에서 교사가 수행할 행동 및 행동지표를 개발하기 위하여 미래 교육 및 역량 중심의 교육에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교직 경력 10년 이상인 초·중등학교 교사 8명을 선정하여 2회에 걸쳐 전문가 초점 집단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도출된 역량 모델링 결과에 대해 2차례에 걸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여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주요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간의 흐름과 상관없이 동일하게 성공을 예측하는 ‘지속 역량’과 시간의 흐름에 따라 환경이 변화하고 그러한 변화에 따라 새롭게 성공을 예측하는 정도가 높아지는 ‘강조 역량’으로 구분되는 역량의 층위 모형을 개발하였다. 둘째, 교수학습 기반 역량군, 교수학습 설계 역량군, 교수학습 실행 역량군, 교수학습 평가 역량군의 4개 역량군에 대하여 총 14개 역량과 32개 행동지표를 도출하였으며, 내용 타당도 비율(CVR)은 모든 항목에 대해 0.9 또는 1.0으로 매우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역량 개발 연구 및 미래 사회대비 교사의 역량 제고와 관련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In the upcoming future, it is expected that roles of schools and teachers will change significantly from the present. In this research, competency modeling is carried out to elucidate the competences to execute the role of teacher as experts of teaching skills changed in the future education, and teaching competences and its behavioral indicators for future teachers were derived. For this reason, through the analysis of the literature, we referred to the foundation of teaching competence based on the prospects for future school and teacher's role change. We also organized 13 processors and doctors and 8 teachers into two expert groups and interviewed focus groups all five times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competences and behavioral indicators, conducted delphi surveys and verified the validity of the competency modeling results.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eacher competences wer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constant competences’ and ‘accentuated competences’, one of which carries the essence of teacher competence that would not change over time and the other which is more likely to be affected by the change of certain social conditions. Secondly, 14 competences and 32 behavioral indicators are derived for the four competence groups based on foundation of teaching skills, designing skills, practicing skills and evaluating skills for the teaching. A Content Validity Ration(CVR) was found to be very good at 0.9 to 1.0 for all item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we discussed suggestions related to competence development research and improvement of competence of teachers in the future schoo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