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맥락 관련 문법 교육 내용의 인지적 구체화 방향

        신명선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2013 국어교육연구 Vol.32 No.-

        This paper treated on ‘context’. Especially this paper discussed ‘the concreteness of educational contents connected with context’. That direction is embodied as follows. ○ recognize and construct your context itself. ○ grasp the appropriateness and validity of a constructed context and reflect. ○ practice and reflect your cultural context in your contextualization process. ○ judge contexts which are more important. ○ express your context in your words and sentence. ○ set up your context based on your high self-estimation. When you express your context in your language, the recognizing of the language form is important. Human have the various cognitive ability. That is expressed in own language. Student must be known that the trivial difference of language form accompanies the very big meaning difference. ‘맥락’은 그간 주요한 국어 교육 내용 중의 하나로 다루어져 왔으나 그 교육 내용의 추상성으로 말미암아 현장 적용에 어려움이 있었다. 본고는 맥락 관련 국어 교육 내용의 문제점이 무엇인지를 고찰할 뒤 그 교육 내용의 구체화 방향을 국어 교육 차원과 문법 교육 차원으로 나누어 살펴 보았다. 국어 교육 내용의 구체화 방향은 다음과 같다. ○ 맥락 자체 인지하고 구성하기○ 구성한(혹은 구성하고 있는) 맥락의 적절성과 타당성 성찰하기○ 맥락화 과정에서 사회문화적 실천 행위 실행하고 성찰하기○ 맥락들의 비중 판단하고 적절하게 반영하기○ 맥락을 의도에 맞게 언어화하기○ 긍정적 자아 개념 계발에 기반하여 맥락 설정하기이 중 맥락을 의도에 맞게 언어화하기에 초점을 두어 문법 교육 내용의 구체화 방향을 인지언어학의 해석 개념에 기반하여 논의하였다. 본고의 이와 같은 논의는 맥락을 심리 기제적 관점으로 파악하면서 이루어졌다.

      • KCI등재

        기획 주제 : 텍스트, 상호텍스트, 콘텍스트 ; 읽기의 맥락과 맥락 읽기

        김혜정 ( Hye Jeong Kim ) 한국독서학회 2009 독서연구 Vol.0 No.21

        맥락 중심 교육과정을 지향하고 있는 현재, 맥락은 읽기 교육에서 의미 구성을 가능하게 하는 핵심 기제로서 읽기 교육을 연구하는 모든 사람에게 흥미있는 주제이다. 이를 위해 맥락의 역사적 전개를 개괄적으로 살펴보고, 복잡하고 수많은 맥락의 개념들을 몇 가지 기준에 따라 분류해 보았다. 비록 개괄적 수준이지만 고찰한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과정에 기술된 맥락의 성격이며, 어떤 지점에 있는지를 생각해 보았다. 맥락의 정의는 언어적인 것에서 점차 심리적인 것으로, 그리고 심리-사회적인 것으로 변화해 왔다. 이 과정에서 맥락을 하나의 언어적 단서로부터 기술할 수 있는 요소로서 간주하다가 점차 언어 사용자의 심리적 표상으로, 텍스트와는 별개로 항존하는 비언어적인 지식과 상황으로까지 기술되었다. 이는 인식론적 패러다임의 변화와 무관하지 않다. 또한 국어과 교육과정에서 맥락이 지식의 속성과 혼재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영역마다 다른 배경과 용어로 기술되어 있음을 살펴보았다. 맥락의 방법론 또한 상세하지 못했다. 교육과정상에서의 맥락의 개념은 영역 내에서가 아니라, 영역 간에 재조정을 통해 개념과 용어가 통일될 필요가 있다. 요컨대, 읽기란 맥락 자체를 읽는 것이라고도 한다. 본질적으로 탈맥락적인 발화나 텍스트는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맥락적 읽기는 하나의 선택적 전략이라기보다는 본질적으로 행위의 전제이다. 따라서 맥락은 세계를 인식하는 매우 중요한 통로이며, 학습자에게 자각되어야 할 매우 중요한 교육 내용이기 때문에 전략화 되어 가르쳐져야만 할 것이다. 이것이 교육과정의 한 범주로서 ‘맥락’이 설정된 의의인 것 같다. 읽기의 상황과 사회문화적 배경을 의미 구성에 적극적으로 반영하고, 자신의 사회문화적 지식과 사회문화에 대한 가치를 확대, 정립해나가는 것이 읽기의 목적이기 때문이다. Context is very important pedagogical thema of context-oriented curriculum in current education. which is able to do meaning-constructing. Therefore historical development of context in definition is researched, and its concepts are divided as several standards into some types of features of contexts. And contexts`s definitions are examined which have been described in Korean-language education curriculum. As a result, definitions of contexts have been changed from linguistic-based to cognitve representation-based, further to social psychologistic-based. These diversities are closely connected with changes, from which strive to define as linguistic and grammatical cues, to which strive to describe as beliefs, common sense, collective sense and situation, and so on of language-users or language community. The latter is de-contextualized and historical constantly. This is also related with changes of paradigms from behaviorist to constructivst further to socio-culturalist. Context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curriculum are mixed with concepts of ‘knowledge categories’, and are described differently as different terminologies and theoric backgrounds in each domains. and so aren`t detailed in teaching-methods. So its concepts and methodological descriptions have to be coherent in pedagogical perspectives, because understanding of context in reading make us as readers build and enlarge socio-cultural knowledges, identities and values of ourselves.

      • KCI등재후보

        듣기ㆍ말하기 맥락의 이론적 체계화 방안

        박창균 한국화법학회 2008 화법연구 Vol.0 No.1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ystematize of listeningㆍspeaking context. So I investigated the meaning of context through reconceptualized and categorized it, and discussed its workings. The accepted context in the revised national curriculum is defined as ‘the sociocultural backgrounds which we should consider in listeningㆍspeaking, including situational context and sociocultural context.’ As an alternative, I focu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text in listeningㆍspeaking that it is constructed psychologically by speakers and listeners in the process of listening and speaking. Thus, I reconceptualized listeningㆍspeaking context as the ‘physical(verbal/non-verbal) environment and psychological construct between speakers and listeners working in the process for speakers and listeners to express their meaning.’ And I divided language users into an independent category, not as a constituent of situational context. Then, I categorized context into linguistic context, participant's context, situational context, and sociocultural context as constituent of context. Further, I divided any other aspects into potential context, representational context, and actual context as communicator's awareness. To teach listeningㆍspeaking context, I suggest how to establish the context in the areas of contents and method. 이 연구의 목적은 듣기ㆍ말하기 맥락을 이론적으로 체계화하는 것이다. 이에 이 연구는 듣기ㆍ말하기 맥락을 재개념화하고 범주화한 후에 그 작용 구조를 밝힘으로써 맥락의 의미를 고찰하였다. 개정 교육과정의 맥락에 관한 해설에 따르면, 듣기ㆍ말하기 맥락은 ‘듣기와 말하기에서 고려해야 할 사회ㆍ문화적 배경으로 상황 맥락과 사회ㆍ문화적 맥락을 포함한다.’라고 정의할 수 있다. 이 정의는 맥락에 관한 일반적인 연구 담론에 비추어 볼 때, 맥락을 객체적인 대상으로 보고 제한적으로 수용한 것이다. 따라서 듣기ㆍ말하기 맥락은 듣기와 말하기 과정에서 화자와 청자가 심리적으로 구성한다는 점을 강조하여 다음과 같이 재개념화하였다. 듣기ㆍ말하기 맥락은 ‘화자와 청자가 담화를 표현하고 이해하는 과정에 작용하는 물리적(언어적/비언어적) 환경 및 화자와 청자의 심리적 구성체’이다. 그리고 맥락의 범주는 언어 사용자를 상황 맥락의 한 구성 요소로 간주하기보다 독립적인 범주로 구분하여 언어 맥락, 참여자 맥락, 상황 맥락, 사회ㆍ문화적 맥락으로 범주화하였다. 아울러 맥락을 의사소통 참여자의 인식 과정과 실현 단계에 따라 잠재 맥락, 표상 맥락, 실현 맥락으로 범주화하였다. 이러한 듣기ㆍ말하기 맥락을 듣기ㆍ말하기 교육 내용으로 수용할 때는 맥락의 구성 요소를 고려하여 맥락을 범주화하여 하위 요소를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듣기ㆍ말하기 교육 방법 측면에서는 맥락의 인식 과정을 고려하여 맥락을 탐구하고 적용하여 이를 점검하고 조정하는 교수ㆍ학습 활동을 계획해야 한다.

      • KCI등재

        텍스트 맥락과 중한번역

        박은숙(朴恩淑) 한국중국문화학회 2021 中國學論叢 Vol.- No.70

        본 논문은 텍스트 언어학에서 언어 구조의 최대 연구 단위를 텍스트로 보는 관점에서 텍스트 분석 중 맥락적 분석 이론 을 바탕으로 중한텍스트에 적용해 연구 분석해 보았다. 개괄하자면, 맥락을 세 가지로 분류해, 즉, 상하문 맥락, 상황적 맥락, 문화적 맥락으로 나누어서 중한텍스트에 적용해 보았다. 싱하문 맥락이란 언어가 단어, 구, 문장 등의 형태로 텍스트 상에 처한 언어적 환경을 뜻한고, 상황적 맥락에서는 할리데이(Halliday)의 어역(register) 이론을 적용해 보았다. 문화적 맥락에서는 문화어와 문화함의어를 통해 중한텍스트 상에서 문화적 맥락이 갖는 양상을 대조 분석해 보았다. This paper mainly discusses the role of context in the translation of Chinese and Korean texts. The author applies Halliday s context trichotomy to the translation of Chinese and Korean texts. To sum up, context (also known as linguistic context) refers to the content before and after a word, a phrase, or even a longer text. Situational context refers to register variables, which can b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field, tenor and mode. Finally, cultural context refers to the social, cultural, economic, religious and political backgrounds involved in a discourse. I divided context into context, situational context and cultural context, and probes into the context in Chinese-Korean translation. The author divides the cultural context into two parts: the influence and restriction of cultural words and cultural meaning words, and the translation strategy of cultural words. I discusses the difficulties in the translation of cultural words and the translation skills of cultural words. Through the analysis of context, we can see that the use of context factors can eliminate ambiguity in the translation practice between China and Korea; With the help of specific situational meaning in context, the meaning expressed in grammar, pragmatics and style in the original text can be reconstructed in the translation. Finally, we can judge the meaning of cultural words in the original text by cultural context in the process of translation. 本文主要讨论了语境在中韩语篇翻译中的作用。作者把韩礼德的语境三分法,应用于中韩语篇翻译实践中。概括起来说,上下文语境(又称为语言语境)是指一个词、一个短语、乃至更长的语篇前后的内容。情景语境就是语域变量,语域变量可分为以下三种:语场、语旨和语式,最后,文化语境指语篇所涉及的社会、文化、经济、宗教和政治背景等。 作者把语境分为上下文语境、情景语境和文化语境,深入探讨了中韩翻译中的语境问题。作者把文化语境,还分为文化词和文化含义词的影响与制约和文化词的翻译战略二部分,论述了文化词翻译的难点以及文化词的翻译技巧。 通过语境分析我们可以看出,在中韩翻译实践中利用语境因素能排除歧义;借助语境中特定的情境意义在译文中重构原文中用语法、语用和语体等表现出的意义。最后,我们在翻译过程中依靠文化语境能判断在原文中文化词所含有的词义。

      • KCI등재

        건축 디자인 사례를 통해본 형상 맥락적 디자인에 관한 연구

        유로문,조택연 한국기초조형학회 2017 기초조형학연구 Vol.18 No.5

        A language is an important tool in communicating with others. In particular, linguistic context plays a significant role when a designer engaged in unspecified design stages delivers accurate design expressions to others. The same goes with architectural design process, and if an architect is to properly express his or her intention, thorough research needs to be conducted on shape grammar and linguistic context, the language of architectural form.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systemize thinking of architectural design shapes. In this regard, the study was focused on examining previous research on shape grammar and linguistic context and selected eight architectural structures based on it to analyze the grammar and the linguistic context with regard to design shapes before application on the back of a detailed framework. The conclusion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methods of structural conversion consisted of a linear symmetric structure and a non-linear symmetric structure based on research on shape grammar. The generated conversion group can be designated as words and used as shape language. Second, the study found out that words constituting the phenomenon language of architecture include revolution, translation, reflection, mirror, rhythm based on a method of classification indicated in preceding research. Third, the study found out that all the shape words have context. The context of volume is massive architecture, and that of rhythm is based on phenomenon language. Case studies confirmed that architectural shape design carries significance as shape words define each context. In this regard, the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an suggest a linguistic way of thinking of architectural shape design. 언어는 타인과의 의사소통에 있어서 중요한 도구이다. 특히 어떤 구체화 되지 않은 디자인 단계의 작업을 하는 디자이너가 타인에게 정확한 디자인 표현을 전달하기 위해서는 언어 맥락의 역할이 중요하다. 즉, 건축 디자인 과정에서도 마찬가지로 건축가의 의도를 정확히 나타내려면 건축 언어인 형상 문법과 언어 맥락에 대해 자세히 연구할 필요가 있다. 보통 디자이너들은 아름다운 건축 형상을 쉽게 인식할 수 있으나 아름다운 건축 형상을 어떻게 디자인하는 지에 대해서는 많은 연습과 시행착오를 겪는다. 따라서 건축 디자인에서 형상에 관한 사고를 체계화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형상 문법과 언어 맥락에 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글로벌한 건축 사이트에서 현재 건축되어진 건축물 8개를 선정하여 건축 형상을 형상 문법과 언어 맥락으로 분석하여 이를 어떻게 적용하였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틀을 만들어 분석하였다.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론은 요약하면, 첫째, 형상 문법의 연구를 바탕으로 형태의 변환 방식은 선형 대칭 구조와 비선형 대칭 구조로 분류할 수 있었다. 도출된 변환군을 형상하는 조형 언어를 살펴보았다. 둘째, 선행연구의 분류방식을 총괄하여 건축의 형상 언어를 구성하는 단어는 회전, 사영, 병진, 경영, 리듬으로 나뉘어져 있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셋째, 형상 단어들이 각각의 맥락을 가지고 있으며 사례분석을 통하여 건축 형상 디자인은 형상 단어들이 각각의 맥락을 규정하여 의미를 부여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건축에서 나온 맥락을 분석해서 건축은 조형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발견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건축 형상디자인의 언어적 사고방식을 제시해줄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 KCI등재

        번역 유형별 번역 사례를 통해 본 한국 고시가 번역의 문제 : 황진이 시조 <니언지 >를 중심으로

        임주탁(Yim Ju tak) 한국문학회 2014 韓國文學論叢 Vol.67 No.-

        한국 고시가 번역의 문제는 번역 유형별 번역 사례에 대한 면밀한 검토 결과를 체계적으로 통합하는 방향에서 다루어질 필요가 있다. 이 글은 번역 유형별 번역 사례가 가장 많은 작품 가운데 하나인 황진이 시조 를 통해 한국 고시가에 대한 번역 유형별 번역의 양상을 살피고 문제점과 그 원인을 분석함으로써 한국 고시가 번역에서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점을 추론해 본 것이다. 번역된 텍스트는 목표 언어가 모어인 독자들이 이해하고 감상하기에 충분해야 한다는 관점에서 번역 대상 텍스트의 시적 상황과 언어적 맥락이 얼마만큼 충실하게 번역되는가에 초점을 맞추었다. 논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에 대한 조선시대의 한어 번역은 원전의 시적 상황과 언어적 맥락을 정확하게 번역하였다. 그에 비해 일본 식민지 시대에 이루어진 한어 번역은 시적 상황과 언어적 맥락이 원전과 전혀 달랐다. 이러한 문제점은 신위의 「소악부」에 포함된 한어 번역의 원전을 번역자가 잘못 비정하고, 원전과 한어 번역이 공통으로 함축한 시적 상황과 언어적 맥락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 데서 생겨났다. 그런데 일본 식민지 시대에 이루어진 원전 비정과 한어 번역의 결과는 이후 에 대한 해석과 번역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가 연가(love song)라는 해석이 지금까지도 널리 수용되고 있으며, 조선 시대의 한어 번역에 대한 현대 국어 번역에서 일본 식민지 시대의 한어 번역과 흡사하게 시적 상황이나 언어적 맥락이 모호하거나 원전과 사뭇 다르게 번역되고 있는 데서 그러한 사정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에 대한 외국어 번역은 일본 식민지 시대의 한어 번역, 원전 또는 조선시대의 한어 번역에 대한 현대 한국어 번역에서와 같이 시적 상황과 언어적 맥락이 모호하거나 원전과 전혀 달랐다. 따라서 원전에 대한 조선시대의 한어 번역과 같은 번역 수준을 보여 주는 원전에 대한 외국어 번역은 아직까지 이루어지지 않았다고 할 수 있다. 외국어 번역이 기본적으로 원전에 대한 현대 한국어 번역을 바탕으로 하게 마련이라는 점에서 외국어 번역이 지니는 문제점은 결국 원전 또는 조선시대 한어 번역에 대한 현대 한국어 번역이 지니는 문제점이 거듭 표출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논의 결과는 한국 고시가의 번역에 다음 사항들이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한다는 것을 말해 준다. 즉, 원전 비평(textual criticism)이 충분히 이루어진 작품을 선정해야 한다는 점, 번역 대상 텍스트와 번역된 텍스트 모두 시적 상황과 언어적 맥락이 분명해야 한다는 점, 현대 한국어 번역이 원전의 창작 상황에 부합하는 해석과 성공적인 외국어 번역에 관건이 된다는 점, 목표 언어가 모어인 독자들이 번역된 텍스트에서 파악하는 시적 상황과 언어적 맥락이 재료 언어가 모어인 독자들이 원전 혹은 현대 한국어 번역에서 파악하는 것과 동일한지가 번역 평가의 중요한 잣대가 된다는 점 등을 중요하게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elucidate what is problematic, important, and needed now in translating Korean classical poetry into other target languages which contain modern foreign language, modern Korean language and old Chinese language, through comparing translated texts with their source language texts. So it deals those issues with all the renderings of a Hwang Jini's Sijo work, Have I ever, the renderings can be classified by most types of translation. The results of it are as follows; 1. Most translated lingual texts into old Chinese language (TT1-1) by three intellectuals in the period of Joseon Dynasty, Korea, do not have any problem because all of them had bilingual competence and could grasp the very inner context (poetic and linguistic context) and meaning of the original text (OT-1). 2. Most translated lingual texts into old Chinese language (TT1-2) by one or two intellectuals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Korea, have a little serious problems. The translaters did not have bilingual competence so sufficient to grasp the inner context and meaning of only the original texts (OT-1, OT-2) but the old Chinese translation by a former intellectual, Shin Wi. In fact, OT-2 is different from OT-1, but it seemed to be the very OT of Shin Wi's rendering version of which OT was not OT-2 but OT-2. In spite of it, the result and contents of their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of OT-2 have had an nation-wide authority as the very one of OT-1 over their modern subordinates after their times. 3. We are able to grasp the same inner context and meaning of the two, the original (OT-1) and the translated text (TT1-1). However, researchers whose mother tongue is Korean have not translated TT1-1 into modern Korean language entirely, or mistranslated it, it is, I think, related to the fact that they could not comprehend the same inner context of meaning of the two like former intellectuals in the colonial period, intellectuals who selected OT-2 as OT of the rendering by Shin Wi. 4. All the translated texts into foreign language (TT5) have the same problems as their source language texts which were translated into modern Korean language by Korean translaters, writers, or researchers (TT2). While meeting renderings of TT5, we are not able to grasp the same inner contexts in which all the texts have their own unity of meaning as ones of the original lingual texts (OT-1). These results implies several meaningful things as follows; 1. Textual criticism about Korean classical poems has not been sufficient for us to translate them into foreign languages. 2. We need to translate all the texts, OT and TTs, into modern Korean language before studying all the renderings of them. It will let us to know whether all the texts and renderings can be acceptable not only to us but also to foreigners. 3. While evaluating if every TT is successful, we have to check if the inner context and meaning of TT is the same one of its OT or source text because the primary goal of translation is to make readers whose mother tongue is the same one as the target language.

      • KCI등재

        체계기능언어학적 관점에 기반한 문법 교육 연구의 질적 메타 분석

        김정은 청람어문교육학회 2022 청람어문교육 Vol.- No.90

        본 연구는 언어 형식의 선택과 사용에 주목하는 문법 교육 연구들의 이론적 관계망을 메타적으로 고찰하여 문법 교재 차원에서의 교육 내용 설계 원리를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질적 메타 분석의 방법을 통해 ‘사용으로서의 문법’을 체계기능언어학적 관점에 입각하여 다루고 있는 학술지 논문 29편과 학위 논문 4편을 선정하여 각 연구들 간의 위상과 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문법 교육의 관점 및 이론의 차원에서는 ‘언어 주체와 대상으로서의 언어 간 통합’을 ‘사용으로서의 문법’ 교육이 갖는 통합의 본질로 보고, ‘언어 주체의 사고 활동’은 ‘문법하기’, ‘언어하기’, ‘문법 문식성’ 등으로 개념화되어 언어 주체가 자신의 언어를 들여다보는 메타성에 기반하는 활동임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언어 주체의 사고 활동'은 ‘맥락’, ‘텍스트’, ‘체계’라는 핵심 개념을 탐색함으로써 보다 구체화된다. 이어서 문법 교육의 내용 차원에서는 체계기능언어학의 대기능과 어휘 문법 체계의 연결망을 중심으로 교육 내용을 설계하는 방식, 통사적 언어 단위와 맥락의 관계를 텍스트 차원에서 의미화하는 방식, 그리고 언어 수행의 특성별로 문법 교육 내용을 재구조화하는 것과 같은 세 가지의 방향으로 교육 내용이 설계될 수 있음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한국어교육에서 쓰기 지식 교육에 대한 연구 - 초급 한국어 학습자의 발표문을 중심으로 -

        이수정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2015 한국언어문화학 Vol.12 No.2

        본고의 목적은 제2외국어 학습자를 위한 쓰기 교육의 내용으로서 쓰기 지식의 교수가능성에 대해 살펴보고, 쓰기 지식의 범주로 초급 한국어 학습자의 발표문에서 나타나는 오류를 분석하는 데 있다. 쓰기 지식 중 내용 지식은 교사의 통제가 어려우며, 과정 지식은 교육의 내용이 아닌 목표에 가깝다. 반면 맥락 지식과 언어 지식은 안정적이고 명시적인 지식으로 교수가능성이 높다는 점에서 쓰기 교육의 내용으로 반영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맥락 지식과 언어 지식을 바탕으로 초급 한국어 학습자의 작문 41편을 통해 발표문이라는 맥락에 대한 학습자의 이해 정도와 다양한 언어적 오류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언어 지식의 관점에서 보면 표기 오류 범주에서는 맞춤법 오류가 두드러졌고 문장 오류 범주에서는 조사의 생략과 오류가 높은 빈도를 보였다. 또한 구어 표현이 자주 등장하였다. 단락 단위의 결과를 보면 하나의 단락이 하나의 생각을 담아야 한다는 기본적인 단락 내용의 일관성이 지켜지지 않는 경우가 상당 부분 있었다. 맥락 지식의 관점에서 보면 독자를 고려한 본론 내용에 대한 구체적인 안내와 개관이 없고, 주제를 명확히 명시하지 않는 부분들이 나타난다. 이를 통해 초급부터 맥락과 언어 구조를 중심으로 한 쓰기 지식 범주의 수업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으며, 초급 교재의 글쓰기 역시 맥락 지식과 언어 지식을 교육 내용으로 하여 접근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eachability of Writing Knowledge(consist of Content Knowledge, Context Knowledge, Linguistic Knowledge, Writing Process Knowledge) in the classroom for L2 learners and to analyze the presentation papers written by Korean learner of novice level. based on the category of Writing Knowledge. Content Knowledge can not be controlled by teacher. Writing Process Knowledge is near the objective of Writing class, not the educational contents. On the other hand, Context Knowledge and Linguistic Knowledge are stable and explicit as educational contents. In regard to high teachability, it is reasonable to assume that Context Knowledge and Linguistic Knowledge are proper as educational contents. Based on Context Knowledge and Linguistic Knowledge, 41 presentation papers are analyzed. The results of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from an Linguistic Knowledge, there are lots of spelling mistakes or errors, drop of postpositional particle. inappropriate colloquial expression. In accordance with paragraph, consistency of content was not kept in a fair number of papers. Second, from an Context Knowledge, some papers has no overview considering the reader or did not specify the subject of papers. Through the presentation papers analysis, writing class based on the Context Knowledge and Linguistic Knowledge as Writing Knowledge need to be formed from novice level. Writing textbook also should reflect Context Knowledge and Linguistic Knowledge as educational contents

      • KCI등재

        하나님의 눈썹은 무슨 색일까? ― 비트겐슈타인 철학과 종교 언어의 문제

        김효석 한국조직신학회 2022 한국조직신학논총 Vol.68 No.-

        This article explores the problem of religious language and Wittgenstein’s philosophy, focusing on the question, “What color is God’s eyebrow?” The problem of religious language, God-talk in particular, arises from the difficulty in using the finite human language to say something about the infinite God. The logical positivists insist that religious language is meaningless, since it can be neither verified nor falsified. Wittgenstein, in his early philosophy, also argues that religious language is meaningless and that what we cannot speak about, like religion, we must pass over in silence. Although his early thought looks similar to that of the logical positivists at first glance, his intention is not to downgrade the importance of religion but rather to show its significance. Unlike the picture theory in his early thought, his later philosophy, which stresses the diverse use of language and the contextuality of meaning, shows us that religious language can be meaningful. He also invites us to pay careful attention to the context of the use of religious language, in order to grasp its meaning. According to Wittgenstein’s “Lectures on Religious Belief,” when we pay heed to the context of its use, we find that religious language has its own rationality which is different from that of science; that, unlike scientific language, it is neither hypothetical nor probable but absolute; that it is pictorial language which regulates a believer’s whole life. I hope that this article can be a step toward a richer discussion of the problem of religious language in Korean theology. 본 논문은 “하나님의 눈썹은 무슨 색일까?”라는 질문을 중심으로 종교 언어의 문제 및 비트겐슈타인의 철학을 살펴본다. 종교 언어, 특히 하나님에 대한 진술이 철학적 ‧ 신학적으로 문제가 되는 이유는 유한한 인 간의 언어로 무한한 하나님을 말해야 하기 때문이다. 논리실증주의자들은 종교 언어가 검증 또는 반증될 수 없기 때문에 의미를 가질 수 없다며 종교 언어를 공격하였다. 비트겐슈타인은 그의 전기 사상에서 종교 언어는 무의미한 언어로서, 종교와 같이 말할 수 없는 것에 관해서 는 침묵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러한 전기 비트겐슈타인의 사상은 겉보기에는 논리실증주의와 큰 차이가 없어 보이나, 실제 비트겐슈타인의 의도는 종교를 평가절하하려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그 중요성을 보이려고 한 것이었다. 전기의 그림 이론과 달리 언어의 다양성과 의미의 맥락 의존성을 강조하는 비트겐슈타인의 후기 철학은 종교 언어도 의미를 가질 수 있으며 그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그 사용의 맥락을 면밀히 살펴보아야 함을 우리에게 알려준다. “종교철학에 관한 강의” 에서 그는 종교 언어가 사용되는 맥락에 주목할 때 우리는 종교 언어가 자체적인 합리성을 가지는 언어로, 과학의 가설적, 확률적 언어와는 다른 절대성의 언어, 신자들의 삶을 규제하고 조정하는 그림 언어임을 알 수 있다고 주장한다. 본 논문이 한국 신학계에서의 종교 언어에 대한 더 활발한 논의를 위해 이바지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국어과 교육과정을 위한 담화 개념의 위상

        김종현 ( Jong Hyun Kim ) 국어교육학회 2012 國語敎育學硏究 Vol.44 No.-

        이 글은 국어과 영역 간에 담화 개념을 통합적으로 주고받을 수 있는 논거를 파악하기 위해 담화의 개념적 토대를 논증하고 있다. 국어과 교육과정에서 개념으로서의 담화와 명칭으로서의 담화가 함께 쓰이다 보니 담화의 작용역이 넓어지기는 했지만 그럼에도 국어과 각 영역에 따라 담화가 뜻하는 바를 분절화 해서 이해해야 하는 부담이 생겨났다. 개념과 명칭, 이 둘 사이의 차이를 인식하는 것만으로도 교육과정에서 담화 용어의 쓰임새에 관해 이해의 어려움을 줄일 수 있다. 기존에 알려진 담화의 다양한 정의들에 견주어 볼 때, 국어과에서 취하는 담화 용어는 미시적 측면과 거시적 측면으로 양단된다. 이에 대해 이 글에서 대안적 정의(담화는 언어적 선택에 의한 연결체이다)를 내세웠다. 대안적 정의는 충분하게 제약되어 완결된 정의는 아니다. 그렇지만 이 대안적 정의는 도구적 개념의 효과를 갖는다. 국어과에서 취급하는 담화 개념의 특성과 담화 유형 그리고 교과서 언어의 수준과 범위에 이르기까지 포섭력이 있으며 ``맥락``에 비견할 만큼의 체계 구성을 잠재적으로 보유할 수 있다. 이런 목적의식을 개념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각별하게 주목한 키워드는 ``언어적 선택``이다. ``언어적 선택``이라 함은 언어 단위뿐 아니라 언어 행위를 함께 묶어주는 메타 개념으로 작용할 수 있다. 언어가 사용되는 구체적 방식을 결정하는 데 있어 행위자는 언어적 선택을 한다. 여기에서 언어적 선택은 자발적으로 또는 비자발적으로 이루어진다. 이런 두 가지 측면에 걸쳐 행위자의 선택을 통해 담화 행위를 표현하고 이해하며 담화 유형을 사용하는 일이 일어난다. 언어적 선택이 일어나는 언어적 구조체를 형식구조, 의미구조, 순서구조, 상호텍스트 등으로 구분했다. 이것은 교육과정을 상세화하면서 담화 개념을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토대로 수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체는 언어적 맥락, 상황 맥락, 사회문화적 맥락 등과 대응하는 관계에 놓여 있음을 파악했다. This paper explores how the notion ``discourse`` is available with respect to contemporary Korean Education Curriculum. Among a variety of definitions of discourse, each definition is relevant in its own right, but none of them is complete for the Curriculum. In confrontation with the concept ecology within the sub-disciplines of the Korean Education, this paper launches an alternative definition(Discourse is a sequence by linguistic selection; which is a sequence connected by linguistic selection) and suggests that the alternative definition is indeed instrumental for keeping up with both micro- and macro- aspects of discourse phenomena. It is further noted that the notion ``discourse`` must be crossed with the context-driven approach of the 2007 Curriculum. In order to refine the connectivity of discourse, a general meta concept has been employed under the rubric of ``linguistic selection.`` The resources which live on linguistic selection have been called upon in terms of four kinds of sequence, i.e. form structure, content structure, sequence organization, and inter-texts. The linguistic selection by discourse participants is to showcase the structure and process of discourse sequence connectivity. In this regard, discourse can be characterized as being a sequence connected by the patterns of linguistic sele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