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심정지 상황에 따른 일반인의 언어적 표현과 심정지 인지의 의사결정 영향요인

        Eun Kyung Jeong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15 Crisisonomy Vol.11 No.11

        본 연구는 심정지 환자를 목격하였을 때 일반인이 묘사하는 언어적 표현을 파악하고 의사결정나무분석을 통해 심정지를 인지하는데 영향을 주는 요인을 예측하기 위한 조사연구이다. 연구기간은 2013년 3월 1일부터 2014년 3월 31일까지이며 연구방법은 연구 대상자에게 심정지 동영상을 보여주고 119구급상황실에 신고할 때 사용하는 언어적 표현을 설문지에 작성하도록 하였다. 설문지는 총 349부를 분석하였으며 분석방법은 SPS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의사결정나무분석, chi-square test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의사결정나무분석을 활용하여 연구 대상자의 심정지 인지에 영향을 미치는 공통된 요인을 파악해 보았을 때 호흡표현으로 나타났다. 연구 대상자는 무의식과 무호흡 심정지를 가장 높게 인지하였으며 무의식과 경련을 하는 심정지와 비정상적인 호흡을 보이는 심정지의 인지는 낮았다. 비정상적인 호흡을 보이거나 경련을 하는 심정지 상황에서의 심정지 표현은 주로 생존의 가능성을 보이는 ‘호흡을 하는 중이다’, ‘정상호흡이다’, ‘발작이다’ 등과 같은 표현을 하였다. 따라서 병원 전 심정지 인지를 높이기 위해서는 비정상적인 호흡을 보이는 심정지와 경련을 보이 는 심정지 환자에 대한 교육과 훈련이 필요하며 이때에는 심정지 상황을 묘사하는 시청각적인 교육이 필요하다 The study aims to predict the determinants affecting cardiac arrest recognition through decision tree analysis on language expressions used by laypersons observing a cardiac arrest patient. The survey period was March 1, 2013 through March 31, 2014. The breathing expression was found as a common factor affecting cardiac arrest recognition among the survey participants. They showed low recognition levels of cardiac arrest with unconsciousness and convulsion or abnormal breathing, while they showed the highest recognition on cardiac arrest with unconsciousness and apnea. They used expressions like: 'is breathing’, ‘normal breathing’, ‘seizure’ for the cardiac arrest situations with abnormal breathing and convulsion. Thus, in order to enhance cardiac arrest recognition before patients are taken to the hospital, audiovisual training and education programs should be provided to patients with a risk of cardiac arrest.

      • KCI등재

        小楠 沈能淑의 詩世界 : 仙家 志向을 중심으로

        장효현(Chang Hyo-Hyun) 우리문학회 2010 우리文學硏究 Vol.0 No.29

        본고에서는 아직 연구가 미진한 심능숙의 시세계에 대하여, 특히 仙家 志向의 시에 초점을 맞추어 살펴 보았다. 앞선 연구에서 심능숙의 道仙的 傾向性과 〈옥수기〉에 나타난 神仙 관련 모티프에 대하여는 언급된 바 있었으나, 그것이 '소재적 차원에서 미학적으로 활용'되었고 '소재나 배경으로 존재할 뿐'이라고 보거나, '사대부적 세계관과 도선적 세계관의 조화'로 설명되는 관점에 한정되었다. 또한 道家[老莊] 및 道敎와 구별되는 우리 민족 고유의 仙家에 대한 심능숙의 관심에 주목하지 않고, 이를 뭉뚱그려 '도선적 요소' 혹은 '도선적 세계관'으로 설명하는 경향이 있었다. 이에 본고에서는 심능숙의 시세계를 통해 그 仙家 志向의 면모와 특징을 구체적으로 살피고자 하였다. 심능숙은 어려서부터 재능을 드러내 7세에 이미 詩를 지었고, 14세 때부터 詩社 활동을 하여 朴趾源도 참여하고 老少文蔭 14인이 모여 결성한 '南社' 등의 詩社에 참여하였다. 심능숙은 사상적으로 매우 자유로운 脫俗의 태도를 보였는데, 특히 우리 민족 고유의 사상으로서 맥을 이어 온 仙家에 지대한 관심을 기울였다. 洪直弼에게 보낸 서신에서 보면, 심능숙은 儒?佛?道 三敎 모두에 통하는 우리 민족 고유의 仙家의 독특한 위치를 강조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仙家에 대한 심능숙의 관심은 일생에 걸쳐 일관된 것이었지만, 특히 청년기에 심능숙은 仙書에 대한 탐구를 통해 논리적 차원에서 仙界와 仙境에 도달하고자 하는 소망을 가졌던 것으로 여겨진다. 심능숙은 19세 때인 1800년에 仙界의 蜃樓를 보고 여러 편의 산문을 짓고 異人 이은을 추종하여 〈이은전〉을 지음으로써 仙家에 대한 관심을 본격적으로 드러내기 시작했다. 1802년에 지은 시에서는 仙書인 『淸淨經』을 潛心해 읽는 모습이 나타나 있다. 1803년에 부친 沈允之를 따라 臨地인 古阜에 내려가 있을 때에 權克中의 유적을 살펴 볼 수 있었고, 그때 얻은 권극중의 『參同契註解』와 印刊된 遺集 3권을 아껴 잘 보관했다 하는데, 〈到泰山縣〉 시에는 태산 태수가 보내준 권극중의 『참동계주해』를 보기 위해 기쁜 마음으로 달려가는 심능숙의 심경이 묘사되어 있다. 〈贈南友士貞還山〉(1810년)에서는 삼년만에 仙書를 해득한 지인 南士貞을 부각시키고 있다. 1810년 심능숙이 경기도 김포의 私邸에 小楠軒을 짓고 기거할 때에, 선배가 關西지방 수령이 되어 가면서 『周易參同契』를 지니고 감에 그를 따른 일화를 읊은 시가 있다. 심능숙은 아내가 죽고 난 뒤 30세 때인 1811년부터 수년 동안 維楊의 靑蘿洞과 八賢洞에 은거하면서 仙家에 침잠했는데, 이곳에 이웃하는 掛蘿洞은 權克中이 仙道에 몰두했던 곳으로서, 약초 캐고 仙書를 잠심하여 읽는 심능숙의 생활이 시 속에 묘사되어 있다. 그러나 청년기를 지나 40세 전후의 壯年期에 접어들면서, 심능숙의 仙家 志向은 주변의 사물과 사건 속에서 어렴풋이 仙界를 떠올리는 양상으로 전개된다. 〈蕉竹篇〉에서는 대나무와 파초를 보면서 仙界를 연상해 보고, 〈白雲朶〉에서는 일본에서 수입한 국화를 仙女에 비유하여 신비롭게 묘사한다. 1838년에 지어진 시 〈楊州崔雅士眞 … 〉에서 심능숙은 자신을 仙界의 인물 儀仙으로 그려 보이며 선계를 희구한다. 심능숙은 말년에 장편한문소설 〈玉樹記〉를 짓는데, 仙界를 희구하는 그의 관심이 그대로 나타난다. 청년기에 보다 구체적으로 仙書의 탐구를 통해 仙界를 추구했던 것으로부터 바뀌어, 40세 전후의 장년기를 지나면서 주변의 사물과 사건 속에서 어렴풋이 仙界를 떠올리는 양상으로 전개되는 것은, 現世를 벗어나 仙界를 희구하고자 하는 생각은 간절하지만, 世俗的 존재로의 한계를 벗어나기 어려움을 인식하게 된 결과가 아닌가 여겨진다. 심능숙의 일생에 걸친 仙家에 대한 관심의 근거는 심능숙의 삶에 대한 다각도의 천착을 거쳐 조금 더 명확한 결론을 이끌어내야 할 것이며, 한국 漢詩史의 전개에서 우리 민족 고유의 仙家 志向을 드러낸 일련의 흐름을 파악하는 것과, 근대로 전환되어 가는 19세기의 시기에 보이는 사대부 지식인의 仙家 志向의 움직임이 어떤 의미를 지니는 Simneungsook wrote Korean classical novel Oksoogi(玉樹記) in Chinese character, and hundreds of poems and proses in Chinese character. Various world of poems which was produced by Simneungsook, reflects the experiences of the poet, especially the interest in fairy-idea of him. Simneungsook had the liberal acceptance of various ideas, especially had the interest in fairy-idea. He wrote many poems and proses concerning fairy-idea. He looked on fairy-idea as an unique idea in our national tradition, as an idea which penetrates through Confucianism and Buddhism and Taoism. Many poems which Simneungsook wrote reflect the interest in fairy-idea, so there are many motifs of fairy-idea in them. Also Oksoogi reflects the interest in fairy-idea of author. There are many motifs of fairy-idea in Oksoogi; an Taoist hermit Yo of mountain Cheontae, a Taoist nun Lim of mountain Nam, an ascending to heaven as a Taoist immortal of Ganam and Jinho, a pill for immortal etc. Former some researcher produced the results about world of poems which was written by Simneungsook. But she takes it as only the products of poet's fun and joy. I emphasize, in this study, that many poems Simneungsook wrote reflect the fairy-idea, and that the poet had been interested in fairy-idea at ordinary times. The cause of the poet's interest in fairy-idea may be his liberal mentality or his eagerness for escape from reality.

      • KCI등재

        馬一浮 心論

        천병돈 한국유교학회 2012 유교사상문화연구 Vol.48 No.-

        馬一浮에 의하면 六藝는 13經을 포함한 經ㆍ史ㆍ子ㆍ集 등 四部를 통섭할 뿐 아니라, 서양 학술까지도 통섭한다. 이러한 六藝는 다시 心으로 통섭된다. 따라서 六藝의 핵심은 心에 있는 것이지, 六藝 자체에 있는 것이 아니다. 문제는 馬一浮에게 있어서 心은 어떤 心인가이다. 馬一浮는 陸王心學의 계승자이며, 馬一浮 스스로도 陸王을 존경한다고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六藝統攝 一心’론을 연구하는 학자들은 馬一浮가 말하는 心의 의미가 무엇인지 명확한 설명을 하지 않았다. 馬一浮의 心은 다음과 같은 의미가 있다. 첫째, 도덕본심으로서의 惻隱之心. 둘째, 惻隱之心은 성인의 전유물이 아니라, 모든 사람이 가지고 있다. 이것 이 心의 普遍性이다. 셋째, 心은 天地之心 넷째, 心은 性이고 天이며, 太極이고, 理이다. 다섯째, 心統性情이란 心으로 하여금 情을 ‘거두어(혹은 쥐고)’ 體로 돌아가도록 해야 한다는 말이다. 즉 情이 心의 통제를 통해 體로 돌아가면 體用이 하나가 되고, 情은 仁心이 그대로 드러난 情이 된다. 이때가 바로 體用不二다. 이처럼 馬一浮 사상에서 心은 性이고 天이며, 太極이고, 理이다. 그의 心外無物ㆍ心外無性ㆍ心外無道는 모두 이를 바탕으로 나온 개념이며, 心統性情 또한 바로 이런 관점에서 이해해야 한다. 据馬一浮六藝不儘統攝經史子集等的四部包括十三經在內, 竝統攝西方學. 如此的六藝又爲心所統攝因此六藝的核心是在于心的, 竝不是在六藝本身的.在此 我們必須考慮馬一浮所言的心是如何的心此問題.馬一浮繼鞭王心學, 且曾說尊 崇陸王.然而, 以往硏究‘六藝統攝’論的學者們都还沒對馬一浮所言之心代表什麼意思此問題提出確切的說明. 馬一浮所言的心有以下幾個意義. 一, 心卽惻隱之心. 二, 惻隱之心不是聖人專有的, 而是人所固有, 莫不皆同.這是心之普遍性. 三, 心卽是天地之心. 四, 心卽性卽天卽太極卽理. 五, 心統性情就是使心收(或 ‘攝’)情歸體. 就是說, 情經由心的空制而回歸于體, 體用則一, 而且情便成爲仁心顯著的情. 此時正是體用不二的. 如此在馬一浮思想, 心卽是性卽是无也卽是太極, 也卽是理. 馬一浮所言的心外無物ㆍ心外無性ㆍ心外無道等這些槪念都淵源于這個觀點. 所以心疏性情亦是必須從這個觀點來理解.

      • KCI등재

        특별기고논문 : 한주(寒洲) 이진상(李震相)의 성리학적(性理學的) "심즉리설(心卽理說)"

        윤사순 ( Sa Soon Yoon ) 한국공자학회 2011 공자학 Vol.20 No.-

        이진상의 ``심즉리설``은 19세기 주리론적 심설의 정상에 위치한다. 그 심설은 16세기 이황 이후의 『심경』 『심경부주』에 대한 연면한 연찬 등의 심학적 여건을 배경으로 이루어졌다. 심과 리에 대한 이진상의 견해는 한 몸을 주재하는 심의 성정 통솔의 묘용이 태극이 사물(분수)에 대한 상제적 주재의 묘용과 일치한다는 것이다. 그 심과 태극 리의 주재의 일치는 특히 심의 체가 태극인 점에서 하나로 일원화된다. 그의 이 견해는 마침내 "심이 곧 리이다(心卽理)"라는 명제로 표출되었다. 이 이론은 심의 ``기``의 기능을 도외시한 것, 그리고 심과 리의 일치된 주재가 명목 명분상의 주재인 점에서, 관념적 성격을 지녔음을 부정할 수 없다. 그러나 그 심과 리의 ``주재``가 말(馬)에 대한 인간의 주재요 신하(宰相)에 대한 왕의 주재를 가리키는 것으로 보아, 그 이론은 그 시대 지배층의 직무수행에 의한 ``사회질서 수립``과 ``왕조의 체제옹호`` 및 ``국권수호``의 현실적 의의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이 이론은 결코 공리공론이 아니다. 육왕의 심설이 심 활동 측면인 ``의(意)``를 그 기미에서부터 바로잡는(格, 正) 수양에 치중하는데 비해, 이진상의 이 이론은 심의 ``주재(主宰)``라는 ``기능과 역할``을 강조하는 특징으로 미루어도 그 점이 분명하다. The theory of ``Our Mind is Principle(心卽理)`` proposed by Yi, ChinSang takes top place in the literature of the 19th century on mind analysis focusing on ``Li``(理, principles). His idea is based on continuous study of Sim-Ch`ing(心經) and Sim-Ch`ing-Fu-Ju(心經附注) after Yi-Hwang. Yi, ChinSang assum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uman mind-and-heart``(心) and ``Li``(理) as follows in the Heart-and-Mind encompasses Human nature(性) and Human emotions(情)[心統性情]. Human mind and heart presides over Human nature and emotions as Supreme Ultimate(太極) does the each thing. Human mind-and-Heart(心), The Supreme Ultimate(太極), and Li(理) are in consonance with principle roles. Particularly Human mind-and-heart unifies with the Supreme Ultimate as the body of former is the latter. Finally, the writer`s idea was presented as "Our Mind is Principle." This theory can`t avoid becoming ideal because it disregarded the act of ``Ki(氣)`` and the concordance of Human heart-and-mind and Li is nominal. The presidence of Mind-and-heart and Li, however, was explained as "The rider`s ``presidence`` over the horse or The king`s ``presidence`` over the courtiers." It refers this theory contains practical purposes to announce "the protection of royal authorities and national sovereignty." This theory never indulged in academic discussion. While the theory of Mind of Liu-Wang(陸王) concentrates on adjusting the meaning from the indication in the act of mind, Yi ChinSang emphasized the ``presidence." This is apparent reason to escape his theory from falling into only superficial academic discussion.

      • KCI등재

        특집 1 : 심학(心學)과 실학(實學)의 재검토 ; 율곡학파의 심학과 실학 -경계적 사유와 실천의 갈림길에서-

        김경호 ( Kyung Ho Kim ) 한국실학학회 2014 한국실학연구 Vol.0 No.28

        이 글은 학계에서 일반화되지 않은 ‘율곡학파의 심학’이란 개념을 전면에 놓고 율곡계열의 심학적 흐름을 고찰한 후, 이것이 조선후기 실학과는 어떻게 연계되고 있는가를 탐구하였다. 이 글은 다음과 같은 문제의식을 전제로 구성되었다. 첫째, 어째서 심학은 조선중기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거론되는가 하는 점이다. 이 점에 대한 해명의 과정은 ‘심학’이라는 프리즘을 통해 분산된 흔적들이 단순한 파편이 아니라 장구한 유학의 지성사적 흐름과 철학적 논의들에 닿아 있음을 보여준다. 바로 이러한 점에서 심학에 대한 탐구는 조선후기 실학에 대한 새로운 이해의 관점을 제공한다. 둘째, 율곡학파의 심학에 대한 논의는 학계에서 어째서 거론되지 않았을까 하는 점이다. 율곡학파 계열에서는 마음을 다스리는 치심이나 수기에 대해서 논의하고 있었음에도 현대 학계에서는 율곡심학이나 율곡학파의 심학에 대해서 논의하지 않는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 이 점에 대한 탐색은 관성화된 심학과 학술탐구의 편향성에 대한 근본적인 반성과 성찰을 요청한다. 그러나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율곡학파의 심학과 실학에 대한 고찰을 통해서 우리는 철학적 물음에 직면한다는 점이다. 심학과 실학은 어떠한 보편적인 철학적 질문을 함축하고 있는가? 우리는 심학과 실학의 논의를 통해서 무엇을 사유할 수 있는가? 필자는 이 글에서 율곡학파의 심학적 특성을 현실에 대한 예민한 ‘경계적 사유’에서 찾고 있다. 그리고 ‘경계적 사유’를 현실화 하려는 실천성이 곧 현실성에 부합하는 실리적 유용성과 규범적 정당성을 확보하려는 율곡학파의 실학적 태도였다고 주장한다. This article centers on the issue of ``Yulgok`s study of mind’, which has not been researched yet. I shall examine changes in Yulgok school`s idea of mind, and its relation to late Joseon`s Silhak. I shall focus on the following three points. First, why has the study of mind been discussed? An answer to the question will reveal that the study of mind seems to be fragmentary, but is closely related to the long Joseon Confucian intellectual history and philosophical discussions. In this regard, the study of mind suggests a new understanding of late Joseon Silhak. Second, why hasn`t Yulgok`s study of mind mentioned in the contemporary academic circle? Modern scholars did not discuss about his idea of mind even though Joseon Confucianists discussed about how to control their mind or cultivate themselves. We need to retrospect and examine the habituated study of mind and academic partialness. However, what is most important is that we get to a philosophical question by examining the study of mind and Silhak. Is it right that these two studies include any general and philosophical issue? What kind of questions do we face through two studies? I shall find a significance of Yulgok school of mind from “boundary thought” and regard the school`s aspiration to realize it in practice as Yulgok`s Silhak attitude in order to have practical utility and normative justification.

      • KCI등재

        양명 심학의 미학적 이해

        전상모 ( Jun Sang-mo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8 儒學硏究 Vol.44 No.-

        본고는 양명 심학의 미학적 의의를 밝히기 위해 양명의 3대 학설을 각각 심물동체(心物同體)의 본체미학(本體美學), 사상공부(事上工夫)의 실천미학(實踐美學), 심상공부(心上工夫)의 체인미학(體認美學)으로 정의하고 양명 심학을 미학적으로 이해하고자 하였다. 양명의 ‘심즉리설(心卽理說)’로 보면, 가치의 주체를 벗어나서는 그것의 가치는 존재하지 않는다. 양명이 말한 ‘심외무물(心外無物)’은 ‘심외물(心外物)’의 실재적 존재를 말하는 것이 아니라 ‘심외무물’의 가치적 존재를 말하는 것이며, 그것은 이미 일종의 주객관이 통일된 의상(意象)이다. 양명에 의하면 의의의 세계는 ‘심(心)’이라는 이 본연의 존재를 떠날 수 없고, 단지 대상이 심체에 들어갔을 때만이 심체는 비로소 의의를 건립하고 구성 할 수 있다. 오직 대상세계를 심령 중에 납입시켜야만, 대상세계를 주체세계에 대해서 말해야만 비로소 의의가 있는 것이다. 주체의 관조를 떠난다면 대상세계의 존재는 다만 하나의 자연의 존재일 뿐이고, 주체에 있어서는 아무런 의의도 가지고 있지 않다. 따라서 심물동체의 본체미학이라 하겠다. 양명 심학의 ‘지행합일(知行合一)’설은 ‘지’와 ‘행’이 본래 하나의 공부이고, 그것들은 하나의 과정의 두 가지 측면이다. 이런 관점으로 보면 지식이나 ‘도(道)’(‘미(美)’)의 획득은 실천 공부로부터 오고, 진정한 지식도 단지 모든 행동이 있어야만 비로소 의의를 가진다. 인격의 수양을 완성하여 양지의 가치적 잠재가 심미적 실천의 ‘지행합일’ 과정에서 체현된다. 양명은 심미활동이 일종의 정신활동일 뿐만 아니라 실천 속에서 인격의 완선함에 도달하는 것이라고 여겼다. 그리하여 유가의 실천미학의 전통을 더욱 높고 더욱 자각적인 경지로 끌어 올린 사상공부의 실천미학이라 하겠다. 양명 심학에서 ‘치양지(致良知)’의 목적은 바로 사람들의 ‘물욕’을 제거하고 양지를 체득하는 것이다. 양명은 양지를 명백하게 깨달아 오직 습속에서 만들어진 의미의 세계를 없애야만 비로소 치양지의 경지에 도달할 수 있다고 여겼다. 마음의 본체는 언어를 사용해서는 파악할 수 없으며 오직 마음으로만 ‘도’(‘미’)의 파악할 수 있고 ‘도’(‘미’)의 자체에 도달할 수는 없다고 여겼다. 이와 같은 양명의 직각적 관조 방식은 이성적 분석을 배제하고 전체적 깨달음과 파악을 중시하는 심상공부의 체인미학이라 하겠다. In order to clarify the aesthetic significance of Yangming school of mind, this study defined the three major doctrines of Yangmingism as Substance aesthetics which considered that mind and things had the same substance, Practical aesthetics of studying through practice, and Experiential aesthetics of studying mind, and it intended to aesthetically understand Yangming school of mind. From the perspective of Yangming’s ‘doctrine that mind is the very Principle’, there is no value beyond the subject of value. Yangming’s thought that there is no things without mind does not mean the actual existence that exists outside of mind but the value existence of the thought that there is no things without mind, which is a kind of imagery that the subject and the object are unified. According to Yangming, the world of meaning can not leave the original existence of ‘mind’, and only when the object enters the core of mind, the core of mind can attach the meaning. It is significant only if the world of object should be put into the spiritual mind and only if the world of object is related to the world of subject. If the world of object leave the contemplation of the subject, it exists as a natural existence, and it has no significance in the subject. Therefore, it can be called the substance aesthetics which considers that mind and things have the same substance. The doctrine of ‘the unity of knowledge and action’ in Yangming school of mind is originally a study of ‘knowledge’ and ‘action’, and they are two aspects of a process. From this point of view, the acquisition of knowledge or the ‘Way’(‘Beauty’) comes from a practical study, and a true knowledge has significance only if all actions are followed. The potential value of the innate knowledge is realized in the process of ‘the unity of knowledge and action’ by completing cultivation of personality. Yangming believed that the aesthetic activity was not only a kind of mental activity but also an attainment of personality of complete goodness in practice. Therefore, it is the practical aesthetics of studying through practice which brings up the tradition of Confucian practical aesthetics to the higher and more self-conscious state. The purpose of the extension of the innate knowledge in Yangming school of mind is to eliminate people’s ‘worldy desires’ and to experience and attain the innate knowledge. Yangming believed that people were able to reach the state of the extension of the innate knowledge only after they clearly realized the innate knowledge and got rid of the world of meaning made in the conventional world. The substance of the mind can not be grasped by using the language, and only the mind can grasp the ‘Way’(‘Beauty’) but can not reach the ‘Way’(‘Beauty’) itself. This kind of Yangming’s intuitive contemplation method is Experiential aesthetics of studying mind that emphasizes the whole enlightenment and grasp by excluding rational analysis.

      • KCI등재후보

        艮齋와 華西學派의 心說論爭의 핵심 쟁점과 그 의미

        장숙필 ( Sook Pil Jang ) (사)율곡연구원(구 사단법인 율곡학회) 2013 율곡학연구 Vol.27 No.-

        艮齋와 화서학파의 심설논쟁은 리를 중심으로 사고하고 실천하는 것이 올바른 것인지 아니면 절대지선의 리는 바꿀 수 있는 것이 아니므로 가변적인 기를 다스려 이 리가 제대로 드러날 수 있게 하는 것이 올바른 것인지를 두고 벌어진 논쟁이라 할 수 있다. 즉 실천과 이론의 통일체로서의 조선유학이 19세기라는 미증유의 격변기에 어떻게 천리를 보존하고 실천할 수 있을 것인가하는 문제의식으로부터 출발한 논쟁이었다. 화서학파는 율곡의 ‘심시기’라는 명제가 主氣로 흘러갈 수 있는 위험이 있다고 비판하고 우리 몸의 주재이며 성정을 통섭하는 주체인 심은 리를 주로 하여(主乎理) 봐야하며 이런 측면에서 심은 리라고 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에 반해 간재는 율곡의 ‘심시기’설을 그대로 계승하여 심은 기이며 심 가운데에 내재되어 있는 성이 리라고 주장한다. 물론 둘 다 존재론적으로 심이 이기의 합이라는 것을 동일하게 전제로 하고 있지만, 간재는理無爲氣有爲의 이기관 및 심과 성을대비하면 성은리요 심은 기라는 율곡의 주장에 근거하여 유위한 기는 무위한 리에 근거해야 만이 그 작용이 바름을 잃지 않을 수 있다고 주장함으로써 주재능력을 가지고 있지만 동시에 일탈하기 쉬운 마음의 자의성을 통제할 것을 역설하는 性師心弟說을 제기하게 된다. 그러나 화서학파인 重菴은 심이 天君으로서의 역할을 다할 수 있는 것은 心中의 리에 의해 가능하므로 이 리를 주로 하여 심을 리라고 하여야 만이 主氣의 폐단으로 흘러가지 않게 된다고 주장한다. 이에 대해 간재는 중암의 주장이야말로 主氣本心之學이며 자신의주장이 진정한 主理本天之學이라 역설하게 된다. 이 논쟁은 당시와 같은 대내외적 위기의 시대속에서 천리의 보존과 실현을 통해 시대적인 난국을 해결하려는 문제의식으로부터 출발한 것이지만 서로의 수양방법론 및 현실인식의 차이로 인해 결국 합의점에 도달하지 못하였다. 그러나 이 논쟁은 우리에게 주리, 주기라는 개념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하게 하게 하는 계기를 주었으며, 천리의 보존과 실현이라는 성리학적 문제의식에 대한 치열한 탐구의 모습을 잘 보여준다. It is said that the arguments of Clarification of Mind between Kanjae(艮齋) and the Hwaseo School(華西學派) was the controversial of the assessment of the principle(li) and mind. One is claimed that it is the proper approach of thinking and practice alongside with principle whist the other maintained that present the unmovable principle by the movable vital force (qi). The controversial argument was an extension of principle and vital force in mid-Joseon Dynasty. Hwaseo School was criticized that the notion of “the mind is the vital force” of Yulgok have tendency of vital force centralism. To avoid vital force centralism, the mind that is administrator of human nature and emotions that has to be a principle central. Therefore, it is said that the mind is principle. On the contrary, Kanjae was more straightforward to Yulgok`s idea: “the mind is the vital force”. He asserted that the mind is the vital force and the principle is immanence among the vital force of the mind. Both of them are agreed to what the mind is the synthesis of principle and the vital force but the perspectives are different. By Kanjae, he displayed that principle is doing nothing but the vital force is active, subsequently the dichotomy of principle and the vital force deliver the conclusion that of qi have following the li and it is the way not to take a false step. Therefore, the administrative mind have to follow the instruction of li called the formulation of nature is master and the mind is disciple(性師心弟說). However, Jungam(重菴) of Hwaseo School is against the formulation, according to him, the mind is the governor of body due to the li in the center of mind. Therefore, li is the one and in this sense the mind is li to elude the vice of vital force centralism. On the contrary, Kanjaeasserted that Jungam`s notion is not principle centralism but mere vital force centralism, for my theorem is the true meaning of principle central and heaven rooted leaning(主理本天之學). The disputes were initiated that the sense of impending crisis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In the devastating situation, they are groping for the solution of keeping of heavenly principle and realization the morality of Confucianism. However, they have failed to reach the agreement due to the difference of ways of cultivation and sense of actual realties. The dispute led us a chance to reevaluate the meaning of principle centralism and vital force centralism. And it is presentation of the endeavors of how to keep of heavenly principle and realization the morality of Neo-Confucianism in the Joseon Dynasty scholars.

      • SCOPUSKCI등재

        선천성 및 후천성 심질환 환자에서 체외순환 전, 중, 후의 동맥혈 가스의 비교 분석

        이동석,이봉근,김송명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 2001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4 No.11

        배경: 심질환 환자는 심장의 구조적 혹은 기능적 결함으로 인하여 혈역학적 변화가 필연적으로 존재하며 그 결과 신체대사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므로 수술전부터 산, 염기의 이상이 초래된다. 수술방법에는 필연적으로 비생리적인 체외순환법과 저체온법 및 혈액희석법과 같은 다양한 특수한 기법이 도입된다. 따라서 수술전 이미 존재하는 산 염기의 이상상태에서 체외순환이라는 수술적 침습에 의해 가해지는 shear압박으로 인하여 이미 악화된 상태의 산 염기 변화를 더욱 심하게 만들게 된다. 저자는 청색증을 포함한 소아심질환 환자와 선천성을 포함한 성인 심질환 환자에서 수술전 체외순환중, 수술후의 산, 염기의 치료지침을 얻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도하게 되었다. 대상 및 방법: 1997년 1월부터 1999년 5월가지 체외순환하에 개심술을 시행한 52례를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은 소아 및 성인 심질환, 선천성 및 후천성 심질환, 그리고 비청색증과 청색증심장병으로 구분하여 수술전, 수술중의 체외순환중, 그리고 수술후 각각 $\alpha$-stat 동맥혈 가스분석 결과를 분석,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결과: 수술전 산 염기 상태는 모든 심질환 환자들에서 대상성 대사성 산증이 기본적으로 존재하였다. 또한 성인 심질환과 후천성 심질환 환자군에서 저탄산가스 혈증이 존재하였으며, 청색증 심질환 환자군에서만 유일하게 대상성 호흡성 염기증이 있었다. 체외순환중에는 성인 심질환 환자군에서는 염기증만이 발생하였고 후천성 심질환 환자군에서는 정상상태의 산 염기 상태이었다. 반면에 소아심질환 환자군에서는 저 탄산가스 혈증 및 대상성 대사성 산증과 호흡성 염기증이 함께 공존하였다. 선천성과 비청색증 심질환 환자군에서는 각각 비대상성 호흡성 염기증 경향과 비대상성 호흡성 염기증이 발생하였다. 청색증 심질환 환자군에서는 체외순환중에 오히려 대상성 호흡성 산증과 대사성염기증이 발생하였다. 수술후 성인 심질환 환자군에서는 정상 상태의 산 염기 상태로 회복되었으며, 후천성심질환 환자군에서는 단지 표준 bicarbonate가 증가한 것만이 나타났다. 소아, 선천성, 비청색증 및 청색증 심질환 환자군에서는 모두 공통적으로 buffer base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Background: Patients with cardiac diseases who have structural defects in their heart bring about metabolic insult such as preoperative acid-base imbalance. Cardiac operation requires many nonphysiologic procedures such as extracorporeal circulation, hypothermia, and hemodilution. We studied the acid-base status of surgical heart diseases pre-operatively, during extracorporeal circulation, and post-operatively and researched the treatment indications of acid-base disturbances. Material and Method: From January 1997 to May 1999, fifty two cases of open heart surgery were carried out under extracorporeal circulation, which divided into a set of pediatric and adult groups, congenital and acquired groups, non-cyanotic and cyanotic groups, The $\alpha$ -stat arterial blood gas analysis was done in each group during the preoperative period, during the operation with extracorporeal circulation, and during the postoperative period. Result: Before surgery, all patients present metabolic acidosis, PaO2 was low in adult group and acquired group and compensatory respiratory alkalosis was noted in cyanotic group. During extracorporeal circulation, adult group revealed alkalosis and normal in acquired group. Pediatric group presents low Pa$CO_2$, metabolic acidosis and respiratory alkalosis. Congenital group and non-cyanotic group showed non-compensatory alkalosis trend and non-compensatory respiratory acidosis were observed in cyanotic group during extracorporeal circulation. Postoperative acid-base status of adult group was recovered to normal and the standard bicarbonate was increased in the acquired group. All of the pediatric, congenital non-cyanotic, and cyanotic groups revealed the lack of buffer base.

      • KCI등재

        사계-우암 계열의 퇴율 읽기와 학단의 분열 -이발(理發) 비판과 심시기(心是氣) 강조의 한계-

        정도원 ( Jeong Do Won ) 한국사상사학회 2015 韓國思想史學 Vol.0 No.51

        본고는 사계와 우암의 주자학 이해가 가지는 특성을, 퇴계와 율곡에 대한 이해를 통해 가늠하고, 이것이 학단 분열로 이어질 수 있는 이유를 밝히고자 한다. 본고는 특히 심학의 측면에서 이 문제에 접근하고자 하는데, 퇴계와 율곡의 갈림이 바로 이 심학 혹은 도학에 뿌리를 두고 있고, 조선후기사상사가 퇴율 심학에 대한 당 시대의 독해 방식과 그에 담긴 역사의식을 분석함으로써 일관되게 설명될 수 있기때문이다. 사회 경제적 맥락에서의 사상 검토 역시 이러한 토대 위에서 진행되어야 한다는 것이 본고의 기본 관점이다. 율곡이나 고봉은 퇴계의 이학이 “한 마음, 두 근원”을 상정한다고 비판한다. 이때 문제가 되는 것은 이발이 아니라 “호발(互發)”이었다. 그러나 율곡의 적통을 자처하는 사계-우암은 호발이 아닌 “이발(理發)”을 문제 삼는다. 사계-우암은 특히 “무위기유위(理無爲氣有爲)”에 초점을 두고 “심시기(心是氣)”를 주장하는데, 이 논리에서 이발과 그궁극으로서의 “락(樂)”은 인정되지 않으며, “이도(理到)” 역시 부정된다. 이러한 주장의 정당성은 심학적 성과가 아닌 주자 원전과의 대조를 통해 획득하려 하였다. 농암은 이러한 주장이 이(理)의 주재성 혹은 순선(純善)의 내적 근거 약화로 이어진다고 보고, 심시기의 문제를 퇴계의 “심합이기(心合理氣)” 주장으로 보완하고자 하였다. 일반적으로 호락논쟁은 인성과 물성의 동이를 논의한다고 하지만, 외암과 남당의 논의를 보면 실제 문제가 되는 것은 성(性)으로 표현된 “미발심체(未發心體)”이다. 이는 이 논쟁이 주자가 미발과 성을 “묘(妙)”라는 관점에서 연결한 것을 토대로, 심학과 논리의 틈새에서내면의 순선 혹은 보편적 절대선 근거를 어떻게 확보할 것인가를 따지는 것임을 말한다. 사계-우암 계열의 ‘무위(無爲)의 리(理)’와 심시기 논리로는 이러한 근거 확보가 쉽지 않았다. 그러므로 양쪽 모두 심(心)의 영역에서 리(理)의 근거를 확보해야 한다는 과제를 안고 있었는데, 이중 호론은 기(氣)의 측면으로 천착해갔고, 낙론은 심시기의명제를 수정하는 방향으로 논의를 전환하였다. 낙론의 전환은 농암에게서 시작되었다. 퇴계 학파의 경우도 성호 같은 이는 호발에 대한 율곡이나 고봉의 비판을 숙고하여 자신의 입론으로 수정하고자 하였는데, 학파에 관계없이 이처럼 상대 입론을 수용하여 자신들의 사고가 가진 문제를 해결하려는 시도는, 이들의 학문이 당파나 논리 차원을 넘어 “계성개학(繼聖開學)”이라는 도학적 소명에 충실하고자 하였던 때문이라 할 수있다. 조선 후기 유학을 당파와 같은 이해(利害) 대립의 산물로만 해석할 수 없는 이유이다. 사회경제적 맥락 혹은 사회문화와의 상관관계역시 이러한 도학의 역사의식을 전제한 바탕에서 분석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This paper tried to inquire why Yulgok School was divided, focusing on their reading Toegye and Yulgok. Yulgok School read the thoughts of Yulgok School in the point of the learning of mind(心 學). The differences of this reading brought the division of schools, not only in Yulgok School but also Toegye School. The division from the reading differentiation may explain the diversity in the later period of Chosun dynasty in the point of relation between philosophy and socioeconomic activities. Yulgok criticized the problem of Toegye philosophy. The core of this criticism was that Toegye thought two minds from separate origins. His heir, Sagye and Uam criticized Yibal(理發; the arouse of noumenon) and asserted ‘Mind is hyle(心是氣).’ They couldn’t believe noumenon(理) can reveal itself. But this thought made their practical energy weak. Nongam modified and corrected this thought, and the result took after Togye’s thought, especially thought of ‘combining the revealing good(理) de proprio motu and hyle(心合理氣)’. Many neo-confucian scholars showed similar pattern for taking universal and absolute origin of the good in one’s own mind. That’s the major cause for school division in the after period of Chosun dynasty, because neo-confucian scholars were more concerned with the holy summon from Confucian tradition than partisan interests or so. They were the Neo-Confucian scholar. Then, why should we translate Neo-Confucianism in the later period of Chosun Dynasty as a conflict of interests?

      • KCI등재

        馬一浮 心論

        천병돈 한국유교학회 2012 유교사상문화연구 Vol. No.

        馬一浮에 의하면 六藝는 13經을 포함한 經·史·子·集 등 四部를 통섭할 뿐 아니라, 서양 학술까지도 통섭한다. 이러한 六藝는 다시 心으로 통섭된다. 따라서 六藝의 핵심은 心에 있는 것이지, 六藝 자체에 있는 것이 아니다. 문제는 馬一浮에게 있어서 心은 어떤 心인가이다. 馬一浮는 陸王心學의 계승자이며, 馬一浮 스스로도 陸王을 존경한다고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六藝統攝一心’론을 연구하는 학자들은 馬一浮가 말하는 心의 의미가 무엇인지 명확한 설명을 하지 않았다. 馬一浮의 心은 다음과 같은 의미가 있다. 첫째, 도덕본심으로서의 惻隱之心. 둘째, 惻隱之心은 성인의 전유물이 아니라, 모든 사람이 가지고 있다. 이것이 心의 普遍性이다. 셋째, 心은 天地之心넷째, 心은 性이고 天이며, 太極이고, 理이다. 다섯째, 心統性情이란 心으로 하여금 情을 ‘거두어(혹은 쥐고)’ 體로 돌아가도록 해야 한다는 말이다. 즉 情이 心의 통제를 통해 體로 돌아가면 體用이 하나가 되고, 情은 仁心이 그대로 드러난 情이 된다. 이때가 바로 體用不二다. 이처럼 馬一浮 사상에서 心은 性이고 天이며, 太極이고, 理이다. 그의 心外無物·心外無性·心外無道는 모두 이를 바탕으로 나온 개념이며, 心統性情 또한 바로 이런 관점에서 이해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