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물실험 연구자의 정신적 스트레스에 관한 예비 연구

        모효정(HYOJUNG MO) 이화여자대학교 생명의료법연구소 2016 생명윤리정책연구 Vol.9 No.3

        동물실험을 실시하는 연구자는 실험동물을 보살피기도 하고 죽이기도 하는 모순된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게 되는데, 이러한 과정에서 다양한 정신적 스트레스가 발생할 수 있다. 동물에 대한 관심과 동정은 생명을 보호하려는 인간으로서의 당연한 특성이다. 따라서 연구에 이용되는 동물의 죽음에 대한 연구자의 슬픔이나 정신적인 스트레스의 발생은 놀라운 일이 아니다. 동물실험실에서 발생한 연구자의 스트레스는 동물 관리 및 실험 결과에 악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개인의 신체와 정서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실험동물의 연구와 관리의 특수성 및 동물실험실 연구자들의 스트레스 유형과 빈도를 살펴보았다. Ironically, researchers performing animal experiments will care for animals as well as sacrifice them at the same time, and a variety of mental stress can disturb the researchers during this process. The feeling of concern and compassion for animals is a natural feature of humanity. Thus, a researcher feeling grief and related mental stress following a laboratory animal’s death is not a surprising phenomenon. The stress generated in the laboratory would not only negatively affect the management of animals and the research results, but also would harm the researchers’ physical and mental health. In this article, we sought to investigate the uniqueness of laboratory animal management and experiment, and also to examine the type and generation frequency of psychological stress in animal laboratory researchers.

      • KCI등재

        정신장애인 당사자가 참여하는 정신보건사회복지론 수강이 대학생의 정신장애인에 대한 태도와 사회적 거리감 변화에 미치는 영향

        정숙희(Sookhee Jung)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2020 한국사회복지교육 Vol.50 No.-

        본 연구의 목적은 정신장애인 당사자가 참여하는 정신보건사회복지론 수강이 대학생의 정신장애인에 대한 태도와 사회적 거리감 변화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탐색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해 유사실험설계(Quasi-experimental design)를 통해 정신보건사회복지론 수강생 50명을 실험집단으로, 비수강생 42명을 비교집단으로 구성하여 수업을 진행하였고, 정신장애인 태도 척도와 사회적 거리감 척도를 사용하여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를 실시한 후 평균을 비교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정신보건사회복지론을 수강한 학생들이 비수강생들에 비해 정신장애인에 대한 태도의 모든 하위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긍정적으로 변화되었다. 정신보건사회복지론 수강 학생이 비수강학생에 비해 정신장애인의 태도 하위척도인 권위주의는 낮아졌고, 자비심은 높아졌으며, 사회생활 제한은 낮아졌고, 지역사회 정신보건개념은 높아졌다. 또한, 수강학생이 비수강학생에 비해 사회적 거리감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예비사회복지사들이 정신건강영역에서 일할 전문가로 성장하는 데 있어서 가져야 할 정신장애인에 대한 관점의 중요성을 설명하고 이에 대한 구체적인 방향에 대해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whether college students mental health in social welfare class affect the attitude towards people with mental illness and social distance. For this study, through the Quasi-experimental design, the 50 students of mental health and social welfare theory were organized into experimental groups and 42 non-students as comparative groups. Using the Community Attitude to the Mentally Ill Inventory (CAMI) and the Social Distance Scale(SDS), pre and post tests were conducted and average comparison was performed. Students who took the Mental Health in Social Welfare changed their attitude toward the people with mental illnes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compared to non-student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social distance of students in the clas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in non-students. Based on this, prospective social welfare firms explained the importance of the attitude toward the people with mental illness growing up as experts working in the mental health area and suggested specific directions on this.

      • 정신지체 특수학교 과학실험실 교구 및 운영 관련 실태조사

        박상희,김은화,권충훈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2011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Vol.4 No.2

        본 연구는 정신지체 특수학교의 과학실험실 교구 및 운영 관련 실태를 조사하기 위하여 전국 의 정신지체 특수학교의 과학부장 또는 과학교과 담당교사를 대상으로 실시된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는 전국의 94개 정신지체 특수학교를 대상으로 하였으나, 94개교 중 72개교만이 응답결 과가 회수되어 결론적으로 전국의 72개교 정신지체 특수학교의 총216명의 특수교사를 대상으 로 하였다. 각 학교에 비치되어 있는 과학 관련 교구 목록을 수집하여 2010년 개정 특수교육 교육과정 중 기본교육과정 과학과를 기준으로 하여 1차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관련 선행 연구 들을 고찰하여 작성된 질문지를 통하여 과학실 운영 및 과학 교수에서의 교구 사용과 관련된 특수교사의 의견을 수집한 자료는 빈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정신지체 특수학 교 과학실험실에 비치된 교구는 평균적으로 115개 정도이며, 이 교구를 영역별로 분석한 결과 물질 영역이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고 있었으며, 에너지, 지구, 생명 영역 순으로 나타났다. 둘 째, 정신지체 특수학교 과학실험실의 시설과 관련된 교사의 만족도 조사에서는 전체 72개교 중 34개교에만 실험실습실이 마련되어 있었으며, 전기시설과 수도 및 배수 시설 등의 만족도가 다 소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과학교수에서 교구 사용에 대한 교사 의견 조사에서는 과 학과 에너지 영역의 교수에서 과학교구를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신지체 학 생들을 대상으로 주로 사용하는 교수 방법으로는 시청각 교수나 실험 및 실습 위주의 교수를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김상옥 시조의 전통성과 시대정신

        이순희(Lee Soon-Hee) 한국시조학회 2011 시조학논총 Vol.34 No.-

        본고는 초정 김상옥 시인의 시조를 대상으로 작품 속에 내재된 전통성과 초기, 중기, 후기를 거치면서 그의 시조가 보여주었던 시대정신을 규명(糾明)하는데 목적을 두고자 한다. 그는 우리의 민족시(民族詩)인 시조 속에 끊임없이 민족적 전통성을 불어넣었고 시대상황을 반영한 실험을 거듭하면서 그 형태와 내용을 변모시켰다. 그러한 과정을 밝히는 것은 국제화, 세계화 시대인 오늘날 한국시(韓國詩)가 세계무대에서 위상을 높이기 위해 갖추어야 할 자세와 지향점이 무엇인지를 찾을 수 있는 단초(端初)가 된다는 점에서 나름의 의의를 지닌다. 초정 김상옥 시인은 일제강점기와 민족의 비극인 6ㆍ25 사변을 거쳐 경제 부흥기, 민주화운동에 이르기까지 민족의 격동기를 살아오면서 전통적 소재인 한국의 자연물, 한국의 유적ㆍ유물 등을 향토어와 시조의 전통적 율격으로 잘 조탁하여 전통적 서정성과 더불어 선비정신을 불어넣음으로써 우리 민족의 얼인 전통성을 그의 작품 속에서 되살려 내어 민족성을 고양(高揚)시켰다. 초정 김상옥이 일본의 감시 속에서 주로 소재로 선택한 것은 한국의 자연물과 민족의 얼이 담긴 유적과 유물이었는데 특히 애정을 가졌던 것은 자기(磁器)였으며 그 자기(磁器)의 당당함에는 선비정신이 담겨 있다. 초기, 중기, 후기에 걸쳐 전통적 소재와 일체가 되거나 객관적 입장에서 시적 자아의 정서를 표출하는 전통적 서정성을 작품에 담았으며 향토어, 조어(造語)를 사용하여 전통적 서정성을 고조(高調)시켰다. 마지막으로 형식면에서 그는 초기, 중기, 후기에 걸쳐 시조의 형식적 실험을 거듭 했지만 그 구심점은 언제나 전통적 율격에 두었다. 전통성을 고수하면서 열린 시 형식으로 시대정신을 담으면서 변모를 추구했는데 초기 시조집 초적에서 초정 김상옥은 그리움이 대부분인 제한된 소재 선택, 회화적 이미지 기법, 정형화된 율격을 보여주어 민족혼을 일깨우는 방법으로 ‘국권회복운동’이라는 시대정신을 드러냈다. 중기 시조인 삼행시육십오편에서는 소재선택의 확장, 추상적 이미지 선택, 형식 실험을 통한 삼행시라는 넓은 의미의 시조 형식을 제시함으로써 복잡다단한 시대정신을 담았으며 ‘산업화’라는 시대상황의 뒤안길에서 잘못 생성된 전통적 가치의 붕괴는 작품을 통해 바로잡고자 했던 민족애가 그의 시대정신이었다. 후기 시조느티나무의 말에서 초정 김상옥은 관조적 이미지 추구를 위해 탈의미적으로 소재를 인식하고 선택했으며 형식면에서 다양한 형태미학을 추구했다. ‘민주화운동’ 과 ‘무원칙 다변화’의 시대사상을 초월적ㆍ관조적 세계로 바라봄으로써 시대상황에 대한 공감이나 반발을 뛰어넘어 이 두 가지를 한꺼번에 수용하고 녹여내어 한 시대가 올바른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는 인식태도를 우회적(迂廻的)으로 제시하여 그의 시대정신을 표출했다. 초정 김상옥은 격동기의 한국 역사를 겪어오면서 그의 작품 세계를 통해 때로는 시대정신에 공감하기도 하고 때로는 반발, 포용하기도 했다. 아무튼 그러한 자세(姿勢) 모두가 그 시대를 살아가가면서 그가 민족애를 위해 취할 수 있는 최선의 시대 반응이었다. 초정 김상옥이 우리의 민족시 시조를 통해 전통성(傳統性)과 시대정신(時代精神)에 따른 현대성(現代性)을 동시에 추구한 것은 시대의 변화 속에서 우리 민족의 정수(精髓)를 지키면서 유연하게 시조를 발전시키기 위한 방안이었다. The purpose of this writing is to explore by dividing the national traditionality, and the spirit of the times, which were reflected in line with the changing period, into the early days, the middle years, and the late period, which are buried in the foundation of《Chojeok》,《Samhaengsiyuksipopyeon(三行詩六十五篇)》,《Zelkova's Word》, which are the sijo collection in the poet Chojeong Kim Sang-ok. The poet Chojeong Kim Sang-ok had transfigured with reflecting the spirit of the times in the middle of continuously following the national traditionality amid his works in the period that the national traditionality could have been lost at the slightest slip while passing through the Japanese colonial rule and the repeated historical turbulent era since then. As a result, with reaching today that is the era of internationalization and globalization, sijo established stature available for standing for national poem. Through the repeated experiment in a form and content, it suggested possibility of sijo that modern sijo poets, who proceed with living in modern times and who may appear in the future, can approach in diverse forms. Based on it, the foothold was arranged that can go on the world stage fairly as the national poem that satisfies traditionality and modernity at the same time and has universality and identity.

      • KCI등재

        시인의 실험정신과 조선족공동체에 대한 시적 형상화

        김정영,김호웅 한중인문학회 2017 한중인문학연구 Vol.55 No.-

        석화는 조선족문단의 중견시인이다. 그는 새로운 역사시기 벽두부터 뛰어난 총명과 슬기, 남다른 실험정신을 가지고 새로운 시적 주체로의 거듭나기를 시도했으며 조선족의 역사와 현실 그리고 미래에 대한 시적 형상화를 통해 민족적 정체성의 문제를 깊이 있게 다루었다. 2000년대에 들어와서는 연변이라는 30여 수의 연작시를 통해 연변의 풍토와 인정, 연변의특성과 정체성의 갈등 및 다원공존의 사상을 시적으로 형상화함으로써 연변의 대표적인 시인으로 떠올랐다. 특히 석화시인은 동서양 문학과 예술을 아우르는 풍부한 지식과 시적 소양을바탕으로 용전과 패러디의 미학을 창출함으로써 경계지대에 살고 있는 조선족시인의 이중적문화신분의 우세와 강세를 유감없이 보여주고 조선족시문학의 지평을 넓히는데, 중국 내지 한반도의 문학과 대등한 대화를 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는데 기여했다. Seak Hwa is a poet with backbone force in Korean-Chinese literary world. On the strength of his intelligence and unique experimental spirit, he has led new subjects of poems since the new historical period and discussed the identity of Korean-Chinese by the means of picturesque account of the ethnic group’s history, reality as well as its future. Seak Hwa, a representative poet of Yanbian area in the 21th century, is famous for his work“Yanbian”. It is a collection of more than 30 verses that vividly shows the customs, features, overall conflicts and multicultural thoughts of the ethnic group. Combining the culture and arts from eastern and western world, Seak Hwa has created the imitative and combinative aesthetics based on his abundant and accomplished knowledge upon poetry. Furthermore, to his advantages of dual cultural status, who has been living in the outpost area of China,hehas also broadened the fields of Korean-Chinese literature, which can provide an equal opportunity for cultural exchange between Mainland ChinaandKoreanPeninsula.

      • KCI등재

        대안교육과 학교기획: 그 실험정신의 구현

        손종현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9 교육문화연구 Vol.25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newly conceptualize alternative education and school planning, and devise the principles of school system operation, which realizes their experimental mind. First, it discussed about the basic premise and educational principles of alternative education, and the experimental mind of alternative education. Here, the alternative school and its faculty argued that the ‘guarantee of educational validity’ in educational ideology and methodology must be questioned over and over. Next, it attempted to newly conceptualize the idea of alternative education, characteristic, school planning, faculty, and educational power of alternative school. With the intention to discuss about the operation of alternative school system based on the conceptual awareness of alternative education and school planning, it established the basic principles of school operation, as well as the practice regulation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educational power structure of alternative school. Discussion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alternative schools can reflect its nature and plan schooling creatively. Through this, it can devise a framework that converts abnormality in the existence of previous school education to normal. School planning in alternative school focuses on autonomous operation based on the philosophy of alternative education, within the range that doesn’t violate student selection – curriculum operation – graduation condition, and the Education Act. Autonomy in curriculum is its core value. Alternative schools are evaluated for their faithfulness, ‘process of education’ and relevance of result as schooling system by a public evaluation organization, as long as they are public schools. In this case, the evaluation is on whether they demonstrate the autonomy of educational planning and yield educational power. ‘School’s educational power structure’ consists of faculty’s educational enterprising ability, school’s administrative support ability, and internal evaluation mechanism that leads public and open institutionalization. 이 연구의 목적은 대안교육과 학교기획에 대해 새롭게 개념화 하고, 그것의 실험정신을 구현하는 학교체제 운영의원리를 구안하려는 것이다. 먼저, 대안교육의 기본 전제와 교육원리가 무엇인지에 대해, 그리고 대안교육의 실험정신에대해 논의하고자 했다. 여기서 대안학교와 그 교사는 교육이념과 방법론이 ‘교육적 타당성을 보증하고 있는가’를거듭 질문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다음에 대안교육의 이념, 대안학교의 성격, 학교기획, 교원, 교육력에 대해 새롭게개념화하고자 했다. 대안교육과 학교기획에 대한 개념적 인식에 바탕하여 대안학교 체제를 어떻게 운영할 것인가에대해 논의하는 바, 그 학교 운영의 기본 원리를 설정하였고, 대안학교 교육력 구조의 작동과 연관된 실행 준칙을설정하였다. 논의의 내용을 간단히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대안학교는 자신의 성격을 반영하여 독창적으로 학교기획에나설 수 있다. 이를 통해 기존 학교교육의 존재방식의 비정상을 정상으로 전환하는 틀을 구안할 수 있다. 대안학교의학교기획은 학생 선발 – 교육과정 운영 – 졸업의 요건을, 교육법을 어기지 않는 범위 내에서, 대안교육의 철학하기에기초하여 자율적으로 운영하는 데에 집중한다. 자신의 설립이념과 그에 따른 교육과정 자율이 핵심 가치임은 물론이다. 대안학교도 공적 학교인 한 공적 평가기구에 의해 학교교육체제로서의 충실성, ‘교육의 과정’과 결과의 적절성에대해 평가를 받는다. 이 경우 평가는 교육기획의 자율성을 발휘하여 교육력을 산출하고 있는가에 대한 것이다. ‘학교의교육력 구조’는 교사의 교육기획력, 학교의 지원행정력, 공개와 개방의 제도화를 이끄는 내부 평가기제로 구성된다.

      • KCI등재

        지역사회 노인의 정신건강 향상을 위한 웃음치료 프로그램의 효과연구

        김정애,이은희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2012 한국가족복지학 Vol.1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a laughter therapy program on the mental health of the elderly.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of the mental health of the elderly and the effect of laughter on them, a laughter therapy program was designed and implemented. To test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his study employed a 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design. A total of 20 senior citizens, who use frequently K or D senior citizen's centers that are located in K city, completed the program. 10 senior citizens were in the experimental group, whereas 10 of them belonged to the control group. The program consisted of a total of 8 sessions, each of which ran for 60 minutes, and twice a week.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was measured by a qualitative method based on a tape recording and a quantitative method using the t-test. The results show that the laughter therapy program was verified to have an effect on senior citizens' mental health. Therefore, the laughter therapy program can be applied as a mental health improvement program for senior citizens.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as well as the application of the study results and recommendations for additional exploratory research. 본 연구는 웃음치료프로그램이 노인들의 정신건강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은 K시에 소재한 K경로당과 D경로당을 이용하는 노인들로 각 경로당별로 10명의 노인들을 무작위로 추출하여 두 경로당 소속의 노인들에 대한 동질성 검사를 실시한 후, 동질성을 확인하고, 무작위로 K경로당 노인들을 실험집단으로, 그리고 D경로당 노인들을 통제집단으로 설정하여 연구를 실시하였다. 실험집단은 주 2회 60분씩 8회기 동안 웃음치료프로그램을 실시하였으며, 통제집단은 별도의 처치를 하지 않았다. 연구설계는 전후시험통제집단 설계를 이용하였다. 자료분석은 먼저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속성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빈도 및 백분율을 산출하였으며,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동질성 여부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독립표본 t-test를 실시하였다. 정신건강에 대한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먼저 사전검사와 사후검사 간 대응표본 t-test를 실시하였으며, 프로그램의 순수개입효과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사후검사점수에서 사전검사점수를 뺀 새로운 변수를 생성하여 독립표본 t-test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웃음치료프로그램은 노인의 정신건강을 향상시키는데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경로당이나 노인복지관과 같은 노인 복지시설을 통하여 웃음치료프로그램을 실시할 시 유의점 및 본 연구의 한계와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L’expérimentation en traductologie

        Franck BARBIN 프랑스문화예술학회 2011 프랑스문화예술연구 Vol.35 No.-

        번역가는 의미 생성과정을 이해하기 위해 탁월한 소재를 구축한다. 늘어나는 실험 횟수는 번역 작업(언어적 표출의 공식의례, 시선 감지 카메라 시스템, 사진 촬영 기술)이 이루어지는 동안 실행되는 인지과정에 깊이 관여된다. 이러한 여러 가지 기술들을 통해 우리가 어떤 텍스트를 번역하는 방법을 점차 다듬어 갈 수 있게 된다. 특히 그 기술들은 우리들의 정신적 표상과 삽화의 이미지 기억 장치에 의해 작용된 역할을 명확하게 해준다. 이와 같은 사실은 읽기와 번역의 임무가 부분적으로 다른 두뇌 작용을 일으키며 의미론적인 체계가 번역과정에서 부분적으로 정지된다는 것을 염두에 둘 필요가 있다. 이러한 결과들은 번역 해석 이론과 일치하게 된다. 번역가는 지시된 실재에 대한 정신적 이미지를 만들어 의미하고자 하는 바에 초점을 맞추기 위해 원문에서 사용된 언어학적 기호들로부터 벗어나게 된다. 신경과학의 발달로 인해 우리는 이제 정신적 이미지가 비물질적인 의미에서 쓰인 비언적 표출에 해당되는 게 아니라 오히려 정신 활동, 더 정확히 말하자면 각 개인의 대뇌 피질 안에서 일어나는 표상에 해당된다고 말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번역학은 정신적 표상의 개념에 대한 인지과학과 조우하게 된다.

      • KCI등재

        영화 보헤미안 랩소디의 상품성 폭발에 관한 연구 : 비정도시를 살아가는 비경제적 가치의 갈증과 헤테로토피아 장소성 실험을 중심으로

        김소희(Kim, sohee) 한국상품학회 2020 商品學硏究 Vol.38 No.1

        최근 영화 보헤미안 랩소디는 상품성의 폭발을 넘어서서 문화의 폭발을 낳고 있다. 퀸의 라이드 공연이 재현되는 싱어롱 영화관은 비정도시로부터 탈출의 해방구이다. 싱어롱 영화관이라는 헤테로토피아의 장소성은 관객에게 오랜 동안 유폐된 감성과 열정으로부터 함께하는 공동의 꿈과 환상성에 열광하도록 매혹한다. 특히 퀸의 리드싱어인 프레디 머큐리의 퍼포먼스와 테크놀러지 이미지의 복합적인 스펙터클 장치는 관객에게 다감각적인 디오니소스의 유희성으로 초대한다. 이러한 장소성의 실험은 관객에게 타자 속에서 함께 태어나는 운명의 공동체성에서 감응하고, 서로의 잠재력을 촉발한다. 무엇보다도 퀸 그룹의 효과는 호모 루덴스의 유희정신을 촉발하는 감각파장을 전세계적으로 지속하고 확장하는 데 있다. 퀸의 문화적 실험은 우리에게 전혀 다른 감수성과 감각으로 존재방식을 근본적으로 뒤흔드는 충격에 초점이 있다. 즉 잠재력을 회복하는 디오니소스의 힘은 집단적 흥분으로 문명화와 진보의 이름의 행해진 타협된 불균형을 복구하는 것이다. 이러할 때 관객은 시대적 산책자로서, 경계의 산책자로서, 몽상가로서, 시대를 횡단하여 숨쉴 수 있는 문화의 여과장치의 가동으로 새롭게 환기하고 감응할 수 있다. 포스트 모던 사회에서 보헤미안 랩소디의 상품성 폭발은 바로 퀸이 선구자로서 실험한 문화적 감수성의 혁명 즉 비정도시에서 소진된 관객이 상실된 비경제적 가치의 갈증과 추구라는 반전의 문화코드를 제대로 읽어내는 것이다. The latest film Bohemian Rhapsody has been bringing about the explosion of culture beyond the explosion of marketability. The sing-along theater reproducing the live performance of Queen is the exodus and outlet from the heartless city. The placeness of heterotopia that is the ‘sing-along theater’ attracts the audience to be enthusiastic by the common dream and fantasy out of their emotion and passion which are hidden for a long time. In particular, the performance by Freddie Mercury, the lead singer of Queen, and the composite spectacular devices of the technology image guide the audience to the multi-sensual playfulness of Dionysos. Such placeness experiment makes the audience respond as the community spirit of fate created together among others and provoke each one’s potentials. Most of all, the effect of the band Queen is the expansion of wavelength of sense continuously provoking the playfulness spirit of homo ludens all over the world. The gist of cultural experiment of Queen is the impact fundamentally shaking the way of existing by totally different sensibility and sense. In other words, the power of Dionysus restoring the potentials is to restore the unbalance compromised in the name of civilization and progress as the collective excitement. At this point, the audience can awaken themselves and be newly inspired through the cultural filter which makes them breathe throughout the times as the stroller of the times and on the border and as the dreamer. The explosion of marketability of Bohemian Rhapsody in the post-modern society is that the audience exhausted in the heartless city properly recognizes the cultural code of reversal, thirst and pursuit for uneconomical value, in other words, the revolution of cultural sensibility experimented by Queen as the pioneer.

      • KCI등재

        이선관 시에 나타난 인간 비판과 모더니즘적 경향

        문흥술(Moon Heung-Sul) 韓國批評文學會 2012 批評文學 Vol.- No.43

        13권의 시집을 남긴 마산의 대표시인이자 후천적 뇌성마비 시인인 이선관(1942~2005)에 대한 평가는 주로 현실참여적인 측면에 치중되어왔다. 그의 시가 환경문제를 누구보다 앞서 전면적으로 다루었다는 점, 남북통일을 간절하게 기원했다는 점, 부패한 정권을 신랄하게 비판했다는 점 등을 염두에 둘 때, 기존의 그러한 평가는 정당하다. 그러나 본고는 현실참여적인 측면을 강조하다 보면 그의 시 세계의 중요한 한 측면을 놓칠 수 있다는 문제의식 하에 그의 초기시에 나타나는 또 다른 특질에 주목하였다. 그의 초기시는 장애인이라는 개인적 한계 상황을 극복하고 그 상황을 순수한 인간 존재와 현대 도시 속의 인간 소외라는 주제로 확장, 심화시키고 있다. 이러한 그의 초기시는 다음 두 가지 측면에서 중요한 의미를 띠고 있다. 먼저, 한국시사의 흐름과 관련해 볼 때, 순수와 참여 중심으로 이루어진 1970년대 한국 시단에서 이선관은 순수한 인간존재를 지향하는 작품과 모더니즘 계열에 해당하는 작품을 발표함으로써, 후기의 현실참여시와는 다른 측면에서 나름의 시사적 위치를 확보하고 있다는 점이다. 다음, 이선관 개인의 시적 흐름과 관련해 볼 때, 세 번째 시집부터 나타나는 현실비판적인 시에서 초기의 인간 비판과 모더니즘 정신은 새로운 형식 실험과 풍자 정신으로 질적 변용을 일으키고 있다는 점이다. 그의 현실비판시 중시적 긴장감과 감응력을 확보하고 있는 것은 이러한 인간 비판과 모더니즘적 실험 정신이 저변에 깔려 있는 작품인 것으로 판단된다. 후기에 이르러 그러한 실험정신이 탈각되면서 그의 시는 편내용중심적인 현실비판시로 변모한다. Lee Sun Gwan(1942~2005) is a representative poet in Masan and a poet with cerebral palsy. He has published 13 collections of poems. His poetry mostly has criticized the social reality; for example, environmental problem, unification of North and South Korea, criticism on dictatorship. For this reason, Many critics have evaluated his poetry from such a perspectives. But this manuscript has paid attention to another characteristic on his poetry. Lee's Early poetry has treated a critical situation about disabled person. Then, his poetry has changed personal situation into the topic on the pure human existence and the human alienation in the modern city. This criticism of human and the beginning of Modernism have formed the core of his Early poetry. And the two elements have changed a new experiments in the form and the spirit of satire in poetry of participation. The poetry that connotes this elements is the most typical one of his poetry of participation. His poetry of participation that this elements is not connoted has been degraded to all subst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