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0대 여성의 실제체형, 지각체형, 타인평가체형, 이상체형에 따른 체형만족도

        김덕하(Deuk Ha Kim),김경화(Kyoung Hwa Kim)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0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6 No.2

        본 연구는 20대 성인여성을 대상으로 BMI에 의해 판정한 실제체형과 체형인지 요인에 해당하는 지각체형, 타인평가체형, 이상체형에 대한 전반적인 관계를 분석하고, 체형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유효변수에 대해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는 심리학적 측면에서 객관적인 실제체형과 주관적 체형인식에 대한 차이,관계를 밝힘으로써 개인의 체형에 대해 바른 인식을 형성하는데 도움이 되는 실태정보를 제공하며, 마케팅적 측면에서 소비자의 의복관련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체형인식에 대한 심리적 특성에 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범위는 체형 중 형태적인 요인은 제외하고 크기요인에 해당하는 신체비만도로 한정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20대 성인여성을 대상으로 2009년 3월부터 5월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 260부의 자료를 회수하였으며, SPSS 16.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Paired t-test, ANOVA, χ²-test를 시행하였다. 실제체형 집단(저체중, 정상체중, 비만)별로 실제와 이상치수 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모든 집단에서 키는 더 크기를 희망하였으며 몸무게는 정상체중, 비만 집단에서 현재보다 적게 나가기를 희망하였다. 지각체형, 타인평가체형, 이상체형에 따라 실제 신체치수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한 결과, 비만체형이라고 자신을 지각하거나 타인으로부터 평가를 듣는 집단은 다른 집단에 비해 키가 작고 몸무게가 많이 나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상체형을 형성하는 데에는 실제 키와 몸무게가 크게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체형, 지각체형, 타인평가체형, 이상체형은 서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타인평가체형은 지각체형, 이상체형에 비해 실제 신체 크기 등 외형적 기준에 준하여 평가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지각체형은 실제체형에 비해 뚱뚱한 것으로 왜곡되는 경향이 있으며, 이상체형은 실제 신체의 치수보다는 개인의 주관적인 기준에 의해 형성되는 경향으로 분석되었다. 이상체형이 마른 체형이라고 응답한 집단은 실제 정상체중인 경우가 가장 많이 속해 있었으며, 자신을 보통체형이라고 지각하고 있고, 타인도 보통체형이라고 평가하는 경우가 많았으나, 오히려 체형만족도는 불만족해하는 성향을 나타냈다. 이상체형이 보통체형이라고 응답한 집단은 실제 저체중인 경우가 가장 많이 속해 있었으며, 스스로 말랐다고 지각하고, 타인들로부터 말랐다고 평가를 듣는 경우가 많았으며 체형에 대해 만족해하는 성향을 나타냈다. 비만체형이 이상체형이라고 응답한 집단은 실제보다 과체중으로 왜곡된 자신의 지각체형을 형성하며, 타인의 평가도 실제보다 과체중으로 평가하는 경향이 있었다. 또한 다른 집단에 비해 지각체형, 타인평가체형이 실제체형보다는 이상체형과 일치도가 높은 것이 특징이며 체형만족도는 보통이라고 평가하였다. 즉, 실제 저체중에 속하며 이상체형에 비해 지각체형, 타인평가체형이 마른 경우 체형만족도가 높으며, 실제 정상체중에 속하거나 비만하며 이상체형에 비해 지각체형과 타인평가체형이 뚱뚱한 경우 신체만족도가 낮다. 이는 지각체형, 타인평가체형과 이상체형 간의 불일치 방향이 신체만족도 평가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인임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of Real Somatotype on BMI and Perceived Somatotype, Appreciated Somatotype by other People, Ideal Somatotype as factors of Somatotype in subjects of 20`s women, and the significant variables exerted influence on Satisfaction of Somatotype.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use results from relation between the real Somatotype and the Somatotype realized subjectively as basic information for personal proper recognition of own body, and also to give fashion company to understand consumer`s behavior. The range of research was limited on the degree of obesity of dimension except structural factor. The subjects for the study were 260 women aged in 20`s distributed from March, 2009 to May, 2009 as questionnaires method. Data analyses were conducted with SPSS 16.0 program on frequency, Paired t-test, ANOVA, X(2)-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n objective Real Somatotype groups (underweight/normalweight/overweight), all the groups wished to be taller, the normalweight group and the overweight group wanted to lose weight. The groups understanding themselves as obesity body and considering others were shorter and heavier than other groups according to groups such as Perceived Somatotype, Appreciated Somatotype, and Ideal Somatotype. However the factors such as real height and weight were less connected for the ideal Somatotype. There were associated with Real Somatotype, Perceived Somatotype, Appreciated Somatotype by other People, and Ideal Somatotype. And Appreciated Somatotype by other People was relatively recognized with ostensible criteria than Perceived Somatotype and Ideal Somatotype. Perceived Somatotype tended to be distorted in comparision with Real Somatotype, and Ideal Somatotype was showed to form in proportion of subjective standard of body rather than Real body type. Normalweight group had tendency to reply the lean body as Ideal Somatotype, who responded themselves to normal-weight but showed dissatisfaction with their body. The underweight group were recognized themselves under-weight and to reply normal body as Ideal Somatotype. The people in this group had a tendency to be told to be lean by others and satisfaction with their body. The overweight group, who told Obese body as ideal Somatotype, had distorted perception on their body and tended to accept others opinion on body as overweight. And differently from other groups, this group showed to Real Somatotype having less different with Ideal Somatotype than Perceived, Appreciated Somatotype by other People. This had average satisfaction with their body. In short, the people who were under-weight and recognized Perceived Somatotype, Appreciated Somatotype by other People to be leaner than Ideal Somatotype had a tendency to significantly higher satisfaction with their body, and the people who were normal-weight or over-weight and recognized Perceived Somatotype, Appreciated Somatotype by other People to be obeser than Ideal Somatotype had a tendency to significantly lower satisfaction with their body. This showed that the discordance direction among Perceived Somatotype, Appreciated Somatotype by other People, and Ideal Somatotype would effect on satisfaction with their body.

      • KCI등재

        고령여성의 실제체형과 인식체형 비교-70-85세 여성을 중심으로-

        차수정 한국기초조형학회 2018 기초조형학연구 Vol.19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cognition body shapeand the actual body shape of old-old age women. It was to provide basic data to help make thebody shape correctly.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actual body type and the recognition type,it was analyzed as two similar types and three different types. Both the actual body type 'applehip obesity type' and recognition body type 'swollen cylinder type' appeared to be obese. Next,the actual body shape of 'wide shoulder thin leg body shape' and the recognition body shape'backward bent body with slender legs' had a common feature that the legs are thin body shape. Among the opposite types, the 'shoulder-slender body shape' of the actual body shape and the'bent body with protruding abdomen' of the recognizable body shape are all of theshoulder-sagittal body shape, but the actual body shape is thin and thin body and theabdominal part is protruded. The actual body type 'short-body sag-hip' and the recognizablebody type 'triangle' were similar in that the hips and lower body were developed and the backwas bent. However, the actual body type had the hips and the normal body, whereas therecognition body type had the abdomen The protruded features were shown. The body shape ofthe long body and the 'inverted triangular body' of the recognition body were the opposite typesof body shape. The actual body shape had a slender body while the recognition body type hadthe highest BMI index and was obese. The actual body shape was classified according to theactual body dimensions based on the sagging of the buttocks, the development of the upperbody and lower body, the length of the limbs, the anterior center length, and the angle of theshoulders. However, in the case of the recognition type, the body shape was classified accordingto the visually recognizable characteristics such as the abdomen protrusion, the chest flexion andsize, the hip size, and the waist bend. In the case of elderly women, there is a differencebetween the actual body type and the recognition body type, so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clothing pattern and design development that will cover the disadvantages of the older femalebody shape and improve the satisfaction of old-old age women. 본 연구는 고령여성 스스로가 인식하고 있는 체형과 실제 신체치수를 분석한 체형을 비교하여 그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고령여성의 실제체형과 인식체형에서 발생하는 실제와 인식의 차이를 알아봄으로써 고령여성이체형에 대해 바른 인식을 형성하는데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고령여성의 실제체형과 인식체형 간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유사한 2유형과 상반된 3유형으로 분석되었다. 실제체형의 ‘애플엉덩이 비만 체형’과 인식체형의 ‘볼록한 원기둥 체형’은 모두 뚱뚱한 체형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실제체형의 ‘넓은 어깨 날씬 다리 체형’과 인식체형의 ‘새다리 젖힌 체형’은 다리가 가는 체형이라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었다. 상반된 유형 중 실제체형의 ‘처진 어깨 마른 체형’과 인식체형의 ‘복부 돌출 숙인 체형’은 모두 어깨가 처진 체형이지만 실제체형은 몸통이 날씬하고 마른 체형이고 인식체형은 복부가 돌출되어 있었다. 실제체형의 ‘짧은 몸통 처진 엉덩이 체형’과 인식체형의 ‘삼각형 체형’은 엉덩이와 하체가 발달되어 있고 등이 굽어 있다는 점에서 유사해보였으나 실제체형은 엉덩이가 처지고 보통 정도의 몸통을 가진 반면, 인식체형은 복부가 돌출된 특징을 나타냈다. 실제체형의 ‘긴 팔다리 날씬 체형’과 인식체형의 ‘역삼각형 체형’은 서로 상반된 특징을 나타내는 체형으로 실제체형은 날씬한 몸통을 가지고 있는 반면, 인식체형은 BMI지수가 가장 높아 비만하였다. 실제체형의 경우 실제 신체치수를 기준으로 분석하여 엉덩이의 처짐, 상체 및 하체의 발달, 팔다리길이,앞중심길이, 어깨의 각도 등에 의해 체형이 분류되었으나 인식체형의 경우에는 복부의 돌출, 가슴의 처짐 및 크기, 엉덩이의 크기, 등과 허리의 굽음 등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특징에 따라 체형이 분류되어 차이를 나타냈다. 고령여성의 경우 실제체형과 인식체형 사이에서 차이가 발생하였으므로 고령여성 체형의 단점을 커버하고 고령여성의 만족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고령여성용 의복패턴 및 디자인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노년남성의 실제체형과 인식체형 비교

        차수정 한국기초조형학회 2019 기초조형학연구 Vol.20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difference of recognition and actual body shape among old aged males. Through this, I tried to help the elderly men form a right perception of body shape. Als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necessary for the development of silver clothing products through information about actual body shape and body shape recognized by old aged males. The actual body shape was analyzed by SPSS 24.0 program using Size Korea 2014 elderly person 3D shape measurement survey data. And recognition body types were analyzed by QUANL pc program using Q methodology. The actual body shape and recognition body shape of old aged males were analyzed with two similar body shapes and two opposing body shapes.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the body shape of the actual body size analyzed and the body shape of the old aged males whom their perceived. The similar body shape were 'short inverted triangle body shape' of the actual body shape and the 'turtle neck abdomen protruding obesity body' of the recognition body shape appeared to have thin legs. This was a body shape common to women and men in old age. As age increases, arms and legs become thinner. The 'long inverted triangle figure' of the actual body type and the 'thick necked upper body development type' of the recognition body were classified into the upper body developed form than the lower body. In the case of actual body type, body type wa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actual body dimensions by the sagging of the hips, shoulder deflection, body horizontal, body vertical, body vertical length, shoulder length, and shoulder angle. However, in the case of the perception body shape, the body shape wa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visual characteristics such as the degree of bending of the back, the degree of abdomen protrusion, the chest circumference, the waist circumference, the hip circumference, the thickness of the leg. In the case of old aged male, it is necessary to be able to match the actual body shape with the recognition body shape by developing clothing patterns and designs that cover the disadvantages of the older man's body shape and can be seen more ideal. 본 연구는 노년남성이 스스로 인식하는 체형과 실제 노년남성의 신체치수를 분석한 체형을 비교하여 그 차이를알아보고자 하였다. 노년남성의 실제체형과 인식체형에서 발생하는 실제와 인식의 차이를 알아봄으로써 노년남성이 체형에 대해 바른 인식을 형성하도록 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또한, 노년남성이 인식하는 체형에 대한 이미지와 실제 체형에 대한 정보를 통해 실버의류제품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실제체형은 Size Korea 2014년 고령자 3차원 인체형상측정조사 데이터를 SPSS 24.0 program을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인식체형은 Q방법론을 사용하여 QUANL pc program으로 분석하였다. 노년남성의 실제체형과 인식체형은 2개의 유사한 체형과 2개의 상반된 체형으로 분석되었으며, 실제 신체치수를 분석한 체형과 본인이 인식하고 있는 노년남성의 체형 간에는 차이를 나타냈다. 유사한 체형은 실제체형의‘짧은 역삼각형 체형’과 인식체형의 ‘거북목 복부돌출 비만 체형’은 모두 몸에 비해 다리가 가는 체형으로 나타났다. 이는 노년기 여성과 남성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체형으로 연령이 증가할수록 팔과 다리가 가늘어지는현상이 나타난다. 실제체형의 ‘긴 역삼각형 체형’과 인식체형의 ‘굵은 목 상체 발달 체형’은 하반신보다 상반신이 발달된 체형으로 분석되었다. 실제체형의 경우 실제 신체치수를 기준으로 분석하여 엉덩이처짐, 어깨처짐, 신체수평, 신체수직, 몸통수직길이, 어깨길이, 어깨각도 등에 의해 체형이 분류되었으나 인식체형의 경우에는 등의 굽은 정도, 복부의 돌출정도, 가슴둘레, 허리둘레, 엉덩이둘레의 차이, 다리의 굵기, 몸의 납작하고 두꺼운 형태 등 시각적으로 보여 지는 특징들에 따라 체형이 분류되어 차이를 나타냈다. 노년남성의 경우 실제체형과 인식체형 사이에 차이가 발생하였으므로 노년남성 체형의 단점을 커버하고 좀 더 이상적으로 보일 수 있는 의복패턴 및 디자인 개발을 통하여 실제체형과 인식체형이 일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중년여성의 실제체형과 인식체형 비교 -40~59세 여성을 중심으로-

        차수정 한국기초조형학회 2017 기초조형학연구 Vol.18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cognition body shape and the actual body shape of middle-aged women. It was to provide basic data to help make the body shape correctly.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actual body type and the recognition type, it was analyzed as a similar type. The actual body type ‘Y cylinder type’ and recognition body type ‘upper body obesity inverted triangle type’ showed the highest BMI index, and the lower body and leg related items had poor body shape. But the actual body type has a large shoulder-related item and the recognition body type was analyzed as upper body obesity with a big chest. Next, the ‘thin reverse ladder type’ was analyzed for both the actual body type and the recognition body type. It was classified as the smallest height type, the lower body was poor and the upper body was developed. Third, the ‘slim hourglass type’ of the actual body shape and the ‘flat rectangular type’ of the recognition body shape are the tallest and the thin body. The actual body shape was the thinnest at the waist, and the recognizable body shape was classified as a flat body shape with little difference between the chest circumference, waist circumference, and hip circumference. Finally, the ‘thick ladder body’ of the actual body type and the ‘elastic loss ladder type’ of the recognition body showed a ladder shape with the largest hip circumference and the largest item of the leg related item. However, the recognizers showed the characteristic that the belly protruded and the chest and hips were hang down. In this study,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actual body shape and recognition body shape. They are aware of their body shape and they are well aware of their physical chang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clothing pattern and design development so that it can be seen as the ideal body shape considering the actual body shape and the recognition body shape of the middle-aged women. 본 연구는 중년여성이 인식하고 있는 자신의 체형과 실제체형을 비교하여 그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자신의 체형에 대해 바른 인식을 형성하는데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실제체형과 인식체형 간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유사한 유형으로 분석되었다. 실제체형의 ‘Y형 볼록원기둥체형’과 인식체형의 ‘상체비만 역삼각형 체형’은 가장 BMI지수가 높은 유형으로 하체와 다리 관련항목은 빈약한 체형을 나타냈다. 그러나 실제체형은 어깨관련 항목이 가장 크고, 인식체형은 가슴이 큰 상체 비만체형으로 분석되었다. 다음으로 실제체형과 인식체형 모두 ‘마른 역사다리체형’이 분석되었다. 키가 가장 작은 체형으로 하체가 빈약하고 상체가 발달된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세 번째로, 실제체형의 ‘긴 모래시계체형’과 인식체형의 ‘납작 직사각형 체형’은 가장 키가 크고 몸통의 두께가 얇은 체형으로 실제체형은 허리가 가장 가늘고 가슴둘레와 엉덩이둘레가 비슷하여 허리가 잘록한 체형으로 분석되었으나 인식체형은 가슴둘레, 허리둘레, 엉덩이둘레의 차이가 크지 않은 밋밋한 체형으로 분류되어 차이를 나타냈다. 마지막으로 실제체형의 ‘굵은 사다리체형’과 인식체형의 ‘탄력상실 사다리체형’은 엉덩이둘레가 크고 다리관련항목이 가장 큰 체형으로 사다리형태를 나타냈다. 그러나 인식체형은 윗배보다 아랫배가 돌출되고 가슴과 엉덩이가 처진 특징을 나타냈다. 본 연구에서는 자신이 인식하는 체형과 실제 체형 사이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인의 체형에 대해 정확하게 인지하고 있으며, 자신의 신체적 변화를 잘 받아들이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중년여성의 실제체형과 인식체형을 고려하여 이상적인 체형으로 보일 수 있도록 하는 의복패턴 및 디자인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중년 남성의 신체 계측치를 분석한 실제체형과 인식체형 유형에 대한 비교 연구

        차수정 한국기초조형학회 2020 기초조형학연구 Vol.2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and analyze the physical and cognitive types of middle-aged men between the ages of 40 and 59 to find out the difference. Through this, it is intended to cover shortcomings in the development of middle-aged men's clothing, which is expanding due to the increase in importance of appearance, and to present basic data necessary for the development of patterns and designs that can be seen as ideal body shapes. The real body shape study of middle-aged men was conducted using Size Korea’s 7th Korean human body size survey data. The perceived figure type was conducted by sampling the P sample of Q methodology. The data was analyzed using the SPSS 24.0 program for the actual figure and the QUANL program for the perceived figure. As a result of comparing real and cognitive types of middle-aged men, both real and cognitive types were analyzed as similar types. ‘Skinny and Lean Body with Bird Legs’ in actual body shape and ‘Lean Body with bird legs’ in recognitive body showed similar characteristics such as slender legs and bowed body. ‘Normal Folded Body with Thick Legs’ in actual body type and ‘Developed upper Body with thick legs’ in recognitive body were characterized by thicker legs than body. Finally, the actual figure type ‘Obese and Standard Body with Standard Legs’ and the perceived figure type ‘Abdominal protrusion and obesity Body’ were similar in that they were obese. While differences between actual and perceived body types may increase dissatisfaction with the body, this study shows that middle-aged men are accurately aware of their body types and are well accommodating physical changes. Therefore, It is thought that it will be necessary to increase satisfaction with clothes by developing patterns that can cover problems in middle-aged men's body shapes and adding design elements to develop clothes that can be seen as ideal body shapes. 본 연구에서는 40-59세 중년 남성을 대상으로 중년 남성의 실제체형과 인식체형의 유형을 비교 분석하여 그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하여 외모에 대한 중요성 증가로 그 시장이 확대되고 있는중년 남성용 의복개발에 있어서 단점을 커버하고 이상적인 체형으로 보일 수 있는 패턴 및 디자인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중년 남성의 실체체형 연구는 Size Korea 제7차 한국인 인체치수조사 데이터를 사용하였고, 인식체형은 Q방법론으로 P표본을 표집하여 진행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실제체형의 경우 SPSS 24.0 program을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인식체형의 경우에는 QUANL program을 사용하였다. 중년 남성의 실제체형과 인식체형을 비교한 결과, 실제체형과 인식체형의 유형이 유사한 특징으로 분석되었다. 실제체형의 ‘마르고 숙인 새다리 체형’과 인식체형의 ‘숙여진 새다리 체형’은 몸에 비해 다리가 가늘고 앞으로 숙여진 체형이라는 유사한 특징을 나타냈다. 실제체형의‘보통 젖혀진 굵은 다리 체형’과 인식체형의 ‘상체 발달 굵은 다리 체형’은 몸에 비해 다리가 굵은 체형이라는 특징을 나타냈다. 마지막으로 실제체형의 ‘비만한 바른 표준 다리 체형’과 인식체형의 ‘복부가 돌출된 비만 체형’은 비만체형이라는 점에서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년 남성의 경우 자신의 체형에 대해서 실제로 분석된 체형과 인식체형 유형 사이에 유사한 특징으로 분류되었다. 실제체형과 인식체형 사이에 차이가 발생하는 경우 신체에 대한 불만족이 증가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중년 남성은 자신의 체형에 대해서 정확하게 인지하고 신체적 변화를 잘 수용하고있음을 알 수 있다. 중년 남성 체형상의 문제점을 커버해줄 수 있는 패턴 개발과 디자인적 요소를 첨가하여 이상적인 체형으로 보일 수 있는 의복을 개발함으로써 의복에 대한 만족도를 높일 필요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한,미 여대생의 실제체형과 인지체형의 만족도에 관한 비교

        이승희,남윤자 한국의류학회 2001 한국의류학회지 Vol.25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s of perceived body size and actual body size between Korean and USA female college students of 18 to 26 year-old. Body measurements and survey were taken from August to September, 1998.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the body measurements of the Korean women and US women. Among 20 body areas, except only head length and neck circumferences, American women had bigger sizes than Korean women. 2) Compared to US females, Koreans perceived their body sizes as bigger and were more dissatisfied with their bodies than Americans. 3) Those who had thinner body sizes tended to be more satisfied with their bod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