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제강점기 실업보습학교 제도 연구

        이명실 ( Myung Sil Lee ) 한국교육사학회 2015 한국교육사학 Vol.37 No.4

        본 연구에서는 조선총독부의 식민지교육정책이 일본의 교육정책 및 교육제도의 이식과 변용을거쳐 수행되었다는 문제의식 아래,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의 실업교육정책, 특히 실업보습학교 제도의 성립과 전개 과정에 주목했다. 이를 위해 첫째로 일제강점기 실업보습학교가 어디서부터 시작된 것인지를 살펴보았고, 둘째로 일제강점기를 통해 실업보습학교 제도가 어떤 변화 과정을 거쳤는지에 관해 고찰했으며, 셋째로 일제강점기 실업보습학교의 특징이 무엇인지를 제시해 보았다. 이를 통해 조선총독부의 실업보습학교 정책이 일본에서의 정책적 흐름과 궤를 같이하며 진행되기는 했지만, 제도가 충실히 뿌리내리게 하는 정치·사회·경제적 기반의 차이로 인해 조선에서의 실업보습학교 제도는 정책적 지원 없이 조선인의 요구를 최소한의 수준에서 수용하는 방식으로 전개되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더불어 조선총독부의 식민교육정책이 일본의 교육제도 및 교육정책과의 관계 속에서 파악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는 일국사적 관점의 연구가 대부분이었다는 점을 염두에 두면서, 본 연구를 통해 최근 회자되는 관계사 또는 트랜스 내셔널적 연구방법의 가능성을 탐색해 볼 수 있는 여지를 제공해 보고자 했다. In this paper, I focus the discussion on how the Vocational Supplementary School policy was formed and changed by the Governor General of Korea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is discussion bears in mind that the educational policy during the Colonial Period was developed through a transplant and transformation of the educational policies and educational system in Japan. For this purpose, first, I examine when and where the Vocational Supplementary School system was started. Second, I investigate the kinds of changes that the Vocational Supplementary School system underwent in Korea and Japan. This is necessary to grasp the feature of the colonial education policy as well as the Vocational Supplementary School system clearly. Lastly, based on this understanding, I proposed the feature of the Vocational Supplementary School system. The characteristics of Vocational Supplementary Schools are as follows: (a) the Vocational Supplementary School system in Korea was the implantation of the Vocational Supplementary School system from Japan; (b) the colonial education policy, while claiming to advocate ‘assimilation’ was based substantially on ‘discrimination’; (c) although the educational policy of Korea should be studied based on Korea and Japan’s relationship, research thus far has examined the policies based on each country’s individual history. I suggest a new method of examination based on the trans-national history of Korea and Japan’s interactions.

      • KCI등재

        독일의 청년실업과 고용대책

        이호근(Lee, Ho-Geun) 한국사회정책학회 2017 한국사회정책 Vol.24 No.3

        우리나라의 청년실업은 중요한 사회적 이슈이다. 9.3%내외의 공식 청년실업 통계 외, ‘취업애로’를 겪고 있는 청년층이 거의 20%에 달하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으며, 이러한 청년실업은 향후 더욱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선진국 가운데 독일과, 스위스, 오스트리아, 덴마크, 네덜란드 등 이른바 게르만권의 청년고용률은 상대적으로 양호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 중에서도 독일의 청년실업은 7~8%내외로 대부분의 선진 국가들과 비교하여 매우 우수한 성과를 나타내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독일의 청년고용대책 성공을 청년고용 ‘정책’적 차원, 직업교육훈련 등 ‘제도’적 차원, 그리고 기타 ‘환경적 요인’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한다. 먼저, 청년고용 ‘정책’과 관련 독일은 고학력 청년실업이 주요 쟁점인 우리와 달리 주로 학교중퇴자, 저 숙련자, 장애인, 장기실업자 등 사회적 취약계층에 대한 청년고용 대책이 중심을 이루고 있다고 본다. 이러한 독일의 주요 청년고용대책으로는 ‘Job-AQTIV’법, ‘JUMP’/ ‘JUMP Plus’, ‘Hartz-K ommission’ 관련 법 그리고 최근 EU 차원에서 전개되고 있는 ‘Youth G uarantee’ 등을 들 수 있다. 본고에서는 먼저, 역사적으로 변화하는 이러한 독일의 주요 청년고용 ‘정책’의 개요를 살펴보고 관련 시사점을 비교 분석한다. 둘째, 본 논문은 독일의 청년고용 대책의 핵심인 이른바 ‘이원체제(dual system)’로 알려져 있는 직업교육훈련의 ‘제도’적 특성을 상세히 분석한다. 독일 이원체제는 중등교육 1 단계를 마친 실업학교(Realschule), 기간학교(Hauptschule), 종합학교(Gesamtschule) 및 김나지움(Gymnasium) 등의 하급반 졸업자대상 중등교육 2단계에서 기업-직업학교(Berufsschule)간의 ‘이원화 양성훈련’이 이루어진다. 정부는 이것을 뒷받침하는 교육 커리큘럼을 확립하고, 정부, 사용자 그리고 노사는 국가와 지역 기업차원에서 ‘양성훈련협약(Ausbildungspakt)’을 체결하고 있다. 그 다음 3단계 고등교육단계에 해당하는 독일의 ‘직업아카데미(Berufsakademie)’에서도 사업주와 계약을 체결, 견습생 신분으로 직업 ‘교육’과 ‘훈련’을 병행하는 ‘이원시스템’을 통해 청년들이 취업으로 이어지도록 하고 있다. 이후 4단계 고등교육단계에서는 일반 종합대학과 그 수준, 자격 및 사회적 인지도가 거의 유사하면서도 ‘실무중심 교육훈련’을 강조하는 ‘직업전문대학(Fachhochschule)’ 또는 ‘응용학문대학(Universität für angewandte Wissenschaften)’의 육성이 주목된다. 이러한 교육훈련시스템의 구축과 그 역할이 자연스럽게 높은 취업률로 이어지고 있다. 셋째, 본고에서는 이러한 청년고용정책과 직업교육훈련 ‘제도’ 외에 사용자의 양질의 생산인력확보에 대한 높은 이해와 이를 육성하려는 적극적 이니시어티브, 고용대책으로서 청년의 직업교육훈련에 대한 노동조합의 전략 및 교섭력, 그리고 정부와 국가의 인적자원개발과 사회통합적 노사관계 거버넌스 구축에의 관심 등 환경적 요인도 청년고용 대책의 성공에 중요한 요인임을 강조한다. 본고에서는 특히 그 가운데 독일의 직업교육훈련체제가 실제 어떻게 구성・운영되고 있으며, 그것이 어떻게 청년고용의 우수한 성과를 보이는 핵심적 요인이 되고 있는 지를 분석하고, 우리에게 주는 함의를 도출한다. The youth employment in Germany should be specially considered in the context of historical development of job training and education in the dual system. The ‘policy’ of youth unemployment in Germany is mainly focused on the socially precarious groups such as the early school leaver, low skill worker, disabled person and the long term unemployed, while the korean youth unemployment shows the high rate among the highly educated people. Therefore, the cause and counter-measure of the youth unemployment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important policies of the german youth unemployment since the second half of the 90ties have been continuously tried in the Job-AQTIV-Gesetz, JUMU(Jugend mit Perspektiv) and JUMP Plus, Hartz-Gesetz(I-IV), and the Youth Guarantee which is now being campaigned in the level of whole European Union(EU) since 2013 etc. However, the real ‘institutional background’ of the low youth unemployment rate in german speaking zones like Germany, Austria, Swiss, Denmark and Netherlands etc. is in the ‘dual system’ for the youth between 15 and 19 years old, in which the training at the shop floor and the education at the school are being parallel offered. In this dual system, the finishers of the first middle course in the Realschule, Hauptschule, Gesamtschule and the finishers of low class in the Gymnasium become to take the courses of job training (Ausbildung) and education at the same time. The (local) government is supervising and supporting the courses, preparing for the related curriculums, and giving the certificates, with which the youth can enter the labour market. The employer is thereby cooperating closely with the government and the trade union (Ausbildungspakt). This article analyzes the each important course of the german dual system such as the Berufschule (berufsbildende Schule) at the second middle course, the Berufsakademie at the next course, and the following course of wide second education (Weiterbildung) or the continuous training (Fortbildung) as well as the Fachhochschule or University of the Applied Sciences at the fourth and highest course. This kind of special education and training systems, specially in the second middle course for the 15-19 years youth is the key success of the high youth employment. This article analyzes this dual system and is trying to get the some implications for the korean youth unemployment.

      • KCI등재

        20세기 한국 중등 실업교육에 대한 역사적 고찰 : 실업교육 진흥정책의 실패와 반복

        안홍선 교육사학회 2017 교육사학연구 Vol.27 No.2

        In the history of Korea, the end of the Second World War was an opportunity of educational reform insofar as the liberation from Japan was meant for a change from colonialism to democracy. But as is well known and has often been described, the clearing away of the remnants of Japanese colonialism was not thorough enough. Having this in mi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tinuity of practices in educational policy on secondary schools in the 20th century. This study reveals the characteristics of secondary education policy as follows. First, there was and has been a gap between the intentions of educational policy and the demands of the people whether it was a colonial or liberated government. Second, the artificial and quantitative regulatory policies on vocational education has been repeatedly formulated and pursued despite persistent failure. In conclusion, as of now, we can witness that the traditional dual system of secondary education as a hierarchical and highly discriminative model was transformed into obstacle to reforms to rebuild a democratic education system. 20세기 한국교육사는 식민지 교육체제의 형성과 그 극복의 역사라 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식민지시기 교육 당국의 실업교육 정책 목표와 조선인들의 교육 요구 및 실업학교 학생들의 기대가 서로 어긋난 채 모순을 일으키는 양상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실업교육의 정책과 사회적 기능 간의 탈구 현상이 해방 이후에도 해소되지 않고 긴장과 갈등이 반복되어 나타나는 과정을 검토하였다. 일제강점기나 해방 이후 그 어느 정부에서도 실업교육 진흥정책은 영원한 국가적 과제로서 제시되었으나, 중등단계 실업교육은 안정적인 사회적 성취나 사회이동에 대한 욕구를 충족할 수 없었다. 따라서 20세기 한국의 중등 실업교육 역사는 교육 당국의 정책 목표에 대한 학생 및 학부모의 부정의 역사로 나타났다. 실업교육 진흥정책은 사회적 요구와 괴리되어 있었고, 그로 인해 반복적인 실패를 경험하면서도 주기적으로 양적 확대정책이 입안되고 추진되어 왔던 것이다. 이러한 정책적 접근은 더 이상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웠으며, 결국 20세기 말에 이르러 100여 년간 지속된 중등 실업교육에 대한 양적 확대정책의 전격적인 중단을 선언하는 것으로 귀결되었다.

      • KCI등재

        식민지시기 중등 실업교육의 성격 연구

        안홍선(安洪善)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5 아시아교육연구 Vol.16 No.2

        본 연구는 식민지시기 일제의 교육정책과 조선인들이 갖고 있던 실업교육에 대한 기대로부터 형성된 중등실업교육은 어떤 성격을 갖게 되었는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중등교육 기회가 매우 제한된 식민지적 상황에서, 중등학교에 진학하기 위해서는 비싼 학비를 부담할 수 있는 부모의 경제적 배경과 치열한 입학시험을 통과할 수 있는 높은 학업성적이 전제되어야 했다. 중등학교의 입학 경쟁률은 계열 구분보다는 개별 학교마다의 이력과 사회적 평판, 그리고 전형절차 등에 따라 일관된 차이가 있었다. 또한 동일한 실업학교 내에서도 학교의 유형과 종류에 따라 학생들의 선호가 분명하게 구분되었다. 이는 당시 조선인 사회에 널리 확산되어 있던 중등학교들에 대한 서열적 인식을 반영하는 것이었다. 그것은 일반계와 실업계를 구분하여 어느 하나를 기피하거나 선호하기 보다는 개별 학교의 역사와 조건으로부터 더 큰 영향을 받고 있었다. 이와 같은 조선인의 실업교육에 대한 기대와 교육행위로 인해 유럽형이나 일본형 모델과는 다른 식민지시기 우리나라 중등교육의 특질이 형성될 수 있었다. 계급적 성격이 강한 유럽형 복선제와도 거리가 멀었으며, 그렇다고 해서 일본형과 같이 업적주의에 기초하여 계열별로 분화된 위계적인 복선제도 아니었다. 식민지시기 중등교육은 일반계 학교와 실업계 학교간의 위계적인 사회적 분화가 지연된 채 병렬적인 복선구조가 유지되는 특징을 갖고 있었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nalyse a motive of graduates of elementary schools for a selection of secondary schools in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ism. First of all, Korean students did not select general schools and vocational schools aggressively. Students needed to fulfill two conditions for deciding whether to enter a secondary school or not before the graduation of general schools. They first needed to have their parents have financial means enough for affording to pay for secondary school and also needed as excellent school records as they could pass the extreme admission competition. That is to say, when the opportunity for getting secondary education was extremely restricted, the real problem was a possibility of admission rather than the class of secondary schools once students having certain financial background decided to enter a secondary school. Therefore, as stated above, ranking classification of school was occurring in students as well as the social recognition during that period and it was based on history and conditions of individual school more than a simple division between general schools and vocational schools. In other words, secondary education in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ism was characterized by keeping parallel dual education system, impeding hierarchical social division between general schools and vocational schools.

      • 청년실업 해결을 위한 직업교육훈련의 과제

        손주영 경희대학교 부설 교육문제연구소 2000 論文集 - 경희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Vol.16 No.-

        1997년 IMF관리체제에 접어 들었던 우리 나라는 1998년을 저점으로 경제회복 단계에 접어들었다. 하지만 통계수치상의 경기회복에도 불구하고 실망실업자의 증가, 상용직의 감소 등 청년층의 불안한 고용구조는 새로운 사회문제화 되고 있다. 십수년 전부터 청년실업을 주요 사회문제로 인식하고 다각적인 해결방안을 강구해 온 선진외국과 달리 지난 30년 동안의 경제 호황으로 이에 대한 대비책이 소홀했던 우리 정부는 최근 청년실업문제의 심각성을 깨닫고 이들을 위한 직업교육훈련 활성화를 추진 중이지만 근시안적이고 임시방편적인 실업대책이란 비판을 면치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이 논문의 목적은 각종 통계자료와 문헌분석을 통하여 최근의 청년실업 문제의 원인을 살펴보고, 직업훈련의 문제점을 지적하여 청년교육훈련이 장기적이고 가장 효율적인 청년실업대책으로 자리잡을 수 있도록 개선점과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고자한다. In order to cope with the rapid social and technical changes of today, the unemployed youth needs constant training to keep up with the pace of change, and to improve his/her job competency during the period of unemployment,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is considered as one of the most effective unemployment policy. However, Korean government is not ready to provide the practical guidelines for i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thoroughly examine the trend of the new unemployment of a youth and suggest several tips for more efficient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policy.

      • KCI등재

        한국의 청년실업과 대학교육 과정의 파행

        김규원(Kim, Gyu-Won)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4 한국학연구 Vol.50 No.-

        이 논문은 한국의 청년실업 문제가 대학교육 과정의 정상적인 운영을 훼손한다는 입장에서 접근하고 있다. 해당 개인의 취업역량과 노력의 부족이나 대학교육의 경쟁력 미흡에 주안점을 두기보다는 오히려 청년실업문제로 인하여 대학교육 과정이 점점 더 부실해지고, 이는 다시 대졸자의 취업난을 가중시키는 악순환의 고리에 주목하고자 하는 것이다. 우리나라의 경우는 정부의 고등교육 정책이 고학력 노동시장의 수급을 왜곡시킨 주된 원인으로 파악하고, 청년실업 문제를 완화하기 위한 정책 방향으로는 거시적 차원에서는 시대변화에 맞게 교육패러다임을 인재(人才)교육 체제에서 인재(人材)교육 체제로 전환하는 것을 제언한다. 그리고 메조적 차원에서는 로컬 이니셔티브를 중심으로 대학교육 과정 정상화의 권한과 책무를 명료화하는 것이 중요함을 강조한다. This paper approaches the problem of youth unemployment in South Korea from the perspective that the problem has crippled the normal operation of her university educational processes. It attempts to identify such a vicious circle that the youth unemployment agenda have forced the universities to be unfaithful of educational processes and then the disabled higher educational system has led college graduates to the difficulties of getting jobs. This point of view is quite different from the dominant approach that the problem has been caused simply either by the poor quality of the individuals in trouble or by the lack of educational competitiveness of the university in concern. It argues that the higher educational policies of Korean Government have deteriorated her youth unemployment problem, in conjunction with the market distortion and malfunction. Accordingly in order to lessen the unemployment problem among the recent college graduates, two suggestions are proposed: at the macro level educational paradigm should be shifted into the educational system for all-the-talented while discarding the educational system for few-the-talented. At the meso level centering upon the local initiative, it is emphasized that the clarification of governance and agency in policy innovation is very important.

      • KCI등재

        실업계 고등학교 명칭 변경에 관한 연구

        이용순,김선태,이광호 한국상업교육학회 2006 상업교육연구 Vol.14 No.-

        본 연구는 실업계 고등학교의 정체성을 분명히 하면서, 동시에 실업계 고등학교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불식할 수 있는 실업계 고등학교의 명칭을 구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런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직업교육 패러다임 변화, 실업계 고등학교의 정당성 및 정체성에 관한 문헌을 분석하였으며, 설문지를 통해 실업계 고등학교의 명칭 변경에 대한 의견을 조사하였다. 또한 연구 진행시 주요 사항에 대한 자문 및 해결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전문가 협의회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실업계 고등학교에 대한 사회의 부정적 인식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실업계 고등학교만의 명칭을 바꾸는 것보다는 기타계 고등학교와 통합하여 그 명칭을 바꾸는 방안이 더 효과적이다. 둘째, ‘전문계 고등학교’와 ‘특성화 고등학교’ 중 새로운 명칭으로 더 적합한 것은 ‘전문계 고등학교’이다. 그 이유는 ‘일반계 고등학교’의 ‘일반’이라는 단어와 대비되는 개념으로서 ‘전문’이라는 용어가 더 적합하기 때문이다. 셋째, ‘전문계 고등학교’라는 명칭보다는 용어의 명확성 및 간결성을 고려하여, ‘전문 고등학교’로 하는 것이 적절하다. 본 연구에서는 설문 조사, 면담 조사 및 전문가 협의회 등의 결과를 종합하여, 실업계 고등학교와 기타계 고등학교를 합해서 ‘전문 고등학교’로 명칭을 변경하는 것을 최적 안으로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name of vocational high school that can remove a negative recognition about vocational high school and clear the identity of vocational high school.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n extensive analysis on the literature, questionnaire survey, expert meeting were conducted.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If we want to improve the negative recognition about vocational high school, to change the name of vocational high school with 'gitagae high school' is more effective than to change the only name of vocational high school. 'Gitagae high school' is the one type of high school except general high school and vocational high school. (2) 'Jeonmungae high school'(=special high school) is more suitable name of vocational high school than 'teugseonghwa high school'(=specialized high school). The reason is that 'special' is comparative concept with 'general'. (3) 'Jeonmun high school' is more suitable name of vocational high school than 'jeonmungae high school'. The reason is that 'cheonmoon high school' is more clear and concise than 'jeonmungae high school'. This study suggests 'jeonmun high school' as the best name of vocational high school plus 'gitagae high school'.

      • 실업계고 농악(農樂) 전문교육이 남긴 의미와 고등교육 단계 농악 교육의 방향

        양옥경(Ok-kyung Yang) 숙명여자대학교 글로벌거버넌스연구소 2023 대학 연구 Vol.2 No.1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국악계로 범칭할 수 있는 문화예술 영역과 국가 정책 및 제도의 접점 중에 국악의 제도교육 체계로의 진입이 있었다. 이 양상을 주목한 것은 ‘학교’라는 근현대식 교육기관 내에서의 국악 전문교육이 시작되었음을 말해주고 있기 때문이다. 국악 전문교육이 고등학교 단계부터 출발하여 시간이 지날수록 대학교에서의 고등교육으로 상향되고 교육기관 개수(個數)도 증가하는 확장 행보를 보였지만, 농악을 비롯하여 민요나 민속놀이와 같은 민속예술은 이러한 흐름에서 상당 기간을 열외로 비켜나 있었다. 그런 가운데 애초부터 교육 중심부에서 아주 멀찍이 밀려나 있는 농악 전문교육을 대리하며 현재의 농악 전승 국면에도 중대한 영향을 끼친 현상이 출현하여 농악의 지속적 전승에 기여하였다. 바로 실업계 고등학교로 구분되는 농림고/농업고에서의 농악 전문교육이다. 이 현상은 분명 현대 농악사 및 국악 교육의 변천을 조명하는 데 있어서 반드시 탐색되어야 할 대상이다. 그 이유는 실업계 고등학교라는 공간에서의 농악 교육을 통해 양성된 인물들이 현재 각 지역의 농악 전승과 연행, 교육 등에서 활약하며 현재의 농악 전승 국면에 실체적 영향을 끼치고 있기 때문이다. 나아가, 과거와 달라진 상황, 즉 고등교육 기관에서 농악 교육이 이뤄지고 있는 현재 시점에서 과거 농악 교육의 동향은 대학에서의 농악 교육이 나아갈 방향에 대한 공론장에서 반드시 참조되어야 할 역사적 경험이자 배경지식이기 때문이다.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Korean government, Gugak has entered institutional education. Attention was paid to this aspect because it shows that professional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which relied on apprenticeship education in the past, began within a modern and contemporary educational institution called “school.” Starting with high school education in the early 1950s,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has been upgraded to higher education in universities over time. And as time went by, the number of professional education institutions also increased. But, it was only just before the 21st century that folk arts such as folk songs and folk games, including Nongak, entered higher education. Instead of higher educational institutes, in vocational high schools specialized Nongak education, which had been away from the center of education since the middle of 1950. It is clear that this phenomenon must be explored to shed light on changes in modern Nongak history and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This is because figures trained through Nongak education in the vocational high school space are currently actively participating in the transmission, performance, and education of Nongak in each region and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current stage of Nongak transmission.

      • KCI등재

        독일 기술교육 지원의 교육사적 의의: 인천 한독실업학교 설립과 의미를 중심으로(1960-1970)

        유진영 ( Jinyoung Yu ),정기섭 ( Kiseob Chung ) 한국교육사학회 2016 한국교육사학 Vol.38 No.2

        1961년 ``대한민국 정부와 독일연방공화국 정부 간의 경제 및 기술협조에 관한 의정서``체결이후 공공차관과 상업차관 형태의 자본과 기술원조가 시작되었다. 독일정부와의 기술협정을 통하여 독일식 기술교육이 한국에서 실현되었는데 그 첫 사례가 인천의 한독 실업학교에서 실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한독 실업학교의 설립배경과 학교의 교육내용, 독일식 직업기술교육의 정착과 영향 등에 관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한독기술원조협정으로 탄생한 이 학교는 독일식 직업교육의 산 표본으로 세간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1차 협정, 2차 협정, 3차 협정, 이렇게 10년의 협정기간 동안 독일정부는 약 483,000 달러를 지원하였으며 한독실업학교는 이러한 지원을 바탕으로 교사의 파독 연수, 졸업생들의 독일 유학, 고문관의 초빙, 실습용기자재의 도입, 교사 신축 등 많은 사업을 펼쳤다. 그러나 한독 실업학교가 운영되는 동안에 한국의 전통적인 사상과 문화의 토대위에 독일식 교육제도가 접목되어 다양한 접목과 상이함, 문제점들이 발생하기도 하였다. 오늘날 직업교육의 개혁과 더불어 독일식 기술교육의 도입, 정착, 이후의 발전에 대해 고찰하며 의미를 되짚어 본다. The focus of this paper is to expose the transnational exchange in the field of technical education with the establishment of Vocational School in Incheon. The background of the establishment of this school could be found from economic supporting the 1960s after Korean War. According to "AGREEMENTCONCERNING JOINT ESTABLISHMENT OF A SKILLED WORKERS SCHOOL BETWEEN THE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GOVERNMENT OF THE FEDERALREPUBLIC OF GERMANY" on March 1961, the Korean-German vocational school in Incheon was promoted with high sums of money. Korean technicians came to West Germany for training purposes and vice versa as Economic Advisor to Korea. According to the above AGREEMENT on March 18, 1961 it has been the concern of the Government of the Federal Republic of Germany and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that they should jointly establish a Skilled Workers`` Schools part of the Vocational Training Center at Incheon. In addition to that, the Skilled Workers`` School should serve to train Korean skilled workers and technical teachers according to German professional standards and should be under the directorship of the "German Department". As an independent department, it was a basic part of the Vocational Training Center. Before the establishment of this center, over 10 Korean teachers have been sent to Germany to learn German language and German culture and to visit technical school. In this Center at Incheon theoretical instruction comprised at the subjects in technology, technical drawing, technical mathematics and the German language. In addition, the South Korean government received loans amounting to DM 150 million. The loans were used for the construction of a few major factories in1962. Such further technical cooperation between the two countries consisted primarily of dispatching of German technicians to Koreans well as the training of Korean technicians. Both aspects were from the beginning a central part of technical cooperation. We can still find the German education way affecting Korean education in technical field. This study investigated how the educational exchange like pioneer educators, teacher``s exchange, educational curriculum and educational materials between two countries hadan impact on the early technical education in Korea.

      • KCI등재

        여성 실업교육 -독일제국시기(1871-1914) 프로이센의 교육법을 중심으로-

        유진영 ( Jin Young Yu ) 한국교육사학회 2011 한국교육사학 Vol.33 No.3

        본 연구는 산업화시기 전통적인 삶에 머물러 있었던 여성에 주목하여 여성 실업교육에 관해 다루었다. 2차 산업혁명을 통해 근대화의 대열에 합류했던 독일제국은 남성 우월주의적, 보수주의적이며 군국주의적인 성격이 강했다. 이 시기 국가와 사회는 여성의 역할에 큰 기대를 하지 않았다. 게다가 독일제국의 중추국가였던 프로이센 왕국의 교육법에는 성별 교육적 차별을 정당화해주는 법적 근거가 존재했다. 관습과 교회법 질서에 따라 출신과 성별에 따른 교육적 요구는 공적·사적으로 이러한 교육규정을 고착화시켰다. 그러나 산업화가 본격화되면서 여성노동자들이 등장하여 기존의 여성 지위에 변화가 생기게 된다. 이 변화의 요인으로 당대 정치적, 사회적 변화 뿐 아니라 여성운동도 한 몫을 했다. 여성운동가들은 무엇보다 교육 개혁을 요구하였고, 1880년대부터 일련의 개혁법령이 발표된다. 이러한 교육개혁은 여성의 실업 교육 및 직업 활동에도 영향을 미쳤는데, 본 연구에서는 당시 잘 알려진 여성 실업교육기관으로서 레테협회의 실업교육 및 직업활동에 대해 살펴보았다. In contrast to the men`s lives in the German Empire, the women`s lives have remained traditional. Germany, which went through the so-called "delayed modernizationphase," had a masculine, conservative, and militaristic character, which accounted for its viewpoint that women should not play any role in the state and society. One state of the German Empire, Prussia, had a law (Allgemeine Landrecht) that justified the differentiation of education between boys and girls. Besides this state law, the demands of the families and society formed the official and private education law. The socio-economic changes that have taken place in Germany, and the women`s movement that emerged therein, contributed much to the creation of opportunities for women to pursue careers and improve their lives. Before and after 1900, women served as industrial workers. The women`s movement reformers then demanded for educational reforms. Since 1880, numerous education laws have been passed and enforced, and the public view of women`s education has been changed, and the prejudice against such has gradually disappeared. This change has influenced the activities in women`s vocational education and in the related job fiel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