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제하 대만⋅조선총독부의 세출구조 비교분석

        문명기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5 한국학논총 Vol.44 No.-

        . 일본의 식민 지배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 식민지 권력의 구조와 이를 물질적⋅화폐적으로 떠받치는 역할을 한 식민지 재정의 구조를 해명하는 것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특히 비교사적인 접근을 통해 식민지 재정을 재검토하게 되면 개별 식민지에 대해서만 관찰해서는 잘 보이지 않던 식민지 재정 전체의 특징이 더욱 선명하게 부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재정 현상에서 파생되는 지배 양상과 그 함의에 대해서도 새로운 인식을 가져다줄 수 있다. 통치기간이 비교적 길고 유사한 통치모델이 적용되었던 대만과 조선의 식민지 재정과 재정 문제에서 비롯된 통치의 제반 양상을 재검토하는 출발점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작지 않다. 필자는 본고를 포함하여 대만과 조선의 재정 현상에 관한 일련의 비교연구를 계획하고 있다. 세출 구조 비교 연구, 세입 구조 및 조세부담 비교연구, 지방재정 비교 연구 등이 그것이다. 본고는 필자가 금후 수행할 일련의 식민지 재정사 비교연구의 일부에 해당된다. 세출의 비교분석을 통해 세출의 추이와 특징은 물론이고 세출의 부문별 비교를 통해 두 식민지의 통치 양상이 어떤 개성을 가지고 있으며, 재정 현상이 식민지 지배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가를 추적하는 것이 본고의 목표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두 총독부 세출을 비교한 결과 이하의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우선 대만⋅조선총독부의 재정 운용이 외지특별회계라는 동일한 제도적 설계 하에서 운영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세출 부문에서 확인된 바 재정운영의 실적에는 무시할 수 없는 차이를 낳았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통상 재정 현상은 ‘政務의 貨幣的 표현’이라 정의되는 만큼, 규모(인구와 면적)를 고려한 1인당 또는 단위면적당 세출 규모의 차이는 당연하게도 통치효과에 있어서의 차이를 낳았다. 대만재정독립계획이 성공한 결과 “대만 재정은 비상한 호황을 맞아 收入의 洪水를 現出하여 총독부 당국마저 현혹케 하는 황금시대를 보여주었으며,” 풍부한 재원을 활용한 토목⋅권업 경비의 지출이 “대만 人口 및 民度에 비해 과대하다”고까지 표현했다. 반면 거의 전 시기에 걸쳐 일본정부 일반회계로부터의 보충금에 의존해야 했던 조선총독부로서는 대만총독부와 같은 과감한 재정 지출은 사실상 불가능에 가까웠고, 이는 결과적으로 대만 수준의 통치경비 지출을 곤란하게 만든 것이다. 달리 말하면 식민지 조선 재정에서 식민지 행정 및 ‘순화’ 비용이 상대적으로 훨씬 컸고, 따라서 경제개발이나 산업개발에 돌릴 여력이 대만에 비해 훨씬 작았다.

      • KCI등재

        ‘외지’ 고등교육기관 학생들의 식민지 표상 연구: 일본어잡지 『청량(清涼)』과 『상풍(翔風)』을 중심으로

        김욱 고려대학교 글로벌일본연구원 2018 일본연구 Vol.29 No.-

        This paper is a study on colonial representation based on Seiryo and Shohu, which were Japanese language magazines published by higher educational institutions in colonial Korea and Taiwan. Imperial Japan, which succeeded in being the first East Asian nation to modernize through the Meiji restoration, perceived Chosun (Korea) and Taiwan as uncivilized regions. Japan took control of Taiwan as a result of the Sino-Japanese War and the Treaty of Shimonoseki and forcibly annexed Korea after the Japan–Korea Protectorate Treaty. Early Imperial Japan segregated colonial Korea and Taiwan from Japan based on cultural superiority, but after a dispute over mainland extension policy, it attempted to unify the three countries’ cultures and languages. One way to do this was to establish higher educational institutions in the two colonies for the purpose of giving the people living there the opportunity to receive higher education, at least superficially. However, entrance to these institutions was intensely competitive for colonials because their admission policies discriminated in favor of Japanese colonial residents. Students of these institutions engaged in literature activities through official Japanese-language magazines. Most Japanese students contributing to these magazines regarded the cultures of colonial Korea and Taiwan as negative representations of uncivilized regions which needed to be modernized. On the other hand, some colonial students did not hesitate to reveal their identities when contributing to Japanese magazines, especially Yu, Jin-Oh and Huang, De-Shi. Yu translated shi-ga, Korean traditional poetry, into Japanese in order to introduce classical Korean literature to Japanese students. Huang also wrote a poem written in Chinese which described contemporary colonial Taiwan, even though it was published in a Japanese magazine. It would appear from these examples that some colonial students not only tried to represent their culture positively, but also did not lose their identities 본고는 식민지 고등교육기관에 해당하는 조선의 경성제국대학 예과와 대만의 대북고등학교의 일본어 잡지 『청량』과 『상풍』을 중심으로 식민지 표상을 검토한 연구이다. 메이지 유신을 통해 동아시아에서 최초로 근대화에 성공한 제국 일본은 타지(他地)인 조선과 대만을 미개지로 인식하였다. 이후 청일전쟁을 통해 대만을 중국으로부터 할양받고, 러일전쟁 승리 이후 5년 만에 조선을 합병하였다. 제국 일본은 스스로가 우월하다는 문화관을 바탕으로 식민지인 조선과 대만을 ‘외지’로 구분하면서도 ‘내지연장주의’에 의거하여 문화적, 언어적 통일을 꾀하였으며, 그 방법의 하나로써 식민지에 고등교육기관을 세웠다. 이로서 표면적으로 식민지인은 일본인과 동등하게 일본어로 고등교육을 받을 수 있는 기회가 주어졌다. 하지만 입학 정원수에 차별을 두어 식민지인이 제국대학 예과 혹은 고등학교에 진학하기엔 매우 치열한 경쟁이 필요했고, 그 수도 일본인에 비해 매우 적었다. 더구나 조선에는 대만과 다르게 고등학교가 없이 제국대학 및 그 예과만 존재하였기에 대학 진학에 크게 불리하였다. 그들은 학교에서 공인된 일본어 잡지를 통해 문예활동을 벌였는데, 일본인 학생들의 식민지문화관과 조선인, 대만인 학생들의 자기문화관은 매우 달랐다. 대부분의 일본 학생들은 조선과 대만을 문화적으로 개척해야 할 대상 혹은 전근대적인 표상으로서 식민지 문화를 바라보았다. 하지만 식민지인 학생들 중에는 자기 정체성을 일본어 잡지 안에서 드러내는 것을 서슴지 않았다. 특히 유진오는 한국의 전통시인 시가(詩歌)를 일역하여 조선인의 고전문학을 일본인 학생들에게 소개하였고, 황더시는 일본어 잡지에서 한시(漢詩)가 아닌 중국어로 된 시를 창작하여 식민지 대만의 현실을 그려냈다. 이는 식민지 지식인이 스스로의 문화를 긍정적으로 표상하려는 시도였으며, 제국 일본의 제도권 안에 속한 소수자로서 자기 정체성을 잃지 않았다는 반증이기도 하였다.

      • KCI등재

        『동아일보』(1920-1940) 기사를 통해 본 식민지 조선의 대만(臺灣) 인식

        손준식 한국중국학회 2010 중국학보 Vol.61 No.-

        臺灣和韓國雙方不僅是有諸多的類似點, 還共有相似的歷史經驗, 但韓國人欲不太關注臺灣, 對臺灣的了解亦停留於較爲膚淺的水準。 這些現象的産生雖然應有各種原因, 但是如果這種現象來自於對臺灣的錯誤認識, 其根源又是在那裏?? 筆者帶著這樣的問題意識, 曾經試圖探尋在日據時期≪朝鮮日報≫的臺灣認識, 透過該項硏究可以發現, 朝鮮人對同樣是日本殖民地的臺灣, 一方面和 `我們` 同一視對待, ?一方面, 略帶輕視, 乃至於透露出優越感。 不過該篇論文闡述不了這樣意識之所以形成的正確系譜, 而且僅僅憑藉≪朝鮮日報≫, 是無法把握殖民地朝鮮對臺灣認識的全貌的。 因此本稿試圖通過當時朝鮮的?一具有代表性的報紙, ≪東亞日報≫所刊載的有關臺灣的新聞, 來追?日帝時代臺灣認識的系譜。 本文的硏究方法是依照年彬和主題統計新聞的數量, 分析其報導動機, 以及在那些領域, 何以關注這些事件。 接下來透過對新聞內容和用語來分析對臺灣的認識和觀點。 首先, ≪東亞日報≫的有關新聞年平均數量爲47件, 相比≪朝鮮日報≫多, ?且按年彬新聞數量的偏差也不??大, 根據按年彬統計所示, 大地震(1935), 霧社事件(1930), 米穀統制實施(1934), 臺灣銀行破産危機(1927)等發生年彬的新聞?多, 就不同主題的新聞而論, 則政治和經濟方面的報導占了全部報導的80%, 在不同性質的新聞中, 單純的記事性報導占了絶大部分, 評論或解說只占了非常少的比重。 其次, 在政治方面, 民族運動的相關報導不足總體的3成, 剩下的都是有關殖民地權力和統治領域的報導, 在民族運動方面, 與左派系列的抗日運動相比, 主要報導了自治運動和霧社事件, 這一點和≪朝鮮日報≫有差異。 在經濟方面, 則有關米穀的報導占總體的一半以上, 而有關臺灣銀行的報導, 却比≪朝鮮日報≫相對?少。 就社會方面而言, 地震和颱風等氣象報導, 以及事故消息雖然較多, 但敎育領域的報導比重相對≪朝鮮日報≫, 高了將近3倍, 這點也令人?目。 在文化的層面上, 其比重相比≪朝鮮日報≫低得多, 但體育消息的比重却相對?高。 其三, 臺灣一方面被認爲是香蕉盛産的常夏南國, 因其天然資源豊富, 故將來不僅成爲日本的寶庫, 還是爲了進出南方中國和南洋的要害地域。 ?一方面亦認爲臺灣是由≪熱河日記≫許生曾經建立的理想國所在, 所以和朝鮮有關關係深的地域。 同時臺灣作爲朝鮮米的競爭對象和解決糧食不足問題的替代品, 臺灣米備受?目。 此外, 對同爲日本殖民地的臺灣, 一邊投以同病相憐的目光, ?一邊透露出文化上的優越感, 在這種兩可和複合的立場上, 和≪朝鮮日報≫是一樣的。 總之, 從≪東亞日報≫對臺灣相關新聞的分析, 不難發現社會和文化方面的報導較少, 報導多集中於政治和經濟方面, 而且與民族運動相比, 新聞多集中於殖民統治和體制層面的單純報導;同時可以發現將臺灣看做競爭和協力的對象, 幷認爲與朝鮮有著同病相憐的境地, 但對臺灣却存在某種優越感。 在這些地方和≪朝鮮日報≫雖沒有?大的差別, 但與左派系列的民族運動相比, 自治運動的新聞更多, ?且有關敎育和體育的消息比重相對較高, 由此可以看出≪東亞日報≫對日本殖民統治的妥協性。 只是本文沒能圓滿地探討對臺灣原住民的論調變化原因和日本對殖民地朝鮮形成臺灣認識的影響, 以及優越意識的由來等, 期待通過別稿來補完。

      • KCI등재

        식민지시대 대만에 있어서의 통계시스템의 정착과 그 역사적 조건

        문명기(Moon, Myung-ki)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14 역사문화연구 Vol.50 No.-

        본고는 일본의 식민지 중 하나일 뿐만 아니라 이후 일본 식민통치의 모델로도 기능했던 대만에 대한 통치와 통계의 상호연관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식민제국 일본의 식민지 통치의 실상에 좀 더 다가가고자 했다. 특히 조선과 달리 일본의 대만 통치에 관해서는 성공을 강조하는 경우가 유독 많은데, 본고는 대만통치 성공의 원인의 하나를 통계시스템의 정착 및 확산에서 찾아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1) 총독부관료의 통계와 관련된 인식과 실천의 문제, 2) 통계시스템의 정착과 지방행정 개편과의 관련, 3) 통계시스템이 실제로 활용된 사례로서의 臨時臺灣戶口調査(1905년)와 토지조사사업의 상호 연관성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했다. 그 결과 대만에 있어서의 근대적 통계시스템의 도입과 정착에는 과학적 조사와 연구를 통한 '문명'의 이식을 열망한 고토 심페이 등 식민지관료의 열정이 중요한 배경을 이루고 있었다는 점, 통치 초기부터 비교적 정확한 통계자료를 양산하는 데는 통계시스템 자체의 정비 못지않게 정확한 통계 산출을 강제할 수 있는(주로 경찰력을 중심으로 한) 지방행정체제의 정비, 특히 기층 주민조직의 정비가 큰 역할을 했다는 점, 그리고 통치 초기의 토지조사사업과 임시대만호구조사 등의 각종 조사사업은 완성도 높은 통계시스템과 통계자료 생산의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는 점 등을 확인했다. 다만 '작은 메이지유신'이라 불릴 만큼 대만 통치에서 거둔 식민제국 일본의 '성취'는 그 과정에서 대만 주민을 철저히 타자화하는 '이성의 독재'이자 '문명의 虐政'의 결과라는 점, 그리고 식민지배 과정에서 훼손된 주체성을 회복하려는 노력이 식민지시대 이래 현재까지 진행되어온 조선의 사례와 분명한 대조를 이룬다는 점도 동시에 고려할 필요가 있다. This article aims to approach the historical reality in more practical way by pursuing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colonial government and the statistics in colonial period. Unlike Korea under Japanese rule, government of Taiwan by Japanese Colonial Empire is evaluated to have been successful, therefore this article tries to explore the historical causes of that phenomenon, especially by describing the reality of establishment and spread of statistics system. For this purpose, I focused on three points: 1) the colonial officials' theories and practices on governing Taiwan 2) settlement of the statistics system and its relation to the reform of local administration and 3) the relationship between census in 1905 and land survey. As a result, I found: 1) behind the successful establishment and spread of statistics system lies colonial officials' passion and interest in the statistics and scientific research 2) reform of local administration(especially reform of police system) was more important than the statistics system itself in producing accurate statistic materials and 3) land survey and census in 1905 set the foundation for the more complete statistics system. But the achievements of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in Taiwan was paid high price, especially in that the Japanese marginalized Taiwan People. We can call japanese' rule of Taiwan 'rational dictatorship' or 'civilizational tyranny', and this is sharply contrasted with the case of colonial experience of Korea, which has tried strenuously to revive the subjectivity damaged by the Japanese colonial rule.

      • KCI등재

        ‘향토’의 상상과 재현 - 1930년대 무용가 최승희와 식민지 대만의 두 차례 만남

        서승임 한국예술종합학교 한국예술연구소 2023 한국예술연구 Vol.- No.39

        The two encounters between the Korean dancer Choi Seung-hee and the Taiwanese intellectuals in the mid-1930s are a significant historical event showing cultural exchanges between the two colonies. Choi was at her height as a choreographer in Tokyo who created her own stage art with exotic Korean traditional dance while the Taiwanese still desired to bring Taiwan’s locality into the realm of the arts. Their first encounter was in May 1935 at the ‘Taiwan Earthquake Fund-raising Concert’ in Tokyo. Later, Choi’s Taiwan tour in July 1936 affected the Taiwanese’s concept of materialization of local culture through dance. This paper explores these two encounters based on Taiwanese political-social activist Yang Zhaojia’s collections and reinterprets their importance from imperial and colonial perspectives. Additional primary sources, such as comments from the Taiwanese on Choi’s tour, and Choi’s round-table talk with the Taiwanese and Japanese, provide multidimensional views on contemporary local art issues for colonies in the Japanese Empire. 1930년대 중반, 무용이 일본제국 예술계의 주요 장르로 부상하면서 이국적이고 실험적인 무대 실현이 가능했던 제국의 중심 도쿄에서 대만 ‘향토’ 문화 구현을 갈망하던 대만 지식인들과 조선 전통 춤을 활용해 명성을 쌓은 조선인 무용가 최승희의 만남은 일제강점기 두 식민지 간의 희소성 있는 문화 교류를 보여주는 사건이다. 본 논문은 일제강점기 식민지 대만의 정치 및 문화 운동가 양자오자(楊肇嘉)의 마지막 거처인 ‘육연거(六然居)’에 소장된 사료를 바탕으로 1936년 7월 최승희의 대만 순회 공연이 성사된 원인과 결과를 밝히고 식민지 대만과 최승희의 교류가 갖는 의의를 탐색한다. 먼저, 1935년 5월 도쿄에서 열린 ‘대만 지진 성금 모금 음악회’에 최승희가 출현한 사실을 통해 도쿄 문화 예술계 안에서 식민지 대만 지식인과 최승희가 교류한 흔적을 밝힌다. 대만 순회 공연 프로그램과 공연 전후 대만 지식인들의 논평, 공연 직후 대만인 및 재대 일본인 여성과의 좌담회 내용 등을 바탕으로 1936년 7월 최승희의 대만 순회 공연은 ‘무용’ 예술을 통한 ‘향토’ 문화 구현이라는 차원에서 당시 식민지 대만 문화 예술계에 큰 영향을 끼쳤음을 밝힌다.

      • KCI등재

        1920년대 식민지 대만(臺灣) 관립 고등여학교의 음악 교육: 타이베이제3고등여학교(台北第三高等女學校) 사례를 중심으로

        서승임 ( Seo Seung Im ) 한국음악학학회 2020 음악학 Vol.28 No.2

        1895년 청일전쟁 직후 일본의 첫 번째 식민지가 된 대만(臺灣)에서 서양식 음악 문화가 근대성을 상징하면서 다수의 대만인들과 관계하기 시작한 역사는 일본 제국의 근대 교육 체제와 긴밀하게 관계한다. 특히 식민지 대만의 대표적인 여자 중등 교육 기관인 타이베이주립 타이베이제3고등여학교(台北州立台北第三高等女學校)는 전국의 고등여학교 중 대만 여학생 비율이 가장 높은 학교로, 이 학교의 음악 교육은 일본의 식민 교육 체제하에서 다수의 대만 여학생들이 근대적인 음악 활동을 연행할 수 있었던 중요한 현장이다. 이 논문은 타이베이제3고등여학교를 주요 연구 대상으로 1920년대 식민지 대만의 관립 고등여학교 음악 교육이 활성화된 경위와 구체적인 음악 활동에 대해 탐색한다. 1922년 식민 지 대만의 교육령이 개정되면서 교내 음악 교육에는 급격한 변화가 일어났다. 1923년 일본 황태자 히로히토가 직접 학교를 방문해 여학생들의 창가 연행을 목도하는 등 대만총독부의 동화 정책이 본격적으로 시행되었고, 학교에서는 음악을 단순히 교내 규율을 위한 훈련 차원뿐만 아니라 대만여성 교육의 수준을 공개적으로 선전하는 용도로 이용하기에 이른다. 여기서 음악 연행을 직접 실행했던 대만 여학생들은 동화 정책에도 불구하고 대만 여성을 대표하여 음악적으로 진보되어야 한다는 기대와 끊임없이 협상해야 했다. 타이베이제3고등여학교를 졸업한 학생들의 음악 경험에 관한 글과 인터뷰는 교내 음악활동에 대한 학생들의 개인적인 열정과 일본의 동화 압력 사이의 미묘한 뉘앙스를 이해할 수 있는 중요한 역사적 단서들을 던져준다. 식민지 대만의 관립 고등 여학교 음악 교육에 대한 실증적 연구를 통해 동시대 식민지 조선의 음악 교육의 일면과 비교 연구할 수 있는 학술적 토대를 마련하고, 근대 음악 교육 연구에 있어 식민 구도 외에 젠더, 계급 등의 관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Under Japanese colonial rule, the cultivation of Western styled music in the modern educational system allowed Taiwanese to participate regularly in music activities. Under the radical social changes triggered by the colonial order, Western music emerged as a new medium for inter-regional, inter-ethnic mobility, especially in the education sector. The Taipei Municipal Third Girls School (台北州立台北第三高等女學校), one of the secondary school for girls students with the highest rate of Taiwanese out of other High Girls Schools (高等女學校) in Taiwan was a significant locale in which many Taiwanese girls engaged in musical activities in a “civilized” way by the Japanese educational policy. This study takes the Third Girls School’s music education as a research subject. A drastic change of music education in the Third Girls School occurred in the early 1920s by the revised second education ordinance in 1922, followed by His Imperial Highness of Japan’s visit to the school in 1923. A chain of political events performed by the Governor-General of Taiwan entailed a shift in using music at the Third Girls School not only as a tool of discipline but also as a demonstration to show off the “level” of Taiwanese women's education in public. Here, Taiwanese girl students located as principal musical agencies who carried out various musical activities and constantly negotiated themselves with inevitably confronted the pressure of being “advanced” musically. The historical documents regarding musical experiences of two students, Chen Zhao-zhi and Zhou Hong-long, provide significant clues to understand a subtle nuance between their ardor for practicing music and “the pressure of assimilation.”

      • KCI등재

        근대 일본 식민지 통치모델의 轉移와 그 의미 ― ‘臺灣모델’의 關東州ㆍ朝鮮에의 적용 시도와 변용 ―

        문명기 중국근현대사학회 2012 중국근현대사연구 Vol.53 No.-

        作为‘殖民帝国’日本的最初殖民地, 台湾算是近代日本殖民统治之典范。日本统治台湾过程所形成的重要特质如下: 1) 总督(府)体制 2) 政治上的排除与经济上的从属 3) 以彻底的旧惯调查为基础的旧惯温存政策 4) 为了各种文明化措施所需的雄厚的财政供应。这些特质之综合, 可以称呼‘台湾模式’。日俄战争的结果, 日本获得关东州, 台湾模式的奠基者儿玉源太郎跟后藤新平也尝试移植台湾模式到关东州, 但内外条件不太足够, 结果台湾模式的移植遭到挫败。1910年韩国合并之后, 朝鲜总督府也尝试台湾模式在朝鲜的再现。但是, 为了朝鲜统治所支出的实际统治经费远不如台湾, 结果朝鲜统治之‘统治效果’还比不上台湾统治, 还有把朝鲜社会处于长期低级开发的状态。本研究可能显示, 过度强调近代性在朝鲜之形成的殖民地近代化论跟殖民地近代性论的实际论据比我们想象会更薄弱。作者认为, 殖民地朝鲜社会的近代性, 可说是‘具体而微’。

      • KCI등재

        특집논문 : "문학 특집"이라는 식민지적 접촉의 위상학 -「조선(朝鮮),태만(台灣),중국신예작가집(中國新銳作家集))」(1936.1)과「조선현대작가특집(朝鮮現代作家特輯)」(1937.2)을 중심으로-

        신지영 ( Ji Young Shin ) 한국문학연구학회 2016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58

        본 논문은 1930년대 중반 「문학안내」에 실린 “문학특집”이라는 식민지적 접촉의 장에 초점을 맞춰, 프로 문학의 전향, 출판자본주의의 대두, 제국주의적 검열의 심화라는 세 가지 양상 속에서 ‘식민지 문학특집’의 장이 펼쳐졌음을 분석한다. 그리고 이러한 배치 속에서 ‘문학특집’에 수록된 작품들이 제각각 어떤 전략을 모색했는가를 원본(조선어)과 번역본(일본어) 사이의 차이를 통해서 살펴본다. 이때 제국/식민지 관계뿐 아니라, 제국 문단 속 대만과 조선의 위치가 서로를 어떻게 참조하면서 제국 문단을 내면화하고 또 제국 문단에서 비껴난 접촉의 공간을 형성했는가를 모색하려고 한다.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다. 첫째로 사회주의 문학자들의 전향, 출판자본주의의 대두, 아시아로의 제국주의적 침략의 그림자가 뒤엉킨 상황 속에서 ‘근로자 대중’이 직접 창작하는 문학을 목표로 하여 만들어진 1930년대 중반의 「문학안내」라는 잡지의 성격을 일종의 독자란인 「안테나」에 초점을 맞춰 규명한다. 둘째로 프로문학의 교조성을 탈피한 대중성, 출판 자본주의에 대한 비판, 근로자 대중의 현실에 기반하고 그들의 손으로 생산하는 문학, 엄격한 검열에 대한 경계라는 양상 속에서 1930년대 중반의 「문학안내」의식민지 문학 소개의 장이 만들어지는 과정을 보여준다. 이때 1935년 10월부터 시작된 「새로운 보고」란의 식민지 문학 소개가 1936년 1월호의「朝鮮·台灣·中國新銳作家集」 과 1937년 2월의 「朝鮮現代作家特輯」로 이어지는 과정을 중국, 대만, 조선의 관계성 형성 속에서 고찰한다. 이때 대만과 조선이 서로를 어떻게 참조하고 제국 문단의 위계를 내면화 하는가를 비판적으로 논한다. 셋째로 1937년 2월의 「朝鮮現代作家特輯」 에 실린 작품들의 한국어 원본과 일본어 번역본을 비교하여, 각각의 문학자들이 제국 문단에 소개되는 기회를 전략적으로 이용하여 어떤 지점을 드러내려고 했는가를, 각 문학자들이 지닌 내재적 논리(자본주의 비판, 식민지주의 비판, 식민지적 근대성 비판)를 통해서 드러내고, 이러한 논리들이 대만의 작가들의 전략과 어떤 공통점을 지녔는가를 시사한다. 결론에서는 이것이 1940년대에 이것이 문학전집으로 묶일 때 무엇이 배제되는가를 1937년 2월 「문학안내」의 문학 특집과의 관련성이 강하게 보이는 「朝鮮文學選集」(1~3)(赤塚書房, 1940)의 편집의도를 통해서 살펴본다. 그리고 문학 특집과 문학 선집과의 제도적 연계가 지닌 가능성과 한계를 1940년대라는 문단적 사상적 상황을 통해 드러내고, 1940년대에 만들어진 조선 문학 특집과의 비교가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했다. 1930년대 중반의 문단적 조건, 프로 문학의 전향, 출판자본주의의 대두, 제국주의적 검열의 심화라는 세 가지 양상 속에서 ‘식민지 문학특집’의 장은 펼쳐졌다. 그런 점에서 문학특집은 포섭과 탈주가 공존하는 장이었다. 이러한 배치 속에서 ‘문학특집’에 수록된 작품들의 원본(조선어)과 번역본(일본어) 사이의 차이를 비교해보면, 작가들이 제각각 지닌 논리(국제 사회주의 연대, 피식민지 지식인의 내면 묘사, 식민지 농촌 근대화 비판, 일본인들과의 다층적인 관계와 식민지 어촌, 하층민의 사투리) 등을 통해 번역했고 이것이 식민자로 하여금 새로운 소재=식민지 문학에 대한 호기심과 두려움을 동시에 갖는 원인이 되었다고 할 수있다. 또한 이때 제국/식민지 관계 뿐 아니라, 제국 문단 속 대만과 조선의 위치가 서로 경쟁하면서 상호 참조하는 과정을 밝혔다. In the middle of 1930’s, the proletarian literatures were undergoing conversions, the print capitalism was emerging and the imperial censorship was strictly imposed. Under the harsh circumstances, Bungaku annai [Literary guide] carried special literary issues. I examine the works in them with the focus on colonial contacts. I notice the different ways in which the works in them adopted the strategies for introducing themselves to the imperial world, while comparing the original versions with the translated ones. Besides, I look into the temporal space in which Choson and Taiwan interiorized imperial literatures by implicating each other and twisted or foiled them at the same time. Firstly, Bungaku annai aimed to produce and publish literary works created by laboring masses. It contained the section called “Antenna” which carried the readers’ opinions, which complied with the magazine’s plan. Thus, I deal with the sections to understand the nature and goals of the magazine. Secondly, I show the processes in which the magazine designed the introductory sections for the colonial literature, based on popularity free from the ideological code of proletarian creativity stemming from the laboring masses despite the harsh imposition of censorship. The introductory section named “Fresh Report”, which began in October, 1935, developed into “The Collection of New Writers from Choson, Taiwan and China,” which appeared in January, 1935 and “The Special Issue of Contemporary Writers from Choson,” in February, 1937. I consider the development and transitions in the light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China, Taiwan and Choson, with a critical discussion about the way how they implicated, compared and stratified one another. Thirdly, the works in “The Collection of New Writers from Choson, Taiwan and China” have their original versions and translated ones. Comparison between the two versions brings to light the way how the writers strategically utilized the chances to be introduced to the imperial literary world, and their criticism against capitalism, colonialism and modernity which they fostered in their inner minds. I suggest the logics and strategies the Taiwanese and Choson writers shared in common through making comparisons. Fourthly, there appeared “The Special Issue of Choson Literature” in the magazine Bungei [Literary arts] in July, 1940. It clearly shows the characteristic features in the early 1940’s, when the language, together with themes, was beginning to be incorporated into the imperial world and, thus, the “Choson” was “absent” from the colonial literary special issue. Then, writers were forced to write only in Japanese, whereas they, in the former days, could write in Korean and translate in Japanese. Here, they changed their strategies to represent their thoughts in the imperial literary situation. I treat the changing tactics they employed. Taiwan Koron [Taiwan opinion], which interiorized imperial literary systems, carried “The Special Choson Issue,” in December, 1943. None of the Choson writers, ironically, participated in arranging the Issue. However, Taiwan writers expressed their strong colonial emotions like competitiveness, empathy, jealousy and others toward the Choson literature and culture. By carefully looking into the Issue, I reify the colonial contacts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Taiwan and Choson. What is remarkable here are the situations in which the victims of imperialist’s violence sold out their suffering experiences (or imparting their information) to the metropole of the empire which inflicted damages on them and the situations in which the intellectuals in the diaspora resisted the centrality the metropole suggests and at the same time they interiorized the empire. Now we ask a question how they appropriate or avoid them. I examine them in terms of the relations between the colonizer and colonized as well as between the colonized themselves. Together with them, I discuss the strategies the writers made use of when they translated their works into Japanese and expound their literary logics while deflecting the imperialist’s intents.

      • KCI등재

        식민지시대 대만인과 조선인의 야스쿠니신사 합사

        文明基(문명기) 중국근현대사학회 2017 중국근현대사연구 Vol.76 No.-

        本文試圖探討日治時代臺灣人與朝鮮人的合祀靖國神社問題, 特別注意到在合祀靖國神社上不但日本人與臺灣人以及朝鮮人之間有明顯的差別, 而且臺灣人與朝鮮人之間也有差別. 旣往硏究只對植民地人之合祀問題分開考察, 而沒有結合兩個植民地人之合祀問題而綜合考慮, 因而沒有把握朝鮮人與臺灣人之間差別的眞正原因. 本文就是將兩個植民地人合祀問題結合而進行的實際上第一次硏究. 筆者首先對合祀者統計數字重新檢討, 發現1945年以前臺灣人與朝鮮人合祀者統計的錯誤而進行一些修正. 接下來集中探討爲何臺灣人最初合祀者在1943年出現而朝鮮人最初合祀者在1921年出現這個問題. 從原則來講, 合祀靖國神社本來沒有‘民族’(差別)規定. 所以不管哪一個民族, 只要適合合祀要件, 就應當要被合祀. 不過包括陸軍省與海軍省在內的日本政府沒有按照規定來處理合祀問題. 決定植民地人戰歿軍警是否合祀的過程裡面, 有三個主要行爲者: 第一是有權決定上申合祀與否的植民地最高行政長官(臺灣總督或朝鮮總督); 第二是實際決定合祀與否的日本陸海軍省; 第三是最終決定合祀與否的天皇. 圍繞1910-1911年在臺灣進行討伐土匪及生蕃過程中死歿的臺灣人巡査補24位的合祀與否問題, 在日本中央政府內進行一番激烈爭論. 結果陸海軍省同意合祀, 然後上申到天皇的裁決. 但出乎意外明治天皇沒有同意, 那24位臺灣人巡査補的合祀沒有實現. 1919年以前朝鮮的情況也一樣. 儘管適合合祀的朝鮮人戰歿軍警已經發生不少, 3.1運動以前朝鮮總督府或陸海軍省不肯將朝鮮人合祀靖國神社. 但3.1運動完全改變了有關合祀的日本政府態度. 包括鎭壓3.1運動當時死歿的憲兵在內的朝鮮人軍警之合祀從1921年開始實現. 《誠忠錄》以及各種報紙資料顯示, 1919年以前日本政府或朝鮮總督府對朝鮮人合祀問題並不主動ㆍ積極, 經過3.1運動, 他們才開始消除合祀上的差別. 筆者通過詳細的論證而得到如下的結論: 關于合祀靖國神社問題, 不同於部分日本人士的主張, 有明顯的民族差別; 可是植民地人的合祀與否, 不只是由總督ㆍ陸海軍省或天皇來決定, 植民地的政治社會變動如何也會影響到合祀問題. 這一點好好地說明臺灣人之合祀到1943年才實現, 而朝鮮人之合祀比臺灣更早(到1921年)就實現的眞正原因.

      • KCI등재

        일본 고고학 형성기의 식민지 고고학 : 초기 대만 고고학을 중심으로

        이기성(Yi, Kisung) 백산학회 2020 白山學報 Vol.0 No.118

        19세기 후반부터 본격적인 학문의 체계를 갖추게 된 일본 고고학은 초기부터 대만, 조선등의 식민지 고고학과 함께 시작되었다. 그리고 당시 일본 고고학에서 시작된 선사시대에대한 관심과 여러 학술적 논쟁들, 고분 발굴이 제한되어 있는 일본 고고학의 한계 등으로인해 대만과 조선은 일본 고고학에 있어 절호의 고고학 필드였다. 그러한 과정에서 일본 고고학은 동아시아에서 학문적 패권을 차지하기 위한 ‘제국주의 고고학’과 식민지배의 정당성을확보하기 위한 ‘식민지 고고학’의 성격을 모두 가지게 된다. 그러나 일제강점기에 실시된 고고학 조사는 대만과 식민지 조선에서 모습이 전혀 다르다. 조사의 결과는 식민지 고고학의 전형이지만 역사적 관계를 가지고 있어 완전한 ‘타자’ 일수는없었던 식민지 조선, 역사적 관계가 전혀 없기에 결국은 일본의 관학 고고학에서 관심이 멀어지고 일반인의 조사가 중심을 이루게 된 대만 등, 당시 일본 고고학의 관심 및 일본 고고학이식민지를 바라보는 시각에 따라 식민지 고고학의 모습이 결정된 것이다. 그렇기에 일본의 제국주의 고고학의 전체 모습을 구명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다양성의 배경과 그 흐름을 종합적으로 살펴보아야 할 것이다. 본고에서는 대만 고고학의 형성과정을 일본고고학과의 관계 속에서 살펴보아 일본 제국주의 고고학, 식민지 고고학이 가지고 있던 다양성을 검토하였다. In Japan, a study of archaeology began as an independent discipline since the late 19th century, and from the beginning, took on imperialistic nature. From the formative years of archaeological study in Japan, archaeological investigations started in the colonial Taiwan and Joseon, and these experiences had an immense influence on establishment of archaeological study in Japan. However, archaeological investigation of a colony showed widely different developments between Taiwan that had no historical link with Japan and Joseon that has forged a close historical tie with Japan since the ancient era. Since Taiwan became colonized by Japan in 1895, archaeological investigations by the Japanese began in Taiwan. It is noteworthy that the early investigations mostly focused on the stone ages in Taiwan and were conducted by ordinary people, not professional archaeologists. Also, the investigations did not delve deep enough to reach cultural interpretations, and remained at the level of merely introducing historic relics and sites. In the 1920s and afterwards, archaeological investigation in Taiwan began to drift away from the interest of Japanese imperialistic archaeology. However, the results of archaeological investigations conducted in Joseon greatly affected substance of archaeology in Japan, and even investigative methods, and the archaeological investigation by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continued until Japan lost the war. Archaeological investigations in Taiwan only aimed for efficiency of the colonial ruling, while it attempted to prove ‘historical view of colonialism’ in Joseon based on the historical ties, and these demonstrate diverse facets of imperial archaeology of Japa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