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아벨라르의 속죄론: 도덕감화설에 대한 비판

        이성림 ( Lee Sung Lim )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 신학연구소 2021 ACTS 신학저널 Vol.48 No.-

        아울렌은 1930년 속죄론에 대한 기념비적 연구를 발표하였다. 이 연구에서 그는 기독교 속죄론을 크게 세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첫 번째는 대속설이며, 두 번째는 보상설이며. 그리고 세 번째는 도덕감화설이다. 그러나 기념비적인 아울렌의 속죄론 연구에는 결점이 있는데 그것은 아벨라르의 속죄론을 주관주의적 모범주의로 축소하고 제한한 것이다. 이러한 왜곡은 아벨라르가 그리스도를 “위대한 스승과 모범”으로만 봤다는 아울렌의 잘못된 전제에서 기인한다. 그러나 아울렌의 주장과 달리 아벨라르는 “스승이며 모범”이신 그리스도를 본받아서 살아간다면 속죄가 이루어진다고 주장하지 않았다. 아벨라르의 속죄론에서는 칭의와 성화가 따로 떨어져 있지 않고 서로 연결 되어져 있다. 그에게 있어서 칭의 없는 성화는 눈먼 성화고 성화 없는 칭의는 허무한 칭의다. 아벨라르는 그리스도의 대속적 희생을 통해서 인간이 하나님과 화해할 수 있게 되었으며, 그렇게 하나님과 화해한 인간이 그리스도의 사랑의 삶을 살아갈 때 비로소 진정한 화해를 완성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아벨라르는 객관적 속죄이론이 중심이었던 이전 속죄론에 주관적 속죄이론을 더함으로써 속죄론을 좀 더 통전적으로 이해하고자 노력하였다. 주관적 요소의 결여된 속죄이해는 결국 성화의 결여로까지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아벨라르는 주관적 요소를 포함한 통전적 속죄론을 통해서 신자들의 신앙생활에 실제적으로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아울렌의 속죄론 연구에서는 아벨라르의 주관적 속죄론만 강조되었고, 이렇게 성립된 아울렌의 속죄론 연구를 토대로 한국 신학자들은 자신들의 속죄이론을 발전시키게 된다. 그리고 아직까지 아벨라르의 속죄론에 대한 비판적 재고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렇게 아벨라르의 속죄론이 도덕적 모범주의설로 오해하게 된 것은 자유주의 신학자 라쉬달의 잘못된 해석에 기인한다. 그는 아벨라르의 속죄론을 도덕감화설로 소개하면서, 아벨라르의 속죄론이야말로 가장 설득력 있는 기독교 속죄론이라고 극찬을 하였다. 이와 같은 찬사에도 불구하고 아벨라르는 도덕감화설을 주장한 적이 없기 때문에 아벨라르 신학에 대한 찬사는 잘못된 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비평적 방법으로 아벨라르의 속죄론에 대한 잘못된 오해와 편견을 바로잡고, 아벨라르의 속죄론을 아벨라르의 신학에 근거하여 재구성하려한다. 그리고 이러한 연구를 통해서 한국 교회와 신학계에 신앙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아벨라르의 사랑의 속죄론을 제공하려고 한다. Gustaf Aulen published a monumental study of the idea of the Atonement in 1930. He classified the Christian idea of the Atonement into three main types: the first was the ransom theory, the second the satisfaction theory, and the last the moral influence. However, there is a flaw in his study, which reduces and limits Peter Abelard’s idea of the Atonement to subjective exemplarism. This distortion originated from Aulen’s false premise that Abelard understood Christ only as “the great teacher and example.”However, contrary to Aulen’s assertion, Abelard did not claim that we are atoned by imitating Christ. In Abelard’s theory of the Atonement, justification and sanctification are not separate but interconnected. For him sanctification without justification is blind just as justification without sanctification is empty. Abelard argues that humans are reconciled with God through Christ’s redemptive sacrifice and that authentic reconciliation means that humans who have been reconciled with God should live the life of Christ’s love. Abelard articulates the holistic idea of the Atonement. Unfortunately, Aulen only singles out the subjectivity emphasized by Abelard, and most of theologians developed their theories of the idea of the Atonement without the critique of Aulen’s typology. Until now, there has been no critical reappraisal of Abelard’s idea of the Atonement. The liberal theologian Hastings Rashdall contributes to this misunderstanding of Abelard’s theory as moral exemplarism. He introduces Abelard’s theory of the Atonement as a subjective moral-influence theory while praising Abelard’s idea of the Atonement as the most persuasive one in the history of Christianity. In this paper, I plan to correct, in a critical way, the misunderstanding and prejudice of Abelard’s idea of the Atonement and reconstruct his theory holistically based on his whole theology. With this study, I believe that Abelard’s emphasis on love in the Atonement might help uplift authentic faith in Korean Christianity.

      • KCI등재후보

        리차드 박스터(Richard Baxter,1615-1691)의 "보편속죄론(Universal Atonement)"에 관한 고찰

        윤종훈 개혁신학회 2014 개혁논총 Vol.31 No.-

        Richard Baxter, as one of the representative Puritans in 17th Century in England, opened up new vistas on the theory of Universal Atonement in controversy with John Owen, the mainstay of the Reformed Puritans. This Paper examines and demonstrates on those who influenced the formulation of Baxter's universal atonement, and the theological meaning and intent or extent, necessity of his doctrine of atonement, on account of the fact that Baxter's atonement theory provided a background for his Justification by Faith alone. Baxter was opposed to Antinomianism and its stress on Christians having no responsibility to keep the law of God because they have been made perfect in Christ, and need only to believe. And also he was opposed to Calvinism and its emphasis on unconditional election, double predestination, and limited atonement; which stressed that man's role in salvation is incidental or secondary. Baxter demonstrates that the effect of the atonement is that the satisfaction made by Christ was made equally for all man universally and generally so that all men are conditionally saved, and are actually saved if and when they do sincerely believe. 본 논문은 후기 청교도 역사를 선도하였던 존 오웬의 전통적인 제한속죄론에 반기를 들고 보편속죄론을 제창하였던 리차드 박스터의 속죄론의 이론적 근거와 배경 그리고 요지와 범위를 다루고 있다. 박스터의 속죄론은 그의 칭의론을 결정하는 매우 중요한 이론적 배경을 이루고 있다. 박스터의 속죄론 사상은 Thomas Aquinas(1225-1274), Johannes Duns Scotus( 1266-1308), William of Ockham(1300-1360) 그리고 Richard Sibbes, James Ussher로부터 상당한 영향을 받아 형성되었다. 특히 박스터는 어셔를 통해 신학의 다양성과 연합 및 일치의 중요성을 부각하였고, 그의"보편속죄론"은 Hugo Grotius(1583-1645)와 스코틀란드 출신의 John Cameron(1579-1623)과 프랑스 소뮈르 학파(French School of Saumur)의 직접적인 영향아래 놓여있다. 박스터는"Universal Redemption"를 통하여 그의 보편속죄론을 제시하였다. 그는 그리스도, 하나님 모두 율법에 대한 입법자이자 통치자의 면과 절대주인의 부분을 구별해야하며, 통치자 그리스도와 은혜수여자로서의 절대소유자를 구분해야 하며, 사건의 본질과 사건으로 인한 권한과 책임을 구분해야하고 자연과학과 윤리학을 구별해야함을 강조하였다. 이러한 박스터의 사상적 배경에는 하나님의 은혜와 인간의 책임 즉, 은혜를 베푸시는 하나님은 동시에 우리에게 도덕적 책임을 요구하시는 하나님이심을 논증하기 위해 두 개의 속성들을 열거한 것이다. 이러한 박스터의 이중구조적 신학체계는 성경에 근거하기 보다는 자신의 정치적 또는 철학적 사고방법론에 근거하고 있다. 이처럼 박스터는 자신의 이 중구조론에 입각한 보편속죄론을 완성하기 위해 인간의 책임부분으로서의 "믿음 즉 신앙'을 강조하였다. 전통적인 개혁주의 노선에 입각한 청교도 신학의 속죄론은 그리스도의 속죄의 충분성과 유효성을 구분하여 그 유효성은 오직 하나님의 주권적인 의지에 입각하여 실행됨을 주장하였지만, 박스터는 이 속죄를 유효하게 하는 충분성의 결정 요인을 하나님의 주권적인 의지보다는 사람의 회개와 믿음이라는 조건에 달려있음을 강조한 것이다.

      • KCI등재후보

        조나단 에드워즈의 속죄론: 스티븐 웨스트의 속죄론과 비교해 본 에드워즈의 객관적, 주관적 속죄 측면 사이의 균형

        박재은 ( Jae Eun Park ) 개혁신학회 2015 개혁논총 Vol.33 No.-

        다양성이 공존하는 조나단 에드워즈 (Jonathan Edwards, 1703-1758)의 속죄론연구 방법들 가운데서, 아무도 에드워즈의 속죄론을 효율적인 해석학적 도구(tool)인“객관적 속죄”(objective atonement) 그리고“주관적 속죄”(subjectiveatonement) 측면의 빛 아래서 연구하지 않았다는 것은 새롭다. 사실 교회 역사 가운데서 벌어진 수많은 속죄론 논쟁들은“객관적 속죄”와“주관적 속죄”의 관계성에 대한 의식 부재, 혹은 두 컨셉 사이의 상이한 대립, 혹은 둘 중에 하나를 불필요한 것으로 보는 불균형적인 시각에 의한 결과로 빚어졌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본고는 에드워즈의 속죄론을“객관적 속죄”와“주관적 속죄”의해석학적 틀 가운데서 과연 에드워즈는 이 두 측면을 균형 잡힌 시각으로 보고있는가 혹은 그 반대인가라는 질문을 상정하여 살펴볼 것이다. 특별히 에드워즈의 신학적 상속자들 가운데 하나인 스티븐 웨스트 (Stephen West, 1735-1819)의 속죄론과 에드워즈의 속죄론을 비교분석함으로써 에드워즈 속죄론이 웨스트의 속죄론과는 다르게 객관적, 주관적 속죄의 균형성을 잘 유지하고 있음을 살펴볼 것이다. 즉, 웨스트의 속죄론은 형벌론 (penal theory)과 그로티안적 도덕통치설 (Grotian moral government theory)이 변칙적으로 섞임으로 객관적 속죄와 주관적 속죄의 균형이 깨지고 있음이 드러날 것이고, 이와 반대로 에드워즈의 속죄론은 객관적 속죄 측면으로 만족설 (satisfaction theory)과 형벌 대리설(penal substitution)이 순수한 의미로서 존재하고, 주관적 속죄 측면으로서는 “그리스도와의 연합”(unio cum Christo)의 모티브가 그리스도의 속죄 가운데서 중요하게 작용함으로써 두 측면 간의 균형이 잘 이루어지고 있음을 보게 될 것이다. Within the methodological diversities regarding the study of the atonement of Jonathan Edwards (1703-1758), no one has paid particular attention to both aspects of atonement―viz., objective and subjective―for interpreting Edwards’ atonement, despite the fact that it has been regarded as an effective hermeneutic tool in the theological field of the atonement. In fact, it is not too much to say that the doctrine of atonement has been filled with either a sharp conflict or a harmonization between these two aspects from the patristic era to the modern era. Nevertheless, when comparing the theological continuity and discontinuity between Edwards’ and his successors’ atonement through many scholars, this dual hermeneutic tool, unfortunately, also has been paid scant attention. Thus, in this study, Edwards’ atonement will be investigated and evaluated by applying this dual hermeneutic tool in oder to figure out whether Edwards’ view of atonement is a one-sided view or a well-balanced view between the objective and subjective view. Also, in order to accentuate the characteristic of Edwards’ atonement based upon analysis by applying the dual hermeneutic tool, the atonement of Stephen West (1735-1819) will be examined within a comparative context to Edwards’. Throughout this study, the theological differences between Edwards’ and West’s atonement will finally be revealed. That is, whereas West’s atonement loses its balance between the objective and subjective atonement as having the irregular fusional form mingled between the penal and the moral Governmental or Grotian theory, Edwards’ atonement retains its balance between the objective and subjective atonement by respectively and purely holding the idea of satisfaction and penal substitution (as the objective aspect) as well as of uniocum Christo (as the subjective aspect).

      • KCI등재후보

        칼 바르트의 속죄론과 보편구원론

        우병훈 ( B Hoon Woo ) 개혁신학회 2014 개혁논총 Vol.32 No.-

        바르트가 보편구원론을 주장하는가 아닌가 하는 문제에 대해서는 -그의 신학의 다른 주제들과 마찬가지로- 다양한 답변들이 주어졌다. 어떤 학자들은 바르트가 보편구원론자가 아니라고 주장하며(조셉 베티스, 존 콜웰), 다른 학자들은 그가 보편구원론자라고 주장하고(한스 우르스 폰 발타자르, G. C. 베르카워, 올리버 크리스프), 또 다른 학자들은 바르트가 그 문제에 대해서는 일부러 답하지 않고 남겨 두었으며 그의 구원론은 보편구원론과 그렇지 않은 것으로 양분시키는 틀에 끼워 넣을 수 없다고 한다(T. F. 토런스, 조지 헌싱어). 본 논문은 바르트의 속죄론은 필연적으로 보편구원론에 봉착할 수밖에 없음을 증명하고자 한다. 이때까지의 학계에서는 바르트의 보편구원론이라는 주제에 대해서 주로 그의 예정론에 집중하여 연구해 왔다. 하지만 이 논문에서는“바르트가 안셀무스의 속죄론을 어떻게 수용하며 또한 어떻게 반대하고 있는가”를 살펴봄으로써 이 문제에 접근하고자 한다. 이 점이 이 논문의 기여이다. 『로마서 주석』에서 바르트는, 하나님께서 자신의 명예를 실추시킨 자들을 반드시 벌해야 한다는 안셀무스의 명제를 받아들인다. 『교회교의학』I/2에서 바르트는 안셀무스의 Cur Deus Homo의 주장을 따라 성육신에 있어서 하나님의 자유를 옹호한다. 하나님은 타락한 인간을 구원하실 수도 있고, 벌하실 수도 있는 자유를 가지신다. 하지만 인간을 구원하시기로 스스로 결정하신 이상하나님의 지혜에 가장 맞는 방법은 오직 성육신하신 신인(神人)을 통해서 구원하시는 길이다. 이와 같은 안셀무스의 속죄론이 하나님의 자유와 그리스도의성육신의 필요성 모두를 잘 설명해 준다고 바르트는 믿는다. 이러한 논조는『교회교의학』II/1에서도 이어진다. 바르트는 안셀무스에 동의하면서, 인간의 죄는 단지 신적 용서라는 자비의 행위로만으로는 제거되지 않는다고 주장한다. 바르트는 그러나『교회교의학』IV/1에서 안셀무스의 속죄론과 결별하기 시작한다. 속죄론을 지나치게 기독론화 함으로써, 바르트는 객관적 속죄론(혹은 보편적 화해론)의 입장으로 점점 기울어진다. 안셀무스가 하나님의 존엄과 신적 의지의 자유 모두를 확고하게 견지한 지점으로부터 바르트는 떠난다. 이제『교회교의학』IV/1의 바르트는 다만 하나님의 자비의 필연성만을 강조할 뿐이다. 하나님의 자비와 하나님의 정의 사이의 관계에서는 언제나 하나님의 자비가 주도권을 잡는 방식으로 역사하며, 그런 방식으로 하나님의 자비와 하나님의 정의는 일치된다고 바르트는 주장한다. 이것은 하나님의 자비와 하나님의 정의를 대등하게 보고 둘 사이의 균형을 잡는 안셀무스의 속죄론의 기본 논조를 떠난 것이다. 이렇듯, 바르트가 안셀무스의 속죄론을 수용하고 배제하는 과정을 고찰해 본다면, 후기 바르트의 속죄론은 보편구원론을 내포하고 있음을 알게 된다. This essay aims to argue that Karl Barth`s doctrine of the atonement necessarily leads to universalism. It seeks to prove the thesis by observing Barth`s reception of Anselm`s doctrine of the atonement. Barth`s doctrine of objective atonement develops as he distances himself from Anselm`s doctrine of the atonement. In his Romerbrief, Barth endorses Anselm`s idea that God who is robbed of his honor must punish those who robbed him. In Church Dogmatics I/2, Barth advocates divine freedom in the incarnation with the support of Anselm`s Cur Deus Homo. Barth holds that Anselm`s doctrine of the atonement preserves both God`s freedom and the necessity of Christ`s incarnation. The positive endorsement of Anselmian motives in Cur Deus Homo continues in Church Dogmatics II/1. Barth maintains with Anselm that the sin of humanity cannot be removed by the merciful act of divine forgiveness alone. In Church Dogmatics IV/1, however, Barth`s doctrine of the atonement diverges from that of Anselm. By over-christologizing the doctrine, Barth completes his formulation of objective atonement. He finalizes the necessity of God`s mercy at the place where Anselm firmly establishes the dignity and freedom of the will of God. In Barth`s view, God`s mercy is identified with God`s righteousness in a distinctive way where God`s mercy always takes the initiative. The change in Barth`s reception of Anselm`s doctrine of the atonement shows that Barth`s doctrine entails support for universalism.

      • KCI등재

        속죄론과 관련해서 본 함석헌의 예수 이해

        박경미(Park Kyung-Mee)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05 신학사상 Vol.0 No.131

          이 글에서는 함석헌의 예수 이해를 중심으로 그의 기독교 사상의 독특성을 밝혀보고자 했다. 함석헌의 예수 이해는 속죄론에 대한 서술에서 가장 분명하게 드러나며, 그가 본격적인 신학적 논쟁을 하고 있는 것도 이 주제다. 그의 예수 이해는 "예수는 어떤 인물이었는가?"라는 객관적 질문보다 "예수는 내 안에서 어떤 변화를 일으키는가?"라는 실존적 질문에 더 많이 집중되어 있고, 속죄론에 대한 논의에서 그의 그리스도론적 진술이 본격적으로 전개된다. 따라서 자연스럽게 이 글에서는 그의 속죄론과 관련하여 예수 이해의 특징들을 밝혀보고자 했다.   함석헌은 하나님을 우주 속에 흐르는 내적 관련성, 우주의 정신적 의미로 본다. 그는 이를 요한적 언어를 사용하여 영원한 생명이라고도 부른다. 하나님은 우주의 마음이다. 그리고 우주의 마음으로서 하나님은 내 속에 들어와서 자리잡고 나를 저 안 밑바닥에서부터 변화시키고 일으켜 세운다. 그러나 내 안에 들어온 우주의 마음과 내 마음이 하나가 되는 경지에까지 이르지 않고서는 스스로 일어설 수 없다. 함석헌의 사상에서 죄와 예수, 하나님에 대한 모든 논의들은 스스로 함, 주체성의 함양이라는 한 가지 목표에로 귀착된다. 그리고 이러한 스스로 함이 일어나는 자리는 내 마음이다. 내 마음이 이 우주와 역사의 마음, 곧 하나님의 숨과 일치했을 때 스스로 하는 위대한 인격이 탄생하며, 예수는 여기 이르는 것이 가능하며, 그 길이 어떤 것인지를 우리에게 보여준 인물이다.   This study aims to clarify the distinctiveness of Ham, Sok-hun"s christian thoughts, an underlying force of his christian practice, by analysing his understanding of Jesus throughout his writings. Ham"s understanding of Jesus became most clearly revealed when he wrote on the Jesus"s expiation of sins and here is, more than anywhere else, where he was involved in severe theological debates. What led Ham"s way of understanding of Jesus was not the question of "Who was Jesus?", but that of "Who is Jesus for me, here and now?", which seemed existential rather than theoretical in its origin. Ham"s speculation on christology also begins to develop from his discussion on atonement. For these reasons, I shall clarify the distinctiveness of Ham"s understanding of Jesus in relation to his understanding of the atonement through this study.   According to Ham, God is the one who gives to the universe the inner appropriateness and meaning. What"s more, God herself can be said as the relevance, or the meaning that runs through the universe. God is the heart of the universe. God as the heart of universe comes to me and dwells inside of me. Unless the heart of universe and the heart of mine become one, hower,  I cannot stand up on my own. Ham"s christian thought, and all of his argument on sin, Jesus, and God converges into a single aim of enhancing the spontaneity of my heart. When the heart of mine coincides with the heart of universe and history, in other words, with the breath of God, the birth of great spontaneous personality can be given to this earth. Jesus is the one who showed us the fact that it is possible and the way how it is posible.

      • KCI등재

        속죄론적 십자가 죽음 이해에 대한 비판적 논고

        박만 ( Mann Park ) 한국조직신학회 2014 한국조직신학논총 Vol.39 No.-

        성경은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죽음으로 인해 죄와 삶의 질곡은 극복되었고 인간 구속은 완성 되었다고 말한다. 하지만 왜 혹은 어떻게 예수의 십자가 죽음이 인간을 그의 죄와 곤궁에서 해방하는가에 대해서는 신약 성경에 여러 이해들이 공존하고 있으며 교회사에서도 이 주제와 연관된 다양한 이론들이 나타났다. 스웨덴의 신학자인 구스타프 아울렌(Gustaf Aulen)은 이런 이해들을 고전적 유형, 라틴적 유형, 주관적 유형의 세 가지로 나누어 설명하였다. 그런데 아울렌이 분류한 이해 중 한국 교회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은 예수의 십자가 죽음을 하나님의 깨어진 영예나 죄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죽음으로 보는 라틴 유형 및 그 영향 속에 형성된 형벌 대속론적 이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예수의 죽음에 대한 이런 이해는 오늘날 크게 세 가지 측면에서 비판 받고 있다. 이 글의 목적은 이런 세 가지 비판들을 검토하는 가운데 속죄론적 해석을 보완하는 길을 모색하는 데 있다. 구체적으로 이 글은 다음의 두 가지를 말하였다. 첫째, 예수의 십자가 죽음을 희생제물의 죽음이 자 속죄적 죽음으로 보는 관점은 몇 가지 약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분명한 성경적 근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계속 고수되어야 하되 그것이 심판 아닌 하나님의 무한한 은혜의 표현임이 말해져야 한다. 둘째, 속죄론적 해석만으로는 예수의 십자가 죽음의 의미를 다 밝혀낼 수 없기 때문에 다른 이해들로 보완될 필요가 있으며 특히 한국 사회의 정황에서 볼 때 예수의 삶과 십자가 죽음을 사탄(구조화된 악의 힘)에 대한 승리로 보는 관점을 더 강조할 필요가 있다. The Bible states that we humans are sinful and this sinfulness has separated us from God. Yet the Bible also confirms that in and through the death of Jesus we are forgiven and the penalty of sin has forever eradicated. However, the New Testament does not present a single answer about how and why the death of Jesus is salvific and thus there have been numerous views and models to explain the soteriological meaning of the cross. Gustaf Aulen summarized these views as classic type, Latin type, and subjective type. Among them the Korean Church in general accepts the Latin type, that is, the Anselmian satisfaction/penal substitution model which considers the death of Jesus as a sacrificial offering to propitiate/ expiate God. However, many theologians of today challenge this dominant view. This paper surveys and evaluates these criticisms. It con tends that although the Latin type has some weakness in explaining the meaning of the death of Jesus, it must be preserved as an important understanding of the meaning of the cross in that it has a firm biblical basis. Furthermore, this paper argues that some modified Christ the Victor model(the classic type), which sees the life and death of Jesus as the victory over Satan(structural evil), needs to be more emphasized for the renewal and transformation of the Korean Church.

      • KCI등재

        우치무라 간조의 속죄론 연구

        양현혜(Hyun-Hea Yang) 연세대학교 신과대학(연합신학대학원) 2015 신학논단 Vol.79 No.-

        Uzimura Kanzo who was grown up in a pantheist world converted into Chistianity that he understood as a monotheism. As a Christian he had struggled to achieve the salvation through completing his morality, ending up to realize that as a human being he was not deserved to be saved without grace. After all, he accepted the doctrine that the redemption from sins could be achieved not by a work but by a faith as ‘the Truth.’ Based on such process of his thinking and practicing, he had developed his redemptive faith and redemption theory in his book, Gu An Rok(求安錄: meaning a record of salvation and peace). He argued for the undeserved-ness of human beings and divine initiative for the salvation and expanded his notion of salvation into generalized salvation for all humanity, based on his own theory of ‘atonement redemption’. For him, salvation was not the matter of human beings. He also argues for ‘objective grace’, meaning no one could be escape from the love of God. Such his thought could be interpreted into the statement of his faith that he, ‘a sinner of sinneres’, had been saved. Uzimura, in his redemption theory, argued that the justice and love of God was not dualistic but united on the cross of Jesus Christ. He said that as for the relationship of salvation and morality, the latter was not the precondition for the former, but had to be the consequence of it, enabling to maintain the balance between the divine heteronomy and human autonomy. Uzimura Kanzo who was grown up in a pantheist world converted into Chistianity that he understood as a monotheism. As a Christian he had struggled to achieve the salvation through completing his morality, ending up to realize that as a human being he was not deserved to be saved without grace. After all, he accepted the doctrine that the redemption from sins could be achieved not by a work but by a faith as ‘the Truth.’ Based on such process of his thinking and practicing, he had developed his redemptive faith and redemption theory in his book, Gu An Rok(求安錄: meaning a record of salvation and peace). He argued for the undeserved-ness of human beings and divine initiative for the salvation and expanded his notion of salvation into generalized salvation for all humanity, based on his own theory of ‘atonement redemption’. For him, salvation was not the matter of human beings. He also argues for ‘objective grace’, meaning no one could be escape from the love of God. Such his thought could be interpreted into the statement of his faith that he, ‘a sinner of sinneres’, had been saved. Uzimura, in his redemption theory, argued that the justice and love of God was not dualistic but united on the cross of Jesus Christ. He said that as for the relationship of salvation and morality, the latter was not the precondition for the former, but had to be the consequence of it, enabling to maintain the balance between the divine heteronomy and human autonomy.

      • KCI등재후보

        A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Divine Violence in the Atonement and Human Violence

        김규보 개혁신학회 2019 개혁논총 Vol.49 No.-

        One of the most significant practical criticisms regarding the atonement in the last decades is that the violence within traditional atonement theories seems to promote human violence. This paper argues that the acceptance of divine violence in the atonement does not promote human violence, since divine violence in the atonement is properly understood only in the context of divine love and it pertains only to God. To support the argument, this study assesses hypotheses of J. Denny Weaver, as a representative for nonviolent scholars. Weaver first assumes that within atonement theories acknowledging divine violence, God’s image is violent. Second, he supposes that the violent image of God revealed in the divine violence of the atonement ha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human violence. He asserts, therefore, that assuming divine violence in the atonement reinforces human violence. Against Weaver, this inquiry first argues that the true image of God in the act of the atonement is that of a loving God, since the “violence” in the atonement rises only in the context of working out God’s perfect love. Second, it also argues that divine violence in the atonement is redemptive violence only pertaining to God, and therefore it eventually stifles human violence.

      • KCI등재
      • KCI등재

        억압의 공간, 화해의 공간

        박종환(Jong Hwan Park) 한국기독교학회 2014 한국기독교신학논총 Vol.92 No.-

        French anthropologist Rene Girard takes very strong stance on the religious legitimization of social violence. Girard argues that mimetic desire gives rise to latent hostility within a group and that mounting aggression is then alleviated by the "scapegoat mechanism," through which collective anger is displaced onto a random individual, for whom the sacrificial victim is the acknowledged replacement. For theologians, Girard`s theory is significant and evocative in under- standing the ambivalent facets of sacrifice because theological debates about sacrifice are naturally directed at the violence inherent in it. The subject of sacrifice has been a scandal in the theological sphere and includes many complicated issues. This paper argues that the sacrifice narrative has been used to legitimize another sacrifice of marginalized groups in our society. We have seen how the same nar- rative can produce totally different ethics and actions according to who is doing the interpretation. The same narrative can be seen in contradictory ways according to its context and different interpreters` ideology and theology. This is why the surrogate victim mechanism creates ambivalence in terms of violence. Girard` theory of sacrifice has ambivalent implications in terms of the legitimization of violence and power in soci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