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계획행동이론을 적용한 소비자 불매운동 유형별 분석

        제미경(Jae, Mie-Kyung),전향란(Jeon, Hyang-Ran) 한국소비문화학회 2013 소비문화연구 Vol.16 No.4

        The act of a consumer boycotting a company or product by refusing to use or buy a product to exercise negative pressure is a way of expressing an opinion. It is an ethical consumer behavior displayed by consumers who feel there is a problem with the goods that they are buying or using; the consumer converts this view into an action. Consumer boycotts are usually done in large groups, and because they have a negative effect, economically and socially, on the target, research on ways to prevent and deal with boycotts is in demand.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find factors that determine the effects consumer boycotts have, and to find any relationships between the effects of the variables and participation in boycotting following the “extended theory of planned behavior” (ETPB).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with 500 adult consumers, 20 years or older,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subjective norm, consumer efficacy, and reference groups were found to be variables with major influences on consumer boycott intentions. Second, participation in consumer boycotting could be largely categorized into private, public, and online, and the importance of the variables differed in these three categories. Third, consumer boycotting was an ethical consumption issue that could be explained readily through ETPB. These results contribute academically to explaining consumer boycotting through applying ETPB, and can also be used as basic reference data in relation to countermeasures against consumer boycotts. 최근 온라인 환경의 일상화와 함께 소비자 불매운동에 대한 개인의 자발적인 참여 및 참여촉구가 빠르게 확산되어 소비자 불매운동이 시공간을 넘어 잦아지고 있다. 소비자 불매운동은 소비자가 윤리적 필요성에 의해 자발적으로 여론을 형성하여 현대사회에서 발생하는 소비자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윤리적인 소비행동 중 하나로 볼 수 있다. 이 연구는 소비자 불매운동 참여행동을 유형화하고, 확장된 계획행동이론을 근거로 소비자 불매운동의도와 참여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살펴보고, 영향력이 있는 변수와 불매운동 참여행동 간의 인과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만 20세 이상의 성인소비자 5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관적 규범, 소비자 효능감, 그리고 준거집단이 소비자 불매운동 의도에 상대적으로 영향력이 높은 변수로 나타났다. 둘째, 소비자 불매운동 행동유형은 사적 참여행동, 공적 참여행동, 온라인 참여행동의 세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으며, 각 유형별 참여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의 상대적인 중요도는 차이가 있었다. 소비자 불매운동에 대한 사적 참여행동은 소비자 불매운동 의도가, 공적 참여행동과 온라인 참여행동은 준거집단이 상대적으로 영향력이 큰 변수로 나타났다. 셋째, 확장된 계획행동이론을 적용하여 소비자 불매운동 참여행동을 경험적으로 입증하였는데 불매운동에 대한 소비자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 외에 소비자 효능감과 준거집단과 같은 추가된 설명변수를 통해 소비자불매운동 참여행동을 설명하였다. 이 연구는 소비자학 측면에서 불매운동이 소비자에게 사회적으로 책임 있는 행동을 하는 윤리적 소비행위라고 인식시키고 소비자교육과 소비자운동의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기업경영 측면에서는 소비자들의 불매운동에 대한 인식을 파악함으로써 소비자의 입장에서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고려한 윤리경영에 대한 기준을 마련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소비자 악성행동이 다수 일반소비자의 기업태도에 미치는 영향 : 성별을 중심으로

        박기경,이은영 한국마케팅관리학회 2019 마케팅관리연구 Vol.24 No.4

        Recently many companies have paid attention to jaycustomers’ behaviors and coped with them. It is important to pay attention to jaycustomers’ behaviors because those behaviors affect the average customers in negative way. In order to understand the impact of jaycustomers’ behaviors on firms, this research investigated jaycustomers’ behavior, the impact of their behavior on general customers, and the interaction of the observer’s gender. According to our hypothesis, we predicted that the attitude toward the firm would differ according to the observer’s gender, the male customer would not be affected by jaycustomers’ behavior while female customer would be affected by jaycustomers’ behavior and would have less favorable attitude toward the firm when they were disturbed by jaycustomers’ behavior. The hypotheses were tested on the base of experiment via scenarios. As a result, male customers did not show different responses regarding jaycustomers’ behavior and the extent of affliction on them between control conditions. On the contrary, female customers showed lower attitude toward the company when they saw jaycustomers and were disturbed by them. Moreover, for female consumers, empathy toward jaycustomers played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mpact of jaycustomers’ behaviors on company attitude. This research gives useful informations in dealing with jaycustomers’ behaviors. That is, since the jaycustomers disturb and give negative impact to general consumers, it is important to focus on the reaction of general consumers. Especially, service companies not only have to concern on dealing with jaycustomers but also have to concern on dealing with general consumers observing jaycustomers’ behavior. 본 연구는 소비자 악성행동이 기업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기 위하여, 악성소비자의 행동과 이를 접하게 되는 다수의 일반소비자에게 미치는 피해정도, 그리고 일반소비자의 성별이 어떤 상호작용을 하는지 살펴보았다. 본 연구 모델에 의하면, 소비자 악성행동이 발생할 때 이를 목격하는 일반소비자의 성별에 따라 기업태도가 달라질 것으로 예상하였다. 구체적으로, 남성 소비자는 소비자 악성행동으로 인하여 기업태도에 차별된 반응을 보이지 않는 반면, 여성 소비자는 악성행동을 접한 조건과 그로 인한피해정도가 높은 조건에서 덜 호의적인 기업태도를 보일 것으로 예상하였다. 이러한 상호작용 효과는악성행동을 하는 소비자에 대한 공감정도가 매개할 것으로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시나리오에 기반한실험법으로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남성 소비자는 악성행동의 관찰 유무와 그피해 정도에 따라 기업태도가 다르게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 여성 소비자는 악성행동을 접한 조건과악성소비자로 인한 피해가 크다고 지각되는 조건에서 더 부정적인 기업태도를 보였다. 그리고 예상대로악성소비자가 처한 상황에 대한 공감이 매개역할을 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악성소비자 행동이다수의 일반소비자들에게 피해를 준다는 면에서 기업에게 악성소비자의 행동을 접하게 되는 일반소비자의 반응에 주목하여 대처할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소비자의식 유형이 비윤리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 악성불평행동에 대한 인식을 매개변수로

        홍지현(Hong, Jihyun),허경옥(Huh, Kyungok) 한국소비문화학회 2017 소비문화연구 Vol.20 No.2

        본 연구는 소비자의식 유형에 따른 악성불평행동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고, 이에 따른 비윤리적 행동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주요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소비자의식 유형은 주권의식, 소극적 의식, 공동체의식, 소비자 편향적 의식으로 분류되었다. 둘째, 소비자의식 유형이 악성불평행동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주권의식과 소비자 편향적 의식 성향이 높고 소극적 의식 성향이 낮은 소비자일수록 악성불평행동에 대한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비윤리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살펴본 결과 소비자 의식 유형 중에서 주권의식, 소극적 의식, 소비자 편향적 의식이 비윤리적 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고 악성 불평행동에 대한 인식은 비윤리적 행동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악성불평행동에 대한 인식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악성불평행동에 대한 인식은 주권의식과 소극적 의식이 비윤리적 행동에 주는 영향을 부분적으로 매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주권의식과 소극적 의식이 악성불평행동에 대한 인식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며 비윤리적 행동에 직접적 그리고 간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 소비자들의 건전한 소비자의식과 악성불평행동에 대한 인식을 바로 정립하기 위해 소비자, 정부, 기관 및 단체, 기업의 기본적인 역할은 소비자의 전반적인 비윤리적 행동에 대한 사후대책 보다도 예방 차원에서의 소비자의식 교육 및제도적 장치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study consumer awareness toward malicious complaint behavior and its’ effect on unethical behavior based on different types of consumer consciousness. We first determine different types of consumers depending on consumer consciousness. Then we examine determinants of consumer awareness toward malicious complaint behavior and also the determinants of unethical behavior. Our results are as following. First, consumers are classified into four types based on consumer consciousness: awareness on consumer rights, passive consumer, community sentiment consumer, and fairness consumer. Secondly, consumers who were highly aware of consumer rights and fairness had higher awareness toward malicious consumer complaints, whereas the awareness were lower for passive consumer. Thirdly, consumers who had higher awareness against malicious consumer complaints exhibited less unethical behavior. Fourthly, consumer awareness toward malicious complaint behavior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wareness on consumer rights, passive consumer and unethical behavior. In order to establish proper consumer awareness against the negative aspects of comsumer complaints, the fundamental roles of four agents including consumer, government, company, and institutions or organizations are required to develop policies and education programs on consumer consciousness by focusing on preventive aspects.

      • KCI등재

        한,중 소비자의 소셜커머스 이용 불평행동 및 재구매의도에 관한 연구

        주혁균 ( Yi Jun Zhou ),류미현 ( Mi Hyun Ryu ),이승신 ( Seung Sin Lee ) 한국소비자학회 2012 소비자학연구 Vol.23 No.2

        최근 한국과 중국의 소셜커머스 시장은 급속도로 확산되고 있으므로 이에 따른 다양한 유형의 소비자문제들이 발 생하면서 소비자들의 불만이 급증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 중국소비자를 대상으로 소셜커머스 이용시 가장 불만족한 유형을 비교하고, 불만 경험 시 불평행동의 유형별 정도를 파악해보고자 한다. 또한 한국, 중국소비 자들이 각각 소셜커머스를 이용하여 재구매의 의도가 어느 정도 있는지와 재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무 엇인지 비교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은 한국과 중국의 소셜커머스 이용에 있어 소비자 측에서는 양국 소비자들의 불만을 최 소화하고, 만일 소비자들이 불만족이 있다면 적극적인 불평행동을 유도할 수 있는 소비자교육의 기초 자료를 제공 할 것이며, 소비자들의 무분별한 재구매를 감소시키고 정확한 판단 아래 재구매행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아 울러 기업 측에서는 소비자들의 불만족 및 불평행동을 파악하여 고객만족 및 재구매의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특 히 중국 진출 기업에게는 유용한 정보제공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연구결과, 첫째, 소셜커머스 소비자불만족은 한국보다 중국소비자들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하위영역인 사전 기대불일치불만, 모바일 및 결제서비스불만, 사후서비스불만의 세 영역 모두 중국소비자의 불만이 더 높게 나타났 다. 둘째, 한·중 소비자의 소셜커머스 소비자불평행동은 한국보다 중국 소비자들이 사적, 공적불평행동 모두 더 많 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소비자가 한국 소비자보다 소비자불만족과 소비자불평행동이 높은 것은 아직까지 중국에서 소셜커머스에 대한 구체적인 정책이나 법률의 부재로 인한 결과라 생각된다. 셋째, 한·중 소비자의 소셜 커머스 재구매의도에는 통계적으로는 유의한 결과가 없었지만 전체적으로 볼 때 중국소비자가 한국소비자에 비해 소셜커머스 재구매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한국, 중국소비자 모두 구매횟수가 많을수록 재구매의도가 높게 나타난 결과를 볼 때 소셜커머스 이용 관련 소비자교육시에는 소비자들의 의사결정과 관련되어 제품 구매시 습관적인 구매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구매 의사결정관련 소비자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한국소비자들의 경우 사적대응행동을 많이 할수록 오히려 재구매의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적행동으로는 소비자들의 불만이 기업에 반영되기 어려우므로 기업에서 소비자들의 잠재 불만을 파악하기 전에는 소비자들의 불만이 결국은 재구매 의도를 낮추는 결과를 가져올 것이므로 기업은 향후 공적행동과 함께 사적 불평행동에 대한 기업의 적극적인 파악 이 요구된다. Social Commerce market already has rapid grown and got strong spread for consumers` behavior in South Korea for consumption behavior. Aslo many consumers in China has almost same phenomenon in using social commerce near from big city. However, more problems such as service quality decline and consumers` complaints occurred as commerce market grows both in South Korea and China. This paper is related consumers` behavior using social commerce market. It reviews situation and explanation of current social commerce market both in South Korea and China. Consumers` dissatisfaction, complaints, repurchase intention were examined. This research especially focused for analyzing the differences for consumers` between South Korea and China. Survey using questionnaire was designed and conducted in October 6th -25th, 2011 for this study. The questionnaire were delivered to 20s` and 30s` South Korean and Chinese consumers through Internet. The total number of 382 consumers were used for this research. The survey was conducted Beijing, Xinjiang, Hebei and Shanghai in China. In South Korea, quesionnaire were delivered in districts Seoul, Inechon, Kangwando. The major findings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Chinese consumers have more frequently visit, more purchasing behavior, more diverse items purchased were shown in social commerce than South Korean consumers. The level of dissatisfaction for social commerce was found higher in Chinese consumers. This result is supposed to be caused by larger rapid growth in internet shopping, home shopping. Second, Chinese consumers were reported to be more satisfied with social commerce than S. Korean ones, and this disparity is significant. Third, Chinese consumers committed more complaining behaviors than consumers in South Korea. This difference was verified to be significant. It is supposed that is caused lack of legal regulation on social commerce market in China, compared to South Korea. Fourth, Social Commerce consumer repurchase intentions were higher for consumers in China compare to South Korea. The number of purchases, number of visits per month were affect repurchase behavior in social commerce both in South Korean and Chinese consumers. Based on findings, this study propose some suggestions on improving consumer policy and education. First, because South Korean electronic trade is comparatively more developed and more policy-ruled than China, Related legal laws and regulations for consumer protection are insufficient in China, yet. As the market rapidly develop, more diverse, severe problems will arise. I is necessary for formulating related policies and laws especially in social commere market for protecting consumers. Second, it is necessary giving consumer education for consumers related electroing transaction because of rapid growth and professional knowledge for using social commerce. It is strongly recommended to express complaints through several channels such as company, non-government organization, government. Also it is necessary to educate consumers for dealing with dissatisfaction and resolve the problems.

      • KCI등재후보

        금융시장 내 블랙컨슈머에 관한 개념 고찰

        조혜진 ( Cho Hyejin ),서가연 ( Seo Gayeon ) 한국금융소비자학회 2021 금융소비자연구 Vol.11 No.3

        본 연구는 금융시장에서 시장 질서를 저해하는 소비자 집단인 ‘블랙컨슈머’에 대한 구체적 고찰과 사회적 합의가 미비하다는데 주목하고 체계적인 개념과 용어 정립을 시도함으로써 금융소비자가 책임을 다하고 권리를 존중받는 금융시장이 되기 위한 지향점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블랙컨슈머라는 용어는 금융시장을 비롯하여 시장의 여러 권역에서 거래상대방 혹은 민원처리기관에 의도적이고 반복적으로 불만을 표출하고 영업행위를 방해하는 소비자를 지칭하는 의미로 통용되어 왔다. 그런데 해당 단어는 원어의 의미가 흑인 소비자를 의미하기 때문에 오해의 소지가 있다. 더욱이 최근에는 사회에서 소비자가 입은 피해에 대한 이의와 불만을 제기하는 다양한 유형의 소비자를 구분 없이 가리키는 수단으로 이용되어 불만호소행동을 하는 소비자의 하위집단의 경계를 모호하게 만든다는 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비롯하여 본 연구는 선행연구 고찰을 바탕으로 블랙컨슈머 행동을 불만호소행동, 소비자의 비윤리적 행동 등의 개념적 차원에서 접근하였다. 기존의 블랙컨슈머 용어는 ‘문제행동소비자’로 대체하여 부르고 문제행동의 요건을 불법성, 기만성, 억지성, 과도성, 상습성으로 구분하였다. 정리하면 '문제행동소비자'란 고의적으로 거래 상대방에게 정신적 혹은 물질적 피해를 끼치면서 자신의 이익을 과도하게 추구하는 부적절한 불만호소행동을 하는 소비자를 의미한다. 문제행동소비자가 시장에서 불필요한 사회적 비용을 발생시키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서는 통일된 가이드라인 제작 및 법체계 마련 등의 노력이 필요하고, 소비자에게 적절한 불만호소행동을 할 수 있는 사회적 분위기를 형성함과 동시에 부적절한 행동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교육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The term “black consumer” generally means consumers who deceptively or abusively carry one’s point to service providers. This term could be controversial in that “black” often means persons perceived as comparatively dark-skinned in English-speaking countries. Though there are necessities to reconsider the word, this “black consumer” issue should be deeply dealt with as they disrupt the market order and cause inconvenience to other consumers by excessively complaining. In this regard, the study suggests a new term considered to name this group and systematize the existing but ambiguous concept of “black consumer” based on broader concepts such as consumer complaint behavior, unethical consumer behavior, financial consumer-oriented fraud. We replace the current word “black consumer” with “problem behavioral consumer’”, which is very close to the concept of deviant consumer but the different word choice considering the context of its connotation and the societal trend. Also, this concept is valid when consumer behaviors include the traits of repetitiveness, insistence, deception, and excessiveness. In summary, “problembehavioral consumer” refers to a consumer who deliberately causes mental or material damage to the service providers and inappropriately complains to make undue profits. Preventing these consumers from incurring unnecessary social costs in the market is essential. Unified guidelines among financial companies and legal restrictions are needed. Meanwhile, there should be sufficient education opportunities to let consumers know the proper ways to complain appropriately.

      • KCI등재

        한국 대학생과 재한 중국 유학생소비자의 비윤리적 상거래행동에 대한 비교 연구

        류미현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2015 소비자정책교육연구 Vol.11 No.2

        본 연구에서는 한국 대학생과 다문화소비자로서의 한국 대학에 재학중인 중국 유학생소비자들을 연구 대상으로 하여 비윤리적 상거래행동을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소비자시민성, 소비자교육경험, 자기통제력, 주관적 규범 등이 한국 대학생과 재한 중국 유학생소비자들 각각의 비윤리적 상거래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의 관련성파악을 하였다. 주요 결과로는 한국 대학생소비자가 재한 중국 유학생소비자에 비해 비윤리적 상거래행동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한국 대학생과 재한 중국 유학생소비자 모두 주관적 규범이 비윤리적 상거래행동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대학생들에게 있어 중요한 영향요인 집단인 친구 등의 지지 정도가 대학생소비자들의 비윤리적상거래행동을 부추기는 결과를 초래할 수도 있으므로 대학생들과 유사한 연령 층에 대한 소비자교육이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한국 대학생소비자와 재한 중국 유학생소비자 모두 개인적 소비영역의 시민성은 타인 손실에 따른 이익 수용행동에 부적인 영향을 보였다. 따라서 한국 대학생 및 재한 중국 유학생소비자 모두 개인적소비영역에 대한 시민성 제고를 위한 소비자교육이 요구된다. This study comparatively analyzed the unethical business transaction behavior of Korean university students and Chinese student consumers attending Korean universities as multicultural consumers. Also, the study examined how consumer citizenship, self-control, subjective norms, and experience in consumer education would influence the unethical business transaction behavior of Korean university students and Chinese student consumers in Korea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major findings, Korean university student consumers tended to indicate higher unethical business transaction behavior than Chinese student consumers in Korea. Also, on the unethical business transaction behavior of both Korean university students and Chinese students in Korea, subjective norms were found to be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 Regarding university students, the degree of support from friends, a crucially influential factor group, may result in encouraging university student consumers’ unethical business transaction behavior, so it is needed to provide consumer education for those around the same age of university students. Also, on both Korean university student consumers and Chinese student consumers in Korea, citizenship in the area of individual consumption indicated negative effects regarding interest accepting behavior according to others’ los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vide consumer education for both Korean university students and Chinese student consumers in Korea in order to enhance citizenship regarding the area of individual consumption

      • KCI등재

        금융투자회사 근로자의 금융소비자보호에 대한 인식 및 행동 연구 - 금융소비자보호 모범규준을 중심으로 -

        조혜진(Hyejin Cho),김지현(Jihyun Kim) 한국FP학회 2020 Financial Planning Review Vol.13 No.4

        본 연구는 금융투자회사 근로자를 대상으로 금융회사 내에서 업무 수행 시, 금융소비자보호에 대한 인식과 행동이 어떠한 지를 실증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금융소비자보호 행동의 주요 영향요인을 파악해 금융업권의 금융소비자보호 업무에 시사점을 찾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금융투자회사 근로자의 직무특성과 금융소비자보호 인식에 초점을 맞추어 금융소비자보호 행동의 영향요인을 살펴보고, 금융투자회사 근로자들의 사회․인구학적 특성, 직무특성, 자기과신성향과 주관적 업무이해력과 금융소비자보호 행동 사이에서 금융소비자보호 인식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를 위해 금융투자회사 근로자를 대상으로 설문자료 2,263부를 분석하였으며,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금융투자회사 근로자들의 자기과신성향과 주관적 업무이해력 수준은 5점 만점에 3.56점, 3.61점으로 나타나 자기과신성향과 주관적 업무이해력이 보통 수준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소비자보호 인식은 5점 만점에 3.65점이었고, 회사의 금융소비자보호정책 및 시스템에 대한 인식은 5점 만점에 3.66점, 현업부서의 소비자보호 관련 역할에 대한 인식은 3.62점, 소비자보호 관련 민원처리에 대한 인식은 3.68점으로 나타났다. 또한 금융소비자보호 행동은 4.23점으로 나타났다. 둘째, 금융투자회사 근로자들의 사회·인구학적 특성, 직무특성에 따른 금융소비자보호 인식과 행동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성별, 직장경력, 직급에 따라 금융소비자보호 인식수준에 차이가 있었으며 성별, 연령, 근무지, 담당업무, 직장경력, 직급에 따라 금융소비자보호 행동의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성별, 근무지, 담당업무, 자기과신성향과 주관적 업무이해력은 금융소비자보호 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변수가 지니는 상대적인 영향력의 크기를 비교해 보면, 업무이해력, 자기과신성향, 성별, 직장경력, 근무지, 순으로 금융소비자보호 행동에 영향을 미쳤다. 넷째, 또한 금융상품 판매 단계별 근로자의 자기과신성향, 주관적 업무이해력, 금융소비자보호 인식 및 행동을 비교한 결과 유의미한 차이가 확인되었다. 즉 자기과신성향과 주관적 업무이해력 수준 및 금융소비자보호 행동은 상품개발/기획부서와 상품판매부서에 근무하는 근로자가 판매후관리부서에 근무하는 근로자보다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금융소비자보호 행동에 대한 금융소비자보호 인식의 조절효과를 측정한 결과, 직무특성 중 업무이해력과 금융소비자보호 행동 간에 금융소비자보호 인식이 부정적인(-)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xamined the level of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financial consumer protection perception and behavior of the financial investment company employees. Also analyzed the influencing factors of financial consumer protection behavior for financial investment employees and we examined the moderating effects of financial consumer protection perception between organizational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just like subjective work comprehension, self-confidence and financial consumer protection behavior. To do this, we analyzed 2,263 cases of financial investment employees, the results are as follow. First, the average level of self-confidence was 3.56/5; work comprehension was 3.61/5, indicating that the level of self-confidence and work comprehension were higher than the average level. Financial consumer protection perception was 3.65/5. Among financial consumer protection perception, corporate financial consumer protection policies and system was 3.66/5; role of the field department in consumer protection was 3.62/5; consumer protection related complaints was 3.68/5. And the average level of financial consumer protection behavior was 4.23/5. Second,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level of awareness of financial consumer protection among employees of financial investment companies, depending on gender, work experience, workplace, and position and differences in financial consumer protection behavior by gender, age, workplace, and position. Third, employees" gender, workplace, duty, subjective work comprehension, self-confidence had been shown to have significant impact on financial consumer protection behavior. Comparing the size of the relative influence of the variables, they influenced financial consumer protection behavior in order of work comprehension, self-confidence, gender, work experience, workplace. Fourth, an analysis of the employees" self-confidence, subjective work comprehension, financial consumer protection perception and behavior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y the duty of employees" stage of financial products. The levels of self-confidence, subjective work comprehension and financial consumer protection behavior of employees in the product development/design and sales department were higher than those who work in post-sales managing department. Fifth, among the job characteristics, the perception of financial consumer protection has a negative (-) adjustment effect between work understanding and financial consumer protection behavior.

      • KCI등재

        소비자 구매행동은 혈액형과 연관이 있는가?

        석관호 ( Kwan Ho Suk ),구지은 ( Ji Eun Koo ) 한국소비자학회 2012 소비자학연구 Vol.23 No.2

        소비자의 혈액형에 따라 시장을 세분화하거나 제품을 추천하는 혈액형 마케팅이 빈번히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 는 이와 같은 혈액형 마케팅이 과학적인 사실에 바탕을 두고 있는 지를 검증하고자 하며, 이를 위해 소비자 구매결정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의 소비행동 특성변수에 초점을 맞추어 해당 변수가 혈액형과 관련이 있는 지를 연구 하고자 한다. 소비자 행동 연구에 따르면 소비자 구매결정은 총 5개의 단계로 구성되는데, 욕구의 인지. 정보탐색, 대안의 평 가, 구매, 구매 후 행동으로 이루어진다. 소비자 개인의 특성변수는 (1) 소비자 구매결정 각 단계와 관련성이 있는 지, (2) 혈액형에 대한 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지를 기준으로 선택되었다. 그 결과 욕구 인지 단계에서는 소비자의 독특성 욕구(need for uniqueness), 정보 탐색 단계에서는 인지 욕구(need for cognition), 대안 평가 단계에서 는 위험추구(risk taking) 성향, 구매 단계에서는 충동구매(impulse purchase) 성향, 구매 후 행동 단계에서는 불평행동(complaining behavior)이 개인 특성변수로 선정되었다. 사전조사에서는 혈액형별 성격과 혈액형별 소비행동의 특징에 대한 지식, 그에 대한 믿음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혈액형과 성격 간의 관계에 대해서는 대부분의 응답자들이 알고 있으며, 절반 이상의 응답자가 실제로 두 변수간의 관련성을 믿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혈액형과 소비행동 간의 관계에 대한 지식이나 믿음은 상대적으로 약하지만 27%의 응답자가 혈액형과 소비행동 특성간의 관련성에 대해 보통이상으로 인지하고, 37%의 응답자가 혈액형과 소비행동 특성의 관련성에 대해 보통 이상의 믿음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전조사에서는 또한 독특성 욕 구, 인지욕구, 위험추구 성향, 충동구매 성향, 불평행동과 같은 소비행동이 어떤 혈액형에서 가장 많이 나타날 지에 대한 믿음(lay belief)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응답자들은 각각의 혈액형이 특정 소비행동과 밀접히 연관되어 있음 을 강하게 믿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는 AB형은 독특성 욕구가, A형은 인지욕구가, B형의 경우 위험 추구 성향, 충동구매 성향, 불평행동이 두드러질 것이라 믿고 있었다. 첫 번째 실증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앞서 선정한 개인의 다섯 가지 소비행동 특성변수를 측정하였다. 분석 결과, 혈액형은 소비행동 특성변수와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 개의 소비자 개인 특성변수 모두 혈액형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이는 혈액형과 소비행동 간에 유의미한 관계가 없음을 나타내는 결과라 볼 수 있다. 두 번째 실증 연구에서는 독특성 욕구, 인지 욕구, 위험 추구 성향, 충동구매 성향을 자기 보고(self-report)가 아닌 다양한 선택 상황에서의 소비자 의사결정을 통해 측정하였다. 그 결과, 첫 번째 연구와 마찬가지로 혈액형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들은 일반적인 믿음과는 달리 혈액형과 소비행동 간에는 유의한 관계가 없음을 보여주었다. Market segmentation and product differentiation based on consumers` blood type is frequently practiced in Korea. For example, a fusion bar recommends different side dish menus to consumers with different blood type. This research investigates whether the blood type marketing is grounded by scientific evidence showing consumers behavior is related to blood type. This research examines associations between blood type and five dimensions of consumer behavior characeristics that are related to consumer buying decision process. Research on consumer behavior has suggested that consumer decision making consists of five sequential decision stages: Need recognition, information search, evaluation of alternatives, purchase, and postpurchase behavior. We selected five consumer behavior characteristic variables that are related to each stage of the decision making process and are supposedly related to lay beliefs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blood type. Specifically, we selected need for uniqueness (need recognition), need for cognition (information search), risk taking (evaluation of alternatives), impulse buying (purchase), and complaining behavior (postpurchase behavior) that represent the buying decision process. This research examined whether the five consumer behavior measures are related to blood type. A pretest explored university stduents` knowledge and belief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blood type and personality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blood type and consumer behavior. Respondents were well aware of the personality characteristics of each blood type and more than half of the respondents believed that personality and blood type are related. Beliefs and knowledge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blood type and consumer behavior were weaker compared with thos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blood type and personality. We also measured lay beliefs about which blood type consumer is most likely to be related to need for uniqueness, need for cognition, risk taking, impulse buying, and complaining behavior. The results showed that the respondents have strong lay beliefs about the association between blood type and specific consumer behaviors. Respondents believed that need for uniqueness is most strongly related to blood type AB and be weakly related to blood type A or O. Need for cognition is strongly related to blood type A, but weakly related to other types. Consumers with blood type B are believed to be most likely to seek risk, buy with impulse, and complain after experiencing dissatisfaction. In sum, these findings suggest that people have stereotypes of blood type with respect to certain dimensions of consumer behavior. Study 1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respondents` blood types and the five dimensions consumer behavior characteristics. In the study, respondents self reported their consumer behavior traits such as need for uniqueness, need for cognition, risk taking, impulse buying, and complaining behavior. We also manipulated the order in which ABO blood type is measured. In the ABO first condition, blood type was measured before measuring the five consumer behavior traits. In the ABO last condition, blood type was measured after the five consumer behavior measures. It was expected that, as gender stereotypes, measuring blood types first should activate blood type stereotypes, resulting in greater differences across blood types. The results of study 1 showed that blood type is not related to consumer behavior. For all the five consumer behavior measures, we found no significant differences across the consumers with different blood types. In addition, activation of blood type stereotype did not change the result.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re i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blood type and individual difference characericists of consumption behavior. One shortcoming of Study 1 is that consumer behavior characteristics were measured by self-reports, which may not reflect actual consumer decisions. Therefore, we conducted Study 2 Study 2 further examined whether blood type is related to various consumer decisions that are related to need recognition, information search, evaluation of alternatives, and purchase. Specifically we tes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umers` blood type and purchase of unique options (i.e., need for uniqueness), decision making time (i.e., need for cognition), choice of risky option (i.e., risk taking), and impulse buying intention (impulse buying). Specifically we tested whether respondents` blood types were reslated to various consumer decision makings such as the extent to choose unique versus ordinary choice options, the amount of time taken to search for product information before making choice decisions, the likelihood of choosing risky over safe options, and their willingness to buy without planning in a given purchase situ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blood type was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these consumer decision makings In sum, the results of the current research demonstrate that consumers` blood types are not strongly related to consumer behavior, contrary to some beliefs that blood types are related to certain types of consumer behavior. However, future research using different methods (e.g., analyzing shopping data of different blood types) should present more compelling evidence regarding the association between blood type and consumer behavior. Another direction for future research is to test the influence of blood type marketing on consumer perception, attitude, and purchase behavior.

      • KCI등재

        유기가공식품 선택에 대한 소비자 특성 분석: 계획적 행동이론의 확장과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을 중심으로

        박명은 ( Park Myeongeun ),유소이 ( You Soye ) 한국소비자학회 2019 소비자학연구 Vol.30 No.6

        소비자의 유기농식품 선택은 개인의 건강관심, 개인적 특성, 식품안전에 대한 우려 등과 관련이 있으며, 이러한 이유들은 관련 인증제도의 확산으로 이어져 소비자의 신뢰를 얻음으로써 유기농식품 시장의 확대로 이어지고 있다. 또한 식품에 대한 개인의 특성과 가치관, 식생활 라이프스타일 변화에 따라 식생활에 있어서 건강과 편의성을 동시에 충족하고자 하는 식습관의 변화는 유기가공식품 소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본 연구는 지속가능한 소비의 관점에서 유기가공식품의 구매행동을 통해 환경친화적인 행동에 대한 소비자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첫째, 소비자들의 구매 행동을 설명하기 위해 널리 알려진 계획적 행동이론에 유기가공식품 구매행동을 설명하는데 유용하게 기여할 것으로 추론되어지는 농산물 관리우려, 제도적 신뢰, 주관적 규범, 혁신성을 추가하여 소비자의 구매행동을 분석하였다. 둘째,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소비자를 유형화하고 세분 시장별 유기가공식품의 구매행동 차이를 파악하였다. 분석 결과 유기가공식품에 대한 태도, 주관적 규범, 도덕적 규범 및 지각된 행동통제는 구매의도에, 구매의도는 구매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다양한 분야에서 사람들의 행동에 대한 높은 설명력을 보였던 계획적 행동모델이 유기가공식품의 구매행동에도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은 항목들 간의 개념 유사성에 따라 건강추구, 편의추구, 외식추구, 안전추구, 맛추구의 5개 요인으로 분류되었고, 각 군집의 특성을 파악하여 식생활 고관여형, 식생활 편의/간편추구형, 식생활 웰빙/맛추구형, 식생활 저관여형으로 유형화하고, 집단별로 식품과 관련된 활동을 준비하고 구매함에 있어서 무엇에 가치를 두는 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소비자의 구매행동에 영향을 미치고자 하는 마케팅 전략 수립 시에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공한다. 유기가공식품 관련 기업은 유기농식품의 인증제도에 대해 지속적인 홍보마케팅을 통해 안전한 먹거리라는 이미지를 전달해야 한다. 또한 유기가공식품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소비자 개인의 취향과 특성에 맞는 전문성을 갖추어 소비자의 욕구에 대응할 수 있도록 충분한 정보를 제공한다면 유기가공식품에 대한 경쟁우위를 점할 수 있을 것이다. Consumers’ choice of organic food is influenced by their interest in health, personal traits, and concerns over food safety. Such factors are leading to an expansion of an organic foodrelated certification system for gaining trust from consumers, which is, in turn, translating into a growth of the organic food market. Moreover, with regard to people’s characteristics, values, and food-related lifestyle, there have been changes in their eating habits―they now pursue both health and convenience at the same time―and this is having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ir consumption of organically produced food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people showing environmentally friendly behaviors or consumption patterns through the purchase of organically processed food from the viewpoint of sustainable consumption. First, this study explores into the purchasing behavior on organic processed food. To do this,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TPB) was used to explain the purchasing behavior of consumers. Variables such as concerns over agricultural product management, trust in the system, subjective norms, and innovation, which were assumed to be useful for explaining the purchasing behavior on organic processed food, were applied to the analysis model to analyze such behaviors. Second, it looks into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consumers in accordance with their dietary lifestyles. Attitude toward organic processed food, subjective norm, moral codes,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positively affected people’s purchase intentions. Based on such findings, it was confirmed that the TPB model, which can be used to explain human behavior in various fields, can also be applied to analyze the purchasing behavior on organically processed food. Consumer types were categorized in line with their food-related lifestyl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onsumer type were analyzed through market segmentation after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results and variables in the preceding studies on food-related lifestyle and market segmentation. With regard to the food-related lifestyle, a total of five categories including the lifestyles pursuing health, convenience, dine out, safety, and taste were set up in accordance with the conceptual similarity between each item. In addition, by looking at the characteristics of consumer groups, they were categorized into the type that actively engaged in a dietary life, the type pursuing convenience/simplicity in dietary life, the type pursuing health/safety in eating habits, and the type that had low interest in a dietary lifestyle. After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the values held by the consumers in their preparation, purchase, and consumption for food-related activities were analyzed to present concrete results. This study offers insights into the marketing strategies that can influence consumers’ purchasing behaviors. Organic food companies should be able to stress the image of safe food through promotional and marketing activities on the organic food certification system. Furthermore, if the companies can develop an expertise for satisfying the taste and characteristic of consumers to meet their demand and provide sufficient amount of information, such companies will be able to gain a competitive advantage in the organic food market given the rising consumer interest in organic food.

      • KCI등재후보

        소비자 가치와 비윤리적 상거래인식에 따른 청소년들의 녹색소비행동에 관한 연구

        이영애,서인주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2012 소비자정책교육연구 Vol.8 No.2

        본 연구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녹색소비행동의 일반적 경향을 살펴보고 소비자 가치와 소비자의 비윤리적 상거 래인식에 따른 녹색소비행동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미래 우리사회의 주역이 될 청소년의 녹색소비 행동을 파악함으로서 향후 녹색소비행동의 수준을 예측하고 소비자 가치와 윤리의식 제고의 필요성과 건전한 소 비문화 형성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수도권 소재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최종적으로 383부의 데이터를 분석대상으로 하였으며, 분석방법은 기술통계, t-test, ANOVE, 요인분석, 순서형 프로빗모델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들의 녹색소비행동은 소비자 가치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 타났다. 즉, 소비자 가치의 하위영역 중 사회적·기능적·상황적 가치가 높을수록 녹색소비행동은 낮게 나타났 다. 둘째, 청소년들의 비윤리적 상거래인식이 높을수록 녹색소비행동 중 사용행동과 처분행동이 높은 것으로 나 타나 청소년들의 소비자의 비윤리적 상거래인식에 따라 녹색소비행동이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 소년들의 인구통계학적 변수들 중에서 녹색소비행동과 관련성 있는 변수는 용돈과 주거형태로 나타났다. 즉 용돈 이 많을수록 녹색소비행동이 높았으며 주거형태는 다세대 및 연립주택 등의 공동주택에 거주할수록 녹색처분수준 행동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해보면, 청소년들의 녹색소비행동은 소비자 가치, 비윤리적 상거래인식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녹색소비행동을 높이기 위해서는 정규교육과정에서 바람직한 소비자 가치와 윤리의식을 고양시키는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사회적으로도 청소년을 대상으로 소비자 가치, 윤리의식관련 교육프로그램 의 개설 및 녹색소비행동의 중요성에 대한 계몽과 홍보활동이 이루어진다면 더욱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