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무화과』에 나타난 통속화 전략

        조미숙(Jo, Mi Sook)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6 통일인문학 Vol.67 No.-

        염상섭의 『삼대』로 시작된 삼부작은 다음 작품인 『무화과』에서 바로 작가의식이 급속도로 퇴보, 통속화되었다고 평가된다. 본 연구는 염상섭 통속소설의 분수령이라는 『무화과』에 나타난 통속화 전략을 『삼대』와 비교선상에 서 주목한다. 『무화과』에서는 유난히 복잡한 구도와 통속적인 장치, 이념의 포기라고 할 만한 사회주의자의 퇴조 등이 두드러진다. 첫째, 인간관계 복잡성을 통한 통속화에서는 채련이라는 비련의 여주인공과 원영-채련간의 복잡화, 관계 강조 속에서 여성 자각의 문제를 무화시키는 돈과의 얽힘, 수수께끼 같은 인물의 설정 등을 보았다. 조덕기와 달리 『무화과』의 이원영은 기생 련과 통속적 애정 관계에 골몰한다. 당대 신여성의 자각과 자본에의 지향이라는 통속적 키워드를 다루었다. 또한 맥락도 없이 애정 문제를 복잡하게 만들며 인물을 수수께끼 같은 존재로 만드는 것도 그의 통속화 방법 중 하나였다. 둘째, 사회주의자 인물들의 통속화가 주목될 만하다. 이 작품에서 사회주의자들은 현실도피, 의미 축소, 통속적 욕망 강조 등으로 『삼대』와 표나게 달라진다. 조정애를 비롯한 사회주의자들 의미는 극도로 축소된다. 대부분 사회주의자들은 변절하여 세속적 욕망에 탐닉하며 살아가는 것으로 그려진다. 작가는 그들에 관해서 서사를 생략한다. 결국 『무화과』는 『삼대』에 비해 인물 관계를 의도적으로 복잡하게 만들고 내면의 사정 이야기 없이 사회주의자들을 통속화함으로써 작품을 통속적으로 만들고 있다. 하지만 서사전략을 고찰한다면 염상섭의 통속화 전략은 작가의식 퇴보로, 이념을 저버린 것으로만 볼 수 없다. 강점기 이야기 방법의 하나였음을 인정하면서 좀 더 신중한 고찰이 지속되어야 한다. The study will look at the vulgar elements shown in The fig tree of Yeom, Sang-Seop. Yeom, Sang-seop announced that he has vulgar novels since The fig tree. In this fact, we can ascribe Yeom, Sang-Seop try any elements in The fig tree, write only folk novel after its success. We can see a vulgar human relationships through a complex structure, the popularization of marxist figures in The fig tree. First, vulgar relationship appears to mainly parasitic chaeryeon a vulgar love problems. Second, he was highlighted the defection such as appearance of marxist Kim, honggeun in the novel. At first, Jo, Duk-ky in Three Generations turned into a secular Lee, Won - Young in The fig tree and was fallen in a parasitic relationship with Chaeryeon. And Yeom, Sang-Seop had raised the awareness of contemporary New Women vulgar keyword through the complex character relationships. Next, he made the important people to anonymous person through the complex character relationships. In other hand, Marxists were described as escape from real life, and devaluate their meaning, emphasize that reduction is vulgar desires in this work. It can be seen as a desire to escape that the sympathizer Lee, Won-Young"s interest in women from strong pressure. The major figures Kim, byeong-hwa in the Three Generations transfer a Kim, dong-guk in The fig tree disappears out of the narrative. He was portrayed as being only write articles or news reports in the novel. Other marxist freak out a way to leave their real life or being drunk. And the meaning of marxist including Jo, Jung-ae were very reduced in the work. The fig tree became folk stories because of the complexity of the character relationships the popularization of the marxist. This method was Yeom Sang-seop"s choice of communicating with the public in the 1930s.

      • KCI등재

        자기의 서벌턴화와 코스모폴리탄이라는 이념형 -‘전향’과 김남천의 소설

        공임순 상허학회 2005 상허학보 Vol.14 No.-

        이 논문은 전향 사회주의자들의 전향에 대한 논리의 일단을 살펴보는데 주안점을 둔다. 전향에 관해서는 많은 연구가 행해지고 있다. 그러나 전향은 전향한 당사자만의 문제도 이미 지나간 과거의 문제만도 아니다. 오히려 전향과 관련해서 전향은 사회. 역사적 맥락에 따라 그 의미를 달리해온 것이 사실이다. 이처럼 전향이 사회. 역사적 맥락에 따라 그 의미가 달라져온 것이 사실이라면, 이 논문에서 사용하는 전향은 보편적인 의미가 아닌 그야말로 특정한 시각과 해석을 전제로 한 ‘전향’임을 먼저 밝힌다. 흔히 '전향'에 함축된 (지배하는) 권력과 (저항하는) 개인이라는 이분법적 구도는 일-국가적인 해석의 산물일 경우가 많다. 1937년 중일전쟁부터 급속하게 진행된 세계 질서의 강제적인 재편 속에서 식민지 조선 역시 아시아와 세계를 시야에 넣는 제국 주체로의 탄생을 피할 수 없었다. 이 상황의 변동을 어느 누구보다 민감하게 알아차린 사람이 식민지 조선의 지식인들이었다. 이들은 '전향'이라는 주어진 현실에 복종하기만 한 것은 아니다. 변화된 지형 속에서 스스로의 지위를 확보하고자 주어진 현실을 최대한도로 활용한 능동적 행위자였으며, 이런 그들의 능동성은 자발적인 신민이기를 요구하는 제국의 정책과 긴밀하게 조응하고 있었다. 경제적인 이익 못지않게 '전향' 사회주의자들에게 '전향'’은 코스모폴리탄이라는 이념형을 실현하는 일 계기로 다가온다. 이를 잘 보여주는 것이 '전향'사회주의자들의 지속적인 담론 개입과 공격적인 의제 생산일 것이다. 현영섭은 내선일체를 통해 코스모폴리탄을 꿈꾼다. 내선일체에 적극적으로 복무함으로써 세계사적 이상을 실현한다는 현영섭의 견해가 극단적인 경우라면, 인정식은 과거의 업적이 오류에 찬 것이며 걸어온 노선이 잘못됐다는 말과 함께 새로운 진리와 신념을 향해 나아가는 이상인(理想人)을 요청하고 있다. 이런 시대적 압력은 문학 내에서 유사하지만 다른 발화의 징후를 드러낸다. 김남천의 소설이 그 한 예가 된다. 김남천은 건설 기술자와 실업가, 전향한 사회주의자와 문학가를 소설의 중심인물로 삼아 서사를 주조해나간다. 김남천의 소설들은 코스모폴리탄으로서의 자격을 갖춘 자와 그렇지 않은 자를 예리하게 변별하고 있다. 구질서의 표상인 '전향'사회주의자는 신질서의 전형인 건설 기술자로 대체된다. 이 둘은 전혀 별개의 세계에 존재하는 다른 존재들인 것이다. 한 쪽의 죽음을 댓가로 다른 한 쪽의 삶을 온존하는 기형적인 모습을 김남천의 소설들은 보여준다. 또한 구질서의 한 표상인 남성 - 문학가가 등장하는 김남천의 소설 '낭비'는 구질서의 모든 퇴폐와 타락을 도시의 신여성들에게로 되돌리고 있다. 이 타락한 자들과 동일한 공간에 존재한다는 불만과 공격성은 도시의 신여성을 한편으로 받아들이면서 한편으로 거부하는 주된 이유가 된다. 그가 구질서의 표상으로 사회에서 완전히 배제/탈락되지 않을 수 있었던 이유는 이처럼 여성적인 자질의 부정성을 전유함으로써 가능하다. 이처럼 김남천의 소설에서 ‘전향’은 과거와 현재와의 치열한 대결이 아니라 신질서의 제국 주체로 혹은 사회적 약자의 형상을 빌어 스스로를 변명하는 모습으로 나타난다. 김남천의 많은 소설이 ‘전향’을 직접적으로 다루고 있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흥미로운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This thesis focuses on research for clues of the logic of the Socialist writer's conversion. Today many investigators are working in the theme of conversion, and a number of results are produced. We have not to limit the matter of conversion to the person concerned or regard the matter as the past remains. Though the matter of conversion is always concerning the context of history. Thereby this matter which is used in this thesis is not the general notion, but the specified notion. Of course that supposes specific viewpoint and the way of interpretation. In general, the matter of conversion have been implied the dichotomy between the power that dominate over the individual and the individual who stands against the power. Maybe this is the result of the interpretation through the idea of one-country. A colony Chosun(식민지 조선) had a fate to become empire-subject who has the sight range from the Asia to the world since the reorgnization of world order ; specially after the war between China and Japan, 1937. The intelligentsia in Chosun early and sensitively had became aware of the situation and change.They did not only obey the given conditions, but also actively make possible effort to use the given conditions. They were active actor and wanted to the a subject according to the policy of the empire. The conversed socialist writer had the chance to make money and more to actualize the idea of cosmopolitan through the very conversion. This appeared the activity that conversed socialist writer produced continual intervention in social discourse and assaultive topic for discussion. Hyeon Yeong Seob(현영섭) was dreaming of becoming a cosmopolitan through the Identification of Chosun and Japan(Naeseon Ilchae). His dream, hoping the actualize idea of the history of world, is an extreme case, on the other case is founded In Jeong Shik. He criticized false remains and called for the notion of an ideal man who works away pursuing the new truth and belief. These enforcement of that time showed the similar at the same time and different symptom of speech. As it were Kim Nam Cheon'(김남천)s novels. Kim Nam Cheon(김남천) composed the novels focussing on the main character like as an architect and engineer, an businessman, and a conversed writer. His novels show the sharp difference between ideal cosmoplitan and not. Also the conversed socialist writer who standed the old and past order replaced with the ideal architect and engineer who standed the new order. His works has the deformed feature to build one part with killing other part. And in his novel 'Waste(낭비)', the hero, standing the old order, is corrupted by another fact. Writer takes hero's blame upon other women who are modern female in the city. Hero's corruption resulted from coexistence with that women, so in the novel there are lots of critic and attack for them. But those modern women is a dispensable fact, because their existence could explains the hero's corruption and hero, representation as the writer's own or male at that times, has a place of refuge. His novels common showed the fact that conversion is not result of competition with the real conditions of that world, but result of the vindication with the figuration an imperial subject in the new ordered world or a loser.It is interesting that his works are direct dealing with the theme of conversion, but indirect dealing with above that way of expression.

      • KCI등재

        수전노,탕자,사회주의자 -아버지와 아들, 그리고 식민지 자본주의-

        강지윤 ( Ji Yun Kang ) 한국문학연구학회 2016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58

        이 글은 「삼대」와 「태평천하」라는 한국근대문학의 대표 장편소설이 재현하고 있는 수전노·탕자·사회주의자라는 형상을 아버지-아들의 관계와 자본의 상관성이라는 관점을 통해 문제적으로 읽어보고자 하는 시도다. 한국근대문학사에서 부유한 아버지와 방탕한 아들이라는 설정을 취하는 서사들은 대체로 착취 지주와 불노소득의 혜택을 입은 후손을 ‘탐욕적 개인’으로 재현한다. 이 글이 주목하고 있는 소설 속 수전노와 탕자의 인물형 역시 돈과 관련된 어떤 ‘과잉’을 보여준다. 그러나 이인물들은 과잉된 욕망을 가진 비윤리적 주체로 관찰된다기보다 자본의 기계적인 증식/소모 운동의 대리자처럼 나타난다. 이러한 독해는 이들이 하나의 거대한 메커니즘에 속해 있다는 사실을 부각시켜준다. 말하자면 이 같은 포착은 자본에 대한 욕망을 개인이 체현하고 있는 과잉 욕망이나 부덕한 심성 등으로 환원하는 것보다 식민지 자본주의 경험을 좀 더 구조적으로 조감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더불어 여기에 「삼대」와 「태평천하」에서 탕자 아들과 대비되는 사회주의자 아들/손자이라는 제 3항을 대입시켜 볼 필요가 있다. 사회주의자야말로 근대소설사에서 가부장으로부터 가장 확고한 단절을 이룬 인물이라는 사실은 아버지-아들 관계에 대해 자본이 가진 지배적인 영향력을 새롭게 환기시키기 때문이다. 염상섭과 채만식의 소설에서 사회주의자가 ‘자본’과 동시에 ‘아버지’로부터도 외재적(外在的)인 존재로 그려지고 있다는 사실을 주목해볼 수 있다. 자본주의적 경험이 인신지 배적인 계층제도나 가부장적 권위주의를 타파하고 개인의 이동성을 확대한다는 일반적인 인식과 반대로 이 소설들은 식민지 조선에서 아버지-아들 관계가 자본에 의해 더욱 구속적이 되어버린 양상을 포착하고 있다. 이것은 식민지 조선이 충분히 자본주의화되지 못한 채 전근대적 잔재를 안고 있는 모습으로 이해되어야 하는 것이 아니라 식민지적 착종을 드러내고 있는 지점으로 다시 분석될 필요가 있다. 자본주의에서 돈의 힘이 맹목적이고 가치전도적이라는 것은 모든 것을 물질화한다는 것이 아니라 어떤 가치체계와도 결합해 전도하는 침투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뜻하기 때문이다. This article selects “Miser”, “Prodigal” and “Communist” in Yom Sang-sup’s Sam-dae and Chae Man-shik’s Tae-pyoung-chon-ha as the problematic figures with regard to colonial capitalism. In modern Korean literary history, a rich landlord father and his prodigal son is typically described as “greedy” individuals. However, skin-flint fathers and their prodigal sons in both novels reflect the monetary circulation of capitalist system while the fathers identify themselves the quantitative expansion of money and the sons show the anti-drive against their fathers’. This analysis can help to gain the more sophisticated understanding on problems of colonial capitalism. In regard to this, “Communist” figure can be interpreted as a narrative element revealing the involvement of “the capital” in father-son relationship, because the Communists were positioned external not only to capitalist system but also to “the fathers” in narratives. For the last, what is to be added is that “bourgeois patriarchs” appeared as positive figures in modern Korean literature during the World War Ⅱ. Kim Nam-chon’s Sa-rangui- soo-jok-gwan and Park Tae-won’s Yo-in-sung-jang dealing with the theme of “happy marriage” seem to reflect the long existing discordance of father/capital-son relation and to try its symbolic reconciliation.

      • KCI등재

        혁명가를 바라보는 여성작가의 시선 -지하련의 「도정」, 한무숙의 「허물어진 환상」을 중심으로

        박지영 ( Ji Young Park ) 반교어문학회 2011 泮橋語文硏究 Vol.0 No.30

        본고는 해방기에 발표된 지하련의 「도정(道程)」과 전쟁 직후 발표된 한무숙의 「허물어진 환상」을 통해 남성 혁명가를 바라보는 여성작가의 시선을 분석하였다. 지하련은 「도정」을 통해서 식민지 시기 전향한 사회주의자가 해방을 맞이하여 자기반성을 통해 당원으로 입당하게 되는 과정을 그리고 있다. 이 작품의 미덕은 여느 남성 작가들의 사회주의자 형상이 갖지 못한 진지하고 철저한 윤리적 자기반성을 행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 작품에서는 주인공이 당원이 된 결과보다는 주인공의 시선을 통해 폭로한 사회주의자의 욕망과 이중성, 그리고 그가 쉽사리 당원이 되지 못하도록 막는 당대 사회주의자의 비윤리적 행태, 특히 친일을 행하고도 자기반성을 생략한 채 당원인양 행세하는 행태와 노동자에 대한 교조주의적 숭배에 대한 신랄한 비판이 더 생생하게 부각된다. 그리고 결국 입당하게 되는 결론에서도 주인공은 사회주의 투쟁을 해야 한다는 당위보다는 자신의 윤리적 결단, 즉 소시민으로서의 자기 투쟁에서부터 출발해야 한다는 점을 더 강조하며, 당대 행태를 조롱한다. 이처럼 이 여성작가는 작품을 통해 당대 위선적인 남성혁명가들의 행태를 비판하고, 진정한 사회주의자는 어떠한 인간이어야 하는가에 대해 근본적인 문제제기를 하고 있는 것이다. 전후 반공주의적 서사가 본격적으로 시작되기 시작한 즈음에 창작된 한무숙의 「허물어진 환상」은 한 민족주의 혁명가를 흠모하던 여성이, 대의를 위해 남편을 배신하고 자신을 희생하라는 그의 억압적 요구를 계기로, 자아를 찾게 되는 과정을 그리고 있다. 사랑마저 이용하려드는 그의 독선과 위선을 깨닫고 혁명가와 그를 둘러싼 세상을 객관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고민을 하게 된 것이다. 여기서 그치지 않고 작가는 해방기 후일담을 통해서 이러한 민족주의 혁명가를 “청사에 길이 남을 분!”으로 기억하는 남성중심의 혁명 서사를 조롱한다. 친일파였던 남편이 주인공의 실수 덕분에 해방 후에는 애국지사로 평가되는 것을 보면서 역사의 부조리함을 깨달은 것이다. 역사적 평가의 오류는 여성과 그 외에 소외된 인물들의 희생을 도외시한 채, 결과론적으로만 남성혁명가를 우상시하는 관행에 기인한다는 점을 증명한 것이다. 물론 이 작품이 역사를 바라보는 허무주의적 맥락을 도외시할 수는 없지만, 혁명가의 곁에 있었던 희생된 여성 주체를 묻혀진 역사 속에서 소환해 내었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 그리하여 이 두 여성작가는 역시 남성혁명가 중심, 민족주의자 중심으로만 서술되는 해방기 혁명 서사와 전후 민족 서사 모두에 작은 균열을 내고 있는 것이다. 이 두 작가는 집단화된 기억의 폭력 속에서 개인(여성) 체험의 진실을 탐험해 내는 섬세하고 날카로운 시선을 지니고 있었던 것이다.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eministic perspectives of women writers looking at men revolutionists through Ji Ha-ryeon`s <Dojeong> published in the Liberation period and Han Mu-sook`s <Collapsed Illusion> published right after the Korean War. In <Dojeong>, Ji Ha-ryeon describes the process in which a socialist converted during the colonial period became a partisan through self-reflection in the liberation period. The virtue of this work is that earnest and thoroughly ethical self-reflection of the figuration of a socialist is conducted, which has never been done by any men writers. This work vividly highlights a socialist`s desire and duplicity exposed through the hero`s ethical self-reflection rather than the result of the hero`s becoming a partisan, the unethical behavior of then socialists who prevent becoming a partisan, and particularly, caustic criticism about partisan-like behavior omitting self-reflection of having been a Japanophile and dogmatic idolatry of laborers. Moreover, what is important is that the work ends up with the scene to begin with one`s own ethical resolution, i.e. a self-struggle as petit bourgeois, rather than to give emphasis on the choice of appropriateness of socialistic struggles. Through this, this woman writer criticizes the behavior of hypocritical men revolutionists at that time and raises fundamental questions about what kind of man a true socialist should be. Han Mu-sook`s <Collapsed Illusion> written at the time when anticommunist epics began on a full scale basis after the Korean War describes the process in which a woman adoring a Nationalist revolutionaries finds her true self when she was forcefully demanded by him to sacrifice herself by betraying her husband for the great cause. Realizing his self-righteousness and hypocrisy, she gets a discerning eye with which she can see the revolutionist and the world around him objectively. Without ending here, the writer acidly sneers the man-centered revolution epics which remember such Nationalist revolutionaries as “the person who remains long in history” through the behind-the-scene stories in the liberation period. She realizes the irony of history when she sees her husband who was Japanophile being evaluated as a patriot thanks to the main character`s mistake. This proves that errors in historical evaluation is due to the practice of idolizing men revolutionists based only on results ignoring the sacrifices of women and other estranged persons. Of course, the anticommunist context of this work cannot be ignored, but this work is meaningful in that it summoned the principal woman character sacrificed and buried in history at the side of the revolutionist. Accordingly, these two women writers caused small cracks in both the revolution epics that are described, focusing on men revolutionists and nationalists in the liberation period and the nationalistic epics after the war These two writers had delicacy and sharpness that explore the truth of individual (women) experiences amid collective violence of memories.

      • KCI등재

        점성(粘性) 자본주의의 확산과 식민지 조선인의 운명

        강부원(Kang, Bu-won) 구보학회 2010 구보학보 Vol.6 No.-

        이 논문은 1930년대 최명익의 소설을 통해 식민지 자본주의 확산 과정과 그에 따른 식민지 조선인들의 의식과 생활 변화를 살피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삼는다. 이를 통해 자본주의의 본래적 성격인 ‘점성’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당시 자본주의에 대응했던 사회주의자들의 복잡한 태도에 대한 해명을 시도한다. 최명익의 소설에 나오는 도시와 농촌, 그 사이를 잇거나 재분할하고 있는 길과 거리, 교통 기관 등은 자본주의 문제를 가시화 하여 보여주는 직접적인 공간이자 구체적인 장소였다. 바로 이곳에 살고 있는 소설속의 여러 인물들은 모두 분열증과 편집증적인 태도를 보인다. 이들은 자본주의의 확산 과정에 전면적으로 대응하거나 속절없이 포획되기도 한다. 이들의 부박한 삶은 모두 쉽사리 빠져나가기 어려운 식민지 점성 자본주의의 덫에 교묘하게 걸려있는 형국이다. 한편 최명익은 사회주의자들의 몰락과 붕괴를 점성 자본주의의 무차별적 확대 과정과 함께 병치해 놓음으로써 당대 사회주의적 비전을 역설적으로 강변하고 있기도 하다. 1930년대 중반 벌어진 식민지 프로 문학자들의 전향은 사회주의자들의 패배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사례이기도 하지만 식민지 조선의 근대화 과정에서 가장 활발하게 사고된 사회주의의 실체가 무엇이었나를 새롭게 살펴볼 수 있게 하는 계기이기도 하다. 점성 자본주의가 확산되면서 한발 물러설 수밖에 없었던 식민지 조선 사회주의자들의 처지는 역설적으로 자본주의의 질서를 깨뜨릴 수 있는 유일한 대안이 무엇이었나를 다시금 생각할 수 있게 해준다. Studying Choi Myeongik’s novels of the 1930’s, this thesis focuses on the spread process of the colonial capitalism and the consequential changes of Korean’s consciousness and life style under the colonial period. This thesis develops to understand the ‘viscosity’ of the inherent characteristics of capitalism and to explain the complex attitudes of the socialists towards to capitalism. The places in the Choi Myeongik’s novels such as urban and rural, the streets between or cross them, and the transportation, etc are the characteristic places that present the problem of capitalism directly. All of the characters living in those places have paranoia and schizophrenia. Characters are either actively correspond to or seized by the spread of capitalism. Their lives are caught in a trap of viscous colonial Capitalism that they never get away with. Meanwhile, Choi Myeongik paradoxically emphasizes the socialist vision of the day by juxtaposing the downfall and collapse of the socialists and the indiscriminate expansion of viscous Capitalism. The converts of KAFP literature writers in the mid-1930’s was an evidence that clearly shows the defeat of the socialists, but at the same time it pegged on what was the reality of socialism.

      • KCI등재

        냉전과 소설의 형식, ‘(경남)진영’의 장소성과 사회주의자 서사 (1) : 김원일 소설의 아버지/아들 서사를 중심으로

        이선미(Lee, Sun-Mi) 한국문학회 2021 韓國文學論叢 Vol.87 No.-

        김원일은 좌익으로 활동하다가 월북한 아버지의 이야기라는 후기나 서문을 달고 빨갱이, 빨치산, 사회주의자를 소설에 등장시킨 작품을 여러 편 쓴다. 「어둠의 혼」, 『노을』, 『불의 제전』, 『아들의 아버지』 네 편의 아버지/아들 서사가 직접적으로 아버지를 다룬 소설이라면, 『겨울 골짜기』나 『푸른 혼』은 빨치산, 사회주의자였던 아버지를 그리워하는 마음으로, 혹은 아버지를 ‘아버지’로서 인정받기 위한 마음으로 창작한 소설이라고 할 수 있다. 1966년부터 시작된 김원일의 작가로서의 창작과정에는 이 아버지/아들 서사가 강렬한 한 축을 형성한다. 이 소설들은 빨치산, 사회주의자였던 한 인간의 입체적인 모습을 구성하기 위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창작과 재창작, 혹은 개작의 과정이 필요했던 것도 아버지에게 ‘아버지(인간)’의 모습을 부여하기 위한 것이었다. 결국 아버지 서사의 창작과 개작과정은 김원일 스스로 사회적 구성원으로 인정받는 과정이기도 하다. 김원일이 성실하게 꾸준히 아버지 서사를 지속했던 것은 그것이 바로 아들, 자신의 서사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 과정은 검열이라는 냉전사회의 창작 구조를 비겁한 방식으로 수용하는 극히 현실적인 생존의 시간이었다. 좌익 2세의 운명이며, 현실일 것이다. 김원일은 모욕적일 수도 있는 빨갱이 아들로서의 삶을 부정하거나 벗어나지 않고 탈/냉전의 정치적 변화에 따라 생겨나는 삶의 영역을 착실하게 넓혀가면서 아버지/아들 서사를 진실에 육박하도록 확대해나간다. 이 서사적 과정의 완결점은 2013년에 발표한 『아들의 아버지』이다. 이 소설은 한국사회의 탈/냉전의 정치가 감각된 결과물인 듯이 사회주의자, 빨치산 활동의 중심에 서 있었던 아버지의 일대기 같은 작품이다. 이 논문이 살펴본 『아들의 아버지』 이전의 과정은 이 작품으로 귀결되어 ‘아버지/아들 서사’를 완성하는 계보를 구성한다. 검열이 일상화된 냉전사회에서 빨갱이 아버지를 아버지로서 기억할 수 없는 상황이 담겨진 ‘기억 서사’는 냉전사회가 만들어낸 문학적 성과이다. 검열과정에 타협하는 문학적 선택까지도 지난한 분단 작가의 삶으로 해석되는 김원일의 아버지/아들 서사는 냉전사회와 소설의 관계를 보여주는 사례가 될 것이다. Kim Won-il had a hard time living due to his father who fled North Korea while working on partisan activities. This fact has always influenced Kim Won-il s life. Several novels reflect this autobiographical fact. <The Soul of Darkness> is the story of a son who must turn away from his deceased father. Because of censorship in the 1970s, <Sunset> sets his warm father as butcher. These novels are censorship-conscious and reconcile the facts. Due to the political changes of the post-Cold War, the father is represented realistically in the novel. <The Son s Father> openly records the socialist father s biography. It is not a documentary, but it is intended to record the real life of his father in a composition that seems to be a novel. Kim Won-il expresses his father as much as possible in the censorship of the Cold War society. Through adaptation, the facts related to the father are corrected. This paper is a study of this process.

      • KCI등재

        ‘赤色ᄭᅢᆼ그 事件’과 廉想涉의 通俗小說 「白鷗」

        김병구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3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1 No.3

        This essay aims to examine the relevance between ‘The Red Gang Incident’ and “White Dove”. There are two issues in this essay. First, “White Dove” has meaning as the work which Yeom Sang-Seop designed at the level of narrative response about ‘The Red Gang Incident’ which is emerged as a series of articles that focus on newspaper ahead. This di- rectly cerfitied by the fact that socialist organization describing in “White Dove” is compared by bank raid gang. Further this indirectly is indorsed the fact that the conduct of socialist even in “A Fig Tree(無花果)” which is just before work, is signified by resistant to the colonial system behavior as opposed to “White Dove”. Second, as “White Dove” is designed at the level of narrative response about ‘The Red Gang Incident’, it is fictionally transformed into article content of ‘The Red Gang Incident’. Because in “White Dove” socialist organizational behavior which is problematized in analogy with the gang, objectives, methods, targets, in many ways, is sim- ilar to article content of ‘The Red Gang Incident’ which is reported in the newspaper. In such a point a vulgar crime narrative form in “White Dove” is the result of intrinsic of intent which want to highlight the socialist criminal through the narrative transformation of ‘The Red Gang Incident’. ‘赤色ᄭᅢᆼ그 事件’과 「白鷗」의 연관성을 밝히는 데 목적을 둔 본고의 論點은 두 가지이다. 첫째, 『白鷗」는 連載 直前 新聞媒體에서 집중 부각된 ‘赤色ᄭᅢᆼ그 事件’에 대한 敍事的 대응으로 企劃된 作品이다. 「白鷗」에 그려진 社會主義者 組織이 ‘요새의 은행습격의 깡그단’으로 환기되고 있는 점이 이를 증명하거니와, 前作 「無花果」에서조차 사회주의자들의 行爲가 「白鷗」와 달리 植民 體制에 대한 抵抗 行爲로 의미화되고 있는 점도 이를 뒷받침해 준다. 둘째, 「白鷗」는 ‘赤色ᄭᅢᆼ그 事件’의 記寫 내용을 原材料로 삼아 이를 小說的으로 變容한 작품이다. 「白鷗」에서 ‘깡그단’의 犯罪 行爲에 견주어 그려진 사회주의자들의 조직적 행위가 목적, 방법, 대상 등 여러 면에서 ‘赤色ᄭᅢᆼ그 事件’ 기사 내용과 닮은 점이 많기 때문이다. 「白鷗」가 通俗的 犯罪 敍事 形式을 취한 것은 ‘赤色ᄭᅢᆼ그 事件’의 敍事的 變容을 통해 사회주의자들의 犯罪性을 부각시키려는 작가의 의도에서 비롯된 內在的 結果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붉은 사랑’이라는 성 각본(Sexual Script)과 여성의 정서적 주권 -여성 사회주의자 작가의 자기 서사를 중심으로

        노지승 한국현대소설학회 2022 현대소설연구 Vol.- No.88

        이 글에서 다루었던 강경애의 자전적 소설 「원고료 이백원」(1935)과 박화성의자전적 소설 『북국의 여명』(1935) 그리고 박화성의 자서전 『눈보라의 운하』(1963) 는 ‘붉은 사랑’이라는 표어로서 상징되었던 사회주의 이념과 사랑이라는 두 가지의축이 조선의 사회주의자 여성들의 삶 속에서 어떻게 현실화되었는가를 알려주는 중요한 자기 서사의 텍스트들이다. 강경애와 박화성은 자신들의 삶을 소재로 하여 사회주의적 성 각본인 ‘붉은 사랑’이 현실화되는 상황에서 남녀 사이에 작동하는 미시적인 권력의 모습과 여성이 느끼는 불안의 감정을 재현해내었다. 여성-사회주의자-작가의 교차적 정체성의 목소리를 반영하고 있는 이들의 서사는 언어화되지못한 여성 사회주의자들의 경험에 ‘언어’를 부여한 사건으로 주목될 만하다. 여성들의 정서적 주권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이들의 자기서사는 여성지라는 소통의 장에서 보다 친밀하다고 가정된 여성 독자들에게 여성 작가 자신의 내면을 열어 보임으로써 삶에 대한 작가 자신의 고민과 깨달음을 독자들과 공유하는 글쓰기 방식이었다.

      • KCI등재

        식민도시의 상징과 잔여 - 염상섭 소설의 재경성(在京城) 일본인, 그 재현 (불)가능의 장소들

        조은애 ( Cho Eunae ) 한국문학이론과 비평학회 2012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57 No.-

        이 글에서는, ‘경성’이 제국 일본의 식민도시로 재편되는 과정에서 그곳을 점유해가는 일본인들이 조선인들에게 집단적·개인적인 식민자/타자로 가시화되는 맥락을 고찰한 위에, 염상섭 소설 속에 재현된 재경성 일본인이 지니는 의미를 살펴보았다. 특히, 텍스트 상에서 사라짐으로써 그 위협성이 소거된 사회주의자의 ‘안전한 부재 상태’를 유지하면서 한편으론 그들의 존재 영역을 게토화한 식민지통치체제, 그리고 부재하는 사회주의자들에 대해 염상섭이 가졌던 암울한 비전에 주목하고자 했다. 식민도시 경성의 유흥·소비공간, 특히 개인 간의 내밀한 관계를 심화시키는 호텔 객실·카페·아틀리에 같은 밀실에서 이루어지는 식민자와 피식민자 간의 만남은, 기성의 식민지 사회주의자가 그 비전을 상실하면서 그들의 자리가 공백으로 남겨지는 과정과 맞물려 있다. 식민자와 피식민자의 비대칭적 관계를 유발하고 그들을 대면시킨 가장 근본적인 동력은 물론 식민주의일 것이며, 작중에서 경제적(또는 사적) 관계로 재배치된 이들의 만남의 행간에는 정치적인 것이 안고 있는 긴장과 불편함, 또는 적대의 감정이 그 흔적을 남기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을 만나도록 하는 것이 식민주의의 속성이다. 일본인 소유의 집, 호텔, 카페 등 밀실에서 비로소 조선인은 일본인과 사적으로 대면할 수 있었으며, 그 속에서 조선인은 매혹당하는 한편으로 자신의 ‘무언가’가 발각될지도 모른다는 무의식적 불안에 시달린다. 그리고 한편에는 어떻게든 그 위험천만한 만남을 회피하기 위해 피식민자들이 숨어드는 또 다른 밀실이 있다. 식민자와 식민지 부르주아의 만남이 소비와 향유의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사이, 밀입국한 사회주의자나 아편중독자들은 불법화/게토화된 또다른 밀실에 숨어들고 두 공간 사이의 격차는 식민지시기 내내 좁혀질 수 없었다. 식민자와의 만남이 성사되는 장소로서의 밀실과 그 만남을 강박적으로 거부하고 있는 밀실, 이 극단적인 두 장소성이야말로 식민지 재현의 원동력이었는지 모른다. This study aims to consider the way that the Japanese became collective ·personal colonizer/the other by the Korean colonists while they were getting the possession of the city in the process of reorganization of Seoul into the colonial city of the Japanese Empire. Especially, when recalling the fact that the figure of colonizer remained blank within the literary texts in the 1920-30s when the formation of colony of Seoul was concentrated, Yom Sangsop’s texts of the same period retain very distinctive status. As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s development project and its statistics for city planning were being accumulated, ‘population’, neither an individual person nor a subject emerged as an object of governmentality. Space division of Seoul was imagined by the dynamics of sovereign power that creates and manages population and the colonists’ fear toward it. The end of Two Minds (1928) shows the breakdown which appears when colonists enter into the divided space. In the Love and Sin (1927) and Fig (1931), Japanese appear as an unofficial surveillant entrusted a tacit power from the colonial sovereign power. Meanwhile, the Japanese appeared for filling up a vacancy of socialists that form an important axis within the works of Yom Sangsop acted standing in for their class·gendered·intellectual status. The Japanese within Yom Sangsop’s novel insinuate the fact that colonist’s anxiety flowing throughout the work is coming from the rivalry(tension) relation of solidarity and hostility between colonizer and colonists that is generated in the space of colonized city. However, condition that makes this possible is resulting from the feature of space that activates the logic of tricky violence and exclusion while attracting Korean colonists. Korean colonists were able to meet the Japanese within the secret spaces such as houses owned by the Japanese, hotel and cafe and attracted by them but become to be pestered by the unconscious anxiety that their ‘something’ may be uncovered on the other hand. However, while the meeting between colonizer and bourgeois colonist was being made within the space of consumption and enjoyment, illegally entered socialists or opium addicts were stealing into the other illegal/ghetto secret rooms, which made it impossible to narrow the gap between the two spaces throughout the colonial era.

      • KCI등재

        사회주의자의 문학적 재현과 의미

        양진오(Yang Jin-o) 우리말글학회 2008 우리말 글 Vol.42 No.-

        A communist is not a circumferential character in the literature of Kim Won-Il. After The Soul of Darkness, Kim Won-Il has symbolized communist continuosly and gradually in his literature. A communist in the novel after Korean war was usually described as a hostile character. A communist as a hostile character was described as a negative human who lacks humanism. The observation by the writer is that the communist is a meaningful character. The writer proceeds with two points in this study. One of two points is 'the discovery of humanity of the communist' and another is 'the memory about artistic vitality of the communist'. In 'the discovery of humanity' and the artistic vitality, the writer paid attention so that the discovery of humanity became the method which could relieve the communist described as a devilish character to a human. Kim Won-Il did not write Accordian for describing the communist father as a devilish character. The method which Kim Won-Il relieves the communist to a human who can be forgiven is the discovery of humanity and artistic vita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