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남남갈등 극복을 위한 통일교육의 과제- 분단구조 및 분단의식과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

        안승대 한국윤리교육학회 2024 윤리교육연구 Vol.- No.71

        After presenting the limitations of existing studies,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South-South conflicts and seek solutions through unification education, focusing on the division structure and division consciousnes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limitations of existing studies are phenomenon-oriented approaches, overlooks the historical and structural problems of South-South conflict, limitations of the centrist approach, lack of solutions, and failure to present a systematic connection with unification educa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South-South conflict through division structure and division consciousness, the South-South conflict is a conflict between members living in division trauma, division habitus, and division consciousness. Unification education to overcome the South-South conflict includes education centered on overcoming division consciousness, education through overcoming division consciousness and peace education, education through combination with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education that prioritizes and values the dissolution of division consciousness between anti-communists and conservative divided people, and education to overcome the negative thinking systems. 이 연구는 기존 연구의 한계를 제시한 후 분단구조・분단의식을 중심으로 남남갈등을 분석하고 통일교육을 통한 해결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결과에 따르면, 기존 연구의 한계는 현상중심적 접근, 남남갈등의 역사적 구조적 문제의 간과, 중도적 접근의 한계, 해결방안의 미흡, 통일교육과의 체계적 연관성 제시를 못하고 있는 점 등이라고 할 수 있다. 분단구조・분단의식을 통해 남남갈등을 분석해 본 결과에 따르면, 남남갈등은 분단의식을 지닌 분단 속에 살고 있는 분단 구성원들 간의 갈등이다. 남남갈등 극복을 위한 통일교육의 방안으로는, 분단의식 극복교육을 중심에 둔 교육, 분단 트라우마의 치유 및 분단 아비투스 극복을 위한 교육, 반공인과 보수적 분단인의 분단의식과 대립적 사유체계 해체를 위한 교육, 그리고 화해 및 통합을 위한 화쟁적 교육을 들 수 있다.

      • KCI등재

        신대철 시 연구 : 분단의 고통에서 분단 극복의 갈망으로

        손필영(Sohn pilyoung)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2

        본고의 목적은 통일문학사 정리를 위해 민족문학 근간으로 분단의 고통과 극복이라는 시인정신을 찾는 데 있다. 다양한 시적 특성과 실험적 시도가 드러나는 신대철의 시세계 중에서 체험을 통해 분단 현실을 갈등하고 민족 정서를 갈망한 시를 대상으로 하였다. 각 시의 내적 이미지연결과 표현을 객관적으로 읽어 분단 현실과 시인정신의 형상화를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신대철 시인은 등단 50년이 넘는 시간 동안 다섯 권의 시집을 출간했는데 전 시집은 그의 분단인식의 현실과 시인정신과의 갈등을 담고 있다. 그 중 비무장지대 군대 체험을 바탕으로 1975년에 발표한 <우리들의 땅>은 관념적인 박봉우의 <휴전선>과 달리 구체적이고 사실적이었다. 분단의 상처와 고통은 남북 어디에도 존재하지 않았던 북파공작원을 다룬 시들에서 시인의 체험과당시 사실이 중층적으로 그려져 밀착되어 나타났다. 23년 만에 발표한 두 번째 시집의 표제시인<개마고원에서 온 친구에게>를 통해 극지인 알레스카에서 분단의 상처를 체험을 통해 치유하고자시도했다. 그는 다섯 번째 시집 극지의 새에 이르기까지 분단의 고통을 형상화 했고 백두대간을오르며 민족의 정서회복을 갈망하며 남 북 민족이 백두산에서부터 금강산으로 지리산으로 서로연결되어 있음을 확인했다. 금강산에서 개인적으로 시화전을 열어 정서적 소통을 시도함으로써분단의 상처를 시적으로 승화시켜 분단 극복의 방향을 제시했다. 본고는 체험을 통한 분단의식과 상처를 다룬 신대철 시인의 전 작품을 연구한 첫 시도이다. 그 결과 신대철 시인의 시가 분단 이후 정서적으로 남북 민족이 공유할 수 있는 민족문학의 전형이 될 수 있음을 확인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poet’s spirit of overcoming the pain of division based on national literature in order to organize the history of the literature on the Unification. Within Shin Dae-Cheol’s world of poetry, which contains various poetic characteristics and experimental attempts, this study focused on the poems where he, through experience, was conflicted with the reality of division and longed for national emotions. By objectively reading the connection and expression of the inner image of each poem, I examined the closeness between the reality of division and the spirit of the poet in detail. Poet Shin Dae-Cheol published 5 books of poetry for over 50 years, all of which contain the pain arising from the conflict between the reality of division and the spirit of poetry. Among his works, <Our Land>, which was released in 1975 based on the military experience in the DMZ, was concrete and realistic, unlike the ideological Park Bong-Woo’s <The Armistice Line>. The wounds and pains of the division appeared more closely related to the poet’s experience and facts during that time in the poems dealing with the Northern Pavilion, who could not exist anywhere in the North and South. In <To a friend from Gaema Highlands>, the title poem of his second poetry collection released after 23 years, he attempted to heal the wounds of division in the polar region of Alaska through experience. Up to his fifth poetry book, “Polar Bird,” he embodied the pain of division, and as he ascended the Baekdu-daegan, yearning for the recovery of the people’s emotions, he confirmed that the South and North Koreans are connected from Mt. Baekdu to Mt. Geumgang to Mt. Jirisan. By personally holding a poetry exhibition at Mt. Geumgang and trying to actually communicate emotionally, he suggested the direction of overcoming the division by sublimating the wounds of division realistically and poetically. This is the first attempt to study the entire works of the poet Shin Dae Cheol, who dealt with the sense of division and wounds through experience.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poet Shin Dae-Cheol’s poetry could be an epitome of ethnic literature that can be shared emotionally by the South and North Korean people after overcoming the division

      • KCI등재후보

        영화 <웰컴 투 동막골>을 통해 본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와 분단서사 극복 전망

        강미정(Kang Mi Jeong) 건국대학교 통일인문학연구단 2011 통일인문학 Vol.52 No.-

        이 글은 영화 <웰컴 투 동막골>을 통하여 남북 분단으로 인한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현상을 탐색하고, 그러한 증상을 어떻게 극복할 수 있을지 고민하며, 나아가 영화 <웰컴 투 동막골>과 함께 배치할 수 있는 설화작품들을 통하여 이 영화가 분단서사의 어느 지점에 해당되는가를 밝히는 데 있었다. 그래서 먼저 2장에서는 <웰컴 투 동막골>의 표현철 소위에 집중하여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극복에 대한 논의를 전개했다. 그리하여 죽음의 유혹에 사로 잡혀 있던 표현철의 외상 후 스트레스적인 증상은 "다 같이 사는 거야" 아니면 "모두를 살리기 위한 죽음을 택하는 것"이라고 바뀌면서 극복됨을 알 수 있었다. 3장에서는 영화 <웰컴 투 동막골>과 같은 선상에서 함께 다룰 수 있는 설화 작품을 소개하면서 영화 <웰컴 투 동막골>이 분단서사의 어느 지점에 해당하며, 분단서사를 극복할 수 있으려면 어떤 서사로 나아가야할 것인지를 전망해 보았다. 이 글에서는 우선 영화 <웰컴 투 동막골>과 같은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는 설화 작품들로 <엎질러진 물>, <전쟁귀 잡는 굿에서 재회한 부부>, <도량 넓은 남편>들을 소개하였다. 영화 <웰컴 투 동막골>의 내용은 이들 세 편의 설화들과 부분적으로 겹쳐볼 수 있다. 그런 점에서 설화들은 충돌과 분단의 사건 속에서 어떻게 관계를 이어갈 것인지를 고민케 하는 작품들이 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웰컴 투 동막골>의 전체적인 흐름은 <전쟁귀 잡는 굿에서 재회한 부부>와 <도량 넓은 남편>의 경계에 놓여 있다고 볼 수 있다. 나아가 분단서사를 잘 극복하기 위해서는 <도량 넓은 남편>과 같은 서사의 단계로 옮겨 갈 수 있음을 전망해본다. This article was designed to search for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PSTD) caused by the division of Korea into south and north, and to predict whether they can overcome PSTD through the movie <Welcome to Dongmakgol>. Thus in 2th chapter, discussion has evolved into the overcoming of PSTD focus on Second Lieutenant Pyo Hyeon Cheol who had shown symptoms of PSTD in earnest. Specifically, the pathological symptoms of Pyo Hyeon Cheol appeared to 'wanting to die' at first was eventually overcome as a "Dongmakgol's saving". His thoughts which is wanting to die is also severe symptoms of post-PSTDtic stress disorder. This symptom is the shift itself from "All survive" to "Sacrifice to save everyone". And the movie <Welcome to Dongmakgol> can be made available showed that the shift occur as the changes of Pyo Hyeon Cheol. Therefore, <Welcome to Dongmakgol> is the work which is considered both the symptoms to suffer from the division as well as the overcoming of PSTD. In third chapter, while introducing a narrative work to deal with in the same line of the movie <Welcome to Dongmakgol>, we analyzed at some point in this movie corresponding with the epic of division and discussed the definition of epic which be able to overcome the epic of division. Accordingly, in 3rd chapter, several works that can perceived in the <Welcome to Dongmakgol>- <Spilt Water>, <A couple meet exorcism place again>, <Broad-minded husband> - were introduced. <Spilt Water> can be called 'the story of two people could not possibly live with'. <A couple meet exorcism place again> can be called 'the story of reunion couple had been separated'. <Broad-minded husband> can be called 'the story of two people do not break up in any case'. The contents of the movie <Welcome to Dongmakgol> partially overlap with the previous three story. These narrative stories are major works that we wonder how people can makes the relationship in case of conflict and division. And the overall flow of the movie <Welcome to Dongmakgol> can be placed on the boundary between <A couple meet exorcism place again> and <Broad-minded husband>. Therefore, in making the safe landing as the epic of unification whiling the overcoming the epic of division, we should be able to enter into a step like the epic of <Broad-minded husband>.

      • KCI등재

        한일병합 100년, 한국문학의 식민성과 탈식민성 ; 탈식민과 근대극복

        하정일 ( Jeong Il Ha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1 민족문학사연구 Vol.45 No.-

        식민주의를 청산하고 해체하려는 노력이 오랫동안 진행되어 왔음에도 불구하고 식민주의의 극복이 여전히 한국사회의 공안으로 남아 있는 근본적인 이유는 그것을 근대성의 수준에서만 이해했기 때문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근대성은 여러 부면에서 식민주의와 겹치기 때문에 근대주의로는 식민주의를 온전히 해체할 수가 없다. 근대극복이라는 맥락에서 탈식민의 문제에 접근해야 하는 것은 그래서이다. 다만 탈근대와 근대극복은 분별할 필요가 있다. 탈근대가 근대의 전면 부정을 꾀하는 기획이라면 근대극복은 근대의 지양에 가까운 기획이다. 요컨대 그것은 근대의 보존과 폐기라는 변증법적 의미를 담고 있는 셈이다. 필자는 탈근대 기획은 실패했다고 생각한다. 담론으로만 시끄러울 뿐 근대세계체제에 별다른 균열을 만들어내지 못했기 때문이다. 탈근대 기획은 우리의 구체적 삶을 장악하고 있는 근대성의 현실에 눈 감은 채 탈근대라는 유토피아에서 홀로 자족하고 있을 뿐이다. 반면에 근대극복의 기획은 온갖 시행착오 속에서도 근대성과의 정면대결을 회피하지 않았다. 근대극복의 기획은 근대 내부로부터의 근대극복을 지향한다. 달리 말하면 그것은 근대의 해방적 잠재력을 극대화함으로써 근대를 넘어서고자 하는 기획이라 할 수 있다. 탈근대 기획은 근대와 탈근대를 이분법적으로 분리하고 근대 이후를 이상화하는 특징을 보여준다. 근대와 탈근대를 이분법적으로 분리하게 되면 일종의 선악 이분법이 개인하기 십상이다. 근대를 뛰어넘어 근대 이후로 도약하려는 조급증은 여기서 비롯된 것이라 할 수 있거니와 이러한 조급증은 근대의 해방적 잠재력을 보지 못하게 만든다. 하지만 근대성은 좋든 싫든 우리의 삶에 깊숙이 스며들어 있다. 더구나 근대성의 존재로 고통 받는 사람들도 많지만 근대성의 부재로 고통 받는 사람들 또한 그 못지않게 많다. 그래서 근대성의 존재와 부재를 둘러싼 정면대결 없이는 근대의 극복도 탈근대도 무망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그런 점에서 탈근대 기획이 근대를 넘어서는 ``현실적인`` 프로그램이 되기 어려운 것은 근대의 복수성을 읽지 못하는 평면적 사고와 관련이 깊다고 할 수 있다. 볼세비키화론, 네그리의 제국론, 최근의 문화연구에서 그 점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에 근대극복의 기획은 근대와 탈근대의 복잡한 길항관계에 주목해 근대를 넘어서는 경로를 찾으려 한다. 근대극복의 기획은 이중과제론으로 요약할 수 있다. 이중과제론은 코민테른 4차대회의 ``이중의 임무``론에서 단초가 제시되었고 한국에서는 임화와 백낙청에 의해 심화되고 체계화되었다. 임화가 노동계급이 영도하는 민족, 곧 민중 주체의 민족을 통해 자본주의 근대를 극복하고자 했다면, 백낙청은 민중을 주체로 한 분단체제의 극복을 통해 근대세계체제를 내파하려 한다. 임화와 백낙청이 공히 민족문학을 근대문학의 이념으로 제시한 것도 그런 연유에서이다. 이들에게 민족문학이란 이중과제론의 문학적 표상을 의미한다. 이들은 탈식민을 매개 고리로 하여 근대성의 성취와 근대극복을 연결시킨다. 그것은 탈식민이 근대를 내파할 해방적 잠재력을 내장하고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전지구적 자본주의 시대가 국가를 통한 지배에서 시장을 통한 지배로 바뀐, 그리하여 여전히 불균등발전과 부등가교환과 국제노동분업의 법칙이 작동하고 있는 신식민 시대라는 점에서 탈식민을 이중과제론의 매개 중심으로 설정한 것은 적확한 통찰이라 할 수 있다. 탈근대 기획이 박래품인 데 비해 근대극복의 기획은 내발적 고민의 산물이다. 한국적 근대의 특수성에 대한 진지한 사유에 바탕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러하다. 따라서 탈근대 기획의 실패가 분명해지고 있는 지금이야말로 근대극복의 기획에 대한 새로운 조명이 시급하다고 생각된다. This essay is a brief summary and comparison of the post-modern project and overcoming-modern project. Commonly decolonization has been accepted on the level of modernity. That is why decolonization is not yet completed. Because modernity overlaps with colonialism in many aspects. So we must consider overcoming modernity in oder to complete decolonization. Post-modern project is based on the easy dichotomy of modernity and postmodernity. Therefore post-modern project denies modernity completely. I think that post-modern project has failed. Its failure is caused by the disability for modernity. Because modernity is widespread all over our lives. On the other hand overcoming-modern project promotes overcoming modernity inside modernity. It is similar to ``aufhebung``. So overcoming-modern project pays attention to the emancipatory potentiality of modernity. Overcoming-modern project can be condensed to the theory of ``double mission``. The theory of ``double mission`` was presented by Limhwa and systemized by Paik Nakchung. Korean post-modern project is deeply affected by eurocentric universalism. So that theory lacks reality and concrete vision. On the contrary overcoming-modern project is firmly based on the particularity of korean modernity. Therefore this project has strong reality and concrete vision.

      • KCI등재

        분단 극복을 위한 코리언의 정서공동체 형성 방안 -제사문화 속 본향의식을 중심으로

        김종군(Kim, Jong-Kun)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1 인문과학연구 Vol.- No.71

        이 논문에서는 코리언의 정서공동체 형성 방안을 남과 북, 동북아지역의 코리언 디아스포라의 제사문화에 드러나는 본향의식을 통해 제시해보고, 이를 통해 분단 극복의 의지를 돈독히 하고자 한다. 남과 북의 주민들은 본토에 거주하면서 본향을 언제라도 찾을 수 있는 존재이므로, 제사의 본질적 의미인 조상 추모와 효의 연장 기제로 제사를 인식하면서 편의를 쫓아서 제사를 축소 변형하고, 그 의미를 희석하는 경향성이 크다. 그에 비해 재중조선족이나 고려인, 재일조선인들은 이동권이 제약되고, 거주국 문화와 자기 민족문화가 충돌하는 가운데 문화향유권을 제약받는 열악한 상황 속에서, 제사를 본향의식의 발현 기제로 고수하고 있다. 이들에게 제사는 조상 추모라는 제사의 본질보다도 자신의 뿌리를 더듬어 확인하고 이국땅에서 지친 심신을 치유받을 수 있는 위안의 장치로써 위상을 갖는다. 이주 과정에서 제사문화가 변형되었지만, 그 가운데 코리언임을 드러내는 요소들을 문화코드화하여 굳건하게 전승하고 있다. 비록 원형에서 변형된 형식이지만 그들이 코리언의 문화라고 인식하고 있다면 그 자체를 인정하는 가운데 정서적 유대가 가능하고, 이를 통해 코리언 정서공동체 형성도 가능할 것이다. 남북은 분단체제에 안주하지 말고 분단을 극복하는 길로 나서서 그들에게 한으로 자리잡은 본향의식을 행복한 그리움으로 변화시킬 의무가 있다.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present a plan to form an emotional community of Korean through a ritual of hometown revealed in the ancestral culture of Korean Diaspora in the South, North, and Northeast Asia. Residents of South and North Korea are living on the mainland and are able to find their homeland at any time, so they recognize ancestral rites as an extension of ancestral remembrance and filial piety, which is the essential meanings of ancestral rites. Therefore, in pursuit of convenience, there is a great tendency to reduce and transform ancestral rites and dilute their meaning. On the other hand, Koreans in China, Koreans in Central Asia, and Koreans in Japan adhere to ancestral rites as a mechanism for expressing their hometown amid limited mobility and limited cultural enjoyment rights amid conflicts between their country"s culture and their own national culture. For them, ancestral rites have a status as a device of comfort that allows them to trace their roots and heal their tired mind and body in foreign lands rather than the nature of ancestral rites. In the process of migration, the ritual culture was transformed, but among them, the elements that reveal that they are Korean have been handed down as cultural codes. Although it is a modified form of the original, if they recognize it as a Korean culture, emotional bonding will be possible while acknowledging itself, and through this, it will be possible to form a Korean emotional community.

      • KCI등재

        분단극복문학에 나타난 혼혈인 연구-조정래의 「황토」와 「미운 오리 새끼」를 중심으로

        변화영 원광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7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Vol.18 No.3

        This paper analyses the foreigners’ whore and the mixed breed those are portrayed in Red Clay (1978) and The Ugly Duckling (1978) written by Cho Jeong-rae. And this reviews Cho Jeong-rae’s literary world which can be characterized as a kind of the literature of overcoming division. Both the foreigners’ whore and the mixed breed are the important Others. Through three filters of them, that is race, nation and gender, we can explore the figure of Korean society which constructed after Korean War. Those persons who are neglected in Korean literature all the while came on as the independent agent who telling their own thinking. For representing those characters, the author Cho Jeong-rae takes the third-person point of view. In the Red Clay, it is incorporated into an internal focalization which is focused exclusively upon one person, Jeom-rae. In The Ugly Duckling, it uses the method of multi focalization which is focused on one by one, such as Dong-soo, Sook-hee and Chang-gye, within their private place. In Red Clay, it tells the post colonial her-story through Jeom-rae’s life story which contains the colonial ruins of both the old colonialism and the new colonialism. In The Ugly Duckling, it describes the half breed’s daily life which represents the divided country on their body and the Other’s history missing in official records. In this regard, Red Clay and The Ugly Duckling are the typical type of literature of overcoming division. Both are tried to overcome the pure blooded and masculine paradigm which protract the situation of division as well as collapse the nation. 본 논문은 조정래의 중편 「황토」(1974)와 「미운 오리 새끼」(1978)에등장하는 양공주와 혼혈인을 탈식민지적인 관점으로 접근하여 이를 통해 조정래 문학세계가 지닌 분단극복문학의 성격을 살펴보았다. 「황토」와 「미운 오리 새끼」에서는 분단 이후 새롭게 출현한 양공주와혼혈인이 등장한다. 양공주와 혼혈인은 분단된 한국사회의 성격을 인종, 민족, 젠더라는 3중의 필터를 통해 탐색할 수 있는 중요한 타자들이다. 그 동안 한국문학에서 소외되었던 양공주와 혼혈인은 「황토」와「미운 오리 새끼」에서 목소리를 지닌 초점자로 등장하여 자신의 생각을적극적으로 말하고 있다. 이를 위해 작가 조정래는 「황토」와 「미운 오리새끼」에서 3인칭 서술을 취하면서 「황토」에서는 ‘양공주’였던 점례 한사람에게만 초점이 고정되는 내적 초점화를, 「미운 오리 새끼」에서는 ‘혼혈인’인 동수, 숙희, 창규가 차례로 초점자로 나서는 복수 초점화를사용하였다. 「황토」에서는 구식민에서 신식민에 이르는 식민성의 흔적을 담고 있는 점례를 통해 모녀관계 중심의 탈식민적 허스토리가 생산되는 과정이 이야기되고 있다. 또한 「미운 오리 새끼」에서는 분단국가를 몸으로체현하고 있는 혼혈인의 소소한 일상이란 공식기록에서 누락된 타자의역사라는 점이 제시되어 있다. 이런 맥락에서 볼 때, 「황토」와 「미운 오리 새끼」는 분단을 장기화하고 민족을 와해하려는 순혈적 남성중심의단일민족주의에 대항하는 분단극복문학의 한 전형임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분단희곡에 있어서 ‘경계인’의 위상과 의미

        조보라미 한국극예술학회 2010 한국극예술연구 Vol.0 No.32

        This article focuses on the 'marginal man' featured in dramas on the division of Korea. Marginal man is located in marginal areas which involves cultural conflict. As is well known, Korea is situated in the opposition of ideology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So in this situation marginal man is what he is not because he is not willing to break with his past but because the new society in which he now sought to find a place rejects him. Such a person is featured in San-bul by Cha Beomseok and Chilsanri by Lee Kangbaek. In San-bul a man who acted as North Korean partisan seeks refuge, but there is no place for him in the oppositional situation. In Chilsanri seven brothers whose fathers are North Korean partisans suffer the split between the aspiration for 'humanity' and the actual socio-historical experience of being treated as sub-human. Meanwhile, there is another marginal man who is willing to stand hardships to unite two countries. Such a person is featured in Homo Separatus by Lee Kangbaek and Abeojibada by Lee Ban. In that work, he is frustrated by the anti-unifying situation, and the character is not so well featured in this work. But Mogigindusaramidaewha by Park Joyeol is interpreted as the work of possibility of unification by the trial of the marginal man. 본고는 분단희곡 중에서 ‘경계인’이 형상화된 작품에 주목하고 있다. 경계인이란 두 개의 서로 다른 문화가 겹쳐진 경계지대에 놓여 있음으로써 정체성에 혼란을 겪는 인물을 뜻한다. 남북이 상반된 이데올로기 대립 아래 놓인 우리나라의 상황에서 이것을 적용해 본다면, 기존에 지녔던 과거의 전통을 스스로 포기하지 않으려 해서라기보다 현 사회에서 그를 거부하는 경향이 강함으로써 불가피하게 경계지대에 놓이게 된 인물이 대다수라고 할 수 있다. 이런 인물이 형상화된 작품으로 차범석의 <산불>과 이강백의 <칠산리>를 들 수 있다. 전자에서 경계인으로는 빨치산으로 활동하다가 탈출해 나온 인물이 등장하나 첨예한 남북의 대립 논리 속에 그가 설 곳은 없다. 후자에는 아버지의 빨치산 경력으로 말미암아 ‘빨갱이’로 불려지는 자식들의 비극이 그려진다. 이들은 그 자신 ‘인간’이 되고자 하는 열망과 ‘인간 이하의 것’으로 취급당하는 사회-역사적 경험 속에서 자아 분열을 경험한다. 한편 분단희곡 중에는 경계인이 처하게 되는 고난을 알면서도 자발적으로 경계인의 위치에 섬으로써 대립된 세계를 통합하고자 하는 인물이 발견된다. 이강백의 <호모 세파라투스>나 이반의 <아버지 바다>가 이러한 예에 해당되는데, 전자는 분단 극복에 대한 경계인의 의지가 공고한 현실 논리에 부딪혀 좌절되는 양상을 보이고 후자는 경계인의 분단 극복 의지가 모호하게 표현된 한계가 있다. 반면 박조열의 <목이 긴 두 사람의 대화>는 경계인의 분단 극복 의지를 통해 남북 화합의 가능성이 암시되어 있는 작품으로 해석할 수 있다

      • KCI등재

        김원일의 의식 변화 연구

        정학진(Chung, Hak-jin) 우리말글학회 2013 우리말 글 Vol.58 No.-

        이 연구는 김원일의 대표작인 《노을》의 초판(1978년)과 재판(1997년)을 면밀히 분석해서 김원일의 의식이 어떻게 변해왔고, 특히 아버지에 대한 그의 생각의 변화를 연구하여 이를 이데올로기 극복의 한 방편으로 삼고자 한다. 현대 한국사회는 갈등과 대립, 모순으로 인해 혼란스러운 사회이다. 이런 계급모순과 이데올로기 모순, 지역 간 갈등과 불균형 등은 모두 그 원인을 밀고 올라가면 분단 모순에 뿌리를 두고 있다. 분단 상황의 극복은 우리 시대 반드시 이뤄내야 할 의무이자 사명이다. 따라서 본고는 이런 분단문제를 해결하고자 고민하던 중 분단소설의 백미라고 일컬어지는 김원일의 《노을》을 주목하게 되었고, 초판을 내던 1978년 당시 상황과, 민주화가 이루어진 1997년의 재판에 나타난 변화들을 주밀한 관찰로 포착하여, 단순한 용어의 변화와 이데올로기에 대한 사회상의 반영, 작가의 의식변화, 통일에 대한 작가의 신념, 그리고 기휘(忌諱)의 대상이었던 아버지와의 화해 등을 통해 분단 극복의 한 단초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인 것이다. This study is concerned about investigating Kim won il’s change of consciousness through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edition(1978) and the second edition(1997) of his novel 《The Sunset》. The contemporary korean social is filled with conflict, opposition, antagonism and contradiction. These many contradiction and conflict is based on divided national situation. Therefore, we have to overcome this situation. it is the first and urgent mission. For doing it, I am concentrating upon Kim won il’s excellent novel 《The Sunset》. It is said that it is one of the best polarized literature. I discovered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edition(1978) and the second edition(1997) of his novel 《The Sunset》. I recognize that this difference is very significant to overcome our divided national situation. Especially it is very important for me to point out how his opinion about father has been changed. because I believe that it will give us good chance to overcome the ununified nation. his father was the left wing.

      • KCI등재

        동서독의 경험을 통해 본 분단 상황의 인식과 상호이해 과정

        서정일() 한국문화융합학회 2017 문화와 융합 Vol.39 No.4

        이 논문의 목적은 독일의 분단 극복을 위한 노력에 관한 개괄적 이해를 통해 우리 사회의 냉전적 문화를 성찰하는 데 있다. 이 글에서 서술한 대상은 사회문화적 측면에서 본 동독 사회의 실상, 즉 구호와 슬로건, 정치언어가 과잉된 국가주의와 권위주의가 팽배했던 그 사회의 실체에 대한 내용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분단독일의 문화계는 이념적 대립 상황에서도 상호이해를 위한 노력을 경주했다. 따라서 여기서는 정치세력간의 대립 구도에서 ‘완충’ 역할을 했던 문화계의 노력과 그 의미에 대해서도 고찰하였다. 우리나라도 2000년 이후 남북 간 화해와 협력의 시대를 열고 평화통일의 기반을 마련할 수 있으리라는 기대를 갖게 되었으나 최근 경협(經協)이 중단됨으로써 남북관계는 대립관계로 회귀하고 말았다. 우리나라를 둘러싼 경제 및 안보와 관련한 여러 상황들은 교착상태에 있는 남북 관계에 부정적 영향을 줄지 모른다는 우려를 낳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비록 더디지만 다시 화해의 여정으로 발 들여 놓으리라 우리는 믿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독일이 40년의 분단 체제를 어떻게 극복했는지에 관한 분석은 많은 시사점과 교훈을 주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scribe struggles to overcome divided culture of germany and to draw a lesson from their efforts. Germany was divided into East and West. The Germans have lived divided for 40 years. The east german society was full of empty slogans for political purposes. Authoritarian and patriarchal culture was characteristics in society of east germany. Under this circumstances, the religious, literary and cultural fields in divided Germany continued to try to promote cooperation for mutual understanding and performed as a mediator between good will of two Germans.

      • KCI등재

        이청준 소설에 나타난 전쟁 트라우마와 분단 극복-「가해자의 얼굴」과 『흰 옷』을 중심으로-

        채대일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8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80 No.-

        이청준이 다룬 전쟁 테마는 80년대까지 전란의 참상이나 그것에서 비롯된 개인의 분열과 파멸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반면에 90년대에 들어서는 분단 극복으로 외연이 확장된다. 이 글에서는 외연 확장이 시작된 「가해자의 얼굴」과 『흰 옷』을 중심으로 전쟁 트라우마 치유와 분단 극복 문제를 살펴본다. 두 텍스트는 한국전쟁과 분단 문제를 전쟁 체험 세대와 미체험 세대 간의 인식 차이를 보여 줌으로써 접근한다. 분단 이후 우리 내부에 남겨진 상흔과 갈등 해소를 탐색한다는 점에서, 그리고 우리의 현실을 존재론 차원에서 들여다봄으로써 관계 회복과 공동체 복원을 모색한다는 점에서 분단 극복 문제에 의미 있는 시선을 제공한다. Lee Cheong-Jun focused on the horrors of war and the destruction of individuals resulting from war in works featuring the Korean War until the 1980s. Since the 1990s, the spectrum of Korean War works has expanded to overcome the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In this article, we examine the issue of healing the war trauma and overcoming the division by focusing on “The Face of an Offender” and White Clothes, which started to expand the subject. The two texts explore the issues of the Korean War and division through thought differences between generations of war experience and those who have not experienced. These provide a meaningful insight into the problem of overcoming division by exploring ways to heal and resolve conflicts caused by war, and by asking ontological questions to our reality. By doing so, Lee shows the possibility of restoration of relationship and commun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