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물의 질료적 상상력과 이미지 : 반영성과 액체성을 중심으로

        정호정 이화여자대학교 도예연구소 2021 陶藝硏究 Vol.- No.30

        물은 고정된 형태가 없는 유동적 속성을 지닌 질료로, 수많은 의미를 내포하고 이미지들을 생성하여 우리의 상상력을 자극할 수 있는 대상으로 인식된다. 본 연구는 물이라는 질료의 이미지를 재조명하고 새롭게 발견하기 위한 것이다. 필자는 질료적 속성에 의해 질료화하는 상상력에서 발현되는 물의 이미지를 찾고, 이를 도자라는 매체를 통하여 구현하고자 하였다. 이미지의 시대라고 해도 무방할 현대 사회에서 상상력과 이미지는 점점 더 중요하게 다뤄지고 있다. 상상력은 이미지를 만드는 근본적인 힘으로 인간의 창조적 정신 활동을 이끄는 원동력이다. 철학자 바슐라르는 근원적 4 원소인 물, 불, 공기, 흙을 근거로 질료적 상상력을 설명하고 여기서 이끌어지는 질료적 이미지들을 제시한다. 물에 관한 그의 상상력 이론은 우리의 상상 속에서 이미지 대상을 시각적인 형상으로 파악하는 것이 아니라 더 깊은 곳으로부터 인식될 수 있는 질료로 파악해야 한다는 것이다. 즉, 인간의 내면은 질료성과 융합하여 다양하고 새로운 이미지를 생성하는 질료적 상상력을 만들며, 이는 우리가 지니고 있던 인식의 틀을 벗어나 자유로운 사고의 확장을 가능하게 한다. 물이라는 질료적 존재가 인간의 상상력을 매개로 질료 안에 잠재하는 의미를 이끌어 내는 것이다. 그리하여 물은 새로운 의미를 지닌 존재로 태어나 유기체적인 생명력을 얻는다. 본 연구에서 필자는 물에 대한 바슐라르의 질료적 상상력 이론을 바탕으로 전개하였으며, 물의 질료적 이미지의 새로운 의미 생성을 위해 철학자 이리가레의 액체적 여성성을 접목시켰다. 이는 물의 여성적 이미지에 대해 재해석하고 능동적인 여성성을 내포하는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한 일환이다. 접목이야말로 식물처럼 자라고 뿌리처럼 분화해나가는 상상 속에서 질료적 이미지를 확장하고 새로운 이미지 생성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다만 본고에서는 물에 대한 거울의 이미지와 여성적 이미지만을 다루고 있는 것이 한계점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필자는 추후 지속적인 연구를 통하여 깊고 풍부해질 수 있는 또 다른 질료적 이미지를 담아갈 것이며, 이 이미지들이 현대 사회를 사는 누구에게나 열린 상상력을 만드는 힘이 되기를 희망한다. Water is a material with fluid properties that have no particular form of existence, and is recognized as a object that can stimulate our imagination by suggesting numerous meanings and images. This study is intended to re-examination and discover the material images of water. I sought the images of water expressed in the imagination that is revealed by the material properties and implement it through the medium of ceramics. In modern society, which is defined as the age of images, imagination and images are becoming more and more important. Imagination is the fundamental force behind image creation and driving human creative mental activity. Philosopher Bachelard explains the material imagination based on the fundamental four elements, water, fire, air and soil, and presents the material images. His theory of imagination about water is that in our imagination, we should not identify the image object as a visual form, but as a material that can be recognized deeper. In other words, the inner part of human beings combines with the materiality to create a variety of new images, enabling the expansion of liberal thinking beyond the framework of our perception. The material existence of water brings out the potential meaning of water through the medium of human imagination. Thus, water is reborn with a new meaning and gains organic vitality. In this study, I developed the idea based on Bachelard's theory of the material imagination of water and incorporated the liquid femininity of philosopher Irigaray to create a new meaning for the material image of water. This is to reinterpret the feminine image of water and create an image that implies active femininity. In the imagination of growing like a plant and developing like a root, grafting is to expand the material image and enable the creation of new images. However, the limitation of this application is that it deals only with the mirror image and feminine image of water. I hope that these images will create an open imagination for anyone living in modern society, with another material image that will deepen and enrich through further research.

      • KCI등재

        맹자(孟子)의 사상(思想)과 물[水]의 이미지

        金鐘均 ( Kim Jong-kyun ) 한국유교학회 2014 유교사상문화연구 Vol.56 No.-

        사람을 비롯한 모든 生命은 물이 없이는 存在의 誕生과 生命을 維持할 수 없다. 이처럼 귀하고 귀한 물은 現代에 들어 産業化ㆍ人災등 다양한 요인으로 인하여 汚染되었거나 汚染되고 있다. 이 시점에 물 文化의 범주 중 哲學的방면에서 물에 대한 思惟를 점검해 보는 일은 意味가 있다고 여겨진다. 본 論文에서는 다양한 철학적 사유 중에서 現實을 중시하는 儒敎를 대상으로 하고, 人物로는 시대가 요구했던 문제와 實踐에 힘썼던 孟子를 중심으로 하여 그의 사상에 나타난 물의 이미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우선 『孟子』에 나타난 물 이미지들을 모두 정리해보니 물의 이미지와 관련된 單語는 그 종류가 약 75개이며, 그 單語들이 사용된 총 횟수는 약 212회 정도로 나타났다. 『孟子』 14편 중에서 단어는 滕文公上과 下가 각각 16단어로 가장 많고, 총 횟수는 梁惠王上이 26회로 가장 많다. 가장 많이 사용된 단어는 水자로 35회 사용되었고, 다음으로는 溺(물에빠질 익)자가 10회 사용되었다. 다음으로 孟子의 사상을 政治論ㆍ人性論ㆍ修養論으로 나누어 관련된 물 이미지를 살펴보았다. 政治論에서는 정치에서 백성을 제일 중요하게 생각하여 백성들의 생명을 기르고 생명을 살리는 것과 관련되어 물의 이미지가 등장한다. 人性論에서는 사람의 본성이 선하다는 주장에서 아래로 흐르는 물의 이미지가 은유적으로 사용되었고, 인간의 本性에 仁義禮智四德의 실행 가능성으로서의 ‘不忍人之心’을 예증하면서 우물이라는 이미지를 활용한다. 修養論에서는 不動心을 이루기 위한 浩然之氣에서 浩然이라는 물의 이미지가 사용되고, 四德의 단서인 四端을 확충해 나가는 방법으로 샘물이라는 이미지가 사용되며, 惡人이라도 수양을 통해 변화될 수 있는 가능성으로서 沐浴이라는 이미지가 활용된다. 이상에서 孟子는 그의 주요 思想과 관련하여 물에서 다양한 원리를 끌어내고 중요한 개념을 설명하는데 활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것은 孟子가 자연의 원리를 가지고 인간과 인간이 사회생활을 하는 원리로 이해한 것으로 볼 수 있으며, 특히 물이 가지고 있는 자연적 性善의 상생적 역할에 주목하여 다양한 사상에 활용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렇게 孟子가 물의 이미지로 보여준 자연과 인간의 同形性과 자연에 대한 相生的관점은 오늘을 사는 우리들에게도 생명의 근원이 되지만 가볍게 대하기 쉬운 물에 대해서 다시 한 번 多樣하게 생각해 보는 契機가 될 수 있을 것이다. All living things, including human being could not keep up their birth and life without water. Such a valuable and precious water has been polluted or being contaminated due to various factors such as industrialization, man-made disaster into the modern times. At this point, It would be very meaningful that considering about ideas of water onto the philosophical direction from the categories of water-culture. This paper presents the water-image in a thought, for that, the study targets at the Confucianism which emphasis on the reality within variety of philosophical fields and centers on Mencius who make an efforts to practice. The paper studies three categories; political theory, ethology, cultivation in Mencius’ ideas and researches the water-images which related above three categories. Through the study, it can be known that Mencius utilizes water-image to derive the principles and to describe the important concepts those relates to his main ideas. And also, can be seen that Mencius understands the principle of the nature as a principle of human nature and human social life. In particular, he does focus on the role of coexistence of naturally good that water has then, he utilizes it to explain his various ideas. After all, this paper would give an opportunity to consider water as an origin of life in a different point of view once again.

      • KCI등재

        이육사 시 전반에 드러난 물 이미지 연구

        손필영(Sohn, Phil-Young) 우리문학회 2021 우리文學硏究 Vol.- No.69

        죽음을 기쁘게 받아들이고 유언 대신 시를 쓰겠다고 한 이육사 시의 전편에 걸친 이미지를 찾아보았다. 먼저 반복적으로 보이는 시어를 찾는 가운데 물의 이미지와 관련된 그간에 한자의 오기(오자)라고 명명된 시어를 확인해 보았다. 내적 긴밀성을 통해 ‘항도(航圖)’, ‘명모(瞑帽)’는 오기라기보다 육사가 자신의 삶을 통해 이미지화한 신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시인의 자화상과 같은 시 <독백>에서 ‘별’의 의미로 읽었던 ‘사복’은 날개는 있으나 날지 못하는 ‘형태만 박쥐(蒒蝠)’인 것이 드러났다. 무엇보다 시에 나타난 시적 대상을 명확히 함으로써 시의 톤을 읽을 수 있었는데 이로써 그간의 개념적으로 시를 읽거나 작품 외적 전기적 요소에서 근거를 찾아와 조국이나 광복으로 보았던 ‘손님’의 상징적 의미를 구체적으로 밝힐 수 있었다. 시인의 가치와 정신의 방향성이 물의 이미지로 드러난 <해조사>, <광야>, <꽃>, <서풍>, <산> 등에서는 시적 대상들이 바다에서 항해하는 사람들이었다. 이러한 배경에서 시적 화자는 언제나 귀향 중이었다. 매체(vehicle)인 손님의 주지(tenor)는 고향으로 돌아가고자 하는 마음이라고 볼 수 있다. 특히 시적화자는 바다를 통해 뱃사람들과 같이 귀향하고 있음을 보여줌으로써 다른 사람들과의 연대를 명확하게 드러냈다. 또한 유언과 같은 <꽃>을 통해 시적화자는 자신을 포함한 바닷사람들이 고난을 무수히 겪어 꽃성을 이루고, 이룰 것을 믿고 기대했다. 그 공간을 바다 한복판으로 정하여 고난을 기쁨으로 완성시키고 순간을 영원으로 바꾸고 있다. 내적 구조로 읽으면 <절정>에서 육체적 고통이 극심할 때 열망이 가장 강렬했으므로 강철로 된 무지개를 볼 수 있었다. 물의 이미지로 시를 읽으면 <절정>의 세계가 시의 전반에 걸쳐 상징적으로 드러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순수성을 추구하는 정신이 물의 이미지로 나타나 흙의 속성과 결별하며 샘물, 강물 등으로 변형되다가 수평인 바다에 이르러 죽음에 이르지만 그 고통은 황홀함과 결합되어 시적 주체를 영원한 순간에 도달하게 했다. 이육사 시의 전편에 흐르는 물의 이미지는 바다에 이르면서 죽음으로 완결되었다. 이미지를 따라 시 전반을 읽어 봄으로써 시와 시인의 말과 글의 일치를 확인할 수 있었다. I analyzed the imagery of the entire poetic corpus of Yi Yook Sa, who was willing to accept death and chose to write poems instead of a last will and testament. While searching for poetic words used repeatedly, I noted those related to the image of water that had previously been regarded as typos. Through internal affinity, I determined that Hangdo (航圖) and Myungmo (瞑帽) are not typos but neologisms to which Yi gave images throughout his life. In addition, in <Monologue>, which is regarded as a poetic self-portrait, the word sabok, previously identified as a star, actually refers to the shape of a bat that has wings but cannot fly. I was thereby able to determine the tone of the poem by clarifying the poetic objects in his work. Such a reading revealed the meaning of the word “visitor,” which has previously been regarded as symbolic of the mother country or independence, when read based on elements outside the work. In poems like <Haejosa>, <Gwangya>, <Flower> <Seopoong>, and <San>, Yi’s values and spiritual direction are revealed through the image of water, and the poetic objects are people sailing at sea. The poetic narrator is thus sailing back to his home country through the entire poem. We can see that the vehicle, which is the tenor for the guest, desires to return to the homeland. In particular, the poetic narrator’s solidarity with the people is revealed in his sailing back together with the seafarers. Moreover, in his last work <Flower>, the poetic narrator expects the seafarers, including himself, to experience countless hardships that will result in the creation of the flower castle, whose location he set in the middle of the sea, converting their hardships into joys and changing the moment to an eternity. Through the inner structure of <Jeol Jeong>, the poetic narrator’s desire was most intense when his physical pain was most severe, when he could see the steel rainbow. When reading his work through the image of water, we symbolically perceive the world of <Jeol Jeong> throughout Yi Yook Sa’s poem. The spirit of pursuing purity appears in the image of water, which arises from the nature of the soil, transforms into spring water, river water, etc., and finally meets death when reaching the horizontal sea, but the pain is combined with ecstasy, allowing the poetic subject to attain a moment of eternity. On reading the poem through images, I was able to confirm the accordance among the poet"s speech, writing and his poems.

      • KCI등재

        김종삼 시의 물 이미지 고찰과 교육적 의의

        박선영(Sun-Young Par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22

        목적 본 연구는 김종삼의 시를 관류하는 물 이미지의 변용 및 이행 양상을 분석하여 시인의 의식세계의 지향성을 살펴보고, 이를 대학의 시 교육과 연계하여 교육적 의의를 고찰하고자 한다. 방법 이를 위해 본고는 시적 대상을 통해 의식의 지향성을 밝히는 현상학적 입장을 취하였으며, 특히 가스통 바슐라르의 의식 현상학의 측면에서 김종삼 시의 물 이미지의 변용 및 이행 양상을 분석하였다. 나아가 이것을 대학생의 시 교육에 적용할 때 얻을 수 있는 교육적 의의를 탐색하고자 한다. 결과 연구 결과, 김종삼 시에서 다양하게 변용되는 ‘물’ 이미지는 ‘썩은 물’에서 ‘순수한 물’로의 이행, ‘난폭한 물’에서 ‘불타는 물’로의 이행, ‘죽은 물’에서 ‘모성적 물’로의 이행이라는 세 갈래의 이행 양상이 나타났다. 이를 통해 절대낙원을 상실하고 목마름 속에서 이상세계를 갈구했던 김종삼 시인의 의식지향성을 총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더불어 이를 대학생의 시 교육에 활용할 때 미적 감수성 함양, 창의적 상상력 증진, 사고의 유연성 배양, 세계와의 교감과 소통의 가능성 확장 등 유의미한 교육적 효과를 거둘 수 있음을 살폈다. 결론 본고는 김종삼 시의 물 이미지의 변용 및 이행 양상을 고찰하여 시인의 지향성을 총체적으로 밝히고, 나아가 이것의 교육적 의의를 고찰하여 대학생의 시 교육에의 적용점을 모색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s the orientation of the poet's world of consciousness by analyzing the transformation and implementation of the water image that penetrates Kim Jong-sam's poetry, and examines its educational significance in connection with the university's poetry education. Methods To this end, this paper took a phenomenological position to reveal the orientation of consciousness through poetic objects, and analyzed the transformation and implementation of the water image in Kim Jong-sam’s poetry in terms of Gaston Bachelard's conscious phenomenology. Furthermore, it aims to explore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that can be obtained when applying this to the poetry education of college students.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water” image, which is variously transformed in Kim Jong-sam’s poetry, showed three transition patterns: the transition from “rotten water” to “pure water,” the transition from “tough water” to “burning water,” and the transition from “dead water” to “maternal water.” Through this, it was possible to comprehensively grasp the consciousness orientation of poet Kim Jong-sam, who lost absolute paradise and longed for an ideal world in his thirst. In addition, it was examined that when used for college students' poetry education, it can have significant educational effects such as cultivating aesthetic sensitivity, enhancing creative imagination, cultivating flexibility in thinking, and expanding the possibility of communication and communication with the world. Conclusions This paper is meaningful in that it examines the transformation and implementation of water image in Kim Jong-sam's poetry to comprehensively clarify the poet's orientation, and further examines its educational significance to seek application points for college students' poetry education.

      • KCI등재

        오페라 "루살카" 속의 물과 달의 상징과 여성적 이미지

        최아름 ( A Reum Choi ),장영란 ( Young Ran Chang ) 韓國世界文學比較學會 2015 世界文學比較硏究 Vol.50 No.-

        체코 음악가 안토닌 드보르자크의 작품인 오페라 「루살카」는 총 3막으로 구성되어 있으며,물의 정령인 ‘루살카(Rusalka)’를 중심으로 이야기가 펼쳐진다. 루살카는 신화 속에서 흔히볼 수 있는 물의 요정이나 물의 여신, 인어와 같이 여성으로 묘사되고 있으나, 오페라 루살카에서는 신화의 원형과는 다른 변형된 여성의 이미지가 투영되어 있다. 이는 슬라브 신화에 등장하는물의 정령인 루살카 뿐만 아니라 한스 안데르센(Hans Christian Andersen)의 작품 「인어공주」와 푸케(Friedrich de la Motte Fouque)의 「운디네」속 물의 정령에도 영감을 받았기 때문이다. 그 결과 다른 두 작품에서도 보여준 인간과 자연의 결합이라는 낭만주의적 관심이 오페라 「루살카」로도 이어지면서 오페라 속 루살카는 이전의 물의 정령과 유사하지만 다른,혼합된 여성성을 지닌 형태로 재창조되었다. 이러한 여성의 이미지는 오페라의 전체적인극 중 분위기를 이끄는 극적 표현수단인 물과 달이 지니고 있는 상징과 맞물리며 보다 명확하게 드러난다. 본 논문은 드보르자크의 음악성 연구의 사례로써 오페라 루살카를 주목하기보다는 오페라의 구성요소 중 하나인 리브레토(Libretto/대본)를 중심으로 기존의 신화들과 그것들을 변용한 동화들을 통해 루살카의 여성 이미지와 상징들이 오페라 루살카에서는 어떻게 변형되어 나타나고 있는지에 대해 주목하고자 한다. 오페라 「루살카」는 ‘루살카’라는 존재를 대본에서 여성, 물, 달의 연관성을 통해 묘사하고 있고, 이를 통해 시적 이미지를 드러내고 있기 때문에 대본을 또 하나의 문학으로 바라보고 해석해 볼 수 있다.55)이는 오페라가 단순히 음악의한 갈래가 아니라 음악과 시, 무용, 미술 등 종합예술의 집합체이며, 오페라의 대본이 문학과 깊은 관계를 맺고 있다는 점을 전제로 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오페라 「루살카」에 대한분석에 있어서 대본(libretto)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하며, 이 오페라의 소재인 ‘루살카’라는 물의 정령의 신화적 원형과 변용된 동화 속 물의 정령들로부터 차용된 요소들을 어떻게 융합하여 재창조했는지 이야기하고자 한다. 또한 오페라 「루살카」에 등장하는 ‘루살카’ 의여성성을 기존에 알려져 있는 신화 속의 물의 정령이 지니는 여성의 이미지와 비교하는데 있어 대본 속에 내재된 여성과 물, 그리고 달이 지닌 상관성을 중심으로 이미지와 상징을 분석하고자 한다. Opera Rusalka is the most famous of Czech works written by Antonin Dvorak. It consists of three acts and is focused on Rusalka, who is a water nymph from Slavic mythology. Rusalka in this opera is portrayed as the feminine image such as a nymph or goddess of water and mermaid in the prototype of the mythology. But Rusalka``s character is not reflected as same as an archetypical image of mythology. Because It is inspired not only by rusalka who is the water nymph in Slavic mythology but also by the spirit of water in Hans Christian Andersen``s The Little Mermaid and Friedrich de la Motte Fouque`s Undine. As a result Romantic interest, such as the union of humanity and nature, which is shown above in these different stories is connected with the opera of Rusalka, And Rusalka, main character in opera, has reinvented herself as a combined femininity which is similar or different to previous water nymph. These Images of Women are more clearly shown by being interlinked with symbol of Water and Moon, that is one of the sets leading a whole atmosphere in this opera. This paper is not focusing on the case of Antonin Dvorak``s musicality, but libretto which is one of the opera sets: how to be expressed image and symbol and interlinked the genre characteristics of the opera with mythology and its story of the transformation into fairy tale. Rusalka is described through association between woman, water, and moon. And poetic image is shown in libretto. For this reason we can interpret the libretto as the type of literature. That is to say, it is based on the premise that opera is the combination of the composite arts : music, poet, dance, art etc, and libretto is related to literature. So, it is examined an analysis of Rusalka in the opera focusing on libretto. And it would be say how to combine with and reinvent. Rusalka as an archetype of mythology and borrowing elements from two different stories. Also, it is to be analyzed the image and symbol focusing on the relativity of Women, Water and Moon in the libretto in comparing image of Women between Rusalka as an opera``s character and previous mythical water nymph.

      • KCI등재

        물질적 상상력에 기반한 맑은 물의 이미지 연구 - 가스통 바슐라르의 이론을 중심으로 -

        정호정,김지혜 한국도자학회 2016 한국도자학연구 Vol.13 No.3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material image of water which can be extended beyond the boundary of visual image and to express it through the medium of ceramics. This study focuses on the possibility of the material imagination of water which lead us go further from stereotype and piecemeal image of water that has dominated in our culture and thinking. Water itself does not have particular form of existence. Influenced by its external environment, water creates various forms. These are visual images produced from the external form of the object. However, there exists material image of water that can be appreciated deeper than the figurative image. The material image is led by the material imagination and revealed based on materiality of the object. French philosopher, Gaston Bachelard(1884-1962), stated that the human imagination is basically materialistic; that we understand the object by material not by form. His material imagination theory tells us to project our mental shape and lives through water so that we could rediscover it within our imagination. The material images of water is vibrant and lively, which at the same time could be a medium to discover imagination of new image. Consequently, the process provides us vision of new imagination which is novel to contemporary life and society. 본 연구는 보편적인 시각 이미지의 영역 너머로 확장될 수 있는 물의 물질적 이미지들을 찾고 이를 도자라는 매체를 통하여 구현하기 위한 연구이다. 연구자는 우리 문화와 사고 안에지배적인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물에 대한 고정관념과 단편적인 이미지로부터 더 나아가 새로운 이미지를 그릴 수 있도록 하는 물의 물질적 상상력의 가능성에 주목하고자 한다. 물은 고정된 형태가 없는 유동적 물질로 존재하는 장소에 따라 그 형태가 변화한다. 이는사물의 외적 형태를 대상으로 하여 시각적으로 파악하는 형상적 이미지로 설명된다. 그러나이 형상적 이미지보다 더 깊은 곳으로부터 인식될 수 있는 물질적인 이미지가 존재한다. 이러한 물질적 이미지는 물질적 상상력에 의해 이끌어지는 것으로 이미지 대상의 물질성을 바탕으로 발현된다. 프랑스 철학자 가스통 바슐라르(Gaston Bachelard: 1884-1962)는 인간의 상상력이 근본적으로 물질적이라고 하며 우리에게 이미지를 제공해 주는 대상을 형태로서 파악하는 것이 아니라 물질로 파악하였다. 바슐라르의 물질적 상상력 이론은 물을 통해 우리 자신의정신적 모습과 우리의 삶을 투영하고 이를 우리의 상상 속에서 재발견해야 한다고 하는 것이다. 물의 물질적 이미지는 활기차고 살아있으며, 다양하고 새로운 이미지의 상상력을 발견하는 매개체가 될 수 있다. 이것은 우리를 새로운 상상의 세계로 나아가게 할뿐만 아니라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의 삶과 사회에 대해 새로운 이미지를 그리는 상상력의 가능성을 조망하게될 것이다.

      • KCI등재

        물(水), 혹은 흐르는 세계(物) -고대 중국 제자백가에서 ‘물’의 담론과 상형적 사유-

        김시천 ( Kim Si-cheon ) 한국한문학회 2019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74

        어느 문화권을 막론하고 ‘물(水)’은 인간과 자연의 생명의 바탕이자, 학문적 사유의 원천 가운데 하나였다. 이 논문은 인간의 환경이자 경험적 대상으로서 물이 동아시아의 사상과 문화 속에서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살피고자 한다. 특히 고대 중국의 ‘諸子百家’에 반영된 물에 대한 사색 속에 어떤 동아시아적 사유의 특성이 나타나는지를 시험적으로 논하고 있다. 사라 알란은 고대 중국의 사유에 존재하는 ‘뿌리 은유들(the root metaphors)’에 주목한 바 있다. 그에 따르면 고대 중국의 사유는 형이상학적, 초월적 개념을 찾는 대신, 물(水)이나 바람(風), 식물과 같은 ‘뿌리 은유들’을 통해 인간과 자연의 현상을 이해할 수 있었다고 본다. 이 논문은 이러한 사라 알란의 주장을 확장하여, 漢字의 기원인 象形文字와 그 특성에 주목하여 이른바 ‘상형적 사유(象形思惟)’ 혹은 ‘이미지-네트워크 사유(the imagesnetwork thinking)’를 제안한다. 이는 인간의 자연물에 대한 경험이 이미지로서 한자에 축약되고, 이러한 이미지들을 서로 결합하고 확장하는 방식으로 한자가 증식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사유가 확장되는 독특한 사유방식을 드러낸다고 보려는 것이다. 이러한 이미지-네트워크 사유는, 경험과 사유가 확장되면서 자연스럽게 이미지 결합의 방식으로 한자를 증식하였고, 더 나아가 이미지를 결합하여 사유함으로서 고도의 추상적인 사유까지 표현하는 양식으로 발전하였다는 것을 보여주고자 한다. 이는 고대 그리스의 ‘논리학(logic)’과는 다른 사유방식의 하나를 보여준다. 이 논문은 이러한 ‘상형적 사유’ 혹은 ‘이미지-네트워크 사유’가 어떤 식으로 인간과 자연에 대한 경험을 사유하고 표현하며, 세계관을 구축하는지를 몇 가지 구체적인 예시를 통해 보여주고자 한다. 특히 세계, 인간, 정치와 같은 구체적인 영역에서 이미지-네트워크 사유가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물의 이미지’와 관련하여 구체적으로 살피고 있다. 이 글은 그런 의미에서 ‘물의 상상력’을 다루지만, 동아시아적 사유의 근저에 닿아 있다고 주장하고 싶다. Water is the foundation of the human beings and nature and one of the academic reasons regardless of every cultural area. This research investigates how water has affected the East Asian thoughts and cultures by means of human environments and empirical objects. Particularly, it aims to experimentally discuss the characteristics of East Asian way of thinking among the contemplation for the water reflected in the pre-Ch’in philosophers and texts. Sarah Allan mentioned the ‘root metaphors’ that has existed in the ancient China and was noted. According to her, instead of metaphysical and transcendental notions, this Chinese thinking relies on the humane and natural phenomena through ‘root metaphors’ such as water, winds, and plants. This research agrees with what she mentioned and also, broadens her arguments, which induces the awareness of hieroglyphics and their traits and suggests hieroglyphic and the images-network thinking. This means that Chinese characters symbolized the images of experiences for the nature, combined with one another, and made new meaning. Like these multiplied processes of them, the East Asian thoughts similarly shows the unique ways of thinking. This images-network thinking interacted with experiences and thinking, reproduced the renewed Chinese characters, and further, established a high level of abstract expressive methods thereby integrating and thinking images. However, these ways of thinking very differ from the logic of ancient Greek. In this respect, it represents how the hieroglyphic or the images-network thinking influences the reasoning of humane and natural experiences and exemplifies several specific instances. Especially, detailed areas like the world, human being, and politics appear in terms of the images-network thinking and the images of water. Also, it deals with the imagination of water but it intends to reach the basis of the East Asian thinking.

      • KCI등재

        이주홍 동화의 신화·원형적 연구

        한옥선 배달말학회 2012 배달말 Vol.50 No.-

        I found several intrinsic images that appeared repeatedly in Ju Hong Lee’s fairy tale works. These images were formed a kind of the big stream in the whole of his literary works. I divided these archetypal images into the image of fire, water, road, color. I gave the analysis into a trial his representative works that revealed well archetypal image - namely 「Ancient Goryo grandmother’s funeral」, 「Flatfish and globe-fish」, 「Green frog」, 「Echo」. 「Don’t cry yeoniya」. After all, I assert the next significant opinions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First, generally we can find the four images of fire covering the whole work 「Ancient Goryo grandmother’s funeral」 - a)an aggressive image of fire that can destroy everything, b)a taboo image involving basic symbol that son’s house is on fire. c)the image of eternal reborn between a grandmother’s sacrifice and purified life, d)the evil image in great flames, e)the horizontal image of fire through flames descending from mountain. Second, the image of water is widely contained his two works 「Flatfish and globe-fish」, 「Green frog」. The image of water express the character of Anima that remind us of death and unrunning water plainly in his work 「Flatfish and globe-fish」. We can see that water hold the image of purification through 「Flatfish and globe-fish」’s vomitting of abdomen full of oil and been cake. In 「Green frog」, the image of creation is represented through unrunning water of the pound. Third, the image of road is showed his work 「Echo」. That image is contained of passing ceremony as his elder sister’s wedding and the wrench of parting. And that image is displayed the wandering Dolli’s course that roaming rough mountain with longing his elder sister. The image of road express the birth and parting between the elder sister’s leaving and birth of a calf. And then, We can find well the both Oedipus Complex and the pain of growth. Fourth, the image of color is revealed in 「Don’t cry yeoniya」. Its image in his works consist of red bottle, white bottle, blue bottle. The opening image is showed up a reformation of flesh in a moment when the girl scattered the drug of white bottle to the dead boy. The dead boy was vitalized when the girl scattered the drug of red bottle to him. The color of bottles represent the image of relevant to blood like revival and passion and disorder. Reincarnation was completed as the good images between death and rebirth when scattered the drug of blue bottle. As a result of considering four images, we can understand Ju Hong Lee’s literary works are connected an permanent paradise as circulation from death to birth and vitalization. I agree N·Frye’s opinion that basic intrinsic points of natural human being equal to the exchange of life and death through sacrifice, paradise, birth, revival from above Lee’s works. Accordingly, the four images are used to Ju Hong Lee’s fairy tales works as good samples. The situation of events and characters of his works serve well us universal sympathy and aesthetical value today. 이주홍 동화의 여러 작품에서 반복되어 나타나는 이미지들이 많았다. 이주홍의 작품 전체를 걸쳐 나타나는 원형적 이미지를 불, 물, 길, 색채의 이미지로 나누어 보았다. 이주홍의 동화 즉 신화·원형적 이미지가 잘 드러나는 대표적인 작품이라 생각되는 「고려장 할머니」, 「가자미와 복장이」, 「청개구리」, 「메아리」, 「연이야 울지마」를 비교분석 하였다. 비교분석의 결과를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첫째, 불의 이미지는 「고려장 할머니」의 작품에 나타나는데 ㄱ)주변에 존재하는 모든 것을 파괴해 버릴 듯한 공격적인 불, ㄴ)할머니의 죽음을 통한 자기희생의 승화와 파괴를 통한 소멸을 보여주는 불, ㄷ)활활 타는 장면 속에서 악마적 파괴 요소를 지닌 불의 양상까지 보여준다. 둘째, 물의 이미지는 작품 「가자미와 복장이」, 「청개구리」에서 나타난다. 「가자미와 복장이」는 움직이는 빗물과 고인 물을 통해 창조와 생명을 연상시키는 아니마적 성격을 보여주고, 또 가자미와 복장이가 물을 마시고 배 속에 가득 든 기름과 두부를 토해냄으로써 정화와 생성의 이미지도 함께 가짐을 나타내었다. 「청개구리」에서는 연못의 물을 통해 자정 이미지를 보여주고, 물 위에 떠 있는 꽃배를 통해 어머니의 모습을 연상시킨 회귀로서의 물 이미지를 나타내 주었다. 셋째, 길의 이미지는 작품 「메아리」에서 나타난다. 결혼과 이별을 통한 슬픔의 통과의례적인 길 이미지, 떠나버린 누나를 그리워하며 험한 산길을 헤매는 돌이가 걷는 유랑의 길 이미지, 누나의 떠남을 통한 오이디푸스 콤프렉스의 극복과 송아지의 태어남의 대비로 성장과 자아형성의 재생을 나타내는 길 이미지이다. 넷째, 색채의 이미지는 「연이야 울지마」에서 잘 볼 수 있다. 이 색채의 이미지를 작품 안에서 붉은 물병, 흰 물병, 푸른 물병을 통해 보여주고 있다. 소녀가 죽은 소년의 해골에 흰 물병의 약을 뿌리자 살이 붙음으로 열림의 이미지를 보여주었고, 붉은 물병의 약을 뿌리자 피가 돌았다. 이것은 피와 연관됨으로 상처나 흔적을 통하여 탄생의 이미지를 나타내고 있으며, 푸른 물병의 약을 뿌리자 숨이 돌아옴으로써 죽음과 재생의 이미지를 잘 표현해 주었다. 프라이가 주장한 위의 네 이미지를 비교 해 본 결과 이주홍의 작품들에서 공통적으로 죽음이 탄생과 재생으로 이어지면서 인간이 원초적으로 추구하는 영원한 낙원으로 연결됨을 볼 수 있었다.

      • KCI등재

        물의 형상성과 건강한 생명력

        임환모(Lim, Hwan-mo) 전남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2014 전남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학술지 어문논총 Vol.- No.26

        35편의 시가 실린 『파도의 말』(1972)은 손광은 시인이 고뇌와 열정으로 보낸 젊은 날의 생생한 기록들이다. 1962년 김현승의 추천으로 문단에 나오면서 당당하게 시적 반란을 선포하였다. 그는 「나의 반란」에서 노자가 말하는 물의 속성을 “군단처럼 밀리고, 흐르고, 휘도는/ 誘導性”으로 파악한다. 이 물의 속성을 형상화하는 것은 곧 시인의 내면에 의식과 무의식을 가로지르는 감각적인 것들의 분할이 물처럼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는 것을 말한다. 그래서 시인의 주름진 삶의 과정에서 특정한 순간에 경험하는 “영혼을 흔들어준 시간들의 모임”이 그의 시의 세계를 이룬다. 대부분의 시들에는 유동적인 물의 이미지가 구체화되어 있다. ‘물두렁’으로서의 ‘파도’는 시인의 무의식적 욕망의 역동성을 표현하는 메타포이다. 그런데 이 파도는 시인의 자의식을 자극하고 자꾸만 부끄러움을 불러일으킨다. 사월혁명의 정신을 적극적으로 실천하지 못함에서 오는 부채의식은 「파도의 말」에 잘 드러난다. 이런 경향의 시들에는 ‘거대한 참여’와 반성적인 자기성찰의 결합이 물처럼 자연스럽지 않다. 다시 시인이 물의 세계를 닮으러 낮아지면서 일상생활에서 부딪치는 욕망의 세계와 세속적 이해관계에서 비켜서게 되면 시의 건강성은 회복된다. 유동적인 물의 이미지가 시인의 원초적인 경험의 세계와 맞물리면서 노동의 건강성과 강인한 생명력이 형상성을 얻게 된 것이다. 「보리타작」과 「직녀도」가 그런 경우이다. 그러나 정작 손광은 시의 매력은 유동적인 이미지가 만들어내는 서정성에 있다. 그러한 서정성이 「노을」과 「그늘」에서처럼 시인과 자연이 하나 되는 격물치지의 경지를 보여주면서도 거기에 강인한 생명력을 부여하고 있기 때문이다. Words of waves(1972) that has 35-poems is vibrant records in youth of Son Gwang-eun"s anguish and passion. He unabashedly proclaimed poetic-revolution with he started his literary career through the recommendation Kim hyun seug in 1962. He was apprehended a inner nature of water by Lao Tzu"s saying as "induction, like crops, pilling, flowing, rounding" with "my revolution". It is to say to figurate inner nature of water that is naturally to be to take place division of sensual things in inner that might cross between the 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 to flow like water. Then, his poems word was constructed by "a group of rocking time of soul that was experienced a particular moment of the poet"s wrinkled to get in the course of life. It was to have been to embodiment of a fluid image of water in most poems. Waves in "a levee of water" is a metaphor to express dynamic of an unconscious desire of poet. But this waves stimulated the poet"s self-conscious and aroused shame frequently. A debt-awareness to be caused by not practice about the spirit of april revolution well exposed in Words of waves. A combination between "massive participation" and self-reflexive introspection is unnatural like water in this trend of poems. Again, with resemble in the water word the poet decreases his attitude, he moved aside the world of desire and earthly interests so that poetic-healthy was to get back. Health of labour and strong of vitality was obtained the figurativity with a fluid image of water to go in gear with primitive experience of the world. "Barley thresh" and "the painting of Vega" are prime examples. But a attraction of Son"s poems is to poetics to make fluid image actually. Such a poetics like "a glow" and "the shade" was to show to reach a state of the properties of things, and there is a strong vitality to them.

      • 「화사집」과 「처용단장」에 나타난 물의 이미지

        손화영(Shon Hwa-Young) 한국어문교육학회 2013 어문학교육 Vol.47 No.-

        「화사집」과 「처용단장」에서 살펴본 물의 이미지는 다음과 같다 미당에게 시적 변용의 중심은 원죄의식으로서의 물의 이미지다. 미당의 물은 원초적인 생명력이요, 맹목적 충동의 상징인 피가 물로 정화되는 과정 속에 그 특징이 있다. 피는 몸 안에 흐르고 있는 것으로 자연히 온전한 상태에서는 보이지 않는 것이 정상일 것이다. 그럼에도 이것을 드러낸다는 것은 금기에 대한 위반이며 그 결과 일종의 죄의식을 동반하게 된다. 인간원형을 회복하는 것이 바로 생명의 탐구였고 그 원형은 바로 관능적 인간, 즉 벌거숭이였다. 처용의 발견은 시인이 겪어야 했던 역사적 체험에서 비롯되었다. 유복하고 귀하게 유년 시절을 보낸 그는 일제의 군국주의와 한국전쟁을 겪으면서 느낀 폭력에 대한 심리적 극복방법을 인고주의적 해학에서 찾았다. 불시에 들이닥친 현실의 폭력 앞에 대얀을 찾을 수 없었던 시인에게 처용의 모습은 스스로를 비추기에 충분했다. 김춘수의 물 이미지는 시의 주요 공간이며, 그 공간에서 발현되는 다른 이미지와의 상관관계를 통하여 시세계를 형성하고 있다. The water image on Hwasajib and Cheoyongdanjang is as in the following. Firstly, the key of poetic transformation, as for Seo Jeong-ju, comes from the sin consciousness. The water to his perspective features on a basic tenacity and blood representing symbolic blind compulsion purifies it. It is natural that blood flows in our body and can never be seen. That is why expressing such images is a violation on taboo. After all, it leads to a kind of guilty feeling. However, he thought that finding human guilty which is a basic humanity was to pursue life itself. Secondly, Cheoyong's findings as a poet were begun from the historic experiences by himself. He who was very rich in childhood would discover methods to overcome problems psychologically. Even if he could not seek alternatives in facing various violences, it was sufficient for him such conditions to reflect on himself. Lastly, the water image of Kim Chun-Su is centered theme. He would form his world into diverse images through correlation appeared on his boundar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