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교 신입생의 토익에 대한 학습 방법 및 성과에 대한 비교 분석

        김태훈 한국자료분석학회 2015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7 No.1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verify the effect of TOEIC of university freshmen by the learning methods. The sample is 142 students enrolled online TOEIC and 332 students enrolled face-to-face TOEIC and TOEIC test results of the students are compared and analyzed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the followings: First, it showed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male and female by online and face-to-face learning methods. Second, also it showed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categories (humanities, social sciences, engineering, natural sciences, and arts & physical education) by online and face-to-face learning methods. Third, as one-way ANOVA results, LC TOEIC score (MAX) of face-to-face learning are better than those of online learning. The other results of online learning are better than those of face-to-face learning. Fourth, as three-way ANOVA results, there are not the interaction effects in the model. The main effects of RC scores in the online learning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Finally, there are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in face-to-face learning to online learning. That is, the improvement of face-to-face learning has been analyzed to approximately 1.8 times higher than the improvement of online learning. 온라인 학습과 면대면 학습을 통해 토익성과를 비교·분석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A 대학교 2014년 신입생 중에서 온라인 토익을 수강 신청한 학생 142명과 면대면 강의를 수강 신청한 학생 332명을 대상으로 모의토익 시험 결과를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온라인 학습에서는 여학생 비율이, 면대면 학습에서는 남학생 비율이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2) 계열별로 온라인 학습과 면대면 학습 수강생 비율간 차이에 있어 사회과학계열의 비율은 온라인에서, 면대면 학습의 비율은 공학계열과 인문계열에서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3) 독립표본 t-검정 결과 LC 성적의 최대값만이 면대면 학습의 성적이 온라인 학습의 성적보다 낫고 나머지에서는 모두 온라인 학습의 성적이 뛰어남을 알 수 있었다. 4) 삼원분산분석결과 교호작용들은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으며 온라인 학습에 의한 RC 성적들이 면대면 학습보다 좋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5) 온라인 학습과 면대면 학습의 개선정도에 통계적 유의성이 있었으며 면대면 학습의 개선정도가 온라인 학습의 개선정도보다 약 1.8배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온라인 학습이 면대면 학습방법의 성과보다 낫다고 할 수 있는 객관적이고 보편적인 사실을 증명하는 데는 한계점이 있으며, 혼합학습의 성과와 비교하지 못한 점 또한 한계점으로 지적된다.

      • KCI등재

        교사의 면대면 수업과 사이버 가정 학습의 학습 효과 비교- 중학교 기술 ․ 가정 교과의 ‘청소년과 소비 생활’ 단원을 중심으로 -

        이혜란,이연숙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09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21 No.2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develop cyber home study program on consumer life for youth in middle school students and to compare the learning effect of this program with that of teacher's off-line lecture in class. The contents of the middle school Home Economics․Technology textbooks was analyzed. Based on this analysis 4 cyber home study lesson plans on youth's consumer life were developed. The topics of lesson plan were as ‘youth and consumer behavior’, ‘utilizing consumer information’. ‘effective consumer choice’, ‘resolving consumer problems’. The cyber home study were composed of 5 steps which were ‘guiding’ →‘learning activities’ →‘evaluation’→‘further study’ →‘summery’. The second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as an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cyber home study through on-line class. The control group of students who had same condition with the experimental group were taught by home economics teacher using traditional instructional methods in off-line class. After the experiment, the changes in consumer's attitudes and knowledge of both groups were analyzed using Analysis of Covariance. The significant improvements of consumer's attitudes and knowledge were found in both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of students. However, the consumer's attitudes and knowledgeof the students who were taught by the teacher in off-line class improved more than those of the students who studied using cyber home study program in on-line class. Thus, the following conclusion is made that the cyber home study could be one of the useful learning methods to aid traditional off-line teaching in class. 본 연구는 청소년 소비자교육을 위한 사이버 가정 학습 교수-학습 과정안을 개발하여 사이버 가정학습을 실시 한 후 이의 학습효과를 교사의 면대면 수업과 비교하기 위하여 시도 되었다. 이에 청소년 소비자 교육의 교수-학습 과정안은 현행 7차 교육과정의 중학교 2학년 기술․가정 교과의 대단원 ‘자원 관리와 환경’에서 중단원 ‘청소년과 소비 생활’에 기초를 두어 학교에서 학습하게 되는 학교 소비자 교육 내용에 맞게 구성되었다. 사이버 가정 학습을 진행하기 위하여 ‘소비자 교육’ 이라는 강좌를 연구자가 개설하고, 『중학교 2학년 기술․가정』에 해당하는 강좌에서 청소년 소비자 교육과 관련된 ‘청소년과 소비 행동’, ‘소비자 정보의 활용’, ‘합리적인 소비생활’, ‘소비자 문제의 발생과 해결’의 4차시 강좌를 선정하였다. 사이버 가정학습 학습 강좌는 학습안내→학습활동→평가하기→분기→정리하기 의 5단계로 구성되어 있으며, 매체의 화면 구성은 에니메이션과 동영상을 통하여 제시되었다. 학습 효과를 비교하기 위해 중학교 2학년 남․여 학생을 100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에게는 사이버 가정 학습을 이수하도록 하고, 통제 집단에게는 오프라인 상의 교사의 면대면 수업을 실시한 후 공변량 분석과 대응표본 t 검증을 하였는데, 전체 소비자 태도와 일부를 제외한 소비자태도 하위 영역과 소비자 교육에 관한 지식 에서 유의미한 수업 효과를 보였고, 각 학습 방법만의 고유한 학습 효과 또한 전체 소비자 태도와 일부를 제외한 소비자태도 하위 영역에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교사의 면대면 강의식 수업이 사이버 가정 학습보다 소비자태도와 지식을 향상 시키는데 보다 효율적으로 나타나 사이버 가정 학습은 교사의 면대면 수업을 보조할 수 있는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교수 설계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 면대면 학습과 사이버 가정학습의 학습 효과 비교

        박종철(Jong chul Park),권성호(Sungho Kwon) 한양대학교 교육공학연구소 2011 학습과학연구 Vol.5 No.1

        본 연구는 사이버 가정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면대면 수업과 사이버 가정학습 수업의 학업성취도 및 수업 만족도, 수업 효과성을 비교ㆍ분석하고자 시도되었다. 초등학교 5 학년 남ㆍ여 학생 157 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2009 개정 교육과정 초등학교 5 학년 과학 4 단원 ‘작은 생물의 세계’를 학습단원으로 선택하였다. 사이버 가정학습을 진행하기 위하여 ‘사이버 과학학습’이라는 강좌를 연구자가 개설하고, 작은 생물의 세계’ 의 12 차시 수업 중 3~4, 5~6 차시 강좌를 선정하였다. 실험집단에게는 사이버 가정학습을 이수하도록 하고, 통제집단은 오프라인 상에서 연구자가 면대면 수업을 실시하였다.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검사를 통제한 후 공변량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학업성취도 전체와 지식, 탐구 각각의 하위영역에서 학업성취도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즉, 과학적 지식 및 탐구영역에서 학업성취도를 높이는데 사이버 가정학습이 교사의 면대면 수업보다 더 효과적인 학습방법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생들이 인식하는 면대면 수업과 사이버 가정학습의 수업 만족도와 수업 효과에 대해 알아보았다. 각 수업에 따른 만족도와 효과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기술통계 하였다. 만족도와 학습효과의 집단 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로 사이버 가정학습에서는 재미와 추천요인이, 면대면 학습요인에서는 질적 수업 자료 요인에서 높은 만족도를 갖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develop cyber home study program and to compare the academic achievement, class satisfaction, and effect of teacher"s lecture in class with cyber home study. Elementary 5th grade male and female 157 students a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cyber home study through on-line class. The control group participated in Teacher"s lecture through off-line class. To verify the effect of academic achievement, controling the pretest of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ANCOVA was carried out. The difference of academic achievement and academic achievements of every low levels of knowledge and research were meaningful. In the realm of scientific knowledge and research, cyber home study is effective learning method than face-to-face teaching. The class satisfaction level and effect which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recognize were analyzed. To analyze general recognition of class satisfaction and effect,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To check the difference of satisfaction and effect, t-test was carried out. As a result, cyber home study has higher satisfaction in interest and recommendation factors, teacher"s lecture in class has higher satisfaction in qualitative lecture material factor.

      • KCI등재

        면대면 및 혼합형 학습장치 대비 원격 학습장치 비교 - 01 개방성 인지도

        달르레필립 ( Dallerey Philippe ) 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2021 프랑스어문교육 Vol.73 No.-

        해당 논문의 준 실험은 비교 분석적 접근법을 적용하여 원격학습 시, 면대면 학습 혹은 혼합형 학습 대비 학습자가 인식하는 개방성 차이를 분석하는 것이다. 해당 연구는 대한민국 소재 대학교 프랑스어 수업사례를 토대로 분석⋅연구하여 질적 측면(인터뷰)과 양적 측면(설문지 조사 결과를 통계적인 방법으로 분석하여 결론을 추론)에서 다루어졌다. 해당 연구는 교육과 학습 간의 또 따른 연속체에 의해 특징지어지는 혼합성화/블렌디드화(hybridation)와 학습 시 학습자에게 주어지는 학습 자유권 및 교육적인 측면, 시공간적 측면 혹은 교육적 커뮤니케이션 측면의 개방성에 그 이론적 근거를 두고 있다. 해당 연구의 결론은 전반적으로, 학습자들이 인식한 개방성은 면대면 학습장치 대비 온라인(원격) 학습장치에서 더 높게 나타났으며 또한, 3그룹의 학습 구성 요소: 시-공간, 교육적인 측면, 커뮤니케이션 면에서도 동일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반면, 원격 학습장치와 혼합형 학습장치 비교연구의 경우, 학습자들은 별다른 차이를 인식하지 못했으며, 두 경우 모두 동일한 학습 자유권이 주어진다고 인식하며, 시-공간, 커뮤니케이션 측면에서도 학습 자유권 차이를 달리 느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지, 학습자들은 교육 구성 요소들만이 유일하게, 특수한 조건 하에서 더욱 개방성을 가진다고 인지하였을 뿐이다. Cette quasi-expérimentation, suivant une approche comparative, cherche à savoir si l'ouverture perçue par les apprenants est plus importante dans un dispositif à distance par rapport à un dispositif en présentiel ou par rapport à un dispositif hybride. Les références théoriques mobilisées sont l'hybridation basée sur un continuum enseignement-apprentissage et l'ouverture évoquant les libertés de choix offertes aux apprenants dans leur apprentissage. La méthodologie mixte de recherche comprenant à la fois des outils qualitatifs et quantitatifs permet d'obtenir ces résultats: l'ouverture perçue par les apprenants est plus importante dans le dispositif à distance que dans le dispositif en présentiel dans sa globalité mais aussi pour les trois groupes de composantes: spatio-temporelles, pédagogiques et de la communication éducative. Par contre, le dispositif hybride est ressenti comme aussi ouvert que celui à distance. Les apprenants ne voient d'ailleurs pas de différence d'ouverture ni pour les composantes spatio-temporelles, ni pour les composantes de la communication éducative. Seules, les composantes pédagogiques sont perçues comme plus ouvertes sous certaines conditions.

      • KCI등재

        면대면 및 혼합형 학습장치 대비 원격 학습장치 비교 - 02 메타인지 인지도

        달르레필립 ( Dallerey Philippe ) 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2022 프랑스어문교육 Vol.78 No.-

        해당 논문은 면대면 학습 혹은 혼합형 학습 대비 원격학습장치사용 학습자에게서 나타나는 메타인지 인식 정도를 연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메타인지적 개념의 다양한 측면을 이론적으로 정리하며, 특히 메타인지적 지식(개인, 학습과제 및 학습전략에 있어서)과 메타인지적 기술(계획, 점검 및 조절)을 상세히 다루었다. 또한 다양한 메타인지 측정도구를 설명한다. 세 가지 학습 장치를 비교·분석하기 위해 질적 방법과 양적 방법 모두 채택되었고 경험적 데이터를 기반으로 조사가 이루어졌다. 조사결과, 원격학습과 혼합학습 장치를 통해 학습한 학습자들의 메타인지 인식의 정도는 동일하게 나타난 반면에 면대면 학습을 한 학습자의 메타인지도에 대한 인식은 원격학습 장치를 통해 학습한 학습자의 그것보다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Cette étude cherche à savoir si la perception de la métacognition est plus élevée chez les apprenants d'un dispositif pédagogique à distance par rapport aux apprenants d'un dispositif pédagogique hybride ou en présentiel. Le concept principal mobilisé est celui de la métacognition dont les différents aspects sont détaillés dans le cadre théorique, en particulier les connaissances métacognitives (sur les personnes, les tâches et les stratégies) et la gestion de l'activité mentale (de planification, contrôle et régulation). Ce cadre décrit également les différents outils de mesure de la métacognition. La méthodologie de recherche est une quasi-expérimentation sous forme d'étude comparative de trois dispositifs d'apprentissage, en suivant une méthodologie mixte (qualitative et quantitative). Les résultats principaux sont que d'une part, la métacognition perçue est identique pour les apprenants des dispositifs d'apprentissage à distance et hybride, et d'autre part que la métacognition perçue par les apprenants du dispositif à distance est plus élevée que celle des apprenants en présentiel.

      • KCI등재후보

        학습자 성격 특성과 토론 방식이 문법 토론 활동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최은정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2019 국어교육연구 Vol.43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learners’ personality traits and various discussion types on participation, interaction, and satisfaction. Thus, this study divided learners into two groups (introverts and extroverts) based on their personality characteristics. Subsequently, we analyzed the effects of discussion activity types(i.e., face-to-face vs. online) on learners’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learners’ introversion and extroversion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participation in grammar discussion, interaction, and satisfaction. Second, online vs. face-to-face discussion formats have no significant effect on learners’ participation in grammar discussions. However, this difference did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satisfaction. Third, learners’ personality traits and discussion types did not show any interaction effect on grammar discussion activities and satisfaction. Fourth, analysis of satisfaction based on sub-factors and learners’ personality characteristics did influence satisfaction with both discussion learning and its effects. Further, discussion type influenced learners’ satisfaction with discussion learning (and improvement of their discussion abilities). These results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condition confirmation and strategy establishment to activate grammar discussion. 본 연구는 문법 토론에 참여하는 학습자의 성격 특성과 토론 방식이 토론 참여도와 상호작용,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의 성격 특성에 따라 내향성과 외향성 집단으로 구성하여 면대면 토론과 온라인 토론 학습 상황에서 학습자들의 토론 활동과 만족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의 내향성과 외향성은 문법 토론 참여도와 상호작용, 만족도에 모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온라인 토론과 면대면 토론의 방식은 문법 토론 참여도와 상호작용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으나 만족도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습자의 성격 특성과 토론 방식은 문법 토론 활동과 만족도에 상호작용 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넷째, 학습자 성격 특성과 토론 방식에 따른 만족도를 하위 요인별로 분석한 결과, 학습자 성격 특성은 토론 학습과 토론 효과에 대한 만족도에 영향을 미쳤으며, 토론 방식은 토론 학습과 토론 능력 향상에 대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는 문법 토론 활성화를 위한 조건 확인 및 전략 수립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동료피드백에서의 면대면 논의 과정 분석: 교육계획안 작성 활동을 중심으로

        성지훈(Sung, JiHoon),정영숙(Jung, YoungSoo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4 No.11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계획안에 대한 동료피드백 활동에서 서면 피드백과 함께 면대면 논의가 실시된 경우에 초점을 맞추어, 면대면 논의 과정 및 결과를 분석하고, 동료피드백에서의 효과적인 면대면 논의 활동 전략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경기도 소재 A 대학교 유아교육과 학생 19명을 대상으로 교육계획안 작성 과정 가운데 면대면 논의를 포함한 동료피드백 활동을 실시하였다. 연구 자료로는 이들이 작성한 교육계획안 초안 및 수정안, 동료피드백 활용 보고서, 설문지를 수집·분석하 였고, 분석 결과를 토대로 필요한 질문 사항을 중심으로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 참여자들은 동료피드백에서 이루어진 면대면 논의의 효과를 높게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면대면 논의가 포함된 동료피드백 활동의 주요 특징으로 동료학습자간 피드백 내용에 대한 상호이해 향상, 배움의 기회 증대, 학습자들의 정 서적 부담감 가중, 많은 시간 소요, 심도있는 논의 진행 부족 등이 도출되었다. 이를 토대로 시간 효율적인 논의 과정 운영, 동료 평가자로서 느끼는 정서적 부담 감소, 배움의 기회 확장, 교수자의 적절한 개입 등이 동료피드백에서의 효과적인 면대면 논의를 위한 전략으로 제시되었으며, 관련된 세부적인 방안이 논의되었다.

      • KCI등재

        사이버 강좌의 효율적인 학습방안 요인에 관한 연구

        안종묵(Jong-Mook Ahn)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008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학보 Vol.25 No.3

        전통적으로 학습은 면대면(face-to-face)으로 이루어졌으나, 커뮤니케이션 환경의 변화에 따라 인터넷을 활용한 학습방식인 사이버 강좌 혹은 e-러닝이 도입되었다. 사이버 강좌에 대한 지속적인 질적 제고와 발전을 위해서는 학습자들이 사이버 강좌에 대해서 어떤 부분에 얼마만큼 만족하고 있고 불만족하고 있는지, 만족하지 못하고 있다면 그 이유는 무엇인지, 또는 학습자 특성에 따라 만족도에 차이는 있는지 등 사이버 교육 운영에 대한 구체적인 현황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동일한 교과목, 동일한 교재(콘텐츠), 동일한 교수자 등에 의해서 진행되는 면대면 강좌와 사이버 강좌에서 학업성취도 (학습효과)의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면대면 강좌와 사이버 강좌 학습자 사이에 ‘교육콘텐츠’, ‘강의 흥미도’, ‘학습동기’, ‘상호작용성’ 등에 따라 학업성취도에 있어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통계적으로 사이버 강좌보다 면대면 강좌에서 학업성취도가 더욱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traditional classroom was the face-to-face learning system, but we started to accept the cyber classroom as a new learning system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communicative technologies. The major motivation for the current study is to gain an understanding of the management of the cyber classroom in accordance with the learner's learning situations on the purpose of the development in the cyber classroom. We researched the difference between the off-line classroom and the cyber classroom through the same module, the same text, and the same lecture. The results from the current study reveal four facts which effect the learner’s achievement to the cyber classroom. The four facts are the contents of classroom, the interesting of lecture, the motivation of leaners, and interaction of lecture and learners. With regard to this, it is particularly interesting to observe that off-line class room statistically have an effect on the achievement of the learners than cyber classroom.

      • 이러닝 환경과 면대면 학습 환경에서의 이산화탄소 배출량 비교 연구

        한금주,손진곤 이러닝학회 2016 이러닝학회 논문지 Vol.1 No.1

        온실 가스 증가에 따른 지구 온난화 현상 등 범지구적 재난을 방지하기 위해 선진국을 중심으로 이산화탄소의 배출량을 감축하는 과제를 추진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학습자가 교통수단을 활용해야 하는 면대면 학습 환경에서 ICT 기술을 활용하는 이러닝 환경으로 변환함으로써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감축할 수 있을 것이라는 가설에서 시작되었다. 이것을 확인하기 위해 두 학습 환경에서 이산화탄소 배출의 주된 요소를 정하였고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각각 산출하였다. 산출 결과에 따르면 이러닝 환경에서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면대면 학습 환경에 비해 5.7배 감축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is research has been started with a hypothesis that CO2 emission could be reduced if we transform learning environment from the face-to-face learning environment where the learner needs transportation to e-learning environment where the learner does not need transportation but only ICT devices. In this paper, we have selected major factors of CO2 emissions and calculated CO2 emissions from each learning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results, e-learning environment can reduce total amount of CO2 emission as much as 5.7 times than face-to-face learning environment.

      • KCI등재

        농업기초기술I 및 조경과목의 이러닝과 면대면 수업 방법에 따른 학습효과성 분석

        박성열,김수욱,남민우,차승봉,박혜진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10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4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verifying distinctions between the e-learning classes and the face-to-face classes of learning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For this, this study conducted field experimental research by Nonrandomized Control-Group Pretest-Posttest Design Nonequivalent Control-Group Design. Also this study analyzed the result by using pre-post t-test and one way ANCOVA. This study showed two results. First, agricultural basic technology I class ha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learning classes and the face-to-face classes in lecture that taught by same teacher. On the other hand landscape architecture class has no had significant difference, however the e-learning classes shoed higher learning achievement then the face-to-face classes thus it means the e-learning classes have positive effect in learning achievement. Second, learning satisfaction of the e-learning classes and the face-to-face classes hav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m. Yet, landscape architecture class has higher learning satisfaction in the face-to-face classes. Because in the landscape architecture class curse had problems when it was conducted like connecting errors with LMS server, delaying play of the content. It caused students’ low concentration and low motivation. According to this researchers are able to know the importance of checking stable infra, when they want to apply really courses. 이 연구는 농업 교과 과정에서 동일 교수자의 이러닝과 면대면 수업 환경을 비교ㆍ분석하여 학업성취도와 학습만족도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에 대한 학습효과성을 검증하고자 이질집단 전후 검사설계 방법에 의한 현장실험연구(Field Experimental Research)를 수행하였다. 통계방법은 사전-사후 t-test와 one way ANCOVA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농업기초기술I 과정은 동일한 교수자에 의한 이러닝과 면대면 수업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조경 과정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학업성취도의 평균점수가 이러닝 집단이 면대면 수업 집단보다 높은 점수를 얻어 교과서 위주의 면대면 수업보다 학업성취도면에서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둘째, 동일 교수자에 의한 이러닝과 면대면 수업의 학습만족도를 측정한 결과 두 과정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발생하였다. 하지만 조경 과정은 면대면 수업에서 학습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조경 과정의 경우 실험연구 당일 LMS 서버와 네트워크 상의 접속 오류와 이러닝 콘텐츠 재생의 버퍼링 현상이 학생들의 주의 집중 및 동기가 저하된 원인으로 들 수 있다. 따라서 이러닝 코스웨어를 개발하여 실제 수업에 적용하고자 할 때에는 학교의 정보화 시설(인터넷 환경과 컴퓨터 사용 실습실 환경)에 대한 점검과 이러닝 운영하는데 필요한 LMS와 같은 제반 시스템 환경 등 안정적인 지원을 제공하는 인프라(infrastructure) 구축의 중요성을 시사하는 결과로써 그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