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이산화염소를 이용한 딸기의 저장성 향상 연구

        이기흥(Lee, Ki Heung),고은영(Ko, Eun Young),최유화(Choe, Yoowha) 한국공공정책학회 2020 공공정책연구 Vol.27 No.1

        딸기(Fragaria ananassa Duch.)는 장미과(Rosaceae)에 속하는 다년초로서 향기와 색상이 우수하며, 신맛과 단맛이 조화가 잘 되어 있고, 독특한 향기를 가진 과채류이다. 딸기에는 anthocyanins, monomere flavan-3-oles, hydroxybenzoic acid 유도체, hydroxycinnamic acid 유도체, tannins, flavonols, procyanidins 등과 같은 다양한 phytochemical들을 함유하고 있으며, 이러한 물질들에 의해 항산화, 암 발현 억제, 세포증식 억제 등의 생물 활성을 가진다고 알려져 있다. 딸기의 품질 유지 기간은 최적 저장조건인 0℃, 90~95%의 상대습도에서 3~7일 정도이고, 상온에서는 1~2일로 매우 짧은 편으로, 수확 후 선별, 저장 및 유통 중 부패 미생물 발생과 물리적 손상 및 조직의 연화 등을 초래한다. 또한, 활발한 호흡작용 및 지나친 증산작용으로 표피 건조, 무게 감소, 그리고 과숙으로 인한 변색 등이 일어나, 상품성 손실에 영향을 주는 등 외관의 품질 저하를 가져온다. 딸기 신선도 유지를 위한 전처리 방법으로는 예냉처리, MAP 포장, 산소흡착제 및 항균성 포장 등 여러 가지 방법에 따라 딸기의 저장성 증진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여 왔다. 그러나 아직까지는 딸기 저장성 향상을 위한 이들 방법의 활용은 잘 이루어지고 있지는 않은 편에 있으므로 적용이 용이하고 비용면에서도 효과적인 새로운 저장 방법을 제시하고 이에 대한 실험 결과에 대하여 고찰하고 분석할 필요가 있다. Strawberry (Fragaria ananassa Duch.) is a perennial plant belonging to the family Rosaceae. It is a fruit and vegetable that has excellent aroma and color, good sourness and sweetness, and a unique fragrance. Strawberries contain various phytochemicals such as anthocyanins, monomere flavan-3-oles, hydroxybenzoic acid derivatives, hydroxycinnamic acid derivatives, tannins, flavonols, and procyanidins. It is known to have activity. The duration of quality maintenance of strawberries is 3~7 days at 0℃, 90~95% relative humidity, which is the optimal storage condition, and is very short, 1~2 days at room temperature, causing spoilage microorganisms during harvesting, storage, and distribution And physical damage and tissue softening. In addition, due to active breathing and excessive evaporation, epidermis drying, weight loss, and discoloration due to overfruiting occur, resulting in deterioration of appearance, such as affecting product loss. As a pre-treatment method for maintaining strawberry freshness,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he improvement of shelf life of strawberries by various methods such as pre-cooling treatment, MAP packaging, oxygen absorbing agent and antibacterial packaging. However, the utilization of these methods for improving the shelf life of strawberries is not yet well performed, so it is necessary to present a new storage method that is easy to apply and cost-effective and to consider and analyze the experimental results.

      • KCI등재

        시설재배 딸기 중 흰가루병 방제 농약의 경시적 잔류특성

        이동열,조혜진,정동규,구영민,황미란,강남준,강규영,김진효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18 농업생명과학연구 Vol.52 No.2

        본 연구는 딸기에서 발생하는 흰가루병 방제에 사용되는 살균제의 잔류시험을 수행하고 회귀방정 식 및 생물학적 반감기를 산출하여 한국과 일본, Codex의 잔류허용기준에 근거한 농약의 사용 및 안전한 농산물 생산에 기여하고자 수행되었다. 딸기재배 중 흰가루병 방제용 주요 살균제 boscalid, kresoxim-methyl, pyraclostrobin, pyrimethanil을 각 농약의 안전사용기준에 따라 기준량 1회 살포 후 1, 3, 5, 7, 9, 11, 13일에 딸기 시료를 채취하여 QuEChERS법을 이용하여 추출하고, NH2 SPE 카 트리지로 정제하여 HPLC/DAD로 분석하였다. 시험농약의 검출한계 및 정량한계는 4성분의 농약에서 모두 0.01과 0.03mg/kg이었으며, 평균회수율은 92.9~99.2%, 상대표준편차는≤5%로 산출되었다. 딸기 중 boscalid, kresoxim-methyl, pyraclostrobin, pyrimethanil의 생물학적 반감기는 기준량처리 시 각각 6.2, 4.0, 6.1, 6.6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시설재배지 딸기 흰가루병 방제를 위해 사용되는 살균제의 안전 사용을 통해 국내 및 주요 수출국가의 MRL을 초과하지 않는 안전한 딸기를 생산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dissipation and residual characteristics of fungicides used for powdery mildew control for strawberry and establishment of guideline for safe use of fungicides based on MRLs as Korea, Japan and Codex. The fungicides were sprayed onto the crop in triplicate at recommended dose. Strawberry samples were harvested at 1, 3, 5, 7, 9, 11 and 13 days after treatment boscalid, kresoxim-methyl, pyraclostrobin, and pyrimethanil were extracted with QuEChERS method, clean-up with NH2 SPE cartridge and residue were analyzed by HPLC/DAD. Limit of detections and quantifications were 0.01 and 0.03 mg/kg for 4 fungicides. Average recoveries were 92.9~99.2% with RSD≤5% for all analytes. The biological half-lives of boscalid, kresoxim-methyl, pyraclostrobin and pyrimethanil in strawberry after treatment were 6.2, 4.0, 6.1 and 6.6 days at recommended dose, respectively. As the results, 4 experimental pesticides were not exceeded MRLs of domestic and exporting countries in experimental periods. This study provide important information that can contribute safety measures to produce strawberry as not exceeded MRLs through the safe use of pesticides.

      • 딸기 와인 개발을 위한 최적 발효 조건

        김민기, 박미성, 엄은경, 조은혜, 이종수 배재대학교 자연과학연구소 2016 自然科學論文集 Vol.27 No.1

        Optimal fermentation condition for development of new strawberry wine were investigated. Commercial yeast, Fermivin was good for brewing of strawberry wine and its optimal addition concentration was also 1%. Maximal ethanol content of strawberry wine was obtained when raw strawberry juice(24 brix) was fermented by 1% Fermivin at 25℃ for 7 days and its antioxidant activity was 78.5%. 새로운 딸기 와인을 개발하기 위한 최적 발효조건을 연구하였다. 시판효모인 페미빈이 딸기와인 제조에 제일 좋았고 1%가 최적 첨가 농도이었다. 딸기와인의 최대 에탄올 생성량은 생딸기주스 (24brix)를 1% 페미빈으로 25℃에서 7일 발효시켰을 때 얻어졌고 이 발효액의 항산화활성은 78.5% 이었다.

      • KCI등재

        산업과 농업의 융합을 통한 진공동결건조딸기용 보관 및 운송에 적합한 내부트레이 디자인연구

        안경숙(Ahn, Kyung Sook),김창수(Kim, Chang shoo),이재환(Lee, Jae whoan)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9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37 No.2

        농업 전문기업, 스마트팜 및 개인 생산자들은 다양한 부가가치를 증진시키고 고유의 브랜드를 갖기 위하여 다양한 시도들을 하고 있다. 그러나, 농업의 디자인을 통한 고부가가치 및 브랜드화는 해외에서는 이미 일반화 되어 있으나 국내 농업의 환경상 해외와 비교하면 초창기에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 딸기농가의 새로운 수익 모델의 창출과 함께 국내 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도 경쟁력을 갖도록 하기 하여 농업 및 산업의 융합기술을 바탕으로 연구하였다. 현재 각광받고 있는 수확후 처리 방법인 진공동결건조기를 이용, 딸기의 형상에 따라 농가의 수입을 극대화한 운전시간 및 건조를 최적화하고 포장재의 디자인 및 형상을 설계하고 구조적 최적화를 위하여 해석을 통하여 최적 형상을 도출하여 소형 딸기농가에 새로운 부가가치 및 브랜드화를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연구결과 진공동결건조 딸기는 절단방식에 따라 시간 및 생산량을 비교하면 Half-cut으로 생산하는 것이 적절하다. 또한, 구조 해석을 통하여 리브의 보강을 하여 진공동결건조딸기를 보다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는 내부 트레이 디자인을 제시하였다. Agricultural specialty enterprise and individual farmers are making various attempts to have their own brands in order to promote various value added in the agriculture. However, high added value and branding through the design of agriculture has already been generalized overseas, but it is in its early stage in korea compared with overseas in the domestic agricultural environment.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new profit model for domestic strawberry farmers and to make them competitive in domestic as well as abroad. Based on the convergence engineering of agriculture and industrial, the vacuum freeze dryer, Through the optimization of operation time and drying which maximize farmer`s income, designing of package design of shape and optimization of structure for structural optimization have done, it is proposed optimal packaging design that can add value and brand to small strawberry farmers. As a result of the study, vacuum freeze-dried strawberries are suitable to be produced in the half-cut by comparing the time and the yield according to the cutting methods. In addition, Structural analysis was performed to show the design of the inner tray to reinforce ribs and to store vacuum freeze-dried strawberries more safely.

      • KCI등재후보

        딸기 고설수경재배에서 2층고형배지가 생육, 수량 및 과실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전하준(Ha Joon Jun),황진규(Jin Gyu Hwang),김인규(In Gyu Kim),손미자(Mi Ja Son),이기명(Ki Myung Lee),宇田川雄二(Yuji Udagawa) 한국원예학회 2006 원예과학기술지 Vol.24 No.2

        본 실험에서는 딸기의 고설수경재배기술을 확립하기 위하여 먼저 고형배지 종류별로 딸기의 생육, 수량 및 과실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특히 2층배지의 영향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딸기 품종은 ‘아키히메’를 사용하였으며, 고형배지는, 펄라이트 배지, 코코피트 배지, 코코피트/펄라이트(상/하)의 2층배지, 버미큘라이트/펄라이트의 2층배지, 버미큘라이트와 왕겨의 혼합배지를 사용하였다. 딸기의 초기 생육은 코코피트 배지에서 가장 양호하였다. 딸기의 당도와 과장은 배지의 종류별로 유의성 있는 차이가 없었으나, 과중과 과경은 코코피트 배지와 코코피트/펄라이트의 2층배지에서 가장 높았다. 수량은 코코피트/펄라이트의 2층배지에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펄라이트와 코코피트 단독 배지가 높았으며, 버미큘라이트/펄라이트의 2층배지, 버미큘라이트와 왕겨의 혼합배지에서 가장 낮은 결과를 나타내었는데, 이것은 상층은 보수력이 좋은 배지, 그리고 하층은 통기성이 좋은 배지를 사용함으로써, 충분한 뿌리발달을 유도하여 양분흡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진 결과에 의한 것이라고 생각된다. 본 실험의 결과는 딸기의 고설수경재배에서 고형배지의 사용에 있어서, 새로운 개념을 도입할 수 있는계기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his experiment has investigated the effects of growth, yield, and fruit quality of strawberries by two different kinds of growth substrate layers. The experiment was performed with strawberry cultivar ‘Akihime’ in greenhouse in Daegu University. Perlite, cocopeat, cocopeat/perlite (upper layer/lower layer), vermiculite/perlite and the mixture of vermiculite and rice hull were used for solid substrate. Nutrient solution for strawberries, which made by Yamazaki, was supplied in proper concentration by its growth stage. Early stages of strawberry growth were the best at the cocopeat substrate in terms of number of leaves, leaf length, and leaf width. The soluble solids and fruit length of the strawberries did not differ from the different kind of substrates. However, the weight and diameter of strawberries did have the best outcomes from the cocopeat substrate and the cocopeat/perlite two layer substrates. The number of strawberries was the best at the cocopeat/perlite substrates due to the high capacity of moisture holding at the upper layer and the good air permeability of the lower layer, which derived good nourishment from the well developed roots. The results of this experiment will be utilized in the new substrate application for strawberry hydroponics.

      • KCI등재

        살리실 산 처리가 딸기 생육과 과실 품질에 미치는 영향

        최효길,황미란,최근수,강남준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18 농업생명과학연구 Vol.52 No.5

        저온기 시설딸기의 생산성 증대와 품질 향상을 위한 재배적 응용기술을 개발하고자 살리실 산 처리가 시설딸기 ‘매향’과 ‘설향’ 품종의 생육과 과실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딸기 잎의 생장특성(엽장, 엽폭, 엽수 및 SPAD 값)을 조사한 결과 살리실 산 처리는 방법이나 농도에 상관없이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딸기 과실의 무게와 당도는 처리에 따른 차이는 없었지만, 경도에서 살리실 산 처리를 했을 때 대조구와 비교하여 월등한 차이가 나타났다. ‘매향’ 품종의 과실경도는 대조구 대비 엽면처리 시 처리농도에 따라 각각 36.8과 21.1% 증가하였고 관주처리가 처리농도에 따라 각각 31.6과 31.7% 증가하였다. ‘설향’ 품종의 과실경도는 대조구 대비 엽면처리가 처리농도에 따라 각각 47.1과 15.8% 증가하였으며 관주처리가 각각 15.8%씩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살리실 산 엽면 및 관주처리 시 ‘매향’과 ‘설향’ 품종 잎의 SOD와 POD 효소의 활성은 두 품종 모두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엽 조직내 과산화수소와 환원산소종의 생성량은 급격하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매향’의 SOD 활성은 대조구 대비 처리농도에 따라 엽면처리가 각각 30.0과 38.80% 증가하였고, 관주처리가 각각 10.0과 14.4% 증가하였다. ‘설향’의 SOD 활성은 대조구 대비 처리농도에 따라 엽면처리가 각각 23.6과 40.4% 증가하였고, 관주처리가 각각 12.4와 14.1% 증가하였다. POD 활성은 대조구 대비 살리실 산 처리에 의해 두 품종 모두 엽면 처리구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관주 처리구에서는 대조구와 차이가 없었다. ‘매향’의 POD 활성은 대조구 대비 처리농도에 따라 엽면처리가 각각 77.8과 98.7% 증가한 반면 관주처리에서는 대조구와 큰 차이는 없었다. ‘설향’의 경우 대조구 대비 처리농도에 따라 엽면처리가 각각 76.6과 88.6%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살리실 산 처리는 딸기의 품질 향상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실용화를 위해서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Effects of exogenously applied salicylic acid on the growth and fruit quality in ‘Maehyang’ and ‘Sulhyang’ strawberry plants was investigated. Growing patterns of ‘Maehyang’ and ‘Sulhyang’ strawberry plants based on leaf length, leaf width, leaf area and SPAD values were generally unaffected by foliar or rootzone application of salicylic acid. The fruit weight and soluble solids in ‘Maehyang’ and ‘Sulhyang’ strawberry plants have not been influenced by application of salicylic acid. However, firmness of fruit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by foliar and rootzone application of salicylic acid. The activities of SOD and POD in the leaves of ‘Maehyang’ and ‘Sulhyang’ strawberry plants were also significantly increased by foliar and rootzone application of salicylic acid. Plants were foliar- and rootzone-applied with exogenous salicylic acid(0.5 and 1.0 mM). The levels of H2O2 and superoxide anions in the leaves of ‘Maehyang’ and ‘Sulhyang’ strawberry plants were reduced by foliar or rootzone application of salicylic acid.

      • KCI등재

        풀링이 없는 분기 합성곱 신경망을 사용한 딸기 과육 분할

        이은주,민정익 한국정보통신학회 2023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27 No.9

        딸기는 연약하기에 수확과 수확 후 처리 과정에서 다양한 손상이 발생하고 부패하기 쉽다. 품질 유지를 위해 과하게 숙성되었거나 손상된 딸기를 분류해야 하지만 사람에 의해 수동으로 이루어지고 있기에 주관적이며 일관성이 떨어진다. 숙성도를 판단하기 위해 딸기 과육 부분을 분할한 후 색상정보를 활용한다면 객관적인 측정 기준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일관성 있는 선별에 도움을 줄 수 있다. 하지만 단순히 임계치 기반의 방법으로는 분할하는 것을 자동화하기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선별 과정의 객관성과 자동화를 위해 합성곱 신경망을 사용해 딸기 과육 분할 학습을 진행하였다. 정보 손실을 줄이기 위해 풀링을 사용하지 않았고, 다양한 크기의 필터를 가진 합성곱 층을 연결한 분기 구조를 사용하였다. 이를 통해 다양한 상태의 딸기를 더욱 정교하게 분할할 수 있었으며 정보 손실을 줄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Strawberries are fragile, making them prone to various damages during the harvest and post-harvest process, leading to easy spoilage. To maintain quality, overripe or damaged strawberries must be sorted, but this is done manually by humans, making it subjective and inconsistent. By analyzing the color information from segmented strawberry flesh to determine its ripeness, it can be used as an objective measurement standard and can help with consistent selection. However, there are limitations in automating segmentation using a simple threshold-based method. Therefore, in this paper, strawberry flesh segmentation learning was conducted using a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to improve objectivity and automation of the selection process. To reduce information loss, pooling was not used, and instead employed a branch structure with convolutional layers of various filter sizes. Through this, it was confirmed that strawberries in various ripening states could be segmented more precisely and information loss could be reduced.

      • KCI등재

        딸기재배 온실의 현장조사 분석

        정영균(Young Kyun Jeong),이종구(Jong Goo Lee),윤성욱(Sung Wook Yun),김현태(Hyeon Tae Kim),윤용철(Yong Cheol Yoon) (사)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18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ol.27 No.3

        본 연구에서는 딸기의 생육 및 환경관련 데이터를 활용하여 딸기 재배 온실의 최적 환경 구현을 위한 시스템을 선정하고 생산성 향상에 대한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목적으로 서부 경남 지역 중 딸기 재배로 유명한 지역의 온실을 대상으로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경상대학교 내에 딸기 재배용 테스트 베드 온실을 설치하여 연구를 실시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재배농가의 연령대를 보면, 상대적으로 50대 및 60대가 가장 많았지만, 50대 이하가 27개 농가로서 전체의 약 67.5%정도이었고, 60대 이상은 32.5%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재배경력의 경우, 10년 이하가 주류를 이루고 있지만 30년 이상인 경우도 있었다. 대상농가 모두가 단동온실로서 대부분이 아치 형태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양액재배 농가가 약 75%정도로 토경재배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양액재배의 경우, 전체 농가가 고설재배를 하고 있었다. 단동온실의 폭, 측고 및 동고는 조사지역에 관계없이 각각 7.5~8.5m, 1.3~1.8m 및 2.5~3.5m정도 이었다. 서까래 간격도 0.7~0.8m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고설재배의 경우, 고설재배 베드의 폭, 높이 및 간격은 각각 0.25m전후, 1.2m전후 및 1.0m전후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딸기 품종의 경우, 국산이 약 97.5%를 차지하고 있었고, 이 중 설향이 약 65.0%로서 가장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온실 내부 환경요인으로 38개 농가가 온도와 상대습도만 계측하였다. 2개 농가는 최근에 국산 제품인 스마트 팜 시스템을 도입한 농가도 있었다. 양액재배의 경우는 양액제어 시스템을 이용하고 있었다. 이 외에도 관비기를 사용하거나 환기 및 유동 팬을 사용하고 있는 농가도 있었다. 온습도 조절은 스마트 팜 시스템을 도입한 농가를 제외하고 약 85%인 34개 농가에서 측창이나 환기팬을 작동시키는 제어패널만을 이용하여 조절하였고, 수동으로 측창을 개폐하고 있는 농가도 10%정도인 4개 농가가 있었다. 보온 및 난방의 경우, 전체 대상 농가가 수막을 이용하고 있었다. 이 외에 필요에 따라 기름 및 전기보일러, 방열 램프 및 부직포 등을 병행하여 이용하는 농가도 다수 있었다. This study set out to select a system to realize an optimal environment for strawberry cultivation greenhouses based on data about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strawberry and its environment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research of its improved productivity. For these purposes, the investigator conducted a field survey with greenhouses for strawberry cultivation in western Gyeongnam. The findings show that farmers in their fifties and sixties accounted for the biggest part in the age groups of strawberry farmers. While those who were under 50 were accounted for approximately 67.5%, those who were 60 or older accounted for 32.5%. As for cultivation experiences, the majority of the farmers had ten years of cultivation experiences or less with some having 30 years of cultivation experiences or more. All the farmers built an arch type single span greenhouse. Those who used nutrient solutions were about 75.0%, being more than those who used soil. All of the farmers that used a nutrient solution adopted an elevated hydroponic system. The single span greenhouses were in the range of 7.5~8.5m, 1.3~1.8m and 2.5~3.5m for width, eaves, and ridge height, respectively, regardless of survey areas. The rafters interval was about 0.7~0.8m. In elevated hydroponic cultivation, the width, height, and interval of the beds were about 0.25m, 1.2m and 1.0m, respectively. As for the strawberry varieties, the domestic ones accounted for approximately 97.5% with Seolhyang being the most favorite one at about 65.0%. As for the internal environment factors of greenhouses, 38 farmers measured only temperature and relatively humidity. As for hydroponics, the farmers used a hydroponics control system. Except for the farmers that introduced a smart farm system for temperature and humidity control, approximately 85.0% controlled temperature and humidity only with a control panel for side windows and ventilation fans. As for heating and heat insulation, all of the farmers were using water curtains with many farmers using an oil or electric boiler, radiating lamp or non-woven fabric, as well, when necessary.

      • 담양군 시설딸기 6차 산업화에 관한 생산자들의 견해

        이철규(Cheol Gyu Lee),서범석(Beom Seok Seo),김영자(Young Ja Kim),박창규(Chang Kyu Park),조자용(Ja Yong Cho) 한국농어촌관광학회 2021 농어촌관광연구 Vol.24 No.2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opinions of sixty seven strawberry producers in Damyang-gun, and to gain the data on the development of policy for the 6th industrialization of strawberry under structure. 90.91% of strawberry-producing farms said that administrative support was needed to promote exports. In order to revitalize the exports of strawberry fruits, they responded that the support of packaging and logistics costs(34.18%), export-only strawberry varieties(27.85%), and promotion of export-specialized companies(17.72%) were needed first. 60.71% of the respondents said that the 6th industrialization of greenhouse strawberry were necessary. For the 6th industrialization of strawberry industry, it was necessary to diversify consumption and sales outlets(43.37%), to enhance the quality of many production for fruits(26.51%), and to develop the recipes of the processed products(21.69%). Only 19.73% of the respondents were satisfied with the administrative support from Damyang-gun related to greenhouse strawberry. The administrative support most urgently desired by farmers were the improvement of greenhouse facility(40.48%) and the distribution and support of cultivation technology(19.05%). It wa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support of local governments to foster the industry of greenhouse strawberry for securing the competitiveness of strawberry cultivation(22.32%), expansion of production base(21.88%), expansion of distribution facilities and improvement of distribution system(19.20%).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the administrative agency needed an administration that reflects the opinions of producers for the development of greenhouse strawberry in Damyang-gun.

      • KCI등재

        냉동 딸기의 비가열 전처리 기술 개발 및 최적 냉동조건 수립

        강지훈 ( Ji Hoon Kang ),송경빈 ( Kyung Bin Song ) 한국응용생명화학회(구 한국농화학회) 2015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J. Appl. Vol.58 No.1

        수출용 냉동딸기 제조 시 미생물학적 안전성 확보를 위한 수단으로 이산화염소수와 acetic acid 병합처리를 최적 비가열 전처리 기술로써 적용하여 -20, -70, -196℃로 냉동한 후 미생물수, 품질변화 및 관능평가를 조사하였다. 냉동방법 및 세척 처리에 따른 색도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고, 비타민 C 함량은 -70℃ 냉동에서 35.33 mg/100 g FW로 가장 대조구와 유사하였으며, drip loss도 -70℃ 냉동이 14.39%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관능평가 역시 -70℃ 냉동이 -20, -196℃ 냉동보다 높은 점수를 받았으며, 세척처리는 비타민 C 함량, drip loss 및 관능평가에 큰 영향을 끼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냉동딸기에 50 ppm 이산화염소수와 1% acetic acid를 병합 처리하여 냉동 후 미생물 수 변화를 측정한 결과, 냉동 전과 같이 병합처리 된 딸기 시료에서 미생물이 검출되지 않았다. 따라서 저장성이 높은 수출용 냉동딸기 생산을 위해서는 gas nitrogen convection chamber를 이용한 -70℃에서의 급속냉동 처리가 보다 효과적인 냉동방법이며, 냉동 처리만으로는 미생물 제어가 어렵기 때문에 냉동 전 비가열 전처리를 통해서 냉동딸기의 미생물학적 안전성을 확보해야 한다고 판단된다. To secure the microbial safety of frozen strawberries, they were treated with the combined solution of aqueous chlorine dioxide and acetic acid prior to freezing and the effects of different freezing methods (at -20℃ in a freezer, at -70℃ in a gas nitrogen convection chamber, and at -196℃ in liquid nitrogen) on the quality changes of strawberries were examined. Regarding the color of frozen strawberries, there were negligible changes among freezing treatments. In contrast, vitamin C content and sensory evaluation scores of strawberries frozen at -70℃ were the highest among the samples. Drip loss of strawberries frozen at -70℃ was the lowest as 14.39%, compared with strawberries frozen at -20 and -196℃. In addition, the effects of combined treatment of 50 ppm chlorine dioxide and 1% acetic acid on the microbial growth in frozen strawberries were investigated, and the populations of preexisting microorganisms in the frozen strawberries were not detected by the combined pre-treatme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rapid freezing at -70℃ using a gas nitrogen convection chamber is an appropriate freezing method for preserving quality of strawberries, and as a pre-freezing treatment, the combined treatment of aqueous chlorine dioxide and acetic acid can be effective for improving microbiological safety of frozen strawberr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