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디아스포라 선교이해와 전략: 글로벌 디아스포라 네트워크(Global Diaspora Network, GDN)를 중심으로

        김미선(Misun Kim) 한국선교신학회 2015 선교신학 Vol.39 No.-

        디아스포라가 선교적 이슈로 떠오르며 선교학계에는 이주민 선교와 함께 디아스포라 선교의 필요와 선교학적 중요성들에 관하여 많은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의 이주민 선교는 국내에 들어와 있는 외국인 혹은 외국인 근로자들에 대한 선교를 의미하였고, 선교 전략에 있어서는 특수선교분야로 다루어져 왔다. 하지만 이제는 세계 디아스포라의 흐름에 따라 이주민에 대한 선교적인 시각을 새롭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오늘날 대두되 어 논의되고 있는 ‘디아스포라 선교’에 대한 이해를 글로벌 디아스포라 네트워크 (Global Diaspora Network, GDN)가 발간한 『마지막 추수 를 위한 흩어짐: 세계적 흐름인 디아스포라 이해와 적용』에서 제시한 성경적, 신학적, 선교학적 토대를 바탕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디아스포라의 성경적 이해와 이동하는 사람들이 보편화된 세계에서 선교과제로 떠오른 디아스포라 현상을 살펴보고, GDN을 중심으로 하는 선교이해와 전략을 중심으로 서술하고자 한다. 신구약 성경의 디아스포라 용어와 성경 역사 속 디아스포라의 삶을 살았던 유대인들을 통해 디아스포라는 ‘나그네,’ ‘이방인,’ ‘타국 인,’ ‘외국인’ 등으로 이주민을 나타내는 용어로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성경에서 이주민은 다른 곳으로 옮겨가서 사는 사람이나 다른 지역에서 옮겨와서 사는 사람들을 지칭하는 것으로, 바벨론 포로 이후 는 “약속의 땅을 떠나 흩어져 살아온 유대인”을 지칭하는 말로(행 8:1) 팔레스타인 밖에서 흩어져 살아가는 유대인들을 의미하게 됐다. 성경에 나타난 디아스포라는 전적인 하나님의 주권가운데 발생하였으 며 하나님은 그 분의 목적을 이루기 위해 디아스포라를 사용하시고 이들을 통해 열방을 축복하셨음을 볼 수 있다. 신자유주의적 경제 질서의 발달로 인해 일어난 경제의 불평등구조 는 상대적으로 빈곤의 세계현상을 유발했고 이는 IT 발달과 세계화 추세와 더불어 이주민들의 이동이 세계적인 비율로 증가했다. 이 영향 은 한국에도 늘어나는 이주민 인구와 함께 ‘이주민,’ ‘디아스포라’ 두 용어가 사용되기 시작했다. ‘이주민’은 한국에 들어온 외국인 근로자 외에 결혼 이민자 등을 지칭하고 이와 비교하여 ‘디아스포라’는 자국을 떠나 세계 여러 지역으로 이주하여 살아가는 사람들을 말하며 ‘코리안 디아스포라’가 일반적으로 세계 여러 곳으로 이주하여 사는 한민족 분산을 이르는 용어로 사용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러나 이제는 한국의 이주민 선교와 세계 디아스포라 선교 이 두 가지가 동전의 양면처럼 하나로써 이해되어져야 한다. 케이프타운의 헌신, GDN, 그리고 급증하는 한국의 이주민 현황은 우리에게 전 세계에 흩어져 있는 디아스포라들에게 복음을 전하는 선교적 과제의 긴박성에 대하여 이들에게 복음을 전하는 선교적 과제의 긴급성을 제언하고 있다. 끝으로 본 논문은 GDN의 2009년 11월 ‘디아스포라 선교학의 서울선언’은 세 가지 선언에서 디아스포라 선교는 전적으로 삼위일체 하나님이 선교의 주체이고, 교회는 선교 활동의 수단인 하나님의 선교 이며, 복음전파 뿐만 아니라 그들의 필요를 만나주는 통전적선교의 이해를 보여준다. GDN의 디아스포라 선교는 21세기의 기독교 선교를 오늘날 일어나고 있는 글로벌화, 도시화, 노동력의 지리적 이동과 이민 같은 사회문화적인 변화에 따라 ‘디아스포라를 향한 선 교’(Mission to Diaspora), 디아스포라를 통한 선교’(Mission through Diaspora), ‘디아스포라를 넘어선 선교’(Mission beyond Diaspora)를 대위임령을 성취하기 위해 적용하는 선교전략으로 나타났다. 이에 우리는 디아스포라 선교가 이 시대적 요청임을 간과하지 말고 이에 참여하여 세계 선교 자원화와 복음화에 힘써야 할 것이다. A lots of studies about Diaspora which is one of the mission issues have been made concerning the need and significance of Diaspora with migrants mission. So far the migrants mission was meant for foreigners or foreign workers who come to the country and has been addressed by a special part in the field of mission strategy. Now, however, it is necessary to renew a mission perspective of migrants according to the flow of global Diaspora. In this paper, understanding of ‘Diaspora mission’ which is being discussed today will be examined by applying biblical, theological and missiological foundations based on Scattered to Gather: Embracing the Global Trend of Diaspora published by Global Diaspora Network (GDN). To do this, I will describe biblical understanding of the Diaspora and the diaspora phenomenon then describe mission understanding and strategy centered by GDN. Diaspora can be seen as a term of a ‘stranger,’ ‘heathen,’ ‘stranger,’ ‘foreign’ through Old and New Testaments of the Bible history and Jews lived in the diaspora life. Migrants are referred to in the Bible that those who come from other areas or who moved to go to another place to live. After the Babylonian captivity, they are referred to “the Jews have lived scattered, leaving the promised land” (Acts 8:01), it means the Jews were scattered to live outside of Palestine. Diaspora in the Bible is full of God’s sovereignty and God used the Diaspora to achieve His purposes and to bless the nations through them. Unequal structure of the economy took place due to the development of neo-liberal economic order was triggered by the global phenomenon of relative poverty, which grew into the IT development and movement of migrants with globalization. In this influence, ‘immigrants’ in Korea and ‘Diaspora,’ both terms are begun to be used. ‘Immigrants’ refers to the foreign workers and marriage immigrants in Korea, comparing this, ‘Diaspora’ refers to people living in different parts of the world. Korean diaspora is usually moved to live in many parts of the world, it can be seen that in use the leading term in Han dispersion. But now the migrants missions in Korea and the diaspora world mission is to be understood as one, like two sides of the same coin. Dedication of Cape Town, GDN and rapidly increasing immigrant status in South Korea suggest to preach the Gospel. Finally, in this paper in November 2009, GDN, ‘Seoul Declaration of diaspora missiology’ are three kinds of declarations; Diaspora mission is God’s mission(Missio Dei). This means that the subject of mission is trinity of God and the Church is the mission activity’ instruments, as well as show an understanding of the holistic mission that met their needs with gospel. Diaspora mission of GDN appears the 21st Christian mission strategy, ‘Mission to Diaspora,’ ‘Mission through Diaspora,’ ‘Mission beyond Diaspora’ to apply globalization, urbanization, socio-cultural changes in order to fulfill the Great Commission. Therefore, we are called for the mission of God, and we need to make effort world evangelism, not doing overlook this contemporary requests do.

      • KCI등재

        디아스포라 경제 공동체의 글로벌 네트워크 분석에 관한 연구

        송정현 한국일본근대학회 2022 일본근대학연구 Vol.- No.76

        The network of the diaspora economic community can act as a bridge between the domestic industrial structure and overseas bases, and can greatly contribute to economic exchanges in various fields as well as overseas market development. In addition, the global human network of the diaspora economic community can be used positively in that Korea’s culture and sentiment are shared. In particular, in a situation where it is difficult to move abroad due to the corona pandemic and international military security conflicts that have occurred since 2020, the importance of a diaspora economic community that can be active overseas is being emphasized. However, despite the importance and advantages of the diaspora, studies on the economic community of the diaspora and the role of the economic community are insufficient in Korea.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analyze previous studies related to the Diaspora Economic Community to identify that the Diaspora Economic Community is an important entity that can be a driving force for Korea’s new development, and implement academic and policy suggestions to achieve the development of Korea’s global network in the future. In addition, I would like to express the need for a comprehensive study that derives that the global human network is a major economic entity that can revitalize global business. As an analysis method tool for diaspora, we present a model that combines 3M (Message, Map, Manager) analysis with the global knowledge network model. In addition, after examining the limitations of diaspora-related policies, policy alternatives are suggested. In order to improve social perceptions, such as domestic public opinion and perceptions of compatriots, empirical research is needed in which members of society can agree on the value of the diaspora network. To this end, it is emphasized that the diaspora research methodology, which has been dealt with in a single academic dimension, needs to be improved into a realistic research methodology that incorporates more diverse academic theories. 디아스포라 경제 공동체의 네트워크는 국내 산업구조와 해외 거점 간 가교(bridge, 假橋) 역할로 활약할 수 있으며 다양한 분야에서의 경제적 교류는 물론 해외시장 개척에도 크게 공헌할 수 있다. 또한 한국의 문화 및 정서를 공유하고 있다는 점에서 디아스포라 경제 공동체의 글로벌 인적 네트워크가 긍정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특히 2020년부터 발생한 코로나 팬데믹과 국제적 군사 안보갈등으로 인하여 해외 이동이 어려워진 상황에서, 해외 현지에서 활동이 가능한 디아스포라 경제 공동체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이러한 디아스포라의 중요성과 이점에도 불구하고 디아스포라 경제공동체 및 경제공동체의 역할에 대한 연구는 국내에서 상당히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디아스포라 경제 공동체와 관련된 기존의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디아스포라 경제 공동체가 우리나라의 새로운 발전 원동력이 될 수 있는 중요 주체임을 규명하고, 향후 우리나라 글로벌 네트워크의 발전을 달성하기 위한 학술적・정책적 제언을 시행하고자 한다. 또한 글로벌 인적 네트워크가 글로벌 비즈니스를 활성화할 수 있는 주요 경제주체임을 도출하는 총체적 연구의 필요성을 표명하고자 한다. 디아스포라의 분석 방법도구로 글로벌 지식 네트워크 모델에 3M(Message, Map, Manager)분석을 병행한 모델을 제시한다. 아울러 디아스포라 관련 정책의 한계점을 고찰한 후 정책적 대안을 제시한다. 국내 여론 및 동포에 관한 인식 등 사회 인식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디아스포라 네트워크가 가지고 있는 가치에 대해 사회 구성원이 동의할 만한 실증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기존의 단일 학문 차원에서 다루어졌던 디아스포라 연구 방법론이 보다 다양한 학문 이론이 접목된 현실적인 연구 방법론으로 개선될 필요가 있음을 강조한다.

      • KCI등재

        총련'계 재일 디아스포라 시문학 연구

        하상일(Ha, Sang-Il) 한국문학회 2010 韓國文學論叢 Vol.56 No.-

        이 논문은 해방 이후 재일 디아스포라 시인 정화수의 시세계를 연구한 것이다. 특히 해방 이후 재일조선인 조직의 변화 과정을 통해 <총련>계 재일 디아스포라 시문학의 전개 양상을 개괄적으로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재일 디아스포라 시인 정화수의 시세계를 <총련>계 재일조선인의 의식 변화를 중심으로 분석하는 데 목표를 두었다. 정화수 시인은 2000년 이후 <총련>계 재일 디아스포라의 변화를 주도한 시인으로, 그가 중심이 되어 발간한 '종소리'는 <총련>계 재일 디아스포라 시문학의 혁신된 모습을 분명하게 보여준다. 재일조선인 사회는 '민단'과 <총련>을 중심으로 한 남북의 이념적 대리전 양상을 노골적으로 드러냄으로써 재일조선인들의 인권이나 생활보다는 남북한의 이해관계에 종속된 정치조직의 성격이 강했다. <총련>의 결성은 재일조선인들의 생활과 민족운동에 획기적인 전환을 가져왔다. <총련>계 재일조선인 문학예술 운동은 북한과의 조직적인 연대 위에서 혁명적 문예전통과 주체적 사실주의창작방법론을 확립하는 방향으로 나아갔다. <총련>계 재일 디아스포라 문학 활동은 『문학예술』, 『겨레문학』,『종소리『등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문학예술』은 <문예동>의 이념과 정체성을 가장 충실하게 반영하고 실천한 <총련>계 재일 디아스포라 문학의 가장 대표적인 잡지로, 김일성의 교시를 토대로 <총련>의 이념적 지향성과 <문예동>의 창작 방향을 제시하는 데 집중함으로써, 사실상 북한의 문예이론에 입각한 <총련>계 재일 디아스포라 문학 활동의 지침서이자 대표적인 발표 지면으로서의 역할을 했다. 문학예술의 휴간 이후 <총련>계 재일 디아스포라 문학은 『겨레문학』과 『종소리』를 통해 이어나갔는데, 특히 『종소리』의 창간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2000년 이전까지 재일조선인 시문학의 발전과정은 재일조선인 사회운동의 발전 단계와 특성에 따라 크게 세 단계로 나눌 수 있는데, 첫째는 공화국 창건 이후 <총련>이 결성되기 이전까지의 시기(1948년 9월~1955년 4월)이고, 둘째는 <총련> 결성 이후 김일성 주체사상을 바탕으로 창작의 기치를 드높이던 시기(1955년 5월~1973년)이며, 셋째는 재일 조선인들의 조국방문을 시작으로 사상예술성의 강화가 이루어진 시기(1974년~1990년대)이다. 이러한 재일조선인 시문학의 흐름에서 종소리의 창간은 넷째 시기의 시작을 의미한다. 즉 시 창작에 있어서 사상성과 예술성의 조화를 모색하는 뚜렷한 변화를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종소리의 출현은 <총련>계 재일 디아스포라 시문학의 획기적인 전환점이 되었다고 할 수 있는 것이다. 정화수의 시세계는 1980년 북한에서 출간한 시집 영원한 사랑 조국의 품이여에 수록된 시편들과 2000년 이후 종소리에 발표한 시편들 사이에 내용과 형식면에서 상당한 차이를 보였다. 시집에 수록된 시들에서는 수령 형상 창조와 조국(북한)에 대한 찬양 일변도의 작품이 대부분이었던 반면, 종소리에서는 이러한 경향을 직접적으로 형상화한 작품은 사실상 전무하고 근원적 고향의식에 바탕을 둔 통일에 대한 열망이나 재일조선인의 생활상을 통해 민족공동체의 모습을 형상화한 작품이 대부분이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그의 시세계의 변화를 주목함으로써 <총련>계 재일 디아스포라 시문학의 전개 양상을 통시적으로 살펴보았다. This study looked into the poet Jeong Hwa-su, the Korean-Japanese Diaspora. After liberation, the Korean-Japanese Diaspora poetry started from Huh nam-gi, Kang Sun, and Nam si-woo, and it was transferred to Kim si-jong, Kim Yun, Jung hwa-hum, Kim hak-ryeol, and Jung hwa-su. Jeong Hwa-su‘s poetry world was based on the yearning toward his mother country, our fundamental emotion. Jeong Hwa-su‘s poetry showed strong politics including the pro-North Korea and anti-South Korea as a Chongryun member while dealing with ordeals and pains Koreans went through. His poetry announced right after making Chongryun showed socialistic realism while expressing straightly admiration for North Korea, and sneers and criticism for North Korean politics. In addition, he announced the purposeful poetry of propaganda supporting actively Chongryun’s patriotic projects. His poetry shows the point of confusion that seems hard to be considered as the one person’s poetry world because of a conspicuous gab between pre-and post- Chongryun of 1955. This resulted from the inner conflict and hurt that he could not but go through as the Korean who experienced the history of national division under the Japanese imperialism. His poetry definitely became the most significant guide to overall understand the history and meaning of the Korean-Japanese Diaspora after liberation. After liberation, the Korean-Japanese Diaspora poetry was based on historical consciousness and ideology of the Korean-Japanese who internalized their hurt of colonization and division. Therefore, most of works tried to stand for realistic nature directly showing political social issues, instead of focusing on deepening the lyricism to condense personal emotion to the indentified world. As post-nationalism, post-society discourse is currently appearing as the important issue beyond the boundary of race and nation, the perspective of ‘Diaspora’ and problem awareness have attracted attention as the effective discourse to understand and analyze the rapidly changing world. Jeong Hwa-su's poems have an important literary meaning as the text containing such the problem awareness.

      • KCI등재

        ‘세계디아스포라연맹’ 창설의 제안: 필요성과 방향

        윤황 전남대학교 글로벌디아스포라연구소 2016 디아스포라 연구 Vol.10 No.2

        This article is designed to study the necessity of the establishment of 'Global Diaspora's Coalition'(GDC) and to present the desirable direction of its founding. The followings are the main points of this proposal. Firstly, the numbers of dispora and international NGOs have been increasing. Many countries have founded governmental institutions dealing with diapora and the state of network type are being appeared. Secondly, the GDC would be founded on the cooperation of organizations, groups, and collectivities of the different countries. The objectives of GDC is to guarantee the rights and interests of diaspora and to resolve problems concerning diaspora. This article proposes the strategy of three steps to take concrete shape of GDC. The first step is to found international non-governmental organization which is the stage of networking based on Association of Global Diaspra Studies, The second one is to organize the GDC as a coalition body of international non-governmental institutions. The third step is that this GDC would be recognized as one of the UN specialized agencies with the integration of UNHCR. In conclusion, the founding of GDC is quite necessary in this period of global diasporas and it is very timely to have a such kind of international institution. 이 연구의 목적은 ‘세계디아스포라연맹’의 창설에 관한 필요성을 규명하고, ‘세계디아스포라연맹’의 창설을 위한 바람직한 방향을 제시하는 데에 있다. 이에 따른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세계디아스포라연맹’의 창설 필요성은 1) 세계디아스포라의 수 증대, 2) 국제비정부기구의 수 급증, 3) 디아스포라 관련 정부기구 및 전담기구를 설립하는 국가 증가, 4) 네트워크 형태의 국가가 만들어지고 있다는점이다. 둘째, ‘세계디아스포라연맹’의 창설방향은 각국의 기관, 단체, 집단등을 중심으로 추진주체가 만들어져야 하고, 세계디아스포라의 권익보장과행복추구를 확보하는 목표와 디아스포라의 보호, 디아스포라문제의 해결과관련된 제반업무 수행의 설립목적이 명확하게 설정되어야 한다. 명칭문제의정립과 관련해서는 ‘세계디아스포라연맹’의 영문 명칭을 ‘Global Diaspora's Coalition’(GDC), 한자어 명칭을 ‘世界離散同胞聯盟’이라고 표기해야 한다. 단계별 전략은 ‘3단계 추진전략’으로써, 제1단계 국제비정부기구조직화, 세계디아스포라학회 중심 네트워크화 → 제2단계 국제비정부기구 간 연대연합 활동화 → 제3단계 UN 전문기구화, 유엔난민기구(UNHCR)와통합화 발전단계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하고, 기구의 제도화 준비에도나서야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민족, 종족, 디아스포라의 자아의식

        김게르만 ( Kim German ) 배재대학교 한국-시베리아센터 2012 한국시베리아연구 Vol.16 No.1

        최근 디아스포라에 대해 집중된 관심에는 몇 가지 이유가 있다. 첫번째는 개념의 본질 자체가 바뀌었다는 것이다. 두 번째는 디아스포라 연구의 현실성은 시공간적 범주에서의 전면적인 연구를 필요로 한다. 세 번째는 디아스포라는 국가의 대내, 대외정치간 일관되는 국제관계에서의 주체와 대내정치의 객체가 되었으며, 이로 인해 현재 정치학에서는 국제관계에 디아스포라 영향의 문제 연구들은 특히 큰 관심을 보이고 있다. 마지막으로 디아스포라 패러다임은 체코슬로바키아, 유고슬로비아, 구소련의 몰락과 동방연합의 붕괴 후, 단일국가의 이전 시민들의 수천만 사람들이 급격히 디아스포라의 상황에 놓이게 되었을 때 고유한 음성을 만들어 내었다. 이에 대한 디아스포라 문제에 관한 현재의 연구 그룹은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첫 번째 그룹은 ‘디아스포라’ 연구들을 위해서 현재 기초를 이루고 있는 이론적이고 방법론적인 설계의 어려움들이다. 두 번째 그룹은 특정한 종족-사회적 현상과 같은, 디아스포라의 구체적인 특수성과 다양한 관점들의 연구들이다. 세 번째 그룹은 지금보다 더 큰 관심을 끈 다양한 원인의 결과 중에 종족 디아스포라의 기능의 종족문화적, 사회-경제적, 법률적이고 국제적인 관점들의 연구들이다. 네 번째 경향은 국외에서의 러시아 디아스포라 문제에 관한 연구들이다. 디아스포라의 종족적 자아의식 특징들의 의미와 역할은 역사적-정치적인 상황과 종족적 환경의 특성과 강화에 따라 변화한다. 오랜 역사 동안 종족적 특징들의 구성에서 디아스포라의 본질이 의식, 관습과 전통으로 바뀌었다는 주장은 어느 정도 연역적이며, 이러한 연역법은 그 주장의 사실을 포함하고 있다. 실제로 오랜 민족명절에 디아스포라인들은 다른 이들과 완전히 구별되고 다르다고 느끼고 있다. 선구 이주자들을 시작으로 그 다음 세대를 확인하는 핵심과 같은 디아스포라 이념은 디아스포라 자아의식의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이 이념을 기초로 자신의 역사적인 운명의 특별함이 인식된다; 모친의 종족과 다른 나라에 있는 그 일부들과의 유사점과 차이점; 역사적 모국과의 관계 수단의 성립과 유지의 필요성; 거주국의 내부 디아스포라의 강화와 종족 간 통합 지향. 수용국가에 뿌리를 내린, 동요된 이주 종족 집단과는 달리, 디아스포라는 그들의 삶과 후손들의 삶이 새로운 모국과 관계를 갖는다는 것을 인식하고 있다. The concept of “diaspora” has changed, there are now new criteria according to which we relate to diasporas and other groups of people forming a community, though this may not be solely based on the notion of homogenous ethnic origin. The last decade has seen a drastic broadening of political, socio- economic and ethno-cultural problems, all of which include a key definition of “diaspora”. Diaspora self-consciousness is often mixed with the ethnic and the national, yet does not coincide with them completely and also does not find itself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t and the whole due to the various social lives of its bearers - the nation and ethnic group. This kind of blend and overlap in understanding, however, can be attributed to that fact that all three communities of people, differing in many respects from each other, share with each other the core of “ethnicity.” Ethnic self-consciousness, on the other hand, is a stable system of conscious perceptions and assessments of actual ethno-differentiating and ethno-integrating signs of ethnicity. That is, the understanding of ethnic consciousness is voluminous and multi-faceted and is reflected in the various manifestations of life of an ethnos. The most significant and peculiar of ethnic characteristics include ethnonym (self), the origin and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members of an ethnos, ethnicity, territory, language, religion, culture and the economy, all representing the elements of various subsystems and spheres of ethnic culture. Furthermore, culture and ethnicity is represented in the media as anthropological and psychological reflective of the members of an ethnic group. National consciousness, as is known, presents a reflection of being a nation, its place and role in the life of society, its relationship to other national communities. National consciousness develops in parallel with the formation of national life. Long-term residence in another country transforms the generation of immigrants into a subethnos, a Diaspora, a splinter broken away from the main ethnic core, with a culture, lifestyle and language that differs from the original. The representatives of this kind of subethnos (Diaspora) usually have dual ethnic identity, with a consciousness of belonging to the larger ethnos, and a consciousness of belonging to the Diaspora. One of the keys to understanding the essence of Diaspora consciousness is understanding that the Diaspora does not generate Diaspora consciousness, but that, on the contrary, Diaspora consciousness creates the Diaspora. The genesis of the Diaspora, on the whole, is objective, but to argue that the processes of Diaspora formation have ended is possible only with the formation of Diaspora consciousness.

      • 특집 : 고대 한민족의 민족이산과 그 역사가 남긴 흔적들 ; 한민족 역사 속에서 디아스포라의 의미와 성격

        윤명철 ( Myung Chul Youn ) 한국민족학회 2009 민족학연구 Vol.7 No.-

        고대 유대인과 그리스의 역사에서 비롯된 디아스포라(Diaspora)의 개념은 ‘민족분산’ 혹은 ‘민족이산’으로 번역된다. 과거와 연관된 개념을 벗어나 21세기라는 새로운 질서와 문명을 해석하고, 또 창조하는 도구로서 진화되었다. 디아스포라는 용어의 역사성과 개념의 다의성이 있고, 우리 역사와 현재 미래에도 적용될 수 있다. 한민족은 근대만이 아닌 전근대와 고대에도 디아스포라 현상이 있었다. 디아스포라는 민족의 원핵이 형성되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다. 반대로 일본열도를 비롯한 외부지역으로 단순이주 진출 또는 유망 등을 통해서 여러 지역에서 디아스포라들이 형성됐다. 디아스포라의 이해를 통해서 우리 문화 또는 민족성이 탐험정신ㆍ역동성·이동성 등으로 채워져 있다는 사실을 재인식할 수 있었고, 이러한 정신이 진출의지로 전화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21세기는 무차별적인 무역과 광범위한 통신을 활용한 경제행위를 통해서 세계화와 지역화가 동시에 추진되는 시대이다. 아울러 세계를 구성하는 방식에 대한 인식이 달라지면서 네트워크시스템으로 변화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디아스포라는 새로운 모습으로 진화하였으며, 또 다른 유용가치를 지니게 되었다. 디아스포라는 현재처럼 탈영토적이고 다문화적이며 다언어적인 지구화 환경에 편승하기에 유리한 조건들을 갖고 있다. 우리 또한 과거의 한민족 디아스포라를 신형태의 디아스포라를 형성하는 일은 피할 수 없는 과제이다. 더구나 우리민족은 700만 명 이상이 해외에 거주하고 있다. 이들을 활용하는 방안과 공생의 협력자로서 위상을 모색해야만 한다. 아직도 민족주의의 틀을 벗어나지 못한 세계사적 현실 속에서 유대인과 화교와 마찬가지로 그들의 역할을 기대할 수밖에 없으며, 반면에 그들을 보호하거나 발전에 조력해야만 하는 의무도 있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디아스포라’는 우리에게 새롭고 의미있는 주제로 떠올랐다. 디아스포라에서 정체성은 기본적인 요소이며, 정체성의 기본을 이루는 요소는 민족문제이다. 따라서 디아스포라를 통해서 민족의 현재적 의미와 미래적 가치를 모색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한민족 공동체’건 ‘한민족네트워크공동체’건 디아스포라는 새로운 개념과 형태로 재구성해서 우리와 관계를 재설정해야만 한다. 그리고 디아스포라는 매개를 통해서 인류와 지구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하면서 ‘한민족 역할론’을 모색할 수 있다. 다만 디아스포라를 특정집단이나 모국위주로 이용하려 하는 태도는 극복해야만 한다. The concept of ``Diaspora`` which was originated from the ancient Hebrew and Greek history is translated to ``nation decentralization`` or ``nation dispersion``. The term ``Diaspora`` has an implication of historical and multivocal meanings. ``Diaspora`` had a significant role in the formation of the Korean nation`s prokaryote, and a political role in the expansion of territory to surrounded area including the Japanese Island. Through understanding of the therm ``Diaspora``, the fact that our culture or characteristic is filled with spirit of exploration and mobility is re-recognized. Furthermore, such spirituality transformed to a will to advance. It is an inevitable task to transform ``old Diaspora of the Korean nation`` to the new. The 21st century is the stage where globalizaion and regionalization are driven simultaneously by indiscriminate trading activities as well as economica activities through extensive communication methods. ‘Diaspora`` has advantages to fit to today`s globalizing environment that are, deterritorialisation, multi-cultural and multi-linguistic collapsed boundaries. Over 7 million of our people are in residence abroad nowadays. We are to seek for a plan to use them in the best way and also to collaborate as symbiotic relationship. We can search for a role of the Korean nation through the new-found recognition of mankind and the earth applying the mediation ``Diaspora``.

      • KCI등재

        구소련지역 러시아 디아스포라의 특징 및 과제

        이신욱(Lee Sin-Uck) 전남대학교 글로벌디아스포라연구소 2017 디아스포라 연구 Vol.11 No.1

        이 논문은 구소련지역 러시아인 디아스포라에 대한 이론적 접근과 함께 그 특징을 정리하고 이를 통해 나타나는 러시아인 디아스포라의 특수성을 고찰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 구소련의 붕괴로 인해 나타난 구소련지역 디아스포라는 우크라이나에서 중앙아시아에 이르는 광범위한 지역에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기존 디아스포라 이론과 분류를 통해 러시아인 디아스포라를 고찰함에 있어 많은 상이점이 존재하였고, 도출된 상이점들을 도표화하여 정리하여 분석틀로 삼았다. 러시아인 디아스포라를 통해 러시아는 구소련지역에서 그 영향력을 강화하고 있고 여기에 반발한 우크라이나는 탈러·친EU정책을 통해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하고 있다. 그러나 우크라이나의 친EU정책은 우크라이나 주류사회와 동부지역에 강력한 네트워크를 형성한 러시아인 디아스포라를 자극하였고 이들에게 새로운 길로 모색을 강요하였다. 크림공화국의 분리와 러시아로의 합병은 이레덴타와 이레덴티즘의 부활을 알렸고 동부우크라이나의 러시아인 디아스포라도 여기에 동참하여 우크라이나는 내전상태에 빠졌다. 디아스포라의 관점에서 나타나고 있는 우크라이나지역 러시아인 디아스포라에 대한 연구는 이레덴타(Irredenta)와 함께 심도 있게 진행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uniqueness of Russian diaspora shown through theoretical approach about Russian diaspora in former Soviet Union, summarizing its characteristics. Diaspora in former Soviet Union formed by collapse of former Soviet Union shows variable forms in wider areas ranged from Ukraina to Central Asia. There were many differences in investigating Russian diaspora through existing diaspora theory and classification. The summarized differences in diagram became framework for analysis. Through Russian diaspora, Russia is strengthening its influences in former Soviet Union. Ukraina that opposed such influences is seeking a new possibility through post-Russia and EU friendly policy. But EU friendly policy of Ukraina stimulated Russian diaspora who formed strong network in main stream society of Ukraina and its Eastern areas. This forced them to seek a new way. Separation of Republic of Crimea and its annexation and integration to Russia meant revival of Irredenta and Irredentism. Russian diaspora of Eastern Ukraina attended the events of separation and annexation so that Ukraina fell in internal war. A study about Russian diaspora in Ukraina, written from perspective of diaspora should be deeply progressed together with Irredenta.

      • KCI등재후보

        국제이주와 발전의 연계 담론에서 ‘디아스포라’의 역할에 대한 비판적 검토

        신지원(Shin, Julia Jiwon) 전남대학교 글로벌디아스포라연구소 2015 디아스포라 연구 Vol.9 No.2

        전례 없는 수준의 활발한 국제인구이동이 발생하고 있는 시대적 현상과 맞물려 디아스포라의 개념은 초국가주의의 개념과 중첩되고 확장되어 오늘날 국제이주와 발전의 담론에서 중요하게 거론되고 있다. 이주와 발전에 있어 디아스포라의 잠재적 역할은 ‘이주와 발전에 관한 국제포럼(GFMD)’에서 매년 빠짐없이 논의되는 주제이다. 본국의 발전에 있어 디아스포라의 영향력은 주로 송금, 두뇌 유입 혹은 순환, 초국적 네트워크를 중심으로 설명된다. 이 글은 국제이주와 발전의 연계성 담론에서 부각되고 있는 디아스포라의 개념과 그 역할에 대해 탐색하고, 인도와 아프리카 지역 출신 디아스포라의 지식교류를 통한 두뇌순환 및 공동발전프로젝트(MIDA)와 멕시칸 디아스포라의 향우회(HTAs) 결성을 통한 초국적 네트워크 및 활동 사례를 통해 ‘디아스포라에 의한 발전’이 어떠한 방식으로 구체화되고 있는지 비판적으로 검토해본다. 이 글은 ‘디아스포라에 의한 발전’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우선 고국의 발전이라는 공동의 가치와 동기를 통해 디아스포라가 형성되어야 하고, 디아스포라의 활동 및 고국과의 유대를 지속가능하게 하는 송출국과 수용국 내 사회적, 구조적 환경이 우선적으로 마련되어야 함을 강조한다. 아울러 송출국과 수용국은 개인 혹은 공동체와 시장으로 ‘발전’의 실천적 책임을 전가하는 경제중심적 관점을 넘어서서 진정한 ‘공동발전’의 개념을 정립하여 디아스포라가 고국의 경제발전뿐 아니라 정치사회적 변화에 긍정적인 역할과 기여를 극대화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함을 주장한다. With the unprecedentedly vigorous international movement of population in the present epoch, the term, diaspora, has received prominent attention in the discourse of international migration and development. The potential role of diasporas in development is one of the key issues discussed at the Global Forum on Migration and Development (GFMD) every year. The contribution of diasporas to the home country’s development is explained mainly by remittances, brain gain/circulation and transnational networks. This paper explores the contemporary concepts and roles of diasporas emerged in the migration-development nexus. It discusses the development by diasporas examining the cases of brain circulation, co-development projects (MIDA - Migration for Development in Africa) and the transnational networks of Mexican hometown associations (HTAs). The paper highlights that, in order to fulfill the development by diasporas, a diaspora should be formed based on shared values and interests on the home country’s development, and positive social and structural environments need to be established both countries of origin and destination, thereby facilitating the sustainable link between the diaspora and the home country. In addition, both origin and destination countries should seek for the tangible measures to promote ‘co-development’ that goes beyond the economic-centered perspective which passes the practical responsibility of ‘development’ merely on to individuals, communities or markets, and makes progressive way for diasporas to fully contribute to political and social development as well as economic development in home countries.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세계 디아스포라의 시대적 공간출현 배경과 가치이념에 관한 연구

        윤황 전남대학교 글로벌디아스포라연구소 2014 디아스포라 연구 Vol.8 No.1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search the sphere expansion and ideological values of the global diaspora in the age of global multi-culture.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 First, the current situation of global multi-culture are closely related with the widespread global diaspora. The global diaspora has a population of estimated two billions in worldwide, and global immigrants reach one billion among the global diaspora. People in the global village are called for the establishing a global community without boundaries between the mainstream group (indigene, compatriot, resident, majority, centrality) and the fringe group (immigrant, foreigner, outsider, minority, periphery). Second, the sphere of global diaspora is rapidly expanded in the global village. Now, the global diaspora networks are emerging as new phenomenon due to the appearance of the global markets, spread of the global communication networks, increase the multiple identities and dual nationality, and generalization of the world tour and sightseeing. The sphere expansion of the global diaspora has immediate connection with the third industrial revolution, disperse capitalism, and network of the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With these backgrounds, the sphere of global diaspora will expand further. Third, in order to build an indiscriminate global community in the age of global diaspora, the global ideological values are needed such as cosmopolitan sympathy, positive communalism, open pacifism, and non-killing socialism. The people of the world could enjoy their lives with the global diaspora by virtues of compathy, justice, co-existence, and co-prosperity. The global community is likely to be realized only when the boundaries are abolished between the mainstream and fringe group in this world. In conclusion, it is high time for people in this world to establish a global community and communitization of global village where there is no discrimination against diaspora. 본 논문의 연구목적은 글로벌 다문화시대에서 세계 디아스포라의 시대적 공간출현에 대한 배경과 이들과 함께 더불어 살아가면서 추구해야 할 가치이념이 무엇인가를 모색하는 데에 있다. 그에 따라 이 연구는 다음과 같은 분석결과를 도출했다. 첫째, 현재 글로벌 다문화시대가 ‘세계 디아스포라시대’와 접속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지구촌 인구의 약 20억명 정도가 디아스포라들로 구성되어 있고, 그 중에 국제이주자의 수가 현재 10억 명에 달하고 있다는 것은 글로벌 다문화시대가 곧 ‘세계 디아스포라의 시대’와 접속되고 있다고 규정했다. 이런 시대에서 지구촌의 인류는 원주민, 동포, 국내자, 다수자, 중심인, 주류집단과 이주민, 이방인, 국외자, 소수자, 경계인, 비주류집단과의 경계가 무너지는 ‘지구촌공동체화’와 ‘지구공동체’ 건설을 추구하도록 요구받고 있다고 설명했다. 둘째, 오늘날 세계는 디아스포라의 시대적 공간 출현을 갈수록 확대해가고 있다고 규명했다. 지금 지구촌은 지구화로 인해 글로벌 시장의 대두, 글로벌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의 확산, 다중 정체성과 이중 국적의 증가, 세계 여행과 관광의 일상화 등에서 세계 디아스포라 네트워크의 출현과 같은 디아스포라 공간을 빠르게 넓혀가고 있다고 분석했다. 그 공간 출현의 배경은 3차 산업혁명시대, 분산자본주의 시대, 비정부기구 네트워크 시대의 요구에서 규명하고 그 배경에 따라 디아스포라의 공간 출현 확대가 더욱 추동될 것으로 전망된다라고 분석했다. 셋째, 세계 디아스포라의 시대적 공간출현에 기초하여 ‘디아스포라에 대한 차별 없는 지구촌 건설’을 위해 필요한 글로벌 가치이념은 코스모폴리탄 공감주의, 적극적 공동체주의, 열린 평화주의, 비살생 사회주의가 될 것이라고 제시했다. 오늘날 다문화시대와 접속된 디아스포라 시대의 인류 모두가 디아스포라와의 공감, 공행, 공정,공생, 공존, 공영을 향한 글로벌 가치이념의 선택이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다고 규명했기 때문이다. 지구촌에서 이주민, 이방인, 국외자, 소수자, 경계인, 비주류집단으로 구별되고 차별받는 디아스포라가 원주민, 동포, 국내자, 다수자, 중심인, 주류집단과의 경계가 완전히 사라질 때만이 지구공동체 건설의 목표를 향한 지구촌공동체화도 현재화되고 구체화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에서는 글로벌 국제이주가 보편화 된 오늘 날, 다문화시대는 필연적으로 세계 디아스포라 시대와 융합될 수밖에 없는 바, 지구촌 인류는 디아스포라의 가치이념을 기반으로 ‘디아스포라에 대한 차별을 배제하고 모두 함께 더불어 사는 평화로운 지구촌 공동체’의 건설 방향으로 즉시 움직여야 할 때라고 주장됐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