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중소설론의 변천과 의의 연구

        오혜진(Oh Hye-jin) 우리문학회 2007 우리文學硏究 Vol.0 No.22

        우리나라에 대중소설이 등장한 시점은 보는 시각에 따라 다르겠지만 필자는 대중소설이 활성화된 시기를 1930년대로 잡아 보았다. 1920년대 말부터 대중소설에 대한 논의들이 주로 카프 쪽에서부터 전개되었는데, 이 논의들은 이후의 대중소설에 관한 부정적인 입장과는 다른 측면을 보인다. 1930년대 들어오면서 주로 신문연재소설을 통해 대중소설이 확산되었고, 이에 따른 논의들이 임화, 이원조, 김남천, 안회남, 윤백남 등에 의해 구체화되었다. 1930년대 김기진에 의해 촉발된 대중소설에 관한 논의들은 임화와 김남천의 장편 및 대중소설과 관련된 평론들로 확대된다. 소설사적으로 보았을 때 최초로 소설론에 대한 관심을 집중시켰던 촉발점이 되기도 하였다. 비록 당대적인 현실 속에서 최선이 아닌 차선으로써 대중소설을 분석하고 비판하였지만 대중소설에 대한 관심과 아울러 대중을 '지향'하는 문학으로의 의식 변화는 매우 중요한 의미 지점이다. 비교적 활발하게 진행되던 대중소설 논의들이 해방 이후에 와서는 작가들에 의해 그 명맥을 유지한다. 김내성, 방인근, 정비석 등 대중소설작가들은 자신들의 작품에 대한 옹호와 아울러 대중소설에 대해 좀더 세부적이고 자세한 내용과 형식들을 짚어나간다. 이러한 논의들에 의해 대중소설에 대한 부정적 측면을 상당 부분 불식하는데 성공하였다고 볼 수 있고, 또 대중소설에 대한 용어도 우리 소설계에 정착시키는데 공헌하였다. 대중소설은 1970년대에 와서야 비평가들의 관심의 대상이 된다. 대중소설에 관해 비판적인 시각을 견지한 평자들로는 최일수, 김우종, 윤재근 등을 꼽을 수 있다. 이들은 통속성이나 상업성, 성적 묘사의 과도함등을 문제점으로 지적하면서 급속히 확산되는 대중소설에 대해 우려를 표명한다. 문제는 어째서 대중소설이 인기를 끌고 있고, 그 원인은 무엇인가 하는 상황적 접근보다는 부정적 측면만을 표면에 부각시킨다. 대중소설을 새로운 문학의 가능성으로 보는 시각은 김병익이나 김현, 오생근과 같은 평자들에 의해서이다. 김병익은 대중소설의 미학적 형상화와 도시적 감수성을 높이 사면서 그 가능성을 타진했고, 오생근과 김현은 대중문화에 대해 열린 시각을 요구했다. 리얼리즘 소설에 대한 시대적 경도에 어느 정도 거리를 두고 있었던 이들은 대중소설이 가지는 언어적 감수성과 미학적 근거들을 찾기 위해 노력을 기울였고, 문학의 엄숙함에 의문을 던졌다. Since the end of 1920s, discussions on popular novel has been led mostly by KAPF, which showed different aspects from those negative views on popular novel thereafter. Since after 1930s, popular novel has expanded mainly through serial publication on newspapers, and discussions on popular novel were concretized by Im, Hwa, Lee, Won-Jo, Kim, Nam-Cheon, Ahn, Hoe-Nam, and Yoon, Baek-Nam. The relatively active discussions on popular novel survived by writers after 1945 Liberation. Writers of popular novel, such as Kim, Nae-Seong, Bang, In-Keun, Jeong, Bi-Seok and others, held on to the value of their own work as well as examined more detailed and up-close content and form of popular novel. It is believed that, thanks to such discussions, a considerable amount of negative aspects on popular novel has been overcome, and that the very term of popular novel has settled in Korean novel circle. Only early in the 1970s did popular novel become the subject of interest by critics. Critics who upheld the critical view on popular novel at the time were Choi, Il-Su, Kim, Woo-Jong, and Yoon, Jae-Keun. Pointing to the problems of popularity, commercialism, excessive suggestiveness, they showed concern about widespread popular novel. Views on popular novel as a new possibility of literature have been taken by such as Kim,Byung-Ik, Kim, Hyun, or Oh, Saeng-Keun. While acclaiming the rural sentiment and aesthetic realization of popular novel, Kim, Byung-Ik sought its possibilities, and Oh, Saeng-Keun, and Kim, Hyun requested open views toward popular culture.

      • KCI등재

        문화콘텐츠로서 대중소설의 기능과 역할에 관한 연구-1950년대 대중소설을 중심으로

        강옥희 대중서사학회 2014 대중서사연구 Vol.20 No.2

        본 연구는 1950년대 영화의 원작으로 쓰였던 대중소설을 대상으로 원작과 전환매체인 영화의 서사구성 원리를 분석하여 매체간의 상이성과 공통점을 살펴보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1950년대의 대중소설 중 영화화 되어 사랑을 받았던 작품과 영화를 비교분석하여, 어떤 점이 대중소설을 영화라는 매체로 전환시킨 요인이 되었는지, 이를 통해 문화콘텐츠로서 대중소설의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연구의 대상으로 삼은 작품은 1950년대의 대표적 대중소설인 정비석의 『자유부인』, 김래성의 『인생화보』, 『애인』, 『실락원의 별』, 박계주의 『순애보』, 방인근의 『화심』으로 영화의 원작이 된 작품들이며 소설뿐만 아니라 영화도 대중들의 폭발적인 사랑을 받았던 작품들이다. 이 작품들 중 현재 필름이 남아있는 것은 <자유부인>, <순애보>, <화심> 세편인데 영화가 남아있는 작품들은 영화와 작품 시나리오를 함께 비교 분석했고, 다른 작품들은 원작과 시나리오의 실증적인 정리와 구체적인 분석을 통해 모티프의 상관성, 대중친화적인 요소 등 원 장르와 OSMU 복합콘텐츠 간의 유기적인 연관성을 살피고, 문화콘텐츠로서 대중소설의 기능과 역할을 살펴보았다. 분석의 대상으로 삼은 작품들 중 정비석의 『자유부인』은 소설연재 - 연극 - 영화로의 매체 전환을 통해 콘텐츠로서의 가치를 보여준 OSMU (One Source Multi Use)이다. <자유부인>은 이후 대중소설을 원작으로 한 영화의 탄생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1950년대 대중소설 텍스트가 영화로 만들어진 가장 큰 이유는 대중성이며 이 대중성은 대중의 욕망과 당대의 문화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지표가 된다.

      • KCI등재

        조선작의 대중소설에 나타난 창녀서사와 서사전략 고찰

        배경열 ( Kyeong Yeol Bae )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3 인문학연구 Vol.0 No.46

        70년대 대중소설은 사회비판과 일탈행위의 묘사를 통해, 독자들에게 저항적 즐거움을 주고 있다. 불균형한 산업화, 도시화로 인한 사회적 부조리와 모순, 군사정권 하의 정치적, 제도적 억압에 대해서, 70년대 대중소설은 나름대로의 저항정신을 보여준다. 이처럼, 시대적 현실을 날카롭게 반영하고, 사회적인 모순을 폭로하는 경향은 70년대 대중소설의 한 특징이다. 지배이념을 철저히 부정하고, 기성세대의 질서에 대해서 환멸이나 과격한 분노를 표현하는, 70년대 대중소설의 이 같은 특징은, 대중소설이 반드시 ‘체제이데올로기에 영합’하는 것이 아님을 입증해 준다. 70년대 대중소설은, 반사회적, 탈규범적, 인물을 등장시킴으로써, 기존의 질서와 권위에 반대하며, 장난기나 비속어, 욕설 등의 일탈적 언어를 사용해, 엄숙한 기존의 질서에 도전하기도 했다. 또한, 그 동안 금기시 되었던 성의 문제를 부각시키고, 기존의 제도에 도전하는 새로운 가치관을 제시함으로써 지배이념에 의해서, 가볍고 통속적인 것으로 치부되던 대중들의 삶의 양식을 조망하고 대변하고 있다. 이러한 저항정신은 70년대 대중소설의 주요한 특징으로, 소설의 엄숙주의를 반성하고, 독서행위의 즐거움을 일깨워 준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조선작의 창녀서사는 70년대 도시로 흘러간 변두리여성들의 욕망과 좌절을 보여 준다. 그들은 한 때 공순이나 식모였지만 예외 없이 창녀로 전락해 가는 인물들이다. 이들이 창녀의 길로 접어들게 되는 도시적 삶은 금전경제에 바탕을 둔 물질주의 파괴성 뿐 아니라 남성들의 배설욕구에 추동되는 성적폭력성이 자리 잡고 있었다. 돈과 쾌락의 야합은 매춘 등의 향락문화를 번성하게 만든다. 향락문화가 만연된 도시에서는 남성이 성과 돈과 권력 면에서 우월한 지위를 차지하고 있어서 남성은 곧 권력을 지닌 남근으로 상징화된다. 남근중심적인 사고는 남성의 성적경험에 부여된 거만함과 중요성을 과장하고 여성의 성과 육체를 남성에게 보이기 위한 육체와 즐거움이나 쾌락을 주기 위한 도구로 인식하게 만든다. 남근적 대도시의 섹슈얼리티는 ‘남성은 성을 사고 여성은 성을 파는’ 성의 시장논리에 기반을 두고 작동되고 있다. 성 시장에 통용되는 논리란 여성의 인격 자체를 부정하고 성적대상화로 보는 가부장제 문화와 여성성을 돈의 가치로 환산하는 자본주의가 만들어낸 산물이다. 조선작은 변두리여성에서 창녀로 타락한 변두리여성들을 ‘조난당한 난민’으로 규정하고, 이러한 난민이 양산되었던 원인을 ‘근대화라는 이름하의 돌풍’에 있다고 분석한다. 즉 이들은 급격하게 이루어진 근대화의 물결이 몰고 온 엄청난 변화의 와중에 ‘형체도 없이 난파해버린 작은 목선’이다. 따라서 조선작의 창녀들은 그공간이 파괴된 도시의 뒷골목에 제멋대로 흩어져 있다. 이러한 구성 속에는 몸을 파는 창녀라는 설정 맞은편에 호화주택과 성을 사는 사람이라는 대비가 숨어 있다. 그것은 작가의 의도적인 대비다. 이 대비를 통해서 조선작은 산업화가 야기하고 있는 빈부의 양극화, 윤리의 대척화(對蹠化), 가치관의 충돌을 비판하고 있는 것이다. 조선작은 1970년대 변두리출신의 여성들이 희생된 근본적인 원인을 파행적 경제정책과 사회구조적 모순에서 야기된 섹슈얼리티의 정치적 지형도에 있음을 지적한다. 즉 사창가가 도심의 한복판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전혀 통제나 법적규제를 받지 않는다든지, 일상생활에서 ‘도심의 편리한 배설기관’으로 자리하고 있을 정도로 확대된 현상은 국가권력이 개입하지 않으면 성립될 수 없다. 향락산업의 번성과 매춘시장의 확대는 정부가 근대화, 산업화란 이름으로 국가발전을 강구하던경제정책의 실효성이 떨어지자 경제구조의 취약성에 기인한 무역적자의 폭을 줄이기 위해 관광산업정책을 펼치면서 여성을 외화획득의 원천으로 이용하였던 당시 정부의 정책적 묵인과 조장으로 기인한 것에 대해 비판하고 있다. 조선작은 수많은 영자나 은자와 같은 여자들이 속출하게 된 원인이 남근적 섹슈얼리티에 기반을 둔 도시적 삶의 방식과 발전논리를 앞세워 이를 방치하였던 국가정책에 있음을 날카롭게 지적하고 있다. 그의 이런 현실인식은 산업화, 도시화에 따른 물량확대 일변도의 변동사회와 그 속에서 깨지고 부서지는 상실의 드라마를 포착하는데 온정열을 바치고 있다. Social criticism and depiction of deviant behavior through the popular novels of the 70s, resistant readers to give pleasure. Unbalanced indust- rialization, urbanization and social absurdities and contradictions, political, institutional repression under the military regime for its own popular novels of the 70s, shows the spirit of resistance. As such, tend to expose social contradictions and poignantly reflect the reality of the times, popular novels of the 70s. Thoroughly deny the ruling ideology, and the order of the older generation, to express disillusionment or anger to Radical 70s popular novel of the same characteristics, the popular novel ``system`` ideology to pander to that proves solemn existing antisocial ride normative figures emerged, the fun, in opposition to the existing order and authority, or profane, abusive and deviant language, using the popular novels of the 70s, was a challenge in order. To challenge existing institutions and highlight the problems that had been taboo for the castle, by presentingnew values dominated by ideology, and was believed to be lightweight and secular form of life of the masses view represents. Rigorism reflection of the novel, the main features of the 70s, popular novels, and this spirit of resistance, and it is significant in that it reminds the act of reading pleasure. The prostitute-narration of Jo Seon-Jak shows women``s desire and frustration 70s flew into the city outskirts. They are obedient and Kitchenmaid, but the figures are going to tumble into a prostitute, without exception. Urban life that they freed me to enter the path of a whore excretion of men driven to desire sexual violence based on the cash economy, as well as materialism destructiveness lies were Of money and pleasure thriving prostitution, including the culture of hedonism makes collusion Rampant hedonism culture performance for power and money in the city, the men occupy the superior position in the men soon power with penis is symbolized. Arrogance and importance given to the male sexual experience exaggerated and recognized as a tool for men to show the achievements of women flesh, flesh and give pleasure or pleasure for the penis-centered thinking makes Phallic sexuality of the metropolis ``men buy sex women selling sex is based on the logic of the market`` castle is working. Castle that is prevailing in the market logic is a product made of money equivalent to the value of femininity that capitalism denies the dignity of women and the culture and see the sexual objectification patriarchy. Shipbuilding in rural women in the degenerate whore outskirts of women defined as ``refugees`` distress, and the mass production of these refugees have been named ``modernization`` under blast that cause analysis. They rapidly made a wave of modernization brought about a tremendous change in the midst of a small neckline shape without wrecked it. Jo Seon-Jak prostitutes scattered arbitrarily in the back alleys of the city that destroyed the space. Digging whore body set up luxury homes and castles across people that live inside these configurations compared are hiding. It is the artist``s deliberate contrast. Small industrialization writers shipbuilding caused the polarization of the rich and the poor, through the contrast of ethics antipodes Tues, criticism and conflict of values. This writer pointed out that the barely limping economic and social structural contradictions caused by sacrificing the fundamental cause of women from the 1970s outskirts of sexuality and political topography. No control or does not receive any legal restrictions in daily life, is enough to expand the city``s convenient excretory organs as brothels in the heart of the city, despite the phenomenon can not be established without intervention of state power. Policy to reduce the trade deficit due to the vulnerability of the structure of the economy, the tourism industry fell effectiveness of government economic policies were modernization, under the name industrialization, of national development to take the female race of the entertainment industry, thriving and expanding market of prostitution has been used as a source of foreign exchange earnings, has been criticized government policy encouraged and tolerated, but due to the time. Women such as shipbuilding or a small number of English-language hermit and Imbalance causes keenly adhering to the policies of this country who neglect the urban way of lifeand phallic sexuality based on the logic of development that has been pointed out. Dedicated his recognition of the reality due to industrialization, urbanization, changes in society and to increase the volume of eagle to capture the drama of the loss came in broken passion.

      • KCI등재후보

        딱지본 대중소설의 형성과 전개

        강옥희 대중서사학회 2006 대중서사연구 Vol.- No.15

        본고는 1910년대 이후 구활자로 출간된 , 근대적인 지향을 지닌 작품들을 딱지본 대중소설로 정의하고, 그동안 누락되었던 작품을 찾아 정리 ·분류하여 그 특성을 살펴보았다. 딱지본 대중소설은 육전소설, 딱지본으로 불리며 저급한 문학작품으로 취급되어 문학사와 연구사에서 방치되었었다 . 그러나 딱지본 대중소설은 상업적 상품으로 기능했고 , 근대적인 대중독자를 형성했으며, 당대 대중들의 취향을 민감하게 반영하는 대중문학 텍스트였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니지만 현재까지 기본적인 서지작업조차 이루어지지 못했다 .1920 년~30 년대는 딱지본 대중소설의 전성기였으며 세창서관 의 판본이 대표적이다. 세창서관 에서 발간했던 딱지본 대중소설들은 저렴한 가격에 엘리1)* 상명대학교 국문학과 강사8 대중서사연구 제15호트 대중독자가 아닌 일반적인 대중독자들의 흥미에 부합하는 작품들이 많았다 . 딱지본 대중소설은 식민지 시대 활발하게 간행되었고 1960년대까지도 명맥을 이어왔지만 대중독자들의 경험과 체험의 양상이 변화하면서 해방 이후에는 쇠퇴의 과정을 밟게 되었다.그러나 한때 당대를 풍미했던 딱지본 대중소설들은 평범하고 보편적인 대중독자들을 목표로 창작되고 유통되었기 때문에 작품 안에서 당대 대중들의 관심사 및 그들이 수용하고자 한 현실세계에 대한 모습을 살필 수 있고 , 대중들의 근대적 지향이 다양한 방식으로 드러나고 있다는 점에 의의를 둘 수 있다 .

      • KCI등재

        근대 대중소설에 나타난 장르믹스의 변모양상 : 염상섭의 「사랑과 죄」와 김말봉의 「찔레꽃」을 중심으로

        오혜진(Oh Hye-jin) 우리문학회 2009 우리文學硏究 Vol.0 No.27

        장르적 속성이 뚜렷한 대중소설은 그 속성 안에 다른 장르적 특색이 산발적 혹은 집중적으로 활용된다. 이를 장르 믹스(genre mix)로 범칭 할 수 있는데 이러한 장르 믹스의 성향은 대중소설이 등장하기 시작한 1920년대부터 선보였고 1930년대에 이르면 더욱 활성화된다. 1920년대 문화적 유행 코드였던 ‘연애’와 ‘탐정’은 소설에는 멜로드라마적 요소와 추리서사와 같은 장르믹스적 형태를 띠고 나타났다. 본고에서는 염상섭의 「사랑과 죄」와 김말봉의 「찔레꽃」을 통해 이러한 양상을 살펴보았다. 1920년대 후반의 작품인 염상섭의 소설은 사랑과 질투, 그를 둘러싼 여러 갈등 장치들을 통해 멜로드라마의 기본 서사 구조를 갖추고 있다. 그러면서 정의를 위한 범죄와 치명적 열정(fatal passion)에 의한 범죄, 두 가지를 선보이면서 추리서사를 소설의 후반부에 적극 도입, 서스펜스(suspence) 기법을 잘 살리고 있다. 사건으로 인해 두 남녀 주인공의 관계는 해피엔딩으로 처리되지만 이 둘의 관계는 연애소설이 가지는 사랑의 순수성을 보여주지는 않는다. 훼손된 인물 간의 결합이 보여주는 불구성을 통해 ‘연애’의 거짓됨과 당대 세태에 대한 문제점을 한편으로는 도출시킨다. 당대 사회적 현실을 적극적으로 반영하면서도 대중소설의 여러 장르적 성격을 결합시킨 염상섭의 이 소설은 그럼에도 이러한 요소들이 자연스럽게 결합되지 못한 채 봉합되고 마는 어색함을 보인다. 이에 반해 1930년대 후반에 발표된 김말봉의 「찔레꽃」은 전형적인 멜로드라마의 인물 구성과 사건을 선보인다. 그러면서 다양한 인물상을 통해 ‘돈’과 ‘욕망’에 의해 좌우되는 현 실태를 화려한 부유층의 삶과 섞어 감각적으로 체화해나간다. 또한 치명적 열정에 의한 범죄를 집중적으로 다루면서 서스펜스 기법도 보다 자연스럽게 표출한다. 김말봉의 소설은 염상섭의 작품에 비해 대중소설로서의 역할에 충실했고, 또한 장르 믹스도 한층 매끄럽게 표현함으로써 1920년대에 비해 보다 세련된 면모를 구축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렇게 두 작품은 1920년대화 1930년대의 달라진 현실이나 문화적 상황을 투영하면서 각기 다른 장르믹스적 대중소설의 양상을 잘 보여주고 있다고 하겠다. The public novel is apparent character genre, the other side it use peculiarity of the other genre. It called 'genre-mix'. The genre mix was born 1920's novel and spread 1930's work. The cultural trend code of 1920's was 'Love' and 'Detective', two concept appeared public novel of form melodrama and detective-narrative. In that Yeom Sang-sup's 「Love and Cuilty」 and Kim Mal-bong's 「The Wild Rose」 were typical. Yeom's novel printed 1928's made up melodrama formation of love, jealousy. conflict and so on. And it was comprised justice crime and fatal passion crime, two crimes used suspense. A case of murder for fatal passion lead to happy ending a hero and a heroin, however theirs relationship were not purity of love. Union in case of hero and heroin had represented lies of love and the point at colonial issue. But Yeom's novel was seen clumsy genre mix for the reason 1920's situation and writer's disposition. Kim Mal-bong's 「The Wild Rose」 , made known 1938 was true of type melodrama events and characters. And that 'Money' and 'Desire' were described vividly. Also fatal passion crime dealt with polished suspense. Kim's work was faithful to the genre-mix, established refined features public novel. So two novels reflected 1920's change to 1930's situation and aspect of genre-mix.

      • KCI등재

        식민지 서적출판문화와 딱지본 대중소설의 모방 양상 연구: 강명화 정사 사건 소재 딱지본 대중소설을 중심으로

        배정상(Bae, Jeong Sang)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20 동방학지 Vol.193 No.-

        1923년 기생 강명화와 부호 장병천의 정사 사건은 새로운 시대의 연애를 갈망하는 당시 대중들의 호기심을 자극하기에 충분했다. 몇몇 작가와 출판사들은 이 사건이 지닌 대중적 파급력에 주목하고, 이를 소재로 한 소설의 저술 및 발행을 적극적으로 시도했다. 본 연구에서는 강명화 정사 사건 소재 딱지본 대중소설들을 새롭게 정리하고, 주요 작품들의 서사 전략 및 모방 양상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했다. 이러한 시도는 강명화 소재 딱지본 대중소설이 지닌 개별 작품의 특성을 넘어, 식민지 서적출판문화 속 딱지본 대중소설의 특징을 이해할 수 있는 유용한 방편이 된다. 이해조의 『(여의귀)강명화실기』는 당시 신문기사를 서사의 뼈대로 삼고, 그 밖의 다양한 소문을 취재하거나 허구적 상상력을 추가하여 하나의 소설로 완성하였다. 『(여의귀)강명화실기』 상편은 당시 대중적 인기를 끌어 사회문제가 되기도 하였으며, 강명화 정사 사건을 다룬 다양한 소설 텍스트의 모본이 되었다. 최찬식의 『(신소설)강명화전』은 이해조의 『(여의귀)강명화실기』을 저본으로 삼아 모방하되 딱지본 대중소설의 형식에 맞도록 기획 출판된 작품이다. 두 남녀의 운명적인 만남을 서두에 배치하고, 두 연인 사이의 사랑스러운 대화 장면을 삽입하거나, 장병천을 매력적인 인물로 묘사한 것은 『(신소설)강명화전』만의 새로움이라고 볼 수 있다. 철혼 박준표의 『(절세미인)강명화의 설음』은 『(여의귀)강명화실기』와 『(신소설)강명화전』을 복합적으로 모방한 작품이다. 『(절세미인)강명화의 설음』 압축된 빠른 사건 전개가 돋보이는, 가장 가볍게 즐길 수 있는 하나의 상품으로 기획된 전형적인 딱지본 대중소설이다. In 1923, the affair between the prostitute Kang Myunghwa and the wealthy Jang Byungcheon was enough to stimulate the curiosity of the people, who longed for a new age of romance, at the time. Several writers and publishers paid attention to the mass impact of this incident and actively attempted to write and publish novels using it. This study attempted to newly organize popular novels that were labeled as the subject of the Kang Myunghwa affair and examine the narrative strategies and imitation patterns of major works in detail. These attempts go beyond the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works of the popular novels of Takjibon as the subject of Kang Myunghwa and become a useful way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akjibon popular novels in the colonial book publishing culture. Lee Hae-jo s 『(Yeouigui)kangmyeonghwasilgi』 was completed as a novel by using newspaper articles at the time as the framework of the narrative, covering various rumors or adding fictional imagination. The 『(Yeouigui)Kangmyeonghwasilgi』 was popular at the time and became a social issue. It became a model for various novel texts dealing with the Kang Myunghwa affair. Choi Chansik s 『(New Novel)Kangmyeonghwajeon』 was a planned and published work which imitated Lee Haejo s 『(Yeouigui)Kangmyeonghwasilgi』 as a book, but conformed to the format of a Takjibon popular novel. Arranging the fateful meeting of two men and women at the beginning, inserting a lovely dialogue scene between two lovers, or depicting Jang Byeong-cheon as an attractive character can be seen as a novelty of 『(New Novel) Kang Myung Hwajeon』. Park Joon-pyo s 『(Severe Beauty) Kangmyunghwa’s Sorrow』 is a work that mimics 『(Yeouigwi)Kangmyeonghwasilgi』 and 『(new novel)KangMyunghwajeon』. 『(Severe Beauty)Kangmyunghwa s sorrow』 is a typical Takjibon popular novel designed as a product that can be enjoyed lightly with a compressed rapid development of events.

      • KCI우수등재

        1970년대 ‘증상으로서의 대중소설’과 최인호 문학 연구

        沈在昱(Sim, Jae-uk) 국어국문학회 2015 국어국문학 Vol.- No.171

        본고는 1960년대에서 70년대로 이행하는 최인호의 문학적 변화를 기준으로 초기단편소설과 대중소설의 특징을 정리하고, 증상 개념을 중심으로 1970년대에 나타난 대중소설의 차별적 가치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최인호의 초기 단편소설의 인물들은 타락한 세계와 대결하려는 시도를 지속적으로 보여준다. 하지만 이들의 저항은 번번이 실패하고, 오히려 그 과정에서 부조리한 세계에 포섭되어 타락하고 만다. 최인호의 초기 텍스트들의 진정한 의미는 ‘타락한 세계에 맞서는 과정에서 저항과 매혹으로 분열되어버린 주체의 발견’이라고 할 수 있다. 타락한 세계에 대한 저항과 순응의 태도가 극단적으로 혼재되어 나타나는 분열된 주체는 최인호의 문학 전체를 관통하는 핵심이다. 뿐만 아니라 인물들이 자신의 분열된 양상을 더 이상 어떻게 할 수 없는 ‘불가피함’으로 간주하고 ‘연민’의 감정을 통해 자기세계로 확립한다는 사실은 이후 최인호 문학의 전개에 있어 새로운 출발점이 된다. 1972년을 기점으로 최인호의 인물들은 타락한 세계에 직접적으로 맞서려는 시도를 대신해 분열된 욕망을 적극적으로 향유하는 병적 상태를 보인다. 주체가 자기세계의 타락한 일면에 눈 감을 수 있는 것은 살아남기 위해 불가피하다고 판단했기 때문인데, 그 불가피함에 대한 연민이 어느 순간 역전된 쾌락을 주게 된 것이다. 『별들의 고향』의 문오를 비롯한 인물들은 기만적인 태도로 욕망을 충족시키면서 타락한 세계를 내면화한다. 미술적 재능에 대한 회의 때문에 무기력했던 문오는 근본적인 노력 대신 경아와의 연애라는 손쉬운 방법으로 도착적인 쾌락에 탐닉한다. 이러한 경험은 문오로 하여금 경아의 시신을 떠맡게 만드는 근원적인 죄의식이 된다. 경아 또한 남성들을 통해 속물적 욕망을 채우지만 스스로를 부도덕하고 죄 많은 여자로 간주하며 자책하기도 한다. 표면적으로 그녀의 죄의식은 남성 중심의 상징 질서가 만들어낸 환상처럼 보이지만 그 근저에는 자신의 불행을 불완전한 남성들에게 떠넘긴 채 술과 미신, 안이한 낙관으로 도피했다는 반성이 자리한다. 최인호의 70년대 대중소설 속 인물들은 모순적일만큼 양가적인 태도를 보이며 현실에 대한 리얼리티를 보여주지 못하는데, 오히려 당대 대중들은 이러한 대중소설의 특징과 공명하며 ‘증상’을 완성한다. 실제로 당시의 청년 주체는 지배이데올로기의 강압을 조롱하고 자유와 해방을 추구하는 저항적 주체이기도 했지만, 동시에 소비문화에 잠식된 쾌락적 주체이기도 했다. 최인호의 초기 단편소설들이 발견한 분열된 주체의 모습은 자본주의식 근대에 대해 매혹과 거부감을 양가적으로 느꼈던 대중과 만나면서 기만적 쾌락과 저항적 죄의식을 동시에 담아내는 텍스트로 나타난 것이다. 최인호의 1970년대 대중소설은 현실을 피상적이고 왜곡된 양상으로 재현하면서도 대중의 무의식적 욕망을 드러내 주는 증상으로서 차별적 가치를 갖는다. This study summarized the early literature of Choi In-ho literature around the transition to the 70s in the 1960s, and Symptoms concept aims to illuminate the differential value of popular novels appeared in the 1970s. True meaning of Choi In-ho’s earlier text can be called "discovery of the split Subject by resistance and fascination against the fallen world." The split subject appears the attitudes of resistance and Submission are key through the whole literature of Choi In-ho. In addition, The fact that his characters are splitted aspects of establishing a self World is a new starting point in the development of literature after Choi In-ho. Starting in 1972, the Characters show a morbid state that to continue the splitted desires instead of attempting to fight fallen world. And a fallen world to give pleasure to split subject. 70’s Popular fictional characters seem to be contradictory as the ambivalent attitude, at the time the public resonates with the popular novels and to complete the "symptoms". In fact, at the time of the young subject, but mocking the coercion of the dominant ideology and resistant subjects also pursuing freedom and liberation, at the same time was an encroachment on the subject hedonic consumption culture. 1970 popular novels of Choi In-ho is a reproduction of reality but a superficial and distorted aspect reveals the unconscious desires of the public. Thus, his 1970 popular novel has a differential value as a symptom.

      • KCI등재

        1920년대 문단의 안과 밖 -“딱지본 대중소설”의 원천으로서 노자영 소설

        조경덕 ( Kyoung Duk Cho ) 우리어문학회 2013 우리어문연구 Vol.46 No.-

        노자영은 ``백조`` 동인이며, 『사랑의 불꽃』, 『반항』 등의 저작·출판으로 1920년대 중반 상업적 성공을 거둔 작가다. 노자영은 ``연애``를 다룬 작품으로 상업적이며 대중적인 성공을 거두었지만 거듭된 표절 의혹으로 문인으로서 위신은 잃었다. 외국 작품의 번역에 버젓이 자신의 이름을 작자로 덧붙여 지면에 발표한 것이 번번이 다른 문인에 의해 밝혀진 것이다. 또한 대중의 인기를 누린 작품이 문단에서 요구하는 눈높이에 미달한다는 것도 문제가 되었다. 노자영의 소설에는 부정의 정신과 대상에 대한 거리감각이 결여되어 있다는 것이 이유였다. 이러한 까닭으로 노자영은 문단에서 ``배제``되었는데, 이는 1920년대 문단이 제도화되고 전문화되며 소설계가 재편되는 것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노자영의 소설은 비록 노자영과 함께 문단에서 ``배제``되었지만 청춘 남녀들의 사랑을 통속적으로 다루는 딱지본 장정의 대중소설, 즉 ``딱지본 대중소설``로 전화(轉化)되어 대중 독서 시장에서는 더욱 활발히 독자들에게 읽혔다. 그만큼 ``연애`` 담론에 친숙한, 근대적 교육을 받은 독자층이 증가하였기 때문이다. 그런 점에서 ``딱지본 대중소설``은 당대 문화의 지층을 탐사하는 데 요긴할 뿐만 아니라 문학사 뒷면의 문학 실태를 확인할 수 있는 텍스트이다. 한편 이들 ``딱지본 대중소설``의 작자는 습작기의 작가나 학비를 벌어야 하는 학생들이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그 예로 이무영과 월파 김상용을 들 수 있다. 특히 김상용의 『동정의 루』는 노자영의 소설을 참조하여 창작되었는데 이것을 통해 당대 ‘딱지본 대중소설’이 노자영 소설로부터 받은 영향과 ``딱지본 대중소설``의 존재 방식을 확인할 수 있다. No, Ja-Young is a writer who achieved commercial success with the flame of love, resistance in 1920`s. But he lost prestige as a writer because of the frequent plagiarism. Fellow writers didn`t allow that he was a writer, for they thought that he wrote less than worthy novels. No was excluded from Literary circle, that is not the problem of a writer but the symbolic event which means the specialization of Literary circles at that time. No`s novels had something to do with ``sin-pa-so-sul``, that is dime novel and is made of ``ddak-ji-bon``. The former provided a triggering event and the latter were written much after the model of narration and sensibility of the former. They fell to be recoded but was present as an undercurrent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The more it is far from ``sin-pa-so-sul``, the more it is a good novel. In that sense, writers regarded ``sin-pa-so-sul`` as reference model from the denial side. Therefore, the study of ``sin-pa-so-sul`` provides new view point of prospecting the history of Korean modern literature.

      • KCI등재

        일인칭 시점 딱지본 대중소설 연구

        배정상(Bae, Jeong-Sang) 숭실대학교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20 한국문학과 예술 Vol.35 No.-

        본 연구는 딱지본 대중소설 중 일인칭 서술 시점이 활용된 작품들을 소개하고, 식민지 서적출판문화의 장안에서 이들 작품이 지닌 특징과 의미를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삼는다. 일반적으로 일인칭 시점은 1920년대 이후 유학생 지식인들이 주로 잡지에 게재된 단편소설을 통해 실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일인칭 서술 시점은 번역 및 번안의 경로를 통해 더 이른 시기부터 실험되었으며, 특히 『(신소설)형월』(1915)의 일인칭 시점 서술은 번역 및 번안이 아닌 신소설의 서사 전통을 계승한 가운데 이루어진 것이라 주목할 만하다. 1920년대 이후 몇몇 딱지본 대중소설은 소위 고급문예의 장에서 적극 활용되던 일인칭 시점의 서술방식을 수용하여 이를 대량생산의 장으로 확산시키고자 했다. 특히,『(가정소설)해혹』,『(신소설)표랑의 루』,『(애정소설)애루몽』은 일인칭 시점의 서술방식을 딱지본 대중소설에서 실험한 보기 드문 사례에 해당한다. 이들 작품이 일인칭 시점 서술을 통해 각기 다른 의미와 효과를 발생시키고 있다는 점도 주목할 만하다. 예컨대, 『(가정소설)해혹』 은 도덕과 윤리로 포장된 주인공의 호의가 실제로는 지루한 일상에 새로운 자극을 원하는 성적인 욕망을 품고 있었음을 효과적으로 드러내고 있으며, 『(신소설) 표랑의 루』는 화자인 ‘나’를 실제 작가와 일치시켜 독자로 하여금 화자의 내면고백과 소설 이야기에 더욱 몰입하도록 기능한다.『(애정소설)애루몽』의 경우, 다양한 직업을 전전하는 룸펜 지식인의 고뇌와 좌절을 통해 제국주의 침탈의 역사적 맥락이나 자본주의 체제의 냉혹함을 날카롭게 드러내고 있다. 이러한 시도는 딱지본 대중소설의 독자에게 고급문예의 내용과 형식을 확산시키는 한편, 소위 고급문예의 독자를 딱지본 대중소설의 장으로 끌어들이기 위한 시도였다. 이처럼, 일인칭 시점 딱지본 대중소설은 식민지 서적출판문화의 다층적 성격을 이해하기 위한 흥미로운 사례가 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the works in which the first person narrative view is utilized among six-pence pop novels, and to examine their characteristics and meaning within the ground of colony book publishing culture. In general, it is known that the first person view was experimented by intellectuals with experience of studying abroad since the 1920s, mainly through short stories published in magazines. However, the viewpoint of first person narrative was experimented from an earlier period through the path of translation and adaptation, and it is noteworthy that the first person view narrative in a new novel, Hyeongwol (1915) was written while inheriting the narrative tradition of the new novel, not translation or adaptation. Since the 1920s, several six-pence pop novels tried to expand the narrative method of first person view, which was actively used in the so called high-level literary field, into the field of mass production. In particular, “(family novel) Haeok”, “(new novel) Ru of Pyorang”, and “(affectionate novel) Aerumong” correspond to rare cases where the narrative of first person view was experimented in a six-pence pop novel. It is noteworthy that these works generate different meanings and effects through the narrative of the first person view. For instance, “(family novel) Haeok” effectively reveals that the protagonist"s favor, wrapped in morality and ethics, actually had a sexual desire for new stimulation in boring daily life. “(New novel) Ru of Pyorang” functions to make readers more immersed in the narrator"s inner confession and novel story by matching the speaker "I" with the actual author. In the case of “(affectionate novel) Aerumong”, through the agony and frustration of the lumpen intellectuals who have passed down various professions, the historical context of the imperial invasion and the harshness of the capitalist system are sharply revealed. This attempt spreads the content and form of high-level literature to readers of the six-pence pop novels whereas it was an attempt to draw the so-called high-level literary readers into the ground of the six-pence pop novels. As such, the six-pence pop novel from the first person perspective is an interesting example for understanding the multi‐layered nature of colony book publishing culture.

      • KCI등재

        최찬식 『능라도』의 변모 양상과 그 의미

        조경덕 ( Cho Kyoung-duk ) 국제어문학회 ( 구 국제어문학연구회 ) 2009 국제어문 Vol.46 No.-

        이 논문은 최찬식의 『능라도』와 그 이본들을 비교·검토하는 작업을 통해 `딱지본 대중소설`의 특징을 찾고자 했다. `딱지본 대중소설`은 주로 192·30년대에 간행되었던 딱지본 형태의 대중소설을 말한다. 이 논의에서 확인한 `딱지본 대중소설` 능라도 의 판본은 1919년 유일서관본에서부터 1978년 향민사본에 이르기까지 모두 일곱 개다. 이것은 능라도 가 비록 작품 가치의 측면에서는 문학사적인 의미를 부여받지 못했지만, 개작되어 계속 출판될 수 있는 서사적 힘을 갖고 있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능라도』의 서사적 힘은 능라도 가 애정서사와 정탐서사의 결합으로 이루어 졌다는 점에 있다. 애정서사는 전대소설의 소설적 관습을 이어받은 서사로서 익숙한 이야기를 통해 흥미와 위안을 얻으려는 독자들에게 크게 호소했고, 정탐서사는 그 자체로 근대성을 담지하고 있다는 점과 서사 구성 방식 자체가 갖는 흥미성으로 독자들의 이목을 모았다. 특히 능라도 의애정서사와 정탐서사는 개작 당시의 시대적 성격을 수용하면서 동시에 흥미성을 강화하는 차원에서 개작되었고, 이러한 개작은 개작자의 욕망과 독자의 욕망이 만나는 지점에서 형성되었다. 우리는 이를 통해 `딱지본 대중소설`의 서사적 특징을 확인할 수 있는데, 그것은 시대적 상황을 반영하되 진지한 문제제기는 회피하여 근대성과 대중성을 동시에 얻으려했다는 것으로 요약할 수 있을 것이다. In this paper, I try to find the characteristic of `TTak-ji-bon popular novel(딱지본 대중소설)` through comparing and examining Choi, Chan-sik`s Nung-Na-Do(능라도) with the other versions. It is said that `TTak-ji-bon popular novel` is popular novel , which is a form of TTak-ji-bon generally published in 1920`s and 1930`s. In this discussion, we can confirm that there are seven of block books of Nung-Na-Do(능라도) from the Yuilseogwan edition (유일서관본) to Haag-min edition(향민사본). In terms of a literary work`s value, it has had a narrative power to keep on printing adapted versions although Nung-Na-Do(능라도) hasn`t been given meanings in a literary history yet. It is the narrative power of Nung-Na-Do(능라도) that is the text combining a melodramatic narration with a detective narration. Meanwhile, it has been adapted for taking features of the times and arousing the interest. Such a adaptation, in this literature, was made at the point where a desire between adapters and readers met and drew the feature of the popular novel. `TTak-ji-bon popular novel` is the genre that gets both popularity and interests by approaching the level of simply consuming rather than sincerely intervening in the problem of the tim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