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람과 동물에서 대변 미생물의 이용

        조광근,김성학,박서영,이정민,조소영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20 농업생명과학연구 Vol.54 No.1

        장내 미생물과 숙주의 면역시스템은 상호 조절을 통해서 공진화 되어 왔다. 미생물은 부분적으로 대사물질을 생산하여 숙주 면역시스템을 조절한다. 면역세포는 대사 특이적인 수용체로서 P2X7, GPR41, GPR43, GPR109A, AhR, PXR, FXR, TGR5 등을 발현한다. 대변 은행은 rCDI 환자 치료를 위해 2013년부터 세계 각국에서 설립되고 있으며, 2017년 유럽에서 기증자 선발, 대변 준비, 대변 전이와 임상 관리, FMT 센터 운영을 위한 기본 요소 기준에 대하여 실무 중심의 의견 보고서를 발표하였다. CDI를 제외한 다른 질병 치료를 위한 FMT의 이용은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시험용 신약(IND) 승인을 받아야 한다. 따라서 FMT는 항생제로 제거가 불가능한 CDI 치료를 위하여 임상 실무에서 이용이 증가하고 있다. 비만에 대한 FMT 이용은 쥐에 대한 결과가 대부분이며, 비만쥐에서 Bacteroidetes가 감소하고 Firmicutes가 증가하였다. 동물의 생산성 향상을 위하여 사람 FMT의 표준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동물에서는 대변 미생물의 구강 투여가 적절한 방법이며, 동물 산업의 잠재적 대규모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서 품종에 따른 대변 은행의 설립이 필요하다. Commensal microbes and the host immune system have been co-evolved through mutual regulation. Microorganisms regulate the host immune system in part by producing metabolites. Immune cells express metabolite-specific receptors such as P2X7, GPR41, GPR109A, AhR, PXR, FXR and TGR5. The faeces bank was established worldwide in 2013 for the treatment of recurrent C. difficile infection (rCDI) patients. Moreover, in 2017 internationally standardized recommendations about donor selection, preparation of faecal material, clinical management, faecal delivery and basic requirements for implementing FMT centers was established as an evidence-based consensus reports. The use of FMT for the treatment of diseases except rCDI is subject to investigational new drug (IND) approval permit according to the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 Therefore, FMT is being increasingly used in clinical practice for the treatment of CDI, which is untreatable by antibiotics alone. The FMT has been used largely for the treatment of obese rats, in which Bacteroidetes decreased and Firmicutes increased in obese rats. The standard methodology of human FMT can be used to improve productivity in livestock. In animals, oral administration of faecal microbes is the optimal method of FMT, and to meet the potential large-scale requirement of the animal industry, establishment of the faeces bank for each animal species is that to be necessary.

      • KCI등재후보

        정당 대변인의 성별과 이미지가 유권자의 대변인 평가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비교이론을 중심으로

        박재훈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201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Vol.0 No.25

        This study is the research on what kind of spokesperson is appropriate and the reason behind. The impact of a spokesperson on political communication is enormous, therefore, the study on these people is very significant and especially analyzing the reaction of a spokesperson in terms of psychological mechanisms can also be academically meaningful thing. There has been a spokesperson with the common history and a spokesperson based on the brilliant career for the party spokesperson. So, this study investigates what voters prefer on image of spokesperson and the cause of preferences on spokesperson and voter’s gender difference. Moreover, this study is aimed to assess the voter’s likability on party identification and its spokesperson’s gender differences. In experiment 1, voters prefer the common same-sex spokesperson than the outstanding same-sex and prefer the outstanding opposite-sex spokesperson than the common opposite-sex. This is believed to be a kind of inferiority or frustration complex against same-sex through social comparison and self-assessment in cognitive process. In experiment 2, voters highly evaluate spokesperson with outstanding achievement for the party they’re supporting, but they don’t endorse spokesperson with outstanding achievement than the common spokesperson for the party they aren't supporting. It is not clear to state that this result is based on the hatred or threats; however, it is noteworthy to state that the superior image of the opposite party can be negatively influenced by voters in political communication. These results imply that the party spokesperson’s selection and training should be determined by the reaction of voters and this ultimately affects the party identification of electorates. 본 연구는 어떤 대변인이 적합한 지 그리고 그 이유는 무엇인지에 대해 탐구하였다. 정치커뮤니케이션에 있어서 대변인의 영향은 매우 크기 때문에 이들에 대한 연구는 의미 있는 작업이며 특히 대변인에 대한 유권자의 반응을 심리적 메커니즘 차원에서 분석해 보는 일 또한 학문적으로도 의미 있는 일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정당 대변인의 경우 서민적인 이력을 가진 대변인이 있는가 하면 화려한 경력을 바탕으로 한 대변인도 있어온 것이 사실이다. 그래서 유권자는 과연 어떤 이미지의 대변인을 선호하는 지와 대변인의 성별과 유권자의 성별에 따른 호감도의 차이와 원인을 규명하고 나아가 지지정당과 그 정당에 속한 대변인의 성별과 호감도 차이에 따른 유권자의 평가를 연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실험 1에서 유권자는 탁월한 동성 대변인보다 평범한 동성 대변인을 더 선호하였고, 탁월한 이성 대변인을 평범한 이성 대변인보다 더 선호하는 비대칭적인 결과를 보여주었다. 이는 동성에 대하여 사회적 비교와 자아평가라는 인지적 과정을 통해 일종의 열등감 내지는 좌절감을 느끼는 것으로 파악된다. 실험 2에서 유권자는 자신이 지지하는 정당에 속한 대변인은 탁월한 성취를 할수록 높게 평가하지만, 자신이 지지하지 않는 정당에 속한 대변인은 탁월한 성공인 일 경우 오히려 평범한 이미지보다 더 낮은 평가를 하였다. 이 결과가 증오에서 기인하는지 아니면 위협에서 기인하는지는 분명치 않지만, 반대 정당의 경우 탁월한 이미지는 오히려 정치 커뮤니케이션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은 주목할 만하다. 이런 결과를 바탕으로 정당대변인의 선정과 훈련에 있어 유권자의 반응에 유념하여 결정하여야 하며 이는 결국 유권자의 정당지지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여성 대변실금에 대한 연구 - 분만력, 분만방법을 중심으로 -

        윤혜원(Hae Won Yoon),배철성(Cheol Seong Bae) 대한산부인과학회 199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2 No.12

        목적: 대변실금이란 가스 또는 대변의 불수의적인 배출을 말하며 질식분만은 대변실금을 일으키는 가장 중요한 원인이다. 본 연구는 분만력 및 분만 방법에 따른 대변실금의 빈도를 조사, 분석함으로써 산과의로 하여금 분만 방법의 선택에 신중을 기함으로써 이의 예방 및 개선을 도모하고자 시행되었다. 연구방법: 1996년 1월부터 1998년 12월까지 동국대학교 포항병원 산부인과에 입원, 분만한 산모 213명 및 분만 경험이 없는 외래를 방문한 환자 40명을 대상으로 대변실금의 빈도를 조사하였다. 분만 경험이 있었던 군은 첫 질식분만군, 2회 이상의 질식분만군, 첫 제왕절개술만으로 분만한 군, 첫 질식분만후 제왕절개술로 분만한 군으로 나누어 빈도를 조사하였다. 대변실금의 정도는 가스가 힘없이 슬슬 나오는지, 가스를 참을 수 없고 대변이 속옷에 가끔 뭍는지, 변의를 느끼면 참을 수 없는지, 변이 늘 속옷에 뭍는지 등으로 나누어 질문하였다. 또한 대변실금을 호소하는 경우 산과적 합병증을 분석하였다. 결과: 대변실금 빈도는 분만 경험이 없는 경우보다 분만 경험이 있는 경우 현저히 증가하였으며(P<0.05), 첫 질식분만한 군(6.8%, 3/44)과 첫 제왕절개술만으로 분만한 경우(2.1%, 1/48)보다 2회 이상 질식분만한 군(11.7%, 9/77)과 첫 질식분만후 제왕절개술로 분만한 군(18.1%, 8/44)에서 유의성 있게 증가함이 밝혀졌다(P<0.05). 대변실금을 호소하는 경우 산과적 합병증으로는 분만 2기의 연장, 항문괄약근의 파열, 흡입분만, 거대아 등으로 나타났다. 결론: 대변실금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난산의 예방이 중요하며 첫 질식분만후 또는 첫 질식분만후 제왕절개술로 분만한 후 대변실금을 호소하는 경우에는 다음 분만시 분만 방법이 신중히 고려되어야 한다. Objectives: To evaluate the effect of parity & delivery method on female fecal incontinence. Method: Based on 213 cases of 4 different delivery method and 40 cases of one non-delivery group, a retrospective analysis of the prevalence of female fecal incontinence, between January 1996 and December 1998, was done. With delivery mode, 4 different groups were: first vaginal delivery group , two or more vaginal deliveries group, first cesarean section group, and first vaginal delivery followed by cesarean section group. All subjects were examined by questionaire or phone about the experience of fecal incontinence after delivery. In cases of fecal incontinence , we reviewed the obstetric complications with medical records. Result: There was no fecal incontinence in the non-delivery group. The incidence of fecal incontinence in the two or more vaginal delivery group(11.7%, 9/77) and the first vaginal delivery followed by cesarean section group(18.1%, 8/44) was higher than the first vaginal delivery group(6.8%, 3/44), and the first cesarean section group(2.1%, 1/48)(P<0.05). The obstetric complications in fecal incontinence cases were: a prolonged second stage, anal sphincter laceration, vacuum extraction, a large baby etc. Conclusion: Fecal incontinence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number of vaginal deliveries and obstetric complications during delivery. Fecal incontinence after the first vaginal delivery or vaginal delivery followed by cesarean section are very important factors in choosing the next delivery method.

      • KCI등재

        청와대 대변인실의 소통 방식에 대한 연구 : 주요국 정부 대변인 제도에 대한 비교 분석을 중심으로

        심흥식,이영희,박현아,남인용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201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Vol.0 No.48

        본 연구는 주요 국가 정부의 대변인 제도와 대언론 및 대국민 소통 방식을 분석하고, 홍보 및 미디어 전문가들의 의견을 추가적으로 청취함으로서 청와대 대변인실의 운영체계가 채택해야할 방식과 갖춰야할 요소를 찾아보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본 연구에서 조사한 미국, 영국, 독일, 프랑스, 일본은 대변인의 전통적인 언론 브리핑 제도를 유지한 채 뉴미디어를 활용한 대국민 직접 소통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었다. 해외 주요국은 정부 홈페이지에 게시된 소식이나 뉴스를 누구나 손쉽게 SNS로 확산시킬 수 있도록 링크메뉴를 적극적으로 제공하고 있었으며, 대변인 브리핑을 포함한 실시간 라이브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국가(미국, 독일)도 있었다. 그런데 뉴미디어를 통한 대국민 소통 시스템을 도입하고 있는 주요 국가들은 국민과의 소통 못지않게 언론과의 소통도 중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주요국의 정부는 대국민 소통이 가능한 다양한 방식을 모두 활용하면서도 정례브리핑을 소홀히 하지 않는 등 기존 언론과의 소통도 변함없이 유지해나가는 모습을 보였다. 국민과 언론이라는 소통의 두 축을 만족시켜야하므로 대변인실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지고 커졌다고 할 것이다. 또한 전문가 인터뷰 결과, 홍보 및 미디어 전문가가 제시한 청와대 대변인 제도 개선 방안은 크게 네 가지로 나뉘어졌다. 첫째는 보다 큰 틀에서의 국민소통 제도의 개선이다. 둘째는 소통 확대를 위한 대변인 제도의 시스템 변화이며, 셋째는 대변인 개인의 역량 강화, 넷째는 미디어를 활용한 소통방식의 다양화로 나타났다. This study seeks to find out how Cheong Wa Dae spokesperson 's office should be operated and what it be equipped with by analyzing the spokesperson system of major foreign governments and interviewing media exper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US, UK, Germany, France, and Japan maintain the traditional press briefing system of the spokesperson, engaging in direct communication with the people. Major foreign governments provide link menus to the news posted on government websites in order to make it easy to share on SNS, and there were a few governments (USA, Germany) that provide real-time live broadcasting service including spokesperson briefing. The major foreign governments that have new media device for communicating with the public are taking a good care of communication with the press as well. In other words, the major foreign governments adopt diverse methods to communicate with the public, but they firmly maintain the regular briefing to press. The role of the spokesperson has become more important and bigger because it has to satisfy both the public and the press. As a result of interviewing media experts, there are suggested four ways to improve the Cheong Wa Dae spokesperson system. The first is the improvement of the national communication system in a larger framework. The second is the systemic change of the spokesperson system to enhance communication. Third, the spokesperson’s individual capacity should be strengthened. Fourth, the communication methods should be diversified.

      • KCI등재

        정당 대변인의 성별과 이미지가 유권자의 대변인 평가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비교이론을 중심으로

        박재훈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201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Vol.25 No.-

        본 연구는 어떤 대변인이 적합한 지 그리고 그 이유는 무엇인지에 대해 탐구하였다. 정치커뮤니케이션에 있어서 대변인의 영향은 매우 크기 때문에 이들에 대한 연구는 의미 있는 작업이며 특히 대변인에 대한 유권자의 반응을 심리적 메커니즘 차원에서 분석해 보는 일 또한 학문적으로도 의미 있는 일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정당 대변인의 경우 서민적인 이력을 가진 대변인이 있는가 하면 화려한 경력을 바탕으로 한 대변인도 있어온 것이 사실이다. 그래서 유권자는 과연 어떤 이미지의 대변인을 선호하는 지와 대변인의 성별과 유권자의 성별에 따른 호감도의 차이와 원인을 규명하고 나아가 지지정당과 그 정당에 속한 대변인의 성별과 호감도 차이에 따른 유권자의 평가를 연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실험 1에서 유권자는 탁월한 동성 대변인보다 평범한 동성 대변인을 더 선호하였고, 탁월한 이성 대변인을 평범한 이성 대변인보다 더 선호하는 비대칭적인 결과를 보여주었다. 이는 동성에 대하여 사회적 비교와 자아평가라는 인지적 과정을 통해 일종의 열등감 내지는 좌절감을 느끼는 것으로 파악된다. 실험 2에서 유권자는 자신이 지지하는 정당에 속한 대변인은 탁월한 성취를 할수록 높게 평가하지만, 자신이 지지하지 않는 정당에 속한 대변인은 탁월한 성공인 일 경우 오히려 평범한 이미지보다 더 낮은 평가를 하였다. 이 결과가 증오에서 기인하는지 아니면 위협에서 기인하는지는 분명치 않지만, 반대 정당의 경우 탁월한 이미지는 오히려 정치 커뮤니케이션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은 주목할 만하다. 이런 결과를 바탕으로 정당대변인의 선정과 훈련에 있어 유권자의 반응에 유념하여 결정하여야 하며 이는 결국 유권자의 정당지지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is the research on what kind of spokesperson is appropriate and the reason behind. The impact of a spokesperson on political communication is enormous, therefore, the study on these people is very significant and especially analyzing the reaction of a spokesperson in terms of psychological mechanisms can also be academically meaningful thing. There has been a spokesperson with the common history and a spokesperson based on the brilliant career for the party spokesperson. So, this study investigates what voters prefer on image of spokesperson and the cause of preferences on spokesperson and voter’s gender difference. Moreover, this study is aimed to assess the voter’s likability on party identification and its spokesperson’s gender differences. In experiment 1, voters prefer the common same-sex spokesperson than the outstanding same-sex and prefer the outstanding opposite-sex spokesperson than the common opposite-sex. This is believed to be a kind of inferiority or frustration complex against same-sex through social comparison and self-assessment in cognitive process. In experiment 2, voters highly evaluate spokesperson with outstanding achievement for the party they’re supporting, but they don’t endorse spokesperson with outstanding achievement than the common spokesperson for the party they aren't supporting. It is not clear to state that this result is based on the hatred or threats; however, it is noteworthy to state that the superior image of the opposite party can be negatively influenced by voters in political communication. These results imply that the party spokesperson’s selection and training should be determined by the reaction of voters and this ultimately affects the party identification of electorates.

      • KCI등재

        부산 기장군 ‘대변(大邊)’ 지명 어원 연구

        이근열 한국지명학회 2018 지명학 Vol.28 No.-

        This study aims to reveal the etymology of ‘Deabyeon’ in Busan Gijang-gun.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Deabyeon-po’ is known to have been made by reducing the name of ‘Daedonggobyeonpo’, meaning ‘port near Daedong-go’. However, although the existence of Daedong-go is confirmed, it is not a proper origin, depending on the nature of its name. Because ‘Daedong-go’ is a landmark, it should reflect ‘Go[庫]’ or ‘Chang[倉]’ in the place name. Also, since ‘Muji-po’ can be interpreted as a ‘broad port’, it could be related to Deabyeon's ‘wide beach’. However, ‘muji-po’ is not a place called ‘Daebyeon-po’ because it is a place called ‘Yeonhwa-ri’ and ‘Daebyeon-po’. The place name ‘Deabyeon’ has to do with the origin of the designation in that there has been ‘Deabyeonso’ in the past. The ‘Deabyeonso’, which was installed on the edge of the historic center, originally means ‘prepare for the incident’. However, in later times, the Chinese character of ‘Deabyeonso(待變所)’ was replaced with ‘Deabyeonso(大變所)’. In this respect, it is possible that the marking of the original place name ‘Deabyeon[待變]’ changes to ‘Deabyeon(大變)’. In addition, historically, the ‘Bibyeonsa(備邊司)’, which means 'an institution to prepare for the marginalization,' is changed into ‘Bibyeonsa(備變司)’, which is an institution to prepare for emergencies. This fact means that the Chinese character of ‘byeon(邊)’ and ‘byeon(變)’ can be changed and marked. In this respect, ‘Deabyeon(大邊)’ is a place where the Chinese characters are changed in ‘Deabyeon(待變)’. This change of Chinese character notation can be seen not only in ‘Deabyeon’ of Gijang but also in ‘Jubyeon’ of Gyeongbuk. ‘Jukbyeon’ does not denote ‘dae(待)’ in ‘Daebyeon(待變)’ as ‘dae(大)’ but as ‘dae[竹]’. In the later, This ‘Dae[竹]’ interpretation of ‘writing of chahun[借訓]’ is changed to ‘Juk’. 본 연구는 부산 기장군에 있는 ‘대변포’의 어원을 밝히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변포’는 ‘대동고 주변의 포구’라는 뜻의 ‘대동고변포’를 줄어 만든 지명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대동고’의 존재는 확인되고 있지만 지명의 명명 특성에 따라 이는 올바른 어원이 아니다. 왜냐 하면 ‘대동고’라는 지물(地物)은 지역의 랜드마크에 해당하는 것이기 때문에 해당 지명에 ‘고(庫)’나 ‘창(倉)’의 속성을 반영해야 한다는 점이다. 또, ‘무지포’가 ‘넓은 포구’라는 뜻으로 해석될 수 있기 때문에 ‘대변’의 ‘넓은 해변’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무지포’는 ‘연화리’ 일대와 ‘대변포’를 합하여 부르는 지명으로 ‘대변포’만을 한정하여 부르는 지명이 아니다. ‘대변’이라는 지명은 과거에 이곳에 ‘대변소’가 존재했다는 점에서 이것이 지명의 유래일 가능성이 높다. 역사적으로 변방에 설치한 ‘대변소(待變所)’는 원래 ‘변란을 대비한다’는 뜻이다. 그러나 후대에 ‘대변소(待變所)’의 한자를 ‘대변소(大變所)’로 바꾸어 표기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점에서 원래 지명 ‘대변(待變)’은 ‘대변(大變)’으로 표기가 변화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역사적으로 ‘변방을 대비하는 기관’이라는 뜻의 ‘비변사(備邊司)’가 ‘비상시에 대비하는 기관’이라는 ‘비변사(備變司)’로 바뀐다. 이러한 사실은 역사적으로 ‘변(邊)’과 ‘변(變)’이 바뀌어 쓰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점에서 ‘대변(大邊)’은 ‘대변(待變)’에서 한자 표기가 바뀐 지명일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한자 표기의 변화는 기장의 ‘대변’뿐만 아니라 경북의 ‘죽변(竹邊)’에서도 일어날 수 있다. ‘죽변’은 ‘대변(待變)’에서 ‘대(大)’로 표기하지 않고 ‘대[竹]’으로 표기한 것을 후대에 ‘차훈 표기’로 해석한 지명이다. 이러한 지명 변화는 본래의 지명 명명에 관련된 ‘대변소’가 사라지고 난 후 지명과 지물의 관련성이 약해져 원래의 한자를 동일한 음의 쉬운 한자로 바꾸어 표기한 것에 원인이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연구논문) 근대 대변별신굿의 변천사-일제강점기 및 새마을운동의 영향관계를 중심으로-

        문혜진 ( Hea Jin Mun ) 부산광역시 시사편찬위원회 2015 항도부산 Vol.31 No.-

        이 글의 목적은 기장별신굿 중 가장 규모가 큰 대변별신굿을 그 연구대상으로 일제강점기부터 새마을운동을 거쳐 현재까지의 다변성을 내포한 대변이라는 장소에서 별신굿의 제의 공간·전승주체·제의에 있어서의 변화양상을 고찰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으로는 기존의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전승주체의 경험의 다양성을 파악하기 위해 시기별 별신굿을 경험한 주민 인터뷰를 실시하였으며, 제의 공간 및 제의의 변화양상을 파악하기 위해 2013년 7일간의 대변별신굿을 참여 관찰하였다. 연구결과를 정리해보면, 첫째 일제강점기의 대변별신굿은 지소에 신고를 하면 일제의 별 제재 없이 연행할 수 있었으며, 3년에 한번씩 마을에서 제비추렴을 하여 이장단의 주최로 제를 올렸다. 제관선정은 무당이나 마을 인근의 점바치(점쟁이)가 대를 잡아 선정했다. 이렇게 선정된 제주는 별신굿을 지내기 전에 굿장문이라는 치성을 드리고 굿이 끝날 때까지 아무리 추워도 냇가에서 목욕재계를 했다. 그 당시 대변의 마을제당은 대변에 두 곳(현재의 할매당,주사당), 무양리에 한 곳(무양당산), 연화리에 한 곳(현재의 할배당)이 있었다. 둘째, 해방 후 새마을운동기에 대변별신굿은‘미신’이라는 시대적 풍조에 의해 1970년대 중반부터 1980년대 후반까지 단절되었지만, 별신굿에 비해 적은 경비로 마을수호신을 제사지내는 1월제만·6월제만·10월제만을 지냈다. 즉, 반농반어로 생계를 이어가는 대변주민들은 마을굿이 ‘미신’이라고 생각했지만, 농사와 관련된 산신이나 조업과 관련된 용신에 대한 신앙심을 여전히 간직하고 있었으며, 이는 1976년의 산신당과 1982년 용신당의 건립으로 이어졌다. 특히 1970년대 이후 별신굿의 재원인 어업 자원에 대한 소유권이 어촌계로 넘어가면서 별신굿에서 풍어제의 성격이 강화되고 풍농과 관련된 사설과 축원이 감소되고 산신이 풍어신적 성격으로 변화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마지막으로 1980년대 이후 대변별신굿은 연이은 인명사고로 별신에 대한 신앙심에서 별신굿이 재개되었으며, 동해안별신굿이 1985년 2월 1일에 중요무형문화재 제82호로 지정되어 1996년부터 기장군에서 문화재지원금이 지급되자 그 지원금이 나오는 해에 맞추어 별신굿의 주기가 늘어났다. 반면 지원금이 나오지 않는 제만들은 소멸·축소되었으며, 근대화의 개발에 맞추어 마을제당들이 소실되어 가는 경향을 나타냈다. 그리고 금기에 대한 부담으로 마을제관을 꺼려하여 기존의 대를 잡아 선정하는 기준에서 마을회의에서 결정하는 것으로 바뀌었으며, 과학·의료·위생의 발달에 의해 세미제(우물제)와 여제(전염병 방지제)가 자취를 감추게 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nsider how Daebyun Byeolsingut, the biggest village festival in Gijang, has been changed from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 rule to today, especially in the aspect of ritual place, ritual performancers and ritual itself. Research methods of this paper were based on previous studies of Byeolsingut, while having an interview with ritual performancers and participants of Daebyun Byeolsingut in order to identify how residents in Daebyun has experienced Byeolsingut and participating and observing Daebyun Byeolsingut in 2013 in oder to identify how ritual places and ritual have been changed. The results of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three points. First, Daebyun Byeolsingut in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 rule was permitted with notification to the police and was performed every three years by heads of a village. The masters of religious rite were selected by the direction of bamboo that a fortune teller near a village grabbed. Ones selected like this offered a devout prayer, so-called Gutgangmun, before opening Byeolsingut and should bathe one``s body and purify oneself in a stream until the closing day of Byeolsingut. At that time, there were two village shrines in Daebyun and one village shrine in both Muyang-ri and Yeonwha-ri. Second, Daebyun Byeolsingut in the period of Saemaul Movement was halted from the mid of 1970s to the end of 1980s by tendency toward breaking of superstition. Instead, people in Daebyun performed the community rites, Jeman, which costed cheaper than Byeolsingut, in January, June and October. In other words, residents in Daebyun, who were employed in subsistence farming and fishing, considered the village gut as ‘superstition’ but still believed in mountain god of agriculture and sea god of fishing; it made people build the shrine for mountain god in 1976 and the shrine for sea god in 1982. Especially, the characteristics of ritual for a big catch of fish in Byeolsingut strengthened because the ownership of fishery resource was transferred to fishing village fraternities. For example, praying related to good harvest was reduced and mountain spirit revealed character of sea spirit. Finally, Daebyun Byeolsingut has been performed again since 1980s because of an iliad of a drowning accident. 1 February 1985, Donghaean Byeolsingut designated as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no. 82, as a result, cultural properties aid was offered; villages, which performed Byeolsingut, became to hold it only at the year that cultural properties aid was offered. It caused increasing the cycle of Byeolsingut performance. On the other hand, the community rites, Jeman, without cultural properties aid decreased or disappeared, and village shrines also showed tendency of disappearance. In addition, the method of selection of masters of religious rite changed from the house that bamboo pointed to panchayat because taboo of masters of religious rite was burdensome.

      • KCI등재후보

        장의 급성 이식편대숙주병에서 대변미생물무리이식을 시행한 2예

        연상훈 ( Sang Hoon Yeon ),이명원 ( Myung-won Lee ),조덕연 ( Deog-Yeon Jo ),허부연 ( Bu-Yeon Heo ),권재열 ( Jaeyul Kwon ),송익찬 ( Ik-Chan Song ) 대한내과학회 2021 대한내과학회지 Vol.96 No.4

        급성 이식편대숙주병은 동종 조혈모세포이식의 비-재발(non-relapse) 사망률과 연관되어 있는 중요한 합병증 중 하나이다. 대변미생물무리이식을 통해 장의 미생물무리를 복원함으로써 장의 이식편대숙주병을 치료하려는 노력이 시도되고 있다. 저자들은 장의 스테로이드 불응 이식편대숙주병이 있는 환자 2명에게 대변미생물무리이식을 시행한 경험을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첫 번째 증례는 43세 남자로 형제로부터 동종 조혈모세포이식을 받았고, 두 번째는 70세 여자로 아들로부터 사람백혈구항원 반일치 조혈모세포이식을 받았다. 두 환자는 각각 이식 후 7주 및 4주째에 급성 이식편대숙주병이 장에 발생하였다. 두 환자 모두에서 조혈모세포이식의 공여자로부터 대변을 제공받아 대변미생물무리이식을 시행하였다. 이후, 두 환자 모두에서 임상적인 증상의 호전을 보였으며, 첫 번째 환자는 완전 반응을, 두 번째 환자에서는 부분 반응을 보였다. RNA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대변미생물무리이식 전과 후의 대변을 분석하였을 때 대변 미생물무리이식 후 미생물무리의 다양성이 회복되는 것이 관찰되었다. 이로써 동종 조혈모세포이식 후에 발생하는 장의 스테로이드 불응-급성 이식편대숙주병의 치료 방법으로 대변미생물무리이식을 적극적으로 고려해야 하겠다. Restoring the microbiota via fecal microbiota transplantation (FMT) can be an effective treatment for steroid-refractory acute graft-versus-host disease (GVHD) of the gut. Here, we report two adult patients who underwent FMT to treat steroid-refractory acute GVHD of the gut. The first patient was a 43-year-old man who underwent allogeneic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HSCT) with cells from a matched sibling donor. The second patient was a 70-year-old woman who underwent haplo-identical HSCT with cells from her son. Gut GVHD developed at 7 and 4 weeks after HSCT, respectively. After undergoing FMT, the clinical symptoms improved; the first patient had a complete response and the second patient had a partial response. Microbial analyses using RNA gene sequencing showed that a diverse fecal microbiome was recovered by 4 weeks after FMT. FMT should be considered an effective therapeutic option for managing steroid-refractory acute GVHD of the gut. (Korean J Med 2021;96:358-362)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