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어머니의 놀이성과 유아의 성 및 놀이성에 따른 유아의 사회적 능력

        우수경(Woo, Soo-Kyeon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3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8 No.4

        본 연구는 어머니의 놀이성과 유아의 성 및 놀이성에 따른 유아의 사회적 능력의 차이와 독립변인들 간의 상호작용 효과에 따른 사회적 능력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충북 소재 3개 유치원의 만 5세 유아 249명 중 유아와 어머니의 놀이성이 상이나 하집단에 속하는 유아 165명과 그들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하여, 유아의 놀이성과 사회적 능력, 어머니의 놀이성 검사를 하고, 어머니의 놀이성과 유아의 성 및 놀이성에 따른 유아의 사회적 능력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삼원변량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유아의 사회적 능력은 성과 놀이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여아가 남아보다 사회적 능력이 높고, 놀이성이 높은 유아들이 놀이성이 낮은 유아보다 사회적 능력이 높았다. 그리고 유아의 놀이성이 낮은 경우 어머니의 놀이성이 낮은 집단 유아의 사회적 능력이 높은 반면, 유아의 놀이성이 높은 경우 어머니의 놀이성이 높은 집단 유아의 사회적 능력이 높았다. 또한 남아는 놀이성이 낮은 경우 어머니의 놀이성이 높은 집단 유아의 사회적 능력이 높은 반면, 여아는 놀이성이 높은 경우 어머니의 놀이성이 높은 집단 유아의 사회적 능력이 높았다. This study investigates how young children"s social competence differs according to their sex, playfulness, and their mother"s playfulness. Measures of these three factors were administered to 165 five-year-olds from three kindergartens in Chungbuk.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a 3-way ANOVA to detect the differences in young children"s social competence according to each factor. Results revealed that young children"s social competence differed according to sex and playfulness but that mother"s playfulness had no effect. The study also found interaction effects between young children"s playfulness and mother"s playfulness and among young children"s sex, playfulness, and mother"s playfulness.

      • KCI등재

        유아 및 어머니의 놀이성이 유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김영희(Kim, Young-Hee)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13 교육과학연구 Vol.44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와 어머니의 놀이성이 유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만 5세 유아 261명과 그들의 어머니였다. 성인 놀이성 척도(Playfulness Scale for Adults), 유아 놀이성 척도(Children"s Playfulness Scale), 유아 정서지능 평정척도(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Scale)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를 Pearson의 상관분석과 단계적 중다회귀 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정서지능은 유아 및 어머니의 놀이성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즉 유아의 놀이성이 높을수록 그리고 어머니의 놀이성이 높을수록, 유아는 높은 정서지능을 나타냈다. 둘째, 유아와 어머니의 놀이성은 유아의 정서지능을 설명하는 유의한 예측변인이었으며, 유아의 놀이성이 어머니의 놀이성보다 더 큰 설명력을 보였다. 이를 통해 유아와 어머니의 놀이성은 유아의 정서지능에 영향을 미치며, 두 변인 중 유아의 놀이성이 더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유아의 심리사회적 적응과 건강에 중요한 정서지능을 높이기 위해 환경 변인인 어머니의 놀이성과 유아 개인의 내적 변인인 놀이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고려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children"s and mothers" playfulness on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The subjects were five-year-old children enrolled in kindergarten and child-care centers, and their mothers. Results show that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children"s and mothers" playfulness and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That is, the more playful the children and their mothers were, the higher the children"s level of emotional intelligence. Also, playfulness of children and mothers were significant variables in predicting the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and children"s playfulness was a more meaningful variable than mothers" playfuln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e need to consider methods to increase a child"s playfulness, an individual variable, and a mother"s playfulness, an environmental variable, that enhance the child"s emotional intelligence.

      • KCI등재후보

        유아의 놀이성과 리더십과의 관계

        이연실 ( Yon Sil Lee ) 한국놀이치료학회 2010 한국놀이치료학회지(놀이치료연구) Vol.13 No.1

        본 연구는 유아들의 놀이성과 리더십과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유아들의 놀이성이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유아들의 놀이성 군(群)이 어떻게 분류되는지 알아보며, 놀이성 군(群)에 따라 리더십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임의 표집한 9개의 유아교육기관에 재원 중인 만 4세-6세 유아 645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놀이성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Barnett(1990)이 제작한 아동의 놀이성 척도(Children`s Playfulness Scale)를 김영희(1995)가 번안하여 우리나라 문화에 맞게 타당화 한 것을 사용하였다. 유아의 리더십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로는 이채호, 최인수(2008)가 개발한 `교사용 유아 리더십 평가척도`를 사용하였다. 연구 대상의 사회 인구학적 배경의 일반적인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구하였고, 측정도구의 신뢰도 검증을 위해 신뢰도 계수 Cronbach α를 구하였다. 유아의 놀이성의 각 하위요인들이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유아들의 놀이성 군을 알아보기 위하여 군집분석을 실시하였고, 군(群)의 특성과 분포를 살펴보기 위하여 평균과 표준편차, 빈도와 백분율을 구하였다. 군집분석으로부터 나온 놀이성 군(群)에 따라 교사가 평정한 유아의 리더십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고, 사후검증으로는 Duncan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놀이성이 리더십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본 결과, 주도적 리더십에 영향을 미치는 놀이성 하위변인은 사회적 자발성, 인지적 자발성이었다. 둘째, 민감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신체적 자발성과, 사회적 자발성과 즐거움의 표현이었다. 셋째, 사교적 리더십과 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놀이성 하위변인은 사회적 자발성, 인지적 자발성 그리고 즐거움의 표현이었다. 넷째, 본 연구에서 확인된 유아의 놀이성 군(群)은 `소극참여 놀이군`이 가장 많았고, `주도활달 놀이군`이 많았으며, 주저관망 놀이군이 가장 낮은 수를 차지하였다. 다섯째, 유아의 리더십 하위 변인인주도성, 사교성, 민감성, 몰입 모두는 `주도활달 놀이군`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고, `소극참여 놀이군`, 그리고 `주저관망 놀이군` 순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reschool children`s playfulness and their leadership. Firstly, we investigated how the playfulness influences on the leadership. Secondly, we studied how the type of preschool children`s playfulness is classified. Finally, according to the type of playfulness, we also observed a potential difference in the leadership.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645 children who are 4 to 6 years old from nine children`s houses and kindergartens. In order to measure a children`s playfulness, we used Barnett`s children playfulness scale(1990) which had been modified by Kim young hee(1995). We also used the preschool children`s leadership scale for teachers proposed by Choi in soo and Lee chae ho in order to measure the preschool children`s leadership. The items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used to analyze subjects` demographic quality. Cronbach a for reliability verification was conducted and we used the multiregression analysis to examine how subfactor influences on the leadership. Cluster analysis was used to analyze types of playfulness.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and the standard deviation were also conducted to observe a distinction and distribution of the children`s playfulness. One-way ANOVA was used to examine the difference of the children`s leadership rated by teachers. Lastly, Duncan verification was used as well. Data analysis above revealed following results: Firstly, we found that subfactor such as social spontaneity and cognitive spontaneity influences on the leadership. Secondly, physical spontaneity, social spontaneity, and the expression of joy affect a sensitiveness. Thirdly, social spontaneity, cognitive spontaneity and the expression of joy also influence the social leadership and immersion. Fourthly,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study, we found that `Passive-participation playfulness type`, `Initiative-active playfulness type`, and `Hesitative-onlooking playfulness type` which are listed in the order of high frequency. Finally, we recognized that the importance children`s leadership such as initiative, sociability, sensitiveness, immersion in `Initiative-active playfulness type`, fallowed by `Passive-participation playfulness type` and `Hesitative-onlooking playfulness type` which are listed in the order of high frequency.

      • KCI등재

        아버지의 놀이성 및 양육행동이 유아의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송순옥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4

        The Effect of Fathers’ Playfulness and Parenting Behaviorson Playfulness of Young ChildrenSoonock Song Abstract: The present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young children’ playfulness According to fathers‘ playfulness and parenting behaviors. A questionnaire survey concerning fathers’ playfulness, parenting behaviors and young children’ playfulness was conducted on 200 children attend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in J city were selected Pearson’s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with the collected data using SPSS 21.0 software. The data analysis showed that first, fathers’ playfulness and children’ playfulness had an overall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and fathers’ playfulness was a significant predictive factor for children’ playfulness. Second, fathers’ parenting behaviors and children’ playfulness had an overall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and fathers’ parenting behaviors was a significant predictive factor for children’ playfulness. These results suggest that fathers’ playfulness and parenting behaviors is an important factor for children’ playfulness. Key Words: Father, Playfulness, Parenting Behaviors, Children, Playfulness 아버지의 놀이성 및 양육행동이 유아의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송 순 옥** 연구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아버지의 놀이성 및 양육행동이 유아의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Pearson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연구 내용: 연구대상은 J시의 유아교육기관에 다니고 있는 유아 200명과 그의 아버지를 선정하였으며, 아버지의 놀이성 및 양육행동과 유아의 놀이성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결론 및 제언: 첫째, 아버지의 놀이성과 유아의 놀이성은 전체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아버지의 놀이성은 유아의 놀이성을 예측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버지의 양육행동과 유아의 놀이성은 전체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아버지의 양육행동이 유아의 놀이성을 예측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아버지의 놀이성 및 양육행동이 유아의 놀이성에 중요한 예측 변인임을 시사한다. 핵심어: 아버지, 놀이성, 양육행동, 유아, 양육행동 □ 접수일: 2022년 7월 10일, 수정일: 2022년 8월 1일, 게재확정일: 2022년 8월 20일* 이 논문은 2022년 원광보건대학교 교내연구비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 원광보건대학교 유아교육과 조교수(Professor, Wonkwang Health Science Univ., Email: ock3441@hanmail.net)

      • KCI등재

        부모가 인식한 유아의 놀이성과 교사가 인식한 유아의 놀이성이 유아의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백미열 한국코칭학회 2020 코칭연구 Vol.13 No.6

        본 연구는 부모가 인식한 유아의 놀이성과 교사가 인식한 유아의 놀이성이 유아의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경기도와 충청도 소재한 유치원 3곳에 재원중인 만 3,4,5세 부모 296명과 담임교사 17명을 선정하여 부모가 인식하는 유아의 놀이성, 교사가 인식하는 유아의 놀이성, 유아의 리더십 검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프로그램을 통해 t-검증, 상관분석, 다중공선성 및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의 성별에 따라 부모가 인식한 유아의 놀이성과 교사가 인식한 유아의 놀이성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유아의 성별에 따른 유아 리더십의 하위요인 중 친사회적 능력, 주도성, 창의성, 의사결 정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부모가 인식한 유아의 놀이성과 교사가 인식한 유아의 놀이성 및 유아의 리더십 간에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셋째, 유아의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부모가 인식한 유아의 놀이성 하위요인 중 주도적 참여, 인지적 융통성, 즐거움의 표현, 자발적 몰입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교사가 인식한 유아의 놀이성 하위요인 중 신체적 자발성, 사회적 자발성, 인지적 자발성 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부모와 교사는 유아의 놀이성을 인식하고 유아가 놀이에 즐겁게 참여하여 또래 집단 속에서 유능한 리더로 성장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he playability of children perceived by parents and the playability of children recognized by teachers on the leadership of children. The participants were 296 parents with children aged 3, 4 and 5 and 17 homeroom teachers enrolled in three kindergartens located in Gyeonggi-do and Chungcheong-do. The study tested the playability of parents, the playability of teachers, and the leadership of children. The collected data were subjected to a t-test, correlation analysis, multicollinearity and regression analysis through SPSS 23.0.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playability of infants perceived by parents and the playability of infants perceived by teachers according to the gender of infants. Howev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subfactor of infant leadership according to infants' gender, pro-social ability, initiative, and creativity. There was also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decision making. Second, a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playability of the child perceived by the parents, the playability of the child recognized by the teacher, and the leadership of the child. Third, in terms of the influence on children's leadership, children's play perceived by the teacher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leading participation, cognitive flexibility, expression of pleasure, and voluntary commitment among the subfactor of children's playability recognized by the parents. Among the gender subfacto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hysical spontaneity, social spontaneity, and cognitive spontane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parents and teachers to recognize children's playability, and for children to happily participate in play and grow into competent leaders in peer groups.

      • KCI등재

        아버지의 놀이성, 놀이참여 태도와 유아의 놀이성 관계에서아버지가 지각한 일-가정 갈등의 조절된 매개효과

        손애리,오지현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6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s of Work-Family Conflict Perceived by Father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athers’Playfulness, Play Participation Attitude, and Children’s PlayfulnessAeree Son & Jihyun Oh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examine whether the indirect effect of fathers’ play participation attitude between fathers’ playfulness and children’s playfulness differs according to the level of work-family conflict perceived by father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urvey of 304 fathers with children aged 3 to 5 years responded to questionnaires regarding their play participation attitude, work-family conflict, playfulness and their children’s playfulness. The data were analyzed for the mediating effect and moderated mediating effect using model 4 and 7 of the SPSS PROCESS Macro. It checked the mediating effect of the fathers’ play participation attitud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athers’ playfulness and children’s playfulness and confirme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verifying the indirect effect according to the level of work-family conflict perceived by fathers.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the fathers’ attitude to participate in play and work-family conflict. Key Words: Children’s Playfulness, Fathers’ Playfulness, Fathers’ Play Participation Attitude, Fathers’ Work-Family Conflict, Moderated Mediating Effect 아버지의 놀이성, 놀이참여 태도와 유아의 놀이성 관계에서아버지가 지각한 일-가정 갈등의 조절된 매개효과손 애 리*ㆍ오 지 현** 연구 목적: 본 연구는 아버지의 놀이성이 놀이참여태도를 매개로 하여 유아의 놀이성에 미치는 간접효과가 아버지가 지각한 일-가정 갈등 수준에 따라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유아의 놀이성을 예측하는 아버지 요인을 통합적으로 탐색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 본 연구는 만3-5세 자녀를 둔 304명의 아버지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Process Macro 모델 4, 7번을 활용하여 매개효과와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내용: 아버지의 놀이성과 유아 놀이성의 관계에서 아버지의 놀이참여 태도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 아버지가 지각한 일-가정 갈등 수준에 따른 간접효과를 검증하는 조절된 매개효과를 확인한다. 결론 및 제언: 아버지의 놀이성과 유아 놀이성의 관계에서 아버지의 놀이참여 태도의 매개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와 더불어 아버지가 지각한 일-가정 갈등 수준에 따른 조절된 매개지수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아버지의 놀이참여 태도와 일-가정 갈등의 중요성을 강조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핵심어: 유아 놀이성, 아버지 놀이성, 아버지의 놀이참여 태도, 아버지의 일-가정 갈등, 조절된 매개효과 □ 접수일: 2022년 11월 10일, 수정일: 2022년 12월 2일, 게재확정일: 2022년 12월 20일* 주저자, 강지희 심리상담센터 놀이치료사(First Author, Researcher, KJH Psychological Counseling Center, Email: anewday365@naver.com)** 교신저자, 조선대학교 상담심리학과 부교수(Corresponding Author, Professor, Chosun Univ., Email: ojh@chosun.ac.kr)

      • KCI등재

        어머니의 놀이성, 유아의 놀이성, 자기조절 능력과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간의 관계

        김수미,최진아 한국아동심리재활학회 2015 놀이치료연구 Vol.19 No.2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mother's playfulness, child's playfulness on social competence a mediated by self-regulation in child. Participants consisted of 281 child's mother and child's teachers. The mothers of all children completed the measures of 'Adult Playfulness Scale'. The teachers completed the measures of 'Children Playfulness Scale', 'Social Competence Rating Scale for Young Children', and 'Self-Regulation Scale for Young Childre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child's playfulness and self-regulation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child's social competence; however mother's playfulness was not correlated with child's social competence. Second, the results of th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mother's playfulness was not influenced child's social competence. Third, child's playfulness was influenced child's social competence. Forth, child's self-regulation was influenced child's social competence. Fifth, the results of th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child's playfulness was influenced child's social competence both directly and indirectly; child's playfulness had a direct effect on child's social competence and also had and indirect effect on mediated by self-regulat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self-regulation plays a crucial variable in the relationship of child's playfulness and child's social competence. 본 연구는 어머니의 놀이성, 유아의 놀이성, 자기조절력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 어머니의 놀이성, 유아의 놀이성이 사회적 유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유아의 자기조절력의 매개효과는 어떠한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만 3∼7세 유아 281명과 그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연구하였고, 유아변인은 교사에 의해 평정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놀이성, 유아의 놀이성, 자기조절력, 사회적 유능성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어머니의 놀이성은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과 유의한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유아의 놀이성, 자기조절력은 사회적 유능성과 유의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놀이성은 사회적 유능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의 놀이성은 사회적 유능성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놀이성 하위요인 중 사회적 자발성이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유아의 자기조절력은 사회적 유능성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유아의 놀이성은 자기조절력을 매개로 하여 사회적 유능성에 대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서 사회적 유능성에 있어서 유아의 놀이성과 자기조절력이 중요한 변인임으로 보여주었다. 본 연구결과는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의 증진을 위한 개입의 기초자료로서 의의가 있겠다.

      • KCI등재

        아동의 놀이성이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조절능력의 매개효과

        조미정,최태산 한국상담학회 2012 상담학연구 Vol.13 No.6

        In this study, we find out the path and direct-indirect effects toward the sub-variables of social competence from children’s playfulness and self-regulation. The analyzed data was obtained from the 682 people including 4,5,6th grades of elementary school living in Gwangju, South Korea. For rating scale, we used Children’s Playfulness Scale (Choi & Cho & Choi, 2008), Social Capability Scale (Han, 2005) reconstituted from Adolescent Social Competence Scale (Park, 1998) and Child Self-Regulation Scale (Huh, 2003). The data was path analyzed to identify the direct-indirect effects among variables. As a result, first, for sociability, all sub-variables of playfulness except the sense of humor have the indirect effects through the three sub-variables of self-regulation. Second, for interpersonal adjustment, the sense of humor has the direct effect. The emotional and independent playfulness have the indirect effects through the cognitive and motivational self-regulation. Third, for social participation, the sense of humor and pursuit of fun have only the direct effects. The extraordinariness and independent playfulness have the indirect effects through the cognitive and motivational self-regulation. Fourth, for leadership, the pursuit of fun have only the direct effects. the independent playfulness and extraordinariness have only the indirect effects. In contrast, the emotional and social playfulness have the direct-indirect effects at the same time. The social playfulness has the relatively higher overall effects. Fifth, for popularity, the emotional playfulness has the indirect effects through the cognitive and motivational self-regulation. The extraordinariness and social playfulness have the direct-indirect effects simultaneously. 본 연구는 아동의 놀이성 및 자기조절능력이 사회적 유능성의 하위변인에 미치는 경로와 직간접 효과를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밝혀보고자 하였다. 광주지역에 거주하는 초등학교 4, 5, 6학년 682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자료를 분석하였다. 측정도구는 최태산, 최명선, 조미정(2008)의 아동용 놀이성 측정도구와 박금옥(1998)이 개발한 청소년의 사회적 능력 질문지를 초등학생에 맞도록 재구성한 한미현(2005)의 사회적 유능성 척도, 허정경(2003)의 아동의 자기조절능력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변인들 간의 직간접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사교성에 대해, 유머감각을 제외한 모든 놀이성의 하위변인들은 자기조절능력 세 하위변인을 통해 간접효과를 나타내었다. 둘째, 대인적응성에 대해서는 유머감각은 직접효과를, 정서적 놀이성과 독자적 놀이성은 인지적 자기조절능력과 동기적 자기조절능력을 통한 간접효과만을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참여도에 대해서는 유머감각과 재미탐닉은 직접효과만을, 기발성과 독자적 놀이성은 인지적 자기조절능력과 동기적 자기조절능력만을 통한 간접효과를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주도성에 대해서는 재미탐닉은 직접효과만을, 독자적 놀이성과 기발성은 간접효과만을 지니는 반면에 정서적 놀이성과 사회적 놀이성은 직간접효과를 동시에 지니고 사회적 놀이성은 상대적으로 높은 총 효과를 나타내었다. 다섯째, 인기도에 대한 결과는 정서적 놀이성은 인지적 자기조절능력과 동기적 자기조절능력을 통해 간접 효과를 지니고 기발성과 사회적 놀이성은 직접효과와 간접효과를 동시에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어머니의 과보호가 유아 그릿에 미치는 영향과 유아 놀이성의 조절효과

        강희정,이지연 미래유아교육학회 2023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30 No.3~4

        본 연구는 어머니의 과보호가 유아 그릿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어머니의 과보호가 유아 그릿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완충(buffering effect)하는 요인으로 유아 놀이성의 조절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J지역 어린이집에 다니는 만 4-5세 유아의 어머니 218명을 최종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과보호, 유아 그릿 및 유아 놀이성에 대한 인식 수준을 살펴본 결과, 어머니의 과보호와 유아 그릿은 평균보다 조금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아 놀이성은 평균보다 매우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과보호, 유아 그릿 및 유아 놀이성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분석에서 전반적으로 어머니의 과보호와 유아 그릿, 유아 놀이성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적 상관이 나타나, 어머니의 과보호 수준이 높을수록 유아의 그릿과 놀이성 수준이 낮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전반적으로 유아 놀이성과 그릿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이 나타나, 유아 그릿 수준이 높을수록 유아 놀이성 수준도 높음이 확인되었다. 셋째, 어머니의 과보호와 유아 그릿 간 관계에서 유아 놀이성의 조절효과가 확인되어, 유아 놀이성은 어머니의 과보호가 유아 그릿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완충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유아 놀이성이 어머니의 과보호와 같은 환경적 요인이 유아에게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완충하는 요인임을 확인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는 놀이성 및 그릿과 관련된 부모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aternal overprotection on young children’s grit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young children’s playfulness. In this study, the maternal overprotection and young children’s grit were selected as an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young children’s playfulness was selected as moderator. The participants included 260 mothers of 4 to 5 year-old children in J area, and 218 participants were finally used to analyze the data.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maternal overprotection and grit were a little higher than the average, while the level of young children’s playfulness was much higher than the average. Second, the maternal overprotection showed significantly negative effect with young children’s playfulness and grit. This means that as the level of mother’s overprotection increases, the level of a young children’s grit and playfulness decreases. Moreover, the young children’s playfulness showed significantly negative effect with young children’s grit. This shows that as the level of young children’s playfulness increases, the level of a young children’s grit also increases. Third, young children’s playfulness had a moderating effect between maternal overprotection and young children’s grit.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confirming that children’s playfulness serves as a mitigating factor against negative influences on children from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maternal overprotection. Furthermor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providing foundational data for the development of parent education programs related to playfulness and grit.

      • KCI등재후보

        아동용 놀이성 척도의 개발 및 예비 타당화

        박상아,이정윤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08 청소년상담연구 Vol.16 No.1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 an instrument for the assessment of playfulness in primary school children and to verify its factor structure, reliability and validity. A preliminary items of the Playfulness Scale for Children (PSC) were generated through literature study to identify conceptual clarity and the examination of content validity. This preliminary scale was composed of 51 items with 3 subscales and administrated to 429 childre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exhibited that the PSC was composed of 15 items with three factors: Social Positivity, Sense of Humor, and Inquisitive Mind. The PSC exhibited adequate internal consistency, item-total correlations and test-retest reliability.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s were found between the PSC and Barnett's Children's Playfulness Scale(CPS), and between the PSC and the Autonomy Test, thereby demonstrating the construct validity of the PSC. Significant differences on the PSC were found among high and low social skills groups and high and low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groups, thereby demonstrating the discriminant validity of the PSC.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아동을 대상으로 놀이성을 측정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고, 척도의 요인구조와 신뢰도 및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 연구들의 놀이성에 대한 개념적 정의를 토대로 세 가지 하위 요인-사회적, 인지적, 행동적 측면-을 잠정적으로 설정하여 5점 척도로 된 51문항의 예비문항을 구 성하였다. 아동용 놀이성 예비척도를 429명의 아동들에게 실시하고 요인분석한 다음 최종적으로 15문항 을 선정하여 ‘아동용 놀이성 척도’를 개발하였다. 요인분석 결과, 아동용 놀이성 척도는 사회적 적극성, 유머 감각, 탐구심의 3요인 구조로 이루어져 있었다. 척도의 내적일치도와 요인별 문항총점간 상관계수, 검사-재검사 신뢰도를 살펴본 결과, 아동용 놀이성 척도는 적절한 수준의 신뢰도를 나타내었다. 또한 아 동용 놀이성 척도는 Barnett의 놀이성 검사 및 자율성 검사와 유의미한 상관을 보여 적절한 수준의 공인 타당도를 지닌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사회성이 좋은 아동과 그렇지 않은 아동 간에, 그리고 학습주도 성이 높은 아동과 낮은 아동 간에 놀이성 점수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 적절한 수준의 변별타당도를 지닌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아동용 놀이성 척도는 아동의 놀이성을 측정하는 데 있어서 신뢰롭고 타당한 검사로 보여진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