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주자 수양론에서 기질변화설의 의미

        홍성민(洪性敏) 한국동양철학회 2008 동양철학 Vol.0 No.30

        본 연구의 목적은 朱子의 기질 변화설에 담긴 실천적 함의를 살펴보는 데 있다. 주자의 理氣論 구도에서 보자면, 기질 변화설은 기질이라는 숙명의 원죄를 씻고 본연의 선한 품성을 회복한다는 선악 이원론으로 보일 수 있다. 그러 나 본 연구에서는 기질 변화에 대한 주자의 의도가 다른 데에 있었다고 파악하고, 사상사적 맥락 안에서 기질 변화설의 수양론적 의미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주자는 陸象山과 같은 내면-주관적 수양론자들을 비판하는 과정에서 기질변화의 중요성을 제기하고 있다. 주자에 따르면, 육상산은 현실의 기질 문제를 쉽게 간과해버린 채 마음의 본체만 직관하려고만 하는데, 그런 태도에는 두 가 지의 문제점이 있다. 첫째, 육상산은 순선한 본성의 現成만 강조하고 현실의 불선한 기질은 간과하고 있기 때문에 본성과 기질을 혼동하고 있다. 그 결과 자신이 어떤 행위를 하건 모두 본성이 발현된 것이라고 여기는 주관주의와 방 임주의에 빠지고 만다. 이러한 점에서 주자는 육상산의 학문이 가치 규범에 대한 자의적 일탈과 방임을 양산한다고 비판한다. 둘째, 주자는 육상산이 초월적 직관이나 頓悟 같은 잘못된 수양 방법에 빠졌다고 비판한다. 육상산은 주자의 점진적 수양법을 지리멸렬한 것이라고 비판하면서 마음의 본체를 곧바로 직관하면 된다고 강조하였다. 그러나 주자가 보기에 이것은 일상 세계 안에서 下學上達하는 점진적인 수양의 과정을 무시한 채 신비적이고 비상식적으로 等을 추구하는 것이다. 그래서 주자는 그의 공부법을 禪學이라고 비판하고 있다. 주자가 생각하는 수양은 이와 정반대이다. 주자는 기질의 현실을 점진적으로 변화시켜 본성의 이상에 다가가도록 하는 것이 수양의 길이라고 생각했다. 즉 일상 세계의 상식적 가치들을 준수하고 실천하면서 근실한 태도로 점진적인 자기 변화를 이루어가는 노력의 과정, 간단히 말해 자기의 기질을 변화시켜가는 과정이 참된 수양의 길이라고 생각하였던 것이다. 주자는 도덕 수양을 일상 세계의 상식적 지평 안에 세워놓고자 하였던 것이다. 이러한 점에 입각하여 주자 철학의 근본 성격에 대해서도 다시 생각해볼 수 있다. 주자 철학의 근본 성격은 지고한 이상을 희구하는 것이라기보다 비근한 현실을 변화시켜나가는 것이라 할 수 있고, 고차원적 사유 체계로 세계를 설명 하는 이론 철학이라기보다 일상 세계의 평범한 인륜 가치를 성실하게 실천하는 실천 철학이라 할 수 있다. 本篇论文的目的在于考察朱子的变化气质论之现实实践性。一般的看法来说,朱 子之本性气质说意味着理想与现实、纯善与可恶的对立构造,倂且他的变化气质说指示着除去杂驳的气质之掩蔽,以便发现本然之性的光明。这样的看法就是典型的 二元伦。可是按照本研究,朱子所以提起变化气质说的目的,与其为了建立二元论的理论体系, 宁可为了强调日用事物之间内下学上达的修养。 按照朱子的看法来说,陆象山忽略了具有气质的现实情况,一直追求顿悟直观心 之本体。朱子指出了陆象山带有两种问题:第一,因为在陆象山的思维里,本性 和气质、价值和现实混淆了,所以引起了胡乱脱离道德价值体系的恶果。第二, 陆象山倾注了顿悟上达的修养,因此他不肯重视日用事物之间下学上达的穩步功 夫。到头来,朱子批评了陆象山堕入道德放任主义和神秘修养论。相反地,朱子 变化气质说的目标就是为了遵守日常世界平凡的人伦价值,而且尊重下学上达的渐 进修养。由此可见,朱子只是希望把道德修养与成圣理想放置在日常的常识世界之内。 并且,根据如此的情况,朱子哲学的根本指向也可以再考虑。 即说:朱子哲学与其是利用复杂逻辑和艰深思路来说明世界结构的理论哲学,不如是诚恳地实践日常道德价值的实践哲学。

      • KCI등재

        주희 기질변화와 성인됨의 의미-평범한 사람의 성인 가능성 고찰

        손미애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24 儒學硏究 Vol.67 No.-

        이 글의 목적은 주희의 ‘기질변화’를 중심으로 유가의 이상적 목표인 ‘성인(聖人)됨’의 의미를 검토하는 데 있다. 유가의 이상은 ‘수기치인’하는 성인을 지향하는 데 있으며, 성인은 ‘수기-도덕’, ‘치인-정치’라는 양자 관계를 통해 드러나는 존재였다. 그러나 공자의 등장은 기존의 성인 개념, 즉 도덕과 정치가 긴밀한 관계에 있는 성인 개념을 변화시켰다. 공자 등장 이후 유가의 지향은 여전히 ‘수기치인’에 있지만, 성인이 반드시 ‘치인자’는 아니게 된 것이다. 이 구별은 주희철학에서도 매우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주희철학의 체계에서 후천적 도덕 훈련[氣質變化]을 통해 도달할 수 있는 성인의 지위는 성인이 정치적 개념보다는 도덕적 개념에 더 가까운 것임을 의미한다. 주희로부터 구체화된 기질변화는 ‘타고난 기질’에 의한 인간의 도덕적 한계를 설정하지만, 그와 동시에 인간이 끊임없이 노력해 도달할 수 있는 ‘이상적 지점[聖人]’을 현실적으로 제안한 것이다. 주희에 의하면 ‘누구나 성인이 될 수 있다’. 왜냐하면 모든 인간은 순선한 성리(性理)를 내면화 한 ‘도덕적 존재’이기 때문이다. 주희는 순선한 성리를 타고난 평범한 사람이 성인에 이르는 방법을 기질변화를 통해 논의한다. 그러나 주희의 기질변화는 두 가지 난점을 포함하고 있는 듯하다. 첫째, 특정 기질을 부여 받게 되는 것은 ‘우연적’일 수밖에 없으나, 어떤 존재가 형성된 이후 기질은 이미 결정되어 버린, ‘결정론적 개념’이 되어 버린다. ‘곤한 기질’을 이미 부여받은 평범한 사람이 부단히 노력한다고 해서 성인의 경지에 닿을 수 있는가? 둘째, 평범한 사람은 기질의 제약에 의해 온전한 성리를 언제나 항상 드러낼 수 없는 존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평범한 사람이 기질변화에 성공해 성인의 경지에 도달했다고 가정했을 때, 그는 더 이상 기질변화를 위해 노력하지 않아도 되는가? 기질변화한 사람의 기질은 노력하지 않아도 항상성을 유지하는가? 이 글은 기질변화의 결과로서 ‘성인됨’이 포함하고 있는 두 가지 난점에 대해 나름의 답변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becoming a sage(聖人)’, an ideal of Confucian philosophy, centered on Zhu-xi’s ‘temperamental change(氣質變化)’. The ideal of Confucianism is to follow the sage who is ‘self-cultivating and people-governing(修己治人)’. However, the appearance of Confucius changed the existing concept of sages. After Confucius, Confucianism still aimed at ‘self-cultivating and people-governing’, but a sage was not necessarily ‘one who governs people’. Zhu-xi, who later appeared in the Neo-Confucianism of the Song Dynasty, aims to be a moral sage. Zhu-xi believed that anyone could become a sage through moral training. In Zhu-xi’s philosophy, sainthood comes from moral training, which means ‘temperamental change’. Zhu-xi’s temperamental change argument is based on the idea that temperament sets our moral limits. But nevertheless, it is a realistic proposal of an ‘Ideal’ that anyone can reach with persistent effort. According to Zhu-xi's philosophical structure, “anyone can become a sage”. This is because all humans are born as ‘moral beings’. So how do ‘moral beings’ reach the point of ‘sainthood’ in the Real World? Zhu-xi argues for temperamental change. However, his temperament change includes two difficulties. First, it is ‘contingent’ to receive a substrate, but after a being is formed, the substrate becomes a ‘deterministic concept’ that is already determined. Can a person determined by a blocked temperament reach sainthood just by trying? Second, the ordinary person can't be Good Natured ‘all the time’ because of temperamental constraints. Nevertheless, assuming that an ordinary person succeeds in transforming his or her temperament and reaches sainthood, does that person no longer have to try? This article aims to answer two difficulties found in the ordinary person who becomes a sage as a result of a temperamental change.

      • KCI등재

        血氣와 心氣에 관한 栗谷學派 氣質變化論 硏究 ─ 栗谷·巍巖·南塘을 중심으로 ─

        정연수 한국유교학회 2014 유교사상문화연구 Vol.58 No.-

        In this paper, Theory of Temperament Change(氣質變化論, Gijilbyeonhwalon) of the Yulgok School was studied by comparing Lee Gan’s view that put emphasis on making much of side on a method of composition (用事, Yongsa , makes any former text’s event as part of present text) of Blood-Vital Force (血氣, Hyeolgi) according to the Superintendence Character(主宰性, Jujaeseong) of Mind (心) to Han Won-jin’s view that asserted the changed of Mind-Vital Force (心氣, Simgi) concentrating his whole mind of preservation-cultivation(存養, Jonyang) of mind-and-heart non-issuance (未發心, Mibalsim) revolved around Innate Goodness (性善, Seongseon) based on the philosophical issues regarding Blood-Vital Force and Mind-Vital Force that can be raised Yulgok’s Theory of Temperament Change(氣質變化論, Gijilbyeonhwalon). Yulgok (栗谷) had argued that one should have to accomplish changing the temperament (氣質變化, Gijilbyeonhwa) by controlling Blood-Vital Force (血氣, Hyeolgi) in accordance with body developing the conscience that is essence of Mind-Vital Force (心氣, Simgi), while discussing about Mind-Vital Force (心氣, Simgi) and Energy of Body (身氣) along with Temperament. Lee Gan seemed to be succeed Yulgok’s Theory of Temperament Change(氣質變化論, Gijilbyeonhwalon) in regard to Blood-Vital Force (血氣, Hyeolgi) thoroughly. Lee Gan defined the temperament (氣質) as one’s own flesh and blood, and character, and also set out the mind of vigor which is a brave heart as vital force of mind (氣質之心, Gijiljisim). Thus, Lee Gan had served to emphasis a study that controls the vital force of mind (氣質之心) according to the body by superintending hot blood with mind(心, Sim). Meanwhile, Han Won-jin seemed to be succeed Yulgok’s Theory of Temperament Change(氣質變化論, Gijilbyeonhwalon) that cultivates the conscience thoroughly. Han Won-jin had stressed that the temperament, different from body, was supposed to understand as problem of mind along with Vacuous Spirit (虛靈, heoryeong). Even though it arrives at mind-and-heart of non- issuance (未發心, Mibalsim), this will not change the natural mind tendency at a single stroke. Also, Han had emphasized necessity of a study that will handsomely change the rough temperament of even natural born mind by devoting oneself to preservation-cultivation (存養, Jonyang) of one’s real intention without trying to change the temperament forcefully. Problems of temperament in Yulgok School begin with the problem of Mibalsigibulyongsa (未發時氣不用事), and these involve philosophical problems which argue Mibalsimchesunseon (未發心體純善) and Mibalgijilyuseonak (未發氣質有善惡) respectively, and then this is directly connected the problems related to perception(知覺, Jigak) at the time of silent (未發時, Mibalsi). On the basis of this study, it is hoped that the horizon of researching about Yulgok School will be extended by reexamining various philosophical problems regarding temperament. 본 논문에서는 율곡의 기질변화론에서 제기될 수 있는 血氣와 心氣에 관한 철학적 문제를 토대로, 心의 主宰性에 의한 血氣의 用事 여부를 중요시하는 이간의 견해와 性善을 주축으로 未發心을 전일하게 存養하여 心氣의 변화를 주장하는 한원진의 견해를 비교해 봄으로써 율곡학파의 기질변화론을 고찰하였다. 율곡은 心氣와 身氣를 아울러 기질에 관해 논한다. 心氣의 본질인 良心을 보존하고 육신에 의한 血氣를 주재함으로써 心氣와 身氣를 아울러 변화시켜야 한다는 것이 율곡의 기질변화론이다. 이간은 혈기에 관한 율곡의 기질변화론을 투철하게 계승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간은 기질을 혈육과 형질이라고 정의하면서 혈기가 용사한 마음을 氣質之心으로 규정한다. 이로써 이간은 心이 혈기를 주재하여 육신에 의한 기질지심을 제어하는 공부를 강조하게 된다. 한원진은 양심을 보존하는 율곡의 기질변화론을 투철하게 계승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한원진은 기질을 허령한 마음과 더불어 마음의 범주에서 이해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한원진은 잠시 未發心에 이르렀다고 할지라도 타고난 마음의 기질까지 단박에 변화되는 것은 아니므로 專一하게 본심을 存養함으로써 억지로 기질을 변화시키려 하지 않아도 자연히 타고난 기질까지 청수하게 변화되는 공부가 필요하다고 역설한다. 율곡학파에서 기질에 관한 문제는 ‘未發時氣不用事’ 문제에서 비롯되어 ‘未發心體純善’과 ‘未發氣質有善惡’을 각각 주장하게 되는 철학적 문제를 수반하며, 未發時 知覺에 관한 문제와도 직결된다. 본 논문을 연구기반으로 기질에 관한 다양한 철학적 문제가 재검토됨으로써 율곡학파에 관한 연구의 지평이 확장되길 기대한다.

      • KCI등재

        기질변화론 연구― 호굉을 중심으로

        채희도 (사)율곡학회 2017 율곡학연구 Vol.35 No.-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see Zhu Xi's qìzhì de biànhuà(氣質的變化) and discover conflicting points between the two previous studies and want to find out the cause. As a way to do this, we will examine the qìzhì de biànhuà(氣質的變化) from Zhāng Zǎi(張載, 1020∼1077) to Hu Hong(胡宏, 1105-1161), Zhu Xi(朱熹, 1130-1120). Until now, research on Zhu Xi's qìzhì de biànhuà(氣質的變化) has lacked diachronic research. Through these studies, in the historical context of the qìzhì de biànhuà(氣質的變化), the meaning of that of Zhu Xi will be revealed. Especially notice the role of Hu Hong who had a direct influence on Zhu Xi. Existing research focused on searching for disadvantages through Zhu Xi school lenses when evaluating Hu-Xing school. In this article, I would like to confirm the true appearance of Hu Hong in a rich and detailed way of reading philosophical history. 본고에서는 주희의 기질변화론을 살펴보는데 있어 두 개의 선행 연구가 상치되는 점을 발견하고 그 원인을 찾아보고자 한다. 그 방법으로는 장재로부터 호굉, 주희에 이르는 기질변화설을 검토해 볼 것이다. 지금까지 주희의 기질변화에 대한 연구는 통시적인 연구가 부족했다.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기질변화론의 역사적 맥락 속에서 주희의 그것이 가지는 의미가 드러날 것이다. 특히 주희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끼친 호굉의 역할에 주목할 것이다. 기존의 연구는 호상학을 평가할 때 주자학의 렌즈를 통해서 그 단점을 찾는데 치중했다. 이 글에서는 철학사를 풍부하고 세밀하게 읽는 한 방법으로 호굉의 진면목을 확인하고자 한다.

      • KCI등재

        성리학에서 기질과 기질변화의 의미 -주렴계와 주자의 기질변화론을 중심으로-

        이치억 ( Lee Chi-eok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9 儒學硏究 Vol.48 No.-

        기질의 문제는 리기(理氣)나 성리(性理) 같은 주제에 비해, 철학적 논의 상에서 그다지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지는 않지만, 실제 공부론 상에서는 매우 중요한 위치를 점한다. 주자를 비롯한 그 계통의 성리학자들은 “사람이 학문을 하는 이유는 기품을 변화시키고자 하는 것”이라고 할 만큼 기질변화를 중시했다. 성리학의 기질변화론은 이론상 크게 두 방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첫째는 기질을 맑은 상태로 정화시키고자 하는 것이며, 둘째는 기질의 치우침을 극복하고 ‘중(中)’의 상태로 이끌어가고자 하는 것이다. 전자는 주로 물의 정화에 비유되는데, 탁한 물을 정화하여 맑은 상태로 돌리면 그 안에 있는 구슬이 영롱하게 드러나는 것과 같은 이치로, 본성의 막히거나 가림 없이 드러나게 하고자 하는 공부이다. 이는 기질을 맑게 한다는 의미에서 ‘기질의 정화’라고 표현할 수 있다. 이에 비해 후자는 기질이 어느 한쪽에 치우치지 않고 ‘중(中)’을 유지할 수 있도록 기질 그 자체를 손보는 방식으로서, 이를 ‘기질의 중화(中和)’라고 표현할 만하다. 그러나 이 둘은 마치 『중용』의 ‘자성명, 자명성(自誠明, 自明誠)’과 유사한 논리구조를 가진다. 기질변화는 지적·실천적 능력을 극대화하는 것과 도덕적 성향·성품의 편향성을 극복하려는 것으로 집약되지만, 실질적인 의미에서 기질변화는 이 둘 중 후자를 가리키는 것이 된다. 왜냐하면 전자는 기질 자체의 변화라기보다는 그야말로 능력의 극대화를 가리키는 것이기 때문이다. 한편 전통 성리학에서 구체적으로 명시되지는 않았지만, 개인의 고유한 성격의 변화를 요구하는 것은 아닌 것으로 판단된다. The problem of temperament is not much of importance in Philosophical discussion compared to subjects such as liqi and Xingli. However, temperament is of great importance in practical study theory. “The reason people study is because they want to change their temper.” the scholars said. The theory of change in temperament in neo-Confucianism is pursued in two directions. The first is to purify the temperament in a clear state. The second is to overcome the bias of temperament and lead it to a state of the middle path. The former is the study that purifies the murky water and turn it to a clear state, as the bead in it is brilliantly revealed. The latter is the study of maintaining without bias toward the path of nature itself. While the ultimate purpose of temperament change is to realize bright nature intact without obstruction of temperament, it goes through two processes specifically. It is to maximize intellectual and practical ability and overcome bias in inclination and character. The purification of temperament and the realization of Zhong are in sync with the orientation of the theory of temperament change.

      • KCI등재후보

        율곡의 기질변화론과 e스포츠교육의 방향

        이학준,김영선 한국e스포츠학회 2021 e스포츠 연구: 한국e스포츠학회지 Vol.3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율곡 기질 변화론을 통해서 e스포츠교육의 가능성과 방향을 밝히는 것이다. 만약 기질이 고 정불변 하다고 한다면 교육은 사실상 실천의 의미가 없다. 왜냐하면 아무리 교육을 해도 기질은 바뀌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기질이 교육을 통하여 변할 수 있다는 율곡의 주장을 정당화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이 연구의 연구 방법은 율곡의 기질변화론을 문헌고찰 및 탐구하고 그 결과를 e스포츠교육에 적용하여 그 가 능성과 방향을 탐구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율곡은 기질이 고정불변이 아니라 교육을 통해서 변화시 킬 수 있다고 하였다. 율곡은 기질 변화를 위한 두 방법을 교기질과 양기에서 찾았다. 교기질은 사욕을 극복 하는 것이고, 양기질은 욕심을 적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e스포츠교육에 교기질과 양기를 통해 학생의 기질을 변화시킬 수 있다는 가능성을 발견하였다. 율곡의 기질 변화론을 통한 e스포츠교육의 방향은 e스포츠교육을 통하여 e스포츠에 대한 올바른 습관과 즐기는 습관의 형성에서 찾을 수 있었다. 습관은 제2의 천성과 같다. 그래서 e스포츠교육을 어떻게 접근하는가에 따라서 학생의 기질을 변화할 수 있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possibility and direction of eSport education through the Yulgok temperament problem. To this end, the research method explored Yulgok's temperament problem and applied the results to eSport education to explore the possibilities and implications. The results are as follows. Yulgok said that the temperament can be changed through education, not fixed invariance. The way Yulgok changed his temperament was found in his temperament and ambivalence. The temperament is to overcome self-interest, and the temperament is to reduce greed. Therefore, it was found that eSport education can change the student's temperament through both temperament and teaching temperament. The eSport educational implication of the Yulgok temperament problem is to form the right habits and enjoying habits for eSport through eSport education. Habits are like the second nature. Therefore, eSport education can change the temperament of students.

      • KCI등재

        장재 心知學說 淺析

        안재호 한국양명학회 2012 陽明學 Vol.0 No.32

        장재 수양론의 중심은 “變化氣質”에 있다. 기질의 변화란 궁극적으로 氣質之性을 잘 돌이켜 天地之性을 확립하라는 말과 같다. 性體가 선명하게 呈現되면 기질과 거리낌이 없어지고, 기질 자체도 막히지 않아 성체를 따르게 된다. 장재에 의하면, 이런 기질의 변화는 결국 心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장재철학에서 심은 기본적으로 性과 知覺의 결합으로 설명되지만, 이때의 지각은 성과 전혀 다른 별개의 어떤 것이 아니라 성 자체의 작용일 뿐이다. 따라서 심은 성의 작용특성을 특기한 개념이라 말할 수 있다. 心體는 궁극적으로 ‘초월본체’인 天道와 性을 呈現하는 내재의 ‘구체적 도덕본체’이다. 그 작용은 두 가지 결과를 나타내는데, 하나는 외부사물에 대한 정보와 지식을 가리키는 “견문의 작은 앎”이고 다른 하나는 도덕본체, 즉 “天德良知”의 自覺이자 自發인 “덕성이 아는 바”이다. 이 둘은 그 내용과 범위, 범주가 명확히 구분된다. 전자는 외부사물에 제한되지만, 후자는 오히려 그것들을 체현하는 것이다. 전자는 인식이요, 후자는 가치의 실현이다. 물론, 가치의 실현은 인식을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해야 한다. 그러나 “덕성이 아는 바”는 “천덕양지”의 자각、자발이기 때문에 “견문의 작은 앎”과는 달리 외부사물에 의한 제약을 받지 않는다. 그러므로 우리가 개체적 제약인 “氣質”의 제한을 초극하려 한다면, 반드시 심체의 “천덕양지”에 의거할 수밖에 없다. 이에 따라 장재는 “변화기질”을 심체와 연계시킨다. 장재는 “변화기질”을 직접적으로 “虛心”과 “得禮”, 즉 마음을 비우고 예를 실천함으로써 이룰 수 있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예를 실천하는 것은 각종 정황에서 적합한 규범을 실천하는 하는 것이기 때문에 특별한 이론적 의미를 갖지 못한다. 따라서 변화기질의 진정한 이론적 근거는 허심에 있다. 장재가 허심을 강조하는 까닭은 심이 자신의 정체성을 잃고 형상에 얽매이는 “成心”이 되어 버릴 수도 있기 때문이다. 허심이란 아무 내용도 없는 공허한 마음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언제 어디서나 마땅하게 행동할 수 있는 “時中”의 도덕심을 말한다. 따라서 이른바 “盡心”과 변화기질 모두 이런 도덕심을 잘 보존 유지하고 언제 어디서나 온전히 발휘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 KCI등재

        주자와 율곡의 성학(聖學) 비교: 철학적 차이와 근대성

        김우형 (사)율곡학회 2019 율곡학연구 Vol.39 No.-

        This paper tries to compare the sage learning of Zhu Xi 朱熹 and Yulgok 栗谷 focusing on such themes as the concept of cognition (jigak 知覺), the Human Mind (insim 人心) and the Moral Mind (dosim 道心) as the contrary contents of cognition, and the implication of the change of temperament (byeonhwa gijil 變化氣質) in cultivation theory. According to Zhu Xi, cognitive function is formed by the combination of gi 氣 (material force) and li 理 (principle), and the contents of cognition are divided into the Human Mind originated from the sense perception of body and the Moral Mind as the self-awareness of the imperative of moral nature. If there is a conflict between the Human Mind (or selfish desire) and the Moral Mind, one should select the latter to control the former. For this reason, gyeong 敬 (concentrating) as the method to cultivate the subjectivity and will is emphasized. The changes of temperament mean that only the biased aspect of the temperament, which can interfere with moral choice, is mitigated. In the case of Yulgok, libal (理發, the manifestation of principle) is denied and the cognition is explained only in terms of gibal (氣發, the manifestation of material force) as an empirical act on external objects. The Human Mind and the Moral Mind are not derived from the two opposing sources of gi (psycho-physical energy) and li (moral nature) but are determined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 intentive calculation (意 ui) of mind can head for the social norms in the psychological process of thinking. In the light of the regulations prescribed by the sages, ordinary person should consider whether the content of cognition is in conformity with the regulations. However, the most important effort should be put into the practice to correct the biased temperament and cultivate a good temperament. The effort to change one’s own temperament is a constant practice to raise his temperament to the same level as a sage, just as a technician is constantly training himself to become a master. 본고는 주자와 율곡의 심성론에 있어 지각(知覺) 개념과 그 내용으로서 인심(人心) 도심(道心) 개념, 그리고 수양론에 있어 기질(氣質)의 변화(變化)가 지니는 함의를 중심으로 양자의 성학(聖學)을 비교하였다. 주자에 있어 인지 기능으로서 지각은 기와 리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며, 지각 내용을 기준으로 형기(形氣, 신체)에 근원한 인심과 성명(性命, 도덕성)에 대한 자각으로서의 도심으로 구분된다. 인심과 도심의 갈등 상황이 일어날 때는 도심을 선택하여 인심을 통제해야 한다. 이런 이유로 주체의식과 의지를 기르는 경(敬)의 수양법이 강조된다. 기질의 변화는 도덕적 선택을 방해할 수 있는 기질의 편향된 측면을 완화시킨다는 의미를 지닌다. 한편, 율곡의 지각 개념에 있어 리발(理發)은 부정되며 외부 사물에 대한 경험적 발동으로서의 기발(氣發)로써 설명된다. 인심과 도심은 형기와 성명의 두 대립적 근원에서 비롯되는 것이 아니라, 의(意)라는 생각하고 헤아리는 심리적 과정에서 도의(道義)를 위하느냐 형기를 위하느냐에 따라 결정된다. 일반인은 성인이 규정한 예법에 비추어 지각내용이 그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따져서 궁리(窮理)해야 한다. 그러나 가장 중요한 공부는 치우친 기질을 교정하고(矯氣質) 좋은 기질을 배양하는(養氣) 실천공부이다. 변화기질 공부는, 마치 기술자가 명장(名匠)이 되기 위해 부단히 노력하고 훈련하는 것처럼, 자신의 기질을 성인의 기질과 같은 상태와 수준으로 높이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는 것이다.

      • KCI등재

        이이의 기질변화론 고찰 - 장재 수양론과 대조를 중심으로 -

        이현선 ( Lee Hyun Sun ) (사)율곡연구원 2021 율곡학연구 Vol.45 No.-

        이 논문은 이이(李珥, 1536-1584)의 수양론을 장재(張載) 수양론과 대조하는 가운데, ‘기질변화(氣質變化)’를 중심으로 그의 공부론을 조망하고자 한 것이다. 이이 수양론은 ‘거경(居敬)-궁리(窮理)-역행(力行)’의 구조를 가지고 있다. 기존 연구는 이러한 이이 수양론이 ‘거경-궁리’의 정주 수양론에 ‘역행’이 더해진 구조로서 그 연속선에서 조망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이이의 수양론은 ‘지(知)-행(行)’의 구도 속에 ‘경(敬)’ 공부가 각각의 공부에 부가된 형태로 제시되고 있어 정주학의 수양 구도와는 차별적이다. 더구나 이이의 ‘경’ 공부는 그 함의가 정주학과 매우 상이하며, 마음의 ‘허정(虛靜)’을 추구하는 장재의 수양론에 근접한 것이다. 장재의 기질변화 수양론은 ‘궁리(窮理)’와 ‘집의(集義)’를 두 축으로 삼고 있고, 이는 각각 ‘지’와 ‘행’에 상응하는 공부이다. 그에게서 ‘궁리’가 ‘예(禮)를 배움’으로써 도덕적 기준에 대한 앎을 형성하는 공부라면, ‘집의’는 ‘극기(克己)’와 ‘양기(養氣)’를 통해 ‘선’을 실천하는 공부이다. 장재는 이 공부론을 통해 인간이 자신의 기질을 변화시켜 천지와 동일한 본래의 기의 상태, 곧 태허(太虛)와 동일한 ‘비고 고요한(虛靜)’ 본래적 마음을 회복할 것을 요구한다. 이이는 『성학집요』에서 자신의 수양론을 ‘거경’-‘궁리’-‘역행’의 구도로 제시하면서도, 이를 ‘지-행’의 공부라고 설명한다. 여기에 나타난 그의 ‘경’ 공부는 ‘궁리’를 위한 ‘수렴(收斂)’의 ‘경’공부, ‘역행’의 공부 과정을 관통하는 ‘정심(正心)’의 ‘경’공부로 구분되며, 이는 ‘지’와 ‘행’ 각각에 대응하는 것이다. 이러한 이이의 ‘경’공부는 장재와 마찬가지로, 마음을 ‘맑고 고요하게 하는’ 주정(主靜) 공부로 묘사된다. 이것은 인간의 기질적 편향과 마음의 동요를 제어하는 공부로서, 그의 기질변화 공부의 주된 내용을 이루는 것이다. This thesis contrasts Yi I(李珥)’s cultivation theory with Zhang Zai’s cultivation theory, and attempts to view his cultivation theory focusing on ‘temperament change(氣質變化)’. Yi I’s cultivation theory has the structure of ‘Jujing(居敬)-Qiongli(窮理)-Lixing(力行)’. Existing studies have often viewed this theory of Yi I cultivation as a structure in which “Lixing” is added to the theory of “Jujing-Qiongli” and that it is viewed from the continuous line. However, Yi I’s theory of cultivation is different from that of Zhuzixue(朱子學) as the study of ‘Jing(敬)’ is presented in the form of an addition to each study in the structure of ‘Knowledge-Practice[知行]’. Moreover, Yi I’s study of ‘Jing’ is very different from Zhuzixue in its implications, and it is close to Zhang Zai’s theory of cultivation, which pursues the ‘Xu-Jing(虛靜)’ of the mind. Zhang Zai’s theory of cultivation of temperament change is based on the two pillars of ‘Qiongli(窮理)’ and ‘Jiyi(集義)’, which are corresponding to ‘Knowledge’ and ‘Practice’, respectively. If ‘Qiongli’ is a pursuit that forms knowledge of moral standards by ‘learning Li(禮)’, ‘Jiyi’ is a process that practices ‘good’ through the cultivation of ‘Keji(克己)’ and ‘Yangqi(養氣)’. In this theory, Zhang Zai believes that human beings can change their temperament and restore the original state of Qi equal to heaven and earth, that is, the state of mind equal to that of ‘Great Void[太虛]’. Yi I presents his cultivation theory in the structure of ‘Jujing-Qiongli-Lixing’ in his book called SeonghakJipyo(聖學輯要), but explains it as a cultivation of Knowledge and Practice. His concept of ‘Jing(敬)’ shown here is divided into the study of ‘convergence[收斂]’ for ‘Qiongli’ and the study of ‘Correct Mind[正心]’ that penetrates the process of ‘Lixing(力行)’, which respectively corresponds to ‘Knowledge’ and ‘Practice’. Like Zhang Zai, Yi I’s ‘Jing’ is described as the pursuit of ‘Zhujing(主靜)’, that ‘clears and quiet’ the mind. This is a cultivation that controls human temperamental bias and mental agitation, and constitutes the main content of his cultivation of temperament change.

      • KCI등재

        張載의 氣質變化를 통한 天人合一 修養論

        김세진 (사)율곡학회 2023 율곡학연구 Vol.51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self-cultivation theory according to Temperament Change of Zhang Zai. In addition, by examining Yulgok's theory of temperament change and self-cultivation theory,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are reviewed. Confucianism was based on humans to follow the nature given from heaven with the source of human existence in heaven. This is to give moral justification for human existence and to put it at the center of the world's affairs. In this respect, Confucianism presupposes efforts to solve this problem based on real problems. and It has the characteristic of developing such studies. Zhang Zaie divides human temperament intelligence into the chen-li part in right element and the desire part in negative element. Among them, He argued that the unity of heaven should be achieved by overcoming the part corresponding to human greed. To this end, the purpose of study was to focus on Ki and to complete nature by changing the temperament. But Some thinkers put the ideal concept of all creation in Li and suggest a self-cultivation through it. On the other hand, Zhang Zai is regarded as a being that actively overcomes and complements limitations by recognizing that humans themselves are discriminatory and limited. So he aims to cultivate the completion of nature through temperament change. This study is to show the aspect of self-cultivation through the temperament change of Zhang Zai and method. In addition, in order to clarify this more, Yulgok's theory of temperament change and self-cultivation theory goes through the process of finding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with Zhang Zai theory. Zhang Zai tried to overcome the difficulties of the time and complete the moral thing by emphasizing Ki, but Yulgok tried to establish a theoretical background that used Ki and achieve social transformation. This can be said to be a similarity between the two to take a method of obtaining what you want to gain by using Ki.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unity of heaven and person and social change is the purpose of reaching these two. 본 연구는 장재의 기질변화에 따른 인간 수양론을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율곡의 기질변화론과 수양론을 살펴봄으로써 그 유사점과 차이점을 검토하는 것을 진행한다. 유학은 인간존재의 근원을 天에 두고 그 天으로부터 주어진 본성을 따르는 것이 인간된 자의 도리라 보고 있다. 이는 인간존재에 대한 도덕적 당위성을 부여함과 동시에 세상일의 중심에 두고자 함이다. 이런 점에서 유학은 현실의 문제를 바탕으로 이를 해결하려는 노력을 기본 전제로 하여 전개하는 학문적 특성을 드러낸다고 할 수 있다. 현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인간에 대해 장재는 인간이 지닌 기질지성을 천리적(天理的) 부분과 욕망적 부분으로 나누고 이중 인욕(人慾)에 해당하는 부분을 극복하여 천인합일을 이뤄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를 위해 기(氣)에 중점을 두고 기질을 변화시켜 본성을 완성하는 것을 공부의 목적으로 두었다. 하지만 천지만물의 궁극적이고 이상적인 개념을 ‘이(理)’에 두고 이를 통한 수양법을 제시하는 사상가들도 있다. 이에 반해 장재는 인간 스스로 차별적이고 한계성이 있는 존재임을 자각하여 능동적으로 한계를 극복하고 보완하는 존재로 여기면서, 기질 변화를 통한 본성의 완성을 수양의 목적으로 삼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그러한 장재의 기질변화와 그 방법을 통한 수양론의 양태를 기술하고 있다. 아울러 이를 보다 명확히 하기 위해 율곡의 기질변화론과 수양론을 통해 장재 수양론과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찾는 과정을 거친다. 장재가 기(氣)를 중시하여 이를 통해 당시의 어려움을 극복하고 도덕적인 것을 완성하려 하였다면 율곡은 기(氣)를 활용하는 이론적 배경을 세우고 사회 변혁을 이루려고 하였다. 이는 기(氣)를 활용하여 얻고자 하는 것을 얻어내는 방법을 취하는 것은 이 둘의 유사점이라 할 수 있으며 도달하려는 목적에 있어 천인합일과 사회변혁은 그 차이점이라 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