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재고관리성과가 기술적 효율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분석 : 국내 주요 철강기업을 대상으로

        김길환(Gilwhan Kim) 한국생산관리학회 2020 한국생산관리학회지 Vol.31 No.1

        철강산업은 대표적인 자본집약적인 장치산업이며 타 제조산업의 수요에 민감한 특징을 보인다. 이 두 가지 특징을 감안했을 때 효율성 개선과 효과적 재고관리는 철강기업의 경쟁력확보 차원에서 매우 중요한 경영 활동이다. 따라서 두 경영 활동 간의 관련성을 검토해 보는 것은 의미 있는 작업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국내 주요 철강기업들을 대상으로 재고관리성과와 효율성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분석을 위해 생산이론에 바탕을 둔 기술적 효율성(Technical Efficiency)의 개념을 철강기업의 효율성으로 정의하였고 재고관리에 대한 성과변수로 재고자산회전율을 선택하였다. 그리고 확률변경분석(Stochastic Frontier Analysis)을 통해 기술적 효율성을 추정하였고, 기술적 효율성에 미치는 재고자산회전율의 효과를 검토하였다. 또한 재고자산회전율이 기술적 비효율성에 미치는 한계효과(Marginal Effect)를 살펴본 뒤 기업규모와 한계효과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재고자산회전율은 기업의 기술적 효율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둘째, 기술적 비효율성에 미치는 재고자산회전율의 한계효과는 기업별로 다르게 나타났다. 셋째, 기술적 비효율성에 미치는 재고자산회전율의 한계효과와 기업규모 간의 음의 관계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주요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첫째, 철강기업의 기술적 효율성 개선을 위해서는 효과적인 재고관리가 요구된다. 둘째, 상대적으로 규모가 작은 철강기업일수록 기술적 효율성의 개선 측면에서 재고관리의 역할이 중요하다. 한편, 본 연구는 기존 연구에서 고려되지 않았던 재고자산회전율이라는 운영관리 성과지표와 기술적 효율성의 관계를 분석하여, 효율성 개선 측면에서의 재고관리의 중요성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효율성 및 재고관리 관련 연구에 기여하고 있다. This study empirically investigates the impact of inventory management performance on the efficiency of Korean steel companies. For analysis purposes, efficiency of a steel company is defined using the concept of technical efficiency based on the production theory, technical efficiency is estimated by applying Stochastic Frontier Analysis (SFA), and importantly, inventory turnover is used as the proxy variable for inventory management performance. Furthermore, this study analyzes the marginal effect of inventory turnover on technical inefficiency and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rginal effect of a company’s inventory turnover and the scale of the company. Our results reveal that inventory turnover has a positive impact on technical efficiency, the marginal effect of inventory turnover on technical inefficiency varies across the companies, and the marginal effect of inventory turnover i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scale of the company. Given the empirical results obtained, this study provides two managerial implications as follows: First, Korean steel companies need effective inventory management in place to improve their technical efficiency. Second, inventory management is more critical for smaller steel companies to improve their technical efficiency.

      • KCI등재

        패널확률변경함수를 이용한 통일 이후 독일 연방주의 기술적 효율성의 분석

        강달원 ( Dalwon Kang ) 한독경상학회 2019 經商論叢 Vol.37 No.4

        1993년 11월 1월 출범한 EU 공동체는 독일의 콜(Helmut Kohl)과 프랑스의 미테랑(François Mitterrand)을 중심으로 출발하여 6개 국가에서 2019년 28개국으로 확장되었다. 독일은 통합과정에서 경제통합의 중요한 역할을 하는 동시에, 독일의 경제는 동독과 서독의 경제적 격차를 축소하며 지속적으로 성장했다. 1990년 10월 3일 독일통일 초기에 동·서독 간 많은 격차는 존재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각 주의 총생산 효율성의 격차가 존재하는지 존재하면 어떠한 추세를 보이는지를 분석하였다. 생산의 효율성을 추정하는 방법으로 패널확률변경 생산함수(panel stochastic frontier production function) 분석이 활용되었다. 분석대상 자료는 1991년부터 2018년까지 28년간 16개주의 GDP, 자본량, 노동량 등의 패널자료이다. 패널확률변경 생산함수(panel stochastic frontier production function) 분석과정에서 각주의 기술적 비효율성이 추정되었으며, 이를 활용하여 매년 각주의 기술적 효율성이 추정되었다. 이 분석방법은 기술적 비효율성에 미치는 요소들의 영향력도 동시에 제공하여 준다. 분석결과로 1990년대 초기에는 구동독 5개 지역(Mecklenburg-Vorpommern, Brandenberg, Anhalt, Saxony, Thruringen)이 구서독 11개 지역보다 기술적 효율성의 격차가 매우 크게 나타났지만, 통일 후 10년이 지난 2000년 초부터 기술적 효율성의 격차가 매우 빠르게 축소되었다. 그 격차가 감소한 이유는 구동독지역의 효율성이 구서독지역 보다 빠르게 개선되었기 때문이다. 이 분석에서 기술적 비효율성을 낮추는 요인은 기술진보와 노동자 1인당 자본량의 증가였다. 구체적으로 노동자 1인당 자본량(k) 1단위의 증가는 기술적 비효율성(technical inefficiency)을 0.539/k 단위만큼 줄이고, 기술진보 1단위의 상승은 기술적 비효율성을 0.007 단위 줄이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노동, 자본, 기술적 효율성을 3차원 그래프 및 등고선으로 살펴보면 최적의 효율성을 갖는 경로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Launched in November 1993, the EU expansion grew the community from six countries to 28 countries as reported in 2019 (need citation). Led by Helmut Kohl in Germany and François Mitterrand in France, Germany has consistently played a major role in the process of EU integration in 1990s. Since the reunification of Germany on October 3rd, 1990, the country’s strong economic growth has shrunk the substantial production efficiency gaps between Eastern Germany and Western Germany. The panel data on 16 states over the period from 1991 to 2018 have been used to empirically estimate the changes in production efficiency among the German states. The panel data uses the states’ technical efficiency in developing the estimate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panel stochastic frontier production function, the production productivity of 16 German states is measured as the technical efficiency. The analysis shows that the gap of the technological efficiency between Eastern German States (Mecklenburg-Vorpommern, Brandenberg, Anhalt, Saxony, and Thruringen) and Western German States (Baden-Wurttemberg, Bayern, Berlin, Bremen, Hamburg, Hessen, Niedersachsen, Nordrhein-Westfalen, Rheinland-Pfalz, Saarland, Schleswig-Holstein) in 1990s was definitely big. Since the early 2000s, ten years after reunification, the technical efficiency gap between states has been shrinking very quickly due to the rapid growth of production efficiency of Eastern German states. This is evident through the increase in unit of capital per worker and the reduction of technical inefficiency via technical progress.

      • KCI등재

        패널확률변경함수를 이용한 통일 이후 독일 연방주의 기술적 효율성의 분석

        강달원 한독경상학회 2019 經商論叢 Vol.37 No.3

        Launched in November 1993, the EU expansion grew the community from six countries to 28 countries as reported in 2019 (need citation). Led by Helmut Kohl in Germany and François Mitterrand in France, Germany has consistently played a major role in the process of EU integration in 1990s. Since the reunification of Germany on October 3rd, 1990, the country’s strong economic growth has shrunk the substantial production efficiency gaps between Eastern Germany and Western Germany. The panel data on 16 states over the period from 1991 to 2018 have been used to empirically estimate the changes in production efficiency among the German states. The panel data uses the states’ technical efficiency in developing the estimate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panel stochastic frontier production function, the production productivity of 16 German states is measured as the technical efficiency. The analysis shows that the gap of the technological efficiency between Eastern German States (Mecklenburg-Vorpommern, Brandenberg, Anhalt, Saxony, and Thrüringen) and Western German States (Baden-Württemberg, Bayern, Berlin, Bremen, Hamburg, Hessen, Niedersachsen, Nordrhein-Westfalen, Rheinland-Pfalz, Saarland, Schleswig-Holstein) in 1990s was definitely big. Since the early 2000s, ten years after reunification, the technical efficiency gap between states has been shrinking very quickly due to the rapid growth of production efficiency of Eastern German states. This is evident through the increase in unit of capital per worker and the reduction of technical inefficiency via technical progress. 1993년 11월 1월 출범한 EU 공동체는 독일의 콜(Helmut Kohl)과 프랑스의 미테랑(François Mitterrand)을 중심으로 출발하여 6개 국가에서 2019년 28개국으로 확장되었다. 독일은 통합과정에서 경제통합의 중요한 역할을 하는 동시에, 독일의 경제는 동독과 서독의 경제적 격차를 축소하며 지속적으로 성장했다. 1990년 10월 3일 독일통일 초기에 동・서독 간 많은 격차는 존재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각 주의 총생산 효율성의 격차가 존재하는지 존재하면 어떠한 추세를 보이는지를 분석하였다. 생산의 효율성을 추정하는 방법으로 패널확률변경 생산함수(panel stochastic frontier production function) 분석이 활용되었다. 분석대상 자료는 1991년부터 2018년까지 28년간 16개주의 GDP, 자본량, 노동량 등의 패널자료이다. 패널확률변경 생산함수(panel stochastic frontier production function) 분석과정에서 각주의 기술적 비효율성이 추정되었으며, 이를 활용하여 매년 각주의 기술적 효율성이 추정되었다. 이 분석방법은 기술적 비효율성에 미치는 요소들의 영향력도 동시에 제공하여 준다. 분석결과로 1990년대 초기에는 구동독 5개 지역(Mecklenburg-Vorpommern, Brandenberg, Anhalt, Saxony, Thrüringen)이 구서독 11개 지역보다 기술적 효율성의 격차가 매우 크게 나타났지만, 통일 후 10년이 지난 2000년 초부터 기술적 효율성의 격차가 매우 빠르게 축소되었다. 그 격차가 감소한 이유는 구동독지역의 효율성이 구서독지역 보다 빠르게 개선되었기 때문이다. 이 분석에서 기술적 비효율성을 낮추는 요인은 기술진보와 노동자 1인당 자본량의 증가였다. 구체적으로 노동자 1인당 자본량(k) 1단위의 증가는 기술적 비효율성(technical inefficiency)을 0.539/k 단위만큼 줄이고, 기술진보 1단위의 상승은 기술적 비효율성을 0.007 단위 줄이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노동, 자본, 기술적 효율성을 3차원 그래프 및 등고선으로 살펴보면 최적의 효율성을 갖는 경로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세계 철강기업의 기술적 효율성 요인 분석 : 확률적 변경생산함수(stochastic frontier production function) 모형을 중심으로

        허광숙,김정렬 한국산업경제학회 2007 산업경제연구 Vol.20 No.5

        확률적 변경생산함수를 이용한 기술적 효율성 추정에 관련된 이론적, 실증적 연구는 국내외 연구자들을 중심으로 비교적 활발히 진행되어 왔다. 본 연구는 1993~2002년간 세계 주요 철강기업을 중심으로 기술적 효율성을 추정하고 더 나아가서 그 요인을 분석하는 것으로 목적으로 하고 있다. 철강산업은 제품의 특성상 동질적인 성격이 강하고 기술변화도 적어 패널자료를 통한 기술적 효율성의 추정과 그 요인을 분석하는데 매우 적합한 산업인 것인 것으로 판단된다. 분석기간 동안 세계 철강산업의 평균 기술적 효율성은 0.76인 것으로 추정되었으며 기술적 효율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자본집약도, 생산설비의 노후, 기업연수, 가동률 등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철강기업의 재무적인 성과가 기술적 효율성 및 기타 가격과 비용요소와 어느 정도 관련이 있는가에 대해서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기술적 효율성이 철강기업의 영업이익률에 가장 중요한 요인인 것으로 추정되어, 철강 기업은 수익성을 높이기 위해서 무엇보다도 기술적 효율성을 향상해야 한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analyze factors determining technical efficiency in the world steel industry. We also try to find out the effect of technical efficiency on steel firms' profitability. For this purpose, we use an extensive data set of 260 steel firms in the world during the period 1993-2002. The technical efficiency of the world steel industry estimated by a stochastic frontier production function model is 0.76 on average. The major determinants of technical efficiency are the capital intensity, the deterioration of plant equipments, the age of the firms, and the operation ratio. We also find that the technical efficiency has significant effects on operating income. This implies that steel firms make technical efficiency progress in order to get higher profitability.

      • KCI등재

        R&D투자와 수출의 생산효율성 제고 효과-SFA기법을 활용한 실증분석-

        신범철,이의영 한국기업경영학회 2010 기업경영연구 Vol.17 No.1

        This paper empirically examines determinants of technical efficiency of Korean manufacturing firms over the period 2000~2005, focusing on the effects of R&D expenditure and exports. In particular, the paper comparatively analyzes the technical efficiency of large firms and SMEs (small medium sized enterprises) by using the micro panel data. Two main approaches to the systematic measurement of production technical efficiency have been developed in the economic literature: DEA (data envelopment analysis) and SFA (stochastic frontier analysis). The former involves the application of the linear programming technique to trace the efficiency frontier, while the latter applies the econometric technique to estimating the various production frontiers. However, the usefulness of DEA for modeling technical efficiencies has been controversial, specially among econometricians. The main drawback of DEA is that any deviation of an observation from the production frontier must be attributed to inefficiency. Therefore, there is no provision for statistical noise or measurement error in the model. For this reason, we employ parametric SFA to measure the technical efficiencies. In analyzing the technical production efficiency, many studies employ two-step estimation method. In the first step, they estimate a stochastic production function and predict firm level efficiencies using various forms of production functions. Then, in the second step, the predicted efficiencies are regressed on firm-specific variables in identifying any sources for differences in predicted efficiencies across firms. However, the two-step method can suffer an inconsistency problem caused by assuming individual independence of the inefficiency effects in both estimation stages. To alleviate this inconsistency problem, we estimate simultaneously a stochastic frontier production function and the technical inefficiency model by the 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The empirical results of the paper can be summarized as followings. First, the empirical results suggest that ignoring firm-specific heterogeneity in estimation of production function allowing for technical inefficiencies may lead to biased estimates of technical inefficiency. Second, production technology of manufacturing firms during the sample period is found to be progressive and translog production function can represent firm technology better than Cobb-Douglas production function could. Given the translog production function, the hypothesis that manufacturing firms have no technical inefficiency can be rejected statistically. This implies that the stochastic fron tier approach might be more appropriate rather than the standard production function approach. Third, exports expansion would not lead to an increase in technical efficiency of manufacturing firms over the period after Korea's financial crisis. Fourth the empirical results suggest that there is an inverse U shape of non-linear relationship between technical inefficiencies and the size of the firm. This implies that an expansion of firm size may worsen production technical efficiency over some level of firm size. Finally, the empirical results show that R&D expenditure would be positively associated with technical efficiency in small and medium sized firms but not in large firms. This suggests that government subsidy for enhancing productivity would be more effective in small and medium sized firms than in large firms. 이 논문은 2000~2005년 기간 동안 한국 제조업체의 R&D투자와 수출의 확대가 생산의 기술적 효율성에 미치는 효과를 확률변경분석(SFA) 기법을 활용하여 실증·분석하였다. 특히, R&D집중도와 수출비중이 생산효율성에 미치는 효과를 중소기업과 대기업을 구분하여 비교하였다. 이 연구의 핵심적인 결과를 요약하면, 우선 수출과 R&D, 그리고 생산성간의 관계를 분석함에 있어서 기업 간 기술적 이질성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따라서 산업별 기술적 효율성에 관한 분석만으로 기업의 고유한 특수적 상이성을 파악하는데 한계가 있음을 보이고 있다. 둘째, 고려된 표본기간 내에서 국내 제조업체의 생산기술은 기술진보적이며 콥-더글라스 형태보다는 초월대수 생산함수가 보다 적합함이 통계적으로 나타났다. 또한 고려된 모든 유형의 생산함수에서 기술적 비효율성이 없다는 귀무가설이 통계적으로 기각될 수 있었다. 이는 국내 기업들이 비효율적으로 생산하기 때문에 일반적인 생산함수를 사용하는 것보다 확률변경 생산함수를 사용하여 추정하는 것이 보다 적합함을 의미한다. 셋째, 전체적으로 수출비중은 통계적으로 기술적 효율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기업의 매출액 대비 수출 증가가 기업의 생산 효율성을 오히려 떨어뜨린다는 것이다. 이 결과는 한국의 수출 증대가 생산성 향상과 고용 증가를 유발한다고 하더라도 기술적 효율성에는 오히려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시사한다. 넷째, 생산의 기술적 효율성과 기업규모는 逆U자형의 비선형관계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업규모가 확대됨에 따라 생산의 효율성이 증대되지만 일정 수준 이상으로 확대될 경우 오히려 효율성은 증가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제조업체 전반적으로 R&D집중도는 생산효율성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규모에 따라 구분해서 보면 R&D집중도 증가가 중소기업에서는 생산효율성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나지만 대기업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정부의 R&D 지원이 대기업 보다는 중소기업에서 생산효율성 제고 효과가 크게 발생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RCC/RSC별 운영효율성 분석

        금종수,장운재 한국항해항만학회 2005 한국항해항만학회지 Vol.29 No.3

        본 연구는 우리나라 RCC/RSC의 효율성은 전체 기술적 효율성, 순수 기술적 효율성과 규모의 효율성으로 구분하여 측정 평가하였다. RCC/RSC의 전체 기술적 효율성은 평균 91.03% 수준이었으며, 순수 기술적 효율성은 96.80%로 나타났고 규모의 효율성은 93.83%로 전체 기술적 효율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것은 생산규모에 따른 비효율성보다는 자원의 비효율적인 운영에 따른 효율성에 큰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규모에 대한 수익체감은 통영RSC, 수익체중은 인천, 태안, 군산, 여수, 울산, 동해 등의 RCC/RSC로 나타났다. 따라서 효율성이 낮은 RCC/RSC는 효율성이 높은 준거집단을 참조하여 벤치마킹을 해야 한다. This paper aims to measure and evaluates the technical efficiency, pure technical efficiency and scale efficiency with two inputs and four outputs with the use of DEA(Data Envelopment Analysis) in Korean RCC(Rescue Co-ordination Center)/RSC(Rescue Sub Center). Several conclusion emerge, first the average efficiency of overall technical efficiency measure about 91.03% and pure technical efficiency 96.80% is much large then scale efficiency 93.83%. It means that inefficiency has much more to do whit the inefficient utilization of resources rather then the scale of production, second, DRS(decreasing return to scale) is Tongyeong and IRS(increasing return to scale) is Incheon, Taean, Gunsan, Yeosu, Ulsan, Donghae in RCC/RSC, finally, inefficiency RCC/RSC have to benchmarking with reference sets.

      • KCI등재후보

        우리나라 회계법인의 효율성에 관한 연구

        김주택(Kim, Ju-Taek) 글로벌경영학회 2012 글로벌경영학회지 Vol.9 No.3

        본 연구는 2011년 3월 현재 우리나라 123개 전체 회계법인의 기술적 효율성, 순기술적 효율성 및 규모의 효율성을 회계법인의 사업보고서를 중심으로 분석한다. 기존의 회계법인에 대한 효율성 분석은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회계법인 전체에 대한 효율성만 측정되어 회계법인 각각의 효율성과 비효율성을 알기에는 부족함이 있었다. 그러나 본 연구는 DEA분석방법을 사용하여 각 회계법인의 상대적 효율성과 준거집단 및 효율성 있는 회계법인이 되기 위한 람다 값을 제시하여 기존의 연구와 차이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투입변수로서 회계법인의 총 직원수, 자산금액을 산출변수로 회계법인의 감사수입, 세무수입, 컨설팅수입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우리나라 회계법인의 효율성의 평균은 0.6517이며 비효율성은 0.3483으로 나타났고, 123개 회계법인 중 기술적 효율성, 순기술적 효율성 및 규모 효율성이 우수하게 나타난 것은 10개 회계법인 이고 나머지 113개 회계법인은 비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nalyzed organizational efficiency in terms of technical, pure, and scale efficiency toward Korean s 123 accounting firms in 2011. Efficiency analysis about existing accounting firms was not enough to understand about efficiency and inefficiency of each accounting firms by analyzing through regression analysis in entire accounting firms, this problem can be solve. However, this study is different with other existing studies. This study used DEA analysis to identify relative efficiency toward Korean accounting firms and suggested Lamda value to become a benchmarking group and an efficient organization. In this study, the input variable were accounting firm s total number of employees and asset. Accounting firm s audit fee, tax service, consulting service were used for output variable As a result, among 124 accounting firms, 10 firms proved excellence for technical efficiency, pure technical efficiency and scale efficiency.

      • KCI등재

        시내버스 운송업의 기술적 효율성 분석 : 버스준공영제 시행 이전과 이후 비교

        권용재,이재민 한국교통연구원 2019 交通硏究 Vol.26 No.2

        In this study, we analyze how the technical efficiency of the city bus transportation industry is affected by the semi public operating system using the stochastic frontier production function and the first order stochastic dominance. Using the transportation industry survey data of Microdata Integrated Service in Statistics Korea in 2004 and 2014, we construct the technical efficiency indices of six metropolitan cites and the other regions using stochastic frontier production function. Then, we analyze the first-order stochastic dominance of the indices in six metropolitan cities and the other regions applying the Kolmogorov- Smirnov test.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technical efficiency indices of the six metropolitan cities are lower than those of the other regions in 2004. However, we find that the technical efficiency indices of the six metropolitan cities are higher than those of the other regions in 2014. We also find that the technical efficiency of the six metropolitan cities increases from 2004 to 2014 while the opposite is found from the other regions. We conclude that the technological efficiency of the city bus transportation industry is increasing through the semi public operating system such as the joint management of revenue, the reorganization of the fare system, the introduction of the bus operation management system and the management and service evaluation of operating companies. 본 연구에서는 준공영제 시행으로 인하여 시내버스 운송업의 기술적 효율성(technical efficiency)이 어떻게 변화되고 있는 지를 확률적경계 생산함수(stochastic frontier production function)와 1계 확률적 우위(first order stochastic dominance)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2004년과 2014년의 통계청 마이크로데이터의 운수업통계조사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준공영제가 시행되고 있는 6대 특별시 및 광역시와 그렇지 않은 다른 지역의 시내버스 운송업의 기술적 효율성 계수를 확률적경계 생산함수를 이용하여 구축하였다. 또한 6대 특별시 및 광역시와 다른 지역의 기술적 효율성 계수의 1계 확률적 우위를 누적분포함수(cumulative distribution function)와 Kolmogorov-Smirnov 검정을 통해 분석하였다. 검증결과에 따르면 2004년에는 다른 지역의 기술적 효율성 계수가 6대 특별시 및 광역시의 그것보다 높게 분석되었고 2014년에는 6대 특별시 및 광역시의 기술적 효율성 계수가 높게 산정되었다. 또한 2004년에 비해 2014년에는 6대 광역시 및 특별시의 기술적 효율성 계수가 증가하였지만 다른 지역의 기술적 효율성 계수는 오히려 감소하였다. 결국 준공영제 시행으로 인한 수입금공동관리제, 요금체계 개편, 버스운행관리시스템 도입 및 운행업체 경영 및 서비스 평가를 통해 시내버스 운송업의 기술적 효율성이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중국진출 국내기업의 기술적 효율성 분석

        박성훈,이수행 한국지역학회 2014 지역연구 Vol.30 No.2

        본 연구는 중국진출 한국기업들을 ‘국내복귀’ 및 ‘비국내복귀’기업들로 분류하여 확률변경생산함수를 추정한다. 이를 근거로 기술적 효율성을 분석한 후, 기술적 효율성과 관련되는 변수들을 확인한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설문조사 자료는 중국 성(province)별로 진출해 있는 한국기업수의 비중을 고려하여 무작위로 추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국내 복귀기업들의 기술적 효율성이 국내복귀를 고려하는 기업들에 비해 높다. 둘째, 경공업에 비해 중공업의 기술적 효율성이 높다. 셋째, 기술적 효율성과 관련이 되는 요인들을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i) 중국현지 매출액이 높은 기업들의 기술적 효율성이 높다; (ii) 엄격한 법률은 기술적 효율성과 음의 관계를 갖는다; (iii) 기술 경쟁력은 기술적 효율성과 양의 관계를 갖는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중국진출 국내기업들과 관련된 정부의 정책수립에 있어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estimates stochastic frontier production functions (SFPF) for Korean manufacturing sector of China after categorizing the firms into two types: U-turn firms and non-U-turn firms. Based on the estimation, we analyze technical efficiency for U-turn firms and non-U-turn firms, respectively. Then, we analyze the factors which have partial correlation coefficient with technical efficiency. The stochastic frontier production model is applied to questionnaire-survey data set of 15 provinces in China. Main result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echnical efficiency of non-U-turn firms is higher than that of U-turn firms. Second, the partial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echnical efficiency and China’s environmental regulation takes on a negative value. Third, the partial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echnical efficiency and firm’s sales in China takes on a positive value. Fourth, in the partial correlation, technical efficiency and technology competitiveness are positively correlated.

      • KCI등재

        정부소유지분과 기업의 기술적 효율성에 관한 연구

        김대욱(Kim Dae-Wook),정웅태(Chung, Woong-Tae),최우진(Choi, Woo-Jin) 한국규제학회 2013 규제연구 Vol.22 No.2

        본 연구는 석유기업의 기술적 효율성에 미치는 구조적 요인과 제도적 요인을 분석한다. 이를 위해서 먼저 석유기업의 기술적 효율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이론적으로 살펴보고, 어떠한 요인이 석유기업의 기술적 효율성의 차이에 중요한 영향을 주는지에 관한 실증적인 분석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2000년~2008년까지 Energy Intelligence의 Top 100 Ranking the World Oil Companies의 자료를 사용하여, 석유기업의 기술적 효율성을 확률적 프론티어(stochastic frontier) 모형을 사용하여 분석한다. 회귀분석결과에 의하면, 기업의 기술적 효율성에 영향을 미치는 제도적 요인과 구조적 요인 중에서 기업의 수평적 또는 수직적 다각화는 기업의 효율성 증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에 비해서 석유기업에 대한 정부소유지분의 증가는 기업의 효율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는 추정모형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우리나라의 국영석유기업에 대한 정부소유지분의 축소는 기업의 효율성 증대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우리나라의 국영석유기업에 대한 수직적 계열화 또는 수평적 다각화 조치도 기업의 기술적 효율성을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검토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analyzes the institutional and structural factors which impact on the technical efficiencies of Oil Companies. In order to identify the variables that induce technical inefficiencies of oil companies, we make use of Stochastic Frontier models using data from “Top 100 Ranking the World Oil Companies" by Energy Intelligence from 2000 to 2008. Our empirical findings suggest that government ownership adversely affects on firm efficiency which is consistent with those of prior researches such as Al-Obaidan and Schully(1991), Hartely and Medlock(2007) and Wolf and Pollitt(2008). However, vertical integration and firm diversification are positively, but weekly, associated with firms efficiencies, depending the dependant variable employed. These results largely imply that oil market liberalization is likely to improve market perform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