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 글쓰기 첨삭교육의 고찰 : 중앙대학교 글쓰기 교과목을 중심으로

        신현규(Shin, Hyun-gyu) 한국문화융합학회 2013 문화와 융합 Vol.35 No.-

        이 글은 중앙대 교양과정으로서의 글쓰기 교육 현황과 첨삭교육을 중심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대학 교양과정에서 글쓰기 첨삭 교육은‘ 글쓰기’ 교과목 존재의 이유로 간주될 정도로 중요하다. 어떠한 방식이든 교수자는 첨삭교육을 필수적으로 선택해야 한다. 그러나 대학의 교양 필수 교과인 글쓰기 교육은 대부분 15~16주 1학기로만 편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글쓰기 교육뿐 만 아니라 첨삭지도도 한정된 교육이 되는 셈이다. 짧은 기간에 글쓰기의 향상을 위한 지도에 교수자로서는 고민이 많다. 반면에 학습자로서는 자신의 글을 교수자의 지적에 기대감이 높다. 학습자들은 대부분 중등교육과정에서 논술의 첨삭을 받아왔기 때문이다. 중앙대 교양과정으로서의 글쓰기 첨삭 지도는 서면첨삭과 대면첨삭, 협력첨삭, 상호첨삭, 자기첨삭 등을 제시한다. 필수적으로 첨삭 2회 이상을 부여된다. 중앙대에서 실시하는 합평 글쓰기는 ‘첨삭 피드백-고쳐쓰기 지’ 에 응용될 가능성을 지닌다. 첨삭 피드백-고쳐쓰기 수업 모형은 학습자가 처음 초고를 쓴 이후 최종 평가가 있기까지 총 3회의 고쳐쓰기를 하게 된다. 자기 피드백을 통해 필자의 의도와 텍스트 간의 거리를 일치시키고, 동료피드백을 통해 독자의 필자간의 거리를 줄이고, 마지막으로 전문 교수자의 첨삭으로 완성된 글을 만드는 것이다. 대학별 글쓰기 교육에서 첨삭 교육의 실제적 방법과 실증적인 사례를 상호 공유해서 “글쓰기 첨삭 교육의 소통”이 필요하다. 향후 이에 대한 대학 간의 연구모임을 통한 연구의 활성화도 아울러 기대한다. Chung-Ang University as a cultural process of writing this article is educational status and discuss the mark-centered education. Markeducational liberal arts university in the process of writing a ‘writing’ courses is important enough to be considered for reasons of existence. Mark-educated professor who in no way essential or must be selected. However, the required curriculum in liberal arts university writing education is mostly organized from 15 to 16 weeks to be only one semester. Because of this, as well as writing education is a limited education is a mark- count of the map. Writing a short period of time as a teacher on the map for improving the lot of worry. On the other hand, the student teacher as pointed out in his article, expectations are high. Most students in secondary education is the essay’s because of the markto accept. Chung-Ang University as a liberal arts courses and face-to-face writing mark-mark-mark-map, in writing, mark-cooperation, cross-mark-, his mark- and presented. Essentially more than twice the mark-assigned. Writing is conducted at Chung-Ang University happyeong ‘markfeedback - rewrite map’ the potential to be applied. Mark-feedbackclass model of the learner rewrite after writing the first draft to the final assessment there will be a total of three times rewriting. The author’s intentions and his feedback to match the distance between the text and the reader through peer feedback to reduce the distance between the author, the last of the mark-professional staff will make the finished article. Writing College practical way of education and training in the markempirical cross-sharing practices “mark-writing communication education” is needed. For the next meeting between the University through research studies as well as the activation is expected.

      • 대학 글쓰기센터 운영의 방향성 연구

        황성근 ( Hwang Seong-keun ) 숙명여자대학교 교양교육연구소 2021 교양교육과 시민 Vol.4 No.-

        대학의 글쓰기센터는 글쓰기에 대한 상담 또는 지도를 수행하고 학생들의 글쓰기 능력을 배양하는데 기본적인 목적을 둔다. 그러나 글쓰기센터의 운영은 대학의 사정 또는 특성에 따라 다양하게 전개된다. 글쓰기센터는 개별적 순수 글쓰기 상담과 교과 연계형 상담, 글쓰기에 대한 특강이나 경진대회의 프로그램을 실시한다. 그러나 적지 않은 대학이 교과 연계형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운영하는 경향이 있다. 교과 연계형 프로그램은 글쓰기센터가 교과의 종속적인 경향을 띠게 하고 센터로서의 정체성에 대한 의문을 갖게 만든다. 그리고 글쓰기에 대한 강의나 경진대회가 학생들의 글쓰기 능력향상과 실질적인 접목이 되는지도 의문이다. 글쓰기센터의 상담인력 또한 전문성을 지니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글쓰기센터는 글쓰기에 대한 효과적인 상담을 위해 온라인과 오프라인이란 이원화할 필요가 있으며, 상담인력의 단계화는 물론 학생들의 글쓰기 이력화작업도 병행되어야 한다. 그리고 개별적 글쓰기상담을 기본으로 하되, 교과와 연계해 운영하는 것이 아니라 독립적인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리고 그 프로그램을 이수하면 인증을 하거나 다른 방식의 인증을 받도록 할 필요가 있다. 글쓰기센터는 단순한 연구소나 기구로 접근해서는 안 된다. 글쓰기센터가 대학에서 학생들의 기초능력을 향상시키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려면 말하기와 통합적으로 운영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The university’s writing center provides counseling or guidance on writing and has the basic purpose of cultivating students’ writing skills. However, the operation of the writing center is developed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the circumstances or characteristics of the university. The Writing Center offers individual writing counseling, curriculum-related counseling, and special lectures and competition programs on writing. However, not a few universities tend to focus on curriculum-related counseling programs. The curriculum-related program makes the writing center tend to be subject-dependent and raises questions about its identity as a center. It is also questionable whether lectures and contests on writing can be practically combined with the improvement of students’ writing ability. Counseling staff at the writing center may not have the expertise either. The writing center needs to be divided into online and offline for effective counseling on writing. In addition to grading the counseling staff, the writing history of students should be carried out simultaneously. In addition, it is important to operate an independent program based on individual writing counseling, but not in connection with the curriculum. And when you complete the program in itself, you need to get certified or get certified in another way. The Writing centers should not be approached as mere research institutes or institutions. If the writing center is to play a key role in improving students’ basic abilities in college, it may be desirable to operate it integrated with speaking.

      • KCI등재

        구어 담화를 전제로 한 친교・정서표현 글쓰기 교육의 실제 - ‘라디오에 사연쓰기’를 중심으로

        조성윤 한국교양교육학회 2019 교양교육연구 Vol.13 No.6

        The study aims to explore the meaning of the composition after writing a story on the radio in the composition class and extracting the characteristics and strategies of the composition based on colloquial speech based on the radio context data calculated by the students. To this end, three characteristics of the radio story were extracted by analyzing the results of writing after carrying out the story writing assignment on radio in the 1st semester of 2019 at A university. First, radio stories at the material and background levels tended to create an atmosphere for themselves and have a background in the present, mainly talking about themselves. Therefore, materials and themes that can express themselves with the most confidence at present can be selected, and a composition strategy that considers readers with the most objective eyes can be proposed. Second, radio stories at the composition and development levels showed rapid development in that their stories were disclosed to an unspecified number of people, and that they used refined spoken words, showing friendly writing with both readers and listeners in mind. Therefore, a composition strategy based on this can be proposed to include dramatic elements by performing a summary and speedy development. Third, radio stories, on the level of style and expression, used a lot of direct speech and short sentence length, were written to communicate vividly and read easily, and showed the maximum expression of writing to convey one's thoughts well using special symbols, letters, emoticons, etc. Therefore, the expression method for clearly reflecting the situation of the colloquial language on the basis of it is used as much as possible, but a composition strategy performed on an appropriate line can be proposed. Under the premise of spoken language, the "Radio-writing", friendly and emotional expression writing education, has three meanings: First, the need and awareness of daily friendly and emotional expression writing education can be enhanced. Second, It is possible to cultivate a correct cultural consciousness based on colloquial discourse. Third, it can provide various writing experiences for media and audience targets. 이 연구는 글쓰기 수업에서 라디오에 사연쓰기를 해보고, 학생들이 산출한 라디오 사연 자료를 바탕으로 구어 담화를 전제로 한 친교・정서표현 글쓰기의 특징과 전략을 추출해 본 후, 이러한 글쓰기를 교육할 때의 의미를 탐색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2019년 1학기 A대학교 글쓰기 교양 강좌에서 라디오에 사연쓰기 과제를 수행해 보고, 관련 수업을 한 후, 글쓰기 결과물을 분석하여 라디오 사연의 3가지 특징을 추출하였다. 첫째, 소재 및 배경 층위에서 라디오 사연은 자기 자신에 대한 이야기를 주로 하면서, 자신을 위한 분위기를 조성하고, 시간적 배경을 현재에 두고 있는 경향이 컸다. 따라서 이를 토대로 현재의 시점에서 가장 자신감 있게 자신을 표현할 수 있는 소재 및 주제를 선정하고, 최대한 객관적인 눈으로 독자를 고려한 글쓰기 전략을 제안할 수 있다. 둘째, 구성 및 전개 층위에서 라디오 사연은 자신의 사연이 불특정 다수에게 구어로 공개된다는 점에서 빠른 전개를 보였고, 정제된 구어를 사용하면서, 사연을 대신 읽어주는 자와 다수의 청취자 모두를 염두에 두는, 친교의 글쓰기의 모습을 보였다. 따라서 이를 토대로 요약적이고 빠른 전개를 이루면서 극적인 요소를 넣는 글쓰기 전략을 제안할 수 있다. 셋째, 문체 및 표현 층위에서 라디오 사연은 직접화법을 많이 사용하고 문장의 길이를 짧게 하여, 생생하게 전달하고 쉽게 읽히도록 작성한 것이 많았으며, 특수한 부호와 문자, 이모티콘 등을 사용하여 자신의 생각을 잘 전달하기 위한, 글로써의 최대한의 표현을 하는 모습을 보였다. 따라서 이를 토대로 구어의 상황을 잘 반영하여 생생하게 전달하기 위한 표현 기법을 최대한 잘 사용하되 적절한 선에서 이루어지는 글쓰기 전략을 제안할 수 있다. 이처럼 구어 담화를 전제로 한 친교・정서표현 글쓰기인 ‘라디오에 사연쓰기’ 교육은 다음의3가지 의미를 지닌다. 첫째, 일상의 친교・정서표현 글쓰기 교육에 대한 필요성 및 인식을 제고할 수 있다. 둘째, 구어 담화를 전제로 하는 올바른 글쓰기 문화 의식을 함양할 수 있다. 셋째, 매체・청자 대상의 다양한 글쓰기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 KCI우수등재

        한국 대학생 글쓰기 동기 척도 개발을 위한 예비 연구

        김경미,박주용 한국심리학회 2020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39 No.1

        Writing is a demanding task which requires a great deal of cognitive effort, and therefore developing the motivation to write is important in education. In the present study, we developed and validated the Writing Motivation Scale for Korean college students. Based on existing instruments that measure writer’s beliefs and attitudes, we defined six main constructs of writing motivation and generated 37 items to measure them. The Writing Motivation Scale was administered to 183 undergraduate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vealed that the Writing Motivation Scale consisted of 24 items with four factors: Writing Self-efficacy, Writing Affect, Writing to Think, and Writing Gift. In order to explore its construct validity, 297 undergraduates completed the inventory of the refined Writing Motivation Scale and its related scale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uggested an acceptable fit to a four-factor model. Writing Self-efficacy, Writing Affect and Writing to Think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sub-scales of Surface Writing Approach and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those of Deep Writing Approach. Writing Gift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only the External Motive of Surface Writing Approach. Lastly,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reported findings are discussed. 글쓰기는 많은 인지적 부담이 요구되기에, 그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한 동력인 글쓰기 동기를 발달시키는 것은 중요한 교육 과업 중 하나이다. 이를 위한 기초 작업으로 본 연구에서는 한 국 대학생들의 글쓰기에 대한 동기적 신념 및 태도를 측정하는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하였 다. 연구 1에서는 선행 연구 검토를 통해 글쓰기 동기를 이루는 주요 구성개념을 정의하고 이를 측정할 37개의 문항을 작성했다. 사전 조사와 예비 조사를 통해, 13개의 문항을 제거하 고 24개 문항을 도출하였고, ‘글쓰기 자기효능감’, ‘글쓰기 정서’, ‘생각을 위한 글쓰기’, ‘글쓰 기 재능 부정’의 4개 요인으로 구성된 척도를 개발하였다. 연구 2에서 새로운 표본을 대상으 로 글쓰기 동기 척도의 구성타당도를 확인한 결과, 4요인 모형 적합도는 수용 가능한 수준으 로 나타났다. ‘글쓰기 자기효능감’, ‘글쓰기 정서’, ‘생각을 위한 글쓰기’는 글쓰기에 대한 심 층적인 전략과 동기를 측정한 ‘쓰기효능감’, ‘학습도구로서의 글쓰기’, ‘독자민감성’, ‘의미구 성’과는 정적 상관을, 표층적인 전략과 동기를 측정한 ‘즉흥성/무계획성’과 ‘외재동기’와는 부 적 상관을 보였다. 반면, ‘글쓰기 재능 부정’은 ‘외재동기’와만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끝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척도의 의의와 제한점 및 후속 연구의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문학 비평 글쓰기에서의 대화주의적 원리

        김현정 ( Hyeon Jeong Kim ) 한국문학연구학회 2010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40

        최근 많은 대학이 글쓰기 교육에 대해 높은 관심을 가지고, 글쓰기 교육을 강화함에 따라, 글쓰기 이론에 대한 연구가 본격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글쓰기 이론 중에서도 최근 부각되고 있는 이론은 대화주의 이론이다. 바흐친의 이론으로부터 영향을 받은 대화주의 이론은 모든 글쓰기에 적용이 가능하지만, 문학 비평 글쓰기에 더 적합하다. 문학 비평 글쓰기에서 찾아볼 수 있는 대화주의적 원리를 살펴보면, 비평 주체가 끊임없이 타자와 대화적 상호 관계를 통해 의미를 형성한다. 그리고 문학 비평 글쓰기의 대상 텍스트를 읽을 때에나 비평 글쓰기를 할 때에 적극적으로 상호텍스트성을 활용한다는 특성이 있다. 또한 문학 비평 글쓰기는 대상 텍스트의 다성성으로 인해 동일 텍스트임에도 불구하고 비평 주체와 상황에 따라 다양한 해석이 가능하지만, 다양한 해석은 어디까지나 담화 공동체의 관습을 존중해야 함을 살펴볼 수 있었다. 이러한 문학 비평 글쓰기의 대화주의적 원리를 이해한다면, 결과로서의 문학 비평 글쓰기뿐만 아니라 과정으로서의 문학 비평 글쓰기를 효과적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In recent years, many universities have paid attention to writing education. Because of raising the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writing education, researchers got down to study writing theories. The Dialogic Theory of Writing is worthy of notice among many theories of writing. Bakhtin`s dialogic theory of writing is applied to all sorts of writing. But the dialogic theory of writing is suited to literary critical writing. The dialogic principles of literary critical writing is that critical Subject constantly formation meaning through dialogic interrelationship. Also, the reader or writer makes the best use of intertextuality. And the same text with polyphony has various interpretations depending on the critical subject and situation. If we can understand the dialogic characteristics of literary criticisms, we can make sense of the literary criticisms as the result and as the process.

      • KCI등재

        대학 글쓰기센터 운영의 현황과 과제

        임선애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17 리터러시 연구 Vol.- No.21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글쓰기센터의 운영 현황을 점검하고 과제를 제시하는 데 있다. 구체적인 논의는 우리나라 대학들보다 역사가 깊은 미국 대학 글쓰기센터의 운영 현황을 통해서 그 특징을 살피고, 국내 대학들의 글쓰기센터 운영 현황을 통해서 과제를 제시하는 과정을 거친다. 2017년 현재 대부분의 한국 대학에서 글쓰기 관련 교과목을 필수로 지정해서, 학생들의 글쓰기 능력을 기르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글쓰기센터의 설치·운영을 통해 글쓰기 관련 학습지원을 강화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1999년부터 글쓰기센터의 필요성에 대한 논의가 시작되었고, 2000년에는 문화관광부 지원으로 미국, 영국, 호주/뉴질랜드 대학을 중심으로 글쓰기센터 운영에 관한 광범위한 조사 연구가 있었다. 이후 2006년과 2007년에 서울대와 연세대를 시작으로 글쓰기센터를 설치하는 대학들이 점점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그 중에는 ACE사업 지원으로 글쓰기센터를 설치·운영하는 대학들이 다수이다. 일부 대학의 교수자들은 글쓰기센터의 운영 성과들을 학술 논문 형식으로 발표하고 있어서, 대학별 운영 현황을 파악하는 데 도움을 준다. 미국 대학의 경우, 글쓰기센터장은 글쓰기교육 전문가가 맡아서 운영하고, 글쓰기센터 전용 홈페이지를 갖추어 다양한 자료를 게시하고 있으며, 글쓰기 관련 교과목뿐만 아니라 다양한 글쓰기 프로그램을 지원하고, 타 대학/기관과 프로그램을 공유하는 등 안정성과 지속성이 글쓰기센터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한국 대학의 경우, 글쓰기센터장은 보직의 형식으로 순환되기 때문에 센터장이 글쓰기 교육 전문가가 아닐 경우가 많다. 글쓰기센터 전용 홈페이지를 갖춘 대학도 있지만, ACE사업의 하위 프로그램으로 운영되기 때문에 전용 홈페이지를 제대로 갖추지 못한 대학들도 있다. 홈페이지를 갖추고 있는 대학들도 홈페이지상에 학생들과 교수자가 참고할 만한 글쓰기 교육 자료를 풍부하게 갖춘 대학들도 드문 형편이다. 예산 문제로 글쓰기 관련 교과목 지원이 제한적인 대학들도 있다. 타 대학/기관과의 프로그램 공유 또한 거의 없는 편이다. 따라서 글쓰기센터장의 전문성, 전용 홈페이지 및 교육 자료 구축, 글쓰기 교과목에 대한 풍부한 지원, 학생과 교수자를 위한 글쓰기 교육프로그램의 다양화, 타 대학/기관과의 프로그램 공유 등을 대학 글쓰기센터 운영의 과제로 제시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heck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university writing centres and to present the tasks. The detailed discussion explor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U.S. University of Education, which is a deeper history than the Korean universities. and through the operational status of domestic universities, it is through the process of presenting tasks. By 2017, most Korean universities have been trying to cultivate their writing skills by designating a curriculum that is relevant to most Korean universities. Moreover, it has strengthened the learning support associated with writing and operating the writing center In the case of Korea, discussions on the necessity of writing centers began in 1999 and in 2000, there was extensive research on the operation of the Center for Writing Center Operations in the United States, England and Australia. Since then, universities in Seoul and Yonsei University have begun increasing the number of universities starting in 2006 and 2007.Among them, there are many universities that install and operate a writing center with support for the ACE. Some university graduates report the operational results of writing centers in the form of academic journals, helping to determine the operational status of universities. In American Universities, Director of Writing center is writing education experts take charge of it. The website is dedicated to publishing a variety of materials. Various writing programs are supported as well as writing related subjects. Safety and sustainability are characteristics of the writing center, including sharing programs with other colleges and agencies. Korean universities also need to benchmark this point.

      • KCI등재

        국내 글쓰기 관련 박사학위논문 현황 및 시사점

        김현정 동남어문학회 2021 동남어문논집 Vol.1 No.5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doctoral dissertations related to writing at domestic universities and to suggest implications based on them. To this end, statistical analysis and text mining were conducted using SPSS 26 and R program on 211 doctoral dissertations collected through the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RIS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re were only 21 writing-related doctoral dissertations until 2005, but the number increased significantly to 55 between 2006 and 2010, and 83 between 2011 and 2015.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doctoral dissertations related to writing were published in various academic fields. At this time, detailed topics were mainly related to writing education, and other studies dealing with writing healing and writing characteristics in the digital age also appeared. There are two major implications drawn from these analysis results. First, in addition to teaching methods of writing,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to deeply explore writing theories such as writing cognitive processes and principles. Second, since writing has a foundation as a field of convergence research, it is necessary to conduct convergence research with various academic field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was possible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writing researchers by limiting the research subject to a doctoral dissertation.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can be used as a major basic data for researchers who want to make writing the subject of their thesis. 이 논문은 국내 대학의 글쓰기 관련 박사학위논문의 현황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를 통해 수집한 211편의 박사학위논문을 대상으로 SPSS 26과 R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통계분석과 텍스트마이닝을 실시했다. 분석 결과, 글쓰기 관련 박사학위논문은 2005년 이전까지는 21편에 불과했으나, 2006∼2010년에는 55편, 2011∼2015년에는 83편으로 대폭 증가하였다. 또한 글쓰기 관련 박사학위논문은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발표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때 세부 주제는 주로 글쓰기 교육과 관련된 것이며, 글쓰기 치유나 디지털 시대의 글쓰기 특성 등을 다룬 연구들도 등장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통해 도출한 시사점은 크게 두 가지다. 첫째, 글쓰기 교육 방법 이외에 글쓰기 인지 과정과 원리 등과 같은 글쓰기 이론을 깊이 있게 탐구하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글쓰기는 융합 연구 분야로서의 토대를 갖추고 있으므로 다양한 학문 분야와의 융합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박사학위논문으로 연구 대상을 한정하여, 글쓰기 연구자의 배출 현황을 살펴볼 수 있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에 이 연구가 이후 글쓰기를 학위논문의 주제로 삼고자 하는 연구자들에게 주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 KCI등재

        문제설정능력 함양과 PBL(문제중심학습)에 기초한 글쓰기 교육

        송명진(Song Myung Jin) 한국문화융합학회 2020 문화와 융합 Vol.42 No.7

        학습자의 글쓰기에 나타나는 문제점 중의 하나는 글의 가치에 대한 인식 부족이다. 학습자들은 글쓰기 이론 및 방법에 대해 잘 알고 있다. 그러나 실제 글쓰기에서는 신문·뉴스 등의 논의를 그대로 모방하거나 기존의 논의를 답습하는 경우가 지배적이었다. 이는 현실 혹은 기존 논의를 비판적으로 인식하고 이에 기초하여 새로운 문제의식을 창의적으로 기획하는 문제설정능력의 중요성을 간과한 결과다. 이러한 문제설정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본고는 PBL에 기초한 글쓰기 교육을 설계하고자 했다. 그러나 PBL의 일반적 과정을 글쓰기 교육에 그대로 적용할 수 없다. 왜냐하면 교수자에 의해 문제제시가 이루어지는 PBL과 달리, 글쓰기에서 문제제시를 비롯한 문제설정은 학습자에 의해 구성되어야 하기 때문이며 또한 PBL이 그룹활동을 전제로 하는 반면, 글쓰기 교육은 기본적으로 개인별 글쓰기를 전제로 해서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고는 글쓰기 활동을 크게 문제설정과정과 문제해결과정으로 구분하고 문제설정과정에만 제한적으로 PBL을 적용하였다. 이 과정에서 학습자는 그룹활동을 통해 주제 영역을 정하고 조원들과의 토론토의를 통해 주제 영역과 관련된 다양한 자료 및 현실 상황에 대해 논의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주제를 정하게 되면, 주제는 글의 가치적 측면에 더 큰 기여를 할 수 있다. 이상의 내용은 글쓰기의 가장 중요한 요소 가운데 하나인 문제설정과정에 PBL을 적용하는 문제에 대해 논의한 것이다. 글쓰기와 PBL은 모두 학습자의 다양한 역량을 이끌어낼 수 있는 교육 방법이다. 따라서 두 가지 차원을 긴밀하게 연결시킬 수 있는 교육 방법은 21세기가 요구하는 인재를 양성하는 데에 기여할 것이다. One of the challenges faced by learners when writing is their lack of awareness of the value of writing. Learners are familiar with writing theory and methods. However, in practice, it is often the case that they imitate discussions from newspapers and news, or follow existing discussions. This is the result of overlooking the importance of problem posing ability. This study aimed to design writing education based on Problem-Based Learning (PBL) to improve the problem posing ability of learners. However, PBL cannot be applied to writing education. Because problem posing in writing must be performed by learners, unlike in PBL and college writing education is premised on individual writing education. Therefore, this study divided the writing process into two parts: problem posing and problem solving. It applied PBL only to the problem posing part. In this process, learners define the subject area through group activities and discuss various materials and real-life situations related to the subject area with their team members. The theme thus created will contribute to the value aspect of writing. As such, the study discusses the problem of applying PBL to the problem posing process in writing. Writing and PBL are educational methods that can leverage learners diverse competencies, thereby contributing to the cultivation of skills demanded by the 21st century.

      • KCI등재

        학습자 중심 글쓰기 교과커리큘럼 개선 방안 - 경북대학교 <사회과학글쓰기> 교과커리큘럼을 중심으로 -

        박영식 ( Young Sik Park ) 배달말학회 2015 배달말 Vol.57 No.-

        대학에 입학하는 학생 수가 줄어들면서 학사행정이 공급자 중심에서 수요자 중심으로 바뀐 것처럼 대학 수업 역시 교수자 중심에서 학습자 중심으로 바뀌고 있다. 글쓰기 강좌 역시 1990년대까지 통합교과서로 운영하다가 2000년대 이후부터 각 계열별 맞춤형 교과서로 바뀌고 있다. 즉 각 계열별전공 영역과 실생활에 필요한 글쓰기에 초점에 맞춰 글쓰기 교재도 전문적 글쓰기와 실용적 글쓰기에 주안점을 두고 있다. 하지만 글쓰기 교과커리큘럼을 보면 여전히 교수자 중심의 이론 수업에 많은 시간을 할애하고 학습자중심의 참여 수업에는 상대적으로 적은 시간을 할애하고 있다. 이에 본고는 글쓰기 교과커리큘럼을 중심으로 학습자가 좀 더 주도적으로 수업에 참여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려 하였다. 경북대학교 <사회과학글쓰기> 교과커리큘럼을 중심으로 살펴본 결과, 학습자는 여러 가지 글쓰기 교과 항목 중 ``이론 - 실습 - 피드백``을 동시에 수행하는 항목에 상대적으로 더 높은 만족감을 보였다. 그리고 ``이론-실습-피드백``을 동시에 수행하지 않고 이론만 수행한 글쓰기 교과 항목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만족감을 보였다. 즉 학습자는 교수자로부터 많은 내용을 새로 배우는 것보다 적은 내용이라도 학습자가 직접 참여함으로써 터득한 지식을 더 의미 있게 생각한다. 따라서 경북대학교 <사회과학글쓰기> 교과커리큘럼에 있는 다양한 글쓰기 교과 항목 중 몇 개를 줄임으로써 학습자가 수업에 참여할 수 있는 여지를 줄 것을 제안하였다. 경북대학교 글쓰기 교과목뿐만 아니라 다른 대학 글쓰기 교과목 역시 교수자와 학습자가 ``이론 - 실습 -피드백``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도록 글쓰기 교과커리큘럼을 개선하자는 것이다. Just like the academic administration has been changed from the supplier-centered to the consumer-centered as the number of students entering universities is decreased, the university courses are also changing from the teacher-centered to the learner-centered. The writing course was operated on the basis of the integrated textbook till the 1990s while it has been changing to the customized-textbook for each department since the 2000s. In other words, the writing textbooks also place emphasis on the professional writing and practical writing necessary to the actual life and the major area of each department. However, the writing course curriculum still spends lots of time on the teacher-centered theory lesson while spending relatively less time on the learner-centered participation lesson. Thus, this paper aimed to suggest measures for learners to more dominantly participate in classes, focusing on the writing course curriculum. In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Social Science Writing> Curriculum of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learners showed relatively higher satisfaction with the item of performing ``theory-practice-feedback`` at the same time among numerous writing course items. They also showed relatively lower satisfaction with the item of performing theory only without the process of ``theory-practicefeedback`` at the same time. In other words, learners consider the knowledge learnt through participation as more valuable than much more contents newly learnt from teachers. Therefore, it was suggested to give some rooms for learners to participate in classes, by reducing several things from various writing course items in the <Social Science Writing> Curriculum of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On top of the writing course of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many other writing courses of other universities also have to improve the writing course curriculum so that both teachers and learners can smoothly perform the ``theory-practice-feedback``.

      • KCI등재

        <工學글쓰기>의 새로운 位相定立을 위한 考察

        이양숙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0 어문연구(語文硏究) Vol.38 No.3

        This paper aims to suggest a new model about <Engineering Writing> which is offered for engineering students. Engineering Writing is a required subject as one of the many engineering literacy subjects in College of Engineering for Accreditation Board for Engineering Education of Korea. Usually in College of Engineering Writing course as a communi- cation course is composed of 2 steps. The first step is ‘Basic Writing’ as a foundation subject and second step is ‘Engineering Writing’(or Science Writing, Technical Writing) as a higher level only for the students belonging to Science College and Engineering college. It is necessary to devide the students which have different abilities. In addition to the 2 step-course in writing, this paper offers a suggestion for the members of the lessons. In Engineering Writing as a second step, all the students irrelevant to major field of study must be needed to join the members of the lesson. In such a lesson students obtain various ways of thinking, writing, speaking, search- ing and presentations. It is the first merit of this model. And secondly it is efficient to educate ‘problem based learning’ that is required by all faculties of university recently. Above all it can satisfy the College of General Edu- cation which has required education with wide latitude and the College of Engineering which has required education with more technical knowledges. 본 논문은 工學認證制의 施行으로 각 大學에서 開設되고 있는 工學素養科目 중 ‘工學글쓰기’의 새로운 모델을 제시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각 대학에서는 基礎글쓰기의 다음 단계로 專攻連繫型 글쓰기를 상정하고 있으며, 공과대학에서 이에 해당하는 교과목이 ‘工學글쓰기(통칭)’이다. 그간 工學글쓰기는 技術的 글쓰기 및 科學글쓰기 중에서 학교의 사정에 맞게 選擇되어 왔다. 그러나 필자는 基礎글쓰기로 ‘技術的 글쓰기’를 深化글쓰기로 ‘工學글쓰기’를 설정하고, 旣存의 方式과 달리 ‘工學글쓰기’를 모든 專攻에 開放하는 방식을 提案한다. 이와 같은 방식의 長點은 현재 글쓰기 수업의 目標라 할 問題中心學習의 效果를 效率的으로 達成할 수 있다는 것, 敎養領域과 專攻領域이 모두 滿足할 수 있는 授業模型이 됨으로써 敎養의 多樣性과 학생들의 問題解決能力을 向上시키는 方法이 될 수 있다는 점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