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교사 창의성의 의미와 과제

        최미정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0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7 No.1

        창의성에 대한 관심은 학교교육에서 중요한 위치를 담당하고 있는 교사에 대한 관심으로 확대되며 교사 창의성에 대한 연구물들이 속속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물들은 교사 창의성에 대해 조금씩 상이한 견해를 가지고 있으며 교사교육 방향 역시 다르게 접근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연구자는 본고에서 교사 창의성의 의미와 신장 방안을 탐색하기 위해 1) 교사 창의성 연구의 동향은 어떠한가? 2) 교사 창의성의 의미는 무엇인가? 3) 교사 창의성 신장을 위한 교육은 어떻게 이루어질 수 있는가?에 대해 고찰하였다. 교사 창의성 연구의 동향은 교사의 인성특성에 관심을 두는 연구, 창의적 환경조성자로서 교사의 역할에 대한 연구, 교사의 창의적 수업에 관심을 두는 연구로 구분할 수 있었으며 교사 창의성은 ‘교사가 개인의 인성특성을 바탕으로 수업 상황에서 전문성을 발휘하는 것’이라고 정의하였다. 이러한 교사 창의성을 신장할 수 있는 교육은 교사 개인의 창의성 향상을 위한 교육과 아울러 수업 능력 향상 및 수업 평가 능력 향상을 위한 방향으로 전개되어야 할 것이다. The rapid expansion on study of creativity is bringing about concern on teacher creativity. But the view of these studies on teacher creativity is different. The problem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at\ s the recent research trend of teacher creativity? Second, what\ s the implementation of teacher creativity? Third, how can be improving the teacher creativity? It was divided into three points which are the view of personal characteristics of teacher, the view of teacher\ s role on creative environment and teacher\ s creative teaching. On the basis of reexamination of preceding study, teacher creativity is defined that it is display teacher\ s professional competency on teaching, which is on the basis of personal characteristics. The strategies of improvement on teacher creativity are nurturing teacher\ s creativity education and improvement of teaching skill, teaching evaluation.

      • KCI등재

        창의성 신장을 위한 국어과 교수 학습 분석

        李京和 청람어문교육학회 2003 청람어문교육 Vol.26 No.-

        국어과 교육 분야에서도 최근 들어 창의성에 관심을 둔 연구들이 많이 늘고 있다. 이러한 연구들은 국어 사웅 현상과 국어 교육 현상 속 에서 창의성이 갖는 교육적 의미와 구성 요인을 어느 정도 밝혔을 뿐만 아니라, 국어과 교육을 통한 창의성 신장이 가능함을 보여주었다는 점 에서 의미를 갖는다. 그러나 아직 그 논의 수준은 총론 수준에 머문 채, 구체적인 각론 수준으로는 나아가지 못한 상황이다 이와 같은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국어교육의 본질 에서 창의성과의 관련성을 이끌어내는 노력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는 국어과 창의성 프로그램이나 교수 학습 자료들만으로는 창의성 신장을 위한 모색이 부족함을 의미한다. 게다가 창의성 신장을 위해 개발된 자료와 국어과 교수 학습 과정 사이의 불일치라는 난점을 안고 있다. 따라서 이의 해결을 위해 연구자는 4개의 국어 수업을 교사의 질문, 교사의 반응, 수업 참여 구조의 기준에 따라 국어 교수 학습 과정에서 일어나는 언어적 상호작용 양상을 관찰하고 기술하였다. 교사의 질문 양상에서는 창의력을 돕는 질문보다 창의력을 저해하는 칠문 유형이 많았다. 창의력을 돕는 질문으로는 개방적 질문을 하는 경우, 판단 유보 과정을 부여하는 질문이 있었다. 창의력을 막는 질문으로는 융통성과 개방성을 저해하는 질문, 독창성과 활동성을 저해하는 질문, 정교성을 제해하는 질문이 많았다. 교사의 반응 양상에서는 창의력 신장을 돕는 교사의 반응은 극히 적었고, 창의력 신장을 저해하는 교사의 반응이 많았다. 창의력을 돕는 반응으로는 융통성과 개방성을 촉진하는 반응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교사의 적절하지 못한 반응으로 참의적인 언어 활동이 제대로 이투어지지 못했다. 예를 들면, 동기성과 판단유보가 결여된 반응, 동기성과 활동성을 저해하는 반응, 독창성을 방해하는 반응 등을 볼 수 있었다. 한편 교사와 학생간의 수업 대화 구조를 살펴보면, 주로 교사 주도로 수업이 이루어지고, 학생의 질문이 매우 적었다. 주로 정답판을 가진 교사 주도 참여 구조나 비개방적인 교사 주도 참여 구조가 이와 같은 수업을 형성한다고 보았다. 반면에 참의적인 수업에서는 화제 선택권이 학생에게 개방되어 있고, 순서 교대도 학생에게 개방되는 학생 주도 참여 구조를 보였다. 그것은 개방성을 지닌 학생 주도 참여 구조와 활동성과 융통성을 촉진하는 학생 주도 참여 구조를 형성하였다. 창의성 교육은 무엇보다도 교사의 주체적이고 창의적인 수업에서 시작되어야 한다. 창의적인 수업을 하고자 하는 국어 교사는 창의성을 자극하는 철문 기법을 수업 상황에 적절히 활용할 수 있고, 학생들의 반응이 창의적인 쪽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안내하고 이끌어줄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창의격인 교사는 학생들의 자율성과 개성을 존중하고 개개인의 능력과 소질에 맞춰 학생 주도의 수업 참여 구조를 통해 호기심과 흥미를 갖게 해야 할 것이다. Lately, there are also many researches on creativity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se researches shows us not only what creativity means and what it is composed of, in Korean language usage and education, but also that it is possible to promote creativity through Korean language education. Creativity promoting programs and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in Korean language lay emphasis on factors which can increase the ability to think creatively in teaching process. But there is discordance between these materials and actual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So I monitored Korean language instructions in 4 elementary schools. my check points in observation were the question of the teacher, the reaction of the teacher and talk interaction which occurred by the criteria of exchange of the topic and turns in Korean language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When I analyzed the questions of the teacher, those affected more often as obstacles rather than as incentives to promote the creativity. In the analysis of the reactions of the teacher, those also affected negatively in promoting the creativity. when I studied the content of the lecture, the teachers played the main role and the student's participations were rare. Creativity education should start in the creative and active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by the teacher. We should reflect ourselves in the aspects of promoting creativity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correct ourselves.

      • KCI등재후보

        영재 담당교사와 일반교사의 창의성 비교

        최병연(Choi, Byung Yeon),박숙희(Park, Sook Hee) 한국영재교육학회 2008 영재와 영재교육 Vol.7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영재학급을 담당하는 교사 집단의 창의성과 일반 학급을 담당하는 교사 집단의 창의성을 비교해보고, 교사의 창의성과 교직 경력간의 상관관계와 담당 교과목에 따른 창의성의 차이를 검증해 보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총 115명의 교사(65명의 영재학급 담당 교사/50명의 일반학급 교사)들에게 TCT-DP를 사용하여 창의성을 검사하였다. 그 결과 첫째, 전체적으로 영재학급 담당 교사(이하 영재교사)의 창의성이 일반학급 담당 교사(이하 일반교사)에 비하여 유의미하게 높았다. 그러나 학교급 별로 비교해 보았을 때는, 초등영재를 담당하는 교사의 창의성이 초등 일반교사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으나 중등학교의 경우는 영재교사와 일반교사 집단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영재담당 교사와 일반교사 집단의 창의성과 교직 경력 간에는 전체적으로 교사의 창의성과 교직경력 간에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영재담당 교사의 경우 창의성과 교직 경력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중등 일반교사집단에서 교사 창의성과 교직 경력 사이에 부적 상관이 있었다. 셋째, 영재담당 교사와 일반교사 집단의 창의성이 담당 교과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기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한 결과, 전체적으로 교사의 창의성은 담당 교과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creativity of teachers of the gifted with the creativity of teachers of the general students. The subjects were 65 teachers of the gifted and 50 teachers) of general students. TCT-DP was used to collect the subjects' creativity.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First, the creativity of teachers of the gifted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teachers of general students as a whole(t=2.34, p<.05). Comparing the groups by the level of teaching, the teachers' creativity of the gifted in elementary school was higher than that of the teachers of general students(t=2.57, p<.05). This difference was not shown in the groups in middle school. Second, overall, the creativity of teachers was negatively correlated(-.32, p<.001) with their teaching careers.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groups in elementary school whereas a nega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eachers of general students in middle school. Third, Comparing the groups by their majo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 KCI등재후보

        교사 창의성의 관련 변인 탐색

        박숙희(Park Sook Hee) 한국영재교육학회 2007 영재와 영재교육 Vol.6 No.2

          창의성 교육에 있어서 교사의 창의성은 매우 중요한 변인으로 여겨진다. 교사 창의성에 관한 기존 연구들은 대부분 교사의 창의적인 능력 그 자체보다는 창의적 수업에 대한 교사의 태도나 인식, 창의성의 개념에 대한 교사의 이해 여부가 학생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분석하는데 그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교사의 창의적인 능력 자체와 관련된 변인을 탐색하기위한 기초 연구가 필요하다.<BR>  본 연구에서는 현직 교사 집단과 비교집단(교직과정 이수자 및 일반 대학생)으로 분류한 총 94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TCT-DP를 실시하고,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창의성과 관련된 변인으로 추정되는 연령, 성별, 학업성취(학부 성적), 교직경력, 담당 교과목(전공) 등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여 교사 집단과 비교집단의 창의성 및 관련 변인에 따른 창의성의 차이를 분석하였다.<BR>  그 결과 교사집단의 창의성은 비교집단의 창의성보다 의미 있게 낮았으며, 교사집단과 비교집단의 창의성은 모두 담당 교과목(전공)의 차이에 따른 창의성의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교사집단의 창의성이 연령, 성별, 학부성적, 교직경력의 차이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남으로써 비교집단과는 다른 양상을 보였다.<BR>  본 연구의 결과는 교사집단의 창의성 관련변인들은 다른 집단의 창의성과는 다른 양상을 가지므로 학생들의 창의성 교육을 위해 교사를 대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현행 창의성 연수 프로그램을 위한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는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ssociate variables with teachers" creativity. Subjects were 94(30 teachers, 31 teachership course students, 33 undergraduate students) in undergraduate & graduate school, H university. The instruments employed here were TCT-DP.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t-test and F-test.<BR>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BR>  First, creativity scores of teacher group were lower than other groups" creativity scores.<BR>  Second, teachers" creativity was shown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ir high and low group of age, grade, teaching careers, and between groups of males and females.<BR>  Therefore, the meaning of this study are to suggest of the new directions in training program for teachers" creativity.

      • 유치원 교사의 창의성과 자아상태의 관계

        노영희,조선희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2013 한국유아교육연구 Vol.15 No.1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의 창의성과 자아상태가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국의 공사립 유치원 교원 300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통하여 교사의 창의성과 자아상태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 유치원 교사의 창의성과 자아상태는 대체로 정적 상관 관계가 있으며 순응적인 아동자아상태는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치원 교사의 자유로운 아동자아상태는 교사 창의성의 하위요인들을 가장 많이 설명하는 영향력을 지닌 것으로 나타났다. 유치원 교사의 창의성 하위 요인과 자아상태간의 상관을 알아 본 결과 다음과 같이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첫째, 유치원 교사의 자유로운 아동자아상태(FC)는 유치원 교사의 창의성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친다. 둘째, 유치원 교사의 순응적인 아동자아상태(AC)는 유치원 교사의 창의성에 부적인 영향을 미친다. 셋째, 유치원 교사의 성인자아상태(A)는 유치원 교사의 창의성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 넷째, 유치원 교사의 양육적인 부모자아상태(NP)는 유치원 교사의 창의성에 비교적 영향을 미친다. 다섯째, 유치원 교사의 비판적인 부모자아상태(CP)는 유치원 교사의 창의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kindergarten teacher's creativity and ego-state. Subjects of the study are 300 kindergarten teachers from the nation wide. Data were gathered by questionnaire methods and analyzed for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 prediction using SPSS 18.0.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kindergarten teacher's creativity and ego-state are considerably correlated. Second, the most powerful predictive factor for kindergarten teacher's creativity is FC(Free Child ego-state). Third, kindergarten teacher's AC(Adapted Child ego-state) is negative predictive factor for kindergarten teacher's creativity. Fourth, kindergarten teacher's A(Adult ego-state) is considerable predictive factor for kindergarten teacher's creativity. Fifth, kindergarten teacher's NP(Nurturing Parent ego-state) is comparative predictive factor for kindergarten teacher's creativity. Sixth, kindergarten teacher's CP(Critical Parent ego-state) is not predictable for kindergarten teacher's creativity.

      • KCI등재후보

        유아 교사의 학력에 따른 창의성 증진을 위한 교사역할 인식과 관련 변인들의 관계

        박숙희 한국영재교육학회 2010 영재와 영재교육 Vol.9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창의성 증진을 위한 교사역할 인식, 담임학급의 유아연령, 학급유아수, 교사의 연령, 경력, 학력, 창의성관련 연수시간, 교사의 창의적 사고, 그리고 창의적 인성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와 창의성 증진을 위한 교사역할 인식에 미치는 독립변인들의 영향력이 유아교사의 학력에 따라 다른 양상을 보이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유아교사 94명을 대상으로 하여 배경변인들에 대한 설문지와 함께 창의성증진을 위한 교사역할 평정척도, TCT-DP, 창의적 인성검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창의성 증진을 위한 교사역할 인식에는 유아교사의 학력에 따른 집단간 평균치의 차이가 없었으나, 창의성 증진을 위한 교사역할 인식과 관련 변인들과의 관계는 교사의 학력에 따라 다른 양상을 보였다. 즉 2∼3년제 대학을 졸업한 교사집단에서는 창의적 사고, 창의적 인성요인이 창의성증진을 위한 교사역할 인식의 하위 요인들과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나, 4년제 이상의 대학을 졸업한 교사집단에서는 이러한 변인들간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또한 2∼3년제 대학을 졸업한 교사집단에서는 교사의 연령과 창의적 인성이 창의성 증진을 위한 교사역할 인식에 대한 유의미한 정적 예언변인이었지만 4년제 이상의 대학을 졸업한 교사집단에서는 그렇지 않았다. 이 연구는 창의성 증진을 위한 교사역할 인식과 관련변인들간의 관계가 유아교사의 학력에 따라 다른 양상을 보인다는 점을 확인함으로써, 향후 창의성관련 연수나 교사교육 프로그램 운영시 교사의 학력변인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among teacher's role recognition for improving young children's creativity and related variables by teacher's education. Subjects were 94 early childhood teachers in the capital regio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eacher's role recognition for improving young children's creativity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teacher's creative personality. But, teachers who graduated from four-year-university and graduated school showed non-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teacher's role recognition for improving young children's creativity and teacher's creative personality, teacher's creative thinking. On the other hand, teachers who graduated from junior college showed positive association between teacher's role recognition for improving young children's creativity and teacher's creative personality, teacher's creative thinking. Second, for teachers who graduated from junior college, teacher's age and teacher's and teacher's creative personality were statistically positive significant factor in predicting teacher's role recognition for improving young children's creativity. However, for teachers who graduated from four-year-university and graduated school, teacher's age and teacher's and teacher's creative personality were found to be non-significant factor in predicting teacher's role recognition for improving young children's creativity.

      • KCI등재후보

        창의성 계발 과학교육을 위한 과학교사 사이버 연수 모형 개발 및 적용

        서혜애,송방호,박종렬,권덕기,윤기순,김순남 한국교원교육학회 2004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1 No.3

        본 연구는 창의성 계발 과학교육을 추구하는 교육개혁을 보다 효율적으로 성취하는 방향을 모색하는 연구로서, 교사 전문성 개발을 위한 효율성 높은 사이버 연수 모형을 개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선행연구를 통해 우리나라 과학교사 대상 연수의 현황 및 행재정 지원체제를 분석했고, 사이버 연수의 현황을 분석하여 개선방향을 탐색했으며, 창의성 계발 과학교육을 위한 사이버 연수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행재정적 지원체제를 모색했으며, 창의성 계발 과학교육 연수에 참여한 교사들의 요구를 조사했다. 또한 한국-이스라엘 창의성 계발 과학교육 연수에 참여한 교사들이 창의성 계발 교수학습방법을 실제 현장에 적용한 사례를 분석했고, 이들의 전문성이 어느 정도 성장되었는지를 분석했다. 이러한 선행연구의 결과에 근거하여 창의성 계발 과학교육을 위한 과학교사 사이버 연수 모형(안)을 개발했으며, 시범운영과정을 통해 개선방안을 탐색한 후, 최종 모형을 개발했다. 본 창의성 계발 과학교육을 위한 과학교사 사이버 연수 모형은 준비, 기초, 실습, 적용, 평가, 심화의 6단계로 구성되며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장점을 최대한 활용하고 연수자 중심 수업현장의 문제를 인식하고 해결책을 모색하는 실제문제 탐구중심학습모형과 구성주의학습이론에 기반을 둔 점이 특징적이다. 또한 참여 교사들이 지도교사로서의 역할을 담당하여 새로이 참여하는 교사들을 지도하고 격려하도록 함으로서 학습자 공동체를 구축하고, 사이버 상 지속적 상호의견 교류 정보교환을 통해 온라인 학습자공동체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고안했다. 이와 같은 창의성 계발 과학교육을 위한 과학교사 사이버 연수 모형은 우리나라의 기존 연수의 비효율성을 극복함으로서 효율성 높은 교사 연수 모형을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유아교사의 창의성에 대한 의미 해석과 접근에 대한 탐색 - H시 창의지성형 국공립 어린이집 교사를 중심으로 -

        박인영(Park Inyoung),송승민(Song SeungMin),김미옥(Kim MeeOk),이순희(Lee SoonHee)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17 창의력교육연구 Vol.17 No.1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창의성에 대한 의미 해석과 접근에 대해 탐색하고자 H시 창의지성형 국공립 어린이집 만 3,4,5세 유아교사 총 11명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와 개별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였으며, 자료수집 기간은 2016년 10월부터 2017년 2월까지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 (1) 유아교사의 창의성에 대한 의미해석과 지각: 유아교사가 생각하는 창의성의 의미, 유아교사 자신의 창의성에 대한 지각, 창의성 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신념, 유아교사가 지각 하는 창의적인 유아. (2) 유아교사의 교수과정에서 창의성에 대한 접근 탐색: 교수과정에서의 창의성 접근 영역, 교수과정에서 창의성을 격려하는 요인과 방해하는 요인, 교수과정에서 창 의성에 관한 유아교사의 자긍심과 반성적 사고. (3) 교수과정에서 창의성에 관한 곤란한 상황 과 대처 경험: 소극적인 유아, 엉뚱한 반응의 유아, 허용과 제한의 모호함. (4) 누리과정에서의 창의성 경험: 누리과정에 반영된 창의성에 대한 경험, 창의성 접근을 위한 누리과정에 대한 바램. (5) 창의지성형 국공립 어린이집에서의 창의성 경험: 창의지성형에서의 창의성에 대한 긍정적 경험과 어려움, 창의성 접근을 위한 창의지성형에 대한 바램이 탐색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기초로 하여 유아교사의 창의성 교육에서 실제적으로 나아가야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approach to creative teaching process and semantic analysis of preschool teachers’ creativity. For this study, group interviews of institution and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of 11 preschool teachers of creative and intellect preschool in ‘H’ City were conducted. Data -collecting period was from October, 2016 to February, 2017 and the data was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In the part of the semantic analysis of preschool teachers’ creativity. (2) In the part of the approach to creative teaching process. (3) Difficult situations in the approach process. (4) About the Nuri-course and the creativity. (5) About the creative and intellect preschool in ‘H’ City. This study is to confirm how teachers understand the creativity and they approach creative teaching course. Based on this, this study has discovered the way to proceed in creativity teaching process.

      • KCI등재

        초등예비교사의 수학 창의성에 대한 인식 분석

        박만구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2015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Vol.1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예비교사들의 수학 수업에서의 수학 창의성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고 예비교사 및 현직 교사들을 위한 교육에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있다. 수학교육에서 창의성의 신장은 가장 핵심적으로 강조하고 있는 요소 중의 하나이다. 전미수학교사협의회나 우리나라 2009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서도 수학교육에서 길러 주어야 할 것으로 창의성을 강조한다. 본 연구를 위해 초등학교 예비교사 55명이 2주 동안 실습을 하면서 지도교사나 예비교사들이 공개적으로 실시한 수학 수업을 관찰하면서 수학 수업 중 수학 창의성과 관련된 활동이라고 생각되는 것을 기술하도록 하였다. 예비교사들이 관찰하고 기술한 것을 분석하여 수학 창의성에 대한 인식, 수학 수업에서 창의적인 활동, 대안적인 활동 등을 포함하여 이들이 수학 수업에서 창의성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예비교사들은 수학 수업에서의 수학 창의성의 요소로 주로 융통성과 독창성으로 보았고, 수학 수업에서 수학 창의성을 고려한 수업을 하는데 어려움을 있음을 보였다. 초등학교 수학 수업에서 창의성을 고려한 수업을 위해서는 수학 창의성을 고려한 교사 양성 프로그램의 개발, 수학교과서의 개발, 그리고 수업에 활용이 가능한 다양한 자료를 개발과 함께 현직 교사 연수 프로그램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erceptions of creativity in mathematics of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Creativity in Mathematics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components in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which has been emphasized in the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and the 2009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For this study, the researcher analyzed reports of creativity in mathematics in mathematics lessons from the perspectives of 55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 preservice teachers observed 55 mathematics lessons focusing on creativity in mathematics during their two-week-student-teaching period. The results showed the followings. First, the preservice teachers had a narrow perceptions on creativity in mathematics. Second, observational experiences of mathematics lessons led the preservice teachers to reconsideration of creativity in mathematics. Third, the preservice teachers provided a various strategies to enhance students’creativity in mathematics. The researcher suggested the followings. First, definitions and practices of creativity in mathematics should be included in the teacher education programs. Second, mathematics textbooks should include creativity in mathematics in a sophisticated manner. Third, creativity-rich materials should be developed and distributed to teachers. Finally, well-designed teacher training programs should be necessary.

      • KCI등재

        교사효능감과 교사창의성이 초등 수학영재의 창의성과 과제 흥미에 따른 교수방법에 미치는 영향

        이지연,이선영 한국교육심리학회 2022 敎育心理硏究 Vol.36 No.3

        영재의 창의성과 과제 흥미는 영재성 발달과 성취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교수에서 고려해야 하며 발달시켜야 할 특성이다. 본 연구는 초등 영재의 창의성과 과제 흥미에 따라 교사의 교수방법 선택 의도가 달라질 수 있는지, 교사효능감과 교사창의성이 이를 조절할 수 있는지 살펴보았다. 참여자에게 초등 수학 영재 4명이 교실에 있는 상황을 묘사하는 시나리오를 제공하고, 강의식 교수, 협력학습, 탐구학습을 묘사하는 문항을 제공한 후 선택 의도를 측정하였다. 교수방법 선택 의도, 교사효능감, 교사창의성은 5점 리커트 척도로 측정하였다. 초등 교사 137명의 응답을 분석하였으며 참여자는 창의성이 높은 영재에게 탐구학습을, 과제 흥미가 높은 영재에게 협력학습과 탐구학습을 평균적으로 더 사용하고자 하였다. 영재의 과제 흥미가 낮아질 때 교사창의성이 평균보다 높은 교사의 강의식 교수 선택 의도는 평균적으로 낮아졌으나, 교사창의성이 평균보다 낮은 교사의 강의식 교수 선택 의도는 높아졌고, 학생의 과제 흥미 수준이 낮아지면 교사들의 탐구학습 선택 의도는 평균적으로 낮아졌으나 교사효능감은 이를 보완하였다. 본 연구는 영재의 창의성과 과제 흥미에 따라 교사들이 교수방법을 다르게 선택할 가능성을 보였으며, 교사효능감이 높은 교사들은 과제 흥미가 낮은 학습자에게 효과적인 교수를 제공하려고 노력하고 교사창의성이 높은 교사는 학생의 과제 흥미에 맞추어 유연한 교수방법을 사용할 가능성을 보였다. 본 연구는 교사가 일반교실에서 영재의 특성에 반응하여 교수를 제공할 가능성을 보였으며, 교사에게 교사창의성과 교사효능감 발달 기회를 제공해야 함을 시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