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교사의 직무만족에 대한 영향 요인 탐색 : 서울시 중등교사를 중심으로
조대연,가신현,유주영,김종윤 한국교육개발원 2015 한국교육 Vol.42 No.1
Purpose: This study sought to determine the influential factors that might increase teachers’ job satisfaction levels. Design/methodology/data/approach: This study used the 2013 Seoul Educational Longitudinal Study (SELS) data to analyze the longitudinal effects of factors at the teacher-individual level and the school-organizational level using a Hierarchical Linear Model (HLM). Factors at the teacher-individual level include demographic and social-psychological factors. Factors at the school-organizational level include ecological-environmental and structural-cultural factors. Findings/Results: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teachers’ job satisfaction levels are different among schools. Among demographic factors, whether or not teachers are in-charge of their classes, as well as whether or not they play a director’s role has an impact on their job satisfaction levels. Among social-psychological factors, factors that increased teachers’ job satisfaction included: organizational culture, their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eachers’ awareness of the Seoul municipal government’s educational strategy. On the contrary, factors that decreased teachers’ job satisfaction levels were teaching creativity, a closed school environment, and a principal’s transactional leadership. Among ecological- environmental factors, the number of classes and students helps to explain teachers’ job satisfaction level; teachers with more classes, but less students show higher job satisfaction levels. And finally, there are no factors that have an impact on teachers’ job satisfaction level among the structural-cultural factors at the school-organizational level. Value: These findings provide suggestions for the development of education policies to improve teacher’s job satisfaction levels.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들의 직무만족에 대한 영향 요인을 탐색하여 교사들의 직무 만족도 증진을 위한 시사점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2013년 서울교육종단연구 자료를 바탕으로 교사 개인과 학교 차원의 2수준 다층모형을 활용해 교사의 직무만족 영향 요인을 탐색하였다. 교사 개인 수준에서 직무만족을 설명하는 변인군은 인구통계학적 요인과 사회 · 심리적 요인으로 구분하였으며, 학교조직 수준에서 직무만족을 설명하는 변인군은 생태 · 환경적 요인과 구조 · 문화적 요인으로 구분하여 이론적 연구모형을 수립 ·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교사들의 직무만족 분포는 학교 간에 차이를 나타내어 교사가 소속된 학교의 특성에 따라 교사의 직무만족 수준이 달라질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교사 개인 수준의 인구통계학적 요인 중에서 담임여부와 부장교사 여부가 교사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쳤고, 사회 · 심리학적 요인 중에서 통합적 교사문화, 변혁적 지도성, 서울교육에 대한 인식, 교육정책에 대한 필요성 인식 수준이 교사의 직무만족도를 증진하는 요인이었으며, 창의성 지도, 폐쇄적 학교풍토와 거래적 지도성은 교사의 직무만족도를 저하시키는 요인이었다. 한편, 학교수준의 생태 · 환경적 요인 중에서 학급 수와 학생 수는 교사의 직무만족도를 설명해주는 변인으로 밝혀졌으며, 학급 수가 많을수록 교사의 직무만족도가 높아지며 학생 수가 적을수록 직무만족도가 높았다. 학교의 구조 · 문화적 요인 중에는 교사의 직무만족에 대한 유의미한 영향 변인이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기초로 학문적 의의와 실천적 함의점을 제공하였다.
인구사회학적요인, 학교조직요인 및 교사의 사회심리학적요인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정회욱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06 교육과학연구 Vol.37 No.2
본 연구는 인구사회학적요인(교사의 성별, 연령, 교급, 학교위치, 보직유무), 학교조직요인(합리풍토, 인화풍토, 폐쇄풍토, 상사의 지원, 업무 스트레스), 사회심리학적요인(긍정적 성격, 부정적 성격, 자아존중감, 가정화목, 경제적 곤란)이 교사의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는데 그 목표를 두고 있다. 본 연구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전남지역 초·중·고등학교 교사 644명에게 '성취감 만족', '일 자체만족', '복지 만족'의 하위요소로 구성된 교사 직무만족 척도와 사회심리학적변인, 학교조직변인, 인구사회학적변인들에 관해 질문하는 설문지를 실시하였다. 인구사회학적변인들 중에서 학교 위치는 교사직무만족과 전혀 상관이 없었으나, 교사의 성별, 교급, 보직유무, 연령은 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유의하게 상관이 있었다. 학교조직변인들도 교사의 직무만족과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어, 상사의 지원이 높을수록, 학교 조직이 합리적으로 운영되고 학교조직의 인화단결이 잘될수록 교사들이 느끼는 직무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학교가 폐쇄적 풍토를 지니고 교사들의 업무스트레스가 높을수록 교사들의 직무 만족도가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심리학적변인들의 경우, 교사가 긍정적 성격을 가지고 있고, 자아존중감이 높을 때, 그리고 가정이 화목할 때 직무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정적 성격을 가지고 있을 때, 그리고 경제적 곤란을 느끼고 있을 때는 직무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사회 학적변인, 학교조직변인, 사회심리학적변인들을 동시에 사용하여, 중다회귀 분석한 결과를 살펴보면, 교사의 성별이나, 연령, 교급과 같은 인구사회학적요인보다는 합리풍토, 인화 풍토와 같은 학교조직요인과 교사의 긍정적, 부정적 성격과 자아존중감과 같은 교사의 사회심리학적요인이 교사직무만족도를 예측하는 데 훨씬 더 중요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major goal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s of sociodemographic factors, school organizational factors, and teachers' sociopsychological factors on teachers' job satisfaction. Six hundred and forty-four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completed a questionnaire that included items on job satisfaction,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eachers, school organizational factors and teachers' sociopsychological factors. Among the sociodemographic variables, the location of the school was not related to teachers' job satisfaction, however, the teacher's gender, age, and the level of school were correlated with job satisfaction. School organizational factors such as the school's social closeness and supports of super-ordinates, and the teachers' sociopsychological factors such as positive personality and self-esteem were also significantly related to job satisfaction.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revealed that in general, school organizational factors and teachers' sociopschological factors play more important roles in teachers' job satisfaction than sociodemographic variables of teachers.
장민지(Jang, MinJi),정태섭(Jung, TaeSub),장영환(Jang, YoungHwan),맹희주(Maeng, HeeJu)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1
The study was conducted on pre-service science teachers at the college of education in Gyeonggi from March to June, 2017 to investigate motive factors to career decision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and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male pre-service science teacher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higher internal motivation factors than female pre-service science teachers, and vocational aptitude and teaching efficacy were significantly higher among internal motivation factors.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gender in external motivation factors. Second, pre-service science teachers who have experience of tutoring, academy, and education service professors other than teacher training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who did not have teaching experience, the pre-service science teachers with experience of teacher training showed that the administrative task among the external motivation factors were significantly negative motivation factors than pre-service science teachers who had no teaching experience. Thir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internal motivation factor and external motivation factor according to grade. In general, the pre-service science teachers showed positive internal motivation factors, and especially charm and teaching charm were the most positive internal motivation factors. In addition, stability as a vacation and civil servant was positive external motivation factor, but preparation and acceptance of secondary school teacher appointment test was analyzed as negative external motivation factor. 본 연구는 교직을 선택하는 동기요인이 무엇인지 알아보기 위해 경기도 소재 사범대학교 예비과학교사들을 대상으로 2017년 3월부터 2017년 6월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결과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남성 예비과학교사들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내적 동기요인이 여성 예비과학교사들보다 더 높았으며, 내적 동기요인 중 직업적 적성과 교수효능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외적 동기요인에 대한 성별의 유의미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현장실습 이외 과외나 학원, 교육봉사 교수경험이 있는 예비과학교사들은 교수경험이 없는 예비과학교사들보다 내적 동기요인 중 교직의 매력에 대한 요인이 유의미하게 높았으며, 학교 현장실습 경험이 있는 예비과학교사들은 외적 동기 요인 중 행정업무가 교수경험이 없는 예비과학 교사들보다 유의미하게 부정적인 동기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년에 따른 내적 동기요인과 외적 동기요인의 통계적인 유의미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예비과학교사들은 교사로서 내적 동기요인은 긍정적이었으며, 특히 보람과 교직의 매력이 가장 긍정적인 내적 동기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방학과 공무원으로서 안정성이 긍정적인 외적 동기요인이었으나 중등 교원 임용시험에 대한 준비와 합격여부는 부정적인 외적 동기요인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윤식(Lee Yun Sik),김광범(Kim Kwang Beom) 한국교육행정학회 2007 敎育行政學硏究 Vol.25 No.2
이 연구는 중등학교에 재직하고 있는 초임교사들을 대상으로 교직갈등 요인을 탐색하고자 시도되었다. 초임교사의 교직적응을 저해하는 교직갈등 요인을 분석하고, 다음으로 초임교사들이 인식하는 갈등 정도와 갈등 요인에 있어 교사 개인적 변인별 차이를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이 연구에서 다루어진 연구문제는 첫째, 중등학교 초임교사가 인식하는 교직갈등의 요인은 무엇인가? 둘째, 중등학교 초임교사가 인식하는 교직갈등 정도는 교사의 성별 및 교직 경력별 등 개인적 변인별로 차이가 있는가? 등이었다. 연구 결과, 중등학교 초임교사들의 인식하는 교직갈등은 4개 영역에 10개 하위요인으로 파악되었다. 구체적으로 교육과정관계 영역에서 교육과정 편성ㆍ운영, 교수ㆍ학습지도, 특별활동의 3요인, 학생ㆍ학부모관계 영역에서 교사-학생관계, 교사-학부모 관계의 2요인, 교직원관계 영역에서 교원간 관계, 교사-일반행정직 관계, 교사-교원단체 관계의 3요인, 학급ㆍ학교 경영 영역에서 학급경영, 학교경영 등 2요인이었다. 이러한 요인들이 중등학교 초임교사가 인식하는 갈등요인 전체 변량의 60여%를 설명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향후 교사 개인적 영역과, 교직관련 제도적 영역을 포함하는 포괄적인 연구가 요청된다. 초임교사들이 인식하는 교직갈등을 완화하기 위한 교직적응 프로그램의 개발ㆍ적용을 위한 연구도 요구된다. By focusing on novice teachers working in public secondary schools, this study first analyzed the conflict factors that cause problems of novice teachers' adapting to the teaching profession. Next, it illuminated what differences exist in gender and teaching experience affecting the cause and extent to which novice teachers face difficulties. To analyze the causes of conflict, a questionnaire with 150 question-items were designed and was distributed to 606 public secondary school teachers with less than 3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Teachers' responses were analyzed. Finally 58 approved question-items with high validity and credibility were obtained. And further related statistical analyses were conducted.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10 different factors were selected that might cause difficulties for novice secondary school teachers. These were divided into 4 categories. The category of 'curriculum' include 3 factors; ① planning and managing curriculum, ②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③ club activities and co-curricular activities in the afternoon. The category of 'students' include 2 factors, ④ teacher-student relationship, and ⑤ teacher-parent relationship. The category of 'faculty' include ⑥ teacher-teacher relationship, ⑦ teacher-faculty relationship, and ⑧ teacher-teachers' association relationship. The category of 'class and school administration' include 2 factors: ⑨ class management and ⑩ school management. Second, the overall content analysis of the novice teachers' situation in the teaching profession showed that novice teachers face conflicts in their teaching situations. Their conflict level is somewhat above the average level, and there are big differences among question-itmes. The factor that caused the most serious difficulties was teacher-teachers' association relationship, followed by the teacher-student relationship.
정광희,박상완,김병찬 한국교육개발원 2009 한국교육 Vol.36 No.1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se the factors that influence teachers' commitment. The in-depth interview method and life history (graph) analysis method were adopted to find the influential factors, which were then categorized into personal factors and environmental factors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In order to analyze the traits of highly professional and committed teachers and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m, 48 teachers, of 144 teachers chosen on the recommendation of municipal and district offices of education, were chosen for in-depth interviews. The life history analysis showed that though teachers' commitment increased according to their teaching career, many other factors influenced teachers' commitment, either thwarting them or encouraging them. Highly committed teachers' life history patterns wer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1) teachers' commitment continuing and being sustained from the beginning of their teaching careers, 2) teachers' commitment increasing as their teaching careers developed, and 3) teachers' commitment decreasing, especially when teachers were in their fifties. Through in-depth interviews, 12 influential factors were deduced: the five personal factors included 1) enthusiasm for the teaching profession, 2) personal characteristics of teachers, 3) confidence and interest in subject matter and teaching, 4) teaching career, and 5) family and physical factors; the seven environmental factors included 1) other teachers as role models, 2) school administrators, 3) outcomes and intrinsic rewards, 4) autonomy in performing the duties, 5) development of expertise or learning opportunities, 6) promotion system and incentives, and 7) other factors such as educational policy, media, and social factors.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inner stimulation and motivation of teachers were among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in teachers' commitment. Based on this result, several policy suggestions were presented. 본 연구는 교사들의 교직 생애 발달 과정에서 교사헌신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탐색하고 이러한 요인이 개별 교사의 교직 생애 발달과정에서 어떻게 나타나며, 이는 향후 교원정책에 어떤 시사점을 주는가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교사헌신 영향요인과 교사헌신 발달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16개 시·도교육청으로부터 학교급별로 각 3인의 헌신적인 교사를 추천받아(총 144명), 교사헌신 영향요인을 중심으로 이들의 교직 생애발달을 조사하고(105명 응답), 추천 대상 교사 중 48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교사들의 교직 생애 전 기간을 통해 교사헌신이 전반적으로 상승하고 있지만, 다양한 요인에 의해 교사헌신의 침체기와 상승기가 반복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헌신적인 교사의 생애발달 특성은 대체로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되는데 첫째, 교직입문 초기부터 헌신 수준이 높으며 대체로 큰 변화 없이 높은 헌신 수준을 유지하는 경우, 둘째, 기복이 있기는 하나 교직경력이 늘어남에 따라 헌신도가 상승하는 경우, 셋째, 교직경력 후반기에 헌신이 저하되는 경향을 보이는 경우 등이다. 또 이러한 교사헌신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개인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이 중 개인적 요인은 1) 교직 사명감과 자신감, 2) 교사의 인성적 특성, 3) 교수 및 전공 교과에 대한 자신감, 4) 교직경력, 5) 가정생활로, 환경적 요인은 1) 역할 모델로서 동료교사, 2) 학교 관리자 요인, 3) 결과 성취와 심리적 보상, 4) 직무 및 교수활동 수행의 자율성, 5) 전문성 개발 및 학습기회, 6) 승진제도, 7) 기타 정부정책, 언론, 사회적 요인 등으로 도출되었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서 학교 관리자의 리더십 개선, 교사 전문가 공동체의 지원과 활성화, 교사 멘토링 특히 교직 초반기, 신임교사에 대한 멘토 제도의 강화 등을 제언으로 제시하였다.
초등교사의 성격 5요인, 생활지도 효능감, 교사 소진의 관계
유소영(So Young Yoo),김영화(Young Hwa Kim) 한국교육상담학회 2024 교육상담연구 Vol.5 No.1
이 연구는 초등교사의 성격 5요인, 생활지도 효능감, 교사 소진의 관계를 탐색하여 교사 소진을 설명하는 변인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서울, 경기 지역 초등학교에 재직 중인 초등교사 195명의 자료를 분석 대상으로 삼아, 인구통계학적 변인(교직 경력, 직위)을 통제한 상태에서 초등교사의 성격 5요인과 생활지도 효능감을 예측변인으로, 교사 소진을 준거변인으로 한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요 변인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초등교사의 성격 5요인, 생활지도 효능감, 교사 소진은 모두 유의미한 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인구통계학적 변인(교직 경력, 직위)을 통제한 상태에서 성격 5요인, 생활지도 효능감의 상대적 설명력을 검증한 결과, 교사 소진과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는 변인은 성격 5요인이었다. 성격 5요인 중에서 교사 소진을 유의하게 설명하는 하위요인은 신경증, 성실성이었다. 신경증이 높고, 성실성이 낮을수록 교사 소진을 많이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격 5요인을 고려했을 때, 생활지도 효능감은 교사 소진에 유의미한 영향을 끼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초등교사의 교사 소진과 밀접한 심리적 요인으로 성격 5요인에 주목할 가능성을 제안하고 있다. 소진을 경험하고 있는 초등교사를 상담하거나, 교사 소진을 예방하는 데 있어, 성격 5요인의 영향을 중점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강조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big five personality factors, guidance efficacy, and teacher burnout. A total of 195 teachers in Seoul and Gyeonggi areas completed an self-report online surveys measuring Big five personality factors, guidance efficacy, and teacher burnou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big five personality factor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guidance efficacy, and teacher burnout all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the big five personality factors, neuroticism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burnout and guidance efficacy. Second, the most closely related variable to teacher burnout was the big five personality factors. Among the big five personality factors, neuroticism and conscientiousness significantly explained teachers’ burnout. When considering the big five personality factors, guidance efficacy did not significantly explain teacher burnout.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e big five personality factors as psychological factors closely related to teacher burnout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김유정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05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1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validity of Ohio State Teacher Efficacy Scale(OSTES: Tschannen-Moran, 2000) when used with Korean home economics teachers. To achieve this purposes, the surveys with 263 secondary school home economics teachers was conducted by the prime investigator. Statistical procedures included descriptive statistics, factor analysis, internal consistency. Cronbach's α was calculated to test the reliability of items and their internal consistency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EFA) was conducted to test the structure of each factors with principal analysis and varimax rotatio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CFA) was conducted to test the factor validity of this scale with AMOS program. The reliability test result of 20 items appeared Cronbach's α =.86. The factor analysis on teacher efficacy with 263 survey of secondary school home economics teachers produced 5 factors including efficacy in classroom management, efficacy in needs assistance, efficacy in instructional strategies, efficacy in environmental assistance and efficacy in learning assistance. The validity of teacher efficacy scale was moderately verified by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es(GFI=.87, AGFI=.84, CFI=.86, PNFI=.72, RMR=.05, RMSEA=.07). The results lend a support to the teacher efficacy scale as a valid instrument. 본 연구의 목적은 Tschannen-Moran(2000)이 개발한 Ohio State Teacher Efficacy Scale(OSTES)를 중등학교 가정과교사를 대상으로 교사 효능감 하위 요인들을 알아보고,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교사 효능감 문항들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규명하여 교사 효능감 문항들의 모형 적합성을 검증하는데 있다. 먼저 교사 효능감의 요인들에 대한 심리측정학적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263명의 가정과교사를 대상으로 교사 효능감 요인의 신뢰도와 요인 구조를 검사하였다. 중등학교 가정과교사의 교사 효능감 요인을 분석한 결과, 하위요인은 학급운영 효능감, 요구대처 효능감, 교수전략 효능감, 환경지원 효능감, 학습지원 효능감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요인구조로 나타난 문항들의 요인 적합성을 판단하기 위해 교사 효능감의 5개 요인에 대한 확인적 요인 분석을 실시한 결과, 5개 하위요인이 타당한 것으로 지지되었다.
김인경 한국역사교육학회 2017 역사교육연구 Vol.- No.27
본 연구는 역사 교사들이 수업 설계에서 겪는 사고(思考) 과정을 심층 면담하여 알아보고자 한 것이다. 그리고 이를 고찰하기 위해 수업 像, 실현화, 곤란이라는 연구 용어를 정립하였다. 연구과정은 다섯 명의 교사들을 대상으로 질적 연구를 하였다. 본 연구는 역사 교사들이 수업 설계에서 고려하는 역사교사요인과 그에 따른 수업 像과 실현화, 곤란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로써 교과교육 차원에서 현장 교사들의 수업 설계 과정을 이해하고 보완할 수 있으리라 기대하였다. 본 연구는 선행 연구를 기반으로 역사 수업의 주체인 교사가 수업을 설계하는데 중점적으로 생각하는 역사교사요인을 ‘①역사 교과의 특성, ②역사 수업 방법, ③학습자의 특성, ④역사 수업 환경, ⑤교사 자신에 대한 이해’라는 5가지로 정리하였다. 그리고 역사교사요인에 따른 교사들의 수업 像을 심층 면담하여 분석하였다. 심층 면담에 따르면 대체로 교사들이 기대하는 수업 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역사 교과의 특성을 고려한 수업 상이다. 교사들은 역사적 사고력을 신장하여 현실을 이해하는 수업, 역사적 상상력으로 당시대를 이해하는 수업, 다양한 역사 해석이 가능한 수업, 역사적 개념이나 사실을 흐름 속에서 이해하는 수업 상을 그렸다. 둘째, 역사 수업 방법을 고려한 수업 상이다. 교사들은 학생들이 참여하는 수업, 내용의 효과적인 전달을 위한 수업, 교사의 스타일을 살려 구조화 한 수업, 다양한 역사 교재를 활용한 수업 상을 그렸다. 셋째, 학습자의 특성을 고려한 수업 상이다. 교사들은 학생들의 흥미와 관심을 반영한 수업, 학생들의 수준을 고려한 수업, 학생들의 상황을 고려한 수업 상을 그렸다. 넷째, 역사 수업 환경을 고려한 수업 상이다. 교사들은 학생 수, 기자재 같은 교실 환경을 고려한 수업, 입시·진도·동료교사와의 관계 같은 외부적 상황을 고려한 수업상을 그렸다. 다섯째, 교사 자신에 대한 이해를 고려한 수업 상을 그렸다. 교사들은 교사의 역사교육관을 반영한 수업, 교사가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내용의 수업, 발전적이고 만족할 수 있는 수업 상을 그렸다. 본 연구는 교사에 따른 수업 설계 과정을 비교하고자 ‘조선 후기 문화’를 제시하고 수업 장면을 재구성하였다. 학습자를 가장 고려하는 (가)교사의 수업은 조선 후기 문화 자료가 많이 등장한다. 교과서 밖의 수업 자료도 많이 볼 수 있다. 이는 학생들이 자료를 통해 흥미를 갖고, 많은 자료를 경험하여 시험에 대비하기 위함이다. 수업 방법을 가장 고려하는 (나)교사는 학생들이 조선 후기 서민이 되어 이야기를 만들어가는 수업을 한다. 이는 학생들이 참여하는 활동 수업 상이 실현된 것이다. 역사 교과의 특성을 가장 고려하는 (다)교사는 학생들이 사회·경제적 배경으로 성장한 서민의식을 이해하기 바란다. 그리고 이와 함께 현실 사회도 읽어내기를 바란다. 이를 실현하고자 (다)교사의 수업은 질문이 자주 등장한다. 예를 들면 경제 성장과 문화의 연계, 당시대 사람들의 삶을 유추하는 질문이다. 이는 역사적 사고력을 신장시켜 현실을 이해하는 수업 상이며, 역사적 흐름에서 개념과 사건을 익히는 수업 상이다. 수업 방법과 학습자의 특성을 함께 고려하는 (라)교사는 학생 발표 수업으로 실현한다. 학생들은 서민 문화 같은 역사 용어를 풀이하고, 모르는 내용은 스스로 해결한다. 발표 수업은 어떠한 학생들이라도...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though process of history teachers in curriculum designing by conducting in-depth interview. And in order to contemplate on this, the study term “class figure, realization and difficulty” was established. The qualitative research was conducted subjecting 5 teacher.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history teacher element considered in the process of curriculum designing and the class figure, realization and difficulty of the history teachers. This study hereby expects to understand and supplement the curriculum designing process of teachers in educational field in terms of curriculum education. This study is organized into 5 history teach elements that teachers, the main subject of history class consider significant in designing class based on the existing studies that are “①characteristic of history class ②teaching method of history class, ③characteristics of learner, ④history class environment , ⑤teacher’s understanding toward oneself. Also, the teachers were subjected to in-depth interview regarding class figure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in-depth interview, the class figures expected by most of the teachers are as follows. First figure is the class regarding the characteristics of history class. Teachers designed class which enables reality understanding by improving historical thinking, class which enables understanding the historical period with historical imagination, class which enables various historical interpretation, and class which enables understanding of historical concept and fact in the flow. Second is the figure regarding the teaching method of history class. Teachers designed class that students participates, class with effective delivery of contents, class which well constructed teacher’s style, class which utilizes various historical material. Third is the class regarding the characteristic of learner. Teachers designed class reflecting interest of students, class considering the level of students and class considering the situation of students. Fourth is the class figure considering history class environment. Teachers designed class considering class environment element such as number of students and classroom material, and class considering the external situation such as college admission, study progress and the relationship with coworkers. Fifth, the teachers designed class considering the understanding toward oneself. Teachers designed class reflecting the history education philosophy of oneself, class with contents that teachers see important, and class that is satisfactory and expansive. In order to compare the class design process by teachers, the teachers were provided with “late Joseon culture” and restructured class scene. Teacher (A) who considered students the most presented the largest amount of late Joseon culture material in the class. There were also many materials outside the textbook. This is to make students feel interested in class and experience many materials to prepare for exam. Teacher (B) who mostly concerned the teaching method designed class making story by students becoming the ordinary people from late Joseon. This has realized the activity class figure participated by students. Teacher (C) who considered the characteristic of history education aimed to make students understand the thoughts of people lived in the social and financial background of late Joseon. Also, he wanted to read out the actual society. In order to actualized this, a lot of questions are in the class led by teacher (C). For example, the teacher raises questions regarding the economical growth, culture and life of the people. This improves the historical thinking ability to understand reality, and it also let students learn concept and incidents in the historical flow. Teacher(D) who considers the teaching method and characteristics of students actualize the class figure by student presentation class. Students interpret hist...
교사학습공동체의 참여요인과 융합교과 교사학습공동체의 운영과정에서 특징과 어려움
김예일,최송희,김동중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23 敎員敎育 Vol.39 No.2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학습공동체(동교과, 융합교과)에 교사들이 참여하는 요인을 비교하고, 융합교과 교사학습공동체를 운영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특징과 어려움을 탐구하는 데 있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융합교과 교사학습공동체에 관련된 교사 5인을 대상으로 면담을 통해 교사학습공동체별참여요인과 운영과정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이때, 참여요인은 개인적 요인, 사회적 요인,조직적 요인으로 범주화하였으며, 운영과정은 도입 시기, 학습과 실천의 전개 시기, 마무리 시기로 구분하였다. 연구결과 그 결과, 교사가 동교과 교사학습공동체와 융합교과 교사학습공동체에 참여하는 요인은 유사해보일지라도 주안점의 차이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먼저 교사가 동교과 교사학습공동체에 참여하는 요인은교수⋅학습 내용과 방법의 학습 욕구와 협업의 만족감으로 나타났다. 반면 교사가 융합교과 교사학습공동체에 참여하는 요인은 교수⋅학습의 개선 의지, 융합 교육의 중요성과 같은 가치관 공유, 교과별 분리된 전문성의 극복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동교과 교사학습공동체와 융합교과 교사학습공동체가 서로 다른 목적이나 특징을 가진다는 교사 인식에서 기인한다고 추론할 수 있다. 또한, 융합교과 교사학습공동체의 운영과정에서 특정 교과가 중심이 되어 교과 간 내용을 연결할 수 있는 맥락에서 개발된 프로그램을 공개수업으로실행한 뒤에 개인적⋅구조적으로 반성하는 과정을 거쳤다. 이때, 교과 간 연결 찾기의 어려움, 수업 차시의부족, 평가 연계성의 결여가 지적되었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교사학습공동체에 관한 선행연구를 확장하고, 융합 교육을 실행하고자 하는 교사를지원하기 위한 구체적 방안에 아이디어를 제안하는데 시사점이 있다.
중등 과학영재 수업과 영재교육 교사 전문성 요인에 대한 교사 및 학생의 인식 비교 분석
조환옥,김영민 韓國英才學會 2017 영재교육연구 Vol.27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eachers’ and students’ perceptions about contents and instructional methods in secondary science-gifted education and to compare teacher professionalism factors that teachers recognize themselves with those that students demand for the teachers.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re were several differences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recognition. Teachers hoped that gifted students would gain creative thinking ability through classes, but students wanted to obtain accurate and high level scientific concepts. Teachers considered content factor and instructional strategy factor in the science-gifted education as the most important teaching professionalism factors, but the gifted students cited understanding factor of science-gifted student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rating professional level and professionalism factors, the bigges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turned out understanding factor of the science-gifted students. So, it is believed that the understanding of the gifted students will help raise awareness about teachers’ level of professionalism. Also, the research showed that the gifted students have greater expectations of contents of the gifted-education as they think that the gifted-education help their academic advancement. 이 연구는 중등 과학영재 수업에서 나타나는 교사와 학생의 수업 내용과 방법에 대한 인식을알아보고, 영재교육 교사가 스스로에 대해 인식하고 있는 교사 전문성 요인과 영재학생이 영재교육 교사에게 바라고 있는 교사 전문성 요인을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교사들은 영재수업을통하여 학생들이 가장 얻기를 바라는 능력이 창의적 사고력으로 나타났으나, 학생들은 정확한과학지식 개념을 획득하기를 원하였다. 또한 영재교육 교사들은 교사의 전문성 요인 중에서영재교육내용과 영재교육방법 요인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으나 영재학생이 교사에게바라는 전문성 요인으로 영재학생이해 요인을 꼽았다. 영재교육 교사가 스스로에 대해 평가한전문성 수준과 전문성 요인 간에 관계를 분석한 결과, 두 집단의 차이를 가장 잘 나타내는 요인으로 영재학생이해 요인이 나타나 자신의 전문성 수준을 낮다고 생각하는 영재교육 교사에게 영재학생이해 영역에 대한 지식을 투입하면 자신의 전문성 수준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데 도움이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영재학생들은 영재수업이 자신의 학문적 향상에 도움이 되었다는인식 수준이 높을수록 영재교육내용에서 높은 기대를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