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초등교과서 정책의 방향과 과제

        김정숙(Kim, Jeong Suk) 한국출판학회 2014 한국출판학연구 Vol.40 No.2

        교과서는 한 나라의 지식기반이자 국민교육의 지표이다. 이처럼 중차대한 교과서의 발전을 위해서는 교과서 정책과 그에 수반되는 정책적 과제를 검토하고 방안을 모색해나가는 연구가 필요하다. 이와 같은 필요성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초등 교과서의 선진화를 위한 방향을 탐지하기 위해 지금까지의 교과서 정책을 개괄하고 외국의 교과서 정책을 비교분석함으로써 우리나라 교과서 정책의 방향 및 과제를 모색해보고자 한다. 연구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상정하였다. 연구문제 1. 우리나라 초등 교과서 정책이 갖는 문제점은 무엇인가? 연구문제 2. 다른 나라의 초등 교과서 정책과 비교하여 얻는 시사점은 무엇인가? 연구문제 3. 우리나라 초등 교과서의 선진화를 위한 초등 교과서 정책의 과제는 무엇인가? 우리나라 초등 교과서 정책이 갖는 가장 직접적인 문제점은 교육과정 개편에 따라 정책이 가변적이어서 안정성이 결핍돼 있다는 점이다. 또한 교과서 중심 교육을 지향하는 정책의도에 비해 교과서의 질적 수준이 비교우위에 있다고 보기 어렵다. 그리고 교과서의 내용에 초점을 맞추다 보니 정작 흥미를 불러일으켜야 할 초등 교과서의 삽화와 사진 등 외형적 요소를 경시하는 경향이 있다. 무엇보다 초등학 생이 감당하기에는 교과서의 무게가 너무 무겁고 판형이 적절하지 않다. 다른 나라의 선진화된 교과서 정책은 어떠한지 비교를 해본 결과, 여기에 대한 시사점을 우리의 정책과제에 적용해봄과 동시에 앞으로 우리의 교과서가 나아갈 방향을 모색해보면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1. 우리나라와 같은 ‘교과서 중심 교육’ 체제에서는 교사에 대한 재교육 시스템을 보다 강화하여 교권을 향상시킨 연후에 교과서 채택 등 권한부여 문제를 강구해야 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교사 교육 및 재교육 강화환경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2. 정세도 높은 심사의 주기적 이행제도를 통해 심사제도의 안정화를 기해야 한다. 3. 자격을 갖춘 교과서 심사위원 풀제를 운영해야 한다. 4. 초등 교과서 모니터링 제도의 확대개편을 필요로 하며, 모니터링 제도의 인프라가 활성화되어야 한다. 초등 교과서 모니터링 제도의 인프라 형성을 위한 정책적 배려가 필요한 시점이다. Textbook is the national symbol of its basement of knowledge and its indicator of education. This is why we always need some studies on textbook policy for which we require further examinations and alternative methods. Upon these needs, I have tried to give a summary of Korean elementary textbook policy, cross-cultural comparison of foreign advanced elementary textbook policies, and then searching for some solutions to our problem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I set up 3 hypotheses as below; Hypothesis 1: What are facing problems in the Korean elementary textbook policy? Hypothesis 2: Which suggestions can we get from the cross-cultural comparison of foreign advanced elementary textbook policies? Hypothesis 3: What are assignments for the advanced Korean elementary textbook policy? The first facing problem in our elementary textbook policy is the lack of stability because of changeable policies according to changeable educational curriculum. Secondly, it is hard to say that the quality of textbook is higher, even though the purpose of policy advocates education concentrated on textbook . Besides, focusing the contents, the policy tends to ignore figure elements, such as illustrations, icons, characters, cartoons, photos, and so on. However, elementary students are really interested in these elements. Moreover, the weight of each textbook is too heavy for elementary students to bring, and its format is not appropriate for them. I can offer some suggestions from the result of the cross-cultural comparison of foreign advanced elementary textbook policies. 1. We need a re-educational system for teachers upon our policy of education concentrated on textbook . 2. Regularly screening system needs stability through accurate judgement. 3. Screening system needs a manpower pool of the judges with qualification criteria. We also need a reorganized and expanded monitoring system for elementary textbook. It is time for a political support for an activated infrastructure of the system.

      • KCI등재

        교육제도 법률주의에 따른 교과서제도 쟁점 고찰

        정순원(Jung, Soon Won) 대한교육법학회 2020 敎育 法學 硏究 Vol.32 No.3

        「헌법」 제31조는 국민의 교육의 자유와 권리를 보장하기 위한 방편 중 하나로 제6항에서 교육제도 및 운영에 관한 기본적인 사항을 법률로서 규정하도록 하는 교육제도 법률주의를 마련하고 있다. 이에 따라 교육의 외적 환경 뿐 아니라 내적 환경 중 교과서 등에 관한 사항도 「초중등교육법」제29조에 근거하고 대통령령인 「교과용도서에 관한 규정」을 마련하여 운영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교과서제도는 1950년에 출발하여 교과서의 발행 유형, 교과서의 형태, 자유발행제 도입 등 시대변화와 교육수요자들의 요구에 따라 변화되어 왔다. 그런데 여전히 우리 사회에 화두를 던지고 있는 것은 현행 법령이 헌법이 규정하고 있는 교육제도 법률주의에 따라 규정되어 있느냐의 문제이다. 이는 자주 국정도서 발행과 관련하여 교육의 이슈를 넘어 우리 사회적 쟁점이 되고 첨예하게 법적 분쟁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또한 현행 법령에서 교육부장관에게 많은 재량권을 부여하는 형태의 위임입법은 타당하지 않다는 것이 핵심인데, 이를 논하기 위해서는 교과서제도의 본질사항 또는 중요사항이 법률에 규정되어 있느냐 여부의 문제로 귀결된다. 이 글은 현행 교과서제도의 현황을 살펴보면서 교육제도 법률주의에 비추어 볼 때 쟁점 사항이 무엇인지 좀 더 명확히 밝혀보고자 하며, 특히 교과서제도의 본질사항이 무엇인지, 교과서제도를 통해 학생과 교사에게 의무를 부과하고 있는 교과서 사용 의무는 바람직한 것인지, 그리고 교과서 발행방법, 교과서 선정의 우선순위 부여 등에 있어 교육부장관의 재량권의 범위와 한계는 어디까지인지 그리고 남용 방지를 위한 방안은 무엇인지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The Constitution Article 31 is guaranteed the right to education and the education systems and operations is ordained by Law and the law is legislated by congress. Accordingly, the nation and local governments are obligated to establish not only the external environment of education but also the internal environment, such as curriculum and textbook system. The governments must fulfill various obligations and exercise powers in order to guarantee the right to education. One of the most controversial issues are the textbook system is enough fulfilled this legal theory. And whether the state has too much authority over the textbook system. I review the textbook legal system, the scope and limitations of the authority over the state s textbook system, and the independence of education, the Constitutional Court and the Supreme Court’s stands in light of the concept of the textbook legal system. In the light of the legalism of the education system,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laws give school principal (including teachers and students) choice freely in selecting textbooks, but the opinions of stake-holders when deciding on how to issue textbooks, especially when issuing government is published textbooks. It is desirable to follow the principles of due process such as convergence. In addition, since the probation of textbooks is a patent action under the administrative law, discretionary power is permitted for examination of probate, but orders such as revision and supplementation after probation must be made within the minimum extent that the discretionary power is not abused or deviated. Finally, in view of the independence of education, I suggests that autonomy should be guaranteed in the selection of the textbooks mentioned above, and that teaching and learning should be made through various educational materials other than textbooks.

      • KCI등재

        디지털교과서의 구조도 및 기능별 구현 양상 분석 연구

        김혜숙(Kim Hye Sook),이미미(Lee Mi mi),조경철(Cho Kyoung Cheol)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5 No.11

        이 연구는 서책교과서와 차별화되는 디지털교과서의 구성 체계의 특징과 디지털 교과서에 구현된 기능을 분석하여 차후 디지털교과서 콘텐츠 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2014년에 적용된 디지털교과서 를 대상으로 디지털교과서의 구조도와 디지털교과서 기능별 구현 사례를 분석하였 다. 먼저 디지털교과서의 구조도 분석을 통해 현행의 디지털교과서는 지나치게 경직 되고 정형화된 구성 체계임을 알 수 있었다. 이는 구성 방식을 다양화하고, 서책교 과서와 차별적인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디지털교과서만의 장점을 충분히 살리기 어려운 구조였음을 반증한다. 따라서 앞으로는 서책교과서의 기본 틀을 바탕으로 디 지털교과서를 개발하도록 하는 제한을 없애거나 대폭 완화하여 서책교과서와 차별 성을 추구하고, 출판사별․종별 다양성을 갖출 수 있도록 개발 방향을 수정할 필요 가 있다. 다음으로 디지털교과서 기능별로 우수 사례와 수정 보완 필요 사례 분석결 과, 교수학습을 고려하여 효과적으로 기능과 콘텐츠를 구현한 사례도 있었지만, 무 의미한 디지털화, 서책교과서와의 차별성 미약, 디지털화를 통해 오히려 오개념을 심어주거나 서책교과서에서 의도한 학습 효과를 왜곡시키는 사례도 있음을 확인하 였다. 따라서 앞으로 디지털교과서를 개발할 시에는 학습자료 및 콘텐츠의 성격이나 특성에 적합한 기능을 구현해야 하며, 학습의 흐름 및 효과를 고려하여 적절한 수준 과 양의 자료를 추가하고, 자료의 제공 및 구성 방식에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ed insights on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xtbook features that enhance student learning through careful analysis of 2014 Digital Textbooks currently used in laboratory schools. The analysis focus was on overall structures and functions added to the 2014 digital textbooks. Analysis results revealed that 2014 digital textbooks had inflexible and formulaic structures. The results also demonstrated that 2014 digital textbooks did not have diverse modes adaptive to students’ needs and learning and did not show much difference from paper-based textbooks. To further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xtbooks, the current restriction that binds Digital Textbooks to paper-based textbooks should be reconsidered. Through the analysis of educational purposes on 10 functions added to Digital Textbooks, we noted cases that need improvement along with outstanding cases that made possible new kinds of student learning using digital environments. The cases asking for improvements included cases that added meaningless functions, caused student misunderstandings, showed no difference from paper-based textbooks, and misled students in the learning of content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it was suggested that Digital Textbook developers need to pay closer attention to teaching and learning of the contents, students’ developmental levels, previous knowledge and interests, and how to maximize the student learning and experience through technologies.

      • KCI등재

        길이와 시간에 대한 초등수학교과서의 비교·분석 - 한국의 초등수학교과서와 미국의 Investigations를 중심으로 -

        이윤경,박만구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2024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Vol.28 No.1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과 미국의 초등수학교과서에서 길이와 시간의 학습 내용을 어떤 방식으로 제시하는지 비교·분석하여 한국의 초등수학교육에 시사점을 제공 하는 것이다. 분석 대상 교과서는 한국의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1~2학년 국정 교과서 및 3학년 1학기 검정 교과서 1종, 미국의 NCTM 규준을 적용한 수학 교과 서 중 하나인 Investigations를 선정했다. 분석 기준은 크게 길이와 시간의 학습 내 용 및 지도 시기, 주요 학습 내용별 지도 방안의 유사점과 차이점으로 구분했다. 연구 결과, 두 나라 교과서의 길이와 시간의 지도 시기나 순서는 유사하나, 한국 교과서에서는 임의 단위에 의한 측정 및 시간에 대한 적절한 반복이 부족하였다. 또한 한국 교과서에서 용어의 의미를 비교적 적절히 구현하였으나 혼용되는 용어 가 있었고, 적절한 단위의 선택, 오개념의 활용, 적절한 측정 도구의 선택에 대한 내용이 상대적으로 적었다. 미국 교과서는 길이와 시간의 계산을 보다 자연스러운 맥락에서 제시하고 있었다. 두 교과서는 각자 가지고 있는 제도적 특수성과 제한점 이 있으므로 후속 연구에서는 교과서 개발 과정의 차이점을 규명하고 학교 현장에 서 초등수학교과서를 어떻게 활용하는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implications for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South Korea by comparatively analyzing the length and time learning contents in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in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The textbooks subject to analysis were the 1st and 2nd grade national textbooks according to Korea's 2015 revised curriculum, one textbook approved for the first semester of the 3rd grade, and Investigations, one of the mathematics textbooks that applied the American NCTM standards. The analysis criteria were broadly divided into the learning content and instruction period of length and time, and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instruction methods for each major learning content.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order of instruction in the textbooks of the two countries were similar, but the Korean textbook lacked appropriate repetition of measurement in arbitrary units and time. In addition, although the meaning of terms was implemented relatively appropriately in Korean textbooks, there were terms used interchangeably, and there was relatively little content on selection of appropriate units, use of misconceptions, and selection of appropriate measurement tools. Also, Investigations presented it in a more natural context in terms of length and time calculations. Since the two textbooks each have their own institutional specialties and limitations, the researchers suggested that follow-up research is needed on the differences in the textbook development process and how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are used in schools.

      • KCI등재

        제7차 교육과정에 의한 高等學敎 漢文 敎科書의 문제점 : 漢詩 單元을 중심으로 with the Unit of Sino-Korean Poetry

        金相洪 한국한문교육학회 2003 한문교육논집 Vol.20 No.-

        교과서는 문자 그대로 교과서다워야 한다. 교과서는 한 글자의 誤字나 해설상의 오류 등이 없는 완벽한 핵이어야 한다. 특히 국가가 검정한 교과서에 오자와 오류가 있어서는 안 된다. 제7차 교육과정은 고등학교는 2002학년도부터 적용되는데, 교육인적자원부의 검정을 통과한 한문 교과서는 10종이다. 이 논문은 10종 한문 교과서의 漢詩 單元에 국한하여 오자ㆍ오류를 지적하고, 이를 바로 잡았다(10종 교과서의 저자와 출판사 표시는 번호로 함. Ⅱ-1을 참조). 10종 교과서의 漢詩 단원은 전체 구성 비율은 약 10% 내외이다. 첫째, 중국 시는 13명 시인의 시 20수가 26회가 수록되었다. 王維의 「送元二使安西」는 中國ㆍ臺灣ㆍ日本의 서적에는 모두 轉句가 "勤君更盡一杯酒"로 되어 있는데, ①④⑨의 교과서는 "勤君更進一杯酒"으로 오기 하였고(盡을 進으로 오기), ③은 해석을 잘못하였다. 李白의 「黃鶴樓送孟浩然之廣陵」을 ⑦은 시제에서 "黃鶴樓" 3자를 누락했고, 起句의 "故人"을 "古人"으로, 결구의 "山"을 "空"으로 오기했고 또한 誤譯 등이 있다. 둘째, 한국 한시는 38명의 시인의 시 42수가 총 62회에 수록되었다. 鄭知常의 「送人」을 ④⑦의 교과서는 출전을 잘못 표시하였다. 鄭夢周의 「春」을 ①③⑦⑨는 「春興」으로 오기하였고, 李玉峯의 시가 ②④⑥에 수록되었는데 詩題와 오자 및 해석 등에 문제가 있다. ②④⑥⑦⑩에 수록된 蔡壽와 蔡無逸의 聯句인 「祖孫問答」은 오자 등이 있다. 崔致遠의 「秋夜雨中」을 ③은 승구의 "擧世"를 "世路"로, 결구의 "萬古心"을 "萬里心"으로 오기하였다. 曺 植의 「題德山溪亭柱」를 ④는 「天王峯」으로, 轉句의 "爭似頭流山"을 "萬古天王峯"으로 오기하였다. 이 외에도 시제가 또는 출전에 오자ㆍ오류가 있는 만큼 수정하여야 한다. 셋째, 한시 이론에 대한 해설에 오류가 있다. 起承轉結의 설명을 ②④의 교과서는 律詩의 시상전개로 잘못 기술하였다. 율시의 함연과 頸聯에서 上下句가 짝이 되게 하는 수사법인 "對偶"(對杖)에 대한 해설에 오류가 있다. 우리 祖先들도 "對句"라 하지 않고 "對偶"라 하였다. 李齊賢, 南秀文, 權應仁과 이수광도 "對句"라 하지 않고 "對偶"라 하였다. 그런데 율시를 논하면서 '對偶法'(對仗法)을 '對句法'으로 잘못 해설한 것은 ④⑤⑧⑩으로, 모두 '대우법'으로 수정하여야 한다. 넷째, 제7차 교육과정에 의한 교육부의 검정에 합격한 10종의 한문 교과서는 모두 "한시 단원"에서 문제가 있다. 필자도 교과서 저자의 한 사람으로서 원전 등을 확인하지 않은 것 등에 대한 책임이 있다. 이런 문제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교육부가 검정 교과서로 합격시킨 것과, 교과서 심사위원들도 부실하게 심사한데 대한 책임을 면할 길이 없다. 다시 말하면 저자와 교육부와 교과서 심사위원들은 완벽한 교과서가 되도록 신중을 기했어야 했다. 끝으로 교육부에게 제안한다. 앞으로 제8차 교육과정에 의한 교과서 심사 시 "해당 漢文 原典을 복사하여 함께 제출"하도록 하면, 최소한 오자와 출전에 대한 오류 등은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는 10종의 한문 교과서 한시 단원에 국한한 것이다. 나머지 단원들도 교과서 저자들은 확인하여 잘못된 곳이 있으면, 조속히 수정하여 2003학도에 배부되는 교과서는 오자나 오류가 없게 하여야 한다. 국가가 검정한 교과서에 오자와 오류가 있다는 것은 수치이자, 학생들에게 오도된 교육을 시키는 것이다. 한문 교육이 바르게 이루어지려면 일차적으로 교과서가 완벽하여야 한다. The textbook, literally, must be worthy of textbook. It must be perfect one without of just one wrong word or one mistake in explanation. Especially, wrong words or mistakes in explanation can not be found in textbooks authorized by nation. In middle school, the 7th educational curriculum was adapted from 2002 year and Sino-Korean textbooks authorized by the department of educaton & human resources are all 10. The proportion of the unit of Sino-Korean poetry in the total composition of textbook is ten percent or so. This treatise deals with the problem of wrong words and mistakes in explanation found in textbooks. We hope these wrong words and mistakes to be corrected fast as possible as(manifest publishing companies by number. refer to chap.Ⅱ-1). The first, there are mistakes in Chinese poetries of 13 poets appeared in textbooks total 26 times. In the case of「送元二使安西」written by 王維, China, Taiwan and Japan inscripted the 3rd phrase by "勤君更盡一杯酒" but ①④⑨ miswrited by "勤君更進一杯酒"(make an error in writing 盡 by 進) and ③ made a mistake in explanation. In the case of「黃鶴樓送孟浩然之廣陵」written by 李白, ⑦ missed out three words "黃鶴樓" in title, miswrited "故人" of 1st phrase by "古人", "山" of 4th phrase by "空". Moreover there is misinterpretation. The second, there are mistakes in 42 Korean poetries of 38 poets appeared in textbooks total 62 times. In the case of「送人」written by 鄭知常, ④⑦ miswrited the source book of it. In the case of「春」written by 鄭夢周, ①③⑦⑨ miswrited by「春興」. Of 李玉峯's works, ②④⑥ made erors in title, words and explanation. In the case of「祖孫問答」which 蔡壽 and 蔡無逸 who is his grandson created one after another, ②④⑥⑦⑩ miswrited the source book and words. In the case of「秋夜雨中」written by 崔致遠, ③ miswrited "擧世" of 2nd phrase by "世路", "萬古心" of 4th by "萬里心". In the case of「題德山溪亭柱」written by 曺植, ④ miswrited the title of it by「天王峯」, "爭似頭流山" of 3rd phrase by "萬古天王峯". In another cases there are a lot of problems in title, sourcebook, and words must be corrected very soon. The third, there are mistakes in the explanation of poetic theory. In the explanation of 起承轉結, ②④ explained it by the unfolding images in the genre of 律詩. And there is rhetorical mistake in the explanation of "對偶"(or 對杖) rhetoric which make pairs between upper and below phrase at the 2nd and 3rd couplet of 律詩. Our ancestors also had called this "對偶" not "對句". 李齊賢 and 南秀文 and 權應仁 and 이수광 also had expressed this "對偶" not "對句". So ④⑤⑧⑩ which misexplained 對偶法(or 對杖法) of 律詩 by 對句法 must by corrected. The fourth, All the textbook authorized by the department of education & human resource according to the 7th educational curriculum have problems in the unit of Sino-Korean poetry. I, myself, am responsible for that, for example finding sourcebooks, as one of the textbook writers. The department of education & human resource is responsible for authorizing these textbooks regardless of those problems and examiners of textbook could not escape from the responsibility for that insincere examination. As it were, writers of textbooks, the department of education & human resource and examiners had to be prudent to make perfect textbook. At the end, I want to propose to the department of education & human resource. We could eliminate wrong words and mistakes of quoting sourcebooks at the least if when we should examine textbooks according the 8th educational curriculum afterwards the official quaters would make writers to present copies of original texts. This study is localized to the unit of Sino-Korean poetry. Writers of another units should examine again their own units. And if wrong aspects were found they must correct that fastly not to be found wrong words or any other mistakes in the textbooks which would be distributed in 2003 year. It is shameful that textbooks authorized by nation have a lot of mistakes and it means that nation spoil the education. Above all things, the textbook must be perfect to teach Sino-Korean poetry as it should.

      • KCI등재

        초등 국어과 보조 교과서의 특징과 방향 모색

        이승왕 우리말학회 2014 우리말연구 Vol.37 No.-

        이 연구의 목적은 2011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 따라 새롭게 적 용되는 국어과 보조 교과서의 특징을 살펴보고, 교육 현장에서 효과적으 로 적용하기 위한 실제적 구성 방향을 모색하는 데 있다. 국어 교과서는 제1차에서부터 제4차에 이르기까지 ⌈국어⌋라는 명칭으로 편찬되었다가 제5차 교육과정부터 2007 개정 교육과정에 이르기까지 언어의 영역별 기 능을 고려하여 분책되었다. 그러나 2011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서는 통 합적 언어 사용을 고려하여 주 교과서인 ⌈국어⌋와 보조 교과서인 ⌈국어 활동⌋으로 구성되었다. 국어과에서 새롭게 적용되는 보조 교과서인 ⌈국 어 활동⌋은 차시 내 학습으로 활용할 뿐만 아니라 자기주도적 학습이 가 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초등 교과 교육에서 보조 교과서는 학습량에 대 한 부담과 활용상의 문제로, 그동안 활용되던 도덕과, 사회과에서는 사라 졌으나 국어과에서는 보조 교과서로 새로이 편찬되었다. ⌈국어 활동⌋이 학습자의 국어 능력 신장에 도움이 되기 위해서는 창의?인성 교육을 위 한 교과서, 통합적 국어 사용 활동을 위한 교과서, 체계적 분산 학습을 위 한 교과서를 지향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90년대 이후 중학 어문 교과서의 변화와 문학 경전 질서의 재편성

        김태연 한국중국어문학회 2011 中國文學 Vol.66 No.-

        本文爲筆者的博士論文《50-80年代中學語文敎科書與現代文學的經典化》的后續硏究成果。 本文認爲中學語文敎科書作爲傳播文學作品的主要媒體之一。在此基礎上, 本文考察1990年代以后中學語文敎科書收錄現代文學作品的情況。筆者在硏究中學語文敎科書與現代文學經典的關系上, 將其歷史劃分爲兩個時期:50-80年代和90年代以后。分期的主要標准是1986年。于1986年, 中國發布九年制義務敎育的實施以及敎科書編寫審定制的實行。這些等制度改革導致中學語文敎科書收錄文學作品的選材標准發生變化。 90年代初期的審定制敎科書基本上大量收錄50-80年代語文敎科書的經典課文。但根据編寫地方,編寫机構的特殊情況, 有些敎科書有所調整, 增加新課文, 主要是80年代以后發表的新作或者發表于民國時期而由于政治原因長期未選入敎科書的一些現代文學作品。 90年代末的語文敎育大討論提供中學語文敎育界一個更新的机會。關于文學作品敎育, 有兩種議論― 工具論與人文論。因此2000年代以后的中學語問敎科書?重視文學敎育方面, 結果文學作品的選材標准也注重于文學史上的意義以及藝術性。于是, 許多現代文學作品被編入中學語文敎科書, 接觸廣泛讀者, 獲得文學經典的地位。 可是, 社會上關于語文學科與文學作品之間的關系議論紛紛。中學語文課本畢竟是學校敎育的敎材, 其特殊屬性在文學作品的經典化過程中引起種種變數。語文敎科書編寫上最難以解決的問題大致在于一下兩點:是否應該重視文學作品的文學史价値;是否應該重視文學作品作爲敎學敎材的功能。尤其2000年代以后中學語文敎育注重文學作品的鑒賞, 隨之出現了學生在閱讀文學經典時缺乏接受能力的種種現象。 如此的論爭起源于中學語文敎科書的特殊性。文學作品通過語文敎科書能接觸廣大讀者, 同時需要承擔敎育尙未成熟的中學生的任務。因此語文敎科書收錄甚?文學作品永遠是爭議的焦点。

      • KCI등재

        교과서 내용 구성의 방향 탐색

        백남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08 교육과학연구 Vol.39 No.1

        7차 교육과정을 개정한 ‘새 교육과정’에 따라 교과서 개정이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본 연구는 좋은 교과서가 갖추어야 할 조건을 검토해보고 교과서 내용 구성의 방향을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 교육 개혁의 방향을 검토하고 또한미국의 교육 개혁의 방향과 비교해 보았으며, 바람직한 교과서는 내용 지식적 측면과활동의 측면을 모두 충족시킬 수 있어야 한다고 보고 이러한 사례를 미국 과학 발전협회가 제시한 교과서 평가 준거에서 찾아보았다. 이 교과서 평가 준거를 바탕으로, 본연구에서 교과서 내용 구성은 학문과 학습자의 차원을 모두 고려하여야 하며 교과서는 각 교과의 핵심 개념과 그러한 개념들 간의 관계를 명확히 제시하고 학습한 개념을학습자가 실생활 맥락과 관련지을 수 있도록 제시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이와 함께 우리나라 교과서 제작의 방향이 되고 있는 ‘쉽고, 재미있고, 친절하며, 활용하기 편리한교과서’의 의미를 단순히 교과서에서 학생의 활동 차원이 나열되어 제시되는 것보다는학생이 이해해야 할 개념에 중심을 두는 교과서의 구성에서 파악하고자 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criteria of good textbooks and searches for the constructionof contents in textbooks. In Korean educational reform, revision of textbooks hasbeen a matter of concern after the recent announcement of the “New curriculum”. This study also reviews the direction of educational reform, the “New curriculum”in Korea and the “standards-based” reform in the United States. Especially, thisstudy refers to ‘the criteria for evaluating the textbooks’ by American Association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AAAS) and proposes that both contentsknowledge and students' activities are properly presented in textbooks. The recommend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key ideas shouldbe represented clearly in the textbooks. Second, the relations among the key ideasshould be indicated in the textbooks. Third, students should be able to relate thekey ideas they learned to their real life context. And the reexamination ofactivity-centered representation in Korean textbooks is needed. The materialsshould involve students in a logical or strategic sequence of activities instead ofa collection of activities, Additionally, prerequisite knowledge should be specifiedwhich is necessary for the student's learning.

      • KCI등재

        교과서를 통해 본 초등 국악 가창 제재곡 변천 연구

        이상규 한국국악교육학회 2017 국악교육 Vol.44 No.44

        In this paper, we examined the songs of the Korean classical music in the elementary school music textbooks from the 1st curriculum to the 2009 revision curriculum. The curriculum of music have been revised 10 times from the first curriculum to the 2015 curriculum. The textbook publishing system has been changed from the 5th and 6th grade textbooks of the revised 2007 curriculum. The textbooks are printed in black and white until the third curriculum, which is printed in color from the fourth curriculum to the present. From the first to the fourth curriculum, the number of Korean classical music titles introduced in music textbooks is only about two songs, showing that actual Korean classical song classes were not conducted. During the 6th and 7th curriculum, the number of songs has increased considerably, and the 2009 curriculum has introduced 91 songs. Songs that are widely introduced in the national textbooks are Arirang, Pungnyeonga, Doraji Taryeong, Kwaejinachingchingnane and Lullaby. The songs that are widely introduced in the authorized textbooks of the 2009 revised curriculum are Arirang, Doraji Taryeong, Deokseokmolja, Ganggangsullae and Kwaejinachingchingnane. Jangdan was not introduced at all in the textbooks until the 4th curriculum, but it was introduced for the first time after the 5th curriculum, and it was disappeared from the 6th curriculum and started to be introduced again from the 7th curriculum. Most of them are Jajinmori, Semachi, Gutgeori, and Jungjungmori Jangdan, and a little different from the 2007 revision curriculum. Namdo Folk Songs, Gangwon-do folk songs and children songs began to appear in the 5th curriculum, and sources of music such as music transcription began to appear from the 2007 revised curriculum. In addition, sigimsae first appeared in the 6th curriculum textbook, and since then, the folk songs with sigimsae signs have appeared in textbooks. In short, it is expected that the introduction of new music in the elementary music textbooks will be expanded rapidly from the 2007 revision curriculum, which started the publication of the Authorized textbooks. 이 논문에서는 제1차 교육과정부터 2009개정 교육과정까지 시기별로 초등학교 음악교과서에 나타난 국악 가창 제재곡을 살펴보았으며,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을 알 수 있었다 . 음악과 교육과정은 제1차 교육과정부터 2015개정 교육과정까지 7번의 전면개정과 3번의 부분개정이 이루어져 왔으며, 교과서 발행 체제는 2007개정 교육과정 3,4학년 교과서까지 국정교과서 체제를 유지하 다가, 2007 개정 교육과정 5,6학년 교과서부터 검정 교과서 체제로 변경되어 현재에 이른다. 교과서의 색상은 제3차 교육과정까지 흑백으로 인쇄되다, 제 4차 교육과정부터 컬러로 인쇄되고 있다. 제4차 교육과정까지 음악교과서에 소개된 국악 가창 제재곡의 수는 교육과정 시기별로 대략 두 곡 정도 에 그쳐, 실질적인 국악 가창 지도가 이루어지지 않았음을 보여주고 있으며, 제6차와 7차 교육과정 시기 에 상당한 악곡수의 증대가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가장 최근의 2009개정 교육과정에는 모두 91곡이 출현하여 가창 제재곡수의 양적 확대를 확인시켜 주었다. 가창 제재곡의 출현횟수가 높은 악곡은 국정교과서의 경우 ‘아리랑’, ‘풍년가’, ‘도라지타령’, ‘쾌지나칭 칭나네’, ‘자장가’ 등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2009개정 교육과정의 교과서에는 아리랑, 도라지타령,덕석몰 자,강강술래,쾌지나칭칭나네의 순으로 나타나는데, 교과서 집필진들의 선호곡을 가늠할 수 있다. 장단명은 전혀 제시가 되지 않다가, 제5차 교육과정에 와서야 처음으로 소개되었으며, 제6차 교육과정에서 없어졌다가 제7차 교육과정부터 다시 소개되기 시작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장단은 대부분 자진모 리, 세마치,굿거리,중중모리 장단이 주로 사용되었으며, 2007개정 교육과정부터 다른 장단도 일부 등장 하고 있다. 남도 민요, 강원도 민요, 전래동요 등 악곡이 불리는 지역이나 갈래를 소개하는 정보는 제5차 교육과정 에서 나타나기 시작하였으며, 채보나 편저 등 악보의 출처도 2007개정 교육과정부터 나타나기 시작하였 다. 또한 시김새 부호는 전혀 소개되지 않다가 제6차 교육과정 교과서부터 구체적으로 나타나기 시작하였 으며, 다양한 시김새 부호가 표시된 악곡들이 교과서에 많이 등장하게 되었다. 요컨대 초등음악교과서에 소개된 국악 가창 제재곡은 검정교과서 발행체제가 시작된 2007개정교육과 정을 기점으로 양적 확대가 급속도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향후 새로운 악곡들의 유입과 시김새 지도의 강화현상이 예상된다.

      • KCI등재

        교과서의 대안적 모습 탐색

        김세영 ( Seyoung Kim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17 통합교육과정연구 Vol.11 No.1

        본 연구는 교과서의 의미와 형태 변천에서 발견할 수 있는 교과서의 대안적 모습을 탐구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과거 교과서는 어떤 의미와 형태를 지녔는지 몇 가지 유형을 추출하여 살펴보았으며, 이를 기준 삼아 현 교과서에 내재된 과거 교과서의 의미와 형태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현 교과서는 과거 교과서의 형태를 거의 모두 취하고 있는 부가주의적 특성을 띠고 있었으며, 이러한 멀티적 형태를 해체하고 교과서가 지향하는 특정기능에 초점을 둠으로써 교과서의 대안적 모습을 찾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교과서는 교육과정으로서의 책(book as curriculum), 교육과정을 위한 책(book for curriculum), 교육과정 패키지(curriculum package)로 다시 나뉨으로써 각각의 기능에 충실한 교과서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The study aims to inquire the alternative of textbook through the past of textbooks. First, this paper traced and explored the meaning and form of past textbooks. And this study analyzed the current textbooks based on meaning and form of past textbooks. As the study results shows, current textbook was accumulated elements of past textbooks. By disassembling multiple form that contain in the textbooks, textbooks can create the different versions of textbook. Specifically, textbook can be implemented in three forms: book as curriculum, book for curriculum, curriculum pack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