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 내 한국어 전공 학습자를 위한 접속부사의 오류 양상 연구-중·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서평 이중언어학회 2019 이중언어학 Vol.74 No.-

        The study polled 17 access agencies on 62 intermediate-level, 100 high-level, and 162 university-level Korean learners in China to identify the error patterns of connecting Korean. The survey found that the errors of ‘causal, confrontational-positive, and transition’ relationship were relatively more error-prone than high-level, but that errors on ‘add, select, and condition’ relationships were more error-prone than in intermediate-level. ‘Daman, therefore, or, so’ showed high error rates in both middle and high levels, regardless of their mastery. The error rate based on proficiency indicates that there are more errors in intermediate levels than in advanced levels. However, ‘and’ with a wide range of meaning functions has caused more errors than intermediate learners due to overapplication of semantic functions. The patterns of errors between semantic conjunctives found that error patterns between causality, antagonism and selective-relationships were error between add-on and selective-relations, error between condition-relations and causative-related adverbs, and error between transition-related and causative-related conjunctives were frequently found and found to be the cause of his error. 본 연구는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접속부사 오류 양상을 파악하기 위해 중급 62명, 고급 100명, 총 162명 중국 내 대학 기관에서 한국어를 전공하는 학습자를 대상으로 17개 접속부사에 대해 설문조사하였다. 이를 통해 중국 내 한국어 전공 중·고급 학습자가 사용하는 접속부사의 오류 양상을 비교·분석하였다. 본고에서 논의한 내용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유형별에 따른 접속부사의 오류 빈도를 보면 ‘다만, 그리하여, 또는, 그래서’는 숙달도와 관계없이 중·고급에서 모두 높은 오류 비율을 보였다. 한편 숙달도에 따른 오류 비율을 보면 고급보다 중급에서 발생한 오류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중급에서 고급으로 진학하면서 오류율이 점점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의미 기능에서 광범위를 가지고 있는 ‘그리고’는 고급 학습자가 의미 기능 과잉 적용으로 인하여 중급 학습자보다 오류가 더 많이 일어났다. 둘째, 의미 관계에 따른 접속부사의 오류 빈도를 보면 숙달도와 상관없이 중·고급 단계에서 인과 관계와 대립-양보 관계의 접속부사 오류 빈도가 모두 높게 나타났다. 한편 숙달도별 의미 관계에 따른 접속부사의 오류 비율을 비교해 보면 ‘인과, 대립-양보, 전환’ 관계 접속부사의 오류는 고급보다 중급에서의 오류가 상대적 많았으나 ‘첨가, 선택, 조건’ 관계에 대한 오류는 중급보다 고급에서의 오류가 더 많았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셋째, 의미 관계에 따른 세부적인 접속부사 간의 오류 양상을 보면 인과 관계 접속부사 ‘그래서, 그러므로, 따라서, 그리하여, 왜냐하면, 그러니까’ 간의 의미 기능과 문법적 제약의 차이를 인식하지 못하므로 일어난 오류가 많았고 특히 고급 학습자에 비해 중급 학습자가 인과 관계 접속부사를 사용할 때 혼동하여 오류가 더 많이 발생하였다. 또한 대립-양보 관계 접속부사 ‘그런데, 그러나, 그렇지만, 하지만’과 ‘그래도’, ‘다만’ 간의 의미 기능 차이를 변별하지 못하여 오류가 많이 일어났다. 이러한 오류는 고급보다 중급에서 더 많았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넷째, 유사한 형태로 인하여 첨가 관계 접속부사 ‘또한’, 선택 관계 접속부사 ‘또는’ 서로 간의 오류가 자주 발생하였다. 이러한 오류는 중급에 비해 고급에서 더 많이 나타났다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 다섯째, 의미 기능 과잉 적용으로 인하여 조건 관계 접속부사 ‘그러면’과 인과 관계 접속부사 ‘그러니까’ 간의 오류, 전환 관계 접속부사 ‘한편’과 인과 관계 접속부사 ‘따라서, 그러므로, 왜냐하면’ 간의 오류가 자주 일어났다. 이 두 종류 오류는 모두 고급보다 중급에서 오류를 더 많이 범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한국어 사동과 피동 표현에 대한 고급학습자 번역 양상과 인식 연구 -한국어 역번역문 자료를 중심으로-

        박은정 국제어문학회 2019 국제어문 Vol.0 No.8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serve, through back translations, the translation aspects and awareness of causative and passive expressions of advanced Korean language learners majoring in translation. Characteristics of causative and passive expressions that appear in the back-translationed sentences of learners and which can be seen as differences that cause no problems, even if they are different from the original texts, are as follows. First, even advanced learners had a lack of awareness with respect to causative and passive expressions; hence, there were many cases in which translations were made using active expressions. Second, more cases were translated using lexical causative and passive expressions, which are comparatively easier than syntactic causative and passive expressions. There were also many cases of passive expressions being translated as active expressions, or confusion about the selection of postpositional particles in the process of passive expressions being translated into active expressions. There appears to be only a weak awareness that postpositional particles must change according to changes in sentence structure. It is also apparent that in-depth education for advanced learners has been lacking at site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hence, this was an opportunity to verify issues in Kores language education that must be addressed for learners majoring in translation. Learners majoring in translation must recongnize what like in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original texts and the various back-translated sentences of learners. Further, this study implies that learners must go through a thought process to find the paper form whereby the most appropriate sentences for the context can be delivered to accurately convey the intentions of the original writers and provide a more excellent translation.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was able to observe the learners’ awareness, as it was conducted using methods of back translation, not free writing. It can be differentiated from existing studies in that it is a study of causative and passive expressions seen to have in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homogeneous back translation material of advanced learners. 본 연구의 목적은 역번역문을 통해 번역 전공 고급한국어 학습자들의 사동과 피동 표현의 번역 양상과 인식을 살펴보는 데에 있다. 원문과 동일하지 않아도 문제없는 차이로 볼 수 있는 학습자들의 역번역 문장에 나타난 사동 피동 표현 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고급학습자임에도 불구하고 사동과 피동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여 능동으로 번역을 한 사례가 많았다. 둘째, 통사적 사동 피동 표현보다 비교적 쉬운 어휘적 사동 피동 표현으로 번역한 경우가 많았다. 또한 사동 표현을 능동으로 바꾸어 번역하거나 피동을 능동으로 번역하는 과정에서 조사의 선택에서 혼동을 느끼는 경우가 많았다. 문장의 구조가 바뀜에 따라 조사도 바뀌어야 한다는 인식이 약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한국어교육 현장에서 그동안 고급학습자들을 위한 심도 있는 교육이 부족했음을 알 수 있고번역 전공 학습자들을 위해 한국어 교육에서 다루어져야 할 항목들을 확인하는 계기가 되었다. 번역 전공 학습자들은 문제없는 차이로 볼 수 있는 학습자들의 다양한 역번역 문장이 원문과 어떠한 점에서 차이를 보이는지를 알아야 할 것이 다. 또한 학습자들이 좀 더 훌륭한 번역을 하기 위해 맥락에 가장 적절하면서 원문 저자의 의도를 제대로 전달할 수 있는 문장은 어떤 형태인지를 고민하는 과정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자유 작문이 아닌 역번역이라는 방법이었 기에 학습자들의 인식까지 살펴보는 것이 가능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으며 균질한 고급학습자들의 역번역문 자료를 대상으로 문제없는 차이로 볼 수있는 사동과 피동 표현에 대한 연구라는 점이 기존의 연구와 차별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사동과 피동 표현의 특징을 분석함으로써 고급학습자들을 위한 좀 더 깊이 있는 한국어교육의 필요성, 특히 고급학습자들에게 필요한 문법 항목들 에 대한 교육의 초점을 어디에 맞추어야 하는지를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연구 의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한국어 고급학습자들의 역번역문에 나타난 복합적 구성의 양태 표현 연구 -역번역문과 자가수정 자료를 중심으로-

        허용 ( Heo¸ Yong ),박은정 ( Park¸ Eun-jung ) 국제어문학회(구 국제어문학연구회) 2020 국제어문 Vol.0 No.87

        본 연구의 목적은 역번역문을 통해 번역 전공 고급한국어 학습자들의 양태 표현의 번역 양상을 살펴보는 데에 있다. 학습자들의 역번역 문장에 나타난 양태 표현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양태 표현을 누락시키거나 정확하게 쓰지 못하고 있다. 문장에 나타난 서술어로 문장 구성이 완료된다고 생각하는 학습자들은 서술어에 덧붙어 표현되는 양태 표현에 주목하지 않는 것이다. 둘째, 언어연수과정에서 학습한 초급 단계에서의 추측 양태 표현 ‘-(으)ㄹ 것이다’ 형태의 사용에 머물러 있다. 고급학습자임에도 불구하고 한국어 문장에 사용되는 다양한 양태 표현에 대해 알지 못하고 있어 이런 부분에 대한 교수ㆍ학습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셋째, 번역전공 고급학습자들이 동일한 의미의 문장을 다른 다양한 문장으로 표현하지 못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모국어와 한국어는 다른 언어이므로 같은 문법구조가 아닌 다른 형태의 문장으로 나타나더라도 원문의 문장과 같은 의미 기능의 문장으로 바꿔서 표현할 수 있어야 하는데 그런 부분에서 부족하다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한국어교육 현장에서 그동안 고급학습자들을 위한 심도 있는 교육이 부족했음을 알 수 있고 번역 전공 학습자들을 위해 한국어교육에서 다루어져야 할 항목들을 확인하는 계기가 되었다. 번역 전공 학습자들은 자신들이 번역한 다양한 역번역 문장이 원문과 어떠한 점에서 차이를 보이는지를 알아야 할 것이다. 또한 학습자들이 좀 더 훌륭한 번역을 하기 위해 맥락에 가장 적절하면서 원문 저자의 의도를 제대로 전달할 수 있는 문장은 어떤 형태인지를 고민하는 과정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역번역이라는 학습 방법을 활용하여 학습자들의 인식까지 살펴보는 것이 가능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으며 균질한 고급학습자들의 역번역문 자료를 대상으로 양태 표현의 번역 양상과 인식을 살펴본 연구라는 점에서 기존의 연구들과의 차별성를 찾을 수 있다. This study looked at the translation patterns of pattern expressions of advanced Korean language learners majoring in translation using back-translat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pattern expressions in the reverse translation sentences of learners are as follows. First, they either omit or do not use the correct expression. Learners who think that sentence composition is completed with the predicate shown in the sentence do not pay attention to the pattern expressions expressed in addition to the predicate. Second, it remains in the form of “-(으)ㄹ 것이다” in the form of conjecture patterns at the beginner level learned in the language training course. Although the learner is an advanced one, he is not aware of the various patterns used in Korean sentences;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teaching and learning in these areas. Third, translation major advanced learners cannot express sentences with the same meaning in different sentences. Since the mother tongue and the Korean language are different, even if they appear in a different form of a sentence than the same grammatical structure, they should be able to be expressed in a sentence with the same meaning function as the original sentence, but that is not enough. This led to the lack of in-depth education for advanced learners at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site and to identifying the items that should be covere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learners majoring in translation.

      • KCI등재

        MALL을 활용한 한국어 학습 방안 : 해외 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조영미(Young Mi Cho),한혜민(Hae Min Ha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2

        목적 본 연구는 MALL(Mobile-assisted Language Learning)을 활용한 자기주도학습으로 한국어 고급 학습자들이 한국어 학 습을 지속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에 해외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모바일 기기를 활용해 시공간 등 물리적인 제약을 극복하고 한국어문화 능력과 상호문화능력 향상을 이끄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방법 이를 위하여 대만과 홍콩 고급 수준의 학습자 7명 대상으로 질적 연구의 하나인 실행 연구를 진행하였다. 구체적인 연구는 실행연구의 과정인 계획-실행-반성-평가의 순환적 과정을 따랐으며 기간은 3개월로 1, 2, 3차에 나누어 진행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사전 설문 조사, 학습자 쓰기 결과물, 포커스 그룹 인터뷰, 학습자 성찰 노트를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결과 3개월 동안 진행한 MALL 활동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MALL은 학습자들에게 비형식 학습의 틀을 제공한다. 둘째, MALL은 학습자들의 상호문화 능력을 향상시킨다. 셋째, MALL은 꾸준한 한국어 학습을 하게끔 학습자들을 이끈다. 넷째, MALL에서는 학습자들의 협력학습을 기대할 수 있다. 결론 본고의 MALL 활용 한국어 학습 교육 방안은 정규과정에서 한국어 학습을 지속할 수 없는 고급 학습자들이 학습자 주도적으로 참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시간과 장소에 구애를 받지 않는 모바일 기기의 이점을 활용하여 학습자가 원하는 시간에 학습을 진행할 수 있다. 이로써 다양한 수준의 학습자들은 교수자들과 함께 자발적으로 한국어 지식 및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협력 학습을 지향해 학습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how to continue learning Korean through self-directed learning using Mobile-assisted Language Learning (MALL) for advanced Korean learners. Therefore, this study finds how to help Korean learners in overseas overcome physical limitations such as time and space, and lead to the improvement of Korean cultural ability and intercultural ability by using mobile devices. Methods This study conducted action research, which is one of the qualitative research. Target is 7 advanced learners in Taiwan and Hong Kong. This study is followed the cyclical process of action research, such as planning-implementation-reflection-evaluation. The period was three months, and conducted three sessions. In this study, pre-survey, learners writing, focus group interview, and learners reflection notes were analyzed. Results Firstly, MALL provided learners the framework for informal learning. Secondly, MALL improved learners’ intercultural abilities. Thirdly, MALL leaded learners to learn Korean continuously. Lastly, learners can conduct cooperative learning. Conclusions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using MALL has the advantage that advanced learners who cannot continue learning Korean, can participate in the learning. They can learn at any time they want by utilizing the advantages of mobile devices that are not restricted by time and place. This will maximize the learning effect by aiming for cooperative learning by voluntarily sharing Korean knowledge and information with learners and teachers at various levels.

      • KCI등재

        복합 재귀사 ‘자기 자신, 자기 스스로’에 대한 인식 조사 연구: 한국인 모어 화자와 중국인 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주희홍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20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patterns of Korean and Chinese Advanced learners about the compound reflexive ‘자기 자신’ and ‘자기 스스로’. Methods Considering the limitations of simple recursive events, a questionnaire was created and then a surve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patterns of complex recursive events. A study was conducted on the perception patterns of complex reflexive ‘자기 자신’ and ‘자기 스스로’ among 20 Korean native speakers and 20 advanced Chinese learners attending S University in Seoul.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urvey, Korean native speakers and The Chinese advanced learners identified the perception patterns of the compound reflexive ‘자기 자신’ and ‘자기 스스로’. Result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Korean native speakers have the same perception of the compound reflexive ‘자기 자신’ and ‘자기 스스로’, however Advanced Chinese learners have a confused perception. In addition, Chinese advanced leaners showed a tendency to recognize Korean complex reflexive words by connecting them to their mother tongue under the influence of their mother tongue. Lastly, it can be seen that it is difficult for Advanced Chinese learners to use the compound reflexive ‘자기 자신’ and ‘자기 스스로’ to distinguish them. Conclusions Through the survey conducted on Korean native speakers and Advanced Chinese leaners, we lookde at what kind of perception each had.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prepare an educational plan for Chinese learners by conducting a comparative study on compound recursive history. 목적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 모어 화자와 중국인 고급 학습자가 복합 재귀사 ‘자기 자신’과 ‘자기 스스로’에 대한 인식 양상을 조사하고자 한다. 방법 단순 재귀사의 제약을 고려하여 복합 재귀사에 대한 인식 양상을 조사하기 위해 설문지를 만든 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서울에 있는 S대학교에 재학 중인 한국인 모어 화자 20명, 중국인 고급 학습자 20명을 대상으로 복합 재귀사 ‘자기 자신’과 ‘자기 스스로’ 에 대한 인식 양상을 조사하였고, 조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인 모어 화자와 중국인 고급 학습자가 복합 재귀사 ‘자기 자신’과 ‘자기스스로’에 대한 인식 양상을 파악하였다. 결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한국인 모어 화자는 복합 재귀사 ‘자기 자신’과 ‘자기 스스로’에 대하여 통일된 인식을 가지고 있는 반면중국인 고급 학습자는 혼동된 인식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중국인 고급 학습자는 모국어의 영향을 받아 한국어 복합 재귀사를 모국어와 연결하여 인식하는 경향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중국인 고급 학습자는 복합 재귀사 ‘자기 자신’과 ‘자기 스스로’를 구별하여 사용하기 어렵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결론 한국인 모어 화자와 중국인 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 조사를 통하여 각자 어떠한 인식 양상을 가지는지를 살펴보았으며 앞으로 복합 재귀사에 대한 대조 연구를 실시하여 중국인 고급 학습자를 위한 복합 재귀사와 이에 관한 교육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한국어 최고급 학습자의 어휘 오류 연구

        김가람 국어문학회 2022 국어문학 Vol.80 No.-

        이 연구는 한국어 최고급 학습자의 쓰기 자료를 대상으로 어휘 오류 양상을 분석하여, 최고급 학습자 대상의 적절한 어휘 사용 교육 방향을 제언한 것이다. 최고급 수준의 한국어 학습자가 증가하였지만 이들을 대상으로 한 교육과 연구가 부재하다는 문제 의식에서 출발하여 어휘 오류 분석 연구를 진행하였다. 학습 기간과 성취도를 기준으로 “한국어 학습 시간이 1,200시간 이상이며, 토픽 6급에 합격한 학습자”를 한국어 최고급 학습자로 새롭게 규정하였다. 최고급 학습자 6명이 각각 6편씩 작성한 36편의 쓰기 자료를 분석하여 구체적인 어휘 오류 양상을 확인한 결과, 단순 형태 오류와 유사 의미 오류가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품사 오류와 결합 관계 오류가 뒤를 이었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최고급 학습자 대상 어휘 교육은 먼저 단순 형태 오류를 줄이기 위해서 ‘쓰기 후 단계’의 역할을 강조해야 함을 제언하였다. 또한 품사 정보를 포함한 어휘 지식 교육을 강화하고, 사전과 말뭉치를 활용한 실제적인 어휘 사용 교육이 이루어져야 함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후보

        한국 고전시가 감상 교육에서 중국인 고급 학습자의 상호텍스트 구성에 관한 시론

        김영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2020 국어교육연구 Vol.46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implications for Korean classical poetry, which focuses on the construction of intertext for Chinese advanced learners. The “intertextuality” discussed in this study is reader-centered, which Chinese learners themselves form in the process of appreciating Korean classical poetry. In this study, classical Korean poetry classifies the aspects of the interactive composition of Chinese advanced learners in appreciation education into “searching for the meaning of the text through the union of intertext elements,” “interpreting the meaning of the text through the combination of text,” and “expanding the meaning of the text through the reconstruction of the learner.” This study suggests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if only the work is analyzed and self-awareness is not extended, it is imperative for the teacher to set up induction questions so that the learner can connect with his or her life and appreciate the work. Second, if there is a lack of internalization for the intertextual meaning that they have formed, the teacher should lead the learner to gain an insight into his/her actions and thoughts by finding a common ground with the “personality” or “situation” in the text. Third, if a statement reflecting on one's life and the world concludes rather briefly, the teacher allows the learner to list what he/she realizes through the text or shape the changed perception. 본 연구는 중국인 고급 학습자를 위한 상호텍스트 구성 중심의 한국 고전시가 감상 교육의 방안에 대해 시사점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에서 논의하는 ‘상호텍스트성’은 선행 텍스트와 후행 텍스트 사이의 인유(引喩)나 인용(引用)과 같은 명시적인 관계의 상호텍스트성이 아닌 중국인 학습자가 한국 고전시가를 감상하는 과정에서 스스로 구성하는 독자 중심 차원의 상호텍스트성이다. 본 연구는 한국 고전시가 감상 교육에서 중국인 고급 학습자의 상호텍스트 구성 양상을 ‘상호텍스트적 요소 연합을 통한 텍스트 의미 탐색’, ‘텍스트 간의 결합을 통한 텍스트 의미 해석’, ‘학습자의 재구성을 통한 텍스트 의미 확장’으로 분류하여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중국인 고급 학습자를 위한 상호텍스트 구성 중심의 한국 고전시가 감상 교육의 방안에 대해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첫째, 학습자의 감상이 작품 분석에만 그치고 자아 인식의 확장으로까지 나아가지 못하는 경우, 교사는 학습자가 자신의 삶과 연결 지어 작품을 감상할 수 있도록 유도 질문을 설정할 필요가 있다. 둘째, 학습자 자신이 구성한 상호텍스트적 의미에 대해 내면화가 부족한 경우, 교사는 학습자가 텍스트 속 ‘인물’ 또는 ‘상황’과의 공통점 찾기를 통해 자신의 행동과 생각을 통찰할 수 있도록 이끌어야 한다. 셋째, 학습자가 자신의 삶과 세계에 대해 성찰한 진술들이 다소 짧게 종결되는 경우, 교사는 학습자가 텍스트를 통해 깨달은 내용이나 전환된 인식을 구체화할 수 있도록 나열하게 해야 한다.

      • KCI등재

        한국어 조사 ‘을/를’의 인지·산출 양상 및 개선 방안 연구 -중국인 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여문리(LU WENLI) 우리말글학회 2020 우리말 글 Vol.86 No.-

        한국어 조사 ‘을/를’은 목적격 조사 외에 여러 가지 기능을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사실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한국어 조사 체계와 거리가 먼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조사 ‘을/를’의 기능에 대한 인지 정도와 구어 산출 양상을 살펴보고, 학습자가 한국인 화자와 비교하여 조사 ‘을/를’을 수행하는 데에 있어서 오류 양상을 밝혀 이에 대한 효과적인 교육개선 방안을 모색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1장에서는 연구 목적 및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2장에서는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통합교재와 한국어문법 사전에서 조사 ‘을/를’을 다룬 양상을 살펴보고, 한국어 학습자를 위해 조사 ‘을/를’의 기능을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조사 ‘을/를’의 사용 양상을 전면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인지 정도와 산출 실험을 진행하였다. 우선, 인지 실험에서 고급 중국인 학습자가 조사 ‘을/를’의 여러 가지 기능에 대한 인지 정도를 알아본 후에 이와 비교하기 위해 정해진 주제를 가지고 본인 생각을 말하게 하는 방식으로 고급 중국인 학습자가 조사 ‘을/를’의 여러 기능으로 실제 산출하는 양상을 조사하였다. 또한 산출 실험에서 조사 ‘을/를’에 대한 고급 중국인 학습자의 산출 양상을 더욱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 한국인 화자의 산출 양상과 비교하였다. 마지막 4장에서는 3장의 실험 과정에서 발견된 고급 중국인 학습자의 문제점을 바탕으로 더 효과적인 조사 교육을 위하여 조사 ‘을/를’의 교육적 제안을 하였다. The korean proposition markers "를’ which performs various functions besides objective proposition. Based on this fact, in this article searching the cognitive and computational aspects of chinese learners, and then comparing with native speakers. Finally revealing the error patterns of Chinese learners on using proposition markers "를’ and searching effective improvement plan for this. In chapter 1, raising the purpose and the necessity of study. In chapter 2, searching the appearance aspects of "를’ in the korean integrated textbook and the korean grammar dictionary, and then setting the educational features of korean proposition markers "를’ for chinese learners. In chapter 3, progressing the cognitive and computational experiments to grasp the whole using aspect of "를‘. In the cognitive experiments, to grasp the degree of recognition for advanced Chinese learners about the various functions of korean proposition markers "를’. In the computational experiments, to search the actual use positive aspects of advanced Chinese learners, using the way which is to say one"s thoughts with a fixed subject and then for the optimum and full-scale result, the result of the computational experiments will be compared with native speakers. In chapter 4, through the result of the chapter 3 to find out the problem of the advanced Chinese learners, and basing the result of experiments, to propone the improvement methods of korean proposition markers "를’ for the advanced Chinese learners.

      • KCI등재

        TV 뉴스를 활용한 고급 한국어 듣기 교수 방안 연구

        노미연(Noh, Mi Yeon) 동악어문학회 2017 동악어문학 Vol.71 No.-

        이 연구에서는 학문 목적의 한국어 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TV 뉴스’를 활용하여 학습자의 듣기 능력 향상을 목표로 하는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교수․학습 방안을 적용한 후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사후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수업의 효과에 대해 조사하였다. ‘TV 뉴스’를 활용한 듣기 교수․학습은 11주간 동안 이루어졌고, 수업은 듣기 전, 듣기, 듣기 후 단계로 진행되었다. 듣기 전 단계에서는 ‘제목 보고 내용 추측하면서 어휘 및 표현 학습하기’, 듣기 단계에서는 ‘질문을 통해 주요 내용 확인하면서 듣기’, ‘빈칸 채우기’, 듣기 후 단계에서는 ‘들은 내용 요약하여 쓰기’가 적용되었다. 11주간의 듣기 수업이 이루어진 후 3주간 학습자들에게 ‘뉴스 발표’ 과제를 수행하게 하여 학습자의 통합적 언어 능력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이 교육과정이 끝난 후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수업에 대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 교수․학습 방안을 통해 학습자들의 듣기 능력이 향상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둘째, 듣기 능력 향상에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 ‘빈칸 채우기’였으며, 그 다음으로 효과적인 방법이 ‘제목 보고 내용 추측하면서 어휘 및 표현 학습하기’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신의 뉴스 발표 과제는 쓰기 능력과 말하기 능력 향상에 효과적이었으나, 동료의 뉴스 발표는 학습자 자신의 뉴스 발표에 비해 언어 능력 향상에 효과적이지 않았다고 응답하였다. 지금까지 ‘TV 뉴스’를 활용한 교수․학습 방안에 대한 선행 연구에서는 사후 설문 조사를 통해 교수․학습 방법의 효용성이나 효과에 대해 조사가 이루어지지 않았고, 이를 검증하지 않았다. 그러나 이 연구에서는 교육 과정 후 설문 조사를 통해 ‘빈칸 채우기’가 학습자의 듣기 능력 향상에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라는 결과를 얻었다. 따라서 이러한 방법을 고급 학습자를 위한 듣기 수업에 적용한다면 학습자의 듣기 능력 향상에 교육적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학습자의 만족도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study is to develop efficient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to improve listening comprehension ability for advanced Korean language learners using TV broadcasting news for an academic purpose. It applied a newly designe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to learners and then surveyed them about the effect of the learning course. The teaching and learning course using TV broadcasting news consists of three steps for eleven weeks: pre-listening, while-listening, and post-listening. In pre-listening step, students learn vocabulary and idioms by guessing contents only with news headlines, in the while-listening, they listen to news show focusing on key contents as asking questions and work on fill-in-the-blank questions, and in post-listening, they try to summarize and writing down what is heard. For three weeks following the 11-week listening comprehension course, students are encouraged to practice news briefing to enhance comprehensive linguistic ability. After completing the course, it surveyed students and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 the learning program helped students develop listening comprehension ability. Second one of the most efficient methods for skill-up is ‘fill in the blank questions’ followed by learning vocabulary and idioms by guessing contents only with news headlines. Third, students answered that while news briefing done by themselves is efficient in developing speaking and writing abilities, the news briefings done by classmates are relatively not effective for their improvement. In past research about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using the TV broadcasting news, follow-up survey and verification process to evaluate its efficiency and effect has not been implemented. However, in this study, it conducted survey after completing the program and came to conclusion that fill in the blank method is one of the most efficient ways in improving listening comprehension skills. It is expected that if this method is introduced to listening comprehension program for advanced learners, it will bring about educational effect on their listening comprehension ability as well as raise learner satisfaction.

      • KCI등재

        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한국어 읽기 디지털 교재 개발 방안

        김미숙 이중언어학회 2021 이중언어학 Vol.85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digital reading textbook for advanced Korean learners. While research on textbooks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is being carried out steadily, most of the textbooks were published for intermediate and advanced levels published are integrated textbooks mainly used by language education institutes, textbooks for academic learners, and test books for preparing for TOPIK(Test of Proficiency in Korean) etc. However, there is a shortage of advanced textbooks for general purpose learners who are constantly learning Korean with interest in the Korean language and Korean culture. In particular, development of digital textbooks for the digital generation who are familiar with digital devices has not achieved much in terms of research achievements compared to the necessity. Digital textbooks are equipped with various learning materials, which further arouse learners’ interest, enable them to learn self-directedly, and facilitate the supply and demand of textbooks overseas. In this study, the development of reading materials containing various topics was suggested to improve learners’ reading ability. In particular,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learners of the digital generation, I intend to develop digital textbooks that are easy to access even abroad. The content was based on a travel destination that learners may be interested in, and a theme-based textbook was developed by connecting it with reading texts on unfamiliar topics. In addition, reading strategies are included in the textbook to improve the reading skills of learners by learning reading strategies. In this study, a digital textbook was developed using a reading strategy, and it is expected that the discussion on digital textbooks will become more active in the future.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 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읽기 디지털 교재 개발에 있다.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교재에 대한 연구는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는 반면 실제 출간되는 중·고급 수준의 교재는 대부분 언어교육원에서 주로 사용하는 통합교재나 학문 목적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교재, 한국어 능력시험을 준비하는 수험서 등이 주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한국어나 한국 문화에 대한 관심으로 꾸준히 한국어를 학습하는 일반 목적의 학습자들을 위한 고급 교재는 부족한 실정이다. 특히 디지털 기기에 익숙한 디지털 세대를 위한 디지털 교재 개발은 필요성에 비해 연구 성과가 미미한 수준이다. 디지털 교재는 다양한 학습 자료를 탑재하고 있어 학습자들의 흥미를 더욱 유발하고, 자기 주도적으로 학습할 수 있으며 해외에서도 교재 수급이 용이하다.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의 읽기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다양한 주제를 담은 읽기 교재 개발을 제언하였다. 특히 디지털 세대인 학습자들의 특성을 고려하여 해외에서도 접근이 용이한 디지털 교재를 개발해 보고자 한다. 그 내용은 학습자들이 흥미를 가질 수 있는 여행지를 소재로 친숙하지 않은 주제의 읽기 텍스트와 연결하여 주제 중심 교재를 개발하였다. 또한 읽기 전략을 학습하여 학습자들의 읽기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교재에 읽기 전략을 담아내었다. 본 연구에서는 읽기 전략을 활용한 디지털 교재를 개발하였는데 앞으로 디지털 교재에 대한 논의가 더욱 활발해지기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