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RISS 인기논문 KCI우수등재SCOPUS

        암 간호정보체계 개발 : 한국 6대 암 환자의 핵심간호진단

        이병숙,Brenda K. Zierler 대한간호학회 간호행정학회 2007 간호행정학회지 Vol.13 No.2

        연구목적: 본 연구는 암 간호정보체계에 사용될 한국 6대 암 환자의 핵심간호진단을 결정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핵심간호진단은 6대 암, 각 환자 군의 간호를 위해 가장 자주 혹은 많이 사용되는 일정의 간호진단 세트로 정의된다. 본 연구에서 6대 암 환자의 핵심간호진단을 결정하고자 하는 가장 큰 목적은 간호진단 과정에서의 편리성을 높임으로써 앞으로 개발될 암 간호정보체계의 유용성과 사용가능성을 높이기 위함이다. 연구방법: 핵심간호진단은 조사연구를 통해 결정하였으며, 결정된 진단들은 문헌고찰과 환자기록 분석을 통해 그 타당도를 확인하였다. 환자기록 분석은 특히 조사연구 결과의 타당도를 확인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조사연구에 사용된 도구 및 환자기록에 나타난 간호진단 혹은 간호문제의 교차분석을 위해서는 NANDA Taxonomy Ⅱ에 포함된 간호진단이 사용되었다. 219명의 경력간호사가 조사연구에 참여하였으며, 72개의 환자기록이 분석되었다. 핵심간호진단은 암 간호정보체계의 언어개발을 위해 구성된 전문가 집단에 의해 조사연구 참여자의 20% 이상이 선택한 NANDA 간호진단으로 정하였다. 연구결과: 16개 ~ 20개의 NANDA 간호진단이 한국 6대 암, 각 환자군의 핵심간호진단으로 선정되었다. 핵심간호진단 중 ‘급성통증’, ‘만성통증’, ‘불안’, ‘감염가능성’, ‘피로’, 등이 6대 암 환자 군에 모두 포함되었다. 결론: 핵심간호진단의 타당도는 환자기록 분석과 문헌고찰을 통해 확인되었다. 이들 핵심진단은 암 간호정보체계에 사용되어 간호진단 적용을 촉진함으로써 암 환자 간호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간호기록을 이용한 한방 간호 실무에서의 간호 문제에 대한 조사 연구

        황지인 ( Jee In Hwang ) 경희대학교 동서의학연구소 2011 동서간호학연구지 Vol.17 No.1

        본 연구는 한방 간호 실무에서의 주요 간호 문제를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간호 활동에 대한 실제적 근거로서 간호 기록 분석을 통해 살펴본 결과, 다빈도 간호진단은 외상 위험성, 통증, 배뇨장애 등이었으며, 임상간호분류체계와의 맵핑에서 건강 행위 영역의 안전 요소(safety component)가 주요한 간호 문제로 나타났다. 이러한 안전 요소에 해당하는 구체적인 간호진단은 외상 위험성과 기 도흡인 위험성 등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일반 종합병원의 전체 간호기록지를 대상으로 한 Kim 등(2005)의 연구에서 가장 흔히 사용된 간호진단이 통증, 감염위험, 비효율적 기도청결이었다는 보고와, 중환자실 간호기록을 대상으로 한 Song (2007)의 연구에서 주요 간호 활동이 생리적 영역의 호흡 요소이었고, 최다 빈도의 간호진단이 비효율적 기도 청결이었던 결과와는 차이가 있었다. 또한 외과계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들과도 차이가 있었다(Cho & Kim, 2008;Lee & Choi, 2011). 이와 같은 차이는 간호 실무 분야의 특성을 반영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한방 간호 실무의 질적 향상을 위해서는 이러한 환자간호 문제를 중심으로 한 간호중재 활동을 강화해야 할 것이다. 간호진단은 실제적 및 잠재적인 건강문제, 삶의 과정에 대한 개인, 가족, 지역사회의 반응에 대한 임상적 판단으로서, 간호사가 책임지는 간호 결과를 달성하기 위한 간호 중재의 선택을 위한 기초를 제공한다(Saba, 2004). 본 연구에서 가장 흔히 사용되는 간호진단은 외상 위험성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본 연구에서 입원환자들의 61.8%가 65세 이상이고, 평균 나이도 67세 이상이었다는 것과 관련 될 수 있을 것이다. 노인 환자군에 있어서 낙상과 같은 외상의 위험성이 높기 때문에, 안전 요소의 간호 문제가 주요 간호 진단으로 나타난 것으로 해석된다. 두 번째로 주요한 간호 문제는 기능적 간호 영역의 감각 요소이었다. 구체적인 간호 진단은 통증이었는데, 이는 내과 및 외과계 일반병동 간호기록 분석을 통한 Kim 등(2005)의 연구에서 가장 흔히 사용된 간호진단이 통증이었다는 보고와 일치하였다. 또한 외과계 환자들의 다빈도 간호진단이 급성 통증이었다는 것과 유사한 결과 이었다(Cho & Kim, 2008; Lee & Choi, 2011). 그러나 중환자실 간호기록을 대상으로 한 Song (2007)의 연구에서 기능적 영역의 다빈도 간호 요소가 체액 요소, 활동 요소이었던 결과와는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특수 간호 단위와는 차이가 있지만, 통증이 양방과 한방 병원의 일반 간호 단위에서 공통된 주요 간호 문제라는 것을 가리킨다. 세 번째로 주요한 간호 문제는 생리적 간호 영역의 배뇨 요소로서, 배뇨 장애나 소변 정체의 간호진단이 이에 해당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한방 병원에 입원한 환자들의 상당수가 65세 이상의 노인 환자라는 것과 관련될 수 있을 것이다. 기존 연구들에 따르면, 나 이와 관련된 방광 기능 문제로 인해 배뇨 장애가 노인들에서 흔한 문제임을 보고하고 있다(Lepor, 2004; Luk, Tam, Ho, & Chan, 2003; Nitti, 2001). 따라서 한방 병원에 입원한 환자 간호에 있어서 배뇨 문제와 관련된 간호 활동이 강조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간호진단의 활용은 기록된 환자사정의 질을 향상시키고, 유사한 환경에서 발생하는 공통된 진단을 규명하고, 진단과 중재, 그리고 결과와의 일치성을 높이는 데 기여한다(Muller-Staub, Lavin, Needham, & von Achterberg, 2006). 본 연구에서 파악된 간호진단의 분포는 한방 병원을 이용하는 입원환자의 특성을 반영하며, 한방 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들의 실무 교육에서 강조될 필요가 있는 영역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간호의 질적 요소의 핵심으로서 환자안전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데, 안전 요소가 한방 병원에서의 주요 간호 영역으로 나타난 결과는 한방 간호 실무에서 외상 위험성을 검토하고 간호사고를 예방하는 것에 보다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특히 낙상은 간호에 민감한 환자결과 지표이며, 부서 및 기관 수준에서뿐만 아니라 국가적 및 국제적 수준의질 지표로서 모니터링의 대상이 되고 있다. 따라서 한방 간호 실무에서 낙상과 같은 외상 위험을 감소시키기 위해 환자 안전 교육, 환경 위험 평가 및 관리 등을 포괄하는 다방면적인 환자안전 향상 활동이 강조되어야 것이다. 간호기록의 측면에서 임상간호분류체계의 59개 주간호진단, 123개의 하위범주의 간호진단과 비교할 때, 한방 병원에서 실제 사용되고 있는 간호진단의 종류의 수는 15개이었으며, 환자당 간호진단의 수도 약 2개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한방 병원에서 제공되는 한방의료 서비스의 특성과도 관련된다. 즉 한방 병원에 입원한 환자들은 침습적 시술이나 외과적 수술이 아닌 주로 내과적 한방 의료 서비스를 제공받으므로, 동일한 입원 기간 동안에 간호 진단의 급격한 변화가 일상적으로 많지 않기 때문일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는 간호사들이 적극적으로 간호문제를 진단하고 이를 기재하는 것이 미흡한 것일 수도 있다. 특히 본 연구에서 임상간호분류체계의 정신적 영역에 속하는 간호진단은 매우 적었다. 이러한 결과는 양방 병원에서의 연구와 유사한 결과이었다(Choi & Kim, 2008; Kim et al.,2005; Lee & Choi, 2011; Song, 2007). 최근 급성기 병원에서 환자 중증도가 높아지고 재원기간이 짧아지면서, 심리사회적 간호문제보다는 신체적, 생리적, 기능적 영역의 간호 문제에 초점이 맞추어지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양질의 환자 간호를 위해서 대상자들의 심리사회적 영역의 간호 문제 해결에도 많은 관심이 주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일부 간호진단들은 표준화된 용어체계와 비교할 때 상세성(granularity)에 있어서 차이가 있었다. 구체적으로, 간호진단 중 안위 변화는 임상간호분류체계에서는 급성 통증, 만성 통증, 기타 통증으로 분류되는 반면에, 간호 기록 자료에서는 통증으로만 기록되는 경향이 있었다. 간호 문제의 성격에 따라 효과적인 간호 활동이 다를 수 있기 때문에, 병원 및 간호 관리자들은 간호진단 기록의 상세성 향상을 위한 간호사 교육뿐만 아니라, 기관 차원에서 간호 기록 시스템을 개선하는 방안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간호기록지에 실제 기재된 간호진단을 통해 한방 병원의 간호 문제를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지만, 다음과 같은 제한점으로 인해 연구 결과의 해석에 있어서 주의가 필요하다. 첫째, 연구 대상 자료가 일개 한방 병원의 간호 기록 자료라는 점이다. 본 연구 병원은 한방 병원 중 병상 수 기준으로 최대 규모의 교육 병원이지만, 본 연구에서 파악된 간호 문제들을 전반적인 한방 간호실무에서 간호사들이 직면하는 주요 간호 문제로 일반화하기에는 제한이 있다. 둘째, 방법론적 측면에서 간호사들이 실제 수행한 간호 활동에 대한 간호 기록 자료를 활용하였다는 것이 강점이기도 하지만, 의무기록 자체의 질에 의존적인 결과라는 점에서 결과 해석에 제한이 있다. 기록자들이 실제로 판단한 간호진단이나 수행한 간호 활동을 모두 기재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또한 연구 병원은 사전 통제어로 간호진단을 기록하는 체계이므로 로컬 간호진단 용어가 한방 간호 문제를 포괄하기에 완전성을 갖추고 있는지는 평가할 수 없었다. 덧붙여 본 연구에서 분석의 단위가 간호 진단이었기 때문에, 환자 특성 및 간호사 특성을 분석에 포함하지 않았다. 향후 이러한 특성을 포괄하는 연구가 보다 다양한 한방 병원을 대상으로 실시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types of nursing problems in oriental nursing practice. Methods: This study employed a descriptive survey design. Nursing documentation was retrospectively reviewed for patients discharged from an oriental medicine hospital during three months. Nursing diagnoses documented were mapped into the Clinical Care Classification System. Data were summari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Results: Data were collected from 110 patients using nursing documentation. The number of nursing diagnoses documented was 204 with a mean of 1.9 per patient. The frequently occurring nursing diagnoses were ``risk for trauma`` (48.0%), ``pain`` (13.7%), and ``urinary elimination alteration`` (7.8%). According to the Clinical Care Classification system, the safety component (51.5%) was the most common nursing problem in oriental nursing practice. Conclusion: The study finding suggested that major nursing problems in oriental nursing practice were related to patient safety. Therefore, oriental nursing education on patient safety should be emphasized to improve the quality of nursing care in oriental medicine hospitals.

      • KCI등재

        온톨로지에 기반한 간호진단 지식모델의 설계

        이인근(In Keun Lee),김화선(Hwa Sun Kim),이성희(Sung Hee Lee) 한국지능시스템학회 2012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Vol.22 No.4

        간호사는 NANDA, NIC, NOC과 같은 간호과정의 표준 가이드라인에 따라 간호 실무를 수행하고, 간호과정에 대한 정보를 전자의무기록 시스템에 기록하고 있다. 특히, NANDA는 간호진단 분류체계로써 간호진단의 추상적인 개념을 나타내고 있어, 상세한 간호진단 내용의 표현에 어려움이 있다. 그로 인해, 국내 병원에서는 자체적으로 간호진단 목록을 정의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이들은 표준이 적용되지 않아 간호기록의 전산화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NANDA와 SNOMED-CT와 같은 표준 용어체계를 참조하여 간호진단 개념을 표현하기 위한 온톨로지로 구축 방법론을 제시한다. 제안한 방법은 각 병원 및 분야에서 주로 사용하는 간호진단 목록을 체계적으로 구축함으로써 의료정보 시스템 간의 상호 운용이 가능하고 지식의 확장이 용이하도록 한다. 제안한 방법에 따라 경북대학교병원의 여성건강 간호기록 진술문을 분석하고, 간호진단 정보의 추출 및 정련을 통해 112개의 간호진단 용어를 생성하였다. 그리고 이 용어를 이용하여 여성건강 간호진단 온톨로지를 구축하였고, 전문가 평가 및 실험을 통해 개발한 온토롤지의 타당도와 실용성을 확인하였다. Nurses have performed their nursing practice according to the standard guidelines such as NANDA, NIC, and NOC, and recorded the information on nursing process into EMR system. In particular, NANDA, nursing diagnosis taxonomy, has difficulty expressing nursing diagnosis in detail because it represents abstract concepts of nursing diagnosis. So, the hospitals in KOREA have developed and used the list of nursing diagnosis on their own without referring the international standard terminologies, and it caused the delay of computerization of nursing records. Therefore, we proposed a ontology development methodology on nursing diagnosis based on NANDA and SNOMED-CT. The developed ontology, systematically developed with the frequently used nursing diagnosis terminologies in each hospital, based on the proposed methodology enables knowledge expansion and interoperable exchange of nursing records between EMR systems. We developed an ontology using the 112 nursing diagnosis terms defined by extracting and refining information on nursing diagnosis recorded i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We also confirmed the content validity and the usefulness of the developed ontology through expert assessment and experiment.

      • KCI등재

        임상실습에서 적용된 간호대학생의 간호과정 진단 진술문 분석

        김수연(Soo Yeon Kim),신용순(Yong Soon Sh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

        본 연구는 임상실습에서 간호대학생이 적용한 간호과정 진단 진술문을 분석하여 질 평가 및 적합도를 파악하기 위한 연구로, 간호과정의 교육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후향적, 서술적 조사연구이며, 2017년 2학기, 2018년 1학기에 작성된 간호대학생의 사례연구보고서 99례에 나타난 간호과정 전 수를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분석은 IBM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해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였다. 본 연구에서 간호진단 빈도는 ‘급성통증’, ‘불안’, ‘비효과적 기도청결’, ‘피부통합성장애’, ‘비효과적 호흡양상’ 순으로 나타났으며, 진단 진술문의 질은 대체로 양호한 편으로 나타났다. 정의적 특성을 반영하는 적합도에서는 ‘비효과적 기도청결’과 ‘급성통증’이 높게 나타났으며, ‘비효과적 호흡 양상’ 가장 낮게 나타났다. 실습 교육자는 임상실습에서 간호대학생들이 사정을 면밀히 수행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적절한 피드백을 제공하여 간호과정을 올바르게 적용할 수 있도록 지도할 필요가 있겠다. This study is designed to analyze diagnosis statements of nursing processes applied by nursing students in clinical practice with the purpose of identifying quality evaluation and suitability and providing educational directions for nursing processes. This is a retrospective and descriptive research study; the nursing processes presented in the case study were obtained from 99 nursing students in the second semesters of 2017 and first semesters of 2018.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IBM SPSS 21.0 program for frequency, percentages, means and standard deviations. In this study, the frequency of nursing diagnosis was shown in the order of “acute pain,” ”anxiety,” “ineffective airway clearance,” “impaired skin integrity,” and “ineffective breathing patterns,” where the quality of the diagnosis statements was generally good. With regard to accuracy that reflects the defining characteristics, ineffective airway clearance and acute pain ranked highest, while ineffective breathing patterns ranked lowest. Nursing educators need to provide specific guidelines and provide appropriate feedback so that nursing students can closely carry out assessments in clinical practice and apply nursing processes correctly.

      • 간호학생이 내린 간호진단의 분류에 관한 일 연구

        이원희,김조자,유지수,허혜경,진혜영,최혜경 연세대학교 간호학연구소 1987 간호학 논집 Vol.10 No.1

        Nursing diagnosis can improve nurses` efficiency, accuracy, provide an efficient standard for communication among nurses, improve the quality of nursing care, purpose and direction of nursing, and provide a unique dimension to nursing care. But in Korea we are using a nursing diagnosis system, which was developed in the American culture without evaluating vocabulary use or clinical application in the Korean culature. Actually many problems have appeared. Therefore. this research is to review and compare the North American Nursing Diagnosis Association‘s (NANDA) 5th conference on the etiology of nursing diagnosis and nursing diagnosis used in students` clinical practice in relation to how it fits into our culture and educational background. In order for nursing to be more scientfic. we must try to provide more basic data and develop nursing diagnosis. The subject of this research was 127 third year students in Y university for 1 year (1985). After tyey completed adult nursing clinical practice I and II tyey submitted case studies. In these case reports only nusing diagnosis was considered. There were a total of 1,019 nursing diagnoses used by the nursing students. In the data analysis we took the 813 nursing students' nursing diagnoses and fit them into 51 NANDA nursing diagnoses. Five professors from the College of Nursing met together and agreed on the selected the 813 after discussion The selected the 813 nursing diagnoses in the categories of: safety and secruity. nutrition and elimination, activity and rest, oxygen, sex, and' other'. These students' nursing diagnoses were compared with NANDA's etiology of nursing diagnosis by frequency. The research research were as follow ; 1. Among the 813 nursing diagnoses, the nursing diagnosis of 'Comfort, alteration in' was used 155 times (19.1%). This was the nursing diagnosis most frequently used by the students in the case reported. And 23 out of the 51 diagnoses (45%) was found 1 or 2 times and did't use nursing diagnosis in the case studies. 2. Among safety and security needs. many students used the etiology of 'Comfore alteration in : pain', pain and diverse etiology vocabulary. In 'Anxity'. the etiology of threat to or change in health status and knowledge deficit were listed. Among them, knowledge deficit was used 30 times as the etiology of nursing diagnosis. In the category of nutrition and elimination needs most students usually used nursing diagnosis accurately. In the category of activity and rest needs, the nursing diagnoses of activity intolerance, mobility, impaired physical' were confused the etiology of nursing diagnosis by the students. The students did't use many nursing diagnoses in the category of oxygen needs, and did't use the nursing diagnosis of sexual dysfunction. In the category of 'other' nursing diagnoses, "Knowledge deficit' was used many, and the etiology of 51 nursing diagnoses was generally used knowledge deficit. Until now in the nursing diagnosis used by the students, the vocabulary of the etiology of nursing diagosis is diverse. Although all students experience the 5 categor of human need in clinical practice, some of nursing diagnosis was used many but the other wasn't used. One reason is that only the definition of nursing diagnosis was taught in the classroom. No course content related to nursing diagnosis was covered. The nursing diagnosis concept was not taught in depth. second. the NANDA vocabulary is board and the English in interpretation is influenced by cultural factors. Third, among the students' clinical instructors there was difference knowledge and experience in nursing diagnosis. Therefore we believe the situation needs to be evaluated and revise to develop a unified vocabulary. And so that the etiology of nursing diagnosis would be fited into the cultural and educational background in Korea.

      • KCI등재

        간호진단 분류를 이용한 노인환자 간호 교육 요구도 조사: 병동 간호사를 대상으로

        송주현,김시숙 한국융합학회 2022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3 No.2

        The study was aimed to identify the educational needs for gerontological nursing using the nursing diagnosis classification of hospital nurses. A cross-sectional survey was conducted on 245 nurses who had experience caring for older patients within 1-year at two nurse web cafes. As a result of the study, 43 nursing diagnoses were classified into 6 areas: acute care, daily life care, education and counseling, environment and resource management, health promotion, and geriatric disease management. Nursing educational needs differed according to the age, sex, marital status, education level, size of the hospital, and working experience of the nurse. In order to effectively perform nursing care for the elderly and geriatric patients, it may be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needs of continuous education and develop a detailed education program. 본 연구의 목적은 병동 간호사를 대상으로 간호진단을 이용하여 노인환자 간호 교육요구를 파악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최근 1년 이내 입원 노인환자 간호경험이 있는 병동 간호사 245명으로 국내 온라인 간호사 카페 두 개를 통해 2019년 11월 1일부터 30일까지 자료 수집했다. 연구결과 43개 간호진단은 급성기 간호, 일상생활 간호, 교육 및 상담, 환경 및 자원관리, 건강증진, 노인병관리의 6개 영역으로 분류되었고 노인환자 간호 교육 요구도는 간호사의 연령(F=5.42, p=.005), 성별(F=3.92, p=.049), 결혼 여부(F=3.92, p=.049; F=19.00, p<.001; F=4.18, p=.042; F=8.78, p=.003), 학력(F=3.29, p=.039), 병원 규모(F=5.30, p=.006), 근무경력(F=7.03, p=.001)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노인 및 노인환자 간호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연속적인 교육 요구도 조사와 세분화된 프로그램 개발이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

      • SCOPUSKCI등재

        영양과 배설기능장애와 관련된 간호진단과 중재 프로토콜 개발

        김조자,이지연 성인간호학회 2001 성인간호학회지 Vol.1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tandardized Nursing Diagnosis/ Intervention Protocol through a literature review and validity testing. Seven nursing diagnoses were selected as major nursing diagnosis in the field of Nutritional and Eliminative problem. The nursing intervention list was made by an expert group's review of Nursing Intervention Classification(NIC) suggested nursing interventions. Nursing activities which were included in each nursing intervention were sorted to follow the nursing intervention process after review and revision. The expert group's validity testing was done twice using the Likert scale. As a result the Nursing Diagnosis/ Intervention Protocol for Nutritional and Eliminative Problems was made to include 7 Nursing Diagnoses, 51 Nursing Interventions and 631 Nursing Activities

      • KCI등재

        성경 속에 나타난 치유사역에 대한 간호진단적인 분석

        정현철(Jeong Hyeon-Cheol)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12 신학사상 Vol.0 No.156

        하나님은 치유하시는 하나님으로 최초로 범죄한 인간을 찾아오시어 가죽 옷을 지어 입혀주시고 죄로 인해 상처 입은 관계를 치유하셨다. 또 질병에 걸린 인간들을 선지자나 제사장들을 통해 치유해 주셨다. 하나님의 치유는 구원과 그 의미가 같으며 인간과 하나님 사이의 관계를 소생시킨다. 완전한 치유는 신체적 온전성, 정서적 안정감, 정신적 기능의 정상화, 영적 생동감을 회복하는 것이다. 예수님의 치유사역도 단순히 병든 자의 신체적 건강회복을 넘어서서 그분의 죄사하는 권세를 드러내고(마 9:6), 하나님 나라의 영광을 드러내기 위함이었다(요 11:4). 또 이러한 치유명령이 제자들에서도 주어졌다는 것은 치유 사건이 예수만이 행할 수 있었던 어떤 특별한 기적이 아니라, 오늘의 그리스도인들에게도 여전히 그 가능성이 열려진 사건이라는 사실이다. 그러나 우리들은 성경 속의 치유사역을 단순히 역사 속에 나타났던 기적으로만 이해하고, 그런 기적이 일어났던 시대는 지나갔다는 잘못된 사고를 가지고 있다. 한편에서는 비윤리적이고 비과학적인 잘못된 치유능력을 보이는 목회자들이 있어 사회적 문제가 되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 성경 사건 중에 치유 사례는 모두 49건이었으며, 적용할 수 있는 간호진단의 영역은 9개 영역이었으며 간호진단의 종류는 18개였다. 간호학적 인간관은 인간을 몸과 마음과 영혼이 서로 통합된 하나의 총체적 실체라고 생각하고 있어 성경의 인간관과 일치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성경의 치유사례를 간호학적인 관점으로 조명하여 분석하고, 간호진단을 내렸다. 이를 통해 성경을 근거로 한 기독교적인 전인 치유사역이 과학적이며 체계적인 것이었다는 것을 규명하였으며, 본 연구가 장차 의료와 연합된 선교를 위한 치유사역에 밑거름이 될 것이다. God in the Bible is described as the Healing God, who searched for the first sinners, made coats of skins for them, and clothed them and healed the wounded relationship caused by sin. He healed ill humans with the aid of prophets and priests. Healing by God means salvation and restores relationship between God and human being. Perfect healing includes the restoration of broken human relationship as well as the restoration of physical wholeness, emotional stability, normalization of psychological functions, and spiritual vitality. Jesus’s healing ministry was not only to restore physical health of the sick but also to reveal the authority on earth to forgive sins (Matt. 9:6) and to glorify God (John 11:4). The fact that such healing orders had been given to the disciples tells us that healing events were not special miracles undertaken only by Jesus and that possibilities are still open to us christians of today. However, we sometimes misunderstand that the healing ministry is miraculous events in the history only and that such period of miracles has passed. On one hand, some pastors with unethical and unscientific abilities of healing cause social problems. This study showed all 49 healing events in the Bible, among which 9 categories were applicable in nursing diagnoses and the types of nursing diagnoses were 18. In the science of nursing, man is viewed as a whole being in which body and spirit are integrated. This is in harmony with the biblical view of man. This study illuminated and analyzed cases of healings in the Bible from the nursing point of view and made a nursing diagnosis. The study revealed that the christian’s whole man healing based on the Bible is scientific and systematic. This study would be a fundament of healing ministry in the future.

      • KCI등재

        적응형 AI를 활용한 ESG 의료경영 구현과 간호종사자에 대한 불평등 개선방안 검토

        정재진,이다정,황정훈 사단법인 한국법이론실무학회 2023 법률실무연구 Vol.11 No.3

        정보통신부는 공공의료기관을 대상으로 디지털 혁신기술을 활용한 의료·건강관리 솔루션·서비스 도입과 활용을 지원하기 위해 AI 기반 의료시스템 디지털 전환 지원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이를 통해 공공의료기관은 의료 정보 시스템 구축, 의료 데이터 관리 등의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하고, 환자 중심의 의료 서비스 제공 및 의료 혁신을 추진할 수 있다. 장기요양보험제도의 도입과 확대시행으로 인해, 간호서비스는 의료기관뿐만 아니라 지역사회 내 가정과 시설에서도 확대될 전망이며, 이에 따른 간호사의 역할 범위도 과거보다 폭넓게 확대될 가능성이 높아진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지역사회 내 간호서비스는 노인과 장애인 등의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일상생활에서의 간호와 지원 서비스를 제공하여 그들의 삶의 질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간호사의 역할도 보다 폭넓게 확대될 가능성이 높아지며, 의료기관에서의 간호뿐만 아니라 지역사회 내 가정과 시설에서도 간호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해진다. 이러한 지역사회 내 간호서비스는 의료기관에서 제공되는 간호서비스와는 달리, 집단생활과 일상생활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들에 대한 간호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ESG 경영과 지속 가능한 가치 사슬 구축은 의료기관의 사회적 책임을 강조하고, 지속 가능한 개발을 추구하는 데 도움이 된다. 이를 통해 의료기관은 환경 보호, 사회적 공헌, 건강 증진 등의 다양한 영역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의료 분야에서 적응형 AI 보안 가이드라인과 의료 경영 ESG 진단 모델에 대한 전략 수립 방안을 검토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과제이다. 인공지능 윤리 기준 중 하나인 사회의 공공선 원칙은 소득 불균형이 심화되는 상황에서 효율적인 재분배를 위해 기회의 균등과 인간의 존엄성을 고려하는 방식을 지향하는 원칙으로 한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적응형 AI를 활용한 불평등 개선 시스템 구축을 통한 간호 불평등 개선을 위한 재정적 지원 모델로 SIB 채권을 활성화하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다. 추가적인 연구와 현장에서의 구체적인 적용을 통해 의료 경영 ESG 진단 모델과 적응형 AI를 통한 의료분야에서의 개선 시스템을 발전시킬 수 있을 것이다. Due to the introduction and expansion of the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nursing services are expected to expand not only in medical institutions but also in homes and facilities in the community, and the scope of nurses' roles is likely to expand more widely than in the past. Nursing services in the community play a role in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by providing nursing and support services in daily life to vulnerable groups such as the elderly and the disabled. Unlike nursing services provided by medical institutions, nursing services in the community are characterized by providing nursing services for various problems arising from group life and daily life. ESG management and the establishment of a sustainable value chain emphasize the social responsibility of medical institutions and help them pursue sustainable development. Medical institutions can have a positive impact in various areas such as environmental protection, social contribution, and health promotion. In the medical field, it is a very important task to review strategies for adaptive AI security guidelines and medical management ESG diagnostic models. It is possible to consider activating SIB bonds as a financial support model for improving nursing inequality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an inequality improvement system using adaptive AI. Further research and specific applications in the field will enable the development of medical management ESG diagnostic models and improvement systems in the medical field through adaptive AI.

      • KCI등재

        간호 대상자별 다빈도 간호진단, 간호중재, 간호결과 및 연계 체계조사

        김종경 한국간호과학회 간호행정학회 2010 간호행정학회지 Vol.16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NANDA, NIC, and NOC frequently used and their linkages in major nursing departments for development of the nursing process and nursing management system. Methods: This study was a descriptive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123 nurses who worked in medical, surgical, pediatric, gynecologic, and psychiatric department. The questionnaire was based on the NANDA, NOC, NIC, and NANDA-NOC-NIC linkage system. This research was analyzed by an EXCEL program and SPSS Pc+15.0. Results: Nursing diagnoses frequently used were 'anxiety', 'disturbed sleep pattern', 'activity intolerance', 'social isolation', 'nausea', 'ineffective airway clearance', 'chronic pain', nursing outcomes frequently used were 'thermoregulation', 'bowel elimination', 'pain control', 'vital sign status', 'pain level', and nursing interventions frequently used were 'nausea management', 'airway suctioning', 'bowel elimination management', 'diarrhea management', 'medication management'. NANDA-NOC-NIC linkages in major nursing departments were recognized, and these results were similar to the results of other researche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provided as a guideline to apply to the nursing process and development of the nursing process system with the NANDA-NOC-NIC linkage in major nursing depart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