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평균-분산모형을 이용한 가계포트폴리오의 위험수준 측정

        조혜진,최현자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2011 소비자정책교육연구 Vol.7 No.1

        본 연구는 소비자들이 투자활동이나 재무설계 시, 가계포트폴리오의 위험수준을 파악하여 위험을 반영한 투자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2001년 1월부터 2008년 8월까지의 종합주가지수(KOSPI), 회사채 총수익률지수, 정기예금금리, 주택매매가격종합지수를 가지고 주식과 채권, 무위험자산 및 부동산의 표준편차를 산출하여 자산별 위험을 측정하였고, 이를 2007 펀드투자자 조사자료에 대입하여 가계포트폴리오의 위험수준을 측정하였다. 또한 일원일차분산분석(ANOVA)을 실시하여 개별 가계 및 응답자의 사회?경제적 특성에 따른 위험수준 및 포트폴리오 비중의 차이를 파악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별 가계포트폴리오의 위험수준은 평균 4.94%로 낮은 편이지만 변동성 위험이 매우 높은 가계에서 위험이 매우 적은 가계까지 폭넓게 분포하였다. 둘째, 조사대상 가계의 포트폴리오는 부동산 자산의 비중이 전체의 70%를 상회하여 포트폴리오의 다변화가 시급할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조사대상 가계는 무위험자산의 비중이 높고 주식 등 위험자산 투자비중이 낮아 수익과 위험을 동시에 고려할 때 전체적으로 안정성 위주의 투자성향을 가지고 있었다. 넷째, 남성이 여성보다 주식 투자비중이 더 높고, 부동산 투자비중이 더 낮으며, 위험수준과 수익률이 높아 위험을 감수하면서라도 수익을 추구하는 성향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젊은 연령층이 위험대비 고수익을 추구하는 특성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가계의 소득수준에 따라서 위험수준의 유의한 차이가 없는 반면 총자산수준이 높을수록 위험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가계포트폴리오의 위험수준은 소득보다는 총자산규모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가계의 위험수준을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을 포함한 가계포트폴리오의 위험관리가 시급하다고 판단된다.

      • KCI등재

        Efficiency of Household Portfolio Using Mean-Variance Model

        Yoon-Kyung Yuh,Hye-Kyung Kim 한국산업경제학회 2008 산업경제연구 Vol.21 No.6

        본 연구는 마코위츠의 평균 분산 모형을 - 이용하여 한국가계의 최적 포트폴리오를 추정하고 통계청의 ‘2006 가계자산조사’의 실제 가계의 포트폴리오와 비교함으로써 한국가계 포트폴리오의 효율성을 분석하였다. 주식, 채권, 부동산의 과거 수익률 데이터를 이용한 최적 포트폴리오는 주식 3.2%, 채권 49.7%, 부동산 47.1%로 추정되었다. 이를 가계의 평균 포트폴리오와 비교한 결과, 가계의 포트폴리오는 최적 포트폴리오에 비해 수익률 대비 위험의 크기가 높으며 낮은 RVAR 지수를 보였다. 포트폴리오의 기대수익률에 따라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역시 실제 가계의 포트폴리오는 낮은 RVAR 지수를 보였다. 따라서 한국 가계의 포트폴리오는 이론적 모형에 의하면 비효율적으로 판단되며, 포트폴리오를 재구성할 경우 RVAR를 보다 향상시킬 여지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Traditional Mean-Variance model is used to test efficiency of Korean household portfolio. Three traded assets are selected to represent set of risky assets available to the household investors: KOSPI from KNSO, bond index from KBP, and Housing Purchase Price Composite Indices from Kookmin Bank. Analyses show that optimal risky portfolio is 3.2% for stocks, 49.7% for bonds, 47.1% for real estate, and the expected return is 6.8%. The model is extended to provide efficient asset allocations to various household portfolios with different expected returns. Households with higher expected returns on their portfolio should hold higher proportion of real estate and bonds among total assets. The efficient portfolios are compared to portfolio of Korean households from the KNSO 2006 Household Asset Survey. Our efficiency tests show that all households are holding an inefficient mean-variance portfolio, and that the households could improve their portfolio efficiency up to 25% in terms of RVAR. Our results could be helpful for financial consultants who provide financial advice on efficient portfolio management for individual households.

      • KCI등재

        재무설계상담에 따른 가계저축 변화에 관한 연구

        심현정(Hyeon Jeong Sim),오종윤(Jong Yoon Oh),최현자(Hyuncha Choe) 한국FP학회 2016 Financial Planning Review Vol.9 No.3

        고령화로 인한 은퇴생활기간의 연장과 금융환경이 복잡화되는 환경 속에서 재무설계상담은 가계가 능동적으로 경제적 자원을 습득, 배분, 관리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담당해오고 있다. 본 연구는 그간 이루어져온 재무설계상담의 효과에 관한 연구 흐름의 연장선에 있으나 재무설계상담이 가계 저축의 양적, 질적 측면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지 다양한 관점에서 보다 자세히 살펴보고, 가계의 특성에 따라 재무설계상담의 효과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재무설계전문회사를 통해 실제로 상담을 받은 조사대상자들의 상담 전·후의 가계저축행태를 비교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재무설계상담을 받은 이후 가계의 평균 월저축액이 증가했고, 그 중 수익성을 추구하는 주식형 자산에 대한 저축액 증가가 가장 많았다. 월저축 포트폴리오 구성측면에서는 유동성, 주식형 저축 비중이 늘고, 채권형 저축 비중은 줄었으며, 단기/유동성 저축 비중은 높아지고, 연금성 월저축 비중은 다소 감소하였다. 이러한 변화는 결혼 여부나 맞벌이 여부, 조사대상자의 연령이나 가구원 수와 같은 인구사회학적 요인에 따라 다른 양태를 보였으며, 월소득 및 순자산과 같은 가계경제적 특성에 따라서도 재무설계상담의 효과가 다르게 나타났다. 또한 가계는 재무설계상담 결과 월저축 포트폴리오를 다변화하는 경향을 보였다. 재무설계상담 이전에 한·두 가지 자산군이나 저축목적으로 저축을 하던 경향에서 벗어나 보다 균형잡힌 월저축 포트폴리오를 구성하게 되었다. 이러한 포트폴리오 다변화 경향은 가계의 경제적 특성에 따라서도 다르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재무설계상담은 가계의 저축규모를 늘리고 보다 균형잡힌 저축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데 기여한다. 다만, 이러한 재무설계상담의 효과는 가계가 가진 고유한 특성과 경제적 여건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므로 재무설계상담 효과에 대한 평가와 가계 유형별 재무설계 솔루션 개발에 있어 이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evaluated the effect of financial planning counseling on household savings, focusing on the monthly savings portfolio, and examined whether the socio-demographic and economic features of households influence the changes in household savings after counseling. In order to conduct the study, we selected households that had received counseling in financial planning from a professional financial planner and examined the changes in their amount of household savings and the composition of their savings portfolios before and after the counseling.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fter the counseling, their household savings were generally increased. The amount of money invested in equity increased. The composition of the asset portfolios also changed: the proportions of liquid assets and equity assets increased, and in terms of the saving horizon and purpose portfolio, the proportion of short-term liquid assets increased and that of annuity savings decreased. The changes in household savings after the financial planning counseling depend on the socio-demographic and economic features of the household. Second, after the counseling, the household"s monthly saving portfolio became more diversified in terms of both the asset portfolio and the saving horizon and purpose portfolio. Before the counseling, many households tended to put their money in one or two asset classes serving a single purpose. However, after the financial planning, this tendency was improved and they devised more balanced saving portfolios. Also, the portfolio diversification was affected by the socio-demographic and economic features of the households. Financial planning counseling has an influence on household saving behavior, but the effects are susceptible to vary with the household features. Therefore, we need to consider this point when assessing the effect of counseling and proposing new financial planning solutions.

      • KCI등재

        부채보유가계의 유형 분류: 가계부채포트폴리오에 근거한 군집분석의 활용

        성영애(Young-Ae Sung) 한국FP학회 2024 Financial Planning Review Vol.17 No.2

        가계부채포트폴리오는 각 가계가 다양한 종류의 부채를 보유하고 있는 양식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가계의 부채포트폴리오에 기반한 군집분석을 실시하여 부채보유가계를 유형화하고, 부채보유가계의 유형별로 부채특성, 가계재무구조 및 사회인구학적 특성이 서로 다른지 살펴보는 것이다. 또 다른 연구목적은 다항로지스틱분석을 통하여 다른 변수가 통제된 상태에서도 재무변수와 사회인구학적 특성이 가계유형을 구분하는데 유의미한 변수로 작동하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본 연구는 2022년도 가계금융복지조사를 활용하였는데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계부채포트폴리오에 따라 부채보유가계를 유형화한 결과 우리나라 부채보유가계는 4개의 집단으로 유형화할 수 있었고, 부채보유 특징을 반영하여 은행대출 집중형, 임대 집중형, 할부 및 외상거래 집중형, 비은행담보대출 집중형으로 명명하였다. 둘째, 각 유형별 특징은 다음과 같다. 은행대출 집중형은 부채보유가계의 65.6%를 차지하여 가계부채의 72%를 은행 담보 및 신용대출로 보유하고 있는 집단으로 부채규모는 다른 집단과 비교하여 볼 때 중간 정도이지만 연간상환액은 많은 편이고, 가계소득이나 자산규모는 중간 정도이며, 단기부채부담이 높은 집단의 비중도 중간 정도인 집단이다. 교육수준이 상대적으로 높은 중장년층으로 상용근로자의 비중이 높은 집단이다. 임대 집중형은 전체 부채보유가계의 17.9%를 차지하고 있으며, 가계부채의 91.9%가 임대보증금인 집단이다. 이 집단은 원리금상환액이나 단기 및 장기부채부담 지표상 부담은 다른 집단에 비해 낮은 편이고, 실물자산, 금융자산, 가계소득 수준은 높은 편이다. 상대적으로 고연령층인 경우가 많고 은퇴자인 경우가 많다. 할부 및 외상거래 집중형은 가계부채의 93.3%가 외상 및 할부 미상환액으로 구성되어 있는 집단으로 부채보유가계의 9.2%를 차지하고 있는 유형이다. 가계부채규모나 상환규모가 가장 작은 집단이지만 자산이나 소득수준도 가장 낮고, 다른 집단에 비해 월세거주자나 여성, 이혼 및 사별, 미혼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다는 점이 특징이다. 비은행담보대출 집중형은 가계부채의 83.3%를 비은행담보대출로 보유하고 있는 유형으로 부채보유가계의 7.3%만을 차지하여 규모 상 가장 작은 집단이지만, 가계부채규모는 은행대출 집중형보다 더 크고, 집단의 연간원리금 상환액은 은행대출 집중형과 유사한 수준이지만 연간 이자상환액이 차지하는 비중이 더 높고 단기부채부담을 느끼는 가구의 비중이 높은 집단이다. 소득수준은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지만 보유자산규모는 중간 정도이고, 비수도권에 거주하는 고연령층의 자영업자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게 분포되어 있다. 셋째, 은행대출 집중형을 기준으로 하여 임대 집중형, 할부 및 외상거래 집중형, 비은행담보대출 집중형에 속할 가능성에 대해 재무변수와 사회인구학적 변수가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다항로지스틱분석을 한 결과, 독립변수로 포함된 가계소득, 가계자산, 가구원수, 가구주 연령, 성별, 교육수준, 혼인상태, 종사상지위, 입주형태 및 수도권거주여부가 서로 다르게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sought to classify indebted households by conducting a cluster analysis based on their debt portfolios, that is, the holding style of various types of debt. It also attempted to examine the debt characteristics, household financial structure, and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of debt-holding household. Another aim of this research was to examine through multinomial logistic analysis whether financial variables and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ct as significant variables in distinguishing household types even when other variables are controlled. This study used the data from the 2022 Survey of Household Finances and Living Conditions of Korea.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classifying debt-holding households according to the household debt portfolio showed that indebted households in Korea could be categorized into four groups. These were named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bt portfolios as follows: Intensive users of bank loans, intensive holders of rental deposits, intensive users of credit and installment payers and intensive users of non-bank secured loans, Seco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of the above groups were as follows: The intensive users of bank loans group accounted for 65.6% of debt-holding households and held 72% of household debt as secured and credit loans from banks. The size of the debt was medium compared to other groups, but the annual repayment amount was relatively large. This group had medium levels of household income and assets. The proportion of households with a high short-term debt burden was also medium. This group had a high proportion of middle-aged people and regular workers. The intensive holders of rental deposits group accounted for 17.9% of all debt-holding households, and 91.9% of the household debt comprised rental deposits. This group tended to have a lower burden compared to other groups in terms of principal and interest repayments, and the short-term & long-term debt burden index. The levels of real assets, financial assets held, and household income were high. Most people were relatively old, and many were retirees. In the intensive users of credit and installment payers group, 93.3% of the household debt comprised credit and installment repayments, and this group accounted for 9.2% of the households with household debt. Although this group had the smallest household debt or repayments, it also had the lowest level of assets and income. The group was also characterized by a relatively high proportion of monthly renters, women, divorcees, widowed, and unmarried people compared to the other groups. The intensive users of non-bank secured loans held 83.3% of household debt as nonbank secured loans and were the smallest group in size, accounting for only 7.3% of debt-holding households. However, the size of household debt was larger than that of the bank loan-intensive group. While the groups annual principal and interest repayment amounts were similar to that of the bank loan-intensive group, the annual interest repayment accounted for a higher proportion of debt servicing. The proportion of households feeling the burden of short-term debt was relatively high. The income levels were relatively low, but the size of assets was medium. The proportion of older self-employed people living in non-metropolitan areas was relatively high. Third, taking the intensive users of bank loan group as a base, the study investigated if financial and socio-demographic variables affect the possibility of belonging to the intensive holders of rental deposits, intensive users of credit and installment payers, and intensive users of non-bank secured loans groups while other variables are controlled. As a result of multinomial logistic analysis, the independent variables of household income, household assets, number of household members, age of the head of the household, gender, education lev

      • KCI등재

        은행에 대한 규제가 대출포트폴리오에 미치는 영향

        현정환 전북대학교 산업경제연구소 2020 아태경상저널 Vol.12 No.2

        Since the 2008 global financial crisis, regulations on lending have been reinforced in order to curb the growth of household debts. This paper analyses how banks adjust their loan portfolios in response to stricter regulations on lending and macroeconomic effects of the adjustments in lending. To do so, this paper adopts two approaches. First, I utilize bank-level panel data from 2010:Q4 to 2018:Q1 by employing a Difference-in-Differences method. Next, using quarterly macroeconomic data I do a FAVAR analysis for the period 2008:Q1 to 2018:Q1. The paper finds evidence that banks reduce household loan portfolios in responding to strong regulation measures on household loans and that banks’behaviors of adjusting their loan portfolios seem heterogeneous depending on performance measures such as delinquency ratios and capital ratios. The FAVAR analyses show that enlarging household portfolios of banks result in undesirable macroeconomic performance such as inflation, lower growth rate, and higher interest rates, although these results disappear relatively quickly. On the other hand, the expansion of corporate loan portfolios lead to expansion of the economy. In sum, if the government implements stronger regulation on household loans, household loan portfolios would shrink and corporate loan portfolios of banks grow, which would result in an economic expansion in Korea. 글로벌금융위기 이후 은행에 대한 대출규제가 강화되고 있으며 대부분의 규제가 가계대출의 안정적 관리를 목적으로 시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은행 규제에 따라 은행이 어떻게 대출포트폴리 오를 조정하는지와 은행의 대출포트폴리오 조정이 가져오는 거시경제적 효과를 측정하고자 한다. 이 를 위하여 본고는 2010년 4분기부터 2018년 1분기까지 우리나라 은행 패널자료를 기반으로 한 패널 회귀분석과 2008년 1분기부터 2018년 1분기를 분석기간으로 하여 FAVAR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규제강도가 가장 강한 2017년 10월 『가계부채 종합대책』 시행 이후 가계대출 포트폴리오가 축소 조정되었다. 둘째, 은행의 가계대출규제 시행에 대한 포트폴리오 조정행 태는 연체율, 자기자본비율 등 경영상황에 따라 이질적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은 행대출행태에 관한 기존연구와 부합하는 결과이며, 대출규제는 규제에 따른 은행의 반응을 정확히 예 상하여 규제목적을 최대한 달성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FAVAR 분석의 충격반응 결 과는 가계대출 포트폴리오 확대조정에 따라 주택가격 및 임차료 등을 중심의 물가상승, 시장금리 상 승, 경제성장 둔화 등이 유발됨을 보여주었다. 다만, 이러한 충격반응은 단기적인 지속성 만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기업대출 포트폴리오 확대는 경제성장 확대로 이어졌다. 지금까지의 분석결과 를 종합하면, 가계대출규제를 보다 강도있게 추진하여 가계대출 포트폴리오 축소 및 기업대출 포트폴 리오 확대를 유도하여 거시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다는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다.

      • KCI등재

        주택 구입과 임차에 대한 선택이 가계 자산포트폴리오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조원진 ( Cho Wonjin ),김명배 ( Kim Myeongbae ),노승한 ( Ro Seunghan ) 한국부동산분석학회 2020 不動産學硏究 Vol.26 No.1

        OECD 주요국과 우리나라의 가계 자산의 구성을 비교하면, 우리나라는 부동산에 대해 투자재로서의 인식이 높으며, 부동산 대비 기타자산 비중이 낮은 특징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전세 중심의 임대시장인 국내의 자가소유 가계와 임차가구 가계 간의 자산 포트폴리오가 다르게 형성되는 이유를 알아보기 위하여, 주택 구입과 임차에 대한 선택이 최적 포트폴리오 결정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연구하였다. 본 연구는 1987년부터 2018년까지 우리나라의 주택, 주식, 채권, 주택담보대출 금리를 몬테카를로(Monte Carlo) 시뮬레이션으로 10,000회 반복 수행하였다. 주택소유가구와 임차가구에 대해 예상되는 재산 증가율 분포를 생성하여, 국내 가계의 포트폴리오 현황과 비교하였다. 주택소유가구는 거주주택 외에 부동산 자산이 없는 자가가구를 가정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로, 전체기간(1987~2018)과 국제금융위기(2009년)를 구분하였다. 주택소유가구는 예상 재산 증가율이 1987년~2018년과 2009년~2018년은 LTV 40% 이상인 경우, 1987년~2008년은 LTV 60%이상인 경우에 임차가구보다 높았다. 위험조정 수익률은 임차가구보다 모든 기간과 모든 LTV 구간에서 높게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우리나라에서 LTV 40~60%를 활용하여 주택을 구입할 경우가 임차보다 일반적인 재산 형성에 유리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위험조정된 부의 포트폴리오의 측면에서도 주택을 소유하는 것이 임차보다 재산 형성에 유리하다고 할 수 있다. 2018년 가계금융복지조사에 따르면, 주택담보대출의 최초대출금액은 주택가격 대비 재산이 1.0배 이상인 가구의 경우에는 LTV 20%~40%에서 가장 많이 존재한다. 재산이 1.0배 미만인 가구는 시뮬레이션과 일치하였다. 주택담보대출 최초대출금액 이후의 대출잔액은 재산이 1.0배 이상인 가구는 LTV 0%~20%로 이동하였다. 이것은 주택가격 대비 재산이 1.0배 이상인 가구는 처음에 위험을 감안하고 일반적인 부의 창출을 추구하다가, 이후에 차입금을 줄여나가면서 위험조정된 부의 창출로 포트폴리오 운용을 변화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다. Compared with the asset composition of major OECD countries, the asset composition of Korean household is known to have higher recognition of real estate as investment goods with lower ratio of other assets against real estate asset. To find what causes heterogeneous asset portfolio across homeowners and renters in Korea, in which the jeonse (long-term rental market with lump-sum deposit) shows significant dominance, this study aims to find how the choice of being homeowner or renter affects the decision of optimal portfolio. This study performs 10,000 iterations of Monte Carlo simulations by using dataset on housing, stocks, bonds and mortgage rates in Korea from 1987 to 2018. The distribution of expected growth rates for homeowner-households and renter-households is generated and compared with the domestic household portfolio. In this study, homeowner-households are defined as households with no real estate assets other than residential housing. The simulatio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e find that the homeowner-households with LTV over 40% show higher growth rate of wealth in the total study period from 1987 to 2018 compared with the renter-households. However, when pre- and post-global financial crisis (2009) trend is analyzed, homeowner-households with LTV over 40% show higher growth rate of wealth in the post-financial crisis period, while the homeowner-households with over 60% LTV outperform in the pre-financial crisis period. In terms of the risk-adjusted return, homeowner-households outperform renter-households across all the LTV levels. These results confirm that home acquisition with 40-60% of LTV in Korea is more favorable for general wealth formation than renting. Analysis with risk-adjusted wealth portfolio reconfirms that owning house is a better way to establish wealth compared with renting. According to the Survey of Household Finances and Living Condition in 2018, it is common for households with wealth level higher than the house value to take out mortgage loan with 20-40% LTV, while households with wealth less than the house value matches with the simulation results. The mortgage balance of the households with wealth more than the house value decreases to 0-20% level in time, which confirms that the wealthier households initially seek for general wealth creation by taking risk to some extent, and then adjust portfolio management plan to create wealth through risk-adjusted wealth by reducing loan balance afterwards.

      • KCI등재

        우리나라 여성가구주 가계의 재무상태와 금융자산 포트폴리오 선택

        최철(Chul Choi) 한국FP학회 2016 Financial Planning Review Vol.9 No.1

        원활한 경제순환을 위해서는 가계의 소비활동이 위축되지 않고 지속적이며 안정적으로 이루어져야 하고, 이를 위해 충분한 재원이 조달되어야 한다. 그러나 고령화와 가계부채 문제 등이 우리나라 경제의 중요한 리스크 요인으로 제기되고 있는 상황에서 가계의 안정적인 소득기반 확보에도 어려움이 따르고 있다. 이에 그 어느 때보다도 개인이나 가계의 재무관리가 더욱 중요성을 갖는다. 본 연구는 개인 재무관리의 중요성을 인식하면서 또한 우리나라 여성가구주 가계의 빈곤 문제에 관심을 두고 여성가구주 가계의 소득, 소비성향, 금융자산 포트폴리오 등이 남성가구주 가계와 어떤 차이를 갖는지와 더불어 가계의 부를 나타내는 가장 대표적인 척도라 할 수 있는 순자산 증가의 영향요인들을 파악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다중회귀분석뿐만 아니라 대상표본을 여러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세분화하여 비교가능성을 고려한 차이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여성빈곤과 관련해서는 남성가구주 가계에 비해 여성가구주 가계의 소득이 낮고 빈곤율이 더 높은 것은 사실이지만 연령이 고령층일수록,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빈곤율이 증가하였는데 분포를 고려하면 여성가구주들의 상당수가 고령층인 데다 교육수준도 낮기 때문에 성별 이외의 다른 중요한 인구통계학적 변수의 영향이 표면적으로는 성별의 영향력으로 간주되어 여성빈곤이 다소 과장될 수도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소득의 성별 격차가 있음에도 금융자산과 순자산의 차이가 없거나, 소득의 성별 격차가 없음에도 금융자산과 순자산의 차이가 있는 경우 여기에 성별그룹 간 금융자산 포트폴리오의 차이가 있는 것을 확인해볼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각각 금융자산과 순자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살펴보기 위한 다중회귀분석의 결과와 더불어 금융자산 포트폴리오를 선택하는 재무관리행동의 차이가 금융자산이나 순자산과 같은 재무상태변수의 차이를 가져올 수 있음을 시사하며, 나아가 개인이나 가계의 재무관리역량 향상 또는 재무관리 조언을 통해 얼마든지 재무상태를 개선시킬 수 있는 가능성이 있음을 제시해주고 있다. Household consumption should be maintained stably for the harmonious circulation of an economy. For this, every household also needs sufficient income sources to finance its consumption. However, the Korean economy currently faces potential risk factors such as population aging and excessive household debts. Moreover, people have difficulty in finding sustainable income sources. Therefore, personal financial management has become more important than ever. Considering this background, this study analyzes the impact of a household’s financial portfolio selection on its financial status. As well as tradition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is study introduces a new method that tests for the difference between two comparable subsamples according to their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is study also investigates the presence of a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 in household poverty. These questions will be answered by the findings of this study, which imply that a household’s financial management behavior can improve its financial status.

      • KCI등재

        기후변화와 가계의 위험관리 -가계 자산구성을 중심으로-

        노용환 ( Yong Hwan Noh ),유경원 ( Kyeong Won Yoo ) 보험연구원 2009 보험금융연구 Vol.20 No.1

        기후변화가 미시적인 차원에서 개별경제주체의 의사결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지에 대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이는 기후변화와 가계경제 행태를 분석하기 위한 적절한 이론모형의 부재와 장기시계열 자료의 미흡에 기인한 바 크다.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에 따른 가계의 경제행태 분석을 위해 예비적 자산구성 이론을 토대로 실증분석을 수행하여 강수량의 변동성 위험으로 나타낸 기후변화가 농촌가계로 하여금 유동성·안전자산 위주의 자산구성 배분 형태를 강수량의 패턴 변화는 농촌가계에 심각한 위험요인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위험이 실제로 가계의 자산구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분석하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강수량 패턴이 지역에 따라 차이를 나타내는 중국 농촌지역 가계 및 지역 패널자료(1995-2000)를 이용하여 강수량의 변동성 심화가 농가의 유동성 및 안전 자산에 대한 배분을 증가시킴을 발견하였다. 아울러 기존연구에서 제기되었던 농촌지역의 전통적인 안전자산이라 할 수 있는 곡물에 대한 보유보다는 가계들은 위험에 대비하여 유동성과 환금성이 높은 현금과 예금을 예비적 자산배분의 중요 수단으로 활용하고 있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는 예비적 동기의 포트폴리오 배분에 있어 전통적 방법인 물리적 수단으로써의 부의 축적 방식이 금융수단으로 대체하면서 보다 적극적인 위험관리수단인 보험에 대한 가계수요도 증대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Based on household panel data (1995-2000) in rural China this study presents the empirical evidence that rainfall variability as a proxy for yield risk influences the portfolio composition of a farming household. This paper supports for an allocation toward liquid assets in response to more volatile rainfall variability. It is observed that cash and deposits are important instruments for their precautionary wealth allocation, while it is difficult to find the similar evidence for grain stocks. It may imply that financial instruments have been substituted for conventional physical ones in precautionary portfolio allocation while dramatic institutional changes of the post-reform period have been proceeded in contemporary rural China.

      • KCI등재

        주택자산이 가계 포트폴리오 구성에 미치는 영향

        김해미 ( Hae Mi Kim ),이영임 ( Young Im Lee ) 한국여성경제학회 2018 여성경제연구 Vol.15 No.3

        본 논문에서는 한국노동패널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주택이 가계 포트폴리오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주택 보유 및 주택 관련 대출, 그리고 전체 자산에서 주택자산이 차지하는 비중에 따른 우리나라 가계의 자산 구성 변화를 Heckman 2단계 모형 및 준모수 회귀모형을 통하여 추정하였다. 그 결과 가계의 주택 보유는 위험자산 보유 비중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주택자산이 가계의 총자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일정 값보다 낮은 경우에는 주택자산 비중의 증가에 따라 위험자산 보유 비중이 증가하나, 반대로 일정 값을 초과하는 경우 주택자산의 비중이 높을수록 위험자산 보유 비중은 감소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는 주택자산의 비중과 위험자산 보유 비중 간에 존재하는 비선형 관계 및 분기점에 대한 실증적인 근거이며, 이러한 결과는 실물자산에 편중된 우리나라의 불균형적인 가계 포트폴리오 구성에 대한 정책 대안을 마련해야 할 필요성을 제기한다. This paper examines the effect of home-ownership, housing loan and house-to-net worth ratio on household portfolio using KLIPS(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data set. The Heckman two-stage methods for selection bias and semiparametric regression model are us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This research provides two major findings. First,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home-ownership significantly decreases the share of risky asset. Second, based on semiparametric analysis, some evidence for the breakpoi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ousing asset and risky asset share of household’s net worth were found. These results suggest the necessity of the policy alternatives to solve the problem of unbalanced household portfolio composition concentrated on real assets.

      • 주택자산이 가계 포트폴리오 구성에 미치는 영향

        김해미(Hae Mi kim),이영임(Young Im Lee) 한국주택학회 2017 한국주택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2017 No.2

        본 논문에서는 한국노동패널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주택이 가계 포트폴리오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주택 보유 및 주택 관련 대출, 그리고 전체 자산에서 주택자산이 차지하는 비중에 따른 우리나라 가계의 자산 구성 변화를 Heckman 2단계 모형 및 준모수 회귀모형을 통하여 추정하였다. 그 결과 가계의 주택 보유는 위험자산 보유 비중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주택자산이 가계의 순자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일정 값보다 낮은 경우에는 주택자산 비중의 증가에 따라 위험자산 보유 비중이 증가하나, 반대로 일정 값을 초과하는 경우 주택자산의 비중이 높을수록 위험자산 보유 비중은 감소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는 주택자산의 비중과 위험자산 보유 비중간에 존재하는 비선형 관계 및 분기점에 대한 실증적인 근거이며, 이러한 결과는 실물자산에 편중된 우리나라의 불균형적인 가계 포트폴리오 구성에 대한 정책 대안을 마련하는 데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