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洪將軍傳>의 형성과정과 작자의식

        곽정식 한국국어교육학회 2009 새국어교육 Vol.0 No.8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formative process and a writer's consciousness of <Hong Changgun jeon>. In our korean old classical fiction history, <Taho Musong(타호무송)> and <Hong Changgun jeon> came into being from the effect of <Suho chi(수호지)>, a Chinese classical fiction. <Taho Musong> was appeared in the process of translation Chinese into Korean of <Suho chi>. It made a single Character, Musong(무송) stand as hero of a work and compileing contents of <Suho chi>, therefore <Taho Musong> reflected the interest, the taste and the anticipation of readers <Hong Changgun jeon> was built up from effect of <Taho Musong>. because that in the publication date <Taho Musong> went somewhat before <Hong Changgun jeon> and <Hong Changgun jeon> made a single Character stand as hero of a work as it were in <Taho Musong>. <Hong Changgun jeon> was lined up the first half part, so to speak, a hero Hong yoonsung' revenge events and the latter half part, so to speak, Hong yoonsung' rising in the world and gaining fame. The first half part was built up from effect of <Taho Musong> or in the process of translation Chinese into Korean of <Suho chi>. The latter half part was built up in the process of accommodation the historical facts partially and gathering a legendary literature positively Concerning a writer's consciousness of <Hong Changgun jeon>. I abstracted militaristic spirit, chivalrousㆍjustice spirit and the ideology of rising in the world and gaining fame. 우리 고소설사에서 <打虎武松>과 <洪將軍傳>은 <水滸志>와의 영향관계를 살필 수 있는 아주 드문 事例라고 할 수 있는 바, 필자는 <홍장군전>이 <타호무송>에서 보다 직접적인 영향을 받았을 것으로 파악하고 <홍장군전>의 형성과정과 작자의식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타호무송>은 <수호지> 제22회에서 제30회까지에 나오는 武松의 이야기를 번역, 편집한 것으로 武松이라는 인물에 대한 특별한 관심과 흥미를 반영하여 이루어졌으며, 간행 시기에서 <홍장군전>보다 앞서는 데다 <수호지>와 달리 단일 인물을 주인공으로 하고, 大漢을 好漢이라 고쳐 부른다는 점에서 <홍장군전> 출현에 대하여 <수호지>보다 한층 더 밀접한 관련을 가진다고 하였다. 이에 따라 무송의 이야기를 모방, 답습한 전반부와, 단편적으로 역사적 사실을 수용하되 주로 설화적 전승을 빌려 형상화한 후반부로 결구되어 있는 <홍장군전>의 형성과정을 실록과 문헌설화를 통해서 알아보고, 끝으로 작품에 반영된 작자의식을 尙武精神, 義氣ㆍ義理精神, 立身揚名思想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 KCI등재

        구활자본 한글소설 《홍장군전》의 《水滸傳》 전유 양상 小考

        柳秀旼(Yoo, Su-Min) 한국중국소설학회 2020 中國小說論叢 Vol.61 No.-

        《홍장군전》은 1918년 李海朝에 의해 지어진 구활자본 한글소설이다. 본 연구는 이 작품을 명대 소설 《水滸傳》의 번안소설로 보고 그 전유의 양상에 대해 고찰해보고자 하였다. 《水滸傳》은 조선에 유입된 이후 문인과 민중을 막론하고 독자들로부터 큰 인기를 얻었으나 그 엄청난 인기에도 불구하고 왕조 시기에는 불온한 서적이라는 이유로 파생작품이 보이지 않았다. 그러다가 1910년 일본에 의한 국권 피탈 이후 등장한 《홍장군전》에 《수호전》 무송의 서사가 차용되어 있음이 확인된다. 본 연구는 이 점에 착안하여 《홍장군전》의 《수호전》 전유 양상에 대해 문화사회학적 관점에 의해 심층적으로 고찰해보고자 하였다. 첫째, 《홍장군전》은 《水滸傳》의 무송 서사를 차용함으로써 저항과 전복의 서사전략을 구사하고자 했음을 논의했다. 《홍장군전》은 《水滸傳》 무송 서사를 武人 성향의 인물인 홍윤성의 생애에 차용하여 《水滸傳》의 저항정신을 알레고리적으로 표현하였다. 또한, 개혁적 성향의 지식인 작가 이해조는 전복적 역사의식에 의해 세조의 癸酉靖難을 긍정적으로 해석하고 홍윤성을 소설의 주인공으로 선택하였다. 둘째, 《홍장군전》은 《水滸傳》의 俠義 가치보다는 유교적 忠孝 덕목을 중점적으로 드러내고 있음을 고찰했다. 《水滸傳》 역시 忠孝 가치가 묘사되는 측면이 있지만, 《홍장군전》에서는 忠孝의 덕목이 서사 내용에 더욱 전면적으로 표현되어 있었다. 또한, 俠義라는 유구하고도 복합적인 가치체계에 대한 韓中 양국의 인식 차이가 곧 《水滸傳》과 《홍장군전》 서사 구성의 미묘한 차이로 귀결되었음을 살폈다. 셋째, 《홍장군전》의 창작에 개입된 조선의 서사전통을 단일 영웅의 형상화 및 설화의 차용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조선 영웅소설은 주로 단일 영웅을 주인공으로 내세워 이야기를 재구성하는 방식이 두드러지는데, 《홍장군전》은 《水滸傳》 인물 중 특히 조선 독자들의 관심을 끌었던 武松을 참조하여 단일 영웅홍윤성을 형상화했음 볼 수 있었다. 또한, 《홍장군전》은 조선 설화의 선택적 수용을 통해 당시 주요 소설독자층이었던 일반 민중들의 흥미와 관심을 유발하고자 하였다. 근대전환기이자 일제강점기라는 시기의 특수성이 낳은 새롭고도 복잡한 문화현상들 중에서 《홍장군전》의 등장은 조선 대중독자들 사이에서 중국소설이 지속적으로 큰 인기를 누리며 향유되었음을 보여주는 한편으로, 중국과 구별되는 조선의 독자적이고도 변별적인 소설문화 역시 존재했음도 입증해준다. 본 연구의 논의가 앞으로 韓中 문화의 관계성에 대한 총체적 파악에 있어 꼭 필요한 바탕이 되리라 기대한다. Hongjanggunjeon (홍장군전) is an old printed Hangul novel written by Lee Hae-jo (李海朝) in 1918. This study regarded this work as an adaptation novel from Shuihuzhuan (水滸傳) and attempted to examine its aspect of appropriation. Shuihuzhuan gained great popularity among Joseon readers, regardless of scholar-gentry class and general people class, after entering Joseon, but despite its tremendous popularity, no derivative works were seen due to the fact that it was an rebellious book during the dynasty. Then, it was confirmed that the story of Wu Song (武松) in Shuihuzhuan was borrowed to the Hongjanggunjeon that appeared after the Japanese occupation of Joseon in 1910. With this in mind, this study attempted to in-depth examine the aspects of the appropriation of Shuihuzhuan in Hongjanggunjeon from cultural and sociological perspective. First, it was discussed that the writer of Hongjangunjeon attempted to use the narrative strategy of resistance and subversion by borrowing the story of Wu Song in Shuihuzhuan. Hongjanggunjeon borrowed the story of Wu song in Shuihuzhuan into the life of Hong Yoon-sung (洪允成), a character who had martial spirit, and expressed the resistance spirit of Shuihuzhuan allegorically. In addition, Lee Hae-jo, an reform-minded intellectual, positively interpreted King Sejo (世祖)’s Gyeyu-Jeongnan (癸酉靖難) by his subversive historical consciousness and thus chose Hong Yoon-sung as the main character of the novel. Second, it was examined that Hongjanggunjeon focused on Confucian virtues of loyalty and filial piety (忠孝) rather than on the value of chivalrous spirit (俠義). The virtues of loyalty and filial piety was also depicted in the story of Shuihuzhuan, but that virtues were expressed more fully in the narrative of Hongjanggunjeon. Additionally, it was noted that the difference between Korea and China two countries’ perception of the long and complex value system of chivalrous spirit led to the subtle difference between the composition of the narrative of Shuihuzhuan and Hongjanggunjeon. Third, it was investigated that the narrative tradition of Joseon involved in the creation of Hongjanggunjeon in terms of the representation of a single hero and the borrowing of the traditional tale. The heroic novels of Joseon Dynasty were remarkable in the way of reconstructing the story with a single hero as the main character. According to this way, the writer of Hongjanggunjeon referred to the character of Wu song, who particularly attracted the attention of readers in Joseon, to form a single hero Hong Yoon-sung. In addition, the writer attempted to arouse the interest of the general people, the main novel readers at that time, through the selective acceptance of Joseon traditional tale. Among the new and complex cultural phenomena created by the specialty of the period of modernization and Japanese colonial rule, the appearance of Hongjanggunjeon shows that the mass readers of Joseon continued to enjoy Chinese novels, while also proving the existence of Joseon’s unique and distinctive novel culture. It is expected that the discussion of this study will be a necessary basis for the overall grasp of the cultural relations between Korea and China in the future.

      • KCI등재

        1753년 代射 관련 소송의 배경과 債訟的 誣訟의 양상

        권이선 조선시대사학회 2020 朝鮮時代史學報 Vol.- No.92

        This thesis looks at the social situation in which Daesa(代射) of the military service examination was rampant and the pattern of the lawsuit that resulted in the late Joseon Dynasty by considering the price of the 代射 to Chae Song(債訟). Previously, research was conducted in the Joseon Dynasty, mainly focusing on 奴婢訟, 田畓訟 and 山訟. Through this process, the process of civil litigation and the application of the law, the living conditions of the people, and the aspects of social history were mainly found to be 所志, 決訟立案, 民狀置簿冊, Historical Narrative. In this study, existing litigation that had been relatively less attention as ratings to study them for studies 謄給立案. It is similar in the method of filling out a document, but it is not a legal judgment or a original document. In addition, although not all 謄給立案 are legal data, the three 謄給立案 handed down to Jinyang-ha’s family in Unmun, Jinju have the nature of litigation, and the object of contention is different from other lawsuit data. Especially while one 決訟立案 generally boils down to one lawsuit, 謄給立案 of Jinyang-ha’s family is independent lawsuits and are eventually concluded as one. The lawsuits are between the plaintiffs Won-ChiYeong, Lee-YeoSeong and the defendant Ha-MyungSang. The plaintiffs lent 200 or 300 pieces of 代射 money the military service examination to the defendant, but the defendant has’s not pay back. The plaintiffs made the case a point of view in their favor as 僞科, and the judicial venue strategically chose. Such a 債訟 is a category of litigation that has not been noticed so far, while the process of the 債訟 is organized by date and that’s uncommon to show the whole process. Through the statements of the litigants and the disposal and investigation process of the 刑曹․漢城府, We can a general idea of the specific 代射 costs, the process of litigation, and the social situation. 이 연구는 1753년 河命祥을 둘러싸고 발생한 소송의 양상과 배경을 살펴보았다. 이 소송의 쟁점은 무과 代射 여부이다. 이는 조선시대 대표 係爭物로 꼽히던 奴婢, 田畓, 묘지[山訟]와 차이가 있다. 기존 근세 소송 연구는 계쟁물에 주목하여 노비송․전답송․산송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졌다. 그러나 하명상 소송은 무과의 대사 경비에서 비롯되었고 본질적으로는 하명상의 대사 여부가 판결의 핵심 사안이었다. 즉 재산적 가치를 지닌 특정 사물이 계쟁 대상이 아니었다. 이와 같은 사례는 향후 조선시대 소송을 계쟁물에 한정하여 분류할 것이 아니라 복합적으로 바라볼 필요가 있음을 시사해준다. 특히 기존에 주목받지 못하였던 謄給立案이라는 자료를 통해 誣訴의 양상과 誣訟의 과정이 밝혀졌다는 점에 의의가 있을 것이다. 여기서 무송이란 무소로 인해 제기된 소송을 가리킨다. 원고 측은 소송의 관점을 단순한 債訟이 아니라 僞科와 결부시켰다. 또한 法律, 詳讞, 詞訟 같은 형조의 본연 업무 외에도 형조판서가 예조판서와 더불어 과거를 관리하던 직무에 주목하여 피고 하명상을 형조에 무소하였다. 그 결과 소송이 피고의 거주지 관할 관청이나 관행적으로 채송을 담당하던 한성부가 아니라 형조에서 두 차례 審理되었다. 원고 측이 거론한 대사 비용은 錢文 200냥 혹은 300냥으로 당시 대사 경비를 분쟁 사안으로 쟁점화 시킬 만큼 대사는 사회적으로 만연한 현상이었다. 이 외 하명상 개인이 처한 상황도 소송에 영향을 미쳤다. 하명상은 영남에서 이름난 거부로 경제력을 갖췄을 뿐만 아니라 50세가 되도록 과거에 급제하기를 소망하였다. 그가 직면한 개인적 상황과 대사라는 사회적 현상이 맞물리면서 무소로 인한 무송이 발생하였다. 무소는 의례 어느 소송이든 元隻이 서로 유리한 판결을 받아 내기 위해 공공연하게 이루어졌다. 그러므로 이 소송에서만 보이는 특별한 현상이 아니다. 다만 실체화 할 수 있는 債錢이라는 계쟁물에서 점차 형체가 없는 소문의 판별 여부로 끝이 나는 하명상 소송은 기존 주목해온 계쟁대상과 차이가 있다. 따라서 이 사례를 통해 조선시대 소송을 物權 기준으로만 분류할 것이 아니라 소송 특정 행위나 사회적 현상과 같은 별도의 새로운 기준도 필요함을 살펴보았다. 향후 조선시대 소송에 관한 다양한 사료가 발굴되고 사례연구가 축적된다면 근세 소송 사회를 재분류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수호전(水滸傳)》연쇄살인의 도덕과 허구 미학

        劉承炫 한국중국소설학회 2010 中國小說論叢 Vol.32 No.-

        《水浒传》裡有很多暴力的描写,这些为研究者所批判。其中,李逵被视为杀人不眨眼的杀人魔。研究者大都认同:做为艺术形象的李逵,塑造得很成功。但有些研究者提出‘从人物的道德评价上,李逵不值得肯定’的意见。艺术的肯定和道德的否定之间到底有什么关係?笔者认为不能拿现实的道德标準来评价虚构的人物,应该从美学方面入手探讨。杀人行为极端地挑战现实道德,因而笔者以连续杀人为探讨的对象。《水浒传》裡有两个连续杀人者,即是武松和李逵。但他们的杀人动机和方式有所差别,且有道德观的差别。武松通过社会教育形成良心和罪恶感,李逵则不如此。社会担任个人的社会化,因此不能把李逵不道德的塬因都推到他个人的人格上。《水浒传》描写如此不道德的人物,此写法道德还是不道德?这是美学该解决的问题。康德在《判断力批判》此书裡主张:审美判断跟道德判断截然不同,它是主观的、无利害感的判断。因此可以把虚构叙事的美学基础建立于跟现实道德无关的审美判断上。李贽和金圣嘆也为了维护《水浒传》裡不道德的内容,主张现实跟虚构不同,既然有趣,就可以描写现实黑暗的种种现象。笔者认为如此才暴露出现实的不道德,这就是虚构的美学。

      • KCI등재

        조선시대 소송에서의 기피(忌避)와 회피(回避) -16세기 여주이씨 노비소송을 중심으로-

        한상권 ( Han Sang-kwon ) 한국고문서학회 2016 古文書硏究 Vol.49 No.-

        소송에서 공정한 심리를 보장받기 위해서는 절차의 공정성만이 아니라 법관의 공정성이 확보되어야 한다. 법관의 除斥, 忌避, 回避는 재판의 공정성 확보를 위한 제도이다. 조선시대에도 공정한 재판을 위해 訟者의 재판부 忌避와 訟官의 소송 回避가 있었다. 조선시대에는 오늘날의 법관 忌避를 ‘歸咎訟官’이라 하였으며, 법관이 스스로 직무집행을 피하는 回避를 ‘避嫌公事’라 하였다. 소송인이 송관을 기피하는 歸咎訟官 풍조는 16세기 중엽에 이르러 성행하였는데, 이에 대해 지배층은 인심이 퇴락한 때문이라고 파악하였다. 이는 소송이 아예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無訟의 질서를 이상으로 생각하는 유교적 송사관 때문이었다. 이러한 생각 때문에 訟者의 송관기피는 기각되는 게 일반적이었다. 16세기 중엽 노비 소송문서인 「16세기 여주이씨 노비결송입안」에는 忌避의 실상이 잘 드러나 있다. 피고 이준 형제는 ‘경주부윤이 受賂하여 공정한 재판을 기대할 수 없다’는 이유로 관찰사에게 기피신청을 하였으며, 관찰사는 이를 인용하여 송관에게 소송문기를 이송하도록 지시하였다. 그 결과 여주이씨 노비소송은 경주부에서 접수하여 始訟?音을 하였으나 興海郡으로 이송되어 흥해군수가 決訟하였다. 「16세기 여주이씨 노비결송입안」은 回避의 실상도 잘 보여준다. 피고 이준 형제가 송관 기피 신청을 하자, 송관인 경주부윤 趙溥는 「避嫌公事」를 올려 자신이 지금까지 진행한 소송의 심리를 변론하고, 소송을 회피하였다. 경주부윤은 송관으로서 誤決하면 안 된다는 생각 하에 사실관계 파악이 미진하기 때문에 決訟을 지연하였을 뿐이라며, 피고 이준 형제가 제기한 수뢰혐의를 부인하였다. 그리고 소송의 심리를 진행하면서, 元隻이 제출한 문기의 증거력을 부인하고 당사자에게 증명을 촉구하는 釋明權을 행사하였다. 경주부윤은 소송사건을 眞僞不明 상태로 마무리 짓지 않기 위해 해결책 마련도 모색하고 있음을 밝혔다. 이처럼 재판의 適正性을 위해 노력한 경주부윤의 소송심리 태도는 목민관들이 율학과 율문을 경시하였다는 기존의 편견을 깨는 것이었다. 여주이씨 노비소송은 당사자의 송관 忌避와 송관의 소송 回避로 말미암아 경주부에서 시작하여 흥 해군에서 마무리 되었다. 기피와 회피로 인해 소송의 개시와 종료가 각기 다른 고을에서 이루어졌다는 점이 이 소송의 특징이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당사자가 議送을 통해 忌避와 移訟 등 ‘소송의 절차에 관한 권리’를 행사하였다는 점이 주목된다. The main purpose of recusal is to guarantee fairness of the trial. It was possible to file a recusal motion in Joseon Era to ensure fairness in the judicial process. Atendency of recusal of the judge was rampant in mid-16th century, and one of the litigation document, titled “Gyul-song-ip-an(決訟立案)” obviously shows the tendency of the recusal in those days. Defendant Lee Joon brother requested to the provincial governor to oder to the recusal of the judge who was a government official “Gyung-Joo-Bu-yoon(慶州府尹)”, since they could hardly expect the fairness on the trial because of his taking a bribe. The government officer granted an order to recuse, so that the case brought by Yeoju Lee regarding dispute over the ownership of slaves transferred to the other jurisdiction, Heung-hae(興海) to proceed the rest of trial. Yeoju Lee`s Gyul-song-ip-an(決訟立案) present the reality of the recusal. During the course of review defendant`s recusal motion, the judge “Gyung-Joo-Bu-yoon” filed his opinion to explain and defend his examination of the lawsuit till then, and subsequently recused himself. The trial judge deprived the admissibility of evidence submitted by the parties with urging them to prove the litigation requirements. The trial judge`s sincere efforts to guarantee the fairness of the judicial process broke people`s prejudice that governors tended to disesteem the importance of statues and legal principles.

      • KCI등재

        용의 비늘・푸른 수염― 촉각으로 보는 조선시대 소나무 그림

        유미나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23 大東文化硏究 Vol.123 No.-

        회화에서 감각은 어떻게 수용되고 시각적으로 재현되었는가. 평면 예술인 회화의 특성상 시각이 가장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며 주된 역할을 해왔음은 자명하다. 그러나 이 연구에서는 한국의 전근대기 회화에서의 촉각의 표현에 대해서 살피고자 한다. 조선시대 회화에서 촉각을 불러일으키는 주제로서 필자는 소나무 그림을 대표적으로 꼽고자 한다. 소나무는 곧게 뻗은 줄기와 늘어진 가지가 주는 고고한 자태와 겨울에도 푸르름을 잃지 않는 상록의 특성이 절개와 지조를 상징하여 예로부터 깊은 사랑을 받았다. 도연명이 유독 소나무를 어루만진 것은 소나무의 상징성을 공유하고자 했기 때문일 수 있다. 이러한 상징성 못지않게 소나무는 생태적으로 다양한 촉각적 요소를 지니고 있다. 소나무 樹幹의 딱딱한 질감과 솔잎의 가늘고 뾰족한 생김새에서 소나무는 ‘붉은 갑옷, 푸른 수염’이라는 의미의 ‘赤甲蒼髥’ 혹은 ‘蒼髥紫甲’이라 불리었다. 특히 줄기의 표피는 용비늘에 비유되어 ‘龍鱗’이라 일컬어졌고, 푸른 수염의 나무라는 뜻의 ‘蒼髥樹’는 그 자체가 소나무의 이칭이었다. 이처럼 소나무는 ‘촉각’을 자극하는 요소를 풍부하게 지녔고, 이러한 요소를 얼마나 효과적으로 재현했는지가 소나무의 이념적 상징 못지않게 작화 및 감상의 핵심이었을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를 토대로 하면서 조선 후기 소나무 그림에서 ‘촉각’이 어떻게 인식되었고, 어떤 표현 방식으로 재현되었는지에 초점을 맞추어 살피고자 한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the sense of “touch” is expressed in pre-modern Korean paintings. It particularly focuses on pine tree paintings as they are regarded as the representative subject that evokes the sense of touch among the paintings of the Joseon era. Pine trees have been cherished for their dignified appearance with straight trunks and drooping branches, as well as their evergreen nature that retains its greenery even in winter, symbolizing longevity and integrity since ancient times. The reason Tao Yuan-ming(陶淵明) specifically embraced pine trees could be attributed to sharing the symbolic significance they hold. Notably, pine trees possess various tactile elements ecologically. From the rough texture of the trunk to the slender and pointed shape of its needlike leaves, pine trees were referred to as “red-armored, blue-bearded” (赤甲蒼髥) or “blue-bearded, purple-armored” (蒼髥紫甲), emphasizing the dragon scale-like appearance of the stem’s epidermis, which was likened to “dragon scales” (龍鱗). The term “blue-bearded tree” (蒼髥樹) itself was an epithet for pine trees. Thus, pine trees were rich in elements that stimulate the sense of touch, and effectively reproducing these elements would have been crucial in the paintings’ symbolism and appreciation. Based on previous studies, this research focuses on how “touch” was depicted and what meanings it carried in late Joseon pine tree paintings.

      • KCI등재

        중국 고대 무송(無訟) 사상 탐구

        왕샤오수 ( Wang Xiao-shu ) 중국사학회 2021 中國史硏究 Vol.- No.132

        "무송" 사상은 중국 법률 사상 중 중요한 구성 부분으로 중국 고대 제자 백가 모두 "무송" 사상을 지지하였다. 해당 사상은 역사적 뿌리가 깊고, 당시 사회의 정치·경제·문화사상에도 영향을 끼쳤다. 또한 무송 사상은 입법실천, 사법실천, 통치자의 집권조치에서 서로 다른 존재 양상을 보이고 있다. "무송" 사상이 생겨난 근원지에서 유·도·법가 사상과 "조화" 관념이 촉진된 가운데 통치자는 정치 선전, 사법 실천을 통해 "무송"사상과 덕풍을 확산하였다. 이를 통해 "무송" 사상의 합리성과 한계를 분석하고 나아가 그 핵심을 취하고자 한다. "무송" 사상은 대안적 분쟁 해결 방식의 특징, 방식, 기능, 목표에 중요한 영향을 끼치는 연구 대상이라 할 수 있다. The idea of "no litigation" is an important part of Chinese legal thought. All ancient Chinese scholars advocated the idea of "no litigation". Its appearance has profound historical roots, and also has the role of social politics, economy, and ideology and culture at that time. At the same time, the idea of "no litigation" has also shown different forms of existence in legislative practice, judicial practice, and the governance measures of the ruler. Starting from the origin of the idea of "no litigation", under the promotion of Confucianism, Taoism, legalism and the concept of "harmony", combined with the political propaganda carried out by the ruler, the "no litigation" dissemination in judicial practice, and moral education. The promotion of "non-litigation" can analyze the rationality and limitations of the "non-litigation" idea, and then take its essence, explore the important influence of the "non-litigation" idea on the characteristics, methods, functions, and objectives of the alternative dispute resolution mechanism.

      • KCI등재
      • [번역] 유가법률윤리의 네 이론

        黃雲明(Huang Yunming),석원호(번역자) 경북대학교 인문학술원 2010 동서사상 Vol.9 No.-

        유가법률윤리는 중국고대 법률제도 건설의 주요가치관이다. 仁愛근본, 공동체 중심주의, 가족사랑, 어른존중, 무소송, 화해존중(貴和無訟)은 유가 법률윤리 가치관의 주요한 가치지향이다. 유가 법률윤리는 중국의 현대적 법치주의 건설에 여전히 중대한 의의를 가진다. As the main value of China’s ancient construction of law system, Confucian legal ethics, with benevolence orientation, group selfish departmentalism, affection&respect, and harmony preference & no lawsuit as its main value orientation, remains great significance in China’s construction of modern legalization.

      • 儒家法律倫理四論

        黃雲明(Huang Yunming) 경북대학교 인문학술원 2010 동서사상 Vol.9 No.-

        As the main value of China’s ancient construction of law system, Confucian legal ethics, with benevolence orientation, group selfish departmentalism, affection & respect, and harmony preference & no lawsuit as its main value orientation, remains great significance in China’s construction of modern legaliz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