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攝山系 三論師의 定慧雙修說과 天台師의 敎觀兼修說 比較

        차차석 한국불교학회 2010 韓國佛敎學 Vol.58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feature, similarity and difference of their thought between Jeonghye Ssangsu theory(the theory of simultaneous cultivation of Samadhi and Prajna) and Gyogwangyeomsu theory(the theory of harmonious cultivation of Zen and Doctrine) and their inter-exchange in the Buddhist history of Weijinnanbeichao Period. The two theory is an important theory that Samron masters and T'ientai masters asserted respectively. They have a inter deep relation both in the similarity of Jeonghye(samadhi and prajna) thought and in their thought background. Then,T'ientai's Gyogwangyeomsu theory derives from Jeonghye Ssangsu theory of Samron masters. In particular, Seungrang founded Samron master's Jeonghye Ssangsu theory. If Jizang's assertion is relevant,then it is certain that Seungrang established the thought system of "Jeonghye is One", based on Samron. Actually, these two thought systems have many overlapped factors in region, period, and thought, so which forms the source of similarity between these two thoughts. However, an eminent relgious master such as T'ientai embraced both doctrine and zen schools widely and then unified them including Jeonghye Ssangsu theory. While the roots of Samron masters' thought were Samron or Heart Sutra and Treatise on the Great Perfection of Wisdom,T'ientai masters tried to cover all Gyopan(doctrine school) and to set up a practical zen system chiefly on the Lotus Sutra. The thought of "Jeonghye is One" made T'ientai complete unification philosophy, 'the unification of doctrine tenet and zen tenet,' which is the marrow of Gyogwangyeomsu theory. In brief, if Samron masters' Jeonghye Ssangsu theory were a starting and triggering point, then Gyogwangyeomsu theory would be a arriving point and a completed stage as well. However, in that any thought cannot ignore a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 the unification philosophy of T'ientai can be referred as the completion of Jeonghye Ssangsu theory. 위진남북조 불교사에서 삼론사들이 주장한 정혜쌍수설과 천태사들이 주장한 교관겸수설의 사상적 특징과 동이점, 두 계열의 상호교류 등에 고찰해 보았다. 이들은 정혜사상의 유사성뿐만 아니라 사상적 출발점 역시 연관되어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천태계 교관겸수설의 근원은 삼론사들의 정혜쌍수설에서 찾을 수 있으며, 그 가능성을 부인하기 힘들다. 특히 삼론사들의 정혜쌍수설은 그 출발점이 승랑이라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있다. 길장의 주장이 틀리지 않았다면 삼론에 입각해 정혜일치론의 사상적체계를 확립한 것이 승랑이기 때문이다. 두 사상은 지역적, 시대적, 사상적으로 중첩되는 요소가 매우 많다. 그런 점은 두 사상의 유사성을 창출했다고 말할 수 있다. 그러나 천태와 같은 걸출한 종교적 천재는 삼론사들의 정혜쌍수설을 비롯해 당시 영향을미치고 있었던 교의학과 선학(禪學)을 보다 광범위하게 포용해 통일시키고있다. 또한 삼론사들의 사상적 근간이 삼론, 내지 반야경전과『대지도론』이었다면 천태계는『 법화경』을 중심으로 모든 교판을 망라하고, 실천적인 선학체계을 구축하고자 했다. 정혜의 일치는 천태에게 ‘교의학과 선학의 통일’이라는 통일철학을 완성하게 만들었으며, 그것이 교관겸수설이다. 결국 삼론사들의 정혜쌍수설이 출발점이자 기폭제였다면, 교관겸수설은 도착점이자 완성태라 말할 수 있다. 그러나 어느 사상이든 사회적, 문화적 배경을도외시할 수 없다는 점에서 천태의 통일철학은 정혜쌍수설이 발전해 완성된 것이라 말할 수 있다.

      • KCI우수등재

        지눌의 돈오점수와 이문정혜(二門定慧)의 쌍수(雙修)

        정혜정(Jung Hye Jung) 불교학연구회 2016 불교학연구 Vol.49 No.-

        본 연구는 지눌의 돈오점수와 정혜쌍수를 재검토하여 돈오와 점수, 자성정혜와 수상정혜의 이문수행이 어떻게 융합되는지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돈오란 자성을 돈오함인데 ‘공적하면서도 신령한 앎이 비추이고 있음’을 깨닫는 것이다. 또한 성불은 돈오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자성의 작용을 이루어 자타불이의 원만행까지 나가는 것인데, 자성의 작용에는 자성 본용(本用)과 인연을 따르는 응용(應用), 두 가지가 있다. 지눌의 마음 수행은 일상의 생활 속에서 인연을 따르면서도 자성의 근본작용을 어떻게 나타내느냐를 주된 핵심으로 삼는데, 그의 돈오점수 수행은 원수(圓修)·원점(圓漸)·점원(漸圓)의 과정을 성불로 삼는 수행이다. 점수란 돈오를 떠나지 않기에 원수이고, 생각마다 무념수(無念修)로 닦기에 원점이다. 이 원점은 곧 신통변화의 점원(홍익중생)으로 이어진다. 기존 연구는 자성정혜를 돈오돈수라 하고, 수상정혜를 돈오점수라 하여 자성정혜가 상근기에 해당하는 수행이고 수상정혜는 하근기에 해당하는 수행이라 구분하여 말해왔다. 그러나 지눌의 돈오점수를 수상정혜로만 볼 수 없다. 지눌은 돈문의 자성정혜에 기초해 점문의 수상정혜를 빌려와 자성정혜와 수상정혜를 겸비시켰음을 볼 때 다른 해석이 가능하다. 지눌의 수상정혜는 깨달은 후에 닦는 것이기에 점문의 그것과 다르고, 자성정혜와 결합된 수상정혜이기에 선후가 없다. 지눌은 ‘이문정혜(二門定慧)를 선후와 차례를 나누어 두 가지로 보아서는 안 될 것’이라 했고, 이는 ‘마치 새의 두 날개와 같아 하나만 없어도 안 되는 것’이라 하였다. 즉 지눌의 돈오와 점수, 자성정혜와 수상정혜는 마치 수레의 두 바퀴와 같아서 이 가운데 하나가 없어도 안 되는 수행법이다. 본 연구는 ‘자성정혜(自性定慧)의 돈오’와 이에 의지해 닦는 ‘자성반조(自性返照)의 수상정혜(隨相定慧)’를 분석하여 돈오점수의 정혜쌍수가 이문정혜쌍수라는 해석을 새롭게 시도하였다. This study reviewed the meaning of ‘Donojeomsu (頓悟漸修: sudden enlightenment and gradual practicing)’ and ‘Junghyessangsu (定慧雙修: practicing samadhi and wisdom at a time)’ in Chinul’s Zen thought. It explored how to unite ‘sudden enlightenment (頓悟)’ and ‘gradual practicing (漸修)’. It also explored how to integrate ‘Jasungjunghye (自性定慧: the samadhi and wisdom of the true nature of humans)’ with ‘Susangjunghye (隨相定慧: samadhi and wisdom of following phenomenon)’ in the two gates. Sudden enlightenment means to be aware of one’s own true nature, Kongjeok- Youngji (空寂靈知). Kongjeok-Youngji means empty calmness and illumination by spiritual knowing. Gradual practicing (漸修) can’t separate with sudden enlightenment (頓悟), and it includes three courses: Wonsu (圓修), which means practicing with the fullness of truth, and Wonjeom (圓漸), which means total influence of ‘sudden enlightenment (頓悟)’ on the spiritual training. Wonjeom (圓漸) is followed by Jeomwon (漸圓), which means gradual achievement for the sake of all beings. This study also tries a new interpretation, that ‘Junghyessangsu’ is ‘practicing samadhi and wisdom (two gates) at a time (二門定慧雙修)’ of ‘Donojeomsu.’ Existing research has said that ‘Jasungjunghye’ is ‘Donodonsu’ and ‘Susangjunghye’ is ‘Donojeomsu,’ saying that the former is for superior people and the latter is for inferior ones. However, Chinul brought ‘Susangjunghye’ of ‘the gradual gate (漸門) on the base of ‘Jasungjunghye’ of ‘the sudden gate (頓門),’ combining ‘Jasungjunghye’ with ‘Susangjunghye.’ Chinul said that “Practicing samadhi and wisdom of two gates (二門定慧雙修) is not divided into two of the first and the last.” It seems like the two wings of a bird. Also like the two wheels of a wagon, ‘Sudden enlightenment and gradual practicing,’ ‘Jasungjunghye’ and ‘Susangjunghye’ of Chinul are not able to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 KCI등재

        구산 수련의 제2 정혜결사 운동과 그 의의

        김방룡 보조사상연구원 2023 보조사상 Vol.67 No.-

        1969년에 송광사에 조계총림이 만들어지면서 초대 방장으로 추대된 구산은 ‘현대 간화선의 중흥자’이자 ‘보조선의 계승자’라고 할 수 있다. 구산은 지눌의 정혜결사 정신을 계승하여 한국불교를 중흥하고자 ‘제2 정혜결사 운동’을 일으켰다. ‘제2 정혜결사 운동’의 내용과 성격은 당시 조계총림의 과제와 맥락을 같이 한다. 구산은 6.25 사변 때 전소된 송광사를 복원하는 한편, 결사운동이 성공할 수 있도록 전국적인 규모의 신행 단체인 ‘불일회’를 조직하였다.구산은 지눌의 결사정신과 선사상의 계승을 통해 송광사의 승풍을 새롭게 진작시켰으며, 이를 통해 승보종찰의 위상을 확고히 하였다. 지눌과 구산이 동시에 정혜결사를 추진하였지만, ‘정혜쌍수’의 방법에 있어서는 차이점도 존재한다. 지눌이 말하는 정혜쌍수는 ‘성적등지문’으로서 ‘반조자심’의 수행법이다. 이에 반해 구산은 평생 간화선 수행에 몰두하였기에 화두 참구에 있어서 바깥 경계와 화두가 성성적적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따라서 구산이 제시한 정혜등지는 자신의 실재 체험 속에서 형성되었으며, 간화선에 기반한 정혜쌍수의 방법이다. 지눌과 구산에게 사상적 차이가 존재하는 것은 구산이 진정한 선사임을 말하는 증표이다. 구산은 효봉선사의 제자로서 송광사의 승풍 진작과 보조선의 세계화에 주력하였다. 그는 수선 결사 참여, 불일 국제선원을 통한 간화선의 세계적 보급, 보조사상 연구원 건립, 불일회 조직, 송광사와 송광사 말사의 중창, 국내외 송광사 분원 신설 등의 업적을 이루었다. In the history of Korean Buddhism, Gusan can be said to be ‘the rejuvenator of the modern Ganhwa Seon’ and ‘the heir of the Bojo’s Seon’. After liberation, the Jogye Vindyavana Hall was established in Songgwangsa Temple in 1969, and Songgwangsa Temple was newly transformed as Gusan, who was appointed as the first chief monk, launched ‘the 2nd Samadhi and Prajna Community Movement’. He inherited Jinul’s spirit of Samadhi and Prajna Community, and guided the path of ‘true mind · true human’ to have the body of calm mind and the action of awakened mind together through the practice of Ganhwa Seon. The promotion of ‘the 2nd Samadhi and Prajna Community Movement’ means that Jinul’s ‘Samadhi and Prajna Community’ is inherited and ‘Becoming a Buddha and saving people’ realized through Samadhi and Prajna. It also means that Jinul’s spirit of Samadhi and Prajna Community was cut off between Jinul and Gusan, and that Korean Buddhism has lost its direction. ‘The 2nd Samadhi and Prajna Community Movement’ advocated by Gusan puts an end to the history of Songgwangsa Temple, which has been led by the Bukhyu lineage, and suggests the direction for Korean Buddhism and Songgwangsa Temple to move forward. The content and character of ‘the 2nd Samadhi and Prajna Community Movement’ are in line with the tasks of the Jogye Vindyavana Hall at the time. Gusan, who took office as the chief of the Jogye Vindyavana Hall, had to restore Songgwangsa Temple, which was burned down during the Korean War, and boost newly Buddhist monk’s tradition of Songgwangsa Temple. In order to solve this task, Gusan launched ‘the 2nd Samadhi and Prajna Community Movement’ and organized a nationwide group called ‘Bulilhoe’, a group of faith and practice. In addition, based on Jinul’s Seon thought, he promoted newly Buddhist monk’s tradition of Songgwangsa Temple and intended to establish Songgwangsa Temple as the chief temple of Sangha.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Samadhi and Prajna Community’ promoted by Jinul and Gusan. ‘The gate of equal concentration on both cessation and observation(Seongjeokdeungjimun)’ proposed by Jinul is the practice method of ‘turning over bright on self-mind’ and ‘the gate of shortcut approach on observing the key phrase(Ganhwagyeongjeolmun)’ is the practice method of ‘Hwadu investigation’. On the other hand, since Gusan devoted his entire life to practicing Ganhwa Seon, he put ‘Hwadu investigation’ at the center and then understood the practice method of ‘equal concentration on both cessation and observation’. Therefore, the method of ‘the 2nd Samadhi and Prajna Community’ proposed by Gusan was formed in his own actual experience, and is a method of dual practice of meditation and wisdom based on Ganhwa Seon. The existence of ideological differences between Jinul and Gusan is a sign that Gusan is a true Seon master. As a disciple of Seon master Hyobong, Gusan focused on boosting Buddhist monk’s tradition of Songgwangsa Temple and globalizing Bojo’s Seon. He accomplished achievements such as taking part in Suseon Community, global distribution of Ganhwa Seon through Bulil International Seon Center, building Bojo Thought Research Institute, organization of Bulilhoe, the reconstruction of Songgwangsa Temple and a Songgwangsa’s branch temple, and the establishment of domestic and foreign branch temples of Songgwangsa Temple.

      • KCI등재
      • KCI등재

        병렬 설치형 저압막 모듈 배관의 유량 균등 분배 평가에 관한 연구

        장석현,윤석민,김시연,이영주,박노석 대한환경공학회 2021 대한환경공학회지 Vol.43 No.5

        Objectives : In this study, the degree of uniformity of the flow rate flowing into each module is measured for the external pressure typed low-pressure membrane (microfiltration) filtration process that has been actually applied to water treatment, and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CFD) technique is used to clarify the cause and effect. Methods : Mobile ultrasonic flow meter was used to measure the flow rate flowing from the membrane module pipe to each module, and the CFD technique was used to verify this. Results and Discussion : From the results of the actual measurement using ultrasonic flowmeter and CFD simula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outflow flow rate from the branch pipe located at the end of the header pipe was three times higher than that of the branch pipe near the inlet. The reason was that the differential pressure generated between each membrane module was higher toward the end of the header pipe. Conclusions : When the ratio of the sum of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branch pipe and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header pipe was reduced by about 30 times, it was confirmed that the flow rate flowing from each branch pipe to the membrane module was almost equal. Also, If the flow in the header pipe is transitional or laminar (Reynolds No. is approximately 4,000 or less), the flowrate flowing from each branch pipe to the membrane module can be more even. 목적 : 본 연구에서는 실제 정수처리에 적용되고 있는 외압식 저압막(정밀여과막, Microfiltration) 여과 공정을 대상으로 각 모듈로 유입되는 유량의 균등 정도를 실측하고, 전산유체역학(Computational Fluid Dynamics, CFD)를 이용하여 그 원인을 밝히고자 하였다. 방법 : 본 연구에서는 막 모듈배관에서 각 모듈로 유입되는 유량을 측정하기 위해 이동형 초음파 유량계를 사용하였으며, 이를 검증하기 위해 전산유체역학 기법을 이용하였다. 결과 및 토의 : 초음파 유량계를 이용한 실측과 CFD 모사 결과로부터 헤더 배관 끝단에 위치한 분지관으로부터의유출 유량이 유입구 근처의 분지관 유량보다 3배 높았다. 그 이유는 각 막 모듈 사이에서 발생하는 차압이 헤더파이프 끝으로 갈수록 더 높았기 때문이다. 결론 : 지관의 단면적의 합과 헤더 배관의 통수 단면적의 비를 약 80배 정도 감소할 경우 각 분지관에서 막 모듈로유입되는 유량이 거의 균등한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관내 흐름이 천이류 및 층류인 경우(Reynolds No.가대략 4,000이하) 각 분지관에서 막 모듈로 유입되는 유량을 균등화 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 KCI등재

        보조 지눌과 퇴옹 성철의 무심(無心) 비교 연구

        고정혜 ( Ko Jeong-hye ),서왕모 ( Seo Wang-mo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20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44

        이 논문은 초기 선종(禪宗)부터 근현대 한국선에 이르기까지 깨달음과 관련된 심법(心法)으로 제시되었던 ‘無心’의 중요성을 고찰하고자 했다. 한국선에서는 보조(普照:1158~1210)와 성철(性徹:1912년~1993년)이 無心을 적극적으로 계승한 선사들이다. 그러므로 이들의 선사상에서 無心을 살펴보고 상통점과 상이점을 고찰하였다. 보조의 선(禪)에서는 『법집별행록절요병입사기(法集別行錄節要幷入私記)』와『간화결의론(看話決疑論)』에서 頓法과 경절문(徑截門)을 전개하는 과정에서 無心이 드러난다. 그리고 성철의 경우에는『선문정로(禪門正路) 』와『백일법문(百日法門) 』에서 수증론이 전개되는 과정에서 無心이 드러난다. ‘無心合道’로 드러나는 보조의 무심과 ‘究竟無心’으로 드러나는 성철의 無心은 수행과정에서 이를 증득하는 깨달음의 단계가 확연히 다를 수 있다. 보조의 경우 정혜쌍수(定慧雙修)의 수행이 無心과 상즉(相卽)하는 ‘공적영지심(空寂靈知心)’이 나타난다. 성철은 삼세육추(三細六麤)의 번뇌와 망념이 완전히 사라지는 궁극적 깨달음에서 증득하는 無心을 강조한다. 두 선사의 無心의 공통점은 첫째, 둘 다 이를 증득하는 선법이 화두를 통한 간화(看話)뿐만 아니라 방(榜)과 할(喝) 등의 선법이 포함된다. 둘째, 두 선사의 無心은 돈오(頓悟)와 상즉하면서 깨달음과 밀접한 관계에 있다. 셋째, 보조의 無心은 공적영지(空寂靈知), 성철의 無心은 상적상조(常寂常照)로 나타내고 있지만 둘 다 ‘고요하고 밝아져서 일체를 두루 알게 되는 경지’로 묘사된다. 즉, 두 선사의 선법에서 無心이 드러나는 ‘悟’의 단계는 상이할 수 있지만 無心을 증득한 경지에서 드러나는 공능(功能)은 일맥상통하다. 본 논은 한국의 禪에서 간화선을 발전시킨 두 선사의 無心을 비교 고찰하면서 禪에서 無心의 중요성과 가치를 새롭게 조명하는 데 의의가 있다. This paper is what lighting the importance of detachment which has being suggested as mind dharma to be continued to enlightenment from the early of Seon oder to modern Seon. In Korean Seon, Bojo and Sengchol accepted detachment with positively. After I compared their detachment, I considered What is different thing? What is same thing? Steps of practice which is based on ‘Daeseunggisinron’(大乘起信論) was set such as Sigak(始覺), Subungak(隨分覺), Sangsagak(相似覺), Gugyenggak (究竟覺) and so I compared their steps which detachment is appered. In Bojo’s Seon, detachment is said when it has been explaining as sudden enlightenment and entrance of Seon skipping the practice steps in ‘Ganwhagyelewiron’ (看話決疑論). In Sengchol’s case, when perpect attainment called Gugyenggak(究竟覺) has been explaining detachment is appered in the books such as ‘The right way of Seon entrance’ (禪門正路) and ‘Ddharma’s talk of one hundred days’(百日法門). Bojo’s detachment is used ‘Detachment conbined with enlightenment’(無心合道) and Sengchol’s detachment is used ‘Detachment conbined with ultimate enlightenment’(究竟 無心) may be different apparently each other. In Bojo’s case detachment is explained as practicing called Jeonghyessangsu(定慧雙修). The mind is regauarded as Gongjeokyoungjisim(空寂靈知心). Sengchol said detachment called ‘Detachment conbined with ultimate enlightenment’(究竟無心). It is appeared when delusion and agony are disappeared fully. Both way of them reaching detachment are with whadu(話頭) in common. Also, both of detachmenents are sudden awakening and closed connected enlightenment. Bojo’s detachment is said Gongjeokyoungji(空寂靈知), Sengchol’s detachment is said Sangjeoksangjo(常寂常照). Both of them are explained the stage in which people can realize all things. So though the stage of enlightenment which detachmenents is appered are different, the ways to reach to it and its efficacy are not different. This paper is relevant to light importance and value of detachmenents in Korean Seon

      • KCI등재

        知訥과 少太山의 생애와 사상 비교 연구

        박태봉 보조사상연구원 2020 보조사상 Vol.56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mpare the Life and Thoughts of the Jinul(1158~1210)and Sotansan(1891-1943). There are many ancient Buddhist priests in the history of Korean Buddhism, but they have brought new breakthroughs through the association for the practice of Buddhist reform. In particular, I can not help but pay attention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ife and thought of the two people. I can see that I can find the spirit and ideas that connect with each other while deeply researching them. Jinul is a Korean Buddhist with a history close to 1700. It is one of the two major mountain ranges of Korean Buddhism together with Wonhyo. In this paper, we will focus on the point that the Buddhist reform movement and The Sutra of the Diamond Sutra. Therefore, in this paper, In order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we need a link in various fields. The objective was to focus on objective documents and materials, such as those written directly by the author. As Sotansan promulgated in『Daejonggyeon』in Chapter 10, "Daejongsa said, I have opened many recollections Several(多生), but since this recollection is the biggest one" Since mid-Goryeo, Jinul has tried to clarify the muddy atmosphere of the mission conflict and the covetousness of the world and to preserve Jeong Hye-ssu(定慧雙修) as the principle of execution and to set up the Jeong hye-Association(慧慧結社) to practice it, In order to complete the vow over the past 700 years, to come to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and to open the biggest recollections and to open the Il-Won-sang truth. In the future, I hope that this study will lead to a more logical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ife, seeking for truth and the principle of execution, and the method of execution between the two of them. Because these academic attempts can close to truth which is difficult to explain. 본 논문은 불일보조국사 지눌국사(1158~1210)와 원불교를 창시한 소태산대종사(1891~1943)의 생애와 구도과정, 그리고 주요사상 등을 비교 고찰하는데 목적이 있다. 한국 불교사에서 기라성 같은 고승들이 많았지만 두 분의 특이점은 불교개혁을 이루고자 결사를 통해 획기적인 새로운 전기를 마련한 점이다. 특히나 두 분의 생애와 사상의 유사점에 주목하지 않을 수 없는데, 두 분의 저술을 천착하면서 상통하는 구도과정과 사상을 찾을 수 있었다. 지눌국사는 1700년에 가까운 역사를 지닌 한국불교에서 원효성사와 함께 한국불교의 양대 산맥이라 할 수 있고, 소태산대종사는 후천문명을 여는 주세불로 신앙되고 있는 분으로 두 분의 연관성을 고찰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분야에서 연결고리가 필요한데 본 논문에서는 특히 개인의 구도과정 보다는 불교개혁의 결사를 한 점과 금강경을 立法으로 정혜쌍수, 돈오점수와 지행일치의 수행체계를 수립한 점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아울러 본 논문에서는 두 분의 저서를 중심으로 객관적인 문헌과 자료를 전거로 삼았다. 소태산대종사께서『대종경』부촉품 제10장에서 언급하신 “내가 다생 겁래로 많은 회상을 열어 왔으나 이 회상이 가장 판이 크다”고 한 것처럼 고려 중반 이후 禪敎 갈등과 현세의 탐욕에 물든 혼탁한 분위기를 정화하고 정법안장 열반묘심을 재현하기 위해 그 수행원리로 정혜쌍수를 제시하고 이를 실천하기 위해 定慧結社를 세운 지눌국사의 대발원이 700여년을 뛰어 넘어 조선 말기 대개벽기에 새로운 주세불로서 가장 큰 회상을 열고 一圓相의 진리를 굴린 소태산대종사로 이어지는 것이다. 앞으로 두 분의 일생과 구도과정 그리고 수행법과 불교개혁을 위한 결사에서의 유사점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져 이에 대한 보다 실증적인 규명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지눌의 삼학(三學) 수행에 대한 원불교의 수용과 변용

        정혜정 ( Hye Jung Jung ) 한국교육사학회 2016 한국교육사학 Vol.38 No.1

        한국 선불교 수행전통에서 계정혜 삼학에 대한 대부분의 입장은 계율을 먼저 앞세우거나 계정혜 각각의 가치를 강조할 뿐 지눌이 말한 자성정혜와 수상정혜의 맥락에서 정혜쌍수의 삼학을 주목한 것은 아니다. 지눌의 삼학은 근대에 와서 1916년 소태산 박중빈이 창도한 원불교에 의해 주목되어 일정 부분 계승되면서도 독특한 변형을 낳았다고 볼 수 있다. 사리연구, 정신수양, 작업취사로 자성의 계정혜를 세우는 원불교 마음수행은 지눌의 자성정혜와 수상정혜 양자 모두가 겸비되는 정혜쌍수와 연계 지을 수 있다. 원불교는 지눌의 삼학을 수용하면서 지눌의 전통과 다른 과거 삼학과의 차별성을 드러내 보이는데, 예를 들어 계(戒)에 해당하는 원불교의 작업취사는 개인적 차원의 계율이 아닌 일상과 사회적 차원의 모든 일에서 의 바름과 무아봉공(無我奉公)을 선택하게 하는 공부라는 점에서 과거와 다르고, 또한 과거 삼학의 혜(慧)가 자성에서 발하는 혜에 치중하였다면 원불교의 혜에 해당하는 사리연구는 자성에서 발휘되는 지혜뿐만 아니라 모든 일, 모든 이치에 두루 알음알이를 얻는 공부라는 점에서 차이를 보인다. 또한 과거 삼학의 정(定)은 선정에 치중하였지만 원불교의 정에 해당하는 정신수양은 동정(動靜)간에 자성을 떠나지 않는 일심공부라는 점이 특징이라 할 것이다. 이는 곧 지눌의 삼학을 계승·변용한 결과라 할 수 있다. In the history of zen thought of Korea, most of the view on three learning(vinaya, samadhi, vipassna) is the first to vinaya(戒) and emphasize the each account of them. They don`t pay attention to Jinul`s ideas of considering the concentration and complete wisdom(定慧雙修). Three learning in Jinul were noted by Won-Buddhism which was created by Sotaesan Park, Joongbin in 1916 of Modern age. It gave birth to unique transformation while being passed down a certain portion. There are three kinds learning in Won-Buddhism. One is to study human affairs and universal principles(事理硏究). The other is to cultivate the spirit(精神修養), and last is to choose justice in the mind action(作業取捨). They also inherited the method of Jinul`s mind training. They include not only the concentration and complete wisdom(定慧雙修) but also mind training from the true mind(自性定慧), and from along the moving one(隨相定慧). But the three learning(三學) of Won-Buddhism are different characteristics to those of the past. In the past, the discipline was emphasized by them, but the discipline(戒) of Won-Buddhism is applied to the discipline of a personal level, and the society, the state, and the entire world. In the past the wisdom(慧) was emphasized by them, but Won-Buddhism emphasizes not only the wisdom(慧) but also all knowledge. Furthermore, stillness was applied to samadhi(定), but Won-Buddhism applies not only to stillness but also activeness.

      • KCI등재

        九山 秀蓮의 살림살이와 사고방식

        고영섭(Ko Young-seop) 보조사상연구원 2014 보조사상 Vol.41 No.-

        이 논문은 九山 秀蓮(1909~1983)의 안팎으로 펼친 역사적 살림살이를 고찰하고 앞뒤로 펼친 철학적 사고방식에 대해 연구한 글이다. 구산은 지눌의 목우가풍과 효봉의 수선가풍을 계승하면서도 자신의 독자적 해석을 가미하였다. 그는 1954년에 '불법에 대처승은 없다'는 기치 아래 종단정화운동이 일어나자 상경하여 서울 선학원에 머물며 여러 비구 도반들과 전국비구승대회를 개최하여 정화불사를 위한 '종단정화위원회'를 결성하였다. 이후 구산은 '단지 혈서' 탄원서 작성을 통해 불교 종단정화의 주도적인 역할을 하였다. 그는 지눌-효봉의 정혜결사를 계승하기 위하여 송광사를 거점으로 제2의 정혜결사운동을 주창하였다. 그리고 구산은 대승불교의 보살행인 육바라밀에다 '만행바라밀'을 추가하여 '봉사의 날'로 새롭게 해석한 칠바라밀을 제창하여 생활불교의 길과 대중불교의 길을 열었다. 나아가 그는 1973년 하안거 결제 이래 송광사 내에 불일국제선원을 개원하여 그의 문하로 출가한 비구 비구니 제자들은 전 세계 15개국 53명에게 한국선을 전수하였다. 1980년 이후 입적 전까지는 해외로 몸소 나아가 한국선을 널리 선양하였다. 특히 한국선의 해외 전법을 위한 구산의 선구적 노력을 통해 한국은 국제사회에 부상해 가는 위상과 함께 민족의 우수성과 문화의 수월성을 널리 과시하였다. 그리하여 그는 한국 불교사에서 정화불사의 주도자, 정혜결사의 계승자, 총림강원의 개설자, 칠바라밀의 제창자, 국제포교의 선구자로서의 지위를 확립하고 있다. 구산은 지눌의 살림살이와 사고방식의 조술자로서 그의 정신과 긴밀하게 연속하고 있다. 동시에 평생 '無字 화두'를 들고 수행하였던 그의 스승인 효봉의 살림살이와 사고방식의 조술자로서 그의 정신과 친밀하게 해후하고 있다. 구산은 '참나'[眞我] 즉 '主人公' 혹은 '眞心' 또는 '眞性'을 찾기 위해서 화두선을 강조하였고, 간화선 수행의 세 가지 요체를 '大信大憤心', '大勇猛心', '大疑心'으로 새롭게 제시함으로써 간화선 계승자로서의 면모를 잘 보여주었다. 특히 그는 동아시아 불교사상사의 주요한 개념인 '佛性' 즉 '眞性'의 개념을 환기시키면서 진성은 영원히 신령스러운 존재이며 妙用이 많은 존재라고 강조하고 있다. 구산은 간화선을 닦는 방법으로써 혜능 이래 남종선의 가풍을 이은 지눌의 정혜쌍수 가풍을 원용하여 실천한 수행자였다. 그는 지눌과 같이 돈오-점수-체증의 체계를 또렷하게 제시하지는 않았지만 대체적으로 그의 수증론을 따르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 결과 구산은 깨침[悟]과 닦음[修]의 두 축에서 볼 때 돈오점수 체계의 지지자였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는 한국불학사에서 상당법어와 수기설법의 재현자, 지눌과 효봉의 조술자, 간화선법의 계승자, 정혜쌍수의 실천자, 돈오점수의 지지자로서의 위상을 확보하고 있다. This is a study on the historical life and philosophical thinking of Ku-san Su-ryon(九山秀蓮, 1909~1983). Ku-san developed his own interpretation on Buddhism even though he succeeded the tradition of Ji-nul(知訥) and Hyo-bong(曉峰). As there happened a movement for purifing Korean Buddhist Order with banner that there couldn't be a married Buddhist priest in Buddhism in 1954, he came up to Seoul and held the National Buddhist Monk convention with organizing the committee for purification of Buddhist Order. Since then he turned in a petition written in his finger's blood, and played a leading role in purification movement of Korean Buddhist Order. He advocated the second movement of the association of meditation and wisdom(定慧結社) in order to inherit that of Ji-nul(知訥) and Hyo-bong(曉峰), with Song-guang-sa Tample as a center. And he opened up the way to the popular and practical Buddhism through the suggestion of seven paramita(七波羅蜜) which was the new interpretation of the practise of Bodhisattva in Mahayana Buddhism. He added 'Man-hang(萬行) paramita' to six paramita, and made people provide services on the day of 'Man-hang(萬行) paramita'. So it was called 'the voluntary service day'. Since finishing the summer varsa in 1973, Bul-il(佛日) International Seon Center had been opened by him, and 53 monks and nuns from 15 countries who became disciples of Ku-san could learn the way of Korean Seon. Moreover, he went abroad and spreaded Korean Seon from 1980 to 1983, last 4 years of his life. Through his leading effort for propagation of Korean Seon practice abroad, the superiority of Korean and its culture could be widely known in the world. So he could be called a pioneer of International missionary work in Korean Buddhist history. Ku-san was very titely connected with Ji-nul in the way of life and thinking, and also with Hyo-bong who had practiced with koan of Mu(無) all his life. He inherited the tradition of Ji-nul in the way of Koan-Seon(看話禪) which came from Hae-nung(慧能), the 6th patriarch. As the result, he was the follower of the system of Sudden-awakening and gradual-cultivating(頓悟漸修). Therefore, he has been a propagator of Ji-nul and Hyo-bong, a successor of Koan-Seon, a practicer of concurrent cultivation of meditation and wisdom(定慧雙修) and a supporter of Suddenawakening and gradual-cultivating.

      • KCI등재

        제6장 마음과 세계

        정천구(Chun-Koo Jeong) 한국민족사상학회 2008 민족사상 Vol.2 No.1

        프로이트가 인간의 심층의식에 주목하여 심리학을 개척한 이후 현대사회과학에서도 심리분석이 많은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불교에서는 오래전에 “모든 것은 마음이 지은 것”이라는 붓다의 메시지를 중심으로 마음의 구조와 마음 닦는 방법이 정교하게 발전시켰다. 불교는 마음을 심(心), 의(意), 식(識)으로 파악하고 이를 5가지 감각기관의 식, 분별하는 제6식, 자아의식으로서의 제7식, 그리고 저장식으로서의 제8 아뢰아식으로 분석하고 있다. 모든 현상은 8식에 저장된 식들이 인(因)과 연(緣)을 만나 발현되는 것이다. 닦음이란 8식의 순수한 부분이 오염된 부분을 정화하여 청정한 본심을 회복한다는 것이다. 붓다에서 시작되어 불교에서는 이렇게 청정한 본마음을 회복하여 이상적 상태인 열반에 이르는 수행방법이 정교하게 개발되었다. 핵심은 산란한 마음을 하나로 집중하는 지(止)와 사물을 있는 그대로 보는 관(觀)의 수행인데 선(禪)에서 지와 관은 다른 말로 정(定)과 혜(慧)라 하며 이는 분리 수행이 아니라 함께 닦는 것(定慧雙修)이라고 한다. 대승불교는 자기 한 마음 만을 다스리는 것이 아니라 자기 마음, 남의 마음 구별 없이 마음속에 일어나는 모든 마음을 닦기 때문에 마음 닦는 일과 정치사회적 문제를 다스리는 일은 연관을 맺고 있다. 정치사회적 문제들의 진단과 해법을 모색하는데 있어서 붓다의 마음 닦기는 크게 유용한 것으로 본다. 현대사회의 제 문제들이 인간의 본심에서 너무 멀어져 있기 때문에 인간의 청정한 본심을 회복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기 때문이다. Since Freud first elaborated the theory that mind is a complex energy system, many psychological analysis on politico-social subjects have been carried. In the ancient Orient, Buddhism developed an elaborated theory of mind and mind control techniques after the Buddha had declared that all is mind made. Mind is composed of eight different sorts of consciousness, namely five threshold consciousness, six sense, self consciousness, and no.8 consciousness in Buddhist mind theory. Every thing manifested itselffrom the eighth which is the storehouse of all the consciousness when every stock in it meets its cause and occasion. Buddhist mind control practice is to purify the contaminated part of the eighth consciousness with the help of its pure part thereby recover our pure and undefiled mind. Concentration(止 or 定) and contemplation(觀 or 慧)are the two pillars of the practice. The two should be practiced concurrently not separately. Mind should be concentrated and contemplated at the same time. In Mahayana Buddhism, the trainee's goal is to purify not only one's own mind but also every mind of living beings that arises in his mind. So mind control and practice in Mahayana system necessarily deals with political and global issues. Since almost every important issues in the modern world is contradictory with the pure human mind, it requires the recovery of the pure mind before we think of the structural problems. In this sense Buddhist theory and practice of mind would be very helpful for diagnosis and treatment of politico-social problems in the modern worl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