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春秋筆法試論杜預 <序>를 중심으로

        박성진 ( Sung Jin Park ) 한국중문학회 2005 中國文學硏究 Vol.31 No.-

        杜預的 ≪春秋經傳集解≫在≪春秋≫硏究中有着重要的地位. 從某種意義上說, ≪春秋經傳集解≫的出現標識着春秋學硏究的里程碑. ≪集解≫對後世硏究所給予的極大便利自不待言. 其<序>是≪集解≫的總綱要, 因此引起了學者的無限關注. 杜預有關春秋筆法的看法, 在<序>中表達得非常淸楚. 其中五例和數句以成言問題是春秋硏究史上的一個重要問題, 古今學人衆說紛紜. 本文在前賢硏究成果的基礎上, 指出所謂五例旣是左傳作者所總結的春秋筆法原則. 也是杜預本人關于春秋硏究的宣言. 至于數句以成言, 可以說杜預創獲的春秋筆法原則, 依杜預<序>解春秋筆法, 它仍然具有學術價値.

      • KCI등재

        『春秋』王曆① - 宋代 이후 春秋曆數의 改月ㆍ改時 논의에 대한 小考

        徐政嬅 동양고전학회 2017 東洋古典硏究 Vol.0 No.67

        『春秋』 經文에서는 紀月法으로 ‘春王正月’의 표현 방식을 썼으며, 동짓달을 한 해의 첫 달로 삼고 그때부터 3개월을 春이라 명명하였다. 이러한 『春秋』王曆에 대해 그것의 月號와 계절명을 공자가 바꾸어 기록한 것인가 그렇지 않은가에 따라, 宋代 이래로 ‘孔子의 改月 改時’ 說, ‘孔子의 不改月 改時’ 설, ‘孔子의 不改月 不改時’ 설 세 가지의 서로 다는 주장들이 있게 되었다. 첫 번째 설은 胡安國과 蔡沈이, 두 번째 설은 程頤와 朱熹가 언급한 것이다. 세 번째 설은 그 주창자가 明代 이후에 두드러지기 시작하였으며 대표적인 인물로 王守仁을 들 수 있다. 그들 모두 자신들 주장의 근거를 古經과 유교 전적의 기록들 속에서 찾고 있는데, 동일한 기록을 가지고 서로 다른 주장의 근거로 삼은 경우도 보인다. 공자의 이른바 ‘春秋筆法’과 ‘述而不作’은 尊王思想에서 나올 수 있었던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비록 공자가 『춘추』의 저자라고 가정한다 해도, 『春秋』의 曆數에서 정말로 공자가 改月이나 改時를 감행하였을지를 의심하지 않을 수 없다. 이와 같은 공자의 『춘추』 역수 개입과 관련한 설들은, 사실상 唐代까지는 대립적으로 논의되지 않은 것이다. In the scriptures of 『Chūn-qiū(春秋)』, the expression method of ‘Chūn-wáng- zhēng-yuè(春王正月 : It's spring. It's the first month regulated by the king.)’ was used as Jì-yuè-fǎ(紀月法 : the rules to determine the first month(正月)), the month of winter solstice was regarded as the first month of a year, and three years since then were named as Chūn(春 : spring). With regard to this 『Chūn-qiū』Wáng-lì(『春秋』王曆 : the calendar regulated by the king of Zhōu(周) dynasty in 『Chūn-qiū』), depending on whether Confucius(孔子) changed and recorded the names of the months and the season or not, there were three different arguments; the theory that ‘Confucius changed the names of both the months and the season’(孔子改月·改時說), the view that ‘Confucius changed the name of the season, not the names of the months'(孔子不改月·改時說), and then the theory that ‘Confucius changed neither the names of the months nor the name of the season’(孔子不改月·不改時) since Song(宋) dynasty. The first view was taken by Hhú-ān-guó(胡安國) and Cài-chén(蔡沈), and the second theory was mentioned by Chéng-yí(程頤) and Zhū-zǐ(朱子). The advocates of the third view had become remarkable since Ming(明) dynasty, and one of representatives was Wàng-yáng-míng(王陽明). All of them based their arguments on ancient scriptures and Confucian legal books, and there were cases of taking the same records as the support for different opinions. Confucius' so-called ‘Chūn-qiū-bǐ-fǎ(春秋筆法 : the method to describe historical facts by making clear discrimination between right and wrong)’ and ‘Shù-ér-bù-zuò(述而不作 : the attitude to succeed virtuous men's achievements and only explain and describe them not creating and adding new contents)’ could come from thoughts of Zūn-wáng(尊王 : to respect the king with the virtues of benevolence, righteousness, propriety, wisdom and sincerity). Therefore, even though Confucius is assumed to have been the writer of 『Chūn-qiū(春秋)』, whether he actually changed and recorded the names of the months and the season in the calendar used in 『Chūn-qiū』 is doubtful. These theories on Confucius's intervention in the calendar of 『Chūn-qiū』 hadn't been discussed as conflicting in reality until Tang(唐) dynasty.

      • KCI등재

        미수(眉叟) 허목(許穆)의 「춘추설(春秋說)」 연구

        석승징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21 東洋學 Vol.- No.83

        This study is to find and organize the materials that Heo Mok referred to while writing 「Chunchuseol(春秋說, A Commentary on the Spring and Autumn Annals)」 and to examine what is ‘the Great righteousness of Chunchu(春秋大義)’ he says. Heo Mok wrote 「Gyeongseol(經說, A Commentary on the Scriptures of Confucianism)」 by abbreviating old writings he had read for more than 50 years. And he presented it to King Sukjong(肅宗). The meaning of his present of that book contained the expectation that the young king will emulate the teachings of the saints in the old writings and carry out great politics. In 「Chunchuseol」, one of the 「Gyeongseol」, his thoughts on Chunchu(春秋) are completely contained. First, he mentions the fact that Confucius conveys the teachings of the old saints to posterity through Chunchu . And, he explains Chunchu is a sacred discourse to cultivate the benevolence and righteousness, and expose the principles of humanity. He is also says that in an era when the principles of royal politics(王道) disappears and ‘the poetry’ could not play a role, Chunchu can be played the role of the scriptures of Confucianism. Continually, he proposes ‘the Great righteousness of Chunchu’ in three categories: the consciousness of respect for the King(尊君意識), the value of the benevolence and righteousness(仁義), and the idea of Great unification(大一統) reflecting the special characteristics of Joseon. Then, in accordance with the teachings of Chunchu , he argues that the people should cultivate the benevolence and righteousness, formulate the principles of humanity, implement the principles of heaven and stabilize the principles of the earth. Through the process of finding the various old writings and checking the context that Heo Mok referred to while writing 「Chunchuseol」, I was able to find a glimpse of what kind of situational awareness he had and what kind of responses to the situation at that time he did. In particular, through the expressions that differ slightly from those of the old writings he referred, I was able to confirm that he suggested the possibility of developing from the Chinese-centered Great unification ideas of the Spring and Autumn Period to the Great unification ideas of reflecting the special characteristics of Joseon. The challenge of Joseon in the 17th century was to overcome the impoverished people’s livelihood due to severe war, constant political turmoil, and frequent natural disasters. What was confirmed through this study is the countermeasures of Heo Mok, a responsible intellectual of that period who has to overcome such temporal and spatial challenges. It was the effort to establish a stable political system based on the benevolence and righteousness through the strengthening of the royal authority and ultimately solve the chaotic times situation. 본 연구는 허목이 「춘추설」을 지으면서 참조한 자료들을 찾아서 정리하고, 그가 말하는 춘추대의가 무엇인지를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허목은 그 자신이 50년 이상 읽어 온 옛글들을 축약하여 「경설」을 작성하였다. 그리고 그 글을 숙종에게바친다. 여기에는 젊은 왕으로 하여금, 옛글에 들어있는 성인들의 가르침을 본받아 훌륭한 정치를 펼쳐 줄 것을 기대하는 마음이 담겨져 있다. 「경설」 중의 한 편인 「춘추설」에는 춘추 에 대한 그의 생각이 오롯이 담겨 있다. 먼저 그는 공자가 옛 성인들의 가르침을 춘추 를 통하여 후세에 전하고 있다는 사실을 언급한다. 그리고 춘추 는 인의를 닦고 인도를 밝히는 큰 도리라고 설명한다. 또, 왕도가 사라지고, ‘시’가 역할을 하지 못하는 시대에, 춘추 가 있음으로써 그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말한다. 이어서, 춘추대의를 존군 의식, 인의의 가치관, 조선의 특수성을 반영한대일통 사상 등의 세 가지로 정리하여 제시한다. 그리고 춘추 의 가르침에 따라, 인의를 닦아 인도를 세우고, 천도를 이루며, 지도를 평안하게 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허목이 「춘추설」을 지으면서 참조했던 다양한 옛글들을 찾아 그 맥락을 확인하는 과정을 통하여, 그가 어떤상황 인식을 가지고 시대적 상황에 대응했는지에 대한 일단을 찾을 수 있었다. 특히 참조했던 옛글과 미세하게 달라지는 표현들을 통하여, 그가 춘추시대의 중국을 중심으로 하는 대일통 사상으로부터 조선의 개별성을반영한 대일통 사상으로 발전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17세기 조선이 안고 있던 과제는, 혹심했던 전란, 끊임없이 이어지는 정치적 혼란 그리고 빈번한 자연재해등으로 인해 피폐해진 민생을 극복하는 일이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확인한 것은, 이와 같은 시대적·공간적과제에 대한 당대의 책임 있는 지식인 허목의 대응이다. 그것은 왕권 강화를 통하여, 인과 의를 바탕으로 하는안정적인 정치체제를 확립하고, 궁극적으로 혼란한 시대상을 해결하려는 것이었다.

      • KCI등재

        철학 :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의 『춘추(春秋)』에 대한 이해와 해석 방법 -『春秋考徵』의 "부서즉위(不書卽位)"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김동민 ( Dong Min Kim ) 온지학회 2012 溫知論叢 Vol.0 No.31

        본 논문은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의 『춘추(春秋)』 해석에 대한 분석을 통해 다산 춘추학의 특징뿐만 아니라, 다산의 경학 전체를 관통하는 경전 해석의 방법론적 특징을 확인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춘추』에서 은공(隱公)의 즉위(卽位)와 관련된 문제는 당시의 구체적인 현실에서 전개된 예제(禮制)의 주요한 형태 중의 하나일 뿐만 아니라, 『춘추』 전체에서 가장 많은 쟁론이 벌어진 사안이다. 다산도 『춘추』에서 차지하는 이 문제의 중요성을 인식했기 때문에 별도의 지면을 할애하여 매우 치밀한 분석과 심층적인 접근을 시도하였다. 그는 기존의 미언대의(微言大義)나 춘추필법(春秋筆法) 등의 접근 방법과는 달리, 실증적인 고증과 사실 관계의 파악을 통해서 매우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해석을 도출하였다. 그것은 기존 춘추학의 해석이 지닌 허점과 한계를 분명하게 보여주었을 뿐만 아니라, 학술사적으로도 『춘추』에 대한 새로운 접근법과 방향성을 제시했다고 평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춘추고징(春秋考徵)』은 다산 경학(經學) 전체를 관통하는 실학적 연구 방법의 전형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그의 학문 전체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점할 뿐만 아니라, 다산의 경전 연구 방법이나 학문체계 등을 이해하고 연구하는데 매우 핵심적인 자료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features of Dasan`s study of the Spring and Autumn Annals and the methodological characteristics of his understanding of Confucian classics by analyzing his interpretation of the history book. The subject related to the accession of Eungong (隱公: The fourth king of the State of Lu) to the throne was not only an important part of funeral rites but also the most debated issue in the historical Annals. Since he was aware of the significance of this subject in understanding the Spring and Autumn Annals, he conducted very thorough analysis and took an in-depth approach, assigning a chapter to this subject separately. Unlike previous approaches presented in Mieondaeui (微言大義: Great meanings are contained in small writings) or Chunchupilbeop (春秋筆法: A style of writing that austerely records historical matters based on actual facts), he was able to carry out very objective and reasonable interpretation based on the empirical investigation and identification of historical facts. His approaches were considered to have presented a new method and direction in studying the Spring and Autumn Annals as well as clearly proved the limits of previous methods to understand these historical records. Thus, Chunchugojing embodied the practical research methods that passed through Dasan`s study of Confucian classics. Therefore, it is correct to say that the book holds an important position in his academic achievement and, furthermore, it is a crucial material to understand and research his methods to study Confucian classics and the overall structure of his studies.

      • KCI등재

        동중서의‘춘추결옥’과 예의 법제화

        최연식(Choi Yeon Sik),허진경(Hur Jin Kyong) 한국정치학회 2010 한국정치학회보 Vol.44 No.3

        이 논문은 동중서의‘춘추결옥(春秋決獄)’에 대한 사례 분석을 통해 한대에 시도된 예의 법제화 과정, 즉 예(괋)와 법(法)이라는 두 가지 상이한 질서 개념이 습합하는 양상을 역사적으로 실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동중서의 춘추결옥은 이러한 습합이 구체적인 사법적 판단 과정 속에서 어떻게 진행되었는지를 생생하게 보여주는 구체적인 사례일 뿐만 아니라, 그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이어진 인경결옥(引經決獄), 즉 유교 경전에 입각한 사법적 판결 전체의 원형을 제시한 최초의 사례이다. 이 논문은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점에서 기존의 연구를 보완하고자 한다. 첫째 이 논문은 한 대의 유교 국교화 및 동중서의 춘추결옥이‘법의 유교화’가 아닌‘유교의 법제화’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제기된 새로운 사법적 판단 방식이라는 점을 강조한다. 둘째 이 논문은 유교의 법제화라는 관점에서 동중서의 춘추결옥은『춘추번로』의 문제의식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는 점에 착안하고자 한다. 셋째 이 논문은『춘추번로』의 역사해석 방식과 춘추 결옥의 법적 추론(Legal Reasoning) 방식의 연관성에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동중서가『춘추번로』에서 제시한 세 가지 합리적 법 운용 원칙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구체적인 사건을 판결하는 데 있어서 보편 원칙뿐만 아니라 개별 사례의 특수성도 반드시 고려해야 한다는 점이다. 둘째, 겉으로 드러난 행위의 결과뿐만 아니라 행위자의 내면적 동기를 신중하게 고려해야 한다는 점이다. 셋째, 군권의 정당성은 하늘로부터 인증된 것이지만, 그것이 곧 권력의 자의적 행사를 담보하지 않고 오히려 권력의 제한을 가능케 하는 준거가 된다는 점이다. 이 논문은 이러한 세 가지 기준에 따라 춘추결옥의 6개 사례를 검토하고 분석한다. Tung Chung-shu’s Chun Qiu Jue Yu (春秋決獄, Judicial Decisions on Spring and Autumn Annals) was a concrete example of correspondence between Confucian rituals and Legalist’s laws. And it was the first case book of judicial decisions based on Confucian canons. The main argument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Tung’s way of judicial decision was a product of ‘legalization of Confucianism’ that was initiated from Han Dynasty. Second, Chun Qiu Jue Yu is deeply related with and reflected the perspectives of Tung’s Chun Qui Fan Lu (春秋繁걠, Luxuriant Gems of the Spring and Autumn Annals). Third, accordingly this paper focuses on the logical relations between historical interpretation of Chun Qiu Fan Lu and legal reasoning of Chun Qiu Jue Yu. Tung suggested three principles of rational legal process and execution as follows. First, the special situations of individual case as well as universal principle should be considered in the process of judicial decisions. Second, the internal motives of actors as well as the external outcomes of actions should be carefully considered. Third, the legitimacy of King’s power can be approved by Heaven, but Heaven can also be the reference to restraint King’s power. This paper examines and analyzes six cases of Chun Qiu Jue Yu according to the three principles that Tung suggested.

      • KCI등재

        박세채(朴世采) 『춘추보편(春秋補編)』의 성리학적 『춘추』 이해

        김동민(교수) ( Dong Min Kim ) 한국철학사연구회 2016 한국 철학논집 Vol.0 No.48

        『춘추보편』은 조선조 『춘추』 경학의 독창성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책이다. 이 책은 기존의 대표적인 『춘추』 주해서와는 달리, 성리학이라는 새로운 방법론으로 『춘추』에 대한 이해를 시도하였다. 이 책은 성리학적 『춘추』 이해를 위한 일종의 표준 교본이라고 할 수 있다. 당시의 『춘추』해석은 주로 『춘추』 삼전과 호안국의 책에 의지했지만, 각각의 이론이 서로 달라서 학자들의 혼란만을 초래하였다. “『춘추』는 천리의 표준이자왕도의 잣대이며, 성인이 마음을 전한 대법”임에도 불구하고, 표준으로 삼을 만한 해석이 없어서 제대로 이해할 방법이 없다는 것이 박세채 문제의식이었다. 그는 정자와 주자의 이론 중에서 핵심적인 내용을 발췌하고, 그것을 상호 유기적으로 인용하여 배치함으로써 성리학이라는 하나의 일관된 관점으로 『춘추』를 이해할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하였다. 특히그가 정자와 주자의 많은 이론 중에서 자기 나름의 기준과 시각으로 선별했다는 점은 매우 주목할 만하다. 주요한 쟁점이 무엇이고, 또 그 쟁점에 대한 정자와 주자의 핵심 이론이 무엇인지 정확하게 간파하지 못했다면 그들의 말을 체계적이고 일목요연하게 인용하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춘추』 해석의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조선조 춘추학 분야의 큰 성과일 뿐만 아니라, 학술적인 가치도 매우 크다고 평가할 수 있다. Park Se Chae’s Chunchububian is one of classical books that demonstrate originality of Confucian classics in Korea, particularly, how Chunchu is viewed. Park’s Chunchububian distinguishes itself from other interpretations of Chunchu that came before with its new approach to Chunchu - Neo-Confucianism. This makes this book a canon to understand Chunchu with Neo-Confucian touch. At that time, Chunchu Samjeon (three lessons) and books written by Hu An Guo (Chinese Confucian scholar) were the frequently used guides to interpret Chunchu, only ending up causing greater confusion among scholars because these book offered differing theories about Chunchu. Park Se Chae, a scholar of Joseon Dynasty exerted only cores from the theories claimed by Chengzi and Zhu Xi (two Chinese Confucian scholars), and arranged them in a interactively connected way. By doing so, he built a foundation to understand Chunchu from a single, coherent viewpoint: Neo-Confucianism. This literature is one of the biggest successes and holds great academic value in the study of Chunchu in Joseon Dynasty in that it presented a new direction to read and understand Chunchu.

      • KCI등재

        역사콘텐츠에서 본 『춘추좌전』의 史話, 筮法 및 春秋精神의 강령

        김연재 동아시아고대학회 2023 동아시아고대학 Vol.- No.69

        본고에서는 春秋學의 역사의식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하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춘추학은 역사의 진실성과 正統性 속에서 道義의 명분을 밝히려는 微言大義의 말로 요약된다. 그것은 서술의 역사에서 실재의 역사에 접근하여 역사정신과 그 지향성을 모색하려는 취지를 지닌다. 이러한 취지하에 『춘추좌전』의 史話에 주목하고 역사의 사실과 가치의 관계를 규명하는 문제를 논의하고자 한다. 춘추사화의 일부에서 주목할 만한 점은 역사적 사실과 가치의 연결고리로서 서법의 가치판단을 도입한 것이다. 이른바 춘추서법은 서사주의의 논법 중의 하나로서, 사실과 가치의 관계를 매듭짓는 데에 판단의 영역을 확보하는 것이다. 이는 역사콘텐츠의 차원에서 접근될 수 있다. 역사콘텐츠는 역사적 사례와 그 속의 특정 인물의 행위에 관해 시간의 因果的 추이에 따른 서사의 통일적 맥락화 속에서 사화의 역사이야기를 꾸려가는 것이다. 이 맥락화에는 삼중의 노선, 즉 義理의 해석, 敍事의 서술 및 史話의 구성이 있다. 즉 서술의 역사라는 프리즘을 통해 筮法에 대한 義理의 해석을 투과하여 춘추정신에 초점을 맞추어 역사콘텐츠의 투사면을 형성한다. 그 속에서 춘추의 역사정신은 非可逆的 물리적 시간의 한계를 넘어서 可逆的 관념적 시간의 흐름 속에 발휘되며 가상의 공간을 창조적으로 만들어가면서 시대정신의 자유를 폭넓게 수용할 수 있다. This essay seeks to explicate the purpose of the historical spirit contained in Chunqiuzuozhuan through a methodology of narrativism. In particular, Chunqiuzuozhuan relates historical stories of the Chunqiu (Spring and Autumn Period, c. 770-481 BCE) with an understanding of the Yi-li shaping its narrative method. In Chunqiuzuozhuan, the essential purpose of history is conveyed through the contents of the narrative. Therefore, many of the contents of the narrative are related to judgments about the outcome of a specific action. Foresight depends upon comprehending a process from prediction to judgement. The contents of the narrative are characterized by the providence of heaven, value-oriented behavior, and purposeful will. In Chunqiuzuozhuan, “Gua-yao-ci” of the Yijing, the causal relationships of a historical case are closely associated with the results of predictions in which value judgments are applied to historical cases. This has the purpose of capturing the Chunqiu spirit of historicity through the use of historical cases in the narrative. The subjective spirit aims at an integrated boundary between facts and values ​​in the intrinsic relationship between the sentences of the narrative and the events of the ancient case. Thus, by applying the Yi-li methodology of narrativism to fortune-telling, Chunqiuzuozhuan intends to reveal the combination of the judgements of fact, value, and morality in the historical stories of the Chunqiu period.

      • KCI등재

        일반논문 : 『춘추좌전(春秋左傳)』과 『국어(國語)』의 천인관계(天人關係)연구

        조원일 영산대학교 동양문화연구원 2011 동양문화연구 Vol.7 No.-

        ‘천도’관념의 출현은 한편으로는 『시경』과 『상서』속에서의 전통적인종교적 의미의 ``천’의 주재자적 성격의 변화와 ``천인관계’ 가운데의 하늘과 인간의 지위가 상대적으로 흥망성쇠 함을 대표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중국철학사상의 발전이 새로운 단계로 진입했음을 상징적으로 보여주고 있음을 의미한다. 비록 상대적으로 선진시기 제자백가의 ``천도’사상에 국한하여 말하더라도 이 시기의 ``천도’관념은 실제로는 초창기 형태의 전개와 드러남의 모습을 보이고 있다고 할 수 있지만, 선진시기 제자백가의 ``천인관계``에 대한 새로운 설정과 인간 자신의 존재론적 가치에 대한 긍정은 모두가 이러한 기초 위에서 세워진 것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 춘추시대 초기의 ``천인관계’의 모식을 대표하고 있는 『춘추좌전』과『국어』의 ``천도’관념은 실질적으로는 인간의 주체의식을 확실하게 확립하지는 못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춘추좌전』과 『국어』 가운데에 나타나 있는 종교적 의미의 ``천’개념과의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고 있는 모습은 인간의 행위에 있어서의 외재적인 도덕규범이 ``천도’의 도덕법칙에 상응함으로써 인간 자신에 대한 사고는 여전히 현상계의 단계에 머물러 있게 되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춘추좌전』과 『국어』 속에 투영되어 있는 ``천인관계’의 모습에서 인간은 스스로 주체성과 자각의식을 아직은 진정으로 갖지 못한 존재라고 할 수 있기는 하지만 그 가운데서 우리는 중국문화의 전통 속에서 인문정신의 초기 모습을 발견할 수는있는 것이다. 春秋時期人對天槪念的認知與周代初期相比較, 已有明顯的轉變, 此種轉變可從『詩經』和『?書』的文字記述中看出端倪。『詩經』和『?書』中天槪念的神性意義雖逐漸爲自然意義取代, 此或由於人世君王的失德反映於天命有德觀念, 使得天失去直得被尊敬崇拜的傳統地位, 然而, 此種槪念的轉變在當時?不?明顯。換言之, 天仍具有至上神的意義, 只是此性格已逐漸退隱轉化。天的自然意義要到春秋時期初年才有較淸?的槪念展現。『左傳』和『國語』二書所展現的天槪念與天人關系, 可代表『詩經』和『?書』時代至孔子孟子之間, 周代末期春秋戰國的段階性發展。其中較直得注意的有下列三點。壹是傳統德命符應觀念的瓦解; 二是天槪念的自然義轉變及所代表的意義; 三是天與道的結合爲先秦諸子天道思想的濫觴。以下便就此三要點分別討論之。

      • KCI등재후보

        광해군代 春秋논쟁과 李恒福의 『魯史零言』

        곽성용 우리한문학회 2018 漢文學報 Vol.38 No.-

        본 논문은 광해군代 인목대비 폐위논의를 둘러싸고 벌어진 『春秋』 해석논쟁과 그 결과물로 등장한 白沙 李恒福의 『魯史零言』을 분석한 것이다. 『노사영언』은 조선 춘추경학사에서 『춘추』의 全 분량을 다룬 최초의 기록이자, 조선시대의 유일한 『國語』 편집본이라는 의의를 지닌다. 17세기 초광해군이 즉위한 후 大北과 西․南人 세력이 『춘추』의 기사를 인용하며폐모논쟁을 벌였으며, 결말이 폐모 찬성쪽으로 기울자 이항복은 올바른 『 춘추』의 이해를 천명하고자 『노사영언』을 지었다. 광해군의 집권과 대북의 정권 장악은 臨海君을 처단한 데에서 시작하여인목대비 폐위까지 이어졌다. 대북은 임해군과 金悌男, 그리고 永昌大君을 역모죄로 처단하면서 忠을 강조하며 討逆論을 제기하였고, 이에 반대하는서․남인 세력은 同氣 간의 정을 우선하는 全恩論을 강조하였다. 이후 전은론은 인목대비 폐위논의에 이르러 孝를 강조하는 綱常論으로 발전하였다. 본 논문의 문제인식은 당시 폐모 찬․반측이 자신들의 주장을 입증할 만한 전거로 동일한 『춘추』 기사를 인용한 데에서 출발하였다. 양측이 주장한 기사는 「莊公」 元年 “夫人孫于齊”와 「閔公」 2年 “夫人姜氏孫于邾”로, 잘못을 저지르고 타국으로 달아난 어머니에 대하여 그 자식인 임금은 어떻게 처신해야 옳은지를 논의한 것이었다. 이에 관하여 대북은 인목대비가母道를 상실하였기 때문에 처벌해야 한다고 주장하였고(토역론), 이항복을비롯한 서․남인은 자식이 어머니를 원수로 대하는 의리는 없다[子無讐母] 며 폐위를 반대하였다(강상론). 『노사영언』에는 『춘추』 經文을 모두 삭제하고 『春秋左氏傳』을 本傳으로 삼아 기사의 중요도에 따라 취사선택하였고, 사건에 관련된 내용이 『國 語』에 있으면 선별하여 첨가하였다. 『노사영언』은 『춘추』가 시작하는 「은공」의 앞에 西周의 멸망을 다룬 「春秋以前周事」 한 편을 추가함으로써 춘추시대의 자연스러운 개막을 의탁하였고, 다년간에 발생한 사건을 編年體 로 기록해놓은 『춘추』의 약점을 보완하여 紀事本末體와 유사한 형식으로구성하였다. 『노사영언』 內에는 이항복의 직접적인 언설이 기록되어 있지 않으므로책의 편집 방식을 분석함으로써 간접적으로 드러나는 지점을 포착하여 논의를 진행하였다. 이는 드러내어 표현하진 않지만 그 속에 은미한 大義를담고 있는 『춘추』의 褒貶 방식과도 비슷한 점이 있다. 본 논문은 『노사영언』에 수록된 「은공」에서 「희공」까지의 기사를 분석하고, 그 기사가 담고있는 忠孝의 의미를 도출함으로써 폐모논의에 대한 이항복의 충효인식과춘추해석방식을 밝혔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interpretation of the Spring and Autumn Annals (Chunqiu 春秋) during Gwanghae Kun Era, concerning the debates on deposing the queen, and Paksa 白沙 Yi Hangbok 李恒福's Nosa Yŏ ngŏn 魯史零言. In the early 17 th century (after the accession of Prince Gwanghae to the throne), three political parties—Great Northerners (Taebuk 大 北), Westerners (Sŏin 西人), and Southerners (Namin 南人)—cited a text of the Spring and Autumn Annals so as to voice their opinion on the issue of deposing Queen Inmok. When this dispute resulted in the agreement of deposing of the queen, Yi wrote the Nosa Yŏngŏn to provide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Spring and Autumn Annals. The Nosa Yŏngŏn is considered as an unique work because of two reasons: (1) It is the first commentary which deals with the full texts of the Spring and Autumn Annals: and (2) It is the only commentary which includes many important records of the Discourses of the States (Guoyu 國語), a book of historical narrative. Prince Gwanghae and Great Northerners came to power by punishing Prince Yimhae and continuously dominated the Chosŏn by deposing Queen Inmok. Great Northerners shed light on the virtue “loyalty (zhong 忠)” and suggested t’oyŏknon 討逆論 (an argument for the agreement of deposing Queen Inmok), when they inflicted punishment on Prince Yimhae, Kim Chenam, and Grand Prince Yŏngch’ang by reason of planning conspiracy. On the other hand, Westerners and Southerners emphasized chŏnenon 全恩論, an argument that emphasizes a good relationship between siblings. While debating on deposing Queen Inmok, chŏnenon was developed into kangsangron 綱常論, an argument that focuses on the virtue “filial duty (xiao 孝).” The awareness of this paper has been raised by the paradoxical fact: the affirmative side and the negative side both utilized the same records of the Spring and Autumn Annals—Year 1 of Duke Zhuang (Zhuanggong 莊公) “Our Lady took refuge in Qi.” 夫人孫于齊 and Year 2 of Duke Min (Mingong 閔 公) “Our princess dame Jiang fled to Zhu.” 夫人姜氏孫于邾—in order to support their opinions. These two records are related with the issue on how a king should react toward his immoral mother, and regarding this issue, Great Northerners opined that Queen Inmok should be punished because she had lost her sense of morality, so-called “t’oyŏknon.” On the contrary, Westerners and Southerners, including Yi Hangbok, opposed the Great Northerners’s opinion on the ground that “a son cannot consider his mother as an enemy” 子無讐母, so-called “kangsangron.” Yi Hangbok did not include the original text of the Spring and Autumn Annals in the Nosa Yŏngŏn. Instead, he selectively wrote an important record of the Zuo Commentary on the Spring and Autumn Annals (Chunqiu Zuoshi Zhuan 春秋左氏傳) in the commentary, and then adding a relevant text of the Discourses of the States. Also, he appended Chapter Ch’unch’u Ichŏn Chusa 春 秋以前周事 in front of the Nosa Yŏngŏn in order to smoothly connect with the Spring and Autumn Annals’ first book, Duke Yin (Yingong 隱公); the former explains how Western Zhou collapsed and the latter deals with how the Spring and Autumn period begun. Furthermore, he employed a topic-related style of historical writing (jishi benmo ti 紀事本末體) in order to rectify the drawbacks of the Spring and Autumn Annals’ chronological style (biannian ti 編年體). This paper examines his way of compiling the historical records of the Spring and Autumn Annals in order to figure out his opinion on a historical event, since the Nosa Yŏngŏn does not contain any comment of Yi Hangbok. His annotation style resembles the Spring and Autumn Annals’ writing style which indicates the writer’s opinion not directly but indirectly. This paper is meaningful in that, by evaluating the records from...

      • KCI등재

        『춘추』에 보이는 존왕(尊王) 의식의 변천 양상

        김동민 한국유교학회 2019 유교사상문화연구 Vol.0 No.75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larify the essential meaning of the concept of reverence for the king (尊王) and the political orientation that this concept pursues, as shown in the Spring and Autumn Annals (春秋). Furthermore, it also aims to examine the changing aspects of the concept of reverence for the king in the midst of changes in political power during the specific political scenes of Spring and Autumn period. The ultimate goal and ideal of the politics of the Spring and Autumn Annals (春秋) is to put an end to the political turmoil of the Spring and Autumn period and achieve the stability and unification of the world, that is, the great unification (大一統) of the world. The establishment of the concept of reverence for the king (尊王) is suggested as the most important measure to achieve this goal. It is because the specific orientation and content of politics can be organized only when the reason for the existence and the status of king (王者), which is the main agent of the great unification, are clearly defined. However, since the Spring and Autumn period’s conditions developed in a completely different direction from the concept of reverence for the king, the goal of the Spring and Autumn Annals (春秋), which is the achievement of the great unification based on the concept of reverence for the king, inevitably faced the challenge of a gap between ideals and reality. To solve this problem, the Spring and Autumn Annals (春秋) sought a new alternative that consists in recognizing the role of chief of the princes (霸者) while remaining attached to the principle of reverence for the king. In other words, it introduced a new type of political theory to meet the needs of the period through the transformation of the concept of reverence for the king. 본 논문은 『춘추』에 보이는 존왕 의식의 본질적 의미와 그것이 추구하는 정치의 지향점이 무엇인지 밝히고, 나아가 춘추시대의 구체적인 정치 현장에서 정치권력의 변화 과정을 통해 존왕 의식이 변천되는 양상을 살펴보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삼는다. 『춘추』는 춘추시대의 정치적 혼란을 종식시키고 천하의 안정과 통일을 완성하는 것, 즉 천하의 대일통(大一統)을 정치의 최종 목표이자 이상으로 삼고 있다. 이러한 대일통의 목표를 완성하기 위해 가장 핵심적인 방안으로 제시한 것이 존왕 의식의 확립이다. 대일통의 주체인 왕자의 존재 이유와 위상이 명확하게 규정되어야만 비로소 정치의 구체적인 방향성과 내용이 체계화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춘추시대의 양상은 존왕 의식과는 전혀 다른 방향으로 전개되었기 때문에 존왕 의식에 기반한 대통일의 완성이라는 『춘추』의 목표는 이상과 현실의 괴리라는 난제에 직면할 수밖에 없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춘추』는 존왕의 원칙을 지키면서도 패자의 역할을 인정하는 새로운 대안을 모색하였다. 즉 존왕 의식의 변용을 통해 현실 시대의 요구에 부흥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정치 이론을 제시한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