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쟁기 휴머니즘 비평의 논리와 한계

        장은영(Jang, Eun-Young) 우리문학회 2018 우리文學硏究 Vol.0 No.59

        본고는 전쟁과 한국사회의 정치적 환경 그리고, 우익 문단의 정착이라는 조건들 속에서 등장한 휴머니즘 비평의 논리와 한계를 성찰적으로 재조명해보고자 한다. 전쟁기 휴머니즘 비평의 양상을 보면 첫째, 인간과 반인간이라는 이원구도 위에서 인간의 본질을 구현하는 순수문학의 또 다른 기표로 사용되었다. 인간의 영역에 휴머니즘, 순수문학, 민족문학을 위치시킴으로써 사회주의 문학을 비롯한 정치적 참여 문학을 반인간으로 치부한 김동리는 전쟁이 발발하자 문학이 전쟁을 위한 정신의 무기가 되어야 한다는 모순적 주장을 펼치기도 했다. 인간과 반인간의 이원 구도는 전쟁의 무기를 자처하는 문학마저도 휴머니즘적인 순수 문학으로 간주하는 무차별적 선별조건으로 작동했다. 둘째, 행동적 휴머니즘은 전쟁 동원과 선전을 자처하며, 인간성을 배제와 포섭의 대상으로 삼았다. 곽종원 등이 주장한 행동적 휴머니즘은 반인간적인 것에 대항하는 실천과 행동이 곧 전쟁 승리라는 도식을 설정함으로써 휴머니즘을 도구화하고 전체주의적 논리로 나아갔다. 또한 내셔널리즘적 인간상을 새로운 인간형으로 내세움으로써 인간성을 개조의 대상으로 삼는 인공적 휴머니즘론으로 나아갔다. 셋째, 냉전질서를 세계체제의 보편적 이념으로 수용하는 매개로 등장했다. 미국 주도의 냉전체제가 내세운 휴머니즘을 여과없이 받아들여 공산주의를 견제하는 냉전 시대의 휴머니즘을 보편적 가치로 수용했다. 비평가들은 냉전의 질서를 따름으로써 한국사회가 보다 현대적인 면모를 갖추리라 기대했을 뿐 냉전체제 하 휴머니즘의 편향성을 직시하지는 못했다. 전쟁기 휴머니즘 비평은 전쟁이 초래한 반인간적 폭력에 대항하지 못하고 전쟁을 방관했기 때문에 전시체제의 도구라는 평가를 받는다. 그러나 그 한계의 이면에는 인간을 말살하는 전쟁이라는 실존의 위기가 있다. 이 위기에 대한 두려움은 적과 나를 이원화하고 적을 반휴머니즘적, 반인간적인 괴물로 수사화하여 인간의 범주에서 배제시키는 결과를 초래했다. 그럼에도 전쟁기 휴머니즘 비평이 전시의 충격 속에서 문학의 역할과 정신적 출구를 찾고자 한 시도임을 부인할 수는 없다. 결과적으로는 전쟁기 휴머니즘 비평은 전쟁기 문학장의 굴절상을 보여주는 한국 문학의 유산으로써 전쟁이 문학의 자율성을 통제했으며 인간과 인간성마저 왜곡했음을 보여준다. Modern Korean literature has developed a focus on humanism. Humanism is a concept that has many meanings i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This research examined aspects of the criticism of humanity during the war. There are three aspects of the criticism of humanity during the Korean war that relevant to this study. First, Humanism was used as another signifier of pure literature. Kim Dong-ri written on humanity, pure literature, and national literature in the field of humanity. As a result, socialist literature was considered anti-human and he made a quantum claim that literature should be ‘weapon of spirit’ for war. The two-way structure that is both human and anti-human was a criterion that considered literature, which had fallen into use as a weapon of war, as a purely humanist form of literature. Second, behavioral humanism justified the propaganda of war mobilization and used humanity as a target of both exclusion and inclusion. Behavioral humanism claimed that action against anti-humanitarianism is a product of war. Therefore it became the tool of humanity and was characterized by totalitarian logic. Third, some critics accepted the Cold War order as a universal ideology of the global system. They accepted the Cold War’s humanist spirit of acknowledging communism as a universal value. During the war, humanismcriticism failed to show anti-war sentiment and could not resist anti-human violence. Thus, the humanism-criticism during the Korean war is often criticized. Nevertheless, the humanism-criticism during the Korean war period is an attempt to find an outlet for oneself as well as literature amid the shock of war. It is a part of our literary heritage which reflect the reflexibility of our wartime literary field during times of war.

      • KCI등재

        포스트휴머니즘과 휴머니즘에 기반한 교육 재고

        정윤경 한국교육철학학회 2019 교육철학연구 Vol.41 No.3

        Many aspects of humanity, including the definition of human beings and ‘agency’ which has been considered as a unique characteristic of human, are being challenged with the appearance of the posthuman. Education as an activity of human formation is based on humanism, and education as a discipline is also founded on the Enlightenment of the modern era. Accordingly, the emergence of the posthuman invokes the necessity of rethinking humanism-oriented education. As a response to such a problematic situation, this study aims to relate discourses on posthumanism to education and to review humanism-oriented educa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ims, Chapter Ⅱ considered the conditions of posthuman and the significance of posthumanism. Chapter Ⅲ examined the challenge and arguments of the posthuman philosophy against modern humanism. Based on these reflections, Chapter Ⅳ identified the limitations of the subjective pedagogy based on modern humanism, sought for a way beyond them, analyzed whether the objective of cultivating true human beings is still educationally valid, and explored the possibility of educational knowledges from the perspective of posthumanism. The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posthumanism deconstructs the dichotomy assumed by the modern concept of subject and suggests a change to the educational ecosystem as an interdependent relationship of continuous process. Second, regarding the challenge of posthumanization, education must help people reconsider the limitations of modern humanism and pursue new aspects of humanity in changing conditions. Particularly, posthuman education must include the development of a posthuman sensitivity. Third, posthumanism calls for a challenge to the epistemology of representation that is currently in a firm position. 포스트휴먼의 등장으로 인간됨의 기준부터 인간 고유의 특성으로 간주된 행위성(agency)에 이르기까지 인간을 둘러싼 많은 것이 도전받고 있다. 교육은 ‘인간다운 인간 형성’을 위한 활동으로 휴머니즘에 기초하며, 분과 학문으로서 교육학 역시 근대 계몽주의의 휴머니즘에 기반을 두고 있다. 따라서 포스트휴먼의 도래는 휴머니즘에 기초한 교육 전반을 재고할 필요성을 제기한다. 이런 문제의식에서 본 연구는 포스트휴먼시대의 도래로 시작된 포스트휴머니즘 논의를 교육과 관련짓고 휴머니즘에 기반한 교육을 재고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상의 연구필요성에 따른 연구목적을 위해, Ⅱ장에서는 포스트휴먼의 조건과 포스트휴머니즘의 의미를 살펴보고, Ⅲ장에서는 포스트휴먼 철학의 근대 휴머니즘에 대한 비판과 도전을 살펴보았다. Ⅳ장에서는 이러한 논의를 토대로, 근대 휴머니즘 기반 주체교육학의 한계와 그 너머를 모색하고, 인간다운 인간 형성이라는 교육목적은 여전히 타당한지 재고하며, 포스트휴머니즘 관점이 지식과 교육내용에 시사하는 점을 탐색하였다. 포스트휴머니즘 관점에서 휴머니즘에 기반한 교육을 재고해 볼 때,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포스트휴머니즘은 근대 주체개념이 가정하는 이분법을 해체하고, 지속적인 과정의 상호의존적 관계론으로서 교육생태계로의 변화를 시사한다. 둘째, 포스트휴먼화의 도전에 대해, 교육은 근대 휴머니즘의 한계들을 재고하고, 달라진 조건 속에서 인간다움에 대한 새로운 모색을 요청한다. 포스트휴먼교육은 특히 포스트휴먼 감수성 개발을 포함해야 할 것이다. 셋째, 포스트휴머니즘은 지식관의 변화를 요청하고, 현재 확고한 위치에 있는 재현의 인식론에 도전할 것을 시사한다.

      • KCI등재

        포스트휴머니즘은 휴머니즘이 될 수 있는가?

        이원봉(Lee, Won Bong) 가톨릭대학교(성심교정) 인간학연구소 2018 인간연구 Vol.0 No.37

        오늘날 포스트휴머니즘이라는 말은 더 이상 낯설지 않다. 대중들은 드라마, 영화, 과학소설 등의 대중매체를 통해 ‘포스트휴먼’에 익숙해졌으며, 과학자와 인문학자는 포스트휴먼의 기술적 가능성과 윤리적 의미를 진지하게 토론하고 있다. 하지만 포스트휴머니즘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그리고 특히 ‘휴머니즘’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는 아직도 명확하지 않다. 따라서 포스트휴머니즘이 단순히 오락을 위한 상상의 산물이 아니라, 진지한 학술적 논의의 대상이 되기 위해서는 먼저 포스트휴머니즘의 의미를 밝혀야 한다. 그리고 포스트휴머니즘의 의미를 밝히는 일은 동시에, 우리에게 익숙한 휴머니즘의 의미와 한계를 명확하게 하는 일이 될 것이다. 포스트휴머니즘은 인간에 있어서 육체와 정신의 관계에 대한 입장에 따라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인간능력향상 기술을 통해 육체와 정신의 기능을 극대화하려고 하는 트랜스휴머니즘, 이런 과정에서 인간 육체의 폐기를 주장하고 정신과 기계의 결합을 주장하는 ‘대중적’ 포스트휴머니즘, 이성적 주체의 완성을 추구하는 전통적 휴머니즘을 비판하면서 인간능력향상 기술을 통한 다양한 인간 주체의 등장을 옹호하는 ‘비판적’ 포스트휴머니즘 등이다. 이들 다양한 형태의 포스트휴머니즘은 모두 스스로를 진정한 ‘휴머니즘’이라고 주장한다. 그렇다면 이들은 모두가 휴머니즘이 될 수 있을 것인가? 아니라면 휴머니즘이 휴머니즘일 수 있는 기준은 무엇인가? 인간성을 오직 정신기능에만 두고 육체를 극복해야 할 장애물로 여기는 ‘대중적’ 포스트휴머니즘과, 거꾸로 인간 주체의 육체적 기원에만 주목하는 ‘비판적’ 포스트휴머니즘은 적어도 전통적 ‘휴머니즘’을 완성했다거나 계승한다고 할 수 없다. 전통적 휴머니즘은 자기 완성하는 이성적 존재로서의 인격 개념에 기초하고 있는데, 이것은 육체를 통해 개별적 정체성을 지니게 되는 의식적 존재를 전제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런 개별적 의식 존재라야만 휴머니즘의 토대인 윤리적 실천과 책임이 가능해진다. 이런 점에서 ‘대중적’ 포스트휴머니즘이나 ‘비판적’ 포스트휴머니즘에서는 개별적 정체성을 가진 실천적 주체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진정한 의미의 휴머니즘이 될 수 없다. Today, the word post-humanism is no stranger to us. The public has become accustomed to the ‘Post Human’ through mass media such as drama, film, and science fiction. Scientists and humanities scientists are seriously discussing the technical possibilities and ethical implications of Post Human. However, it is still unclear what post-humanism means and especially how it relates to “humanism.” Therefore, post-humanism must be understood not only as a product of imagination for entertainment but as a subject of serious academic discussion. And to clarify the meaning of post-humanism, at the same time, it will clarify the meaning and limit of humanism which is familiar to us. Post-humanism can b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 and mind in human beings. The trans-humanism, which seeks to maximize the functions of the body and mind through ‘human-enhancement’ technologies, the ‘popular’ post-humanism which insists on the abolition of the human body in this process and asserts the uploading of mind in computer system. And ‘critical’ post-humanism, which advocates the emergence of various human subjects through human-enhancement technologies. These various forms of post-humanism all claim to be true “humanism.” Then can they all be humanism? If not, what are the criteria for humanism to be humanism? ‘Popular’post-humanism, which considers humanity only as a mental function and an obstacle to overcome the body, and ‘critical’ post-humanism, which focuses only on the physical origins of the human subject inversely, can at least conclude or inherit traditional humanism none. Traditional humanism is based on the concept of personality as a self-completing rational being because it presupposes a conscious being that has individual identity through the body. And this individual consciousness only enables ethical practice and responsibility that is the foundation of humanism. In this sense, “popular” post-humanism or “critical” post-humanism can not be truly humanistic because it is impossible to have a practical subject with individual identity.

      • KCI등재

        휴머니즘은 여전히 유효한가?휴머니즘, 안티휴머니즘, 포스트휴머니즘에 관한 소고

        이순성(Soon Sung Lee) 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소 2023 생명연구 Vol.67 No.-

        본 연구는 다양한 형태의 반휴머니즘과 포스트휴머니즘의 전망이 혼재하고 있는 오늘날, 휴머니즘은 정말 종말을 고했거나 고하고 있는지 아니면 여전히 유효하다고 말할 수 있는지, 유효하다면 어떠한 의미에서 그러한지, 그 철학적 의미를 밝혀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우선 휴머니즘의 역사를 르네상스, 근대 계몽주의와 현대를 통해 간략히 집어보았다. 연구자는 휴머니즘은 시대마다 그 특징이 달랐을 뿐만 아니라 의미도 다양하게 사용되었다는 사실로부터 시대를 관통하는 휴머니즘의 본질적 특성은 없으며, 서로 다른 맥락의 시대 상황에서 이해되는 휴머니즘은 비트겐슈타인 후기 철학의 가족 유사성 개념처럼 다르면서도 한편으로 닮아있다는 점을 주목했다. 휴머니즘 담론은 시대가 던지는 도전에 대응하는 방식으로 휴머니즘적 가치를 다양화하거나 확장해왔다고 볼 수 있다. 후기 비트겐슈타인의 용어를 빌려 표현해본다면, 다양한 삶의 양식과 다양한 언어게임이 진행 중이다. 휴머니즘의 가치는 얼마든지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기에 휴머니즘의 범위를 한정지음으로써 휴머니즘을 옹호할 필요는 없다. 전통적 휴머니즘, 반휴머니즘, 포스트휴머니즘이 긴장 상태에 있다는 사실은 휴머니즘 언어게임에 대한 좋은 전망을 가져다준다. 휴머니즘을 부정하는 듯이 보이는 반휴머니즘이나 포스트휴머니즘 담론은 전통적 휴머니즘에 대한 현대의 도전으로서 궁극적으로는 미래지향적인 휴머니즘이 나아갈 바를 제시해 주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 논의는 기본적으로 인간인 ‘우리’와 우리가 속한 시대적 상황과의 관계에 대한 성찰이다. 최근의 논의에서 읽히는‘우리’의 범위의 미래지향적 확장은 미래의 휴머니즘은 인간과 영향을 주고받는 모든 것을 고려해야 한다는 사실을 말해준다. 휴머니즘은 인간과 마찬가지로 불완전하지만 열려있는 개념이며, 인간처럼 항상 더 나은 시대와 미래를 꿈꾸는 담론이다. 휴머니즘은 과거에도 시대적 도전으로부터 교훈을 얻었듯이, 미래가 가져다줄 새로운 도전을 마다하지 않은 채 휴머니즘의 가치를 다양화하고 확장하는 변주를 계속할 것이다. This study seeks to find out a philosophical meaning of the validity of humanism against contemporary antihumanism and posthumanism. The distinctive characteristics of humanisms in each era were reviewed from Renaissance era through age of Enlightenment to the contemporary. It is remarkable not only that there is no intrinsic meaning of humanism across time but also meanings of humanism in particular context of each era differ in very many ways but still have family resemblances in Wittgenstein’s sense. Humanism discourses have been diversified in the process of responding to challenges that each era has posed. We can say that language games of humanisms are ongoing process with diversity in Wittgenstein’s sense. The fact that traditional humanism, antihumanism and posthumanism are in the state of conflict is actually a sign for a good perspective to future, since the conflict itself shows a certain direction that future humanism is headed. There is no need to limit the scope of humanism since we can diversify and expand humanistic values as possible. This study is basically self-examination of the relation between ‘us’ and forms of life in our age. As studying current humanism discourses, we can see the scope of ‘us’ in humanism is expanding to all beings in the universe that we are related with. Humanism is an ongoing open concept. The humanism discourses are always dreaming a better world just like human beings. They will play variations as diversifying and expanding humanistic values as responding to challenges of times.

      • KCI등재

        휴머니즘과 하이데거의 존재사유

        이선일 대동철학회 2001 大同哲學 Vol.15 No.-

        휴머니즘은 인간의 인간다움을 추구한다. 휴머니즘은 인간이 인간다워지고자 하는 간절한 바램이다. 그러나 종래의 휴머니즘은 인간의 고유한 본질을 구현하지 못하고 있다. 인간을 고작해야 이성적 동물로서 규정할 뿐, 존재와의 관계 안에서 인간의 고유한 본질을 보지 못하고 있다. 서구의 형이상학적 휴머니즘은 인간의 본질을, 다시 말해 인간과 존재의 공속을 망각하고 있는 것이다. 이런 관점에서 하이데거는 종래의 휴머니즘을 퇴락의 역사로 간주한다. 이에 반해 하이데거가 그려내는 인간의 고유한 본질은 탈-존이다. 탈-존은 인간과 존재의 공속을 의미한다. 즉 인간이 존재와의 가까움 안에 탈-자적으로 거주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탈-존은 존재를 위한 파수군의 역할을 떠맡는다. 인간은 존재의 목자로서 존재를 염려해야 한다. 그러므로 본질적으로 보자면, 즉 존재 자체 쪽에서 보자면, 존재가 인간을 존재의 진리를 파수하기 위해 탈-존하는 자로서 존재의 진리 자체에로 생기하게 하는 한에서만, 탈-존은 중요한 의미를 갖게 된다. 이로써 우리는 기묘한 휴머니즘을 만나게 된다. 하이데거의 휴머니즘은 인간을 위한 휴머니즘이 아니라 존재를 위한 휴머니즘이다. 그래서 하이데거는 자신의 휴머니즘을 ‘빛이 스며들지 않는 숲’에 비유하기도 한다. 그러나 존재를 위한 휴머니즘에서 인간의 존엄성이 소멸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인간은 존재의 진리와의 공속을 회복함으로써 인간다움이 참으로 구현될 수 있는 새로운 역사의 시원을 열게 된다. 역설적이게도 존재를 위한 휴머니즘은 인간을 위한 휴머니즘으로 귀환한다. 그런데 혹자는 하이데거의 존재사유 역시 인간중심주의로부터 벗어난 것은 아니라고 비판한다. 물론 하이데거의 존재사유도 넓은 의미에서는 인간중심주의에 해당한다. 인간만이 존재를 이해함으로써 하나의 세계를 열고 있기에 존재자의 중심이 될 수밖에 없다. 하지만 하이데거의 존재사유는 결코 인간을 존재자의 주인으로 놓지 않는다. 오히려 인간에게는 존재의 목자로서의 책무가 주어진다. 존재의 목자로서의 인간이 인간과 자연 그리고 신까지 조화롭게 공존할 세계를 열어 나가야 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하이데거의 존재사유를 좁은 의미에서의 인간중심주의로 폄하하는 것은 잘못이다. 오히려 하이데거의 존재사유는 인간으로서의 책무를 다하는 새로운 휴머니즘을 추구한다. Das Wort <<Humanismus>> sagt, da es in him um die humanitas, um β das Wesen des Menschen geht, daβ dieses Wesen als wesentlich genommen sein möhte. Daher Humanismus ist Sinnen und Sorgen, daβ der Mensch menschlich sei und nicht un-menschlich, <inhuman>, d.h. ausserhalb seines Wesens. Darin aber zeigt sich der tiefgreifende Unterschied zum Heideggers Seinsdenken. Denn Heideggers Seinsdenken, das im Gegenzug gegen die metaphysische Wesensbestimmung des Menschen als animal rationale das Wesen des Menschen in der Ek-sistenz erfärt, ist ein solches Sinnen und Sorgen, daβ der Mensch in sein Wesen zurükgebracht werde. Daher in diesem möhte das Wesen des Menschen nicht um seinetwillen, sondern umwillen der Wahrheit des Seins wesentlich genommen werden. Auf die Ek-sistenz kommt es wesentlich, das heiβt vom Sein selber her, insofern das Sein den Menschen als den ek-sistierenden zur Wähterschaft fü die Wahrheit des Seins in diese selbst ereignet. Wärend es in jedem Humanismus auf den Menschen als solchen ankommt, ist im Denken der Ek-sistenz das Wesen des Menschen fü die Wahrheit des Seins wesentlich. Daher Humanismus als Titel fü das Denken, das das Wesen des Menschen nicht von ihm selbst her, sondern aus dem Bezug der Wahrheit des Seins zu denken sucht, käe einem <<lucus a non lucendo>>.

      • KCI등재

        포스트휴머니즘의 시대에서의 삼위일체

        백충현 한국조직신학회 2019 한국조직신학논총 Vol.57 No.-

        Today we are facing an era of posthumanism. A posthuman refers to a human person in a state beyond/post being human, and posthumanism means an ideology or a movement that seeks to be beyond/post being human, that is, beyond/post humanism. In a sense, humanism is moving towards posthumanism through transhumainsm as a transitional humanism, which is somewhere in a halfway between humanism and posthumanism. Considering this radical change of humans, this paper attempts to investigate a question whether we could still talk about God and even about the Trinity in an era of posthumanism. In order to do so, first, this paper seeks to critically examine terms such as transhumanism and posthumanism. According to this analysis, transhumanism and posthumanism are in an essential continuity, thereby encountering the same criticisms as anthropological dualism, reductionism, individualisticism, and anthropocentricism. Next, it is significant that some groups seek religion or spirituality in an era of posthumanism, by arguing for the compatibility of posthumanism and religion/spirituality. They are different from many forms of posthumanism which are secular or anti-religious. However, a careful analysis of those groups show that they are sure to inescapably encounter those above-mentioned criticisms raised against transhumanism and posthumanism. Therefore what is lacking or missing in such posthumanism and in posthuman religious groups is a robust understanding of relationality, namely, an indispensability of relationality, which could be learned from contemporary “renaissance or revival of Trinitarian theology” in the 20th and early 21st centuries. Considering this point, this paper argues that we could still talk about the Trinity in an era of posthumanism, not only because humans could not be completely resolved into algorithms or data-processing, but also because relations ‘with-in’ humans and even ‘with-out’ humans would be very necessary in such a posthuman era. 오늘날 우리는 포스트휴머니즘의 시대를 맞이하고 있다. 포스트휴먼(posthuman)은 인간됨(being human)을 넘어서는 상태에 있는 인간을 가리키며, 포스트휴머니즘(posthumanism)은 인간됨을 넘어섬을, 즉 휴머니즘(humanism)을 넘어섬을 추구하는 이념 또는 운동이다. 어떤 의미에서 휴머니즘은 포스트휴머니즘을 향하여 나아가고 있고, 휴머니즘과 포스트휴머니즘 사이의 중간 어딘가에 있는 과도기적 휴머니즘(transitional humanism), 즉 트랜스휴머니즘(transhumanism) 을 거쳐 가고 있다. 인간들이 철저하게 변화하는 이러한 상황을 고려하면서, 이 논문은 포스트휴머니즘의 시대에 우리가 하나님에 관하여 그리고 심지어 삼위일체에 관하여 여전히 말할 수 있는지 아닌지에 관한 질문을 탐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먼저 이 논문은 트랜스휴머니즘과 포스트휴머니즘과 같은 용어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이 논문에서의 분석에 따르면, 트랜스휴머니즘과 포스트휴머니즘은 본질적인 연속성을 지니고 있기에 둘 모두 동일한 비판들에 직면할 수 있다. 즉, 둘 모두 인간론적 이원론, 환원론, 과도한 개인주의, 인간중심론 때문에 비판을 받을 수 있다. 다음으로, 포스트휴머니즘의 시대에서 몇몇 단체들이 포스트휴머니즘과 종교/영성사이의 양립 가능함을 주장함으로써 종교 또는 영성을 추구하는 것은 의미가 있다. 이들은 세속적이거나 반(反)-종교적인 많은 형태들의 포스트휴머니즘과는 다르다. 하지만, 이러한 단체들 조차도 트랜스휴머니즘과 포스트휴머니즘에 대해서 제기되는 위의 네가지 비판들에 직면하는 것을 확실히 피할 수 없다. 그러므로 이러한 포스트휴머니즘과 포스트휴먼 종교단체들에게서 부족하거나 빠진 것은 관계성에 관한 강력한 이해, 즉 관계성의 필수불가결성이다. 여기에 관해서는 20세기와 21세기에 일어나는 현대적 “삼위일체 신학의 르네상스 또는 부흥”으로부터 우리가 배울 수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면서, 이 논문은 포스트휴머니즘의 시대에서도 인간이 알고리듬 또는 데이터-처리로 완전히 해소될 수 없기 때문에, 또한 인간들 내에서의 관계들과 인간들 외에서의 관계들이 그러한 포스트휴먼시대에서 매우 필수적일 것이기 때문에, 포스트휴머니즘의 시대에서 삼위일체에 관하여 우리가 여전히 말할 수 있음을 주장한다.

      • KCI등재

        휴머니즘의 빛과 그림자 : 비판적 포스트휴머니즘의 사상적 실험

        전철(Chul Chun)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20 신학사상 Vol.0 No.191

        “포스트휴머니즘” 정신은 세련된 인공 지능의 등장을 필두로 한 과학 시대와 결합하여 21세기에 들어서 더욱 확산되고 있다. 포스트휴머니즘에 대한 개념적이며 철학적인 논의는 20세기 후반에 본격적으로 이루어진다. 휴머니즘은 르네상스의 중요한 정신과 특징을 반영하고 있다. 이는 인간을 둘러싼 모든 외부적인 권위와 전통을 거부하고 새로운 인간의 세계와 문화를 옹호하고 구축하려는 문명의 산물이다. 그러나 전통적인 인간상은 비판적으로 재해석된다. 과학, 기술, 자본, 문화 변동 앞에서 인간의 조건에 대한 새로운 물음은 폭발하고 있다. 포스트휴머니즘 담론은 전통적인 인간 해석의 사각지대를 둘러싼 새로운 질문에 기반을둔 역동적 해석 체계이다. 포스트휴머니즘의 주요 문제 제기와 관점들은 어디에서 등장하는가. 휴머니즘 이후의 새로운 조건은 무엇인가. 본 연구는 포스트휴머니즘의 역사적 계보를 조명하고, 쟁점을 검토한다. 특히 본 연구는 “비판적 포스트휴머니즘”의 사상적 실험을 탐색한다. The discourse of posthumanism is spreading widely in the 21st century, an era of Artificial Intelligence (AI). Conceptual and philosophical discussions on posthumanism took place in the late 20th century. Humanism reflects the ethos and characteristics of Renaissance thought. It is the product of a modern civilization that rejects all external authorities and traditions that used to control human ability and agency. Humanism has attempted to defend human autonomy and dignity and has cultivated a flourishing human culture. However, the traditional understanding of “humanism” is challenged by the emergence of AI in the era of posthumanism. The world faces drastic changes due to the rapid advance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while new questions about human conditions have arisen. Posthumanism discourse is a result of dynamic interpretation that must grapple with emerging questions. It enables and assists the discovery of blind spots in traditional humanism. This article poses the following questions: Where do the major questions and perspectives of posthumanism come from? What is the new condition after humanism? This study illuminates the historical genealogy of posthumanism and examines pertinent issues. In particular, the study critically engages a theoretical exploration of posthumanism.

      • KCI등재

        1950년대 『사상계』와 전후 신세대 오상원의 휴머니즘

        최애순(Choi, Ae-Soon) 우리문학회 2018 우리文學硏究 Vol.0 No.57

        1950년대 ‘휴매니즘’이라는 용어는 각기 다른 맥락에서 보편적으로 통용되었다. 대립되는 사상이나 이데올로기에서 ‘휴매니즘’이라는 같은 용어를 내걸고 싸우고 있었다. 그것은 ‘휴매니즘’이 1950년대를 타결해 줄 유일한 돌파구로 보였기 때문이다. 1950년대 휴머니즘은 ‘인정적 휴머니즘’과 ‘실존주의적 휴머니즘’으로 양분되었고, 그것은 기성세대의 김동리로 대표되는 순수문학의 『현대문학』과 신세대 전후 작가들로 대표되는 『사상계』로 대립되었다. 그러나 기성세대의 것에 무조건 반항하려는 신세대들이 토속적인 것, 전통을 전면 부인하고 서구의 것만을 받아들인 결과는 그들이 내세운 구호가 추상적이라거나 허무주의로의 귀결이라는 비난을 면치 못했다. 결국 1950년대 두 갈래의 휴머니즘은 한국적인 것과 서구적인 것, 즉 전통과 새로움의 충돌로 이어진다. 토속성, 토착적인 것은 어느 시기에는 전통으로 존중받기도 하고, 또 다른 시기에는 국수주의나 전통주의로 취급되어 비난을 받기도 한다. 1950년대 전후 작가들에게 ‘전통’은 바로 기성세대를 대표하는 넘어서야 할 것일 뿐이었다. 1950년대 전후 신세대의 휴머니즘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동인문학상을 받은 오상원이 ‘휴머니즘’을 어떻게 받아들였는지 따져보아야 한다. 그것은 1950년대 휴머니즘 논의에 관한 전반적인 문제제기이기도 하다. 이데올로기가 서로 다름에도 휴머니즘이라는 같은 용어를 사용하고 있고, 서로 비판할 때도 휴머니즘 문제를 거론하고 있다. 이렇게 휴머니즘이라는 용어를 빈번하게 사용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것이 1960년대 세대들에게 허무주의로 비판받을 수밖에 없었던 것은, ‘휴머니즘’ 논의의 추상성 때문이다. 오상원 역시 〈현실〉에서 선임 하사의 무차별적인 총살에 대해 집단을 살리기 위해서는 어쩔 수 없다는 논리를 내세우다가도, 〈모반〉에서는 집단의 목표 대신 개인을 더 중하게 여긴다는 논리를 펴고 있다. 그것은 오상원이 〈유예〉에서 반공주의적인 이데올로기를 드러내다가 〈현실〉에서 전체를 강조하는 사회주의 원리를 들이대는가 하면, 〈모반〉에서 한 개인의 생명을 소중히 여기는 개인주의를 강조하는 것에서 볼 수 있다. 오상원의 소설을 논할 때 기법이나 문체에 대해서는 엇갈렸으나, 주제에 대해서는 ‘휴머니즘’으로 모아졌던 당대 비평에서 문제 삼아야 할 것은, 바로 ‘휴머니즘’이란 용어가 어떻게 문제적으로 담론의 장에서 사용되었는가 하는 점이다. Humanism in Korea was a multi-layered term in the 1950’s. The postwar generation used humanism, and the older generation also used humanism. Their positions were different between Sasangge and Modern Literature. Humanism was divided into empathic and lyrical humanism and existential humanism. One is represented by Kim Dong-lee and Whang Soon-won, and the other is represented by O Sang-won. O Sang-won is representative of the postwar generation of Sasangge. O Sang-won’s novel had been war-literature. However, O Sang-won’s background was not limited by the war period. Rebellion, the work Dong-in Literary Award dealt with the liberation period. Debaters criticized his style and sentence construction or the abstract war background. Otherwise, the subject of O Sang-won’s novel is concurred in humanism. What does O Sang-won’s humanism support and defy?

      • KCI등재

        일제 후반기의 네오 - 휴머니즘론 고찰

        홍기돈(Hong Gidon) 우리문학회 2017 우리文學硏究 Vol.0 No.53

        1930년대 전반기 파시즘이 약진하면서 세계 정세는 혼란 속으로 빠져 들었고, 유럽의 예술가 · 지식인들은 인민전선, 지적협력국제협회 등을 결성하여 파시즘과 대결을 벌여 나갔다. 이러한 정세는 식민지 조선의 문단에도 영향을 끼쳐 네오-휴머니즘이 촉발되었다. 김오성은 1935년 전후로 소개된 세스토프, 니체, 하이데거 등의 사상을 바탕으로 네오-휴머니즘론을 주창하였다. 과거 르네상스의 휴머니즘이 신과 권위의 지배밑에서 신음하였던 인간을 해방시켰다면, 오늘날 네오-휴머니즘은 사회적 제약으로 인해 소외된 인간을 해방시키는 이데올로기라는 것이다. 근대의 이성, 객관법칙을 비판하였으며, ‘내재적 초월론’에 입각하여 주체, 행위, 초극을 강조했다는 특징이 있다. 반면 안함광은 유물론의 입장에서 네오-휴머니즘을 중간층의 이데올로기로 규정하였다. 도구적 이성을 적극 옹호하였으며, 반파시즘 연대 전선에서 네오-휴머니즘의 의미를 인정하면서도 마르크스주의의 우위를 관철시키고자 하였다. 한편 김동리가 제시했던 네오-휴머니즘론은 김오성 · 안함광의 보편주의와는 달리 상대주의에 입각해 있으며, 동아시아 사상에 입각하여 근대 체제 바깥에서 주/객체를 규정해 나갔다는 점이 특징이다. 과학(이성)의 반대편에 자연을 설정하여, 인간이 자연에 융화되어야 함을 역설하였다. 네오-휴머니즘론은 전형기의 사상 혼란을 타개하기 위한 이론적 고투가 집약된 담론이며, 해방기 좌파 · 우파 각각의 민족문학론 창출에 적지 않은 영향을 끼쳤다. As fascism in early 1930 began gaining influence, the world changed into a period of confusion. During this era, many artists and intellectuals started establishing organizations such as the People’s Front and the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intellectual cooperation in order to confront fascism. This trend had also influenced the Joseon Dynasty under Japanese Imperialism, and caused the development of neo-humanism in Korea. Kim Ohsung addressed the concept of neo-humanism based on ideas of Cestov, Nietzsche, and Heidegger before and after 1935. If humanism during the Renaissance had freed people from the dominance of religion and authority, modern humanism, at that time, became an ideology that could free segregated people from social limitations. Kim Ohsung criticized the modern rationale and objective rule, but emphasized a subject, action, and conquest based on “intrinsic transcendentalism.” On the other hand, An Hahmgwang classified neo-humanism as an ideology of the middle class from the perspective of materialism, in which he proposed as the instrumental reason, and advocated for the superiority of Marxism, even though he acknowledged the meaning of neo-humanism from perspectives of the anti-fascist united front. The neo-humanism concept of Kim Dongli, however, is based on relativism, unlike the universalism ideals of Kim Ohsung, and An Hahmgwang. Furthermore, his concept endorsed the rule of a subject and an object outside the modern system based on an idea of East Asia. He selected nature instead of science (rationale), and emphasized on humans’ co-existence with nature. Neo-humanism is an intense debate over theoretical disputes in order to avoid the confusion of past ideologies, and it significantly resulted in the division of the national literature theory into that of the leftists and rightists during the emancipation of Korea.

      • KCI등재

        포스트휴먼 담론에 대한 중도 존재론적 접근 ①- 중도(中道)로 포스트휴머니즘 읽기

        조해정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22 동아시아불교문화 Vol.- No.54

        본 연구는 ‘인간’에 대해서 근본적인 문제를 제기하고 있는 포스트휴먼 담론을 나가르주나의 ‘중관(中觀)’의 관점으로 접근한다. 포스트휴먼 담론은 인간과 비인간의 구별에 의지했던 근대의 휴먼 및 휴머니즘을 해체하고 인간에 대한 새로운 이해에 도달하고자 한다. 포스트휴먼 담론은 포괄적 의미에서 포스트휴머니즘으로 통칭되지만, 대체로 포스트휴머니즘과 트랜스휴머니즘의 두 흐름으로 구분한다. 두 사조는 변화된 시대의 인간에 대한 새로운 통찰이라는 출발점은 공유하지만, 그 응답에서 큰 차이를 보인다. 트랜스휴머니즘은 기술에 의해서 현재적 인간을 정신적·신체적으로 변형시키는 ‘인간향상’의 과정을 통해서 포스트휴먼에 도달하려고 하는 반면, 포스트휴머니즘은 인간 자신의 변형이 아니라 이원론적이고 인간중심주의에 대한 비판적 성찰을 통해서 근대적 휴머니즘의 인간상을 극복하고자 한다. 포스트휴머니즘에서 ‘포스트휴먼’은 근대 휴머니즘적 인간상을 극복한 인간에 대한 새로운 이해라는 패러다임의 전환을 의미하지만, 트랜스휴머니즘에서 포스트휴먼은 ‘인간향상’의 완성으로서 아직 도래하지 않은 미래의 인간이다. 본 연구는 포스트휴먼 담론에 대해서 나가르주나의 ‘중관(中觀)’의 관점으로 접근하되, 포스트휴머니즘을 중심으로 할 것이다. 포스트휴머니즘 사유가 서구의 이분법적인 사유 전통을 횡단하고 있다면, 탈-이분법적이고 탈-서구적인 중관은 포스트휴머니즘의 인간에 대한 새로운 통찰에 적합한 패러다임일 수 있다. 특히 포스트휴머니즘의 경계에 집착하지 않는 탈-이분법적 사유는 ‘중도(中道)’와 잘 부합할 수 있다. 포스트휴머니즘의 새로운 통찰을 위해서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필요로 한다. 그런데 새로운 패러다임은 서구의 사유 전통을 전복하는 것이기 때문에 내부가 아니라 외부에서 발견될 가능성이 크다. 그런 의미에서 포스트휴머니즘의 탈-이원론과 ‘특정한 서구사상의 전통을 넘어서’ 있으면서 탈-이분적인 불교의 중도 사이의 상호문화적 겹침(Überlappung)의 가능성을 기대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