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휴머노이드를 활용한 놀이 교실 경험에 대한 질적 내용분석: 영유아교사들의 인터뷰 내용을 중심으로

        유지윤,심숙영,임선아 미래유아교육학회 2023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30 No.3~4

        본 연구는 휴머노이드를 활용한 놀이를 제공한 경험이 있는 교사들의 인터뷰를 통해 휴머노이드를 활용한 놀이의 효과성과 문제점을 확인하고, 휴머노이드를 활용한 놀이 교실을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휴머노이드를 활용한 영유아 교실을 운영한 경험이 있는 담임 선생님 4명과 인터뷰한 자료를 질적 내용분석(QCA: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휴머노이드를 활용한 놀이에 대한 담임교사 경험의 내용은 3개의 상위범주와 7개의 하위범주로 구분되어 나타났다. 그 내용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첫째, 교사들은 휴머노이드를 활용한 놀이가 영유아 놀이를 발전시킬 뿐 아니라 교사의 교수적 한계를 도와주는 측면에서 효과적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영유아 교사들은 휴머노이드를 활용한 놀이 교실에서 휴머노이드의 기능적 문제와 인프라와 비용 문제로 인해 어려움을 경험하였다고 보고하였다. 마지막으로 영유아 교사들은 휴머노이드 사용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휴머노이드의 언어 인식 및 응답기능의 보완이 필요하며, 휴머노이드를 활용한 놀이를 제공하는 교사의 태도 변화가 필요하다고 인식하였으며, 이와 관련 교육 연수를 통하여 전문지식을 습득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4차 산업 혁명을 통해 나타난 휴머노이드를 활용한 놀이의 효과와 문제, 휴머노이드를 현장에서 잘 사용하기 위한 보완적 방향을 구체적으로 제안했다는 데 연구적 의미를 갖는다. This study sought to explore the effectiveness and problems of play using humanoids through interviews with teachers who had experience providing play using humanoids, and to find ways to effectively operate a play classroom using humanoids. For this purpose, interview data from four homeroom teachers with experience in early childhood classrooms using humanoids were analyzed using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QCA). As a result, the content of homeroom teachers’ experiences regarding play using humanoids was divided into three upper categories and seven lower categories. In detail, first, teachers recognized that play using humanoids was effective not only in developing early childhoods’ play but also in helping teachers overcome their teaching limitations. Second, early childhood teachers reported that they experienced difficulties in play classrooms using humanoids due to functional problems with humanoids and problems with infrastructure and costs. Lastly, early childhood teachers recognized that the language recognition and response functions of humanoids need to be supplemented as a way to solve the problem of using humanoids, and that teachers who provide play using humanoids need to change their attitudes, and educational training should be provided to acquire specialized knowledge about use of humanoids. This study has research significance in that it specifically proposed the effects and problems of play using humanoids that emerged through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complementary directions for using humanoids well in the field.

      • KCI등재

        제한된 환경 속에서 휴머노이드를 위한 인터랙티브 모션 리타겟팅

        남하종(Ha Jong Nam),이지혜(Ji Hye Lee),최명걸(Myung Geol Choi) 한국컴퓨터그래픽스학회 2017 컴퓨터그래픽스학회논문지 Vol.23 No.3

        본 논문에서는 인체 모션 데이터를 공간적 제약이 많은 환경 속에 있는 휴머노이드의 몸체에 맞추어 리타겟팅하는 기술을 소개한다. 주어진 모션데이터는 물체를 손으로 잡거나 장애물 사이를 피해다니는 등의 세밀한 인터랙션을 포함하고 있다고 가정한다. 또한 휴머노이드의 관절 구조는 인체 관절 구조와 다르며 주변 환경의 모양도 원본 모션이 촬영 될 당시와 서로 다르다고 가정한다. 이러한 조건 하에서 단순히 몸체의 변화만 고려한 리타겟팅 기법을 적용한다면 원본 모션 데이터에서 나타난 인터랙션의 내용을 그대로 보존하기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모션 데이터를 휴머노이드 몸체에 맞게 리타겟팅하는 문제와 인터랙션의 내용을 보존하는 문제를 나누어서 독립적으로 해결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먼저 환경 모델과의 인터랙션은 무시하고 모션 데이터를 휴머노이드 몸체에 맞게 리타겟팅한다. 다음, 환경 모델의 모양을 휴머노이드 모션에 부합하도록 변형하여 원본 데이터에서 나타난 인터랙션이 재현되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휴머노이드 몸체와 환경 모델 사이의 공간적 상관 관계에 대한 제약 조건을 설정하고 환경 모델은 다시 원래 모양으로 되돌린다. 보스턴 다이나믹 사의 아틀라스 로봇모델을 사용한 실험을 통해 제시된 방법의 유용성을 검증하였다. 향후 모션 데이터 트레킹을 통한 휴머노이드 동작 제어 문제에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n this paper, we introduce a technique to retarget human motion data to the humanoid body in a constrained environment. We assume that the given motion data includes detailed interactions such as holding the object by hand or avoiding obstacles. In addition, we assume that the humanoid joint structure is different from the human joint structure, and the shape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s different from that at the time of the original motion. Under such a condition, it is also difficult to preserve the context of the interaction shown in the original motion data, if the retargeting technique that considers only the change of the body shape. Our approach is to separate the problem into two smaller problems and solve them independently. One is to retarget motion data to a new skeleton, and the other is to preserve the context of interactions. We first retarget the given human motion data to the target humanoid body ignoring the interaction with the environment. Then, we precisely deform the shape of the environmental model to match with the humanoid motion so that the original interaction is reproduced. Finally, we set spatial constraints between the humanoid body and the environmental model, and restore the environmental model to the original shape. To demonstrate the usefulness of our method, we conducted an experiment by using the Boston Dynamic’s Atlas robot. We expected that out method can help the humanoid motion tracking problem in the future.

      • KCI등재

        휴머노이드 로봇의 미적 가치

        임산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12

        This paper investigated the aesthetic value of humanoid robot which actively being researched and developed in the world nowadays. To do this, Chapter 2 examined the imaginative inspiration on the humanlike robot and considered the present condition of humanoid robot invention which made us to ask on the human identity in real world out of fictional world. And then, Chapter 3 proposed that aesthetic aspiration and thought on human were expressed from the trial for making artificial and mechanical life named humanoid robot. For this, I demonstrated that after World War II the humanoid robot evolved into complex aesthetic entity for expressing the properties of human artistic activities and cultural consciousness, rather the action taking place of physical patterns. Finally, this paper found that imagination of robotics and its revolutionary effect have contributed to extend the area of human aesthetic sensibility, and have endowed new aesthetic value by redefining the normative boundary of human being. 본 논문은 최근 세계적으로 활발하게 연구 개발되고 있는 휴머노이드 로봇의 미학적 가치를 탐구 한다. 이를 위해 제 2장에서는 유사-인간적 로봇에 대한 상상적 영감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예술 작품의 허구적 세계에서 벗어나 실제 현실에서 인간의 정체성에 대한 질문을 던지게 하는 현대적 휴머노이드의 발명 현황도 검토하였다. 이어서 제 3장에서는 인간의 미적 여망과 사유가 휴머노이드 로봇이라는 인공적이고 기계적인 생명을 만들려는 시도를 통해 표출되어 있다는 주장을 펼친다. 이를 위해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본격 등장하게 된 휴머노이드 로봇은 단순히 신체 패턴을 대리하는 행위에 그치지 않고 인간의 예술적 행위의 속성과 문화적 의식까지 표현할 수 있는 복합적인 미적 도구 로서 진화하고 있음을 논증한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은 로보틱스의 상상력과 그 혁신의 결과물들이 오늘날 인간의 미적 감수성의 범주를 확장하는 데 기여하고 있고, 또한 인간 존재의 규범적 경계를 재정의하면서 새로운 미적 가치를 부여받고 있음을 확인한다.

      • 휴머노이드를 이용한 무인화 기법 개념연구

        정희진,심현철,조성욱 한국항공우주학회 2013 한국항공우주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Vol.2013 No.11

        인간이 직접 활동하기 곤란한 상황에서 로봇은 주변환경을 인식하고 기계적인 운동을 통해 임무를 대신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며, 특히 휴머노이드를 사용할 경우 인간을 위해 꾸며진 환경에 바로 투입되어 인간을 위한 도구 및 장치들을 바로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같은 능력을 구현하려면 팔-손-손가락 및 다리-발로 구성된 휴머노이드 등의 로봇이 시각, 청각, 운동량 측정등을 통해 주변환경을 인식하고 주어진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주어진 각종 조종장치들의 적절한 조작량을 계산, 구현하는 새로운 방향의 연구가 요구된다. 이같은 로봇의 통합적 인지, 판단, 운동량 계산 및 실시간 피드백 제어를 통한 조작장치 및 주변환경과의 interaction 을 구현하는 기법을 본 연구에서는 robot-machine interface(RMI)라고 정의하며, 이를 통해 휴머노이드가 작업콘솔이나 더 나아가 운전석이나 조종석에서 인간을 대신하여 실시간으로 작업을 수행하는 능력을 구현하고자 한다. Service robots are designed to perform the given task by understanding the surrounding and exerting mechanical actions in the environments where human participation can be difficult or even hazardous. Especially, if the robot has its form as a humanoid, it can be put into the environment created for humans without any modification. They can even utilize tools and equipment created for human use. In order to realize such capabilities, a new direction of research is required to enable humanoids to understand the environment using its visual, auditory, and other sensors and then manipulates various control input devices at right amounts. Such collective framework of cognition, decision-making, and motion computation is defined as robot-machine interface (RMI), which enables the humanoids to interact with the environment through the machine. Using this method, a humanoid will be able to perform various tasks at a work console or driver’s and pilot"s seats to control the host vehicle.

      • KCI등재

        휴머노이드 로봇의 분산 제어를 위한 네트윅 구현

        이보희(Bo-Hee Lee),공정식(Jung-Shik Kong),김진걸(Jin-Geol Kim) 한국지능시스템학회 2006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Vol.16 No.4

        본 논문은 휴머노이드 로봇 ISHURO의 분산 제어를 위한 네트웍 구현에 대해 다루고 있다. 일반적으로 휴머노이드형 로봇은 기구학적으로 유연한 동작을 위해 다수의 자유도가 필요하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중앙에서 일괄적으로 처리 하는 것 보다 간결 하면서도 유연성을 줄 수 있는 분산 처리 방법이 선호되고 있다. 분산 처리를 위한 제어기를 구성할 때는 로봇의 모터를 독립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가 별도로 필요하며 모듈 간에는 정해진 시간 내에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는 통신 기법이 필요하다. ISHURO의 각 관절은 자체 내에 독립된 DSP를 내장하고 있으며 CAN 네트웍을 이용하여 모듈 간의 통신을 하여 구동기를 제어하거나 센서의 값을 모니터링 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를 위한 통신 구조를 제안하고 필요한 전송 메시지를 정의하고, 전송시간을 분석하여 로봇 분산 제어기 구조에 적절한 전송 프로토콜을 제시하였다. 모든 과정은 Matlab을 이용하여 컴퓨터모의실험을 수행하였고 실제 휴머노이드 로봇에 적용하여 보행실험을 통해 검증 하였다. This paper deals with implementation of network for distributed control system of a humanoid robot ISHURO(Inha Semyung Humanoid Robot). A humanoid robot needs much degree of freedom structurally and much data for having flexible movement. To realize such a humanoid robot, distributed control method is preferred to the centralized one since it gives a compactness, modularity and flexibility for the controllers. For organizing distributed control system of a humanoid robot, a control processor on a board is needed to individually control the joint motor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between the processors is required to transmit its information within control time. The processor is DSP-based processor and includes CAN network on a chip. It shares the computational load such as monitoring the sensor information and controlling the actuator between each of modules. In this paper, the communication architecture is suggested and its message protocol are discussed including message structure, time consumption for transmission, and controller structure at the view of distributed control for a humanoid robot. All of the sequence are simulated with Matlab and then verified with real walking experiment by ISHURO.

      • KCI등재

        휴머노이드와 인간의 감정 : 심리적 기능주의와 심신동일론을 중심으로

        김광연(Kim, Gwangyeon) 순천향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0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Vol.39 No.3

        인류는 우리의 삶에 유용한 과학 기술을 오랫동안 발전시켜왔다. 인간은 오랜 결실 끝에 결국 꿈꾸던 과학 기술을 손에 쥐게 되었다. 인류는 과학 기술을 통해 대량생산의 시대를 맞이하게 되었고, 결국 인공지능(AI) 기술까지 도달하게 되었다. 하지만 인류가 달성한 기술의 결과는 전혀 새로운 윤리적 문제를 가져오고 말았다. 인간과 흡사한 휴머노이드 로봇의 출현으로 인해 우리는 심신동일론의 윤리적 문제에 봉착하게 되었다. 휴머노이드 로봇의 기술이 점점 발달하면서, 그들은 음악을 작곡하고 공연의 주인공으로 등장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그들은 인류 공동체에게 우리와 같은 감정을 가질 수 있는지에 대한 의문을 남겼다. 이에 이 논문은 인간의 생각과 감정을 학습하는 휴머노이드의 예술적 감각이 기계의 단순한 기능주의 또는 물리적 환원주의인지에 대해 다루어 볼 것이다. 그리고 무엇보다 이 논문은 그들이 인간과 동일한 감정을 가질 수 있더라도 그들의 감정과 생각은 인간과는 다르다는 견해를 전개해 보고자 한다. Humanity has long developed science and technology useful to our lives. After a long fruit, humans finally got the science and technology they dreamed of. Mankind has reached the age of mass production through science and technology, and eventually reached artificial intelligence (AI) technology. However, the results of the technology achieved by mankind have brought new ethical problems. Most of all, with the advent of humanoid robots that resemble humans, we are confronted with the ethical problems of Physical Identity Theory. With the development of humanoid robot technology, they are composing music and appearing as protagonists of performances. In addition, they left a question as to whether the human community can feel the way we do. Therefore, This paper will examine whether the artistic sense of a humanoid learning human thoughts and emotions is a simple functionalism or physical reductionism of a machine. Above all, this paper attempts to develop the view that even though they may have the same emotions as humans, their emotions and thoughts are different from humans.

      • KCI등재

        일본 SF만화·애니메이션 속 휴머노이드의 속성 고찰

        김선희 한국일본사상사학회 2024 일본사상 Vol.- No.46

        본고는 인공지능이 현실 생활에 크게 들어오게 된 요즈음, 특히 인간의 노동력을 대체하거나 인간 생활에 편리를 위한 로봇 개발 분야에서 일본이 앞선이유를, 사물에 대한 일본인의 독특한 감각의 발현에서 찾는 종래의 일본문화론을 되돌아보았다. 그리고 그런 기술의 발전에 일본 로봇 애니메이션의영향을 염두에 두고, 비교적 근년에 출판, 또는 방영되어 크게 인기를 얻은 SF 만화와 애니메이션에 등장하는 로봇 또는 휴머노이드의 성격을 특히 불교의개념을 빌려 고찰하였다. 이들 작품은 인간의 ‘로봇화’와 로봇의 ‘인간화’ 가 공존하는 장에서, 인간의 자아 문제와 인간다움에 대해 일본인이 보이는인식의 일단을 살피는 실마리를 제공한다. 본문의 작품들에 등장하는 로봇과 휴머노이드는 고뇌하는 가운데 인간과공존하는 세계에서 나와 가까운 또는 나의 먼 이웃의 아픔과 슬픔을 함께 하려는 존재로 그려지는데, 이는 불교철학에서 중시하는 보살의 보시행으로서 읽어낼 수 있다. 이를 통해 우리가 잃어버린 혹은 잊고 있던 ‘인간성’에 대한 되물음이 필요한 시대임을 다시 한번 강하게 드러내는 것으로 접근할 때, 새로운 타자와 공존해야하는 현실을 맞닥뜨린 우리에게 유의미할 것이다. This paper revisits traditional Japanese cultural theory, which finds the reason why Japan is leading in the field of robot development for replacing human labor and convenience in life, especially as artificial intelligence is becoming a major part of real life, from the unique sense of Japanese people towards objects. And considering the influence of Japanese robot animation on the development of such technology, it has examined the character of robots or humanoids appearing in SF comics and animations that have been published or broadcasted in recent years and have gained great popularity, especially borrowing the concept of Buddhism. These works provide a clue to the perception of Japanese people about the self-problem of humans and humanity in a scene where the ‘robotization’ of humans and the ‘humanization’ of robots coexist. The robots and humanoids appearing in the works of this text are drawn as beings who want to share the pain and sorrow of my close or distant neighbors in a world where they coexist with humans while suffering, which can be read as a Bodhisattva’s Bodhisattva practice, which is emphasized in Buddhist philosophy. When approached as revealing once again that it is an era when we need to question the ‘humanity’ that we have lost or forgotten, it will be meaningful to us who face the reality that we have to coexist with new others.

      • KCI등재후보

        <리얼 휴먼>을 통해 본 휴머노이드 로봇의 언캐니

        류재형(Ryu, Jae-hyung)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4 인문사회과학연구 Vol.15 No.1

        영화나 TV 속에서 재현되는 휴머노이드(humanoid) 캐릭터는 왜 자주 두려운 존재로 묘사되는개 이들의 모습은 어떠한 양식으로 재현되며 그들이 재현하는 두려움의 의미는 과연 무엇인개 이러한 의문의 답에 초석을 제공하는 데에 이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러한 의문과 그 해답에 접근하기 위해 엔취(Jentsch)와 프로이트(Freud)의 '언캐니(the uncanny, 독일 원어 das unheirnlich)' 개념과 모리(Mori)의 '언캐니밸리(the uncanny valle)', 개념에 의지하여 TV 드라마 <리얼 휴먼/Real Humans (KBS, 2013)>을 분석할 것이다. <리얼 휴먼>은 로봇과 인간의 대립을 주제로 삼으면서 로봇이 인간에게 언캐니한 존재로 다가올 수밖에 없는 이유를 정면으로 다루는 동시에 로봇의 외형적 특정이 지니는 언캐니한 모습 또한 적확하게 제시해 주는 좋을 예라 할 수 있다 <리얼 휴먼>은 로봇이 인력을 대체함으로써 발생하는 산업 현장에서의 인간 소외를 직접적으로 다루는 동시에 너무나도 인간을 닮은 외형 덕분에 사랑의 대상으로까지 부상함으로써 발생하는 가정에서의 인간 소외 또한 재현하면서 가까운 미래에 휴머노이드의 양산을 현실적으로 기대하고 있는 현재 시점에서 인간에게 재앙으로 다가올 수 있는 로봇의 모습을 보여줌으로써 로봇과 인간과의 관계 정립을 요구하고 기대하게 만드는 문화적 기능 또한 수행한다. Why do the humanoid characters in (television) movies produce an atmosphere of terror? How are the figures represent and what is the meaning of the fear they expr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ay the foundation stone of the answers for these questions. In order to approach to the answers, I want to analyze Swedish television drama Real Humans in reliance on the concepts of 'the uncanny (das unheimlich in the original German terminology)' advocated by Jentsch and developed by Freud and 'the uncanny valley' suggested by Mori. Real Humans is a good example to examine the theme of conflicts between humans and robots, to deal with the reason why robots are uncanny figures for humans, and to show precisely the uncanny features of robots' physical appearance. Real Humans deals with human alienation in the economic area caused by robots' substitution for humans, and at the same time, represents that in the family area brought about from their strong resemblance to human appearance. As a result, it asks us to establish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robots at the present time that mass production of humanoid robot is expected in the near future.

      • KCI등재

        SF소설의 헤테로토피아와 포스트휴머니즘— 김영하의 『작별인사』를 중심으로

        조소희 한국문예창작학회 2023 한국문예창작 Vol.22 No.1

        4차 산업혁명으로 NBIC(Nano, Bio, Information Technology and Cognitive Science)가 발전하여 초지능·초연결이 가능해져 인공지능 산업이 발달하고 있다. 이러한 기술 발전은 인간의 삶을 윤택하게 만들 미래사회의 초입에 도달했음을 알리고 있지만, 동시에 인간 존엄성 상실과 인류의 멸종이라는 위기의식이 뒤따르고 있다. 이러한 위기의식은 인간 존립에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을 제시하고, 기존의 근대적 인간 개념과 ‘그 이후 인간’에 대한 개념 정립을 촉구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논의가 진행되는 회장이 바로 포스트휴머니즘이다. SF 장르에 자주 등장하여 널리 알려진 ‘급진적 포스트휴머니즘’은 ‘기술적 특이점’이란 기술을 통해 정신과 육체를 분리하는 탈육체를 통해 포스트휴먼에 도달하여 영생을 도모하고자 포스트휴먼을 적극적으로 정의하고자 연구를 진행한다. 반면, 비판적 포스트휴머니즘은 인간의 정신과 육체를 분리하는 기술은 환상일 뿐만 아니라 전통적 자유주의 휴머니즘의 이상적 인간이라는 이데올로기를 확산함으로 반대하고, 앞으로 기존 인간 주체를 포스트휴먼 주체가 대체할 것이므로 ‘포스트휴먼’을 정의하기 위해 연구하고 있다. 이렇듯 포스트휴머니즘은 육체와 정신의 분리성, 육체의 폐기와 앞으로 도래할 포스트휴먼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활발한 논의를 진행하고 있다. 본고는 이러한 논의를 문학적으로 살필 수 있는 작품이 김영하의 『작별인사』라 보고 이를 연구하고자 한다. 작중 주인공 철이는 모든 공간의 흔적을 지워 이의를 제기하는 헤테로토피아를 통해 인간이라는 정체성 뒤에 최 박사가 배제하고 숨겼던 휴머노이드였다는 진실을 발견하고, 달마의 분지에서 진실을 마주하며 본질이 뒤흔들리는 위기를 마주한다. 또한 이 과정에서 철이는 타의에 의해 육체를 상실하며 순수한 의식의 상태에서 불쾌함을 경험하며 육체와 정신의 관계, 본인의 정체성을 재확립하고자 노력한다. 그러므로 본고는 『작별인사』를 창작기법 측면에서 공간성과 육체의 형상화를 살펴보고자 한다.

      • 신화속의 로봇사상과 현대 로봇공학의 발전방향 고찰

        두일철(Doo, Ill-chul) 한국문화콘텐츠학회 2011 문화예술콘텐츠 Vol.- No.7

        신화 속에 인간 창조를 중심으로 로봇의 사상을 찾아볼 때 로봇이라는 용어의 등장 이전부터 이미 로봇의 개념은 존재하고 있었으며 새로운 개념이 아니었다. 특히 인간의 형상을 닮은 안드로이드나 휴머노이드의 개념은 여러 자료에 등장하고 있다. 인간에게 유용한 문명의 이기(利器)는 대부분은 상상력에 의해 먼저 태어난 후 출현했듯이 로봇도 인간의 상상력에 의해 먼저 태어났으며, 역사적으로 인위적인 수단을 이용하여 인간을 재창조하거나 초자연적인 힘을 이용하여 인간과 비슷한 것을 만든 이야기 위주의 접근으로 로봇을 알아보고 신화 속에서 이미 정의된 로봇의 구현기술을 실현하기 위한 현대 로봇공학의 기술적 과제를 분석한다. Researching on the concept of robots which is closely related to the creation of human beings in diverse mythologies, it is certain that the concept of robot has already existed prior to the appearance of the specific terminology, ‘Robot’. Especially, features that introduced the ideas of human-alike existences such as androids and humanoids have been seen on various documents and materials. Actually, human imaginative ideas gave birth to robots, similar to phenomena from the advent of other modern conveniences which have been created for practicality originated from pure imagination. Therefore, the study aims to grasp ideas of robots from cases or fictions which have dealt with the recreation of human beings by artificial methods but also the creation human-alike existences with supernatural powers. And then analyzes technological tasks of current robotics in order to realize robot concepts from mytholog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