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학생의 학교성적 및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양식과 휴대폰 중독과의 관계 연구

        유평수 한국청소년학회 2010 청소년학연구 Vol.1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among academic records, parents-children communication, and cellular phone addiction in middle school stud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008 students of the middle schools in Jeollabuk-do in accordance to convenience sampling. The statistics program used to achieve the purpose was SPSS/PC+ 14.0. The statistics methods applied were M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the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test.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rom the data analysis.: First, The parents-children communication is more open for students who showed positive academic records than those who showed poor academic records. he cellular phone addiction level is higher among students who showed poor academic records than those who showed positive academic records. Second, the cellular phone addiction level is higher for the students whose parents have problem-oriented communication than those whose parents have open communication. Third, there i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academic records and the open communication. There is no correlation between the academic records and the problem-oriented communication. There i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open communication and the cellular phone addiction levels. There i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problem-oriented communication and the cellular phone addiction levels. Finally, the academic records affect 7.3%, the open communication affect 2.5%, and the problem-oriented communication affect 1.0% of the cellular phone addiction level.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의 학교성적 및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양식과 휴대폰 중독과의 관계를 고찰하는 것이었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학교성적별에 따라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양식과 휴대폰 중독 수준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양식에 따라 휴대폰 중독 수준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학교성적,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양식, 그리고 휴대폰 중독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이다. 이를 위해 1,033명의 중학생을 대상으로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양식과 휴대폰 중독 수준을 알아보는 설문을 실시하였다. 회수된 설문지 중에서 불성실하게 응답하거나 결측치가 많은 25명의 설문지를 제외한 1,008명의 반응을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은 성별, 학년별, 거주지별, 그리고 학교성적별로 구분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자료분석은 SPSS pc+ 1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였으며, 다변량분산분석(MANOVA, Pearson의 상관계수, 그리고 단계별 중다 회귀분석(stepwise multiple regression test)을 사용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와 논의를 통해 본 연구의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성적별에 따른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양식에서, 학교성적이 높을수록 개방적인 의사소통 수준이 더 높다. 학교성적별에 따른 휴대폰 중독 수준에서, 학교성적이 낮을수록 휴대폰 중독 수준이 높다. 둘째,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양식에 따른 휴대폰 중독 수준에서, 개방적 의사소통 양식의 자녀보다 문제 중심적 의사소통 양식의 자녀가 휴대폰 중독 수준이 더 높다. 셋째, 학교성적과 개방적 의사소통간에는 정적인 상관이 있으며, 학교성적과 문제 중심적 의사소통과는 유의한 상관이 없다. 학교성적과 휴대폰 중독 간에도 부적인 상관이 있다. 개방적 의사소통과 휴대폰 중독간에는 부적인 상관이 있으며, 문제 중심적 의사소통과 휴대폰 중독간에는 정적인 상관이 있다. 넷째, 휴대폰 중독에 대한 설명력은 학교성적이 7.3%, 개방적 의사소통이 2.5%, 그리고 문제 중심적 의사소통이 1.0%이다.

      • KCI등재

        중학생의 인터넷 중독과 휴대폰 중독이 학업 성취에 미치는 영향

        조일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0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9 No.1

        본 연구는 중학생의 인터넷 중독과 휴대폰 중독 수준이 학업 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A중학교 학생 263명을 대상으로 인터넷 중독 수준에 따른 학업 성취의 차이와 휴대폰 중독 수준에 따른 학업 성취의 차이, 인터넷 중독 및 휴대폰 중독 수준과 성별의 학업 성취 차이, 그리고 인터넷 중독 수준과 휴대폰 중독 수준에 따른 학업 성 취와의 상호작용 효과를 분석해보았다. 연구의 결과, 첫째, 인터넷 중독 수준에 따라 전체 학업 성취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가상적 대인관계지향성은 학업 성취를 가장 의미 있게 설명하는 하위요인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휴대폰 중독 수준에 따른 학업성취는 국어와 영어를 제외한 사회, 수학, 과학, 총점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인터넷 중독 수준 및 휴대폰 중독 수준과 성별은 학업 성취에 상호작용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넷째, 인터넷 중독 수준과 휴대폰 중독 수준도 학업 성취에 상호작용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청소년들의 인터넷 및 휴대폰 중독을 방지하고 학업 성취의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인터넷과 휴대폰 중독 예방 교육이 병행해서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원만한 대인관계 유지를 위한 관심과 개입이 지속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 of internet and cellular phone addiction on the achievement. The effect is analyzed on 263 first-grade middle school students by finding out differences of achievement according to the level of internet and cellular phone addiction, and comparing the interactive effects of internet addiction and gender; cellular phone addiction and gender; and internet addiction and cellular phone addic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chievement according to the level of internet addiction, and intention to the virtual interpersonal relationship is shown to be the most critical factor explaining the difference in achievement. Secondly,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chievements of society, mathematics, science, and total value, but not Korean and English, according to the level of cellular phone addiction. Thirdly,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chievements according to the level of internet addiction and gender; and the level of cellular phone addiction and gender. Fourth,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chievements according to level of internet and cellular phone addic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a program which can prevent internet and cellular phone addiction should be introduced in order to avoid the addiction and consequently to increase the achieve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Furthermore, constant attention and interest may be useful for maintaining a good interpersonal relationship.

      • 청소년들의 휴대폰 사용이 청소년 성비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미숙 한국중독범죄학회 2011 한국중독범죄학회보 Vol.1 No.1

        현재 청소년들에게 휴대폰은 인터넷보다도 더 기본적이면서 일상적인 미디어로서 청소년들 사이에서 이미 생활필수품으로 자리 잡고 있다. 그러나 이런 휴대폰의 급속한 확산은 많은 `편리함`을 주는 것과 동시에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발생시키고 있다. 최근 상당수의 청소년들이 인터넷 중독만큼이나 휴대폰 중독에 빠져 있음을 여러 선행 연구들과 언론의 보도를 통해 알 수 있다. 이런 휴대폰의 중독적 사용은 그 정도에 따라 청소년들에게 많은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이와 더불어 청소년 비행에도 많은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예상되지만 관련 선행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들의 새로운 형태의 비행 유형 중 하나로 휴대폰 비행에 대해 알아보고, 청소년들의 휴대폰 사용 실태 및 휴대폰 사용이 청소년 성비행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알아보았다. 그 결과 청소년의 지나친 휴대폰 사용은 비행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그 중에서도 성비행과 많은 연관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청소년들의 휴대폰 성비행의 유형은 대부분이 성적인 농담을 하거나 사진 및 동영상을 주고받는 경우였으며, 휴대폰을 사용해 성매매를 알선하는데 까지 이용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앞으로 청소년들의 올바른 휴대폰 사용에 대한 교육 및 홍보와 휴대폰 중독에 대한 개념 정립 및 법 규정 재정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고, 이와 함께 청소년 휴대폰 사용자의 가입 실명제 확대 및 스팸차단 프로그램 등 몇 가지 제도적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 친애욕구가 청소년의 휴대폰 중독 위험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자기조절능력의 중재효과

        임애라,박기환 가톨릭대학교 성심교정(가톨릭신학대학) 2010 학생생활상담 Vol.28 No.-

        이 연구는 청소년의 친애욕구가 휴대폰 중독 위험성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자기조절능력의 중 재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서울지역의 중학생을 대상으로 친애욕구 검사와 자기조절 능력 검사, 휴대폰 중독 검사를 시행하였다. 그 결과 첫째, 친애욕구인 친애경향성과 거부민감성에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친애욕구가 강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자기조절 능력과 휴대폰 중독 위험성의 경우에는 남녀 간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친애욕구,자기조절능력, 휴대폰중독위험성을 상관 분석한 결과 친애욕구와 휴대폰 중독 위험성 사이에 정적상관이 있었는데, 특히 친애 욕구 중 거부 민감성이 강할수록 휴대폰 중독이 우려되며, 자기조절능력이 강할수록 휴대폰 중독의 위험이 덜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기조절능력 중 인지적 자기조절능력을 제외하고, 동기적 자기조절능력과 행동적 자기조절능력이 각각 휴대폰 중독 위험성과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친애욕구가 휴대폰 중독 위험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조절능력의 중재효과는 친애욕구 중 친애경향성의 경우인 지적 자기조절능력, 동기적 자기조절능력, 행동적 자기조절능력 모두에서 중재효과가 확인되지 않았다. 친애욕구의 다른 하위변인인 거부민 감성의 경우 통기적 자기조절능력, 행동적 자기조절능력이 중재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휴대폰 중독 위험성을 가장 잘 예측하는 변인은 행동적 자기 조절능력이었고 동기적 자기조절능력도 유의미한 설명력을 보였다.

      • KCI등재

        청소년의 휴대폰 중독성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가족, 학교환경 변인

        이연미,이선정,신효식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09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21 No.3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effective variables influencing on adolescents' mobile phone addiction. The subjects were the 666 middle or high school students who had their own mobile phone in Gwangju. Data were analyzed with frequency, percentage, cronbach's α, mean, SD,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using SPSS/PC WIN 14.0 program.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1. The most frequently used function of student mobile phones was text message and they used text message more than 41 times a day. Mostly they were talking to the same sex friends on the phone and the monthly charges ranged from 20,000 to 30,000 won. In general, they called to their friends after school. Their parents' attitudes toward their mobile phone using showed that the most of their parents did not care about their children's mobile phone use. The restriction of using their mobile phone at school was normal. 2. The average scores of mobile phone addiction were lower than median(3.0) and self esteem, self control, family strengths, peer conformity and school life adaptation were higher than median. 3. The adolescence's mobile phone additions were influenced by peer conformity, school life adaptation, school levels, sex and self control. And these variables explained to the adolescence's mobile phone additions about 28%. 본 연구는 청소년의 개인변인(학교급, 성별, 자아존중감, 자기통제력), 가족변인(모취업유무, 가족건강성), 학교환경변인(또래동조성, 학교생활적응)이 휴대폰 중독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봄으로써 가정과 학교에서 청소년의 바람직한 휴대폰 사용과 지도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광주광역시에 거주하는 중학생과 인문계 및 전문계 고등학생 중 휴대폰을 사용하는 666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질문지를 사용하여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PC WIN 14.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이 가장 많이 이용하는 휴대폰의 기능은 문자 메시지였고, 하루 휴대폰 이용 횟수는 41회 이상 이용하는 집단이 가장 많았다. 통화 대상으로는 동성친구가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이성친구가 높게 나타나 휴대폰 이용이 또래관계 형성에 많은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다. 휴대폰 월 평균 이용 요금은 중학생이 2∼3만원, 고등학생이 3∼4만원에 가장 많이 분포하였고 휴대폰을 주로 이용하는 시간은 하교 후 집이 가장 많았다. 휴대폰 이용에 대한 부모님의 태도는 중학생의 경우 일정 금액 이상 이용하지 못하도록 통제하는 경우가 가장 높았으나 고등학생의 경우는 상관하지 않는 경우가 가장 높았다. 휴대폰 이용에 대한 학교의 규제에 대해 중고등학생 모두 보통 정도라고 응답한 비율이 가장 높았다. 둘째, 휴대폰 중독성과 관련변인들의 일반적인 경향을 살펴보면, 먼저 휴대폰 중독성의 경우 평균값은 2.39로 중간값보다 낮게 나타났고, 조사대상자들을 집단으로 분류했을때 비중독군이 32.9%, 중독의존군 59.5%, 중독군 7.5%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청소년의 휴대폰 중독 관련 변인들의 일반적인 경향에서는 자아존중감, 자기통제력, 가족건강성, 또래동조성, 학교생활적응 모두 중간값(3.0)보다 높게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의 휴대폰 중독성은 또래동조성이 높을수록, 학교생활적응이 낮을수록, 고등학생이 중학생보다,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자기통제력이 낮을수록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변인은 청소년의 휴대폰 중독성을 28% 설명해주고 있다.

      • KCI등재후보

        정서경험과 정서표현성 및 이용동기가 인터넷 중독,휴대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변시영 ( Si Young Byun ),조한익 ( Han Ik Joe ) 서강대학교 학생생활상담연구소 2011 人間理解 Vol.32 No.1

        정서가 어떻게 경험되고 표현되는지는 개인의 정신건강 및 적응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이에 정서와 정신건강과의 관계를 주제로 많은 연구들이 수행되어 왔다. 그러나 가장 정서에 민감하고 영향을 많이 받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이들의 비적응적 건강지표인 미디어(인터넷/휴대폰) 중독과의 관계를 살펴본 연구결과는 상대적으로 미흡하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청소년이 평소 비교적 일반적이고 지속적으로 가지고 있는 정서경험 및 이에 대한 표현성이인터넷/휴대폰 중독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진행되었다. 또한 인터넷이나 휴대폰 중독은 그 이용 동기에 따라 중독에 이르는 경로가 다를 것이라 보고 이를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통해 본 연구에서는 미디어 중독에 빠지는 청소년들의 정서적 특징을 확인해보고 인터넷 중독과 휴대폰 중독간의 차이를 검토해보려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지역고등학교 학생 28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를 요약해보면 첫째, 정서경험 강도가 셀수록 인터넷 및 휴대폰 중독 모두에 빠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긍정표현성이 높을수록 휴대폰 중독, 낮을수록 인터넷 중독 정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들이 인터넷 중독과 휴대폰 중독에 빠지는 것은 그 이용 동기에 따라 차이가 있음이 밝혀졌다. The main purpose of the current investigation was to examine the relations among emotional experience,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media (Internet and cellular phone) addiction in the adolescent population. The study also aimed to identify emotional characteristics of those who tend to be addicted to Internet and cellular phone. Results with data from 289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area showed that stronger emotional experiences led to more susceptibility to Internet and cellular phone addiction. It was also found that greater tendency of positive emotional expressiveness led to stronger addiction to cellular phone. By contrast, a lower tendency of positive emotional expressiveness was related to stronger addition to Internet. Lastly, Internet addiction differed from cellular phone addiction in terms of use motivation.

      • KCI등재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 학교적응, 정신건강이 휴대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장성화 ( Sung Hwa Jang ),김순자 ( Soon Ja Kim ),최성열 ( Sung Yeol Choi ),이주연 ( Ju Yeon Lee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3 아동교육 Vol.22 No.4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 학교적응, 정신건강이 휴대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초등학생의 휴대폰 중독 감소를 위한 개입의 기초자료로 활용하는데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 학교적응, 정신건강, 휴대폰 중독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둘째,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 학교적응, 정신건강이 휴대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경기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4개 초등학교에 재학중인 6학년 358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으로 첫째,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 학교적응, 정신건강, 휴대폰 중독간에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 학교적응, 정신건강이 휴대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가를 알아보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 학교적응, 정신건강, 휴대폰 중독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자아존중감, 학교적응과 휴대폰 중독 간에는 부적상관, 정신건강과 휴대폰 중독간에는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초등학생의 휴대폰 중독에는 자아존중감, 학교환경적응, 정신건강의 측면들이 중요한 요인임을 밝혀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elf-esteem, school adjustment, mental health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cellular phone addic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will provide the relevant educational authorities with basic data in order to prevent problems related to cellular phone addiction. The research questions were as follows. First, what kind of correlation are their among the degree of self-esteem, school adjustment, mental health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cellular phone addiction. Second, what are the effects of self-esteem, school adjustment, mental health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cellular phone addic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58 elementary school students located in Gyeonggi-do.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correlations and multiple regressionusing SPSS 18.0.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self-esteem and cellular phone addiction, there were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school adjustment and cellular phone addiction,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mental health and cellular phone addiction. Second, cellular phone addiction appeared to be influenced by the self-esteem, school adjustment, and mental health.

      • KCI등재

        중학생의 휴대폰 중독 유형과 정신건강과의 관계

        한상훈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0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의 휴대폰 중독 유형에 따른 정신건강의 차이를 규명하고 휴대폰 중독과 정신건강이 성별에 따라서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 분석하는 데 있다. 남녀 중학생 195명을 대상으로 휴대폰 중독 검사와 정신건강 검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4.0에 의해 t검증(t-test)과 변량분석(analysis of variance)이 수행되었으며, 신뢰도는 Cronbach\ s α계수를 구했는데, 휴대폰 중독은 .94, 정신건강은 .98로 나타났으며, 분석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 첫째, 중학생의 휴대폰 중독 유형에 따라 정신건강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학생의 휴대폰 중독은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obile phone addiction style and mental health in middle school students, and to explore the differences in their mobile phone addiction and mental health by gender. In order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e questions that this study addresses to answer are as follows: First, are th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middle school students\ mental health as a function of their mobile phone addiction style? Second, are th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their mobile phone addiction by gender? The subjects of the present study consisted of 195 middle school students sampled from 3 middle school in Jeonju city, Korea. The survey instruments used for this study were Mobile Phone Addiction Scale and Mental Health Scale. The statistical methods employed for data analysis were the t-test and ANOVA by SPSS win 14.0. The reliability coefficients(Cronbach α) of these scales were .94 and .98, respectively.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middle school students\ mental health as a function of mobile phone addiction style. Secondl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their mobile phone addiction by gender.

      • KCI등재

        청소년의 휴대폰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대한 메타분석

        이성대,염동문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2012 미래청소년학회지 Vol.9 No.4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variables that affect the teenagers' mobile phone addiction through the analysis of 38 research articles on teenagers' mobile phone addiction in domestic master's and doctoral dissertation and academic journal from the year 2002 to October 2012 in South Korea. The variables affecting mobile phone addiction were divided into family-related variables, school-related variables, friend-related variables, individual-related variables, the mobile phone itself characteristic variables and psychological variables, and then the data were analyzed by SPSS 18.0, STATA 10.0 and MS Excel program. To find out the effect size obtained from the meta-analysis results, verification procedure was re-carried out to verify moderating effects from th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publication year and sample characteristics. Finally, to confirm the bias of survey collected, the results were presented to examine the publication bia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ly, individual-related variables appeared to be the most widely studied parts in teenagers' mobile phone addiction research. Secondly, the impact of the variables of teenagers' mobile phone addiction appeared not only to both positive effects and negative effects, but showed positive to phone itself characteristic variables and negative to school-related variables as largest. Thirdly, the moderating effect was observed out of under elementary school students, over junior high school students and before 2010 and after 2010 research in significant differences. The study can be utilized as the basic data for solving teenagers' mobile phone addiction problems as well as developing reasonable program and suggested some implications on comprehensive approach for solving teenagers' mobile phone addiction problems based on previous researches. 본 연구는 청소년의 휴대폰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알아보기 위해 청소년의 휴대폰중독에 대한 논문이 처음 발표된 2002년부터 2012년 10월까지의 국내 석․박사 학위논문 및 학술지 38편의 논문을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선정된 논문을 바탕으로 휴대폰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가족관련변인, 학교관련변인, 친구관련변인, 개인관련변인, 휴대폰자체특성변인, 심리관련변인으로 나누어 효과크기를 검증하기 위해 SPSS 18.0과 STATA 10.0, MS Excel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분석하고, 메타분석에서 얻어진 효과크기에 대한 조절변인을 규명하였다. 마지막으로, 조사 수집된 논문의 출판편향검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청소년의 휴대폰중독과 관련된 연구에서 가장 많이 연구된 변인은 개인관련변인으로 나타났으며, 둘째, 청소년의 휴대폰중독에 대한 변인들의 영향은 정적인 효과와 부적인 효과가 모두 나타났으며, 정적인 효과는 휴대폰자체특성변인이, 부적인 효과는 학교관련변인이 가장 큰 효과크기를 나타내었다. 셋째, 조절효과는 초등학생이하와 중학생이상, 2010년 이전과 2010년 이후 연구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연구는 청소년의 휴대폰중독 해결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과 접근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으며, 기존의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청소년의 휴대폰중독에 대한 포괄적인 접근을 시도한 점 등의 연구에 대한 몇 가지 함의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청소년의 휴대전화 중독 예방에 대한 교육 요구

        구현영,박현숙 한국아동간호학회 2010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Vol.16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을 대상으로 휴대전화 중독 예방에대한 교육 요구 도구를 개발하여 휴대전화 중독 예방에 대한 교육 요구를 파악하고, 휴대전화 중독 예방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에 기초 자료로 제공하기 위함이었다. 중, 고등학생609명을 대상으로 휴대전화 중독에 대한 교육 요구, 휴대전화중독, 인구학적 특성 및 휴대전화 사용 특성에 관한 설문지를작성하도록 하였고, 요인분석, Cronbach’s a, 기술 통계, t test,일원 분산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청소년의휴대전화 중독 예방에 대한 교육 요구 도구는 우리나라 청소년에게 적합한 도구로 신뢰도와 타당도가 높았다. 청소년의 휴대전화 중독 예방에 대한 교육 요구는 중등도 수준이었고, 영역별로 살펴보면 진단 및 관리, 정의 및 실태, 특성의 순으로 높았다. 또한 성별, 학년, 성적, 건강 상태 인식, 학교생활에 만족하는정도, 문자메시지를 주로 주고받는 대상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있었다. 청소년을 위한 휴대전화 중독 예방에 대한 교육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청소년의 교육 요구와 관련 요인312 구현영∙박현숙J Korean Acad Child Health Nurs 16(4), 2010년 10월청소년의 휴대전화 중독 예방에 대한 교육 요구J Korean Acad Child Health Nurs 16(4), 2010년 10월313을 정확하게 파악해야 함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청소년의 휴대전화 중독 예방에 관한 추후 연구를 격려하고, 청소년의 휴대전화 중독 예방에 관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에 기초 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추후 청소년의 휴대전화 중독 예방 프로그램 개발과 그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를 제언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