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속가능한 하구관리법체제 수립에 관한 연구 -하구관리체제에 대한 비교법적 고찰을 중심으로-

        심영규 ( Young Gyoo Shim ) 한국법정책학회 2011 법과 정책연구 Vol.11 No.4

        하천의 담수(淡水)와 바다의 해수(海水)가 만나 혼합되는 육해(陸海) 전이수역(轉移水域)으로서 하나의 통합적 환경단위를 구성하고 있는 하구(河口, estuary)는 그 복합적인 물리적·화학적 특성으로 인해 독특하고 다양한 생물서식지를 제공하는 등 환경적·생태적 가치뿐만 아니라 매력적인 경제활동 및 주거의 장으로서 경제적·문화적·사회적 가치도 매우 높은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이와 같이 하구가 갖는 다양한 가치와 역할에도 불구하고 금강, 낙동강, 영산강 등 우리나라 주요 하구환경은 지속적으로 파괴·훼손되어 왔으며, 기존의 이용·개발중심의 하구정책을 통해 여전히 개발압력이 점증하고 있다. 미국, 영국, 캐나다, 호주 등 하구관리 선진국들은 일찍이 이러한 하구가 갖는 가치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무분별한 이용·개발압력에 대응하여 하구관리와 관련된 통합법률을 제정·시행하거나 통합적인 하구관리프로그램을 수립·운영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하구환경의 체계적인 보전·관리·이용 및 복원을 위한 정책과 전략을 채택·시행해오고 있다. 이에 비해 우리나라의 경우 현재 하구환경의 관리와 직·간접적으로 연관이 있는 법률이 약 60여 개에 달하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으나, 그 어느 것도 하구를 하나의 독자적인 환경단위이자 통합적인관리대상으로 설정하고 있지 않을 뿐만 아니라, 하구환경을 구성하는 각각의 모든 요소가 밀접한 생태적 관련성을 가지는 하구환경 전체의 고유한 기능과 특성을 반영한 별도의 통합법제도 없는 실정이다. 더욱이 최근 기후변화의 영향이 특히 하구 주변의 연안에서 가시화되고 있으며, 현정부 하에서 추진되고 있는 4대강 사업 등으로 인해 하구환경의 상당한 변화가 예상되므로 체계적이고 지속가능한 하구관리체제의 구축이 시급한 현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이에 따라 하구를 하나의 독자적인 환경단위로 설정하여 하구환경을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별도의 통합법제 수립에 관한 사회적 관심과 요구가 커지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 여건과 환경에 부합하는, 지속가능한 하구관리체제의 구축을 위한 근거법률은 다음과 같은 방향으로 제정되어야 한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① 하구의 효율적인 보전 및 관리에 관한 국가의 중요 정책의 조정과 관계중앙행정기관 및 지방자치단체가 수행하는 하구의 보전 및 관리 업무의 통합·조정을 목적으로 하여야 한다. ② 통합관리원칙에 따라 각각의 개별 하구를 하나의 독자적인 환경단위로서 보전·관리하여야 한다. ③ 하구관리 정책과 프로그램을 통합·조정하기 위한 별도의 기관으로서 국가·지방 하구관리위원회를 구성·운영하여야 한다. ④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하구관리정책의 시행을 위해 국가·지역하구보호구역을 지정·관리하여야 한다. ⑤ 개선·복원대상 하구의 선정과 필요한 개선·복원 대책 및 계획의 수립과 시행에 관한 근거를 제시하여야 한다. ⑥ 하구활동의 실효적 실행을 뒷받침하기 위한 적절한 재정적 지원방안을 확보하여야 한다. 이상과 같은 내용의 입법을 통해 관련 부처간 하구환경 관리정책의 연계를 강화하고 상호간의 정책목적 달성을 극대화함으로써 지속가능한 하구관리의 목적을 효율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새로운 하구관리체제가 수립되기를 기대한다. In spite of diverse values and roles in the environmental as well as economic aspects, existing legal system for the estuary management of Korea has had many problems as follows:absence of definition and geographic boundary of estuary; lack of integration of terrestrial and aquatic ecosystems in the respective estuary; inadequacy of the management system for complex issues between environmental quality and economic development; absence of estuary management system based on the opinions of local residents and stake-holders to solve the respective pending issues of relevant regions; absence of integrative estuary management program, etc. Furthermore, there is no legal system which considers all the closely connected ecological factors consisting an estuarine environment. A few developed countries in the estuary management system, such as the U.S., England, Canada and Australia, having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estuaries, have not only enacted and enforced independent laws regarding estuary management but also established and operated integrative estuary management programs for the systematic conservation, management, use and restoration of estuaries, coping with indiscriminate use and development pressures. In comparison with these countries, among approximate 60 laws directly or indirectly related to the estuary management in Korea, there is not yet a law including independent provisions concerning the systematic conservation, management, use and restoration policies and strategies of estuary, which reflects the unique functions and characteristics of estuarine environment and ecology. Accordingly, there have been increasing social concerns and needs regarding the establishment and legislation to handle the complex issues of estuary more systematically as well as effectively by an organic ecological unit of an estuary. Additionally, it has been a pending problem to establish a systematic and sustainable estuary management system because a considerable change of estuarine environment is expected according to its vulnerability to the impact of climate change and ``4 Great River Projects`` being in progress by the present Korean Government. From this study, the author drew the conclusion that the legal system for the sustainable estuary management, corresponding to the Korean condition and situation, should be established in the following directions : ① The new legal system should be aimed at coordinating and integrating the major policies of both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relating to the effectiv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estuaries. ② Individual estuary, as an integrated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unit, should be conserved and managed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integrated management. ③ National and local estuary management committees should be organized for the purpose of coordinating and performing the estuary management policies and programs. ④ National and local sanctuaries should be designated and managed for the systematic and effective enforcement of estuary management policies and programs. ⑤ A legal basis for not only designation of target estuary for improvement and restoration but also establishment and enforcement of the necessary programs and plans should be suggested. ⑥ An appropriate financial support device which can substantially support the effective enforcement of estuary activities should be secured.

      • KCI등재

        환동해 해양쓰레기와 해양환경 협력체제 구축

        최영진(Choi, Young-Jin) 한국해양대학교 국제해양문제연구소 2021 해항도시문화교섭학 Vol.- No.25

        본 연구는 환동해 국가에서 배출하는 쓰레기가 어떻게 동해로 흘러 들어오는지, 얼마나 되는지 그리고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고찰한다. 동시에, 동해 수역에 발생하는 해양쓰레기는 주로 무엇이며 그리고 해결 방안은 무엇인지를 살펴본다. 부유 쓰레기가 조류와 파도를 통해 중국 동해안에서 한국 남동해안으로, 북한 동해안에서 한국의 동해안으로, 그리고 중국과 한국의 동해안과 극동 러시아에서 일본 서안으로 흘러들어오는 이동 경로를 보여준다. 동북아 해양환경을 위한 북서 태평양 해양 및 연안 환경의 보전, 관리, 개발에 실천 계획(NOWPAP)과 동아시아 해양조정기구(COWBSEA)가 있지만, 북유럽이나 서유럽과 같이 해양환경 제도가 신자유주의적 제도주의 이론이 말하는 자기 완결적 체제를 아직 구축하지 못한 것으로 평가된다. 이들 기구는 느슨한 국제협력 레짐으로서 국가주의적 해양환경관리의 성격이 여전히 강하다고 볼 수 있다. 환동해 국가의 중앙정부, 지방자치단체, 시민단체, 기업체 등이 해양환경관리에 있어서 오염자부담원칙 준수, 해양폐기물 처리 기술 수준, 그리고 이해당사자 간의 유기적이고 중층적 협력체계가 여전히 취약한 것으로 평가된다. 한편으로, 환경보호에 관한 시민의식을 고양시킬 뿐만 아니라 중앙정부의 다양한 부처의 관련 업무를 통합 및 조정하는 국내 ‘협력체제(governance) 정비와 확대’ 개편이 요구된다. 다른 한편으로, 역사문제, 북한 변수 등으로 인해 환동해 해양환경협력체제의 통합적 작동은 현실적 어려움이 있어 현 상황은 제한된 지구적 관리체제 접근법에 불과하다. 그럼에도 불고하고 기존의 다소 느슨한 북태평양 행동계획(NOWPAP), 동아시아 해양조정기구(COBSEA) 등과는 차별되는 강력한 통합적 실천기구인 동아시아 해양환경협력을 위한 제도적 기구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wastes produced from countries of East Sea flows into the other side of East Sea, how much they are and how they affect. We simultaneously take a look at what kind of marine litters are significant and how we can solve the problems. The floating litters are flowing from the eastern China to the southeastern coast of South Korea, from the east coast of North Korea to South Korea and from the coast of Russia Far East and the east coast of South Korea to the west coast of Japan through the currents and waves in East Sea. Although there are the Northeast and Western Pacific Action Plan(NOWPAP) and Coordinating Body on the Seas of East Asia (COBSEA) for the maritime environment in East Asia, it is evaluated that the marine environment system has yet to establish a self-completing entity, as the neoliberal institutional theory suggests. The nature of nationalistic maritime environment management is still strong in East Sea as the loose international regimes. On one hand, besides the technological level of the marine waste disposal, the multi-layered maritime governance among central government, local governments, civic groups, and enterprises in East Sea Rim are assessed to be relatively weak compared to the subregion of the European Union (EU) such as the Baltic Sea region and the North Sea region, On one hand, a reorganization for the maintenance and expansion of ‘governance system’ that integrates and coordinates the related affairs of various ministries, as well as the enhancement of civic awareness on environmental protection, is required. The current situation is merely a limited global governance approach due to the historical matter, the North Korea fact and so forth. Even so, it is necessary to exchange information and knowledge on marine debris among local governments in the East Sea Rim. In addition, it is also necessary to establish an institutional mechanism for East Asian marine environment cooperation, which is a strong integrated action apparatus that is differentiated from the existing somewhat loose North Pacific Action Plan(NOWPAP) and Coordinating Body on the Seas of East Asia(COBSEA).

      • KCI등재

        중국 환경보호법의 최근 동향 —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중심으로 —

        한승훈 한국환경법학회 2018 環境法 硏究 Vol.40 No.1

        Chinese government has introduced the environmental protection law in the amended constitution in 1978 stating “The state must protect its environment and natural resources where it also should regulate and prevent pollution and other damages to the environment” for the first time after constitution, where upon this law the environment protection law has been formally signed into the constitution in 1989 after the start of demonstration of the law in 1979. In addition to the national legislation, China has been participating in various international conferences and signing international agreements for cooperation of environmental protection and for the international economy and society. The new environmental protection law revised in April 2014 base its legislation ideology on the “Construction of Ecological Civilization” and has been greatly revised and enacted from the previous environmental protection law, which can be seen as one of the most significant movement in China's environmental protection law history. The new environmental protection law's main characteristics are the following. Firstly, There are five basic principles of regulation while having the “Construction of Ecological Civilization” as the legislation basis, which are keeping priority of environmental protection, precaution crucial, integrated management, public participation and liability for damage. Secondly, the main agents of environmental protection has been expanded overall from corporates, operators and manufacturers to government and the public, including many other social communities. Thirdly, the supervision and management of environmental protection experienced a positive turning point where environmental protection management institution can order seizure and sealing of corporates when violation of environmental protection law occurs, environmental protection field has been included in performance evaluation of public officers of China and environmental investigation measurement offices being built around the nation with the new legislation. Fourthly, the environmental responsibility of the government and the corporates has been reinforced as government can impose fine on corporates with fines calculated on a daily basis, can suspend production, operation, order closure of business or execute confinement transferred by the police department according to the regulation they violate. Environmental effects evaluation institute, environmental investigation measurement institutes, environmental investigation equipment or facility related institutes will be jointly held responsible to the violated corporates they are involved with, and the public officers involved can be demoted, released from position or dismissed from the workplace where advisory resignation can also be imposed on the public officer that has significant responsibility. Lastly, citizens of China, corporates and other organizations can obtain environmental information and participate and supervise in environmental protection in accordance with the legislation, which holds regulation on the government and corporates about public disclosure of information and on the specific conditions about the environmental NGOs. The new environmental protection law has been reformed for the first time after 25 years and it is renowned for being the most strict in its history with the Chinese government strongly pushing forward the related legislation and law enforcement. However, the fact that minor flaws and defects exist cannot be denied. This thesis/paper includes research focused on the problems and resolutions of the decentralization of environmental authority in the central and local areas, effective business cooperation between environmental management institutions, reinforcement on management and supervision of environmental management institutions, maladjustments and execution power of China's 중국은 1978년에 수정된 헌법에서 “국가는 환경과 자연자원을 보호하고, 오염과 기타 공해를 예방 및 관리한다”라고 규정하여 최초로 환경보호를 헌법에 도입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1979년 환경보호법을 시범적으로 도입한 후 1989년에는 환경보호법을 정식으로 입법하였다. 또한 중국은 국내 입법을 비롯하여 국제회의 참석과 국제협정 체결을 통해 국제사회와 환경보호를 위해 다양한 협력을 하고 있다. 2014년 4월 개정된 신환경보호법은 “생태문명 건설”을 입법 이념으로 하여 기존의 환경보호법을 대폭 수정하여 제정하였으며 중국 환경보호법 역사에 한 획을 그었다고 할 수 있다. 중국 신환경보호법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생태문명 건설을 입법 이념으로 하면서 환경보호 우선원칙, 예방위주원칙, 종합관리원칙, 대중참여원칙, 피해책임 및 배상원칙등 5대 기본원칙을 규정하였다. 둘째, 환경보호 주체가 기업과 생산 경영자에서 정부기관, 대중, 기타사회 단체까지 포함 시켜서 환경보호의 주체들이 전반적으로 확대되었다. 셋째, 환경관리 기관이 환경 위법행위 적발시 봉인ㆍ압류할 수 있고, 공무원 인사 고과에 환경보호 분야를 포함 시켰으며, 전국적으로 환경조사 측정소를 설치하면서 환경관리와 감독의 방식이 전환하게 되었다. 넷째, 기업에 대해서는 1일 기준 벌금 부과, 공장의 영업정지와 폐업, 구류 처벌등을 할 수 있고, 공무원에 대해서는 직급 강등, 직위해제, 면직 및 권고사직도 가능할 수 있을 정도로 기업과 정부에 대한 환경 책임이 상당히 강화되었다. 다섯째, 공민, 법인 및 기타 조직은 법에 근거하여 환경정보를 획득 할 수 있고 환경보호에 대한 참여 및 감독이 가능하며, 정부와 기업의 정보공개 규정을 두고 있으며 환경사회단체(NGO)의 구체적인 조건도 명시하였다. 25년 만에 개정된 신환경보호법은 역사상 가장 엄격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으면서 중국 정부가 관련 입법과 법집행을 강력하게 추진하고 있지만 부족한 부분들이 있는 것도 현실이다. 본 논문에서는 중국 환경보호법의 문제점과 해결방안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 KCI등재

        내항선안전관리체제 운영의 내실화 방만에 관한 연구

        정정호,노창균,정건명,윤명오,Chong, Chong-Ho,Noh, Chang-Kyun,Chung, Kun-Myung,Youn, Myung-Ou 해양환경안전학회 2006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12 No.4

        우리 정부와 해운기업은 해상에서의 인명 및 환경보호를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아직까지 내항선에서의 안전관리가 미흡하여 내항선에 맞는 체계적이고 현실적인 안전관리체제 운영의 내실화 방안이 절실하다. 본 논문은 관련기관 및 해운기업에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실증분석을 통하여 현 내항선안전관리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하여 우리나라 내항해운에 적합한 안전관리체제의 내실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We badly need the plans to promote practical and systematic utilization of safety management system as the safety management in coasters is not yet sufficient although the government and shipping companies are making efforts to protect human life and environment in ocean. This thesis executed questionnaire survey on related organizations and shipping companies followed by proof analysis and suggest plans to make it useful safety management system suitable to coastal marine transport of the country through grasping and improving the points of problems in current safety management on coastwise vessels.

      • KCI등재

        환경규제정책의 순응확보 전략

        윤종설 한국정책개발학회 2006 정책개발연구 Vol.6 No.2

        이 논문의 목적은 우리나라 환경규제정책의 자율성과 통합성 및 순응도를 함께 제고시켜 친환경국가로 진입할 수 있도록 환경규제정책의 순응확보전략을 제시하고자 함에 있다. 그러나 세계 각 국들은 환경규제순응을 확보하기 위해 각국의 특성에 맞는 다양한 규제수단을 선별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최대한 우리의 특수상황을 고려하고, 환경선진국의 규제정책 기조라 할 수 있는 자율규제, 자발적 협약, 자발적인 참여유인으로써 경제적 유인, 의사전달의 활성화, 엄격한 사후규제수단들을 도입ㆍ정착시키기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 이러한 취지에서 이 글은 우리나라 환경규제정책의 순응성 제고전략 차원에서 보다 바른 이해와 설명을 위해 다음 세 가지에 초점을 맞추어 기술하였다. 첫째, 환경규제정책의 순응과 불응에 대한 기초이론, 순응확보수단과 기대효과, 그리고 이와 관련한 선행연구를 고찰하였다. 둘째, 우리나라 환경규제정책에 있어 순응확보의 일반적인 문제점과 환경정책 선진국과 비교적 차원에서의 문제점들을 고찰하였다. 셋째, 우리나라 환경규제정책의 순응확보 전략으로 순응확보를 위한 기본 방향과 환경규제의 효율성ㆍ융통성ㆍ적실성 제고차원에서의 순차적 순응확보전략을 제시하였고, 환경 선진국의 순응확보 수단에 대한 벤치마킹 가능성 등에 대해 고찰하였다.

      • KCI등재

        전자기록 환경 하의 현행 평가제도 개선방향 분석 -평가방식 및 평가체제를 중심으로-

        김명훈 한국기록학회 2009 기록학연구 Vol.0 No.19

        Appraisal in electronic record environments is performed focusing on not content but function in which the records are created. Functional appraisal is practically supported in that electronic records composed of 0 and 1 of the bit-stream is unable to be evaluated individually. But the most important reason functional appraisal is performed in electronic record environments is that functional appraisal can select electronic records which assure business context and recordness, and need to run organization and perform business. In Korea, functional appraisal has adopted in course of renovation of national record and archive management system, but methods and logics of functional appraisal have numerous problems. To do so, this article discusses current appraisal system and methods of korea which has renovated confronting with electronic record environments, and then proposes the improvement directions on appraisal system and methods of Korea in electronic record environments from the perspective of long-term views. In this respect, this article proposes the improvement directions on current appraisal system and methods of Korea as follows. First, business functional analysis of each agency in functional appraisal should greatly strengthen. Second, it is necessary to devise proper methods for selecting primary values at current stage of electronic records, and to reinforce appraisal of records as knowledges and informations. Finally, functional appraisal, which inevitably carries out for appraising electronic records, has defects in aspect of selecting archives important in a national point of views. Therefore this article suggests the necessity of archival appraisal strategies that complement functional appraisal. This appraisal system is able to establish a base of the regime of archival appraisal which will harmonize primary value at current stage with secondary value at non-current stage in a national point of views. 최근의 전자기록 환경을 맞아 기록물의 평가는 개별 기록의 내용적 가치에 따른 선별을 지양하고, 기록이 생성된 맥락인 기능에 대한 분석을 기반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기능평가는 0과 1의 비트스트림으로 구성된 방대한 양의 전자기록물을 일일이 평가할 수 없다는 현실적 측면에서도 지지를 받지만, 무엇보다 전자기록의 증거성 확보를 위해 행해지는 사전적인 업무분석과 밀접히 연계되어 수행된다는 점에서 전자기록 환경 하의 주된 평가방식으로 자리하게 된다. 우리나라도 지난 2006년 전자기록 환경에 대응한 기록관리혁신 과정에서 평가체제를 개편해 기능에 기반을 둔 평가방식으로 전환하였다. 이를 위해 정부기능분류체계를 기록물 분류체계로 삼아 업무분류와 기록분류를 통합시킴과 아울러 BRM 분류체계 내의 단위과제라는 기능에 보존기간을 책정케 함으로써 평가 상의 기능적 접근을 의도하였다. 하지만 기능평가에 대한 심도 있는 분석과정이 결여된 채 개편작업을 추진함으로써, 평가의 논리 및 구체적 수행방식 면에서 여러 문제점들이 노정되어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전자기록 환경을 맞아 새롭게 개편된 현행 평가제도의 개편 논리 및 수행방식을 분석한 다음, 평가방식 상의 문제점과 함께 그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현행 평가제도는 기록물분류기준표를 근간으로 한 종전 제도의 단점을 보완하면서도 전자기록 환경에 대응하여 개편되었다는 점에서, 전자기록 환경 하의 중요기록 선별을 위한 제도적 골격을 마련하였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평가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어떠한 대상을 어떠한 목적으로 선별할 것인가에 대해서는 그 철학 및 방책이 부족하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고에서 제시한 개선 방향을 크게 구분하자면, 우선 보존기간 책정을 기반으로 한 현행 평가방식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각 기관별 업무분석을 대폭적으로 강화시킬 필요가 있다는 점이다. 둘째 전자기록의 현용적 가치 내지 필요성을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방안 수립이 필요하며, 셋째 기록이 지닌 정보로서의 가치 선별을 강화시킬 방안 역시 마련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마지막으로는 국가적 차원의 중요기록물을 선별할 수 있는 별도의 평가전략 수립이 시급히 요청된다는 점과 더불어, 이를 기반으로 이원적 구도의 국가 평가체계를 형성해야 한다는 점이다.

      • KCI우수등재

        통합정책을 위한 환경관리체제: 사전 예방적 대응

        이화춘 ( Lee Hwa Chun ) 한국행정학회 2004 韓國行政學報 Vol.38 No.2

        생태계와 경제계를 통합하려는 시도는 단기적 경제이익 보다는 장기적인 지속가능발전을 염두한 것이다. 지속가능성은 자연자본의 유지 혹은 자원의 유지라는 지구상 생태계서비스의 가치와 자연자원의 가치를 인간사회에 제공하기 위한 편익을 고려한 것이다. 그 동안 생태계와 경제계의 상호작용을 고려하지 않은 국토계획, 단지계획, 사업계획과 개발로 지속적인 환경훼손이 진행되어 왔다. 즉 인간이 생활하는 경제시스템에서 생태적 시스템인 환경용량, 평형, 순환, 자기조절 등의 개념은 인식하지 않거나 배제되어왔다. 그래서 생태계와 경제계를 통합하는 3단계의 환경관리체제가 필요한 것이다. 우선 정책형성단계에서는 생태성과 경제성을 반영하는 합리적 정책형성 아이디어가 요구된다. 이는 경제주체에 의한 경제행위가 생태계의 상호연관성, 순환성, 자기조절 기능을 고려하고 생태계의 생명부양유지 능력을 보전하여 질적 경제성장을 이루기 위한 사전 예방적 노력이다. 정책집행 단계에서는 정책주체에 의한 4단계 관리시스템을 통하여 자연친화적 기술, 에너지절약 기술, 자원절약 기술을 동원한다. 정책평가관계에서는 산출평가, 결과평가, 영향평가를 통하여 자연친화적 재료와 기슬의 사용여부, 동식물의 서식기능에 부작용 여부 그리고 인간의 생명에의 영향을 평가하게 된다. 통합정책을 위한 환경관리체제는 정책적 대안을 수립하고 선택, 집행, 평가함에 있어 생명부양유지를 위한 생태적인 목표와 질적 경제성장을 위한 경제적 목표를 통합시키기 위한 체제론적 시도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Environmental Mnangement System to integrate the ecosystem with economic system. The attempt to integrate ecosystem with economic system is aimed at long-term sustainable development than short-term economic advavantages. Ecological sustainability contains global ecosystem services which preserves natural capital, resource and benefit of natural value for human society. Environment has been continuously damaged due to land, housing and other industrial plan which didn`t consider the inter-dependancy between economic system and ecosystem. The economic system in which human lives, the concept, such as environmental capacity, equilibrium, circulation, and self-control, haven`t been considered seriously. Consequently, three steps are needed for environment management system. This is preventive effort of improve the quality of economic growth by keeping ecosystem`s life suppport ability. First of all, rational policy agenda-setting idea which considers both economic and ecosystemin policy setting stage is needed. In policy executing stage, nature friendly technique, energy conserving technique and saving natural resource technique are used through 4-stage managing system by policy executer. In policy assessing stage, it assesses whether it uses the nature friendly raw materials and technique, results in bad effect to animals, plants habitation and human life. The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for integrating Policy is a systematical trial to combine economic goals for qualitative economic growth with ecological goals for life sustenance when it set agenda and selects, executes and assesses policies.

      •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수도권 환경행정 통합협력체제 구축

        문태훈(Tae-Hoon Moon) 경기연구원 2006 경기논단 Vol.8 No.3

        This paper examines ways of strengthening current regional administrative system in Seoul Metropolitan Area(SMA) especially in the area of environmental administration. For this purpose this paper relied on existing literature review on this issues and made some suggestions for future direction of SMA’s integrated environmental administration system. Current regional environmental administration system was criticized for its shortcomings of dealing with sustainable issues and problem that goes beyond administrative boundary. Suggestion for this problem in this paper is to broaden the scope and goal of integrated environmental administration system to include sustainable development issues. In order to make this happen, it was argued that it is necessary to consider adopting elements of growth management policy system in SMA to replace Seoul Metropolitan Area Readjustment Planning Act. Organization for growth management as a form of council, consisted of members of local governments in SMA, was also suggested.

      • KCI등재SCOPUS

        전자기록 환경에서의 세계 각국 평가체제 개편에 관한 연구 - 국가적 차원의 영구보존기록 평가전략을 중심으로 -

        김명훈,Kim, Myoung-Hun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과학기술정보센터 2008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Vol.39 No.2

        본고는 전자기록 환경에서의 국가 평가체계 정비 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시론적 연구로서의 의미를 지닌다. 전자기록 환경에서의 필연적인 평가방식이라 할 수 있는 기능평가는 국가적 차원의 영구보존 기록 선별에는 일정 한계를 지닌다. 이에 본고에서는 우선 기능평가가 지닌 한계를 논의한 다음, 이를 보완하기 위한 방안으로 영구보존 대상 평가전략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그리고 이에 대한 구체적인 사례를 고찰하기 위해, 호주의 범정부 기능분석, 영구의 평가정책 및 수집정책, 독일의 다기관협력 평가전략, 캐나다의 거시평가 전략을 분석하였다. 결국 이러한 분석은 현용 가치와 사회적 가치가 조화된 국가 평가체계의 토대를 제공해주게 된다. This article intends to provide a direction for reconstructing the national regime of archival appraisal in electronic record environments. Functional appraisal, which inevitably carries out for appraising electronic records, has defects in aspect of selecting archives important in a national point of views. To do so, this article discusses defects of functional appraisal, and then suggests the necessity of archival appraisal strategies that complements functional appraisal. To investigate this archival appraisal strategies, it analyzes Australia's Whole-of-Government Functional Analysis, United Kingdom's Acquisition Policy and Appraisal Policy, Germany's Cooperative Cross-Archives Appraisal and Canada's Macro Appraisal. Ultimately, this analysis is able to establish a base of the regime of archival appraisal which will harmonize primary value at current stage with secondary value at non-current stage in a national point of view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