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홍수 유출자료의 공간확장과 홍수저감효과에 대한 댐 영향 분석 II

        정용,김남원,이정은,Jung, Yong,Kim, Nam Won,Lee, Jeong Eun 한국수자원학회 2015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48 No.3

        본 연구는 홍수 유출자료의 공간확장에 대한 중간 시설물 (e.g. 댐)의 영향 연구의 연장으로, 공간확장된 시간당 홍수 유출자료를 활용해 댐의 홍수조절 특성과 댐의 홍수저감률 변화를 공간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횡성댐과 충주댐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남한강 본류를 연구중심지역으로 선정하였다. 댐의 홍수저감률에 대한 댐 자체 분석에 의하면 홍수사상 크기가 커질수록 댐의 홍수저감률이 작아지는 것을 횡성댐과 충주댐 모두 보였다. 두 댐의 영향을 받는 여주 수위관측소에서 유역면적의 비와 홍수저감률과의 관계는 댐이 포함하는 유역이 커질수록 홍수저감률이 커지는 특성이 있으며 선정된 수위관측소에서의 평균 홍수저감률은 유역면적비에 비해 작게 나타났다. 일예로, 첨두홍수량(peak discharge)을 기준으로, 횡성댐과 충주댐의 유역면적비가 0.02와 0.6인데 평균 홍수저감률이 0.01와 0.51로 나타났다. 댐에서 떨어진 거리의 수위관측소에서도 홍수의 크기에 따른 홍수저감률은 댐 자체의 홍수저감 특성과 동일하게 작용하였다. 댐의 홍수저감률에 대한 공간적 영향범위를 세 곳의 수위관측소(강천, 여주, 양평)를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이 과정을 통해 댐을 포함하는 유역면적의 7배에 해당하는 유역면적에서는 홍수저감률이 약 0.1이하로 떨어졌고, 최저 0.02까지 떨어지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This is a continuous study on the dam effects for the spatial extension of flood data. In this study, flood reduction rates of dams and their influences on downstream using the spatially extended flood data were implemented. Nam-Han River was selected for measuring the impacts of ChoongJu and HoangSung dams. In the evaluations of flood reduction rate at dams, the larger flood events have the lower flood reduction rates for both dams. At the YeoJoo water level station, the analyses of the relations between flood reduction rates and the sizes of watersheds dams located were performed. the sizes of watersheds having a functional dam have highly influenced on the reduction rates of flood. The average of flood reduction rates was smaller than the area rate. For instances, area rates of HoangSung (0.02) and ChoongJu dams (0.6) are larger than the average flood reduction rates for HoangSung (0.01) and ChoongJu dams (0.51), respectively. However, the water level station follows the dam flood reduction characteristics of dams themselves. The spatial effects of dam flood reductions are analyzed based on the three water level stations (GangChun, YeoJoo, YangPyung). The distance of flood reduction rates lower than 0.1 as average flood reduction rate was the area 7 times of watershed having a dam with 0.02 as a minimum reduction rate.

      • KCI등재

        홍수 유출자료의 공간확장과 홍수저감효과에 대한 댐 영향 분석 II

        정용,김남원,이정은 한국수자원학회 2015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48 No.3

        본 연구는 홍수 유출자료의 공간확장에 대한 중간 시설물 (e.g. 댐)의 영향 연구의 연장으로, 공간확장된 시간당 홍수 유출자료를 활용해 댐의 홍수조절 특성과 댐의 홍수저감률 변화를 공간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횡성댐과 충주댐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남한강 본류를 연구중심지역으로 선정하였다. 댐의 홍수저감률에 대한 댐 자체 분석에 의하면 홍수사상 크기가 커질수록 댐의 홍수저감률이 작아지는 것을 횡성댐과 충주댐 모두 보였다. 두 댐의 영향을 받는 여주 수위관측소에서 유역면적의 비와 홍수저감률과의 관계는 댐이 포함하는 유역이 커질수록 홍수저감률이 커지는 특성이 있으며 선정된 수위관측소에서의 평균 홍수저감률은 유역면적비에 비해 작게 나타났다. 일예로, 첨두홍수량(peak discharge)을 기준으로, 횡성댐과 충주댐의 유역면적비가 0.02와 0.6인데 평균 홍수저감률이 0.01와 0.51로 나타났다. 댐에서 떨어진 거리의 수위관측소에서도 홍수의 크기에 따른 홍수저감률은 댐 자체의 홍수저감 특성과 동일하게 작용하였다. 댐의 홍수저감률에 대한 공간적 영향범위를 세 곳의 수위관측소(강천, 여주, 양평)를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이 과정을 통해 댐을 포함하는 유역면적의 7배에 해당하는 유역면적에서는 홍수저감률이 약 0.1이하로 떨어졌고, 최저 0.02까지 떨어지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This is a continuous study on the dam effects for the spatial extension of flood data. In this study, flood reduction rates of dams and their influences on downstream using the spatially extended flood data were implemented. Nam-Han River was selected for measuring the impacts of ChoongJu and HoangSung dams. In the evaluations of flood reduction rate at dams, the larger flood events have the lower flood reduction rates for both dams. At the YeoJoo water level station, the analyses of the relations between flood reduction rates and the sizes of watersheds dams located were performed. the sizes of watersheds having a functional dam have highly influenced on the reduction rates of flood. The average of flood reduction rates was smaller than the area rate. For instances, area rates of HoangSung (0.02) and ChoongJu dams (0.6) are larger than the average flood reduction rates for HoangSung (0.01) and ChoongJu dams (0.51), respectively. However, the water level station follows the dam flood reduction characteristics of dams themselves. The spatial effects of dam flood reductions are analyzed based on the three water level stations (GangChun, YeoJoo, YangPyung). The distance of flood reduction rates lower than 0.1 as average flood reduction rate was the area 7 times of watershed having a dam with 0.02 as a minimum reduction rate.

      • KCI우수등재

        댐의 홍수조절에 대한 공간적 영향 분석

        정용,김남원 대한토목학회 2018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38 No.3

        This study analyzed the role of dams for the flood control by the observed and simulated hourly flood discharge data. The study areawas the Nakdong river basin with Andong and Imha dams. For the analysis 31 flood events from 1997 to 2010 were selected. In theanalysis of the flood reduction rate (FRR) of dam itself, the FRR was not decreased with higher size of floods which is not as weexpected. In order to see the trend of flood reduction rate depending on the flood size, flood discharge volume presents it better thanpeak flood discharge. In the comparison of the flood reduction effects of the two dams, Andong dam has 7% larger flood reductioninfluence at the Sungju gauging station (SGS) located farthest from the selected watershed. Comparing the ratio of the watershed areabased on the covered size of the SGS, the FRR of dam is smaller than the area rate. The impact of FRR of dam showed that the FRR fell below 10% when reaching the size of watershed area corresponding to 8.5 times of the size of watershed area of the dam which is larger than Namhan river basin (7 times). 본 연구는 댐의 시간당 홍수유출자료와 강우-유출모형의 모의를 통해 댐의 홍수조절에 대한 역할과 댐 상류 및 하류의 공간적인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를 위한 연구지역으로 안동댐과 임하댐의 영향을 받는 낙동강 상류유역을 선정하였으며 1997년부터 2010년까지의 홍수사상 31개를 분석하였다. 댐의 홍수저감율(Flood Reduction Rate: FRR) 분석은 홍수규모가 커질수록 댐의 방류가 커져 댐의 홍수저감율이 작아질 것으로 예상하였으나 몇몇 사상을 제외하고 예상과 다른 결과를 보였다. 홍수크기와 홍수저감율의 관계성은 유출총량(Volume)이 첨두 유출량 (Peak discharge)보다 잘 나타내었다. 선정 유역에서 가장 거리가 있는 성주수위관측소에서의 두 댐 영향은 댐상류 유역면적이 크고 홍수저감율이 큰 안동댐이 평균적으로 7% 크게 영향을 미쳤다. 성주수위관측소가 포함하는 유역을 기준으로 유역면적의 비와 홍수저감율의 비를 비교하면 댐의 홍수저감율은 면적의 비보다 대부분 작게 나타나는 것을 보였다. 댐의 홍수저감율의 영향은 댐이 포함하는 유역면적의 8.5배에 해당하는 유역면적에서 홍수저감율이 10% 이하로 떨어지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이는 남한강유역의 결과(7배)보다 크게 나타난 것이다.

      •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경안천 유역의 적정 홍수저감 대안 선정

        한대건,최창현,장홍석,최영주,김덕환,김형수 한국재난정보학회 2015 한국재난정보학회 학술대회 Vol.2015 No.11

        최근 기후변화로 인하여 태풍 및 집중호우로 인한 극한 강우사상의 발생빈도가 증가하고 있으며, 급격 한 도시화로 인한 유역 내 불 투수 면적이 늘어나고 있다. 이로 인해 재산피해가 증가하고 있어 기후 변화를 고려한 미래 하천범람 등 홍수피해를 경감시키기 위한 홍수저감 대안 선정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를 고려하여 목표기간별로(기준년도 : 1971∼2010년, 목표기간Ⅰ : 2011∼2040 년, 목표기간Ⅱ : 2041∼2070년, 목표기간Ⅲ : 2071∼2100년) HEC-HMS모형을 이용하여 기후변화에 따 른 홍수량을 산정하였다. 또한, 배수펌프(A∼E)와 저류지(A∼E)를 홍수저감 대안으로 설정하여 HEC-RAS모형을 통해 대안별 홍수위를 산정하였다. 지형자료 및 홍수위를 이용하여 홍수범람도를 도 시하였으며, 다차원 홍수피해액산정법(Multi dimension – Flood Damage Analysis ,MD-FDA)을 이용 하여 홍수피해 저감을 위한 대안별 경제성분석을 실시하였다. 홍수저감효과를 분석한 결과 배수펌프를 설치했을 경우 홍수위는 최소0.06m, 최대0.44m 감소하였고, 저 류지는 최소0.01m, 최대1.86m 감소하였으며, 침수면적은 최소 0.3%, 최대 32.64% 감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경제성분석을 실시하여 대안별 편익·비용비를 비교한 결과 목표기간Ⅰ에서는 저류지 E, 목표기간Ⅱ, 목표기간Ⅲ에서는 배수펌프D가 기후변화를 적응을 위해 타당한 홍수저감 대안으로 판단되었다.

      • KCI등재

        이상홍수에 따른 남한강 유역의 홍수저감대책 분석

        안재황,이재응,최창원 한국방재학회 2011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1 No.5

        The rainfall characteristics is changing in Korea due to a climate change and global warming occurring all over the world. Because mean annual precipitation is increasing while the total precipitation days are decreasing, ultimately the rainfall intensity is increasing. Considerable losses are expected because of abnormal floods.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reasonable countermeasures to cope with disaster due to a climate change by suggesting diverse alternatives. The goals of this study are to assess the vulnerability for abnormal floods, to analyze the disaster decrease capability by applying the diverse disaster prevention alternatives, and to derive the suitable alternative. The South Han River Basin selected as a test basin controls floods only with Chungju multi-purpose reservoir and levee. Since the flood control capacity of Chungju reservoir seems not to be sufficient compared to its large catchment area, the operation of Chungju reservoir may affect the state of flood damages in the upstream and downstream of the reservoir. The flood discharge close to the design flood occurred at Yeoju bridge, which is the one of the main control points in the test basin, from July of 2006 storm. That shows the weakness for flood protection in the test basin. Accordingly, the flood event of 2006 is analyzed and the storm events equivalent to 1 ∼ 1.5 times are simulated for the basin vulnerability. Finally, the flood decrease alternatives are established based on the analyzed flood vulnerability and the capability of flood management is assessed for each alternative in case of PMF occurrence in Chungju reservoir basin. The results show that the development of a new reservoir, one of the structural methods is the most efficient alternative if the suitable reservoirs system operation is accomplished. 전 세계적으로 진행 중인 지구온난화와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한국의 강우특성이 변하고 있다. 연평균 강우량은 예전에 비해 증가하는 반면 강우일수는 감소하여 강우강도는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강우강도의 증가에 따라 이상홍수의 발생빈도 또한 증가하고 있어 이상홍수에 의한 대규모 피해발생이 예상된다. 따라서 기후변화로 인한 재해 발생에 대처하기 위한 다양한 대책들을 제시하고 검토하여 이상홍수에 대한 합리적 대응방안 수립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시험유역을 선정하여 시험유역에서 이상홍수 발생 시 이상홍수에 대한 취약성을 평가하고, 다양한 방재대책을 적용하고 각 방재대책에 따른 재해저감능력을 분석하여 적합한 방재 개선안을 도출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시험유역으로 선정된 남한강유역은 비교적 넓은 유역면적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홍수조절용량을 가진 충주다목적댐에만 의존해 홍수조절을 실시하고 있으며, 충주댐의 운영에 의해 충주댐 상·하류에 위치한 도시들에 홍수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시험유역에서는 2006년 7월 발생한 호우에 의해 충주댐 하류에 위치한 주요지점인 여주대교 지점에서 계획홍수량에 근접하는 홍수가 발생하는 등 홍수방어에 대한 취약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2006년 발생한 홍수사상을 분석하고, 실측 강우사상의 1∼1.5배에 해당하는 강우가 발생할 경우에 대한 모의를 통해 시험유역의 홍수 취약성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분석된 홍수 취약성을 기초로 몇 가지 홍수저감대책을 수립하고 충주댐 유역에 PMF(Probable Maximum Flood)가 발생할 경우 각 저감대책에 따른 홍수대응능력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댐 사이의 연계운영이 적절하게 이루어진다면, 구조적인 방법 중 하나인 신규댐을 건설하는 방안이 가장 효과적인 홍수저감대책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 기후변화를 고려한 도시지역 홍수재해저감종합대책 수립 방안

        정태성 한국방재학회 2015 한국방재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14 No.-

        최근 10년간 우리나라 재해특성을 분석한 결과 호우에 의한 홍수피해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도시지역에서의 홍수피해가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5년간 총 25개 시·군 77개 동이 2회 이상 반복적인 주택침수를 겪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서울시는 2010년과 2011년 집중호우로 광화문, 강남역 등 도심지역에서 홍수피해를 입기도 하였다. 이렇듯 도시지역에서 홍수피해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원인은 강우패턴 변화와 지역집중현상 증가 그리고 강우강도의 증가를 들 수 있으며, 도시화로 인한 불투수성 증가, 위험지역으로의 주거지역 확대, 무분별한 도시계획 등을 꼽을 수 있다. 도시 지역에 활용 가능한 도시홍수저감대책으로는 우수유출저감시설, 하수·우수관거, 펌프장, 하천시설 그리고 분리배수시설 등이 있다. 현재 도시는 i) 전기배선, 통신라인 등 각종 지중 매설물 설치로 인한 우수·하수관거 확대 및 정비 어려움, ii) 계획홍수위 보다 낮은 지역에 주거지가 형성된 경우 계획홍수위 조정이 필요하나 도시화로 하천확대 및 정비 어려움, iii) 부처별로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있는 등 하천, 펌프장, 하수관거, 우수유출저감시설을 동시에 고려하는 홍수재해저감종합대책 수립 어려움 등의 문제점을 낭고 있어 홍수저감대책을 효과적으로 수립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지역 홍수재해저감종합대책 수립을 위한 방안으로 일본의 특정도시하천특별법을 통한 도시지역 침수피해 저감 사례 등 국외 사례를 통해 하천, 펌프장, 하수관거, 우수유출저감시설을 동시에 고려하는 홍수피해저감대책 수립방안을 소개한다. 더불어 이러한 대책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중앙정부, 지방정부, 전문가, 지역주민, NGO 등이 함께 참여하는 협의체 구성을 소개한다.

      • KCI등재

        금강 상류 유역의 저수지 홍수저감지수 산정

        고아라,이효상 한국방재학회 2011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1 No.5

        Dams and reservoirs have been charged as important flood protection structures; likewise, attenuation effects of flooding have been highlighted due to recent climate change. However, it is difficult to generalize effects of flood attenuation by reservoirs in catchment scale because the flood attenuation index has not yet been used in Korea. This study estimates Reservoirs Flood Attenuation Index (RFAI) for catchment based on 739 reservoirs in 15 upper Geumgang catchments. The RFAI employs the method of Flood Attenuation by Reservoir and Lakes index (FARL), Flood Estimation Handbook, UK. All hydrological data for RFAI are provided by Water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WAMIS) and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KMA). The value of RFAI range from 0.859 to 0.990; The Jincheon catchment with the lowest RFAI values (0.859) shows the highest attenuation effects in study catchments, while the Sangjocheon has 0.990 which indicates the low influence of attenuation effects. Yeongdong catchment is examined for the effects of built of large reservoir on RFAI; The RFAI is changed 0.894 from 0.980 due to the built of Yongdam Dam, which was constructed in 2001. In this study RFAI is shown as an useful index in assessing flood characteristics for catchment managements. 최근 기후변화 등으로 인하여 홍수의 위험이 증대되고 있고, 이에 대한 대비로 홍수조절을 위한 댐 및 저수지 등의 역할이 강조되고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유역 내 중소규모의 저수지등에 의한 홍수저감효과에 대한 지수가 제시되어있지 않아, 이의 객관적인 비교가 어려운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유역의 저수지 홍수저감효과를 지수화한 유역특성인자의 산정을 위하여, 영국의 홍수량산정방법(Flood Estimation Handbook)의 저수지 및 호수의 홍수저감지수를 금강 상류 15개의 소규모 유역(총 739개의 저수지를 대상)에 적용하였다. 이를 위하여 국가수자원관리포탈(WAMIS)의 유역의 자료, 소재 저수지 제원, 유역수문자료 등을 바탕으로 저수지 홍수저감지수를 산정하였다. 대상 유역의 홍수저감지수는 0.859~0.990의 분포를 보이고 있으며 저수지에 의한 홍수저감효과가 가장 큰 유역은 진천 유역이다. 영동유역을 대상으로 2001년에 완공된 용담댐의 준공 전후의 홍수저감지수를 산정한 결과 준공 전 -0.98에서 준공 후-0.894로 산정되어 지수반영 효과를 확인 하였다. 향후 국내 유역의 홍수저감 특성인자로 활용가능성이 높음을 확인 하였다.

      • KCI등재후보

        월류부특성변화에 따른 천변저류지군의 홍수저감효과분석

        백천우,김복천,안태진 한국방재학회 2009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9 No.1

        댐과 같은 대규모 수리구조물의 신설이 점차 어려워짐에 따라, 이에 대한 대안으로 천변저류지의 설치가 검토되고 있다. 천변저류지는 규모가 작은 시설물로 홍수량, 유입수문곡선, 천변저류지 용량 및 월류위어의 월류고 등에 따라 홍수저감효과가 민감하게 반응한다. 따라서 최대의 홍수저감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홍수저감효과를 기대하는 홍수사상에 적합한 월류고를 적용하여야 하며, 본 연구에서는 월류고 값의 변화가 천변저류지군의 홍수저감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보았다. 이를 위해 천변저류지의 최적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개발된 기존의 의사결정모형을 사용하였다. 천변저류지의 위치를 결정변수로 사용하고 홍수저감목표지점에서의 홍수저감효과를 최대화하는 과정을 통해 천변저류지의 최적위치를 결정하는 의사결정모형에 월류고의 높이를 결정변수로 추가하여 수정하였다. 제안된 모형을 안성천 유역에 적용하여 기존의 연구결과와 비교하였으며, 모형의 적용결과 대상 홍수사상에 대해 보다 효율적인 홍수저감이 가능토록 하는 월류고 및 위치를 결정 할 수 있었다. Because it is difficult to install new large hydraulic structure, washland is considered as alternatives of hydraulic facility. As flood reduction effect of washland is dependent on flood, hydrograph, capacity of washland and spillway height, applying adequate spillway height is very important to maximize flood reduction effect of washland. In this study, effect of variation of spillway height on flood reduction effect of washlands is analyzed. The existing model developed to make decision for optimal location of washland using flood reduction effect as evaluation function and location of washland as decision variable was revised for this purpose. The spillway height of washland is added as decision variable and revised model finally give optimal location and spillway height of washland as result. The developed model has been applied to the Ansung River basin and application result was compared with that of existing model. The application result shows that developed model can give more efficient result than existing model.

      • KCI등재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경안천 유역의 홍수저감 대안 선정

        한대건,최창현,김덕환,정재원,김정욱,김수전 한국습지학회 2016 한국습지학회지 Vol.18 No.2

        최근 기후변화로 인하여 태풍 및 집중호우로 인한 극한 강우사상의 발생빈도가 증가하고 있으며, 급격한 도시화로 인한유역 내 불투수 면적이 늘어나고 있다. 이로 인해 재산피해가 증가하고 있어 기후변화를 고려한 미래 하천범람 등 홍수피해를경감시키기 위한 홍수저감 대안 선정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를 고려하여 목표기간별로(기준년도: 1971∼2010년, 목표기간Ⅰ : 2011∼2040년, 목표기간Ⅱ : 2041∼2070년, 목표기간Ⅲ : 2071∼2100년) HEC-HMS모형을 이용하여 기후변화에 따른 홍수량을 산정하였다. 또한, 배수펌프와 저류지를 각각 5개씩 홍수저감 대안으로 설정하여HEC-RAS모형을 통해 대안별 홍수위를 산정하였다. 지형자료 및 홍수위를 이용하여 홍수범람도를 도시하였으며, 다차원홍수피해액산정법(Multi dimension – Flood Damage Analysis ,MD-FDA)을 이용하여 홍수피해 저감을 위한 대안별경제성분석을 실시하였다. 홍수저감효과를 분석한 결과 배수펌프를 설치했을 경우 홍수위는 최소0.06m, 최대0.44m 감소하였고, 저류지는 최소0.01m, 최대1.86m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침수면적은 최소 0.3%, 최대 32.64% 감소하였고, 침수심 역시 낮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경제성분석을 실시하여 대안별 편익⋅비용비를 비교한 결과 목표기간Ⅰ에서는 저류지E, 목표기간Ⅱ, 목표기간Ⅲ에서는 배수펌프D가 홍수저감을 위한 타당한 대안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통해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치수사업 시 주요사례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Recently, the frequency of extreme rainfall event has increased due to climate change and impermeable area also has increased due to rapid urbanization. Therefore, we ought to prepare countermeasures for flood reduction to reduce the damage. To consider climate change, the frequency based rainfall was calculated according to the aimed period(reference : 1971∼ 2010, Target period Ⅰ : 2011∼2040, Target period Ⅱ : 2041∼2070, Target period Ⅲ : 2071∼2100) and the flood discharge was also calculated by climate change using HEC-HMS model. Also, the flood elevation was calculated by each alternative through HEC-RAS model, setting 5 sizes of drainage pumps and reservoirs respectively. The flood map was constructed using topographical data and flood elevation, and the economic analysis was conducted for reduction of flood damage using Multi dimension – Flood Damage Analysis, MD-FDA.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n the flood control effect, a head of drainage pump was reduced by 0.06m up to 0.44m while it was reduced by 0.01m up to 1.86m in the case of a detention pond. The flooded area shrunk by up to 32.64% from 0.3% and inundation depth also dropped. As a result of a comparison of the Benefit/Cost index estimated by the economic analysis, detention pond E in period Ⅰ and pump D in period Ⅱ and Ⅲ were deemed appropriate as an alternative for climate change. The results are expected to be used as good practices when implementing the flood control works considering climate change.

      • KCI등재

        홍수조절지 횡월류위어의 위치 변화에 따른 수위 저감 및 유량 분담 효과

        성호제,박인환,이동섭,Seong, Hoje,Park, Inhwan,Rhee, Dong Sop 한국수자원학회 2018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51 No.7

        홍수조절지는 하천 제내지 측에 제방을 축조하고 제방 일부 구간에 횡월류위어를 설치해 일정규모 이상의 홍수사상 발생 시 홍수량 일부를 월류시켜 저류하는 홍수저감시설이다. 다양한 하천시설물이 존재하는 하천 내에서 홍수조절지의 운영 최적화를 위해서는 기존 시설과의 연계 운영을 함께 검토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하도 내 수문 시설의 영향을 고려해 홍수조절지 횡월류위어의 위치 변화에 따른 수로 내 수위 저감 및 유량 분담 효과를 분석하였다. 수문 시설의 영향을 고려하기 위해 수로 내 2문의 방사형 수문을 설치하였으며, 수문으로부터 상류 방향으로 횡월류위어의 위치를 이동시키며 수로 내 수위 변화와 횡월류위어의 월류량을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횡월류위어의 위치가 수문에 가까울수록 수위 저감 효과가 크게 나타났으며, 유량 분담 효과는 큰 변화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2개소 이상의 횡월류위어 운영 시에는 충분한 저류공간이 확보되어 횡월류위어의 위치에 따른 수위 저감 효과의 변화가 크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수문 운영 시 1개소 횡월류위어의 위치 변화에 따른 수위 저감율을 경험식으로 산정해 향후 홍수조절지 계획 시 활용 가능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 detention reservoir is a hydraulic structure that constructs a levee on the inland of river and sets up side weir in a section of the levee, and this facility stores a part of the flood volume in case of a flood event over a certain scale. In order to optimize the operation of detention reservoir,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linkage with existing facilities in the river. In this study, the effect of water level reduction and the flow distribution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side weir in the detention reservoir considering the run-of-the-river gate. Two radial gates were installed in the experimental channel, and the water level in channel and the overflow of weir were measured by moving the location of the side weir upstream from the gate. As a results of experiment, it was confirmed that the water level reduction is more remarkable as the location of the side weir was closer to the gate, and the effect of flow distribution is not greatly changed. When two or more side weirs were operated, it is confirmed that the sufficient storage space was secured and the water level reduction effect with the location of the side weir is not large. In addition, the water level reduction rate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side weir was estimated by empirical formula and it is provided as basic data that can be used in the planning of the detention reservoi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