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창경궁의 홍수해 위험 관리 시스템의 개발

        이효상(Hyo Sang Lee),정성혁(Sung Heuk Jung),이호진(Ho Jin Lee)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13 Crisisonomy Vol.9 No.5

        최근 발생하는 이상기후의 영향으로 홍수 및 지진 등과 같은 자연재해의 위험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자연재해로부터 인류 문화의 유산인 건축문화재를 보호하기 위한 위험관리 시스템의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창경궁을 대상으로 위험도 평가 강우 시나리오(재현빈도별 강우 시나리오(100, 200 년 및 500년) 및 극치발생 강우시나리오(1942년,1964년,2001년 및 2010년))를 구축하고, 이를 창경궁을 포함한 도심지 홍수 모형인 SWMM(Storm Water Management Model)모형에 적용하여 홍수 위험도를 평가하였다. 이러한 홍수 위험도를 GIS 지형도 기반의 침수 위험도로 제시하여, 개별 건축문화재의 홍수위험도를 평가한다. 이러한 위험도 평가 결과를 현장 관리자가 활용할 수 있는 재해위험관리 시스템으로 구축한다. 홍수 위험도 평가는 도심지 홍수 모의(SWMM)결과 창경궁 유출구 지점의 관거 통수능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창경궁에 100년, 200년, 500년 빈도의 홍수시나리오를 적용하여 분석한다. 창경궁의 홍수 위험도 평가 결과 창경궁의 일부 지역이 침수 되나, 주요 건축 문화재의 침수 위험성은 낮게 평가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창경궁의 홍수 위험도 평가 결과 및 홍수 위험관리 시스템은 홍수에 대한 체계적인 위험관리 방안과 대책을 제시하였으며, 이의 활용가능성은 높다. 향후 다양한 재해 요인을 검토하여 종합적인 건축문화재 관리시스템을 구축하고자한다. The risk of natural disaster has been increasing due to the effects of climate change and abnormal regional climate, such as flood and earthquake. The need of a risk management system is raised to protect architectural heritages from those risks. In this study, flood risk of Changkyeong palace, Korea, is assessed using SWMM(Strom Water Management Model) with rainfall scenarios(probabilistic rainfall: 100, 200 and 500 return period and observed extreme rainfall of 1942, 1964, 2001 and 2010). The flood risk for architectural heritage is presented as the degree of inundation risk. these results are used to build up a flood risk management for architectural heritage of Changkyung palace. Although the lower part of Changkyung palace are inundated, the major area which the heritages are located, are in low risk of flooding. The flood risk management system, which is based on scenarios analysis in this study, suggests a systematical approach to deal with the risk of the flooding. It will be used as a fundamental management tool for architectural heritages.

      • KCI등재

        GIS를 이용한 홍수위험지도 관리시스템 프로토타입 개발에 관한 연구

        김계현,윤천주,이상일 한국수자원학회 2002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35 No.4

        국토개발에 따른 자연 재해가 많아지고 있으며, 특히 홍수에 의한 피해가 나날이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국민의 안전과 복리를 증진하고 홍수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의 대책이 시급하다. 선진국에서는 홍수관리 및 효율적인 재난관리를 위하여 홍수위험지도를 제작 배포하여 홍수에 대한 지역 주민의 경각심을 고취하고, 홍수재난 관리 등에 널리 활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수문 모형과 입력 데이터의 연계를 바탕으로 홍수침수범위의 예

      • KCI등재

        FOA를 이용한 홍수범람도 구축에서 불확실성 요소의 민감도 분석

        정영훈,박제량,여규동,이승오,Jung, Younghun,Park, Jeryang,Yeo, Kyu Dong,Lee, Seung Oh 대한토목학회 2013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33 No.6

        홍수위험관리에서 홍수범람도는 가장 기본적인 자료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홍수범람도 구축과정에서 다양한 형태로 불확실성이 발생하기 때문에 이는 정확한 홍수 방재계획 수립에 걸림돌로 작용할 수 있다. 그러므로 불확실성 요소를 제거하거나 개선하여 홍수범람도의 정확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필요하나, 모든 불확실성을 완벽하게 제거하는 것은 경제적 타당성과 홍수에 대한 지식의 한계 때문에 불가능하며 매우 비효율적일 수 있다. 또한, 홍수범람도에 전달되는 불확실성 요소의 영향은 다른 환경변수에 따라 다를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주변 환경의 조건을 고려한 불확실성 요소에 대한 민감도 분석이 필요하다. 이를 통하여 제거해야하거나 개선시켜야할 불확실성 요소의 우선순위를 정함으로써 전략적이면서도 효율적인 홍수위험관리를 유도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주변 환경의 조건에 따라 홍수범람도에 미치는 불확실성 요소의 민감도를 FOA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고, 이를 미국 Indiana주 Columbus시 근처의 Flatrock 강에 적용하여 홍수범람도에 가장 큰 불확실성을 전달하는 요소를 선별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하나의 불확실성 요소가 다른 입력변수나 매개변수와 같은 주변 환경에 의해 홍수범람도에 다르게 영향을 준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또한, 대상유역의 홍수범람도 구축과정에서 가장 큰 불확실성 요소는 지형자료로 판명되었다. Flood inundation map has been used as a fundamental information in flood risk management. However, there are various sources of uncertainty in flood inundation mapping, which can be another risk in preventing damage from floo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move or reduce uncertainty sources to improve the accuracy of flood inundation maps. However, the entire removal of uncertainty source may be impossible and inefficient due to limitations of knowledge and finance. Sensitivity analysis of uncertainty sources allows an efficient flood risk management by considering various conditions in flood inundation mapping because an uncertainty source under different conditions may propagate in different ways.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1) to perform sensitivity analysis of uncertainty sources by different conditions on flood inundation map using the FOA method and (2) to find a major contributor to a propagated uncertainty in the flood inundation map in Flatrock at Columbus, U.S.A. Result of this study illustrates that an uncertainty in a variable is differently propagated to flood inundation map by combination with other uncertainty sources. Moreover, elevation error was found to be the most sensitive to uncertainty in the flood inundation map of the study reach.

      • KCI등재

        홍수지표의 인과관계를 이용한 홍수위험지수 개발

        임광섭(Lim Kwang Suop),최시중(Choi Si Jung),이동률(Lee Dong Ryul),문장원(Moon Jang Won) 대한토목학회 2010 대한토목학회논문집 B Vol.30 No.1B

        본 연구에서는 치수특성을 평가할 수 있는 세부지표를 선정하여 유역별 치수 관련 현황을 분석하였으며 세부지표를 P-S-R(Pressure-State-Response) 구성 체계로 구성하여 각 치수특성평가 지수인 압력, 현상, 및 대책 지수를 개발하였다. 또한 이들 지수를 통합하여 유역의 치수 현황을 종합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홍수위험지수를 개발하였다. 1980년대 이후 2000년대 까지 177개 중권역에서 산정된 홍수의 발생에 대한 압력지수와 피해의 현황지수는 비례관계로 나타났으나 대책지수의 증가에도 현황지수는 감소하고 있지 않았다. 이는 상대적으로 피해의 압력요인들이 홍수대응력을 초과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향후 홍수대책에서는 설계기준을 더욱 강화시킬 필요가 있음을 보여준다. 홍수위험지수는 지속적인 치수사업의 성과에 의해 점진적으로 낮아지고 있고 한강과 낙동강 권역이 금강, 섬진강 및 영산강 권역보다 상대적으로 홍수위험도가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치수사업의 성과의 평가와 함께 유역 간 홍수의 상대적인 위험도를 시 · 공간적으로 분석하여 치수 관련 정책 및 대책 수립에서 보다 효과적인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research presents a methodology to define and apply appropriate index that can measure the risk of regional flood dam-age. Pressure-State-Response structure has been used to develop the Flood Risk Index(FRJ), which allows for a comparative analysis of flood risk assessment between different sub-basins. FRI is a rational assessment method available to improve disaster preparedness and the prevention of losses. The pressure and state index for flood at 117 sub-basins from the year 1980s until the t 10s showed proportional relations, but state index did not decrease even though response index increased. This shows that pressures for flood damage relatively exceed countermeasure for flood. Thus this means we need to strengthen design criteria for flood countermeasure in the future. The FRI is gradually going down in consequence of continuous flood control projects. Flood risk of Han River and Nakdong River area is relatively lower than that of Geum, Seumjin, and Youngsan River area.

      • KCI등재

        연안지역 홍수취약성 평가기법 개발

        이종석(Lee Jong Seok),명수정(Myeong Soojeong),최현일(Choi Hyun Il) 한국방재학회 2017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7 No.2

        본 논문에서는 우리나라 연안지역에 대한 홍수취약성 평가기법을 개발하여, 홍수위험 관리 및 저감 대책에 필요한 기본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지역별 중요도를 나타내는 지역중요성 지수(RSI) 및 홍수에 의한 피해가능성을 나타내는 피해가능성 지수(DPI)로부터 산정되는 연안홍수취약성 지수(CFVI)를 제시하였다. 지역중요성 지수(RSI)는 4개의 대리지표로 산정되며, 인구밀도와 취약인구비율로 구성된 인적요소와 자산밀도와 주요시설물비율로 구성되는 물적요소로 분류된다. 또한 6개의 대리지표가 피해가능성 지수(DPI)의 산정을 위해 구축되었으며, 일최대강수량과 태풍강우강도가 기상요소로, 극고조위 및 유역경사가 지형요소로, 그리고 재산피해와 침수면적이 재해요소로 각각 구성되었다. 선별된 10개의 홍수취약성 평가지표는 각기 다른 범위와 단위로 측정되기 때문에, 전국 74개 연안 시군구에 대한 홍수취약성 평가를 위해 표준화된 점수로 변환되었다. 연안홍수취약성 지수(CFVI)는 지자체의 통합 홍수위험 관리정책 의사결정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developed a methodology of the flood vulnerability assessment for coastal areas in the Korean Peninsular, which can provide preliminary information for the flood risk management and damage reduction plans. This study therefore proposed CFVI (Coastal Flood Vulnerability Index) from RSI (Regional Significance Index) for regional importance of districts and DPI (Damage Possibility Index) for damage possibility by flooding. RSI is estimated by four representative factors, which are population density and vulnerable population ratio as for human factor, and property density and main facilities ratio as for physical factor. Six representative factors were also constructed for DPI: daily maximum rainfall and typhoon rainfall intensity for weather factor, extreme sea level and basin slope for geography factor, and property damages and inundation areas for damage factor. The selected ten flood vulnerability factors measured at different scales and units were transformed into standardized scores to evaluate the coastal flood vulnerability for the 74 administrative districts in coastal areas nationwide. This proposed CVFI is expected to play a significant role in decision-making of local governments on the integrated flood risk management strategies.

      • KCI등재

        호주의 자연재해보험과 위험분산 시스템 연구

        신동호(Dong Ho Shin) 한국아시아학회 2010 아시아연구 Vol.13 No.3

        호주는 지정학적으로 경제권역으로 명백한 아시아국가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학 연구로서 국내에서 처음으로 호주의 자연재해위험관리와 자연재해보험 제도를 연구해서 한국 제도와 비교 연구한다. 연구방법론으로서 국내외 문헌 연구를 토대로 새로운 사실발견을 통하여 한국과 호주 비교 연구 및 시사점 도출에 중심을 둔 서술적 연구방법론을 사용한다. 호주와 한국은 자연재해 중에서 공통적으로 홍수위험이 가장 심각하며, 정부차원의 사전적인 홍수 예방활동 외에 홍수피해에 대한 사후적인 조치로서 다양한 종류의 구호활동을 하고 있다. 호주는 순수하게 시장 원리에 의한 민영 자연재해보험을 운영하며 한국은 정부가 보험료를 보조하는 정책보험으로 풍수해보험을 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양 국가 모두 자연재해보험의 가입률은 매우 낮다. 호주는 자연재해피해를 입은 개인과 농가 그리고 중소기업에 대해 무상 재난지원금을 지원한다. 특히, 개인주택에 대한 무상복구비 지원금은 최소한의 구호금 수준인 반면에, 한국과 달리 중소기업에 대해서는 자연재해피해로 인한 소득상실 부분과 종업원의 임금보조금도 지원된다. 민관협동차원에서 호주 보험협회는 저조한 자연재해보험의 가입률을 활성화시키기 위해서 홍수지도의 필요성, 홍수 위험지역에서의 건축허가를 최소화하거나 제한 해야 하며, 주택 빚 건물의 등기부등본에 홍수위험 등급 표시를 의무화하며, 정부 의무상복구비 지원제도를 정비할 필요가 있으며 정부의 역할이 보다 강조되는 민관협력체제의 자연재해보험 해법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결론적으로 호주와 한국의 자연재해 위험관리 및 자연재해보험제도를 비교한 결과 정책적 제안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성공적인 자연재해 위험관리를 위해 산학 관협동체제가 필요하다. 둘째, 정부가 지원하는 무상 복구비제도가 자연재해보험 가입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쳐서는 안된다. 즉, 현재의 무상 복구비제도를 구호수준 의 지원제도로 전환한다면 자연재해보험가입을 유도할 수 있다 셋째, 자연재해피해 복구를 위한 정부의 지원은 개인의 주택보다 농가나 중소기업에 더 집중할 필요가 있다는 점이다. 본 연구를 통하여 호주의 자연재해 위험관리 및 자연재해보험에 대한 지역학으로서의 이해가 높아지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 This paper attempts to find out several implications based on the comparative analysis of natural disaster emergency management and flood insurance between Korea and Australia. This study uses a descriptive research methodology in order to find a new fact from the review of related literatures. Flood risk are a commonly significant in Australia and Korea. Both countries exercise to implement an ex ante flood damage prevention activity and carry out ex post relief efforts to help flood victims. In Australia private insurers operate solely a flood insurance product based on the market economy force. Flood insurance in Korea is a policy insurance oriented by the government. The Korean government subsidies flood insurance premium allocated by the state fund. But it shows a low insurance penetration rate in both countries. The Australian government supports individuals and families that are affected by flood damage. At the same time, registered small and midium-sized businesses including farmers can receive one-off income support from the natural disaster relief & recovery fund. Particularly a relief fund from the Australian government is only a minimized ex-gratia payments for householders. Small and midium-sized businesses in Australia can receive an income support and a wage subsidy for employees by flood damage. This is a significant difference when compared with the Korean cases. In conclusion, the implications of the Australian natural disaster emergency managemnet and flood insurance are as follows. First, a joint collaboration among academics, industries and the government is recommended for a successful natural disaster emergency management. Second, the funding for natural disaster relief be reviewed to ensure that it should not provide only disincentives for the purchase of flood insurance. Particularly the relief fund for a householder in Korea should be reduced to a minium level just as the Australian case. Thus Korean householders could be recognized that they eventually need a flood insurance. Third, the Korean government relief fund for flood damage should also be focused on farmers and small businesses like the Australian case.

      • KCI등재

        기후변화를 고려한 재해환경 변화 분석 2. 침수위험지구 영향평가

        김응석,유지영,정건희,박무종,최현일 한국방재학회 2013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3 No.4

        The climate change has clearly affected most parts and systems in the globe. Particularly, the recent global warming is presumed as the main reason of the increasing severe flood frequency, resulting a significant damages on the human life and property. This increasing trend on the occurrence of severe flood is very remarkable in the Korean Peninsula as well. Therefore, the appropriate flood prevention and mitigation methods are required. In this study, to assess the climate change effects on flooding risk areas in the Nakdong river basin, the flood and river acts from Korea and other countries were investigated and the current situation and problems were analyzed. The flood risk considering climate change were also assessed for the flood risk areas among the natural disaster risk areas proposed in 2010 to suggest the future management strategy against the future severe flood damage. The proposed flood risk assessment results for the flood risk areas might be used as a basic information to develop climate change adaptation strategy. 기후변화는 이미 지구상의 모든 분야와 시스템에 뚜렷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최근의 지구온난화 역시 심각한 홍수발생 빈도를 증가시켜 전 세계에 막대한 인명과 재산피해를 유발하고 있는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이와 같은 현상은 한반도에서도 매우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으므로, 이에 대책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가 낙동강 유역의 침수위험지구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국내외 홍수 및 하천 관리 관련 규정을 조사하고, 자연재해위험지구에 대한 현황 및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또한 2010년에 고시된 자연재해위험지구 중 침수위험지구에 대하여 기후변화에 따른 홍수위험도 영향평가를 수행하고, 이에 따른 장래 홍수재해에 대비한 관리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자연재해위험지구 중 침수위험지구의 홍수위험 영향평가 분석결과는 장래 기후변화에 대한 적응대책 수립을 위한 기초정보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강우-유출 및 저수지 운영 연계 모의를 통한 기후변화의 이수안전도 및 홍수위험도 영향 분석: 합천댐 유역 사례

        노성진,이가림,김보미,조지현,우동국 한국수자원학회 2023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56 No.11

        기후변화로 인해 강우의 변동성이 증가하여가뭄 또는 홍수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불확실성이 증가하는 기후 조건에 대응하는 수자원 시설 관리대책의 수립을 위해서는, 하천의 자연 유출량과 인공계 물공급을 모두 고려한 저수지 운영 모의를 통하여, 이수 및 치수 측면의 수자원 시설 영향에 대한 종합적인 분석이 선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강우-유출과 저수지 운영 모형을 연계 모의하여, 합천댐 유역을 대상으로 기후변화에 대한 이수안전도 및 홍수위험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강우-유출모형으로는 modèledu Génie Rural à 4 paramètres Journalier (GR4J) 모형을, 저수지운영 모형은 HEC-Ressim 모형의 구조를 가지는 R 기반모형을 적용하였다. 구축된 연계 모형에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2100년까지적용하여 합천댐의 이수안전도 및 홍수위험도 변화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이수안전도 분석 결과, SSP5-8.5에 비해 SSP2-4.5 조건에서 이수안전도가 더높으며, 먼미래로 갈수록 모두 과거 조건보다 이수안전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먼미래 기간에서는 홍수 위험도의 범위가 더욱 넓어지는 것으로나타났으며, SSP2-4.5와 SSP5-8.5 두 시나리오모두 먼미래 기간에서 홍수 위험도의 중앙값이 가장 높았다. 또한, 연총강수량과연총유출은 과거 대비 10% 미만 증가하는데 비해, 홍수시댐무효방류량은 120%이상 증가하여, 연구대상지역인 합천댐유역의 경우, 미래 기후변화로 인한 홍수위험도가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 Due to climatechange, precipitation variability has increased, leading to more frequentoccurrences of droughts and floods. To establish measures for managing waterresources in response to the increasing uncertainties of climate conditions, it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variability of natural river discharge and theimpact of reservoir operation modeling considering dam inflow and artificialwater supply. In this study, an integrated rainfall-runoff and reservoiroperation modeling was applied to analyze the water supply reliability andflood risk for a multipurpose dam catchment under climate change conditions. Therainfall-runoff model employed was the modèle du Génie Rural à 4 paramètresJournalier (GR4J) model, and the reservoir operation model used was an R-basedmodel with the structure of HEC-Ressim. Applying the climate change scenariosuntil 2100 to the established integrated model, the changes in water supplyreliability and flood risk of the Happcheon Dam were quantitatively analyzed.The results of the water supply reliability analysis showed that under SSP2-4.5conditions, the water supply reliability was higher than that under SSP5-8.5conditions. Particularly, in the far-future period, the range of flood risk widened,and both SSP2-4.5 and SSP5-8.5 scenarios showed the highest median flood riskvalues. While precipitation and runoff were expected to increase by less than10%, dam-released flood discharge was projected to surge by over 120% comparedto the baseline

      • KCI등재후보

        기후변화를 고려한 도시홍수 위험요인 도출

        김보경(Bo Kyung Kim)(金保庚),장대원(Dae Won Jang)(張大源),장남(Nam Zhang)(張楠),양동민(Dong Min Yang)(梁東民)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11 Crisisonomy Vol.7 No.1

        2001년 서울 집중호우를 계기로 게릴라성 폭우라는 용어가 등장한 후, 국지적, 단기적, 돌발적인 특성을 지닌 강우의 발생빈도가 매우 높아지고 있다. 특히 도시의 경우 강우에 의한 유출의 부담을 하천이 아닌 도시 배수관망이 부담함으로써 강우패턴의 변화에 따른 그 피해의 규모가 커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도시홍수의 피해는 강우의 증가와 도시화에 따른 유출율의 변화로 규명하고 있으나 피해를 발생시키는 유발요소와 실제 발생한 피해액과의 관계에서는 상이한 점이 나타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런 전제하에 도시홍수 피해와 관련 있는 항목들로 사회, 경제, 인문, 시설물, 기상학적 측면을 고려하여 24개의 요소를 선정하여 기후변화에 따른 도시홍수위험을 전반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도시홍수 피해액과의 상관분석을 수행하고, 최종 선정된 10개 항목들을 대상으로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강우, 인문-사회, 경제, 홍수피해부문으로 4개의 요인이 추출되었으며 설명력은 67.79%였다. 이를 검토한 결과 도시홍수피해 유발요인인 강우, 피해를 가중시키는 요인인 인문-사회, 경제적 측면, 그리고 피해결과에 해당하는 침수면적이 도시홍수발생의 유의한 얼개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In 2001, one large-scale concentrated rainfall happened in Seoul. The area was hit with sudden and unexpected downpours, and since then the Extreme Flood appeared. After that, the occurrence frequency of rainfall with local, short-term and flash characteristics is increasing rapidly. Usually, the damage study on urban flood is investigated from the change of runoff rate as a result of rainfall increase and urbanization. However, the induction factor due to such damage has nothing to do with the real amount of the damage. It means when it is rainfall, flood will discharge, so it is possible to make flood damage. When we judge the damage scale, the amount of the damage always was considered. So we should select weight factors that can reduce damage. On the premise of it, items having connection with the urban flood damage were considered in this study such as society, economic, cultural, facilities and meterological fields. There are 24 selected factors in this study. Urban flood risk was investigated generally according to the climate change, related analysis to the amount of the flood damage was fulfilled, at last 10 items were selected and their factorial analysis were made. Four factors have been extracted and the Explanation Power was 67.79%. It was classified into four parts. The first factor was rainfall, the second one was Cultural-Social field, the third one was economy and the last one was flood damage. Through this study, obtained results are the inducing factor of urban flood damage is Rainfall, the weight factors are Cultural-Social and economic aspects, and the inundated area under this damage is also should be paid attention and checked when Urban flood happen. This is the framework of the deduction of Urban Flood Risk Factor.

      • KCI등재

        하천의 홍수방어목표 적정화를 위한 정량적 위험도 평가 적용: 하천 배후지역 이용현황에 따른 설계빈도 차등화를 중심으로

        이종소,이상은,송창근,신은택 국토연구원 2021 국토연구 Vol.108 No.-

        In Korea, the flood defense level has been typically determined by the classification of river grade. Each river interval should, in principle, have different level necessary to consider the flood risk behind the river, which however is not currently applied in planning the river due to the lack of scientific methods. Therefore, to develop a reasonable method for zoning the flood defense levels of river intervals, the methodology of the QRA (Quantitative Risk Assessment) originated from the reliability engineering was introduced to a river interval with highly urbanized area. First, the authors presented the FN curve showing the numbers of fatalities at various flood frequency conditions. Then, they evaluated the adequacy of flood risk comparing with the societal risk tolerance criteria for the river basin. Finally, they adjusted the flood defense level according to the distributions of population, land use, and buildings in riparian and checked whether it satisfied the risk criteria or not. 우리나라는 하천을 설계하는 데 하천 배후지역의 위험도를 고려하기보다는 하천등급에 따라 홍수방어목표, 즉, 설계빈도를 구분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원칙적으로는 하천 구간의 특성을 고려하도록 하나, 과학적인 판단기준 및 분석방법이 불분명한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신뢰성 공학에서 제안한 정량적인 위험도 평가를 응용하여 하천 구간별로 설계빈도를 합리적으로 설정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온천천 유역의 사례연구를 통해 방법론의 유용성을 실증하고자 하였다. 먼저, 다양한 설계빈도 조건에서 인명피해를 분석하고 FN곡선을 통해 위험도를 나타내었다. 다음으로는 해당 유역의 실정에 맞는 사회적 위험도 허용기준을 도출한 뒤 앞에서 산정한 위험도의 적정성을 판단하였다. 마지막으로, 하천 배후지역의 인구, 토지이용, 건축물 등의 분포를 고려한 결과 인구밀도가 매우 높아지는 일부 구간에서 설계빈도 상향 조정 등 위험 저감대책이 필요함을 실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방법은 향후 하천기본계획 수립 시 하천의 구간별 홍수방어목표를 적정화하는 데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