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홍구범 단편 연구 : 해방전후사의 인식과 관련하여

        이도연(Lee Do-yeon) 한국비평문학회 2011 批評文學 Vol.- No.41

        홍구범은 해방기의 4년 여의 짧은 창작활동 기간 동안 많지 않은 작품을 남겼으나 그의 단편들 중에는 해방기의 사회·경제사를 진솔하게 묘파하고 있는 수작들이 다수 포함되어 있다. 그의 단편은 해방기 한국사회의 구체적 전체성을 포착하는 데는 미치지 못한 것으로 보이지만 그것은 작가적 역량 문제이기 보다는 단편이라는 분량의 장르적 속성에서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그는 해방기 김동리 조연현 등 이후 남한의 우파를 대표하는 문인들과 친밀한 관계를 유지하였으나 해방기 한국사회의 경험적 구체성과 정직하게 대면함으로써 실제 작품에서는 리얼리즘 경향의 소설을 발표했으며 민중과 사회적 약자의 입장에서 한국사를 파악하였다. 예를 들어 「귀거래」에서 주인공 순범이 무지하고 잇속에만 밝은 농민들의 이기주의에 실망할 수도 있었지만 민중 허무주의로 떨어지지 않고 이를 자기 갱신의 계기로 삼고 있는 것은 그 구체적 사례라 할 것이다. 그는 정치적으로 보수적 입장에 서 있었음에도 해방기의 경험적 사실에 깊이 천착함으로써 문학적으로는 진보적 입장에 설 수 있었던 것이다. 그의 단편 소설은 해방기 한국사회에 대한 역사적 증언으로서 충분한 의의를 가지며 계급갈등 등 사회의 제반 문제에 관념적으로 접근하기보다는 풍부한 심리묘사를 통해 비교적 객관적이고중립적인 시각에서 서술함으로써 미학적 형상화를 통한 개연성의 확보에 성공한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이는 해방기 한국소설사의 뚜렷한 성취의 하나로 기억되어 마땅할 것이다. Hong gou-beom haebanggi range of the short creative period of four years without much work namgyeoteuna his fragments Among the social and economic history of haebanggi myopahago the honest people in the chat-up line are included. Korea Society for his short haebanggi full availability of the concrete did not seem to capture the deneun but it is a short amount of artistic competence rather than the problem stems from the properties of the genre will be considered. He gimdongri haebanggi joyeonhyeon which represents the right wing in Israel and later writers but maintained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Korea Society haebanggi empirical substantiation of the physical work and an honest face of the trend of realism in the novel was published and underprivileged people of Korean history from the perspective of was to identify. For example "gwigeorae" ignorant and get mine sunbeomyi only bright star in the farmers' self-interest may be disappointed in the people but without falling into nihilism who make it the instrument of self-renewal that will specifically saryera. To be conservative politically he was standing at the empirical fact that even though the depth of haebanggi by cheonchak was able to stand on literary term is a progressive perspective. His short stories about the historical testimony of the community as haebanggi Korea has sufficient significance such as class conflict in society rather than access to the wealth of ideas on various issues through psychological portrayal in a relatively objective and neutral perspective by describing through the aesthetic shaping the probability seems to be successful in securing. And it's significant accomplishments haebanggi soseolsa Korea is one of the memories will deserve.

      • KCI등재

        한국문학사의 소외자, 홍구범 문학의 외연 확장을 위한 세 가지 접근

        김정숙 ( Kim Jeong-sook ) 현대문학이론학회 2017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69

        이 논문은 홍구범과 그의 문학 세계를 전기적 측면, 장르적 측면, 공간의 측면 그리고 문학장의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그의 예민한 성격과 양심은 궁핍한 현실에서는 삶의 불안으로, 문학에서는 신랄한 비판으로 표출되었다. 치밀한 객관 묘사와 대화의 리얼리티 그리고 대화의 독특한 활용을 통해 짧은 기간 다수의 완성도 높은 작품(단편소설)을 쓰면서 (대중)장편소설로의 장르적 변용과 시대의 이데올로기를 형상화하려는 시도를 읽어낼 수 있었다. 특히 해방의 의미를 로컬리티로 재현함으로써 물신화되는 자본주의와 인간 소외를 보여주었다. 무엇보다도 당대 좌우 이데올로기로 분열된 문학장에서 우익과 좌익의 구도에 갇히지 않으려 고군분투하며 문학가로서 살고자 했던 그의 행보는 좌익과 우익, 양쪽 어느 곳에서도 자신의 위치를 지닐 수 없었던 한국문학의 소외자로 남게 된 원인으로 보인다. 홍구범의 삶과 문학은 한국전쟁 이후 1990년대까지 암실에 놓여 있었다. 앞으로 홍구범의 전기적 자료 및 미발굴된 작품, 그의 유년 시절과 문학을 하게 된 계기들, 그리고 그에게 영향을 준 작가와 작품 등에 대한 세밀한 후속 연구를 기대해 본다. This study examined the literary meaning and value of Hong Gu Beam`s literary world, which has been largely excluded from previous literary history studies, in aspects of biography, genre and space, and in viewpoints of literature. His sensitive personality and conscience were expressed in anxiety of life in poor reality and in acid criticism in literature. Through the use of detailed object descriptions, the reality of conversation, and the unique use of dialogue, he was able to read an attempt to symbolize the genreal transformation of a novel into a (popular) long novel and the ideology of the times while writing a series of highly accomplished works. Especially, by expressing the meaning of the liberation as locality, he showed capitalism and human alienation which are fetishized. Above all, his attempt to live as a literary artist struggling not to be trapped in the composition of the right and left in the literary field, which was divided into contemporary left and right ideologies, came to be the reason of his being left as an alienated person in Korean literature. This study looks forward to follow-up studies in future such as finding other expressions or voices in Hong Gu Beam`s Literature within the history of literature.

      • KCI등재

        홍구범의 문학세계와 그 현재성

        김정숙 한민족문화학회 2023 한민족문화연구 Vol.82 No.-

        본 논문에서는 그간 한국문학사에서 잊혀져 주목 받지 못했던 홍구범(1923~미상)의 생애와 문학세계에 대한 연구사 검토, 주제의식과 그 문학적 의의를 현재적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한국전쟁 이후 반공주의 담론이 더해질수록 월북은 물론 납북과 납치 등의 전기적 사실에 연루된 홍구범과 그의 문학은 문학사 기술에서 은폐되거나 망각될 대상으로 간주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1988년 해금조치가 이루어지고 타자성에 대한 담론의 대두와 맞물리면서 해방기와 전쟁기의 ‘잊혀진’ 월․납북 문인들에 대한 조명의 일환으로 홍구범은 호명되기 시작하였다. 홍구범의 문학은 해방과 한국전쟁 시기의 사회상을 집중적으로 묘파해내었다. 떠도는 존재들의 빈궁과 고통의 타자화된 삶을 사실적으로 보여주었다. 그의 작품들은 해방 전후의 개인의 삶이 보이는 비참함과 돈과 권력 구조의 폭력성에 대한 비판, 그리고 이를 촉발케 한 일본의 동아시아 군국주의 전쟁과 식민적 제국성을 총체적으로 서사화하였다. 앞으로 홍구범의 생애와 문학이 말하고자 했던 문제의식에 대해 계속해서 질문하고 관점을 갱신하며 읽어낸다면 해방공간의 의미와 함께 한국문학사에 그의 문학과 목소리에 합당한 자리가 마련될 것으로 본다.

      • KCI등재

        해방공간 (비)국민의 실태와 민권 탐구- 홍구범 문학세계 연구

        안미영 동학학회 2017 동학학보 Vol.0 No.43

        This article is an analysis of Donghak novels based on Hong Gu-beom, a writer from Chungcheong-do province. Hong Gu-beom started his literary career after the liberation, and was abducted in the Korean War. Thus his previous works were published in the post-liberation era. He published a series of novels exploring the post-liberation era civil rights. In particular, Legend, which was published in 1949, explored the spontaneous process of the civil rights movement, centered on the Donghak movement. He showed that in a series of novels including "Legend," the commoners of the land in the Korea Empire era spontaneously opened their eyes to human rights, but were biased toward emotion. Macroscopically, due to the historical scars of Imperial Japanese colonialism and the US military regime, the civil rights consciousness could not grow, but internally it was shown that there was a limitation that the consciousness of commoners could not go through beyond awakening and solidarity. They were easy to be emotionally sympathetic to unreasonable conditions, but failed to develop their emotions into objective consciousness, such as being immersed in a premodern view of fate. In his incomplete long novel, "A Long Way to Go," the parents of the first generation of Donghak died in disgrace, the second generation suffered distress of being a self-made person, and the third generation showed that they could realize the civil rights through education. 이 글은 충청도 출신 작가 홍구범을 대상으로 동학 소재 소설을 분석한 것이다. 홍구범은 해방이후 등단하여 한국전쟁 때 납치되었다. 그러므로 그의 전작은 해방공간에 발표되었다. 그는 해방공간 민권을 탐구하는 일련의 소설을 발표했다. 특히 1949년 발표된 「전설」은 동학운동을 중심소재로 삼아 민권 운동의 자연발생적 과정을 탐구했다. 그는「전설」을 포함한 일련의 소설에서 구한말 이 땅의 평민들이 자연발생적으로 인권에 눈을 떴으나, 감정에치우쳐져 있음을 보여주었다. 거시적으로는 일제식민지와 미군정이라는 역사적 상흔으로 말미암아 민권의식이 성장할 수 없었지만, 내부적으로는 평민들의 의식이 각성과 연대로 나가갈 수 없는 한계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그들은 불합리한 조건에 대해 감정적 차원에서 쉽게 동질감을 형성했으나, 전근대적 운명관에 젖어 있는 등 감정을 객관적인 의식으로 발전시키지 못했다. 미완성 장편「 길은 멀다」에서는동학1세대는 불명예스럽게 죽었으며, 2세대는 자수성가의 고충을 겪었고, 3 세대에 이르러 교육을 통해 민권을 자각해 나갈 수 있음을 시사했다.

      • KCI등재

        새로 발굴된 잡지 『中學生』 창간호에 관한 고찰

        이종문(Lee Jong moon) 한국언어문학회 2017 한국언어문학 Vol.101 No.-

        The aim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basic facts about the newly found magazine 『Middle School Students』 and to examine the main contents, characteristic aspect, and material value of the first issue. ①Launched on July 1, 1949, 『Middle School Students』 was the first magazine published for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liberation space, where various magazines were widely published. 『Middle School Students』 was launched based on the awareness that there is no middle school student magazine that could represent the dream of middle school students even though there are many different magazines. The editor and publisher of the first volume was Sim Hwal(沈活) and the organizer was Jo Mi Ri(趙美里). In the first version, many social celebrities participated as contributors. ② In 『Middle School Students』 , 80% of the total contents is close to pure literature such as poetry, novels and criticism, and the two planning projects also belonged to pure literature. With such things in mind, 『Middle School Students』 is not a comprehensive magazine covering general life in middle school, but rather a magazine close to pure literature. This is the most important feature of 『Middle School Students』 , and another characteristic of this magazine is that it aimed to develop US-centered globalization mind to provide an open view of the world with middle school students. ③ There is little known at present in the first volume of 『Middle School Students』. While the articles in the 『Middle School Students』 may have a meaning as a primary source of certain help in understanding the social and cultural circumstances of the time, especially important thing is 「Girl Hwang Jiny(少女黃眞伊)」 , a short novel written by Hong Gu Beom(洪九範). He is a novelist who had been active for only 3 years after liberation, but he was a prolific writer who competed with other his contemporaries. Yet, he is forgotten as he was abducted and missing in the Korean War. Although recently collections of his works have been published, 「Girl Hwang Jiny」in『Middle School Students』 has not been found yet. In addition, this work is worth noting that it shows a completely different world from his other novels found so far.

      • KCI등재

        홍구범의 삶과 문학 연구

        권희돈 한국국어교육학회 2010 새국어교육 Vol.0 No.86

        Hong Gu Beom was a new writer in all his splendor whose writing style followed that of seniors during the 1920s and 1930s. It was a brilliant achievement quantitatively as well as qualitatively of the Independence Period in the late 1940s. There are not of any difference in the level of each work published in the day. He belonged to the right wing literary field, but his works were dominated by the image of realism. After independence, the contrast between the innocence of urban and rural proletarian classes and the corruption of the bourgeois ones, and so objective description were obvious in his novels, which made him seem realistic enough to look like such a left wing writer. Not staying the realism, he got more deeply into artistic merits in the works, though. He moved away from the dichotomy between popularity and class principle, writing the way it was completely with the literary device, novel. That's why his novels are being considered as popular to this day. In terms of literary value, his works are never behind those of contemporary writers. Rather, Hong Gu Beom's novels have enriched the literary circles of the Independence Period. However, he has been treated as a marginal man, consequently, it is not yet clear whether he is alive or not. Of an age, Yoon Dong-Joo would be assessed as an ethnic scapegoat under Japanese imperialism, so should Hong Gu Beom. While Yoon Dong-Joo is admired as an ethnic poet, what Hong Gu Beom achieved still has not been unknown. It is our share to gather and work on his accomplishment, and give it wider publicity. 홍구범은 2ㆍ30년대 선배 작가들의 소설을 충실히 이어받은 광복기 문단의 탁월한 신인작가였다. 질적으로나 양적으로 1940년대 후반 즉 광복기의 빛나는 업적이었다. 발표된 작품마다 작품들의 수준의 격차를 보이지 않는다. 몸은 우익 쪽에 담고 있었으나, 작품은 리얼리즘적 색채가 강했다. 광복 후 도시와 농촌의 무산자 계급의 순수성과 유산자 계급의 타락성의 대비라든가 치밀한 객관묘사 등이 뚜렷하여 작품으로만 보면 좌익쪽 문인이라 할 만큼 리얼리즘적이다. 그러나 리얼리즘적인 창작방법에 안주하지 않고 작품의 예술성에 깊이 천착한 작가였다. 민중적이되 계급주의의 이분법적 도식을 탈피하고, 현실적이되 철저히 소설이라는 장치에 녹여내었다. 그의 소설이 생명력이 긴 소설이라 판단되는 까닭이 여기에 있다. 동시대의 작가들에 비해서도 결코 문학성이 뒤지지 않는다. 홍구범의 소설로 해서 광복기 우리 소설문학은 더욱 풍성해졌다. 그러나 그는 주변인 취급을 받아 왔으며 아직까지 생사조차 모르고 있다. 같은 나이에 일제에 희생당한 윤동주가 민족의 희생양이었다면, 한국전쟁에 희생당한 홍구범도 민족의 희생양이었다. 두 사람 모두 민족의 희생양이었지만, 윤동주는 민족 시인으로 추앙받고 있으며, 홍구범은 그가 이루어놓은 업적조차 세상에 밝혀지지 않았다. 그가 이루어놓은 업적을 모으고 연구하여 그를 세상에 알려야 할 일은 우리들의 몫으로 남아 있다.

      • KCI등재

        (비)국민의 체념과 자살: 일제말,해방공간 성명,선거와 도회의원을 중심으로

        이행선 ( Haeng Seon Lee ) 순천향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2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Vol.31 No.2

        일제시대는 지방자치가 실시되고 있었지만 일정 금액 이상의 세금을 내야만 유권자가 될 수 있었다. 대다수 조선인은 선거에서 제외됐고 민의를 대변해야 할면장, 군수, 읍·부회의원, 도회의원 등은 당국에 협력하거나 사리사욕을 채우는 데 바빴다. 해방 이후 조선인은 ``국민``이 되어 5·10선거에 참여하게 되지만, 그이전 과도입법의원과 이후 대통령 선거에서 여전히 배제되었다는 점에서 비국민이기도 했다. 이런 점에서 일제말기·해방공간 인민의 주권적 지위는 연속성의 차원에서 고찰할 수 있다. ``공적 주권``이 허용된, 다시 말해 제한적으로만 행사할 수 있었던 인민들은 기대할 것 없는 국가와 궁핍한 현실 앞에서 체념하거나 자살이라는 극단적 선택을 하기도 했다. 그리고 그 죽음은 서사화 되기 어려웠다. 천황을 위한 죽음을 강제하는 성명, 남조선국민의 경계를 설정하고 그것에서 벗어난 이의 배제·죽음을 의미한 단독선거 등이 연속되는 역사적 현실이었다. 극빈층인 하층민이 ``권세`` 있는 장례를 할 수 있는 경우는 일제말이나 해방 이후나 국가와 관련된 죽음이어야만 가능했다. ``애국 국민``으로 규정된 이의 장례(신사, 애국장·국민장·단체장등)는 사적 죽음이 공적 정치행위와 분리되지 않은 시대였다는 것을 보여준다. 총력전 시기의 소설과 해방 이후 일제말기 하층민의 죽음을 둘러싼 소설적 재현의차이는 하위주체의 죽음을 공적으로 발화할 수 있느냐의 문제뿐만 아니라 그 죽음을 강제한 주체가 누구인가를 드러낸다. 따라서 본고는 그 죽음의 한 원인으로 당국과 민중 사이에서 정치·경제적 매개역할을 했던 도회의원에 주목한 것이다. 첨언하면 이들 중에는 정·동 총대직을 역임했던 이들도 있었다. 요컨대 본고는 선거라는 ``공적 주권`` 행사의 시원을 둘러싼 문학적 재현뿐 아니라 그것을 확보해 가는 과정에서 드러나는 권력과 (비)국민의 괴리, ``실망``의 내면화 등을 살폈다. 그리고 그 과정에 개입한, 체제의 구조적 억압과 모순의 한 자화상으로서 ``도회의원``에 착목했다. 이를 통해 일제말, 해방 이후 청산되지 않은 역사가 형성되는 하나의 양태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Although the local autonomy was conducted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ose who paid a certain amount of tax were qualified to vote. Thereby most Koreans were excluded from the election. After the liberation of 1945, they were able to exercise their right to vote in the May 10th election, but they failed to gain a full "citizenship" because they were still barred from the presidential election and the transitional legislators election. They became resigned and even committed a suicide facing the destitute reality and hopeless country. This paper attempts to deal with the literary representation on the process of achieving the marginal citizens` right to vote, the gap between the state power and the people, and the internalization of their disappointment. In particular, this research focuses on a provincial assemblyman who deeply involves in the process and epitomizes the system`s oppression and contradiction during the period. His practice illustrates another process forming an unliquidated history from the past colonial rule.

      • KCI등재

        (비)국민의 체념과 자살 : 일제말⋅해방공간 성명⋅선거와 도회의원을 중심으로

        이행선 순천향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2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Vol.31 No.3

        일제시대는 지방자치가 실시되고 있었지만 일정 금액 이상의 세금을 내야만 유권자가 될 수 있었다. 대다수 조선인은 선거에서 제외됐고 민의를 대변해야 할 면장, 군수, 읍⋅부회의원, 도회의원 등은 당국에 협력하거나 사리사욕을 채우는 데 바빴다. 해방 이후 조선인은 ‘국민’이 되어 5⋅10선거에 참여하게 되지만, 그 이전 과도입법의원과 이후 대통령 선거에서 여전히 배제되었다는 점에서 비국민 이기도 했다. 이런 점에서 일제말기⋅해방공간 인민의 주권적 지위는 연속성의 차원에서 고찰할 수 있다. ‘공적 주권’이 허용된, 다시 말해 제한적으로만 행사할 수 있었던 인민들은 기 대할 것 없는 국가와 궁핍한 현실 앞에서 체념하거나 자살이라는 극단적 선택을 하기도 했다. 그리고 그 죽음은 서사화 되기 어려웠다. 천황을 위한 죽음을 강제 하는 성명, 남조선국민의 경계를 설정하고 그것에서 벗어난 이의 배제⋅죽음을 의미한 단독선거 등이 연속되는 역사적 현실이었다. 극빈층인 하층민이 ‘권세’ 있 는 장례를 할 수 있는 경우는 일제말이나 해방 이후나 국가와 관련된 죽음이어야 만 가능했다. ‘애국 국민’으로 규정된 이의 장례(신사, 애국장⋅국민장⋅단체장 등)는 사적 죽음이 공적 정치행위와 분리되지 않은 시대였다는 것을 보여준다. 총 력전 시기의 소설과 해방 이후 일제말기 하층민의 죽음을 둘러싼 소설적 재현의 차이는 하위주체의 죽음을 공적으로 발화할 수 있느냐의 문제뿐만 아니라 그 죽 음을 강제한 주체가 누구인가를 드러낸다. 따라서 본고는 그 죽음의 한 원인으로 당국과 민중 사이에서 정치⋅경제적 매개역할을 했던 도회의원에 주목한 것이다. 첨언하면 이들 중에는 정⋅동 총대직을 역임했던 이들도 있었다. 요컨대 본고는 선거라는 ‘공적 주권’ 행사의 시원을 둘러싼 문학적 재현뿐 아 니라 그것을 확보해 가는 과정에서 드러나는 권력과 (비)국민의 괴리, ‘실망’의 내 면화 등을 살폈다. 그리고 그 과정에 개입한, 체제의 구조적 억압과 모순의 한 자 화상으로서 ‘도회의원’에 착목했다. 이를 통해 일제말, 해방 이후 청산되지 않은 역사가 형성되는 하나의 양태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