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래피드 프로토타입 개발 방법론을 활용한 실시간 혼합형 교육 프로그램 개발 사례연구 -과학기술인을 대상으로-

        이가영,한송이,김명선,이현경,김민지,박한림,김규동,허선영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022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8 No.1

        Synchronous blended learning, where both online and offline students simultaneously participate in class activities within the same space, is emerging as a new form of education in Post COVID-19 era and it is necessary to conduct research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synchronous blended learning in various fields. Therefore, this study designed and operated synchronous blended learning programs for learners of K institution, a national institution that provides education for scientists and engineers, to analyze learners' perceptions, and to this end, a rapid prototype development methodology was used. Four prototype developments and their usability evaluations were conducted in this study. The developed course, titled “Science Communicator Training Course,” aims to teach “to communicate science by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subject, goal and circumstance.” The course is comprised of four modules (the importance of science communication, science speaking, science presentation, and science writing) and employs various teaching methods, like lectures, practical training and interactive activities, to reach the abovementioned learning goal. Regarding the learner's interview, they felt that they had achieved their goals, education wise, regardless of the type of participation, online or offline, and did not think that their results and success were related to the type of participation.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various educational methods such as practical and interactions as well as lectures type can be effective in Online synchronous classes. However, the learners raised problems with the inconveniences of such methods, such as communication from the instructors and problems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not only to study the elements of the competency of teachers involved in synchronous blended programs or classes, but also to explore the different elements that make up the overall experience of participating learners. This study verified whether synchronous blended learning may be applied in not only higher education, but also in lifelong education where students of varying age and corporate rank participate. It also confirmed the potential of applying synchronous blended learning in both lecture-type teaching method and student-oriented teaching methods, such as practical training and debate/discussion.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investigate competence factors of instructors and students participating in synchronous blended learning.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새로운 교육의 형태로 온․오프라인 학습자가 동시에 수업에 참여하는 실시간 혼합형 수업이 확산되면서, 여러 교육 맥락에서 실시간 혼합형 수업의 가능성을 탐색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과학기술인을 대상으로 교육을 실시하는 국가 기관인 K기관의 성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실시간 혼합형 수업을 설계하고 운영하여 이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을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래피드 프로토타입 개발 방법론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총 4번의 프로토타입 개발과 사용성 평가가 진행되었다. 개발된 교육의 과정명은 ‘과학커뮤니케이터 양성 과정’으로, ‘대상, 목표, 상황을 고려하여 과학 커뮤니케이션 할 수 있다’라는 교육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총 4개의 모듈(과학 커뮤니케이션의 중요성, 과학 말하기, 과학 프리젠테이션, 과학 글쓰기)로 구성하였고 강의형, 실습형, 상호작용형 등 교육목표에 맞도록 다양한 교육방법이 활용될 수 있도록 하였다. 학습자 면담 결과, 온․오프라인 참여 형태와 관계없이 교육목표를 달성하였고, 교육목표 달성 여부가 참여 형태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고 인식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강의형, 실습형, 상호작용 등 다양한 교육방법이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다만 교수자의 소통, 교육환경의 문제 등 교육 운영상의 불편함이 제한점으로 제시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고등교육뿐만 아니라 다양한 학습가 참여하는 기업교육 맥락에서도 실시간 혼합형 수업이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고,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실시간 혼합형 수업 설계 및 운영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혼합형 학습 도입과 정착을 위한 대학의 조직문화와 기능에 관한 연구

        구양미 ( Yang Mi Koo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06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2 No.3

        대학의 면대면 강의에 온라인 학습을 연계한 혼합형 학습은 기존의 대학교육체제를 변화시키고 혁신하는 데 촉매로서 작용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교육기관의 조직문화와 기능적 특성이 혼합형 학습의 도입과 정착에 영향을 주는 요인임을 규명하고, 혼합형 학습이 대학에 성공적으로 정착되도록 함과 동시에 교육기관의 문화와 기능을 변화시키기 위한 혼합형 학습의 촉매 역할을 촉진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하여 프랑스 R 대학에서 혼합형 학습을 실시하는 학부의 3개 수업과 평생교육대학의 1개 수업을 선정하였다. 연구자료는 혼합형 학습 도입과 정착에 관련된 조직문화와 기능에 대한 총체적인 분석을 위하여 교수회의 및 교수자들의 교수활동에 대한 참여관찰, 이메일과 행정문서 수집, 담당 교수자 및 행정관리자와의 반 구조화된 면접, 4개 수업의 학생들 대상의 설문을 통해 수집된 자료로 구성되었다. 연구자료는 Gather Thurler가 제시한 교육기관의 변화와 혁신을 위한 여섯 가지 문화와 기능에 따라 주제 분석 하였다. 연구 결과, R 대학의 조직문화와 기능적 특성이 교수자들이 혼합형 학습을 도입하고 실행하는데 영향을 주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었으며, 변화와 혁신의 시도로서 혼합형 학습의 도입과 정착을 촉진하는 역할을 하기 보다는 부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대학에서 변화와 혁신을 추진함에 있어서 문화와 기능적 변화가 필수적이며, 변화와 혁신을 추진하는 노력이 실천의 주체인 교수자는 물론 대학의 다양한 구성원들과 공유되어야 함을 나타낸다. 이러한 측면에서 변화와 혁신을 위한 비전과 목표를 공유한 커뮤니티를 구성하고 발전시키기 위한 방안과 전략이 요구된다. Blended learning combines the face-to-face lecture and online learning as a catalyst for the change and innovation in higher education. This study examines the organizational culture and operation of education institutes as major factors in the implementation of Blended Learning. The conditions for the successful integration of Blended learning into higher education are conducted in this work. We have chosen four Blended Learning courses, three undergraduate courses from R university and one course from a lifelong-learning university in France. For the holistic analysis on organizational culture and function for the implementation of Blended Learning, the data consist of the observations on instructional activities, the collection of emails and documents, the semi-structured interview with professors and administrators, and the surveys with students in these courses. We performed thematic analysis on the collected data according to six cultures and functions for the revolution of educational institutions, proposed by Gather Thurler. The results show that the organizational culture and function of R University plays an important role in performing Blended Learning not in the way to encourage its implementation but in a negative way. It implies that the transition of culture and function is critical for the drive the revolution of higher educations and the effort should be made by not only instructors but all members of institutions. New programs and strategies are required to organize and develop communities that shares visions and objectives for the change and innovation.

      • KCI등재

        국내외 비판적 사고교육 효과연구 고찰

        윤초희(尹蕉熙)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6 아시아교육연구 Vol.17 No.4

        이 연구는 국내외 비판적 사고교육 효과연구를 종합적으로 고찰하고 향후 비판적 사고교육 연구의 과제와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먼저 비판적 사고교육의 이론적 쟁점으로 비판적 사고의 개념, 일반화 가능성, 영역성 관점에 따른 교수적 접근에 대해 논의하였다. 비판적 사고에 대한 관점은 크게 사고기술의 일반화가능성을 인정하는 영역-일반적 입장과 특정 영역과 맥락에 따라 사고기술이 달라진다고 보는 영역-특수적 입장으로 구분되며, 이러한 영역성 관점은 교수적 접근의 선택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Ennis는 비판적 사고의 교수적 접근을 교과독립형, 교과접목형, 교과내재형, 교과혼합형으로 구분하였는데, 이중 교과독립형은 영역-일반론자에 의해 선호되며, 교과-내재형은 영역-특수론자에 의해 옹호되는 교수적 접근방식이다. 이들 다양한 교수적 접근의 효과를 검증한 선행연구들을 종합적으로 분석한 결과, 교과독립형 접근에서는 주로 하나의 독립적인 사고개발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수업활동 내용과 유사한 검사에서의 수행을 통해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할 때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교과내재형 접근에서는 교과수업 안에서 사고력 교육을 실시하고 교과와 관련된 과제에서의 수행을 통해 사고력을 평가할 때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평가방식이 교수적 접근과 일관될 때 교육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사용된 교수방법과 전략은 일관된 효과를 보이지 않았으며, 전반적인 교육과정 및 프로그램의 효과는 학습자의 발달 및 성취수준, 교수자 전문성에 따라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고찰을 토대로, 비판적 사고교육의 효과를 조절하는 지식의 영향, 비판적 태도 계발과 전이, 교과독립형 프로그램의 초점 확대, 비판적 사고의 평가에 관한 연구들이 향후 연구과제로 제언되었다. This study reviews research on the effects of critical thinking instruction and draws the implication for future research directions. Firstly, the study discusses the concept of critical thinking and the issues related to generalizability of and instructional approaches to critical thinking. There are two conflicting perspectives-domain-general and domain-specific approaches-on the nature and genenralizability of critical thinking which, in turn, affect instructional approaches to critical thinking. These approaches can be classified into 4 different types according to Ennis: general, infusion, immersion, and mixed approaches. Advocates of the domain-general approach prefer a general approach while specificists prefer an immersion approach. Previous empirical research on the effects of critical thinking instruction show that in a general approach, stand-alone critical thinking programs were implemented and their effects were examined using standardized, domain-general critical thinking tests while in an immersion approach, critical thinking was immersed in the subject matter instruction and evaluated by domain-specific tasks. Moreover, meta-analytic studies show that when the instructional approach was consistent with evaluation methods, that is, domain-general tests were used in a general approach and domain-specific tasks in an immersion approach, the effect size tended to be the largest. Based on the review, studies exploring the moderating effect of knowledge on critical thinking instruction, transfer of critical thinking skills and dispositions, extension of the curriculum content of stand-alone programs, and evaluation studies of critical thinking were suggested as future research.

      • KCI등재

        포스트코로나시대의 교육동향과 블렌디드러닝 모델연구 -초등디자인교육을 중심으로-

        민재윤,김민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21 조형미디어학 Vol.24 No.2

        With Corona 19, starting with online school, non-face-to-face education is becoming a daily routine, and the educational paradigm such as learning, guidance, and evaluation is changing accordingly. This study stands at a turning point in education, understands the current trends in the current education system through current status surveys, derives research results based on expert thesis and exhibitions, discovers the demand for content and teaching methods in elementary education, and provides online offline. We present the direction of hybrid education (blended learning). In particular, the scope is focused on the design area of ​​the art subject that requires the elimination of the educational gap, which is exposed to elementary education in which the learning process and content in an unfamiliar educational field, such as online classes, and physical environmental factors are exposed as sensitive reactions. In addition, it is designed to enable immersion and cooperation in self-directed learning in a problem-solving learning-oriented program that checks the blended learning model based on the design process. It proposes a positive model of education left by Corona 19, such as mixing online and offline, mixing the past and present, and mixing classroom and information, and seeks ways to implement it. 코로나19로 인해 온라인개학을 시작으로 비대면 교육이 일상화되고, 이에 따른 학습, 지도, 평가 등의 교육패러다임이 새롭게 변화되었다. 이 연구는 교육의 전환점에 서서 현황조사를 통해 현재 교육체제의 동향을 이해하고, 초등교육의 콘텐츠와 교육방법에 대한 수요를 파악하여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혼합형 교육(블렌디드 러닝)의 방향성을 제시한다. 본 연구의 연구방법으로는 교육부나, 한국교육학술정보원, 교육통계 연구센터등 공공기관의 분석 및 결과의 도출, 시기별 변화를 제시한 그래프나 발표 자료, 각종기사들을 차용하여 연구하였다. 전체적인 교육 패러다임의 변화를 알아보고 교육대책과 함께 동향을 분석하였으며, 전문가의 논문과 논평을 기반으로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특히 비대면 환경에서의 미술과 디자인교육의 교육프로그램과 콘텐츠에 대한 연구는 자기주도성학습과 창의적사고, 다양한 표현, 융합, 확장, 연결의 가능성에 초점을 맞추어 구성하였다. 이 연구는 특히 온라인수업이라는 낯선 교육현장에서의 학습과정과 내용, 물리적 환경요인이 민감한 반응으로 드러나는 초등교육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교육공백해소가 요구되는 미술교과의 디자인 영역으로 범위를 집중시켰다. 또 초등교육의 디자인프로세스에 준한 블렌디드러닝 모델을 재구성하였고 문제해결학습 중심의 프로그램에서 자기주도적 학습에 몰입과 협력체제가 가능하도록 고안하였다. 지식정보사회의 비대면, 온라인, 원격이라는 단어로 대신하는 현 교육의 특성과 장단점을 조사하고, 교육자, 학습자의 관계형성과 기존의 교육의 본질에 접근하여 초등디자인교육의 새로운 교육모델을 제안하였다.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혼합, 과거와 현재의 혼합, 교실과 정보의 혼합 등 다각적 혼합교육인 ‘블렌디드 러닝’이 그 예로서, 코로나19가 남긴 교육의 긍정적 모델을 제시하고 실행방안을 모색한다.

      • KCI등재

        음악 실기교육을 위한 온·오프라인 혼합형 수업 설계원리 개발연구

        권혜진,김민정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22 음악교육공학 Vol.- No.53

        본 연구는 온·오프라인 혼합형 학습을 활용하여 온라인 음악 실기수업에 대한 학습자의 부정적인 인식을 개선하고 음악 실기 교수자가 어떠한 요소에 주목하여 온·오프라인 혼합형 음악 실기수업 설계원리를 개발할 것인가에 대한 목적으로 실행하였다. 이를 위해 설계·개발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선행문헌 고찰과 현장 전문가 면담을 통해 음악 실기교육을 위한 온·오프라인 혼합형 수업의 초기 설계원리를 도출하였다. 또한, 내적 타당화를 위해 총 20명의 교육전문가를 대상으로 세 차례의 전문가 델파이를 실시하였고, 외적 타당화는 교수자 1명과 학습자 10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그 결과 음악 실기교육을 위한 온·오프라인 혼합형 수업을 위한 최종 설계원리로 총 17개의 원리와 34개의 상세지침이 개발되었다. 개발된 설계원리를 적용한 결과, 온·오프라인 혼합형 수업은 실기실습 활동이 주를 이루고 있는 음악전공자에게 효과적인 수업의 방안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온라인 무역교육의 효율성 제고를 위한 혼합형 학습기법의 도입에 관한 연구

        이상진(Sang-Jin Lee),윤창기(Chang-Ki Youn) 중앙대학교 한국전자무역연구소 2012 전자무역연구 Vol.10 No.1

        무역교육의 학습방법에는 다양한 형태가 있으나, 인터넷의 보급 확산으로 많은 학습자들이 새로운 방법을 요구함에 따라 과거 오프라인 중심의 정형화된 학습형태를 탈피하여 온라인 방식의 교육이 점진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오프라인 무역 교육방식에서 부족한 학습부분을 온라인방식으로 전환함으로써 무역교육의 다양한 학습기반이 마련되었다. 그러나 온라인 무역교육에서 단점으로 대두되는 학습자와 교수자의 커뮤니케이션 부족 등을 극복하기 위하여 최근 혼합형 학습기법을 도입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학습효율성을 제고하고 실질적인 학습능력의 성과를 이루는데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온․오프라인 학습의 장단점을 비교하고, 혼합형 학습기법의 도입사례를 분석하여 효율적인 학습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Even though there are various learning methods for trade education, on-line education programs have been gradually increasing with breaking traditional off-line oriented methods because many learners are requiring for a new method with expanding a usage of internet. As on-line education programs can make up deficiencies of off-line trade educations, it is allowed to establish various learning infrastructure for trade education. However, in order to overcome the lack of communication between learners and teachers which is a downside of the on-line education program, blended learning methods have been introduced recently. It aims to reconsider a learning efficiency and to lead a substantial performance for learning ability. Therefore, this paper compares strengths and weaknesses of on-line and off line education programs, and suggests an effective learning method for the trade education through the case analysis of adopting the blended learning method.

      • KCI등재

        블렌디드 러닝을 적용한 비대면 한국어 수업 사례 연구 : 온라인 세종학당 혼합형 수업을 중심으로

        윤효승(Yoon Hyoseung)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12

        이 연구에서는 온라인 상에서의 블렌디드 러닝을 통한 한국어 수업의 사례를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수업 대상자들의수강 후기를 통하여 비대면 한국어 강좌의 수업 내실화와 활성화를 꾀하고자 하였다. 학습자들은 실시간 온라인 강의와온라인 세종학당의 자가학습과정 VOD시청을 수평형으로 구성한 수업으로 한 학기 초급 과정을 수강하였다. 이 학습자들의 수업에 대한 만족도를 실시간 수업, VOD시청 수업, 그리고 혼합형 수업의 전반적인 것으로 나누어 실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수업 운영을 점검함으로써 온라인교육과정 설계에 참고가 되고 동시에 한국어 학습자들의 요구를 이해하는 데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설문의 결과를 통하여 학습자들의 혼합형 수업에 대한 만족도가 상당히 높아 향후 유사한 교육과정이 지속적으로 운영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학습자들은 목표로 한 한국어 실력 향상에 이 혼합형 수업의 상호보완적인 역할이 큰 기여를 하였음을 인지하였으며 수업의 효율성을 높게 평가하였다. 본 연구의 사례를 중급 과정에 적용시켜 학습자들의 만족도를 비교해 보는 것, 비혼합형 수업과 혼합형 수업의 성취도평가 결과 비교를 통한 객관적인 실력 향상의 검증하는 것등을 제언하고 있다. 블렌디드 러닝으로 구성한 이번 세부세종학당 운영 사례는 세종학당 온라인 콘텐츠의 활성화와 한국어 교원들에게 한국어 온라인 수업의 한 방안 제시로 그 의의를 가질 것이다. In this study, the case of Korean language class through online blended learning was presented in detail, presenting the surveys of the students. It was attempted to enhance the internalization and vitalization of non-contact Korean language classes. Students took the beginner course for one semester with a class consisting of real-time online lecture and online KSI’s self-learning course in a horizontal format. The students satisfaction with the class was investigated by dividing the class into real-time class, VOD viewing class, and blended class. Through this, it was intended to be a reference for the online curriculum design and to help understand the needs of Korean learners. Through the results of the survey, it was confirmed that the students’ satisfaction with the blended class was quite high, so that a similar curriculum could be continuously operated in the future. Learners recognized that the complementary role of this blended class made a great contribution to the targeted improvement of their Korean language skills, and evaluated the effectiveness of the class highly. It is suggested to compare the satisfaction of learners by applying the case of this study to the intermediate course, and to verify objective skill improvement by comparing the results of the achievement evaluation of the non-blended class and the blended class. This case of operation of Cebu King Sejong Institute composed of blended learning will have significance as it promotes online contents of King Sejong Institute and suggests one of the methods for Korean online classes to Korean teachers.

      • ‘통합적 열린 글쓰기 교육’ 원리에 입각한‘창의적 사고와 글쓰기’ 교육 모형-영화 <부당거래>를 활용한 ‘공동체와 정의’ 주제 수업 사례-

        박현희 한국사고와표현학회 2011 사고와표현 Vol.4 No.2

        ‘Creative Thinking and Writing’ education means a writing trainingbased on the creative thinking for raising creative persons. Thecreative writing model is appropriate for the writing training thatcombines reason with emotion. Especially, the writing training thatutilizes a movie has the advantage of integrating reason and emotioninto the creative thinking and writing process. This article proposesthe principles of the ‘Creative Thinking and Writing’ education modeland shows a case for it. Creative writing education aims at the writing that expresses uniqueargument by new, various and critical approaches to a topic, freefrom the established ways of thinking. To achieve the goal, I developedthe ‘Integrated Open Writing Education’ model, a teaching methodthat integrates both divergent thinking and convergent thinking into acreative thinking. The ‘Integrated Open Writing Education’ model contains threecharacteristics. First, the model uses the ‘Blended Learning’ method, aWeb-based strategy of learning to maximize the effect of learning. Itcombines on-line learning with off-line learning. It integrates manyfactors of learning such as goal, method, time and space, media andinteraction. Second, it has a strategy of ‘Open Writing.’ This means the principalof interaction in each process of an approach to a topic. Through theinteraction, We are able to learn various opinions and raise the abilityof converging the different opinions. Third, it pursues the student-centered model. The relation betweenteacher and student is facilitator and leader in the creative thinkingand writing training ‘창의적 사고와 글쓰기’ 교육은 지식을 창출하는 창의적 인재 양성에 부합하는창의적 사고에 기초한 글쓰기 교육이다. 창의적 사고에 기초한 글쓰기 교육은 이성과 감성을 결합한 글쓰기 교육에 적합하다. 특별히 영화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은 이성과 감성 모두를 작동하여 통합적인 창의적 사고와 표현을 촉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 글은 영화 <부당거래>를 활용한 ‘창의적 사고와 글쓰기’ 수업모형의 원리를 제안하고 그 사례를 제시한다. 창의적 글쓰기 교육은 주제에 대해 다양한 방식으로 접근하고 기존의 사고에대해 비판적이고 새로운 사고로 접근하여 독창적인 논지를 담은 글을 쓸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확산적이면서도 수렴적인 창의적 사고방식을 모두 아우를 수 있는 교수법, ‘통합적 열린 글쓰기 교육’ 원리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혼합형학습(Blended Learning)’ 방법을 활용한다. 이 학습법은 온라인과 오프라인 학습환경만을 결합하는 것이 아니라 학습 목표, 학습방법, 학습시간과 공간, 학습활동, 학습매체, 상호작용 방식 등 다양한 학습 요소들의 결합을 통해 최상의 학습효과를 도출하기 위한 웹기반 학습 설계전략이다. 두 번 째 ‘열린 글쓰기 전략’이다. 하나의 주제에 접근하는 모든 과정에 상호교류의 원칙을 적용한다. 상호작용을 통해 하나의 주제에 대한 여러 가지 다양한 의견을 접하고 갈등하거나 상충하는 의견들을 자기주도적으로 수렴할 수 있는 역량을 기를 수 있다. 셋째, 창의적 사고와 글쓰기 교육에서 교수와 학생의 관계는촉진자와 주도자의 관계로 편성된다. 학생중심의 학습모형을 추구한다.

      • KCI등재후보

        혼합형 학습이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과 학습성취에 미치는 효과

        오혜경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5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5 No.4

        본 연구는 온라인과 오프라인 방식을 혼합한 학습을 간호대학생에게 적용하고 자기주도적 학습능력과 학습성취도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간호교육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방법으로 혼합형 학습의 활용성을 알아보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에서 온라인-오프라인 혼합형 학습을 적용한 그룹과 기존의 오프라인 강의식 학습을 적용한 그룹 간에 자기주도적 학습능력과 학업성취도에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혼합형 학습을 적용한 실험군의 경우, 혼합형 학습을 적용하기 전보다 후에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이 향상되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The present study was performed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self-directed learning and learning achievement in nursing education course based on blended learning. This was undertaken to provide basic data necessary to preparation of various applications and uses of blended learning in nursing educa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otal self-directed learning and learning achievement between blended learning of online-offline group and control group.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elf-directed learning score between pre and post blended learning group.

      • KCI등재후보

        비형식적 교육장소에서의 혼합형 학습 시스템 설계 및 구현

        김미영,권효순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07 實科敎育硏究 Vol.13 No.2

        This study's purpose was to develop the blended learning system, that gives the prior and ex post facto learning circumstance for the exhibits, that has the contents as like the information of the exhibits, the learnig experience report for the exhibits.For the purpose, the literature study for the blended learning system was first accomplished. The blended learning system was implemented through the processes of the planning, analysis, design, development, evaluation with the each feedback.The national science museum was selected as the object site. The system's contents was for the 50 exhibits among the national science museum's 4 thousand exhibits. The system's development effects are follows:First, the system gives the blended learning experience for the elementary, middle school students to have the information of the national science museum and it's exhibits before visiting, to have the ex post facto learning or achieve online the assignment after visiting the science museumSecond, the system gives the online opportunity to learn the knowledge of the exhibits through the contents as like the simulation, animation, etc.Third, the system is worth the reference model for another museum, science center to develop a blended learning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