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의 메르스 사태와 법, 그리고 호모 사케르 ― 아감벤의 민주주의와 전체주의 결탁 테제를 중심으로 ―

        이정훈 ( Junghoon Lee ) 연세대학교 법학연구원 2016 法學硏究 Vol.26 No.3

        2015년 메르스 사태 후, 한국사회는 감염병 관리의 효율성 재고를 위해 행정조직의 개편과 대응 매뉴얼 개선에 집중했다. 추방되었던 ‘80번 환자’와‘90번 환자’등의 ‘권리’와 ‘존엄성’에 관한 심각한 논의는 없었다. ‘권리에 대한 합법적 제한’이라는 측면에서 보상금에 대한 논의는 입법적 조치로 이어졌다. 한국사회에서 현대의 법과 정치는 그들의 생명을 토대로 삼아 존재한다는 생명정치의 본질이 여실하게 드러난 것이다. 헌법에 의해 보장되는 권리들이 당연한 것인 양 여겨지는 현대 민주주의 사회에서 법을 정지시키는 ‘예외상태’의 선언은 ‘법효력’과 ‘주권’의 본질에 대해 재인식하는 계기가 되었다. 아감벤은 주권자와 호모 사케르가 법질서의 양 극단에 위치하는 형상으로서 동일한 구조와 결합된 상황을 묘사한다. 주권자는 바로 모든 사람을 잠재적 호모 사케르로 간주하는 자이다. 아감벤의 비판에 따르면, 슬프게도 잠재적 호모 사케르들(우리들)은 현재의 호모 사케르에게 주권자로 행세한다. 잠재적 호모 사케르인 우리가 헌법에 명시된 주권자로서 80번 환자에게 의식하지 못한 채 행한 그것을 아감벤은 냉정한 어조로 지적하고 있다. 경제적인 이익과 안전으로 상징되는 ‘생명’만이 정치적 문제가 되는 생명정치의 구조 속에서 절대적으로 살해 가능한 생명, 즉 죽음의 가능성 그 자체를 통해 정치화 되는 생명이 정치권력의 토대가 된다. ‘80번 환자’는 법체계에서 추방되는 동시에 포함되는 ‘포함인 배제’(inclusive exclusion) 상태로 존재했다. 다시 말해, ‘80번 환자’를 격리(추방)시키고 다수의 생명의 안전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기 때문에 권력이 정당성을 획득하고 유지된다. 이러한 정치와 법의 본질과 구조로 인하여 현대 민주주의는 폭력적 전체주의와 상시적으로 인접해 있고 결탁하게 됨을 아감벤은 주장했다. 어쩌면 감염병의 공포보다 생명정치의 종속적 주체로서 양산되는 신체들이 잠재적 호모 사케르의 상태로서 민주주의와 전체주의의 결탁에 있어 토대가 되고 있는 현실이 더 공포스럽다고 하겠다. 아감벤의 설명처럼, 본 연구도 현대 민주주의가 이룩한 것들을 폄하하기 위해 수행된 것은 아니다. 본고의 목적은 아감벤의 민주주의와 전체주의 결탁테제를 중심으로 한국의 메르스 사태가 보여준 한국 민주주의의 위험성을 설명하기 위함이다. 이 과정에서 주권, 국가, 법의 본질을 ‘호모 사케르’의 존재를 통해 성찰하게 된다. 이러한 성찰은 우리에게 왜 타인의 자유를 존중해야 하는지, 이것이 나의 자유와 어떤 관계가 있는지 재인식하는데 새로운 지평을 열어준다. 또한 한국사회와 정치의 진영논리가 생명정치 내에서 어떻게 민주주의와 전체주의의 결탁에 중요한 공모자가 되는지를 밝히는 것도 본고의 중요한 목적 중의 하나이다. Since the 2015 outbreak of 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MERS), improving the management of contagious diseases has been under heated discussion in Korean society. After gathering opinions from experts, the government came up with steps for reforming administrative systems and repairing response manuals in order to effectively contain transmittable illnesses. As usual, these strategies were mostly about expanding bureaucratic organization and strengthening the government`s authority. However, there was no discussion about Patient #80, who was deprived of his right to die with dignity when he passed away. Of course, discussions about compensation were made through legislative measures. The MERS victims, who were called Patients #35 and #80, and whom no one remembered, revealed the true face of modern laws and politics, which are based on their lives. While the constitution guarantees “personal liberty,” “the dignity of man,” and other such rights without much consideration, declaring an “exceptional state ” (which “halts” or temporarily nullifies the law) calls to mind the nature of legal force and “sovereignty.” Sovereign and homo sacer, two symmetrical forms located on the two extremes of law and order, have the same structure and are linked to each other. Here, a sovereign regards every person as a potential homo sacer over whom everyone exerts sovereignty (as a sovereign). The explanation that the body of the Leviathan is comprised of the body of each individual provides an excellent understanding of sovereignty, politics, and the body. In the structure of life politics in which only “life” (which includes economic things and safety) becomes political, life (which is politicized through life that is absolutely able to be murdered, or includes the very possibility of death) becomes the foundation of political authority. During the MERS outbreak, Patient #80 existed in a state of inclusive exclusion through which he was concurrently barred from and involved in Korean society, including the legal system. In Bio-politics, laws and politics are based on declaring an “exceptional state” as well as who will be considered a homo sacer in the name of democracy (from the “halting” of laws). Authority acquired legitimacy and was maintained since it had the potential to isolate (i.e., expel) Patient #80 and thus ensure the safety of the public. This nature and structure of politics and law have allowed modern democracy to be permanently close to and simultaneously collude with violent totalitarianism. For Patient #80, whose “personal liberty” and rights as a “dignified human being” were halted as an “exceptional state,” an “exception” (such as that he could die and hold his wife’s hand while not wearing anti-contamination clothing) to the rules on managing contagious diseases was never allowed. As Benjamin pointed out, citizens walked along the city streets feeling that they were free agents, reigned over a “naked life” while worrying about declining sales revenue due to the MERS outbreak, and silently conspired with totalitarianism by an implied majority vote. What is more frightening than the fear of MERS is the reality that human bodies, mass produced as a subordinate agent of bio-politics, serve as the foundation for the collusion between democracy and totalitarianism in the state of a potential homo sacer. With the MERS outbreak, Agamben`s study was a sobering reminder of the relationship between homo sacer and law-politics, or the nature of bio-politics. In addition, given the MERS outbreak, Korean society should consider Saito`s point that liberty should not be regarded as “the exclusion of interference” but rather as “the exclusion of dominance” (from the Republican viewpoint). Foucault distinguished a situation in which one submits to the other`s idea and ends up losing his/her ability to resist control from the relation of power; he called it the relation of dominance. In biopolitics, in order to be free from ruling, we must have a new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liberty and publicity, understand why we have to protect others` liberty, and what responsibilities we have to do so. Otherwise, if we are placed in a situation like the MERS infection of Patient #80 and end up being a homo sacer, no one will listen to us. We would not be allowed to die without wearing anti-contamination clothing and holding our spouse’s hand due to the irresponsibility of the anonymity of potential homo sacers, who worry about declining sales revenue and strongly support the body`s authority. As Agamben explained, the purpose is not to disparage what modern democracy has achieved. It is not to ridicule or belittle those who separated themselves from the MERS victims in the name of the public. This study ponders the topic that Agamben`s study raised in Korean society while considering the body of the Leviathan.

      • KCI등재

        배제와 재 포함에 관한 동시대적 고찰 -마머데이의『새벽으로 지은 집』을 중심으로-

        차보영 ( Bo Young Cha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2 인문학연구 Vol.42 No.4

        소외에 대한 인간의 극복 의지는 시대를 초월하는 개념이다. 통시대의 화두인 소통과 화합은 이러한 소외를 전제로 하고 있으며 포스트 모던의 시대에 들어서 오히려 빈번해친 소외와 배제의 현상은 이것이 진부한 운 제의식이 아님을 반증하고 있다. 이에 원주민 문학에서 나타나는 배제의 문제에 대해 조르주 아감벤 (Giorgio Agamben)과 비교하여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그의 사상의 기 본적 메커니즘이 원주민 문학이 말하는 공동체로의 복귀와 유사성을 보이 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아감벤은 호모 사케르라는 개념을 통해 이중배제를 설정함으로써 배제의 극단을 제시하였다. 이들은 어떤 정치권력의 보 호도 받지 못한 채 죽음의 위협에 무방비로 노출되어 있는 존새등을 일컫 는 말이다. 본고에서는 마머데이 (N. Scott Momaday)의 『새 역으로 지은 집』 (House made of Dawn)에서 주인공 에이블(Abel)을 호모 사케르로 규정하고 그가 겪는 소외와 아감벤이 말하는 배제를 비교하였다. 에이블의 배제와 재 포함을 말하는 과정에서 필자가 고찰한 아감벤의 호모 사케르의 개념은 동시대의 포스트 모더니즘적인 상황을 넘어선 그 이상의 것을 요구하는 시대의 요청에 부응하는 답변이다. 포스트모더니즘 이 표방하는 일종의 기표의 절대성에 대한 부정은 권위의 해체와 벗어남 이라는 근본적인 취지를 망각한 채 수많은 문제들을 만들어 내었다. 그리고 이는 결과적으로 오늘날 호모 사케르적 인간들의 일반화를 초래하는 데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아감벤은 이러한 의미에서의 포스트 모더 니즘을 부정하며 호모 사케르들의 법과 종교로익 재 포함을 촉구한다. 이에 필자는 그의 논리를 통해 동시대성 음 고려하며 호모 사케르인 에이블의 공동체로의 재 포항을 말하였다. 이를 위한 작동원리로 아감벤은 세속 화의 원리를 제시하며 이에 필자는 거기에 상응하는 의미로 원주민의 전 통에 대한 인정과 수용을 언급하였다. 본고에서 언급한 대안의 한 형태는 주인공 에이블의 정체성 인식과 인정이며 이는 그의 공동에로의 재 배치를 가능하게 안든 구심점이 된다. 그가 공동체의 적대자인 호모 사케르가 된 뒤 추방을 당하고 다시 공동체로의 회귀를 통해 구성원으로서의 재 배 치를 보여주는 과정은 분리와 소외를 극복하고자 하는 동시대의 지속적인 문제 의식에 대한 해결 방식을 보여주는 좋은 예가 될 것으로 보인다. 소외와 이중 배제의 고통을 겪는 시대의 호모 사케르를 위한 인간의 고민은 시간이 흘러도 그 문제적 부피가 경감되지 않는 영원한 화두이다. Human being`s spirit of conquest over alienation is a concept transcending all the times. Moreover, mutual understanding and harmony, which are conversation topics of contemporary, are based on a premise of that alienation. In addition, the fact that a phenomenon of alienation and exclusion has occurred more frequently entering an age of post modern instead is a instead is a counter evidence of the idea that it is a consciousness of a wom-out issue issue. As such, this study explores an issue of exclusion based on Giorgio Agamben`s idea, concluding that his fundamental mechanism showed a similarity with a return to community which was; said by a native literature. To introduce extreme of an exclusion, Agamben instituted a dual exclusion through a concept of Homo Sacer, who was called for the existences, defenselessly exposed to the threat of death without any protection from political power. Thus, this study compared an alienation, experienced by Abel in N. Scott Momaday`s House Made of Dawn and a exclusion as told by Agamben. long the line of speaking Abel`s exclusion, and re-inclusion, Agamben`s concept of Home Sacer, this study focused on, was rather an answer to meet the need of the time which asked more than post modernistic circumstance of contemporary. Losing sight of the fundamental purposes, or breakup and liberation, negating absoluteness of a kind of signifier, as supported by post modernism, has produced a number of issues. In addition, it eventually has played a critical role in bringing a generalization of human being, characterizing it as Homo Sacer. In this way, Agamben gainsaid post modernism and strongly claimed re-inclusion of Homo Sacer toward a law and a religion. Thus, following his logic, this study meant a re-inclusion as Abel`s community, which was Homo Sacer. As a principle of operation to help it, Agamben suggested a principle of secularization. Therefore, this study mentioned acknowledge and acceptance of native`s tradition as a corresponsive meaning for the principle of secularization. In the body, the alterantive of Abel`s acceptance and knowledge becomes the main power which makes him re-include to his community. The process of exile, re-inclusion and being a member of his community again are the persuasive example about a solution we need. That is, it can be the presentation of strong will for surmounting separation and a1ienation. Human being`s agony toward Homo Sacer in the time of experiencing the anguish of alienation and a dual exclusion is a discussion topic of importance, the least likely issues to change over time.

      • KCI등재

        호모 사케르(Homo Sacer)는 한국사회의 ‘위험의 외주화’ 담론 분석의 철학이 될 수 있는가?

        정재요 새한철학회 2022 哲學論叢 Vol.109 No.3

        This thesis consists of an analysis of ‘risk outsourcing’, which can be seen as a bio political discourse in today's Korean society, especially through the political philosophy of ‘Homo Sacer’ presented by Giorgio Agamben. Through this,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possible to evaluate whether Agamben's philosophy is suitable for Korea's labor reality, and to examine more closely the bio politics inherent in the discourse of risk outsourcing. In accordance with this plan, Chapter 2 of the thesis examines the political philosophy of Homo Sacer proposed by Giorgio Agamben at a rough level in order to prepare a framework for research analysis. The following Chapter 3 deals with the risk outsourcing established as a bio political discourse in Korean society. Chapter 4, which occupies the core part of the paper, consists of analyzing the discourse of risk outsourcing in Korean society through the theory of Homo Sacer presented by Giorgio Agamben.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themes related to Homo Sacer's political philosophy, such as the paradox of sovereignty, the order of exile, the non-identifying area, the state of exception, and the concentration camp, functioned as a meaningful prism in analyzing the discourse of risk outsourcing. 이 글은 오늘날 한국사회의 생명정치적 담론으로 볼 수 있는 ‘위험의 외주화’를 조르조 아감벤이 제시한 ‘호모 사케르’(Homo Sacer)의 정치철학을 경유하여 분석‧검토하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를 통해 아감벤의 사유가 과연 우리의 노동현실에 적실성을 가진 이론인지를 평가하고, 위험의 외주화 담론에 내재한 생명정치성을 보다 면밀하게 고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이러한 기획에 따라 본고의 2장에서는 연구 분석의 준거를 마련하기 위한 차원에서 아감벤이 제시한 호모 사케르의 정치철학을 개략적인 수준에서 검토하고, 3장에서는 한국사회의 생명정치적 담론으로 설정한 위험의 외주화에 관한 내용을 다루어본다. 논문의 핵심부분을 차지하는 4장은 아감벤이 제시한 호모 사케르의 이론적 틀을 경유하여 한국사회의 위험의 외주화 담론을 분석하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연구결과, 호모 사케르의 정치철학에 관한 테마들인 주권의 역설(포함된 배제)‧추방령‧비식별역‧예외상태‧수용소 등은 ‘위험의 외주화’ 담론에 대한 해석적 고찰에 있어 유의미한 프리즘으로 기능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흑인법(code noir)의 식민지성: ‘호모 사케르’ 만들기

        문종현 이주사학회 2023 Homo Migrans Vol.29 No.-

        아감벤은 『호모 사케르』에서 역사 속에 존재한 여러 형태의 호모 사케르가 발생할 수밖에 없었던 법과 주권의 한계를 서술하고 있다. 그의 이러한 논의에서 주로 유럽사 내부에 한정되어 있고 실체적 대상 역시 유대인 수용소를 제외하면 명확하게 가시화 되지 않는다. 하지만 식민통치를 위해 제정된 흑인법에서 알 수 있듯이 역사속의 법외자들은 메트로폴리스의 역사 보다는 식민지에서 그 뚜렷한 흔적이 발견되는 것을 부정할 수 없다. 절대왕정 시기 프랑스 흑인법에서 흑인노예는 오로지 법의 통제와 형벌의 부과 대상이자 노동력을 제공하는 수단, 재산이었다. 기독교와 인민의 자유를 수호하는 프랑스 국왕의 신민이라는 지위에 포함되어 있으면서도 아프리카 강제이주자들은 흑인과 노예라는 이중적 억압기제 속에서 끊임없이 배제적 포섭의 대상이었다. 흑인법의 반인간성, 반인륜성, 반기독교성 등 인간주의적 노예제도에 대한 해석은 노예법에 대한 공분을 불러일으키기에는 충분하다. 하지만 노예무역, 노예제도에 대한 역사에 대한 인간주의적 해석은 윤리적, 철학적으로는 의미가 무거울지라도, 지배의 역사에 대한 비판적 이해를 방해한다. 흑인노예를 호모 사케르로 만든 흑인법은 근대 주권권력이 식민지에서 생물을 죽음의 권력에 종속시키고 내버려짐의 관계속에 노출시켰다. “오랫동안 주권 권력의 특징적인 특권 중 하나는 바로 생사를 결정하는 권리였다”라는 푸코의 명제는 식민지 흑인노예 를 대상으로 적용된 흑인법에서 더욱 분명해진다. 따라서 식민지에서 흑인, 원주민은 배제/포함, 외부/내부, 비오스/조에의 경계에 놓여있는 호모 사케르였고, 식민모국의 주권은 이들을 필요로 했다. 근대적 자유주의의 기원을 만들어낸 계몽주의자들은 인권을 위협하는 종교와 절대왕정에 대해 투쟁하면서도 식민지에서 벌어지고 있는 아프리카 강제이주자들의 비극에 대해서는 전체적으로 무관심했다. 결국 노예제의 발달과 계몽 주의자들이 발견한 인간의 권리는 역사의 우연이라기보다는 조건이 아닐까? 식민지에서 메트로폴리스에 대항하는 백인 이주자들의 자유를 향한 의지가 자유를 옹호하는 사상을 발전시킨 원인이었다면 이러한 원인의 조건은 비인간으로 취급되었던 아프리카 강제이주자들의 희생이 있었기 때문일 것이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이들을 통해 다시 ‘인간’ 혹은 ‘주권자’란 무엇인지를 사고하기 시작하였다. In Homo sacer, Agamben describes the limits of law and sovereignty within which the various forms of homo sapiens that have existed in history were bound to occur. His discussion is largely confined to European history, and the tangible objects are not clearly visible, except for the Jewish concentration camps. However, as the black laws enacted for colonial rule demonstrate, those outside of history cannot deny that they have a distinct trace in the colonies rather than in the history of the metropolis. In the French black codes of the ancien régime, black slaves were exclusively subjects of the law and the imposition of penalties, a means of providing labour, and property. Despite their status as subjects of the French king, defenders of Christianity and people's freedom, African forced migrants were constantly subject to exclusionary inclusion in a double system of oppression: blackness and slavery. Humanist interpretations of slavery, such as the anti-humanity, anti-relationship, and anti-Christianity of the Black Codes, are enough to provoke outrage against slavery. However, humanist interpretations of the history of the slave trade and slavery, while ethically and philosophically meaningful, prevent a critical understanding of the history of domination. The Black Codes, which turned black slaves into homo sapiens, exposed modern sovereign power in the colonised world to a relationship of subordination and abandonment to the power of death. "One of the characteristic prerogatives of sovereign power has long been the right to determine life and death," Foucault's proposition is nowhere more evident than in the black laws applied to colonial black slaves. Thus, in the colonies, blacks and indigenous peoples were homo sapiens on the edge of exclusion/inclusion, outside/inside, bios/zoos, and the sovereignty of the colonial motherland needed them.

      • KCI등재

        <여행자> 영화에서 호모 사케르의 의미 연구

        김건(Geon Kim)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2024 글로벌문화콘텐츠 Vol.59 No.-

        본 연구는 최근 개정된 국내 입양 특별법과 입양의 역사와 연관 지어, 입양당사자 ‘그들은 누구인가’라는 삶의 근원적 물음에 단초를 제공하는 ‘호모 사케르’라는 개념을 통해 인간으로서 삶의 소중한 가치 연구에 천착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자는 우선 입양의 문제를 호모 사케르의 개념으로 살펴보고, 이후 우니 르콩트 감독의 자전적 영화인 <여행자> 내러티브 분석을 통해 영화가 지향하는 바가 무엇인지 그리고 입양당사자가 짊어진 삶의 무게를 느껴보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는 입양에 대한 인식 개선과 사회적 포용을 촉진하는 데 이바지할 것이라고 기대한다. This study studies the precious value of life as a human being through the concept of ‘Homo Sacer’, which provides a clue to the fundamental question of life of adoptees, ‘Who are they?’ in connection with the recently revised special law on domestic adoption and the history of adoption. Focus on To this end, this researcher first examines the issue of adoption through the concept of homo sacer, and then analyzes the narrative of director Uni Lecomte's autobiographical film <A Brand New Life> to determine what the film aims for and the weight of life borne by the adoptive party. I want to feel it. We expect that this research will contribute to improving awareness of adoption and promoting social inclusion.

      • KCI등재

        신화와 종교 속에서의 폭력 - 르네 지라르와 조르주 아감벤의 이론을 중심으로 -

        이종원 한국실천신학회 2016 신학과 실천 Vol.0 No.48

        본 소고에서는 지라르의 희생양 이론에 기초하여 폭력의 기원이 되는 신화와 종교 속에서의 폭력의 문제를 비판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신화는 문화의 산물이면서 종교와 밀접한 연관성을 갖는데, 신화와 종교 속에 내재된 폭력을 비판적으로 분석하는 것은 현 시대에 만연하고 있는 폭력해결의 실마리가 되기 때문이다. 아울러 폭력의 문제를 조르주 아감벤의 호모 사케르와 연관시켜 고찰함으로써 희생양이나 벌거벗은 인간들이 더 이상 없는 평화로운 사회 건설을 위한 기초를 놓고자 한다. 폭력은 우리의 일상생활과 공동체를 무너뜨리는 파괴적인 힘이다. 폭력은 쉽게 드러나기도 하지만 사회 구조에 잠재되어 잘 드러나지 않는 특성을 지닌다. 하지만 폭력이 분출될 경우 폭력은 인간의 이성과 합리성을 마비시키고, 공동체를 폭력의 소용돌이로 휘몰아 갈등을 증폭시키고, 공동체를 붕괴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과거와는 달리, 현재 IS와 같은 극단적인 테러단체에서 자행되는 폭력은 악의 뿌리로 조속히 근절되어야 할 사회악이다. 폭력은 인간의 문화에 깊이 뿌리 내리고 있다. 문화는 폭력에 기초해서 세워졌고, 폭력에 의해 지탱되어 왔다. 지라르의 희생양 이론에 따르면, 공동체 내의 갈등이 고조되고 위기감이 절정에 이르면 이를 해소하기 위한 방편으로 희생양을 찾게 되는데, 이러한 희생양 만들기는 신화와 제의 속에서 잘 드러난다. 호모 사케르는 벌거벗은 생명(인간)을 의미하는데, 이는 ‘사회적으로 무화’된 존재가 폭력에 무방비 상태로 노출된 모습이다. 호모 사케르인 희생양은 법 혹은 어떤 사회적 책임의 테두리 바깥으로 밀려나 전혀 보호를 받지 못하는 가련한 대상들이다. 희생양과 호모 사케르는 위험한 폭력사회가 만들어낸 어두운 모습들이다. 우리는 이들을 차별과 배제를 통해 예외상태로 내모는 구조적인 모순을 극복하고, 사랑과 정의가 다스리는 평화와 공존의 공동체를 만들 책임이 있다. 이를 위해서 우리는 성서가 제시한 화해와 평화의 길을 따를 필요가 있다. 예수는 자신이 당한 불의에 대해 비폭력적 사랑으로 대응하였고, 마침내 악을 선으로 바꾸셨다.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를 통해 인간과 세상을 지배하던 죄의 세력인 폭력은 그 실체가 분명하게 드러났고, 이와 동시에 폭력을 극복하는 화해와 평화의 길이 우리에게 열리게 되었다. In this paper, I will critically examine the problems of violence in Myths and Religion based on the scapegoat’s theory of René Girard. Myths are the products of human culture and are closely connected to religion. I think that to analyze the problems of violence in myths and religion is the core solution to the violence. And besides, to relate the violence with the Homo Sacer of Giorgio Agamben, I want to set the basis to construct a peaceful and healthy society that is no more scapegoat and naked human. Violence has the power to destroy our daily life and our community. The characteristics of violence are sometimes exposed easily, but sometimes hidden behind existing social structures. But when the violence occurs, it defeats human reason and rationality and it drives the community to a whirlpool of violence. Finally it causes the collapse of the community. So we must prevent and root out the violence absolutely through the help of private and public cooperation and the exercising of public power. Unlike in the past, the violence today is a barbarous social evil committed by radical terrorist groups like ISIS. Violence is deep-rooted in human culture. The culture elected on the basis of the violence and sustained on it. According to the scapegoat’s theory by René Girard, when the conflict of the community becomes serious and the crisis of the community reaches a climax, the community seeks for a victim to solve their problem. These scapegoating methods used to appear in ancient myths and rituals. The scapegoat and the Homo Sacer are the shadow dimensions of the partially violent society. So we must overcome the structural contradiction to expel them out by discrimination and exclusion. Besides, we are responsible for making our society peacefully coexist and be ruled by love and justice. Homo Sacer’s means naked life, socially worthless and defenseless beings exposed to violence. They are the poor objects not to be protected beyond the bounds of law and social care. Therefore to root out the innocent victims and the violence, we need to follow the way of reconciliation and peace that the Bible presents to us. Toward the injustice, Jesus responds with nonviolence and love and finally he transforms evil to good. Through the cross of Jesus Christ, the past violence and the reality of the evil were exposed and simultaneously the path of reconciliation and peace had opened to us eternally.

      • KCI등재

        빈민 가족 서사 속 폭력과 호모 사케르

        이은하 우리말글학회 2019 우리말 글 Vol.81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over the homo sacer as a political meaning in the family narration and determine that the family violence and the family relationship of the sub-class is the associated with the political structure of the society. The assertion by Giorgio Agamben that the antidemocratic incidents happened through homo sacer in the liberal democracy system were born when the modern sovereignty power was formed is the excellent idea. Play <Youth admiration> and movie <Blowfly> show that the domestic violence which seems to closely connected with the patriarchy in the family narration does not stay only in the domain of family discourse, and the destruction of family which appears in the poor family actually belongs to the exceptional phenomenon such as the homo sacer. In the play <Youth admiration>, it shows an attitude to follow the existing gender inequality by replacing unethical violence as a male-female relationship although it tries to break the paradigm of the existing father and son relationship. Despite the fact that it has been highly appreciated because it started dismantling of existing perspective, the contradictions of this problem awareness compromise the achievements of the deconstructivism. However, if the former tries to have microscopic solution through love for the family, the latter reveals by the independent movie of the documentary character that the poor family is the situation of homo sacer which happened in the Korean fast growth and the cover of the society called neoliberalism, which is more problematic. In particular, when he was beaten by the police and killed and abandoned by Youngjae, there was no sanctions by public authority or legal protection. At this point, it shows the Homo Sacer as the existence of the poor in a liberal democratic state. Therefore, the movie <Blowfly> shows the possibility of a meta-narrative which is still necessary. 본 연구는 가족 서사 안에서 정치적 의미로서의 ‘호모 사케르’(homo sacer)를 발견하여, 하위 계층의 가족 폭력과 가족 관계가 사회의 정치적 구조와 연관 있음을 살피려는 시도이다. 자유민주주의 체제 속에서 법과 제도의 예외 상태로서 호모 사케르라는 인간 존재를 만들어내는 현재의 국가 권력의 작동 방식이 극 서사를 통해 나타나고 있음을 연극 <청춘예찬>과 독립영화 <똥파리>의 분석을 통해서 밝히고자 한다. 가부장제와 긴밀히 연결된 듯 보이는 가정폭력이 실제로는 법과 제도로부터 소외된 빈민층의 존재 상태임을 가족 서사를 통해 발견할 수 있는데, 한국 사회에서 신자유주의가 예감되던 1999년 공연된 박근형의 <청춘예찬>은 기존 가족 서사와는 전혀 다른 폭력과 충격적인 가족 관계를 보여주면서 빈민의 새로운 존재 상태를 보여주었다. 각자도생과 이합집산의 사회에서 마지막 거처로 생각되었던 ‘가정’의 불행을 통해 하위 계층의 절망을 보여주면서도 미시적인 관점을 고수하여 가족애를 통한 삶의 회복의 가능성을 제시했다. 그러나 부자관계에서의 가치전도와는 달리, 부부관계에서는 기존의 전통적인 관계를 답습했다는 점에서 가부장제 파괴에 대한 작가의 관점에 모순을 드러내고 있다. 이 작품과 10년의 의미 있는 시간차를 보여주며 등장한 양익준 감독의 <똥파리>는 빈민 가정에서 벌어지는 일상적인 폭력을 통해 법과 제도 외부에 존재하는 호모 사케르의 존재 상황을 보여주며, 그것이 국가 권력에 기원하고 있음을 드러냈다. 특히 주인공 상훈이 폭력의 굴레에서 벗어나려는 순간 죽음을 당하므로써 폭력적 구조의 소모품으로서 버려지는 장면은 호모 사케르의 ‘조에’적 존재를 은유하는 것이라 볼 수 있다. 그는 순찰중인 경찰을 두들겨 패도 공권력의 제재를 받지 않으며 영재에게 죽임을 당해도 법적 보호를 받지 못한다. 이는 철저히 국가권력과 제도에서 벗어난 인간을 표상한다. 이렇게 <똥파리>는 호모 사케르적 삶을 사는 도시 빈민의 존재 상황에 국가의 제도적 폭력이 연관되어 있음을 드러냄으로써 포스트모던 시대의 새로운 거시 담론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 KCI등재

        국가권력에 저항하는 로컬공동체의 ‘울력’

        김옥선(Kim, Ok-seon)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0 코기토 Vol.- No.92

        본 연구는 호모 사케르의 양상을 통해 국가권력의 폭력적인 통치 논리를 증명하는 연구에서 나아가 호모 사케르를 국가권력에 의한 로컬 해체라는 측면에서 접근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용산, 거제, 밀양에 주목한다. 로컬은 각각의 역사, 경제, 문화에 따라 서로 다르게 존재해 왔고 그에 따라 국가권력을 내면화하기도, 저항 지점을 마련하기도 하기 때문이다. 용산참사는 국가에 의해 ‘좋은 국민’, 즉 임의로 처분 용이한 개인만 남은 현실을 증명한 것이다. 황정은의 ‘그림자’는 국가권력에 우회해 저항한다. 하지만 ‘그림자’의 저항은 물리적 실체를 갖지 못한다. 로컬은 그림자들이 저항할 수 있는 가장 기본적인 토대이다. 그러나 로컬의 현실은 더욱 열악하다. 국가 경제 성장의 중추인 조선소에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는 거제는 오늘날과 같은 경제 위기 상황에 ‘거제 엑소더스’를 피할 길이 없다. 국가독점자본주의, 신자유주의의 폐해는 국가가 공간에 대한 독점적 권력을 행사함으로써 로컬의 공간 주도권, 자율적 능력을 상실하게 만든 것이다. 이제 우리에게 주어진 급선무는 국가독점자본주의의 연장선상(경제환원주의)에 놓인 로컬의 맥락을 전환하는 일이다. 송전탑이 들어서기 전까지 밀양 마을은 한 번도 국가의 중심을 구성하는 내부에 포섭되어 본 적이 없었다. 그러나 국가로부터 ‘내던져짐’과 무관하게 마을 주민들의 삶은 오랜 시간 ‘울력’으로 이어 왔다. 울력은 ‘밀양 할매’들의 송전탑 투쟁이 전 세계적인 ‘탈핵’, ‘탈원전’ 운동과 연대할 수 있는 힘이자 밀양 시민의 주체성을 구성하는 데 크게 영향을 끼치고 있다. 밀양 시민의 주체적 행위는 지자체의 태도, 언론의 보도 방향을 변화시키며 국민을 호모 사케르에서 시민이라는 국가의 핵심 주체로 전환시키고 있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the study aiming to prove aggressive governing logic imposed by state power through the aspects of Homo Sacer further to approach Homo Sacer as local deterioration. In order to achieve such goal the study turns its eyes to Yongsan, Geoje, and Miryang. Locals have exist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history, economy, and culture. Oftentimes they would internalize state power or establish a resistance base. Yongsan disaster is the proof of the reality where disposable individuals randomly selected by state power remain. For the ‘shadow’ to resist it needs a local space for a foundation. Geoje which is the city that relies entirely on ship building industry(state, huge capital) is faced with the risk of local hollow out. The harmful consequence of state monopoly capitalism and neoliberalism is the state wielding exclusive authority over space. Thus the locals are losing their lead and autonomous power. What we need to do is to liberate locals from the grasp of neoliberal sate monopoly capitalism. Before the introduction of transmission towers the villages of Miryang has never been seized by the inner circle that forms the center of the state. However, the lives of the villagers have continued on as ‘ullyeok’ regardless of being ‘thrown away’ from the state. ‘Ullyeok’ is exerting a significant influence in empowering ‘Miryang’s Grandmas’ to ally with global ‘antinuclear’ movements in their fights against the installation of transmission towers as well as in forming the identity of the citizens of Miryang. The autonomous actions taken by the citizens of Miryang are transforming the people from Homo Sacer to the citizens who are the key players within the state by changing attitude of local government and the direction of the media reports.

      • KCI등재

        난민과 탈북자의 윤리적 문제 : 아감벤과 레비나스의 이론을 중심으로

        이종원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016 기독교사회윤리 Vol.34 No.-

        본 소고에서는 탈북자들이 현실적으로 겪는 문제점들을 아감벤의 호모 사케르를 통해 조명하면서 레비나스의 타자 윤리를 모티브로 해결의 실마리를 찾고자한다. 이를 위해 먼저 탈북자들이 중국이나 제3국에서 겪는 인권 유린의 실태를살펴보고, 탈북자들이 난민으로서 인정받기 위해 충족되어야할 조건들을 고찰하고자 한다. 또한 탈북자들에 대한 강제 송환 정책을 고수하고 있는 중국 정부의정책이 갖고 있는 문제점을 제기하면서 탈북자 문제에 대한 현실적인 해결책을제시하고자 한다. 난민은 삶의 터전을 잃은 뿌리 뽑힌 사람들이라고 볼 수 있는데, 이러한 뿌리 뽑힘은 이제까지 살던 곳에서 어딘가로 떠나야 하는 상황뿐 아니라, 이제까지의 모든 관계들로부터 떨어져 나가는 것을 의미한다. 아렌트는 한민족, 한 영토, 한 국가라는 민족 국가의 틀이 사람들을 무국적 난민, 즉 민족국가의 구성적 외부로 추방하고 있음을 지적하였다. 탈북자들의 인권이 보호되고 법적 지위를 보장받기 위해서는 먼저 난민으로 인정받는 것이 시급하다. 아감벤에 따르면, 호모 사케르는 절대적인 살해 가능성에 노출된 벌거벗은 생명임과동시에, 법과 희생 제의의 영역 모두를 초월하는 어떤 폭력의 대상을 가리킨다. 벌거벗은 삶은 모든 긍정적 관계가 벗겨진 삶이며, 따라서 보존될 가치도 없이무가치하게 여겨지는 삶이다. 레비나스에게 있어, 타자의 얼굴과의 만남은 타자에 대한 윤리적 책임을 의미한다. 타자의 얼굴은 무한의 자취이며, 하나님의 말씀이 앎과 존재를 넘어 들려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타자의 얼굴이 갖는 이질성과상처받기 쉬움을 구원하는 것은 기독교 윤리적 관점에서 새로운 통찰력을 제공한다. 고아와 과부와 이방인을 환대하라는 하나님의 명령과 사회적으로 차별과 배제를 받았던 세리와 창녀들의 친구였던 예수 그리스도의 모습을 통해서 사회적약자들을 포용하는 화해의 메시지를 발견하게 된다. 타자의 윤리를 통하여 우리는 탈북자 문제를 새롭게 조망하고 이를 통해 탈북자들과 함께 더불어 공존하고협력할 가능성을 찾게 된다. 우리가 만들어야 할 바람직한 공동체는 자신들의기준에 따라 소외된 자들을 죽음과 폭력에 노출시키고 그들을 배제하는 닫힌 사회가 아니라 다양한 사람들이 평화롭게 공존하고 행복을 향유하는 열린 공동체이다. This research surveys the problem of the North Korean defector through the concept ‘Homo Sacer’ of Agamben, and seeks the solution of this issue based on ‘the ethics of the Other of Levinas’. To that end, I inspected the realistic violation of human rights that the North Korean defectors have experienced in other territories, in particular, in China. A refugee is considered to be rooted out people who have lost their base of life. They must depart from their base of life. This means they must separate from the entirety of their relations. The most urgent issue is that North Korean defectors are considered as refugees legally to protect the defectors’ human rights and to guarantee their legal positions. According to Agamben, Homo Sacer is a bare life exposed to the absolute possibility of homicide, that is the object transcending the jurisdiction of both the law and the sacrifice ritual. A bare life is a life that has lost all positive relations, therefore it is considered a worthless life. In Levinas, the encounter with the face of the other reveals the ethical responsibility toward others. The face of the other is the trace of infinity. It means that the word of God could be heard by us from beyond our understanding and even our existence. To save the face of the other with diversity and vulnerability gives us new insight from the viewpoint of Christian ethics. Through the ethics of the other, when we examine the problems of North Korean defector, we find the possibility of coexistence and cooperation. The most desirable community is not a closed society, exposing those who are different to violence and death, but an open society coexisting and enjoying their differences peacefully and happily.

      • KCI등재

        무통문명(無痛文明)과 호모 스피리투스의 탄생 — 한하운의 시와 산문을 중심으로 —

        김수이 현대문학이론학회 2020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82

        이 논문은 두 가지 문제의식에서 출발했다. 첫 번째는 호모 사케르로 설명되는 ‘문둥이’의 부재-존재하는 현실적 위상이 한하운에게 많은 시련을 안겨주었지만 동시에 그의삶과 문학의 역설적인 추진력이 된 이중성에 대한 재인식이며, 두 번째는 ‘문둥이 시인’ 한하운을 ‘타자’의 자리로 축출한 한국 근대사회와 문학의 모순을 해체하려는 많은 시도들이 분명한 성과를 달성했음에도, 여전히 한하운을 타자의 자리에 놓는 (무)의식적 경향에대한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무통 문명’과 ‘호모 스피리투스’의 개념을 빌려 한하운의 삶과 문학에 대한 새로운 독법을 제시하고자 했다. 단적으로 말하면, 한하운은 자신의 ‘고통받는 신체’를 ‘생명의 기쁨’이 넘치는 근원의 장소로 인식하는 존재적 도약을 통해, ‘신체의 욕망’과 ‘조건부 사랑’을 골자로 고통을 체계적으로 제거하고 ‘거짓 인생’을 유포하는무통 문명으로부터 탈주하고자 했다. 이 과정에서 한하운은 ‘무조건의 사랑 = 생명의 기쁨 = 영혼의 성장 = 인간 정화 = 현실 개혁’의 등식을 마련했는데, 이는 그의 삶과 문학이 성장해 간 과정과 그대로 일치한다. 한하운이 초기시에 노래한 생명이 주로 건강한 인간이 지닌 ‘육체의 생명’인 데 비해, 후기시의 생명은 자연(우주)의 생명력에 대한 경외감 속에 영원을 열애하는 영적 인간이지닌 ‘영혼의 생명’으로 변화, 확장한다. 호모 사케르에서 호모 스피리투스에 이르는 한하운의 삶과 문학의 여정은 한 인간이 경험하고 추구할 수 있는 ‘인간’의 최저 수준에서 최상의 수준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스펙트럼을 보여준다. 한하운의 문학이 한국문학사의 특이점을 형성하고 보편적 공감을 획득한 중요한 요인은 이 점에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