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협업역량 강화를 위한 글쓰기 수업 방안 연구 -H대학의 ≪글쓰기와 커뮤니케이션≫ 수업을 중심으로-

        윤재연 국제어문학회 2020 국제어문 Vol.0 No.85

        본 연구는 대학의 기초교양 글쓰기 교과에서 협업역량 강화를 위한 효과적인수업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는 연구이다. 이를 위해, H대학의 기초 교양 글쓰기교과인 ≪글쓰기와 커뮤니케이션≫을 중심으로, 그 핵심역량인 협업역량 강화를위해 진행된 수업의 설계와 운영, 성과 등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H대학의 ≪글쓰기와 커뮤니케이션≫은 글쓰기를 중심으로 한 다양한 활동을통해 현대 사회에 요구되는 창의적, 비판적 사고력과 의사소통 능력을 배양하는것을 목표로 하는 기초교양 교과로, 그 핵심역량은 ‘협업역량’이다. 이는 다양한배경을 가진 사람들과 원활한 소통을 통해 함께 일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H대학의 ≪글쓰기와 커뮤니케이션≫에서는 교과목의 핵심역량인 ‘협업역량’을강화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업 방안으로 ‘토론과 글쓰기’를 진행하였다. 이는 전체 15주 수업 중 총 3주간 운영하며, 글쓰기의 기초 이론의 학습이 완료된 이후에 진행하기 위해 9∼11주차에 실시한다. 총 3차로 구성된 ‘토론과 글쓰기’ 수업에서 진행된 토의, 토론 등의 협업 활동은 본질적으로 협업역량을 강화하기에 적합한 활동이며, 협업 활동에 대한 학생들의 평가는 대체로 만족스러운 수준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점에서 볼 때, ‘토론과 글쓰기’는 학생들의 협업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효과적인 수업 방안이 될 수 있다. This study intends to propose effective teaching methods for strengthening collaborative competency through basic culture writing courses of universities. To this end, we would like to look specifically at the design, operation, and performance of classes conducted to strengthen collaborative competency, focusing on “Writing and Communication,” a basic liberal writing course at H University. H University’s Writing and Communication course is aimed at cultivating creative, critical thinking and communication skills that are required by modern society through various activities centered around writing. Its core competency is “collaborative competency”-the ability to work together through smooth communication with people from various backgrounds. The course conducted a Discussion and Writing class as a concrete way to strengthen collaborative competency, which is the core competency of the subject. It runs for 3 weeks out of a total of 15 weeks of classes, and is conducted between the 9th and 11th weeks after the completion of basic theory of writing. Collaborative activities such as discussion/debate conducted in the

      • KCI등재

        대학 교양 글쓰기 교육의 효과적 제고 방안 - 글쓰기센터와의 협업을 중심으로

        이부순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19 리터러시 연구 Vol.10 No.4

        This study is an academic response to the problematic situation of general writing education which is the backbone of university writing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out and propose effective method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the literacy education. The effective teaching method of the general writing education is collaboration with college resources, especially the writing center. By linking the general writing class with the tutoring service of the writing center, it is possible to overcome the fundamental limit of the general writing education which is run as a one-time independent class. This is because it is possible to carry out a customized individual instruction corresponding to the difference of individual learners. This collaborative format brings a variety of effects to all participants. Therefore, the case of linkage and cooperation with the writing center can be used as a meaningful reference to redesign the teaching model for improving the effectiveness of the literacy education. 이 연구는 대학 글쓰기 교육의 주축인 교양 글쓰기 교육이 처한 문제적 상황에 대한 학문적 대응이다. 교양 글쓰기 교육이 학습자의 기초적 글쓰기 역량을 강화하고 전공 글쓰기로의 전이 가능성을 높일 수 있을 때 교양 글쓰기 교육의 실제적 효과를 담보할 수 있다는 인식을 바탕으로 비판의 중심이 되고 있는 교양 글쓰기 교육의 실효성을 제고하는 효과적 방안을 모색․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 논문에서 제안한 교양 글쓰기 교육의 효과적 방안은 대학 내 자원, 특히 글쓰기센터와의 협업이다. 교양 글쓰기 수업과 글쓰기센터의 튜터링 서비스를 연계하면 일회적인 독립강좌로 운영되는 교양 글쓰기 교육의 근본적인 한계를 일정 정도 극복할 수 있다. 이 협업으로 학습자 개개인의 수준 편차와 글쓰기 장애 요소 및 강도의 차이에 대응하는 맞춤형 개별 지도를 수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에 따라 글쓰기센터와의 협업 수업 사례를 제시하고 협업의 내용과 방식 및 효과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협업 체재는 참여 주체 모두에게 다양한 효과를 불러온다. 따라서 글쓰기센터와의 연계․협업 수업 사례는 교양 글쓰기 교육의 실효성을 제고하는 교수법을 모색하는 데, 그리고 분산․고립되어 있는 대학 내 글쓰기 교육 시스템을 재설계하는 데 의미 있는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 KCI등재

        경희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본 학술적 글쓰기의 효율적 교육 방안 연구

        임보연(Lim, Boyoun),권기성(Kwon, Kisung) 중앙어문학회 2018 語文論集 Vol.74 No.-

        ‘학술적 글쓰기’는 대학 글쓰기의 주요한 위치로 자리매김하며, 그 위상을 공고히 하고 있다. 그러나 ‘논문쓰기’라는 학술적 글쓰기의 본령이 강의의 실제에 여러 가지 어려움을 동반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위와 같은 문제의식 하에서 본고는 경희대학교 학술적 글쓰기인 〈글쓰기2〉강좌를 대상으로, 새로운 이론의 접목과 같은 거창한 방안이 아니라 학습자의 입장에서 수업에 참여할 수 있는 현실적인 방안을 제시하였다. 중점 방안은 5단락 글쓰기의 연습을 통해 학술적 글쓰기를 위한 기초체력을 기르는 한편, 반개방적 테마를 제시하여 조별아이디어를 협업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학습자는 학술적 글쓰기의 초반 단계에서 겪게 될 혼란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더불어, 공통의 관심사에 대한 소통을 통해 자신의 문제의식을 예각화하여 궁극적으로는 각자 하나의 논문을 완성하게 하고, 논문을 써나가는 과정 속에서는 다시 함께 협업할 수 있도록 지도했다. 이 과정에서 교수자는 매주 조별 단위로 실질적인 합평을 진행하며 개별적 피드백을 온전히 진행할 수 있게 되었다. 제시한 수업 모형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 역시 만족스러운 편이었으며, 논문에 대한 접근성 또한 개인적으로 접근할 때에 비해 상당부분 향상되었다. 따라서 향후 이와 같은 ‘소통’과 ‘협업’에 중점을 둔 개별 논문 작성이라는 ‘학술적 글쓰기’의 수업 모형을 더욱 정치하게 발전시켜 나갈 필요성이 있다. 나아가 본 논의의 수업모형이 논문이라는 테두리를 벗어나 ‘학술적 글쓰기’에 어려움을 겪는 교수자-학습자 사이에 실질적인 효용성을 갖출 수 있게 되기를 바란다. Academic writing has become the standard for writing at universities. However, the pinnacle of academic writing, “writing a thesis,” is accompanied by various difficulties in the actual practice of lectures. In this regard, this article presents a more effective method for teaching academic writing 〈Writing 2〉 at Kyunghee University, one that emphasizes class participation and the learner’s perspective. This method aims to develop basic skills in academic writing through the practice of writing five-paragraph essays and allowing students to collaborate on group ideas by presenting semiopen themes for essay topics. This allows learners to minimize the confusion they will encounter in the early stages of academic writing. In addition, through communication about common interests, the learners become aware of their writing problems, complete a single paper, and learn to collaborate during the process of writing a thesis. By using this methodology, the instructor is able to evaluatie each student’s writing on a weekly basis and provide individual feedback. The students’ responses to the presented teaching model were satisfactory, and access to the theses was significantly improved compared to when they were accessed individually.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further develop the teaching model of academic writing to focus on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In addition, I hope that the teaching model discussed in this paper will move beyond its use for thesis writing and have practical utility for teachers and learners who have difficulty in academic writing.

      • KCI등재

        대학 글쓰기 교육의 기수별 운용모델 연구 -글쓰기 목표와 교육주체의 협업내용을 중심으로-

        김정현(Kim Jung-Hyun) 우리말학회 2018 우리말연구 Vol.53 No.-

        】작문교육은 주로 대학 1학년을 대상으로 한다. 학생들은 양질의 텍스트를 꾸준히 읽어 인식 지평을 넓히고 ‘읽기’에 대해 이해한 바를 정 리하면서 ‘쓰기’의 과정을 수행한다. 하지만 한정된 수업 시간으로는 다양 한 텍스트를 다루고 이를 통해 깊이 있는 글쓰기를 수행하기가 현실적으 로 어렵다. 바로 여기에서 수업의 진행과 연계한 글쓰기 실습의 필요성이 있다. 학생들은 교양필수인 작문 수업에서 총 3회의 글쓰기 과제를 수행 하고, 교수는 조교와의 협업을 통해 이를 첨삭 지도한다. 이 과정에서 우 수작, 통과작, 불통과작을 뽑는다. 각 기수별 비율에 따라 불통과된 학생 을 결정하고, 1:1 면담을 통해 글쓰기의 수정을 독려할 수 있다. 학생들 은 교수와 조교의 조언을 듣고 글을 수정하여 다시 제출할 기회를 가짐으 로써 글쓰기의 심화 과정을 스스로 체험할 수 있다. 글쓰기 과제는 ‘글의 요약(1기)-글의 구성(2기)-종합적인 글쓰기(3기)’의 단계를 밟는다. 이 운용모델은 과정의 협의, 그리고 각 기수별 해당목표를 중심으로 학생 의 글쓰기 수행을 유도한다. 그리고 체계적인 운용모델 하에 학생들에게 다양한 글쓰기의 기회를 단계별로 제공한다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 Writing training is mainly targeted college freshman. Students will read good text, and performs the process of writing . But it is very difficult to perform a variety of writing. Students need practice associated with class. Students will perform a total of three times a writing assignment. The professor lead them and feedback and cooperation of TA(teaching assistant). Professor and TA pick a perfect, pass, and non-pass-writing among the students of the writings . They determine non-pass-writing on a fixed %, and advise about the writing for students. Students can submit again the writing modified to hear the advice of them. Writing assignments undertakes the steps of the summary of the article (1st)-the configuration of articles (2nd)-Comprehensive Writing (3rd) . This model leads to a student s writing performed the target agreed in course. Therefore, this course is meaningful to offer students a systematic writing, and students a variety of step-by-step writing under systematic model.

      • 협업 활동을 통한 글쓰기 방법 모형연구 -H대학교 <글쓰기와 커뮤니케이션> 수업을 중심으로-

        이정선 ( Lee Jeoung-seun ) 한국독서아카고라학회 2022 독서아카고라연구 Vol.4 No.-

        이 논문은 2022학년도 1학기 <글쓰기와 커뮤니케이션> 수강생을 대상으로 협업 활동과 개인 글쓰기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연구이다. 협업 활동에 대한 결과물을 바탕으로 개인 글쓰기를 작성하게 했다. 협업은 개개인이 혼자서 하는 것보다 높은 성취도를 이룰 것임은 어느 정도 예측이 가능하다. 이를 실제의 사례를 통해 확인해보았다. 이번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사전 예측을 확인해줌으로써 협업 활동에 대한 중요성을 입증할 수 있었다. 협업 활동에 대한 동기유발을 할 수 있는 하나의 모델을 제시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This paper was examined the correlation between collaborative activities and personal writing for < Writing and Communication > students who attend in the first semester of the 2022. Personal writing was made based on the results of collaborative activities. We can predict that collaboration could get higher achievements than individuals, also this was confirmed through actual cases.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is study could prove the importance of collaborative activities by confirming prior predictions. It is meaningful that it presents one model that can motivate collaborative activities.

      • KCI등재후보

        과학 글쓰기 교육의 전문성 제고를 위한 제안 ―탐구적 과학 글쓰기에 근거한 연구보고서 성취도 차이의 원인 분석을 중심으로―

        주민재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14 리터러시 연구 Vol.- No.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ttempt to suggest methods that improve professional skills of science writing through emerging phenomenon process of research paper writing program based on Science writing heuristic. In research paper in writing program, some students showed high level of achievement because securing disambiguation in subject of research and systemization/elaboration in method of research through asking professors and research assistants for help whereas other students writing research paper autonomously showed low level of achievement. It couldn't be discovered any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in research result and analysis. It can suggest that buliding system between writing professor and major professor or research assistants is realistic alternative to improve professional skills of science writing. This research result show cooperation or communication between writing lecturer and science and engineering lecturer is important to secure realistic educational contents. 본 연구는 ‘탐구적 과학 글쓰기에 근거한 연구보고서 쓰기 프로그램’ 수행과정에서 나타난 현상을 통해 과학 글쓰기의 전문성을 제고할 수 있는 시사점을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보고서 쓰기 프로그램에서 일부 학생들(A그룹)은 연구 주제 설정 및 연구 방법 설계를 하는 과정에서 학과 전공 교수 및 조교들에게 도움을 요청하여 연구 주제의 명확화, 연구 방법의 체계화·정교화를 확보함으로써 외부자의 도움 없이 실험 진행 및 연구보고서를 작성한 학생들(B그룹)에 비해 높은 성취도를 보였다. 하지만 전공 교수 및 조교들이 개입하지 않은 연구 결과 분석에서는 연구 방법과는 달리 두 그룹에서 별다른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이러한 현상은 전공 교수 및 학과 실험실 조교와의 연계 시스템 구축이 과학 글쓰기 교육의 전문성을 높이는 현실적인 대안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고의 연구 결과는 과학 글쓰기에 필요한 교육 콘텐츠를 마련하기 위해서는 글쓰기 교수자들이 이·공학계열 교수자들과 협업 내지는 충분한 의사소통을 해야 한다는 사실을 잘 보여준다.

      • KCI등재

        디지털 도구를 활용한 협력적 프로젝트 수행 교수학습법 연구

        김지윤,윤호경 중앙대학교 다빈치미래교양연구소 2023 교양학연구 Vol.- No.2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need to devise some methods of teaching that fit the current era and prepare for the future education and implement new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hat meet digital natives’ needs. To show thi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structional effectiveness of the notion, a note-taking software platform to organize assignments, manage lesson plans and project based on learning. Notion is effective for using when carrying out cooperative projects because it is easy to structure ideas, visualize thoughts, use intuitive data, and share announcements and schedules. The ability to cooperate, which is essential for the future, can be cultivated through collaborative activities using digital tools. This study selected the crisis of the ecosystem as the subject that allows learners to present productive alternatives through cooperation. As a result of conducting the class, in the survey, students responded positively to the improvement of cooperation, the effectiveness of the digital tools, and the improvement of ecological literacy. By correcting and making up the problems found during the first semester of 2022, this study suggested a student directed project learning model using the digital tools and literature-based activities to foster digital literacy and have opportunities for humanistic reflection. 디지털시대에 교양교육은 온라인 수업 구축 및 디지털 인문학과관련해서 현 시대에 적합하고 미래를 예비할 수 있는 교육방법을탐색해야 할 것이다. 특히 인터넷 네트워크로 인해 다중의 연대를모색할 수 있는 오늘날, 교양교육은 협업을 통한 창의적 교육을 지향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에서는 애자일방법론을 기반으로 노션(Notion)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하여 교육의 효과성을 높인 협력적 교수학습 방법을 제안하였다. 업무생산성, 협업관리 디지털 도구인 노션은 아이디어의 구조화, 사유의 가시화, 직관적 자료 활용, 공지사항 및 일정 공유 등이수월하여 협력적 프로젝트를 수행할 때 활용하기에 용이하다. 협력적프로젝트의 주제로 가능한 다양한 주제 중에서도 이 연구에서는 학습자가 흥미를 가질 만하면서 생산적인 대안 제시가 가능한 주제로생태계의 위기를 선정하였으며, 문제의식을 내면화하기 위하여 생태계의 문제를 다룬 현대시 작품들을 활용하였다. 수업을 진행한 결과, 설문 조사에서 학습자들은 협동력 향상, 노션 활용, 문학 작품 활용, 생태감수성 향상 등에 대하여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다음으로는 시간의 한계 상 실제 강의에서 수행하지 못했던 과정들을 보완하여 수업 모델을 설계・제시하였다. 수업 모델은 ‘작품 읽기-문제의식 체화하기-주제 확정 및 개요 작성-글쓰기 및 피드백-수정 및퇴고-콘텐츠 제작, 발표, 평가’로 구성되며, 각 단계는 교수자의 강의, 학습자의 개인 과제, 팀 과제, 발표, 평가 등으로 이루어진다. 이 연구는 창의적 교양교육 방안의 일환으로 학생들이 업무생산성, 협업관리 디지털 도구를 활용해 프로젝트 과정을 직접 관리하며 효과적인 협업을 수행하고 협력적 글쓰기 수행 및 콘텐츠 기획 제작 과정을 통해 배우는 프로젝트 기반 수업 모델을 제시하려 하였다는 점, 또한 문학을 활용하여 디지털 문식성과 인문정신을 함께 함양할 수있는 교양교육을 지향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 대학 국어 교육에서의 ‘협업적 글쓰기’에 관한 사례 연구 - 작문교육의 이론통합의 관점에서 -

        김윤정 한국언어문학교육학회 2016 한어문교육 Vol.35 No.-

        Writing education has been developed from the formalistic theory to constructive theory, which is corresponed to information-oriented society. Formalistic theory is the early theory, which was replaced by cognitive constructualism in terms of its passiveness. It is said to make a writer the subordinate to wrting rules. Cognitive constructualism makes a writer the subject for the composition of writing, but he is not a social subject but a indivisual subject. Contrarily, a writer is regarded as the existence in social network in social constructualism . Considering that writing is written by cognitive writer who is in social network, writing is accorded with socio-cognitive constructualism. However, the moment we emphasize the writing’s social feature, writing demands writing’s standard and form. Writing’s rules must be kept in terms of writing’s midium. This emphasize the importance of formalistic theory as well as socio-cognitive constructualism. Formalistic theory must not be deserted but be chosen in terms of the speciality in writing education. By the point of formalistic theory, language is confirmed basic element of writing. As a result, writer should be cognitive and social subject, and writing sould be transmitted to reader as a perfect form. This means today’s writing theory must not be replaced by final one theory but every theory must be confined complementarily. Thinking of whole prospect in writing theory, we can develop special model for writing education. That is the writing model of social cooperation. Writing education for cooperative writing by the professor’s leading will show writing is accomplished interactively in social network. Especially the feature of writing medium is saying that writing needs sociality in both form and content.

      • KCI등재

        영문창작 스토리텔링-콘텐츠 개발 사례 연구

        추재욱(Choo, Jae-uk),송은영(Song, Eun-young) 인문콘텐츠학회 2015 인문콘텐츠 Vol.0 No.38

        이 논문의 목적은 한국문화 유산을 바탕으로 한 영어 동화 창작의 필요성과 우리 대학생들의 영어 동화 창작의 가능성을 보여주고자 함이다. 중앙대학교에서 2012년-2013년 겨울방학에 개최된 “4주간의 글로벌 스토리텔링 프로젝트”에서 이루어진 학생들의 이야기 창작 과정을 최종적인 프로젝트 결과와 함께 비교, 분석하였다. 최종적인 결과물이 아마존 온라인 서점에서 판매될 수 있게된 이 프로젝트를 통하여 우리는 한국문화유산을 바탕으로 한 영어 이야기를 개발해내는 것이 필요하며, 비록 한국에서라도 우리 학생들이 좋은 교육을 받을 기회가 주어진다면 영어로 이야기를 쓸 수 있는 소질을 충분히 개발시킬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 본 프로젝트의 결과는 학생들의 영어 협업 글쓰기의 효과가 상당하며, 몇몇 학생들은 아동?청소년뿐만 아니라 성인을 위한 작가로 성장할 잠재성이 있음을 잘 보여주었다. 특히 린다 수박처럼 학생들이 한국 문화유산을 이야기의 원천으로 잘 활용한다면 다른 외국작가들과 경쟁할 수 있는 좋은 작가로 성장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는 미래에 이러한 종류의 협업 영어 글쓰기 프로그램을 해보고자하는 관계자들에게 큰 도움이 될 것이라 여겨진다.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suggest a necessity of writing children stories in English based on Koran culture and legacy and a possibility of college students’ producing English creative stories. The students’ story-making process has been reviewed with an analysis of the result of “The 4 week Global Storytelling Project,” which had been held during the 2012-2013 winter vacation at Chung-Ang University. It is found that developing English stories about Korean culture and legacy would be necessary and that students would be able to develop their talent in writing English stories here in Korea if they are given a good opportunity to do so. The result of our project certainly shows that the effectiveness of students’ collaborative writing was great and that some individual students would be able to be great writers not only for children and teens, but also for adult readers. Especially if they, like Linda Sue Park, make the best use of Korean culture and artifacts as material sources for their story, they could make themselves distinguished from other foreign writers of children’s literature. In that sense, it could be thought that our research will help those who want to employ this kind of collaboration program in the future.

      • KCI등재

        디지털 인문학과 지식의 공동생산 ― 위키 플랫폼과 <한국 근대 지식인 아카이브> 편찬

        장문석 ( Jang Moon-seok ),김윤진 ( Kim Yoonjin ),이은지 ( Lee Eunji ),송가배 ( Song Gabae ),고자연 ( Ko Ja-yeon ),김지선 ( Kim Ji-sun )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1 人文論叢 Vol.78 No.1

        이 글은 위키 플랫폼에 기초하여 진행한 <한국 근대 지식인 아카이브>를 중심으로 디지털 인문학과 지식의 공동생산이라는 논제와 그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디지털 환경에서 인문학 지식의 공동생산이라는 새로운 가능성이 열릴 수 있다는 것이 이 글의 논점이다. 2장에서는 위키 플랫폼의 글쓰기가 인문학 글쓰기에 제시하는 새로운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위키는 공유 작업에 적합한 플랫폼으로 공동연구의 과정을 확인할 수 있다. 동시에 위키는 디지털 환경을 적극적으로 활용한 조합적 글쓰기를 가능하도록 한다. 3장에서는 데이터에 기반한 지식의 공동편찬이 열어주는 새로운 인문학 지식과 질문의 발견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참여자들은 인문학 지식에 근거하여 공동으로 온톨로지를 설계했다. 그리고 온톨로지에 따라 입력한 데이터를 공유하고 활용할 때, 새로운 인문학적 논제를 발견하였다. 이 글은 디지털 환경에서 데이터를 활용한 공동 작업이 인문학 연구에 새로운 가능성을 열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이후 본격적으로 데이터를 입력하면서, 이 글이 발견한 가능성을 현실화하는 것이 추후 과제이다. This article reviews the issue of digital humanities and co-production of knowledge around the Project of < Archive of Intellectuals in Modern Korea > based on the wiki platform and its possibilities. The argument of this article is that a new possibility of co-production of humanities knowledge can be opened in the digital environment. In Chapter 2, we consider what possibilities the writing of the Wiki platform could open to writing in humanities. Wiki is a suitable platform for sharing tasks and can identify the process of joint research. At the same time, Wiki enables combinatorial writing that actively utilizes the digital environment through hypertext and the function of extention and embedding of wiki. In Chapter 3, we discuss that data and co-production discover new humanistic issues. Participants jointly designed ontology based on humanities knowledge. In addition, when sharing and utilizing the data entered according to the ontology, a new humanistic thesis was discovered. This article confirms that collaboration using data in a digital environment can open new possibilities for humanities research. Afterwards, the task is to enter data in earnest and realize the possibility of this article’s discove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