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Relationship between Clinical Practice Stress and Resilience in Ophthalmic Optics Students

        Youngju An,O-Hyun Kwon,Chang Won Park,Hyojin Kim 대한시과학회 2019 대한시과학회지 Vol.21 No.1

        목적 : 안경광학과 학생들의 현장실습 스트레스와 회복탄력성 간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충남지역에 소재한 안경광학과 학생 5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회복 탄력성과 현장실습 스트레스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t-test와 one-way ANOVA를 이용하였고, 사후 검증으로는 Scheffe 검증을 실시하였다. Pearson의 상관분석을 이용하여 회복탄력성과 현장실습 스트레스간의 관계를 알아보았고, 회복탄력성이 현장실습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stepwise 방식에 의한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 회복탄력성은 성별, 현장실습 만족도, 건강상태에 대한 평가, 평소의 대인관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현장실습 스트레스는 성별, 현장실습 만족도, 건강상태에 대한 평가, 평소의 대인관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현장실습 스트레스는 회복탄력성의 하위요인 중 자기조절능력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0.313, p=0.016). 또한, 회복탄력성 중 자기조절능력(β=-0.313, p=0.016)은 현장실습 스트레스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 : 안경광학과 학생의 회복탄력성은 현장실습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중요한 요인이므로, 회복탄력성 증가를 위한 교과과정의 개발 및 적용을 통하여 현장수행능력을 향상시켜야 할 것이다.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linical practice stress and resilience in ophthalmic optics students. Methods :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59 students of ophthalmic optics in Chungnam area. The t-test and one-way ANOVA were used to determine whether there was a difference in resilience and clinical practice stres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Post hoc analysis was carried out by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as us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linical practice stress and resilienc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by stepwise metho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resilience on clinical practice stress. Results : Resilienc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gender, satisfaction with clinical practices, health status, and human relationship. Clinical practice stress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gender, satisfaction of clinical practices, (evaluation of) health status, and the usual human(personal) relationship. Clinical practice stress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self-control ability (r=-0.313, p=0.016). Also, self-control ability (β=-0.313, p=0.016) of resilience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impact on clinical practice stress. Conclusion : Since the resilience of ophthalmic optics students is an important factor to reduce the clinical practice stress,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through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curriculum to increase resilience.

      • KCI등재

        안경광학과 학생들의 현장실습 스트레스와 회복탄력성 간의 관련성

        안영주,권오현,박창원,김효진 대한시과학회 2019 대한시과학회지 Vol.21 No.1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linical practice stress and resilience in ophthalmic optics students. Methods :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59 students of ophthalmic optics in Chungnam area. The t-test and one-way ANOVA were used to determine whether there was a difference in resilience and clinical practice stres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Post hoc analysis was carried out by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as us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linical practice stress and resilienc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by stepwise metho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resilience on clinical practice stress. Results : Resilienc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gender, satisfaction with clinical practices, health status, and human relationship. Clinical practice stress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gender, satisfaction of clinical practices, (evaluation of) health status, and the usual human(personal) relationship. Clinical practice stress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self-control ability (r=-0.313, p=0.016). Also, self-control ability (β=-0.313, p=0.016) of resilience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impact on clinical practice stress. Conclusion : Since the resilience of ophthalmic optics students is an important factor to reduce the clinical practice stress,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through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curriculum to increase resilience. 목적 : 안경광학과 학생들의 현장실습 스트레스와 회복탄력성 간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충남지역에 소재한 안경광학과 학생 5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회복탄력성과 현장실습 스트레스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t-test와 one-way ANOVA를 이용하였고, 사후검증으로는 Scheffe 검증을 실시하였다. Pearson의 상관분석을 이용하여 회복탄력성과 현장실습 스트레스간의관계를 알아보았고, 회복탄력성이 현장실습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stepwise 방식에 의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 회복탄력성은 성별, 현장실습 만족도, 건강상태에 대한 평가, 평소의 대인관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현장실습 스트레스는 성별, 현장실습 만족도, 건강상태에 대한 평가, 평소의 대인관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보였다. 현장실습 스트레스는 회복탄력성의 하위요인 중 자기조절능력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0.313, p=0.016). 또한, 회복탄력성 중 자기조절능력(β=-0.313, p=0.016)은 현장실습 스트레스에 통계적으로 유의한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 : 안경광학과 학생의 회복탄력성은 현장실습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중요한 요인이므로, 회복탄력성 증가를 위한 교과과정의 개발 및 적용을 통하여 현장수행능력을 향상시켜야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사회복지전공학생의 현장실습 스트레스 증상에 관한 연구

        정무성,조해영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2009 한국사회복지교육 Vol.10 No.-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tress experienced by students in social work field practicum, its symptoms and level, and the factors affecting them. It is also to seek ways to improve the field practicum education for social work students by effectively managing the stress. The study surveyed 200 social work students who completed the field practicum. It was found that the stress level of the students were above the normal in every stress symptom areas. Especially, physical symptoms were the highest, and then psychological symptoms and behavioral symptoms were followed. Women were found to be higher in stress symptoms than men when their satisfaction of social work studies was low. And job burde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lso affected to the entire stress symptom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it was recommended that informations and plans on practicum curricula should be clearly shared by students in advance. And also adequate supervision should be provided by qualified supervisors. 본 연구는 사회복지전공학생들이 현장실습을 통해 경험하는 스트레스와 그 증상은 무엇인지, 그 수준은 어떠한지, 스트레스 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어떤 것이 있는지를 알아보고 실습생들이 실습 시 받는 스트레스를 효율적으로 관리하여 현장실습의 효과적인 성과를 가져올 수 있는 체계적인 실습교육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서울과 경기지역에 위치한 4년제 대학에서 사회복지학을 전공한 남, 여 학생으로서 사회복지현장실습과정을 마친 학생 200명을 대상으로 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대상자들의 스트레스 증상은 신체적 증상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심리적 증상, 행동적 증상 순이었다. 전체 스트레스 증상의 하위범위별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살펴보면, 신체적 증상에서는 실습생 요인 중 성별, 사회복지전공 만족 여부가, 수퍼바이저 요인 중 수퍼비전 횟수가, 실습현장 요인 중에는 업무부담, 대인관계가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 행동적 증상에서는 실습생 요인 중 성별이, 수퍼바이저 요인 중 수퍼바이저의 경력이, 실습현장 요인 중 업무부담, 대인관계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심리적 증상에서는 실습생 요인에서는 유의미한 영향이 없었으며 수퍼바이저 요인에서 수퍼바이저의 경력이, 실습현장 요인에서 업무부담, 전문지식 및 기술, 대인관계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스트레스 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경우, 실습생 요인에서는 성별과 사회복지전공 만족 여부가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냈다. 수퍼바이저 요인에서는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실습현장 요인에서는 업무부담과 대인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사회복지학과 학생의 사회복지현장실습 스트레스대처에 관한 연구

        오영림(Oh, Young Lim)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2020 복지상담교육연구 Vol.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tress affecting the practicum of college students who have majored social welfare and experienced field practicum and to find out the impact of coping strategies on stress. This study carried out a survey targeting 176 college students who experienced their social work field practicum and took their course, in the Gyeonggi province & Seoul. SPSS 20 was used for technical statistics, correlation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urvey results showed that the stress from the practicum is low and that many students use the avoidance-centered strategy among the stress-coping strategies. Second, stress coping strategy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appropriateness of practicum period that the students felt before the practicum. Third, the practicum stress varies depending on the appropriateness of the practicum period and whether or not the student wants to get a job. Fourth, the stress coping strategie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practicum stress, and particularly the avoidance-centered strategy has shown a negative relationship. Finally, this study suggests that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to effectively cope with the practicum stress of students who experienced social welfare field practicum.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현장실습을 경험한 사회복지실습대학생들의 실습에 영향을 주는 스트레스에 대해 살펴보고 이에 대처하는 대처전략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서울과 경기지역의 사회복지현장실습을 경험하고 사회복지현장실습 수업을 수강중인 사회복지실습대학생 176명의 설문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통계방법으로는 SPSS 2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들은 실습에서 오는 스트레스는 낮게 받고 있으며, 스트레스 대처 전략 중 회피중심 전략을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스트레스대처전략은 실습생이 실습 전에 느끼는 실습시기의 적절성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실습스트레스는 실습시기의 적절성과 취업희망여부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스트레스대처 전략이 실습스트레스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고, 그중 회피중심전략이 부적 관계를 보였다. 끝으로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사회복지현장실습을 경험한 학생들의 실습스트레스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이론적 및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관광전공 대학생의 현장실습 스트레스가 현장실습 만족도와 진로결정에 미치는 영향

        한수정(Han, Sujung),박상희(Park, Sanghee) 대한관광경영학회 2019 觀光硏究 Vol.34 No.8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internship stress on the satisfaction and career decision making for tourism students. A total of 284 questionnaires were used as the final analysis data using SPSS 24.0 statistical program. The validity of the hypothesis was tested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internship stress(role conflict & ambiguity, Job characteristics) and internship satisfaction except role overload.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internship satisfaction had positive influence on career decision making.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it is essential to identify how to deal with internship stress for tourism students to maximize the effectiveness of the internship program. Second, through this systematic study on the internship stress, basic data could be provided to the academia and the companies to increase the degree of career decision in the major field. 본 연구의 목적은 관광전공 대학생의 현장실습 스트레스 요인을 규명하고 어떤 스트레스 요인이 실습만족과 진로결정에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의 표본은 국내 4개 공항(D국제공항, I국제공항, J국제공항, 그리고 U공항 ), 국내 8개 호텔(제주HB호텔, 제주HY호텔, I호텔, 제주L호텔, 제주M호텔, PI호텔, 제주S호텔, 제주W호텔), 그 외 리조트, 여행사, 컨벤션센타, 크루즈, 카페 등에서 현장 실습 및 인턴을 한 4년제 대학과 2년제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284부의 자료를 최종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 24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관광전공 대학생의 현장실습 스트레스(역할과다, 역할갈등과 모호성, 과제특성요인)의 3개요인 중 역할과다(기각)을 제외한 역할갈등과 모호성(-), 과제특성요인(-)이 실습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H1). 둘째, 현장실습 만족도는 진로결정에 유의한 정(+)의 영향이 나타났다(H2). 위와 같은 결론을 바탕으로 현장실습 스트레스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방안을 체계적으로 마련하여 실습 만족도를 향상시키고 전공분야의 진로결정의도를 증가시키도록 학계와 업체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현장실습 적응에 관한 연구

        박경미(Park kyung M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8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및 현장실습 적응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현장실습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간호대학생 3,4학년 학생이며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2019년 5월 3일부터 6월 3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프로그램을 활용하였으며 t-test와 ANOVA, Pearson’s correlation,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현장실습 적응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회귀분석결과 임상실습 스트레스 중 실습환경과 환자와의 갈등, 사회적 지지 중 평가적 지지와 정서적 지지가 현장실습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으며 이 변수들은 현장실습 적응을 46% 설명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현장실습 적응을 높이기 위해 임상실습 중 실습환경 및 환자갈등의 스트레스와 사회적지지 중 평가적, 정서적 지지를 고려한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clinical practice stress, social support and field practice of nursing students and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field practic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nursing students in grades 3 and 4 and collected data from May 3 to June 3, 2019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SPSS program was used for data processing and t-test, ANOVA, Pearson 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As a resul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clinical practice stress, social support, and field adaptation of nursing students. As a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the practice environment, the conflict with patients, the evaluation support and the emotional support among the social support were the variables influencing the field practice adaptation. These variables accounted for 46% of the field practice adapt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program that considers the emotional and emotional support of the practice environment and patient conflict and the social support during clinical practice in order to improve on-site practical adaptation.

      • KCI등재

        관광전공 대학생의 감성지능과 현장실습 스트레스, 만족도 간 관계 연구

        홍정화 동북아관광학회 2017 동북아관광연구 Vol.13 No.4

        관광전문인력 양성에 있어 중요한 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현장실습 프로그램의 효용성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우선 가장 큰 제약요인인 직무스트레스를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장실습생들이 지각하는 감성지능이 직무스트레스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여 스트레스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키고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현장실습프로그램을 이수한 관광전공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 310부를 데이터코딩 및 클리닝과정을 거쳐 분석한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측정 척도의 신뢰성과 타당성 검증을 위한 신뢰도 분석 및 타당성분석을 통한 기초자료검토를 수행하였으며, 가설의 검증은 회귀분석을 통하여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관광전공대학생의 감성지능은 실습스트레스 중 역할모호성을 저하시키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관광전공대학생의 실습스트레스 중 현장실습 참여의 만족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역할모호성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실습스트레스는 전공 만족도보다는 실습 만족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실습만족의 결과로 전공만족이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In order to maximize the effectiveness of the field practice program, it is necessary to identify how to cope with job stress, which is the biggest constrain in tourism business.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basis for a program that can reduce stress effectively and improve satisfaction by identifying the influence of the perceived emotional intelligence on job stress and satisfaction by tourism major students. A total of 310 usable questionnaires for tourism major students who completed field practice programs were analyzed. The validity of the hypothesis was tested by regression analysis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emotional intelligence plays an important role in lowering role ambiguity among job stress variables in field practice programs.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role ambiguity plays a major role in the satisfaction of participating in field practice programs of tourism major students. Third, job stress directly affects field practice satisfaction rather than majors' satisfaction. Also, it is determined that major satisfaction is improved as a result of practice satisfaction.

      • KCI등재

        관광전공 대학생의 마인드셋과 그릿이 현장실습 스트레스와 진로결정에 미치는 영향

        한수정,박상희 대한관광경영학회 2020 觀光硏究 Vol.35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internship stress on career decision making and examine the impact of mindset and GRIT on internship stress for tourism students. A total of 284 questionnaires were used as the final analysis data using SPSS 24.0 statistical program. The validity of the hypothesis was tested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direct effects of fixed mindset on 'perseverance of effort' and 'consistency of interest' of GRIT were not significant.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positively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growth mindset and GRIT. Second, 'perseverance of effort' of GRIT had no significant influence upon internship stress(role overload, role conflict & ambiguity, job characteristics). However, 'consistency of interest' of GRIT was significantly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internship stress (role overload, role conflict & ambiguity, job characteristics). Third, fixed mindset had no significant influence upon internship stress (role overload, role conflict & ambiguity, job characteristics). Growth mindset was significantly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internship stress (role overload, role conflict & ambiguity), except job characteristics. Finally, it was found that job characteristics among internship stress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career decision making negatively for tourism students. 본 연구의 목적은 관광전공 대학생들의 현장실습 스트레스 원인을 파악하여 진로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심리적 기제인 마인드셋, 그릿과의 영향관계를 고찰하는 것이다. 연구의 표본은 국내 4개 공항(D국제공항, I국제공항, J국제공항, 그리고 U공항 ), 국내 8개 호텔(제주HB호텔, 제주HY호텔, I호텔, 제주L호텔, 제주M호텔, PI호텔, 제주S호텔, 제주W호텔), 그 외 리조트, 여행사, 컨벤션센타, 크루즈, 카페 등에서 현장 실습 및 인턴을 한 4년제 대학과 2년제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284부의 설문을 최종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으며, 자료는 SPSS 24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과 회귀분석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고정 마인드셋은 그릿의 하위 요인인 노력의 지속성과 흥미의 일관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한 반면, 성장 마인드셋은 그릿의 하위 요인인 노력의 지속성과 흥미의 일관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둘째, 그릿의 하위 요인(노력의 지속성, 흥미의 일관성) 중 노력의 지속성은 현장실습 스트레스(역할과다, 역할갈등과 모호성, 과제특성)의 3개 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지만, 흥미의 일관성은 현장실습 스트레스(역할과다, 역할갈등과 모호성, 과제특성)에 모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쳤다. 셋째, 마인드셋의 하위 요인(고정, 성장) 중 고정 마인드셋은 현장실습 스트레스(역할과다, 역할갈등과 모호성, 과제특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고, 성장 마인드셋은 현장실습 스트레스(역할과다, 역할갈등과 모호성, 과제특성)의 3개요인 중 과제특성 요인만 제외하고 역할과다, 역할갈등과 모호성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쳤다. 넷째, 관광전공 대학생의 현장실습 스트레스(역할과다, 역할갈등과 모호성, 과제특성)의 3개요인 중 과제특성만 진로결정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쳤다.

      • KCI등재

        관광전공 대학생의 마인트셋과 그릿이 현장실습 스트레스와 진로결정에 미치는 영향

        한수정(Han, Sujung),박상희(Park, Sanghee) 대한관광경영학회 2020 觀光硏究 Vol.35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관광전공 대학생들의 현장실습 스트레스 원인을 파악하여 진로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심리적 기제인 마인드셋, 그릿과의 영향관계를 고찰하는 것이다. 연구의 표본은 국내 4개 공항, 국내 8개 호텔, 그 외 리조트, 여행사, 컨벤션센타, 크루즈, 카페 등에서 현장 실습 및 인턴을 한 4년제 대학과 2년제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284부의 설문을 최종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으며, 자료는 SPSS 24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과 회귀분석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고정 마인드셋은 그릿의 하위 요인인 노력의 지속성과 흥미의 일관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한 반면, 성장 마인드셋은 그릿의 하위 요인인 노력의 지속성과 흥미의 일관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둘째, 그릿의 하위 요인(노력의 지속성, 흥미의 일관성) 중 노력의 지속성은 현장실습 스트레스(역할과다, 역할갈등과 모호성, 과제특성)의 3개 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지만, 흥미의 일관성은 현장실습 스트레스(역할과다, 역할 갈등과 모호성, 과제특성)에 모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쳤다. 셋째, 마인드셋의 하위 요인(고정, 성장) 중 고정 마인드셋은 현장실습 스트레스(역할과다, 역할갈등과 모호성, 과제특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고, 성장 마인드셋은 현장실습 스트레스(역할과다, 역할갈등과 모호성, 과제특성)의 3개요인 중 과제특성 요인만 제외하고 역할과다, 역할갈등과 모호성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쳤다. 넷째, 관광전공 대학생의 현장실습 스트레스(역할과다, 역할갈등과 모호성, 과제특성)의 3개요인 중 과제특성만 진로결정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쳤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internship stress on career decision making and examine the impact of mindset and GRIT on internship stress for tourism students. A total of 284 questionnaires were used as the final analysis data using SPSS 24.0 statistical program. The validity of the hypothesis was tested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direct effects of fixed mindset on perseverance of effort and consistency of interest of GRIT were not significant.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positively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growth mindset and GRIT. Second, perseverance of effort of GRIT had no significant influence upon internship stress(role overload, role conflict & ambiguity, job characteristics). However, consistency of interest of GRIT was significantly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internship stress (role overload, role conflict & ambiguity, job characteristics). Third, fixed mindset had no significant influence upon internship stress (role overload, role conflict & ambiguity, job characteristics). Growth mindset was significantly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internship stress (role overload, role conflict & ambiguity), except job characteristics. Finally, it was found that job characteristics among internship stress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career decision making negatively for tourism students.

      • 사회복지전공생들의 현장실습경험이 진로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연구

        김민경,고현아 한국인간복지실천학회 2019 한국인간복지실천연구 Vol.22 No.-

        본 연구는 나날이 중요하게 부각이 되는 대학생들의 진로에 관한 연구로 사회복지학과 학생들 중 현장실습을 이수하고 취업을 준비하는 학생들의 진로자기효능감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일차적으로 진로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복지현장실습생의 진로의사를 세 가지 진로의사유형으로 보고 이를 독립변인으로 선정하여 진로의사결정 유형 각각의 변인이 진로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보고자 하였으며, 또한 진로스트레스 및 수퍼바이저와의 관계가 진로의사결정유형과 진로자기효능감 간을 조절하는 효과가 있는 지를 알아보고자 하는 목적으로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연구문제1 연구문제 2는 지지되었다. 둘째, 연구 가설 3은 합리적, 직관적 의사결정유형은 지지되었고 의존적 의사결정유형은 지지되지 않았다. This study examines on college student's career path which becomes important issue everyday and reviewing career self-efficacy as for attending a vocational school students who are completed a field trip and seeking a job. Primarily it was evaluate the impact of career decision-making by selecting the independent variables affecting the career self-efficacy in career decision-making type of each variable into career self-efficacy, career stress, relationships career decision-making type with Supervisor. the career self-efficacy was carried out between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whether the effect of regul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observes the rational and the intuitive type of career decision. the career decision dependent types and each type will have an impact on career self-efficacy 'research hypothesis that was supported. Second, the 'career stress will have the effect of regulating the type and intuitively rational career decision. the career-dependent type and the type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between' hypothesis that was supported.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pervisor will have the effect of regulating the type and intuitively rational career decision. the career decision making and career self-efficacy between the types of research hypothesis that "was supported. Fourt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pervisor will have the effect of regulating the type-dependent careers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between 'did not support that hypothes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