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玄牝’에 관한 內丹的 考察

        이근철(Lee, Geun-cheol) 한국도교문화학회 2017 道敎文化硏究 Vol.46 No.-

        ‘玄牝’은 玄關이라고도 하는데 內丹 수련에서 매우 중요한 용어이다. 현빈이라는 용어는 『道德經』6장에 처음 보이는데, 이에 대한 해석이 관점에 따라 다양하다. 河上公은 ‘玄’은 하늘인데 사람에 있어서는 코에 해당되고, ‘牝’은 땅인데 사람에 있어서는 입에 해당된다고 말하고 있다. 즉, 현빈은 하늘의 기운과 땅의 곡식을 받아들이는 생명의 문이라는 것이다. 想爾註는 玄牝을 각각 하늘과 땅, 남자와 여자에 비유하면서 도교 양생술의 ‘精→氣→神’의 기본적 원리를 담아 양생술의 방법으로 설명하고 있다. 이에 비해 王弼은 ‘谷神’의 의미를 중요시하여 만물이 이루어지되 형상을 볼 수 없는 지극한 존재로서 이름을 지을 수가 없으므로 현빈이라 한다고 하였다. 결국 『도덕경』 6장에서의 ‘현빈’이란 계곡의 신처럼 죽지 않고 영원하며 천지만물을 잉태하고 탄생시켜 자라게 하는 현묘한 여성성을 가진 개념을 말한다고 할 수 있다. 중국 內丹書 중에서 ‘현빈’을 찾아볼 수 있는 것들은 매우 많은데, 그 의미는 유사하지만 구체적인 표현은 다양하다. 현빈에 대해 어떤 내단가는 ‘하단전’이나 ‘중단전’으로 보기도 하고, 어떤 내단가는 몸 가운데를 관통하는 經脈이라고도 하며, 어떤 내단가는 형체상의 關竅가 아니라 몸과 마음의 중심이라고 말하는 등 차이가 있다. 한국 內丹書 중에서 ‘현빈’을 찾아볼 수 있는 것으로는, 조선 명종때 지었다고 알려진 鄭의 『龍虎祕訣』과 1920년에 출판된 全秉薰의『精神哲學通編』이 눈에 띈다. 정렴은 ‘玄牝一竅’를 얻게 되면 백가지 구멍과 모두 통하게 되며 수련의 시작이라고 하였다. 전병훈은 여러 내단서에서 언급한 ‘현빈’에 대해 인용한 후 神氣를 연마하는 穴이라고 하면서, 인체 내의 상 · 중 · 하단전을 연결하여 眞氣가 유통하는 경로로 보고 있다. 결론적으로 내단 수련에 있어서의 ‘현빈’은 그 중요성이나 역할에 대해서는 유사하게 인정하고 있으나 그 형상이나 위치에 대해서는 내단가들의 경험에 따라 차이가 나지만, 대체로 大周天 이상의 수련에서 나타나는 ‘상체 한 가운데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經脈’으로 보는 것이 무리가 없을 것이다. Hyeonbin(玄牝) is also called "hyeongwan(玄關)". It is a very important term in the inner Alchemy. The term "hyeonbin(玄牝)" is seen for the first time in Chapter 6 of Tao Te Ching(道德經). The interpretations regarding this are diverse according to the viewpoint. Hasanggong(河上公) says that ‘hyeon(玄)’ is the sky and, with regard to a person, it pertains to the nose. And it says that ‘bin(牝)’ is the ground and it pertains to the mouth with regard to a person. Or, in other words, it is that hyeonbin(玄牝) is a door of life that accepts the energy of the sky and the grains of the earth. Compared to this, Wangpil(王弼) considered the meaning of ‘Gokshin(谷神)’ to be important. It is said that, as a utmost existence that cannot see the shapes and the forms although everything is made, because no name could be given, it was called "hyeonbin(玄牝)". It can be said that, eventually, ‘Hyeonbin(玄牝)’ in Chapter 6 of Tao Te Ching(道德經) speaks of a concept that possesses the profound femininity which does not die and is eternal like the spirit of a valley, gestates, gives birth to everything under the sun, and makes them grow. There are many writings for inner Alchemy from China where ‘Hyeonbin(玄牝)’ can be found. Although the meaning is similar, the specific expressions are diverse. Regarding hyeonbin(玄牝), Hasanggong(河上公) and the others see it as an organ that inhales and exhales the energy, most of the inner Alchemy trainer see it as an organ where the energy gathers in and is kept. However, regarding the figuration of hyeonbin(玄牝), the einner Alchemy trainer see it as a "hadanjeon(下丹田)" or a "jungdanjeon(中丹田)" and also say that it is a radial passage that penetrates the center of the body. And, what is more, there are the differences, including that it is the center of the mind and the body and the others of the like instead of being a bolt hole in terms of the shape. Among the writings for inner Alchemy from Korea, as for the things in which hyeonbin(玄牝) can be found, the Yonghobigyeol(龍虎秘訣) by Jeong Ryeom(鄭), which is known to have been written at the time of the King Myeongjong(明宗) of the Joseon(朝鮮) Dynasty and Jeongsincheolhaktongpyeon(精神哲學通編) by Jeon Byeong-hoon(全秉薰), which was published in the year 1920, catch the eye. Jeong Ryeom(鄭) said that, if the "hyeonbinilgyu(玄牝一竅)" gets obtained, everything can pass through the hundred holes, and this is the beginning of the training. After quoting regarding hyeonbin(玄牝), which was mentioned in the many inner Alchemy writings, Jeon Byeong-hoon(全秉薰) said that it is the hole that trains the mind and the energy. He sees it as the routes through which the real energy is distributed by connecting the hadanjeon(下丹田), the jungdanjeon(中丹田) and the sangdanjeon(上丹田) of the human body. In conclusion, regarding the importance and the role of ‘Hyeonbin(玄牝)’, in relation to the inner Alchemy training, they have been recognized similarly. However, we can find out that, regarding the shape and the position is a radial passage that penetrates the center of the body, there are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experiences of the inner Alchemy trainer.

      • KCI등재

        글로벌 시대의 老莊哲學

        李康洙 한국동양철학회 2010 동양철학 Vol.0 No.34

        現今人類面臨生態危機 資源缺乏以及種族之間的糾紛和核戰爭等的重大威脅。爲了解決現今諸問題, 需要世界觀的大變革。發苗於西方人文主義時代, 成長固根在近代科學時代之以人爲本的世界觀, 嚴重破壞生態平衡, 激烈助長人人之間的競爭心理。 依老莊的觀點論之, 天地萬物的主人翁乃是自然, 自然在此世界之中, 使一事一物得以發揮各自的作用。 據古希臘神話所記, 大地的女主便是GAEA, GAEA是持有産出能力的萬物之母。但只在除去持不渴精力的男神URANOS之生殖器官的條件下, GAEA才得以完全自由地發揮自己的産出能力。依老子所言, 萬物之母便是玄牝。玄牝是自然的異稱。生生不息的自然之深遠作用, 謂之爲玄牝。玄牝在除去人爲的條件下完全發揮自己的玄妙作用。何謂人爲? 有意圖、有目的的人之行爲, 命名爲人爲。正如日光通過水中時爲之折射, 自然在人爲的條件下爲之歪曲了。只在無爲狀態上, 自然十全其美地發揮本有的功能。無爲與自然, 雖二而實一, 不可分開而言。爲了子女自由自在地發揮自己的才能, 父母不可干涉。政府對人民無有干涉時, 人民可以自生自化了。 爲了因順事物本有的自然之性, 應當先去自私意識。在人民的立場上觀看人民, 在事物的立場了解事物。於此世界的中心, 應當有自然。同理, 於人群社會的中心, 應當有眞人。眞人有眞知, 因此, 能够平等觀視萬物, 先知將來之事, 見微知顯而善豫備焉。不僅如此, 眞人處無爲之事, 以不言之敎敎之, 施之而不求報, 功成而不居。只有言無爲自然之言、行無爲自然之行的人, 在人群社會的中心, 人人才可以無有歪曲地翕翕然安居樂業。 오늘날 지구는 생태계의 위기와 자원 고갈과 종족 사이의 갈등과 핵전쟁의 위험 등의 문제를 안고 있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려면 세계관의 대전환이 요구된다. 르네상스 시대에 싹이 터서 근대과학에 의하여 뒷받침된 人間中心主義는 생태계를 파괴하고 환경을 오염시켰으며 사람들 사이의 경쟁심을 부추겼다. 노장의 입장에서 볼 때 천지만물의 주인은 自然이다. 自然이 이 세계의 중심에서 그의 작용을 발휘케 해야 한다. 그리스 신화에 따르면 大地의 女主人은 가이아이다. 가이아는 出産의 능력을 가진 만물의 어머니다. 가이아가 이러한 능력을 제대로 발휘하려면 지칠 줄 모르는 정력을 지닌 男神 우라노스의 생식기를 거세해야 한다. 노자는 만물의 어머니를 玄牝이라고 하였다. 玄牝은 自然의 또 다른 이름이다. 生生不息하는 자연의 심원한 작용을 현빈이라고 하였다. 현빈이 그 능력을 제대로 발휘하려면 人爲를 除去해야 한다. 人爲는 의도와 목적을 가진 인간의 행위이다. 햇빛이 水中을 통과하면 휘어지듯이 自然의 빛은 인간을 거치게 되면 歪曲된다. 自然이 제대로 살아나려면 無爲해야 한다. 無爲와 自然은 銅錢의 양면처럼 떼어서 말할 수 없다. 父母가 子女를 간섭하지 않아야 자녀들의 자발성이 살아나듯이 政府가 백성들을 간섭지배하지 않아야 백성들의 자발성이 살아날 수 있다. 사물의 자연스러운 성향에 따르려면 자기의 私的意識을 버려야 한다. 백성의 입장에서 백성들의 일을 보고, 사물자체의 입장에서 사물들의 정황을 파악해야 한다. 세계의 中心에 自然이 있어야 하듯이 인간사회의 中心에는 자연을 대변할 수 있는 眞人이 있어야 한다. 眞人은 眞知를 가지고 만물을 平等하게 볼 수 있고, 事態의 兆朕을 알고 일이 커지기 전에 미리 대처할 수 있다. 또한 眞人은 無爲로써 일을 처리하고, 말없이 행동으로 본보기를 보이며 남들을 위해주고서 그 보답을 바라지 아니하며, 功이 있어도 그 功을 자기가 차지하지 않는다. 이처럼 無爲自然으로 말하고 행동하는 사람이 그 사회의 中心에 있어야 모든 사람이 그를 본받아 거짓 없이 진실하게 살아갈 것이다.

      • 용호비결 연단술의 분석심리학적 의미

        신용욱 ( Yong-wook Shin ) 한국분석심리학회 2018 心性硏究 Vol.33 No.2

        용호비결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던 정렴(1506~1549년) 선생이 저술한 일종의 선도(仙道) 수련서로 매월당 김시습의 용호론의 맥을 잇는 조선시대 가장 중요한 도교문헌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정렴 선생과 용호비결 판본에 대하여 소개하고 책의 제목인 용호(龍虎), 책의 내용 중 수단지도(修丹之道), 폐기(閉氣), 호흡법, 단전(丹田), 현빈일규(玄牝一竅)의 연금술적 내용을 분석심리학적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용호(龍虎)는 정신양(psychoid) 단계에서 작용하는 변환의 요소로 이를 통하여 단(丹)이 만들어지는데 단(丹)은 메르쿠리우스이자 철학자의 돌로 연금술의 적화 단계를 의미하기도 한다. 정렴 선생은 단(丹)을 이루기 위하여 가늘고 긴 호흡을 통한 단전에의 집중을 강조하였는데 이를 폐기(閉氣)라고 한다. 폐기(閉氣)는 능동적으로 니그레도(nigredo)상태로 들어가는 것으로 이때 우리의 정신은 외부로 향한 투사를 거두어들여 단전(丹田)을 향해 집중한다. 니그레도를 통한 지속적인 수련은 알베도(albedo)상태로의 이행을 가능케 하며 이를 통해 투사에 의한 객체의 오염으로부터 정신이 자유로와져 마음의 중심이 자아(ego)로부터 자기(Self)로 옮겨간다. 현빈일규(玄牝一竅)란 노자가 곡신(谷神)으로 표현한 우주의 여성적 원리를 경험하고 이를 체화하는 것이다. The article is about Yong-Ho-Bi-Gyeol(龍虎秘訣), which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Taoist text in Korea written by Jeong-Ryum, a Taoist and alchemist in the Chosun Dynasty. The article deals with the alchemical and psychological meanings of Yong-Ho (龍虎, Dragon-Tiger), the way of nurturing cinnabar (修丹之道), the closing of the qi (閉氣), the method of alchemical breathing, the Dantian (丹田, cinnabar-field), and the Mysterious Female’s One Opening (玄牝一竅), in addition to the brief introduction of the life of Jeong-Ryum and the bibliography of the book. The Yong-Ho (龍虎) meaning the dragon and tiger is the archetype of transformation in the form of their opposites, rooted in the psychoid system of the human psyche. The unified Yong-Ho makes Dan and the Dan, literally indicating cinnabar, has many alchemical connotations such as Mercurius, the rubedo state of the alchemical process, and the philosopher’s stone. In the book, Jeong-Ryum emphasized the slow and subtle way of breathing in and out of Dantian to develop neidan (內丹, inner cinnabar or inner alchemy). The refining of neidan begins by the closing of the qi, which symbolizes the radical introversion and withdrawal of all the projections on the outer objects. The Dantian located at the lower part of the abdomen has been known to preserve jing (精), the vital essence of life, which can be refined into qi and spirit (神). In Jungian perspective, the Dantian is a mandala where an individual’s mind can stay and focus at the center of psyche detached from ego and related to the Self. The long-nurtured introverted energy makes the Mysterious Female’s One Opening (玄牝一竅), a pit or cavity in the transcendental space, through which the meditator can have a relationship with the great female principle of the universe. The current article has introduced the contents of the Yong-Ho-Bi-Gyeol in the perspective of analytical psychology. However, it has not dealth with the remaining topics including Taesik (胎息, embryonic breathing) and Juchenhwahu (周天火候, the great Celestial circuit firing), due to the lack of author’s sufficient knowledge and experience. The unexplored areas of Yong-Ho-Bi-Gyeol will be studied in the future.

      • KCI등재

        조선후기 왕실 喪葬에서魂宮의 형성과 공간구성-창경궁 通和殿을 중심으로-

        이현진,이혜원 조선시대사학회 2019 朝鮮時代史學報 Vol.- No.88

        This article attempted to determine the nature of the Tong’hwa-jeon chamber, which unfortunately does not exist today, yet is vividly described anyway in the Dong’gweol-do(東闕圖) picture. Tong’hwa-jeon was created inside the Chang’gyeong-gung palace, and the title itself (“Tong’hwa”) first appeared when this chamber was ordered to be used as the Hon’gung chamber for Crown princess Hyegyeong(惠慶宮) during King Sunjo’s reign. Until then, the chamber had no name and was only called as ‘Old Naeban-weon(內班院) structure’ or ‘Old Hon’gung.’ When it was designated for the first time to become Hyegyeong’s Hon’gung, the structure was heavily renovated and eventually received the name Tong’hwa-jeon. But this was not the chamber’s first usage as said facility. Even before it became Tong’hwa-jeon, the structure had already served the royal family’s needs in the same capacity. It served as Hon’gung for Crown princess Daneui- bin(端懿嬪) during King Sukjong’s reign, and as Hon’gung for both Crown prince Hyojang(孝章世子) and royal concubine Hyeonbin(賢嬪) during King Yeongjo’s reign. The example from Sukjong’s reign was the first ever for the chamber to serve such purpose, and after being used in the same capacity during Yeongjo’s reign, we can see that it was decided to be used once again as Hon’gung for Hyegyeong-gung during Sunjo’s reign, but with an actual name this time around. While the Honjeon for kings and queens were usually arranged at the Pyeonjeon(便殿) Hall, we can see that a new trend of arranging the same space for deceased crown princes or princesses at Tong’hwa-jeon was gradually forming. Of course there were some exceptions (such as the Honjeon for King Jeongjo’s wife Queen Hyoeui [Hyoeui Wanghu, 孝懿王后] being arranged at Tong’hwa-jeon), but overall Tong’hwa-jeon was generally used for princes and princesses, as we can see from the fact that Tong’hwa-jeon was also used as the Hon’gung for Crown prince Hyomyeong later on. In this article, the nature of a structure which was erected in the southern section of the Tong’hwa-jeon chamber, which was also described on both Dong’gweol-do and Dong’gweol-dohyeong(東闕圖形) yet its exact function was previously unknown and yet to be determined. It was a place for servants assisting the king before the 18th century, and later when Tong’hwa-jeon was renovated and came to serve as a Hon’gung facility, the structure was used as a secondary facility for the Hon’gung. 본 연구는 현존하지는 않지만 「동궐도」에 그려져 있는 통화전의 실체를 살펴보기 위해 작성되었다. 통화전은 창경궁에 조성된 전각 중 하나이다. 통화전이라는 전호는 순조대 혜경궁의 상장에서 혼궁으로 사용된 건물에 처음으로 붙여졌다. 그런데 통화전은 이때 처음으로 ‘건립’된 것이 아니었고 전각명이 없는 상태로 오랫동안 사람들에게 ‘구 내반원’, ‘옛 혼궁’으로 일컬어지다가 1816년 혜경궁의 혼궁으로 정해지면서 대대적인 수리와 함께 통화전이라는 전각 명칭을 갖게 되었다. 통화전이라는 전각 이름을 갖기 전 이곳에는 숙종대 단의빈, 영조대 효장세자와 현빈의 혼궁으로 활용되었다. 적어도 숙종대 단의빈의 상장을 치르면서 이곳이 혼궁 처소로 마련되기 시작했고, 영조대 효장세자와 현빈의 혼궁을 거쳐서 순조대 혜경궁의 혼궁으로 사용된 것이었다. 그렇다면 국왕이나 왕후의 혼전이 편전에 마련되는 경향과 달리, 세자나 세자빈은 조선후기에 통화전이라는 건물에 혼궁을 마련하는 추세라고 볼 수 있다. 정조비 효의왕후의 혼전이 통화전에 조성되어 예외적인 경우도 있지만 효명세자의 혼궁으로 통화전이 잠시 사용되기도 한 것을 포함하여, 대개 세자나 세자빈의 혼궁으로 통화전이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아울러 그 용도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던 「동궐도」와 「동궐도형」에 그려져 있는 통화전 남쪽 일곽의 행각의 성격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일곽은 18세기 이전에는 국왕의 생활을 보조하는 관서들이 모여 있었던 곳이었으며, 통화전이 혼궁으로 유지되는 기간 동안 부속시설로 사용되었다.

      • KCI등재

        조선후기 세자빈 禮葬 의례와 그 특징: 賢嬪의 예장을 중심으로

        이현진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16 한국문화 Vol.73 No.-

        Hyeonbin(賢嬪) married Yeongjo’s eldest son crown prince Hyojang(孝章世子), and became the crown princess. Yeongjo bestowed the title ‘Hyeonbin,’ in an act which was actually the first for a crown princess to receive a title of her own. At the time of her death, protocols that should be observed for the crown princess were not dictated in dynastic ritual protocol manuals, so the funeral for Hyeonbin had to be held under regulations that had been observed when King Gyeongjong’s wife Dan’euibin(端懿嬪), as recorded in Musul Deung’rok(戊戌謄錄) died, with the instructions inside Mushin Deung’rok(戊申謄錄), which documented the protocols observed for Hyeonbin’s husband crown prince Hyojang’s funeral, consulted as well. As a result, Hyeonbin’s funeral was observed in a manner ‘one rank lower’ than that of a Queen’s funeral, and with her death, regulations for a crown princess funeral were newly conceived and inserted in manuals. In the later years of king Yeongjo’s reign, however, a controversy over the issue of ‘appropriate wearing’ of mourning attires(in terms of wearing periods, etc.) required revisions in the protocols. From the funeral ritual of Hyeonbin, we can see what kind of preparations were made for a crown princess’ funeral, how it proceeded, how it was done differently from a Queen’s funeral, and how it led to new regulations concerning funeral protocols meant for crown princes and princesses. We can see how important this incident was.

      • KCI등재

        영조대 왕실 상장례(喪葬禮)의 정비와 『국조상례보편(國朝喪禮補編)』

        이현진 ( Hyeon Jin Lee ) 한국사상사학회 2011 韓國思想史學 Vol.0 No.37

        조선이 건국된 뒤 최초로 편찬된 국가전례서인 『세종실록오례』의 흉례조에 기록된 국장 절차는 『국조오례의』 흉례조의 그것과 크게 차이가 없었다. 성종대 편찬된 『국조오례의』가 조선의 대표적인 국가전례서로 그 지위를 유지하는 가운데, 1744년에 『국조오례의』에 변화가 있거나 새롭게 추가된 전례를 정리한 『국조속오례의』가 편찬되자 두 국가전례서는 어깨를 나란히 하면서도 서로 보완하는 예서로서 활용되었다. 『국조오례의』와 『국조속오례의』의 흉례조는 국왕 위주로 정리되어 있기 때문에 세자나 세자빈의 상례가 발생했을 때 참고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영조는 왕실 상장례만을 위한 별도의 국가전례서를 편찬하도록 했다. 1751년에 효장세자의 빈 현빈이 훙서한 것을 계기로 영조의 주도적인 관심 아래 이듬해 1752년에 『국조상례보편』이 편찬되었다. 조목명·의주·제구·도설의 방식으로 기술한 『국조상례보편』은 하나의 조목 전반을 이해하는 데 편리한 장점이 있었고, 세자의 소상을 위한 의주의 전문을 처음으로 수록한 점이 특징이었다. 그런데 국왕이나 왕후의 국상이 발생했을 때 국왕의 대상 위주로 서술된 『국조오례의』와 『국조속오례의』를 함께 검토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후 1757년에 영조의 첫 번째 비 정성왕후와 숙종의 두 번째 계비 인원왕후의 국상이 발생했다. 1752년본 『국조상례보편』 안고 있는 불편함이 문제로 지적되었고, 그로 인해 다시 『국조상례보편』을 편찬하기에 이르렀다. 1758년본 『국조상례보편』은 기존 국가전례서와 마찬가지로 국왕의 대상 위주로 서술하고, 세자의 소상과 세자빈의 소내상은 註를 달아 서로 비교해서 보기에 편리하도록 되어 있다. 국왕과 왕후, 세자·세자빈의 상례를 한 눈에 살피기에 편리한 장점이 있었다. 두 차례에 걸쳐 편찬된 『국조상례보편』은 검약을 강조하는 영조의 정치 철학이 반영되어 있었다. 뿐만 아니라 『국조속오례의』에 새로이 등장한 의주가 1752년본 『국조상례보편』을 거쳐 1758년본 『국조상례보편』에 안착되면서 의주의 변화 과정도 엿볼 수 있었다. 왕실 상장례의 정비에 대한 오랜 기간 고심하고 노력한 결과가 투영된 것으로 이해된다. ``일통문자``로서 1758년본 『국조상례보편』은 향후 왕실에서 상이 발생했을 때 주요 텍스트로 활용되었다. The Ritual Code Gukjo O`rye-eui(國朝五禮儀) was compiled during king Seongjong`s reign, and the "Hyung`rye(凶禮)" section, which contained ritual procedures for inauspicious occasions, maintained the status of the most trusted and authoritative National Ritual Protocol Code for a long time. Then in 1744, it was decided to supplement the contents of Gukjo O`rye-eui, and then Gukjo Sok-O`rye-eui(國朝續五禮儀) was compiled and published. Yet, these two ritual protocol codes of the dynasty only dictated protocols that would be implemented at the occasion of a king`s death, so the codes could not be applied to situations in which either a Crown-prince or the wife of a Crown-prince died. So after 1751 when Crown-princess Hyeonbin(賢嬪) died, Gukjo Sang`rye Bo`pyeon was compiled in 1752. Unfortunately, this Gukjo Sang`rye Bo`pyeon only contained rather exclusively the protocols and procedures(儀註) that would entail the death of a Crown-prince. It did not cover all the cases that had to be addressed, including funeral services for the Queens and Crown-princesses. So after 1757, when Queens Jeongseong Wang`hu(貞聖王后) and In`weon Wang`hu(仁元王后) died, another revised version of Gukjo Sang`rye Bo`pyeon was created in 1758.

      • KCI등재

        일반논문 : 영조대 의소세손(懿昭世孫)의 예장(禮葬)과 그 성격

        이현진 ( Hyeon Jin Lee ) 한국사상사학회 2014 韓國思想史學 Vol.0 No.46

        이 논문은 사도세자와 혜경궁 사이에 태어난 ‘의소세손’의 사례를 통해 조선시대 세손 상장례의 절차와 그 특징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1752년에 그가 죽자 세손의 예장 절차에 관한 규정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서 준거로 삼을 만한 문헌이 없었다. 세손의 예장 절차에 관한 규정은 조선 말기까지 마련되지 않았다. 그 대신 『국조상례보편』(1752·1758)에 수록된 「의소세손상수교」가 있을 뿐이다. 세손의 흉사가 국가에 일상적으로 있는 일이 아니어서 의주로 만들지 않았다는 것이 그 이유였다. 따라서 의소세손의 훙서부터 입묘까지 예장의 전반적인 과정은 관찬자료와 의궤를 통해 정리했다. 의소세손은 1752년 3월 4일 창경궁의 통명전에서 훙서했다. 이후 복, 거애, 목욕, 습, 습전, 함, 영좌 설치, 입명정, 소렴, 소렴전, 대렴, 대렴전, 성빈, 성빈전, 조석전 및 상식, 성복, 성복전, 재실 가칠, 사시빈궁, 개명정, 재실 상자 친서, 재실 결과, 계찬실, 조전, 견전, 발인, 곡림 및 망곡례, 노제, 묘소 성빈, 계찬실, 천전, 하현실, 곡림 및 망곡례, 신주 제식, 입주제, 반우, 곡림 및 망곡례, 초우제, 재우제, 삼우제, 사우제, 오우제, 졸곡제, 소상제, 대상제, 담제, 입묘 등의 순서로 상장례가 진행되었다. 의소세손의 예장은 의식 절차, 상장에 사용한 용어, 주요 의절을 거행한 ‘시점’ 등 세 방면을 중심으로 정리한 결과 국왕의 국장 보다는 세자의 예장에 가까웠다. 단, 세자 예장과의 가장 큰 차이는 모든 의물의 제도, 규격, 수효를 줄였다는 점이다. 의소세손의 예장은 의절 방식, 물품의 조성 등 여러 부면에서 영조의 맏아들이었던 효장세자의 예장을 참고했다. 간혹 경종의 세자시절 빈 단의빈이나 효장세자의 빈 현빈의 상을 참고하기도 했다. 이를 통해 의소세손의 예장이 세자나 세자빈의 위상에 맞게 치러졌다고 생각할 수 있다. 하지만 영조는 세자 보다는 등급을 낮추되 세자빈 보다는 높게 위치지워, 세자·세자빈·세손의 위상을 분명히 구분지었다. 세손의 상장례가 ‘의소세손’이라는 한 명의 인물을 통해 파악해야 한다는 한계가 있다. 그러나 의소세손 상장 과정을 처음으로 소개하고, 이를 국왕 국장, 세자 예장과 비교한 것은 그 자체만으로도 의미가 없지 않다. During the peace talks between both sides, this area became the place for the military camp of Joseon(朝鮮) and Ming(明) who came down to chase the Japanese troops, but continued to be suffered from pillage by them who stayed in the southern coast of Joseon. As the war broke out again, for the Japanese this area was seen as the important point for route of advance to the north, but that Gwak Jaewoo, as the general of defence in the western Gyeongsang province(慶尙左道防禦使), took lead in putting some improvements into Hwawang mountain fortress(火旺山城) in this region and defended this stronghold by the tactic of emptying supplies around the fortress and only defending without attack made this region avoid reinvasion. In this disastrous situation, the people in this region had to flee to other safe areas, otherwise they were taken to do forced labor, or held captive by the Japanese. The pictures of evacuating and being captive were specific examples of memorizing the terrible scenes of war. On the other hand, for the government authorities it was seen as one of the useful ways of maintaining the dynasty to regenerate the memory of the previous war and revalue it in their own way. According to this scheme, Many people in Changnyeong obtained the positions of contributor to the victory of war, Yeonam Seowon(燕巖書院) and Mulgye Seowon(勿溪書院) were built up, and some women gained a reputation of virtuous woman(烈女) after their death. Out of these projects, above all, the memory that Hwawang mountain fortress was successfully defended came to be a ideological axis for regional political groups in this area since the second half of Joseon. It can be assumed that That was why many people at those times sought to register their names in Hwawangipseongdonggorok(火旺入城同苦錄).

      • KCI등재

        노자사상, <그림 천지지도>에 의한 새로운 해석

        김영주 동양사회사상학회 2009 사회사상과 문화 Vol.20 No.-

        필자는 노자사상을 이해함에 무엇보다도 도道․현玄․일一․무無의 개념이 같은지 다른지, 혹시 같다면 무슨 이유로 다른 낱말을 사용하고 있는지, 혹시 다르다면 무엇이 어떻게 얼마나 다른지를 분명하게 정리하여야 한다고 생각한다. 이에 노자사상에서 ‘가치개입의 문제’를 선명하게 내세워서, 천지지도․성인지도․치세지도라는 세 가지 관점으로 접근하여 해석하고 풀이한다. 이 논의를 선명하고 간편하게 하기 위하여 <그림 천지지도>와 <그림 성인지도와 치세지도>를 고안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그림 천지지도>에 기대어 ‘현玄․일一․무無․유有’를 비롯한 다양한 용어들이 서로 어떻게 다르며 서로 어떤 관계인가를 구체적이고 자세하게 살펴보려고 한다. I think that it is a most important issue to search the distinct meaning of ‘Tao(道)․Hyun(玄) and Mu(無)․Yu(有)’. At first, we must take an interest in the distinct meanings of Tao(道)․Hyun(玄) and Mu(無). If the meanings are equal, why do they use different words? or if the meanings are different, what are the each different meaning of the words? I will insist that they are different. The existing studied articles had not discussed ‘Issues in judgement of virtue&vice’ distinctly in Laozi’s thought as yet, so Laozi’s thought had been unclear and ambiguous. At my proceeding article, to overcome this problem, I disclosed a latent disease at ‘Issues in judgement of virtue&vice’ in Laozi’s thought, and laid the groundwork for approaching new interpretation of Laozi’s thought with the three new viewpoints naming ‘Tao of Nature(天地之道)․Tao of Saint(聖人之道)․Tao of Government(治世之道)’. And I devised an idea which drew ‘two figures’ showing Tao of Nature(天地之道) and Tao of Saint(聖人之道) & Tao of Government(治世之道); <figure, Tao of Nature> and <figure, Tao of Saint & the Tao of Government>. I will study distinctly the various concepts in Laozi’s thought(Heyn玄․Il一․Mu無․Yu有……etc) relying upon <figure, Tao of Nature> and <figure, Tao of Saint & Tao of Government>. But proceeding to these studies, We need the criterion to make clear distinction the complicated concepts in Laozi’s thought. It is selected Meo(妙 Sourcing) and Keo(徼 Accomplishing) & Saeng(生 Life) and Sa(死 Death). I studied concretely and minutely ‘four basic concepts’ at just proceeding article. At this article, I unfold a new interpretation for Laozi’s thought by <figure, Tao of Nature>, show concretely and minutely the concepts of Hyun(玄) GokSin(谷神) HyunBin(玄牝)․Il(一) Mi(微) Sang(象)․Mu(無) Yu(有) Si(始) Zong(終). At following next article, I unfold a new interpretation for Laozi’s thought by <figure, Tao of Saint & Tao of Government>, will show concretely and minutely the concepts of Tao of Saint & Tao of Government.

      • KCI등재

        노자사상, <그림 천지지도>에 의한 새로운 해석

        김영주(Kim, Young-Ju) 동양사회사상학회 2009 사회사상과 문화 Vol.20 No.-

        필자는 노자사상을 이해함에 무엇보다도 도道 현玄 일一 무無의 개념이 같은지 다른지, 혹시 같다면 무슨 이유로 다른 낱말을 사용하고 있는지, 혹시 다르다면 무엇이 어떻게 얼마나 다른지를 분명하게 정리하여야 한다고 생각한다 이에 노자사상에서 ‘가치개입의 문제’를 선명하게 내세워서, 천지지도 성인지도 치세지도라는 세 가지 관점으로 접근하여 해석하고 풀이한다 이 논의를 선명하고 간편하게 하기 위하여 <그림 천지지도>와 <그림 성인지도와 치세지도>를 고안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그림 천지지도>에 기대어 ‘현玄 일一 무無 유有’를 비롯한 다양한 용어들이 서로 어떻게 다르며 서로 어떤 관계인가를 구체적이고 자세하게 살펴보려고 한다 I think that it is a most important issue to search the distinct meaning of 'Tao(道) Hyun(玄) and Mu(無) Yu(有)‘ At first, we must take and interest in the distinct meanings of Tao(道)·Hyun(玄) and Mu(無) If the meanings are equal, why do they use different words? of if the meanings are different, what are the each different meaning of the words? I will insist that they are different The existing studied articles had not discussed 'Issues in judgement of virtue&vice' distinctly in Laozi's thought as yet, so Laozi's thought had been unclear and ambiguous At my proceeding article, to overcome this problem, I disclosed a latent disease at 'Issues in judgement of virtue&vice' in Laozi's thought, and laid the groundwork for apporaching new interpretation of Laozi's thought with the three new viewponits naming 'Tao of Nature(天地之道) Tao of Saint(聖人之道) Tao of Government(治世之道)' And I devised an idea which drew 'two figures' showing Tao of Nature(天地之道) and Tao of Saint(聖人之道) & Tao of Government(治世之道), <figure, Tao of Nature> and <figure, Tao of Saint & the Tao of Government> I will study distinctly the various concepts in Laozi's thought(Hyen玄 Il一 Mu無 Yu有 etc) relying upon <figure, Tao of Nature> and <figure, Tao of Saint & Tao of Government> But proceeding to these studies, We need the criterion to make clear distinction the complicated concepts in Laozi's thought It is selected Meo(妙 Sourcing) and Keo(徼 Accomplishing) & Saeng(生 Life) and Sa(死 Death) I studied concretely and minutely 'four basic concepts' at just proceeding article At this article, I unfold a new interpretation for Laozi's thought by <figure, Tao of Nature>, show concretely and minutely the concepts of Hyun(玄) GokSin(谷神) HyunBin(玄牝) Il(一) Mi(微) Sang(象) Mu(無) Yu(有) Si(始) Zong(終) At following next article, I unfold a new interpretation for Laozi's thought by <figure, Tao of Saint & Tao of Government>, will show concretely and minutely the concepts of Tao of Saint & Tao of Government

      • KCI등재

        영조 대에 조성된 왕실 석물과 현판

        김문식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23 民族文化硏究 Vol.100 No.-

        이 논문은 『금석집첩』에 수록된 왕실 자료 가운데 영조 대에 조성된 왕실 석물과 왕실 현판의 특징을 파악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영조 대에 조성된 석물과 현판에는 영조의 어제와 어필을 새긴 것이 많다. 영조는 모후인 인현왕후와 인원왕후, 생모인 숙빈 최씨에 대해 어필비를 남겼다. 영조는 가까운 가족을 위해 지은 글에서 슬프다는 표현을 많이 사용하였고, 가장 큰 슬픔은 맏며느리 현빈과 맏손자 의소세손의 지석에 나타난다. 영조는 가까운 가족의 석물에서 자신의 슬픔을 진솔하게 표현하였다. 영조 대에 조성된 석물과 현판에는 종실 인물의 글씨가 많다. 구체적으로는 여산군 이방, 서평군 이요, 여선군 이학, 낙풍군 이무 등이 남긴 글씨가 있다. 또한 왕실 현판에는 김재로와 김치인 부자와 직접 관련된 것이 나타난다. 왕실 현판은 두 부자가 직접 제작한 것이기에 『금석집첩』에 수록된 것으로 보인다. 영조 대에 조성된 석물과 현판에는 명나라를 존중하는 의식이 뚜렷하게 나타난다. 석물과 현판을 조성한 시기를 표시할 때 명나라가 있을 때는 명나라 연호를 표시하였고, 청나라가 있을 때는 간단하게 연도만 표시하였다. 또한 명나라 황제가 조선 국왕에게 준 시호는 반드시 기록하지만 청나라 황제가 조선 국왕에게 준 시호는 기록하지 않았다. 『금석집첩』에 수록된 왕실 자료에는 영조의 왕실 가족에 대한 애틋한 감정과 명나라를 계승한다는 역사의식이 뚜렷하게 나타난다. This paper was written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royal tombstone and the royal signboard produced during the reign of King Yeongjo among the royal materials contained in Geumseokjipcheop. Many of the tombstones and signboards made during the reign of King Yeongjo are engraved with the writings and letters of King Yeongjo’s. King Yeongjo produced a monument for his adoptive mother, Queen Inhyeon, Queen Inwon, and his birth mother Sukbin Choi. King Yeongjo used the expression “sad” a lot in his writings for his close family, and the biggest sadness appears in the tombstones of his eldest daughter-in-law Hyun Bin and eldest grandson Euiso Seson. King Yeongjo honestly expressed his sorrow on the tombstones of a nearby family. The tombstones and signboards made during the reign of King Yeongjo have many letters from the royal family. Specifically, there are letters left by Yeosan-gun Yi Bang, Seopyeong-gun Yi Yo, Yeosun-gun Yi Hak, and Nakpung-gun Yi Mu. In addition, the royal signboards show that the father Kim Jae-ro and his son Kim Chi-in are directly related. The royal signboards seem to have been included in the Geumseokjipcheop because they were produced by these two people themselves. The tombstones and signboards made during the reign of King Yeongjo clearly show a sense of respect for the Ming Dynasty. When marking the time when the tombstone and signboard were produced, the Ming era name was marked when the Ming Dynasty was present, and when the Qing Dynasty was present, only the year was simply marked. In addition, the title given by the Ming emperor to the king of Joseon must be recorded, but the title given by the Qing emperor is not recorded. The royal materials contained in the Geumseokjipcheop clearly show King Yeongjo’s affection for the royal family and his sense of history of inheriting the Ming Dynas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