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농촌지역 특성을 고려한 행복지수 개발방안 연구

        배웅규(Bae, Woong-Kyoo),김동용(Kim, Dong-Yong),윤용우(Yun, Yong-Woo),정동섭(Jeong, Dong-Seop) 한국도시설계학회 2013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14 No.5

        본 연구는 농촌지역의 특성을 반영한 ‘행복지수’를 개발하고 주민들의 행복을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기존 행복지수에 관련한 연구는 국가 및 대도시 단위에 집중되어 있었으나 본 연구에서는 기초지자체의 군민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먼저 문헌연구를 통해 ‘행복’과 ‘행복지수’를 정의하고, 기존 행복지수 지표를 조사 분석하여 ‘행복’을 크게 객관적 측면과 주관적 측면 두 가지로 분류하였다. 물리적이고 객관적 측면의 행복은 ‘객관적 행복수지’로, 인간의 주관적 측면은 ‘주관적 행복지수’라고 정의하고 조사 분석하였다. ‘객관적 행복지수’는 공식 통계자료를 활용하여 해당지역의 기반시설 및 물리적 환경을 분석하였으며, ‘주관적 행복지수’는 설문조사를 통하여 지역주민이 개인적으로 체감하는 행복에 대한 만족감을 조사하였다. 농촌지역의 행복지수 결과를 “2011서울서베이 행복지수”와 동일한 항목으로 비교분석 하였으며, 지차체의 읍면별 분석을 통하여 주민들의 행복의 정도를 판단하였다. 마지막으로 각 지역의 ‘객관적 행복지수’와 ‘주관적 행복지수’를 비교할 경우 모든 지역의 ‘객관적 행복지수’와 ‘주관적 행복지수’가 정비례하지 않았으며 행정에서의 지원이 높다고 할지라도 주민들의 행복감은 비례하지만은 않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happiness index’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rural areas and measure the happiness of the residents living in those areas. In this study, th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in the residents of lower level local government while the other existing studies on ‘happiness index’ have focused exclusively by countries and large urban cities. First of all, “happiness” has been classified into two sides; objective and subjective. The objective side of human has been defined and analyzed as ‘happiness index’ and the physical and subjective side of happiness as a ‘base condition’. For ‘base condition’, the base facilities and physical condition have been analyzed using the official statistical data, and for ‘happiness index’, a survey has been conducted to study the satisfaction that the local residents individually feel. Lastly, when comparing ‘base condition’ and ‘happiness index’ of each region, not every region’s ‘base condition’ and ‘happiness index’ were directly proportional to each other and even in the areas where they had high administrative support, the happiness of the residents was not exactly proportional.

      • KCI등재

        한국인의 여가행복지수 개발 및 적용

        윤소영,박두용 여가문화학회 2014 여가학연구 Vol.1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scope of new happiness index through developing and applying a basic frame for developing new 'leisure happiness index' that will contribute to improvement in happiness level through leisure, and to examine about a plan available for enhancing happiness level through leisure. As a plan for calculating Koreans' leisure happiness index, the indicator of developing leisure happiness index was formed through organizing indicator. It was progressed by applying it to research available for suggesting happiness through leisure after forming questionnaire of a research on development in leisure happiness index based on the organized indicator. The research subjects were 1583 people in 17 cities and provinces. Data were collected by dividing it into online and offline method. As for data analysis of this study, each item in minor category was standardized with 10-point perfection by sphere for calculating leisure happiness index through dividing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of 1,583 people by class. The mean value by minor category was calculated with value in each item of moderate category. It calculated the mean value in each item of moderate category with the value in major category and then calculated by multiplying each weight in 5 major categories. To calculate Koreans' leisure happiness index, it calculated with 5 spheres in leisure condition index, leisure resource index, leisure participation index, leisure career index, leisure attitude index and satisfaction index, which correspond to the sphere of major category. As a result of this study, first, Koreans' leisure happiness index stood at 4.8 points out of 10-point perfection, thereby having shown a little lower score than moderate. Second, the leisure participation index stood at 5.6 points, thereby having been indicated to be the highest. The leisure attitude and satisfaction index stood at 5.4 points. Thus, participation and attitude toward leisure were indicated to be higher than moderate score. Third, it was shown to be leisure resource index with 5.2 points and leisure condition index with 4.1 points. Finally, the leisure career index stood at 3.3 points, thereby having been elicited as the lowest score. Overall, Koreans' leisure happiness index was indicated to be moderate score. The leisure participation index is the highest. The leisure career index is the lowest. Hence, there will be a need of being arranged national policy and of being formed social environment that can enhance happiness through continuity of joining leisure. 본 연구에서는 여가를 통한 행복수준 향상에 기여할 새로운‘여가행복지수’개발을 위한 기본 틀의 개발 및 적용을 통해 새로운 행복지수의 범위 설정하고, 여가를 통해 행복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한국인의 여가행복지수를 산출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지표의 구성을 통하여 여가행복지수개발 지표를 구성하였다. 구성된 지표를 토대로 여가행복지수개발 연구의 설문지를 구성하여 여가를 통한 행복감을 제시할 수 있는 연구에 적용하여 진행하였다. 연구대상은 17개 시·도 1583명을 대상으로 온라인과 오프라인방법으로 나누어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본 연구의 자료분석은 수집된 1,583명의 설문지를 계층별 분류를 통하여 여가행복지수 산출을 위한 영역별로 소분류에서의 각 항목 별 10점 만점으로 표준화 하여 소분류별 평균값을 중분류 각 항목의 값으로 산출하였으며, 중분류 각 항목의 평균값을 대분류의 값으로 산출 후 5개의 대분류에 각각의 가중치를 곱하여 산출하였다. 한국인의 여가행복지수를 산출하기 위하여 대분류 영역인 여가여건지수, 여가자원지수, 여가참여지수, 여가경력지수, 여가태도 및 만족도 지수의 5개 영역으로 산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한국인의 여가행복지수는 10점 만점에 4.8점으로서 중간보다 조금 낮은 점수를 나타냈으며, 둘째, 여가참여지수가 5.6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여가태도 및 만족도지수도 5.4점으로 여가에 대한 참여와 태도가 중간점수보다 높게 나타났다, 셋째, 여가자원지수가 5.2점, 여가여건지수가 4.1점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여가경력지수가 3.3점으로 가장 낮은 점수로 도출되었다. 전체적으로 한국인의 여가행복지수는 중간점수로 나타났으며, 여가참여지수가 가장 높으며, 여가경력지수가 가장 떨어지므로 여가의 참여를 통한 지속성을 통해서 행복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국가적 정책마련과 사회적 환경이 조성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브랜드 행복지수 개발에 관한 연구 -자동차 브랜드를 중심으로

        류주연 ( Ju-youn Ryoo ),유창조 ( Chang-jo Yoo ) 한국소비자학회 2015 소비자학연구 Vol.26 No.6

        브랜드가 소비자로 하여금 행복감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밝히고 각 브랜드별로 소비자의 행복에 대한 영향력을 비교할 수 있는 틀을 만들어 관리 가능함을 밝히기 위하여 본 연구는 시작되었다. 심층면접, 사전조사, 그리고 본조사의 세 가지 단계를 거쳐 브랜드 행복지수(brand happiness index, BHI)를 개발하였으며, 심층면접 결과 소비자들이 브랜드와 관련지어 느끼는 행복감은 심리적 가치, 긍정적 정서, 그리고 부정적 정서로 이루어졌음을 발견하였다. 이는 삶에 대한 행복의 연구와 연관지어(Diener 1984; Diener et al. 1999) 브랜드를 구매하고 경험하는 과정을 통하여 소비자가 느끼는 행복감을 감정적 가치와 심리적 가치로 구분한 것인데, 심리적 가치와 긍정적 정서는 행복감에 정(+)의 영향을 미치게 되고 부정적 정서는 행복감에 부(-)의 영향을 미치게 된다. 구체적으로 심리적 가치는 성취감, 소속감, 우월감, 윤리성 등으로 구성되고, 긍정적 정서는 따뜻함, 신기함, 흥분 등으로 이루어졌으며, 부정적 정서는 무기력, 식상함, 화남 등 총 10개의 요인으로 정리할 수 있다. 사전조사 단계에서는 4가지 노트북 컴퓨터 브랜드 사용자 141명을 대상으로 하여 브랜드별로 브랜드 행복지수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고 측정항목을 정제하였다. 본조사는 국내의 9개 자동차 브랜드에 대하여 총 1,350명을 대상으로 닐슨코리아에 의뢰하여 온라인 조사로 실시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 등을 통하여 브랜드 행복지수 산정에 있어 타당성과 신뢰성을 검증한 후 10개 요인의 브랜드 행복에 대한 표준화 회귀계수로 브랜드 행복지수의 가중치를 산정하였고 공식을 통하여 각 브랜드별 행복지수를 산출하였다. 브랜드별로 살펴보면 QM5의 브랜드 행복지수가 가장 높았으며 이후 K3, K5, SM5가 상위를 차지하고 있다. 반면에 SM3와 아반떼, 쏘나타는 상대적으로 낮은 지수를 보였으며 분산분석결과 QM5의 브랜드 행복지수가 SM3나 아반떼, 쏘나타 브랜드의 행복지수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차급별 비교 결과를 보면 SUV급 브랜드 행복지수가 준중형급 행복지수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준중형급과 SUV급은 동일 차급 내에서도 브랜드별로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소비자가 브랜드를 통하여 얻게 되는 행복감을 심리적 가치와 정서적 크기로 지수화하여 관리할 수 있다는 점, 세부 브랜드별로 소비자에게 영향을 미치는 브랜드 행복의 차이를 측정할 수 있다는 점 등을 반영하여 학문적, 실무적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is study focused on identifying relationship between brands and consumers`` happiness and developing brand happiness index(BHI) to compare the influences on consumers`` happiness among each brands. We developed BHI through depth interview, pretest using lap top computer brands, and online survey using automobile brands. Depth interviews showed that consumers`` happiness aroused by brands consisted of 3 categories; psychological values, positive emotions, and negative emotions. We related the results to the literature on studies about happiness by dividing consumers`` happiness into psychological values and emotional values. Psychological values and positive emotions affect consumers`` happiness positively but negative emotions affect consumers`` happiness negatively. 10 sub factors were founded in three categories of brand happiness index; achievement, sense of belonging, superiority, and ethics for psychological values, warmth, marvelous, and excitement for positive emotions, and helplessness, boredom, and angry for negative emotions. After developing, testing, and refining of variables for BHI scales through pretest using 141 respondents of lap top computer brands, we implemented online survey to confirm BHI scales based on 1,350 respondents for 9 automobile brands. To estimate each auto brands`` BHI we used weighted value of standardized regression coefficients on happiness. Results showed that QM5 had highest BHI and K3, K5, and SM5 also had relatively high BHI. SM3, AVANTE, and SONATA had relatively low level of BHI. The results of comparing BHI based on automobile categories showed that BHI of SUV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BHI of compact car and that each brands`` BHI also significantly different within SUV and compact car categories. This implicated that consumers`` happiness induced by brands can be managed through BHI which includes psychological values and emotional values and that it``s possible to estimate the differences in brand happiness of each brands that affect consumers.

      • KCI등재

        치과병·의원에 내원한 환자들의 행복지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조사

        윤현서(Hyun-Seo Yoon) 한국콘텐츠학회 2014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4 No.8

        본 연구는 주관적 치주건강인식 수와 진료내용(임플란트, 교정진료, 일반진료)에 따른 행복지수를 파악하고, 구강보건측면의 영향요인을 파악함으로써 구강보건관리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행복지수를 향상시킬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부산.경남지역에 위치한 치과병·의원에 내원한 환자를 대상으로 2013년 3월부터 약 7개월간 총 4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여 불성실한 응답 16명을 제외하고 최종적으로 384명을 대상으로 하여 진료내용에 따른 행복지수는 단일문항(p<0.001), 5문항(p=0.037) 모두 교정치료를 받는 경우 높았고, 임플란트 진료를 받는 경우 낮았다. 주관적 치주건강인식 수에 따른 행복지수는 단일문항, 5문항 행복지수 모두 구강증상이 없는 경우 높았고(p<0.001), 주관적 건강상태와 주관적 구강건강 상태에서 매우 건강하다고 인식할수록 행복지수가 높았다(p<0.001). 단일문항 행복지수에 영향요인은 소득이 많을수록(β= 0.198), 주관적 건강상태가 좋을수록(β=0.340) 행복지수가 높았으며, 당뇨질환이 있을수록(β=-0.103), 치주질환수가 많을수록(β=-0.204) 행복지수가 낮게 나타났다. 5문항 행복지수에 영향요인은 연령이 높을수록(β=0.241), 소득이 많을수록(β=0.198), 진료내용이 일반일 때(β=0.107), 주관적 건강상태가 좋을수록(β=0.275), 주관적 구강건강상태가 좋을수록(β=0.132) 행복지수가 높았으며, 치주질환수가 많을수록(β=-0.195) 행복지수가 낮았다. 병·의원에 내원한 환자를 대상으로 주관적 구강건강 인식을 향상하기 위한 구강건강프로그램이 마련되어야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of the self-rated peridontal health status of dental patients and the type of their treatment(implant, orthodontic treatment and general treatment) to the quality of life(happiness index), to investigate influential factors for oral health, and ultimately to provide some information on the development of oral health care programs geared toward boosting the happiness index.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the patients who visited dental hospitals and clinics in Busan and South Gyeongsang Province. As for relationship between the field of treatment and the happiness index, the patients who received orthodontic treatment scored higher in both each itemand all the five items, and the patients who received implant treatment scored lower. Regarding links between self-rated periodontal health status and the happiness index, the patients who had no oral symptoms scored higher in both each item and all the five items, and the respondents whose self-rated health status and self-rated oral health status were both very good scored higher in the happiness index. The preparation of oral health programs that aim to improve the self-rated oral health of patients who visit dental hospitals or clinics is required.

      • KCI등재

        산업장 근로자들의 구강건강 행위에 따른 행복지수

        윤현서(Hyun-Seo Yoon) 한국콘텐츠학회 201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3 No.11

        본 연구는 경북지역 294명의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행복지수에 구강건강 행위와, 주관적 구강건강인식의 영향을 파악하여 이를 바탕으로 산업장 근로자들을 위한 구강보건계획을 수립하는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구강건강 행위에 따른 행복지수를 살펴보면 1년 내 정기검진여부에서는 정기검진을 받는 경우 단일문항 행복지수(p=0.002), 5문항 행복지수(0.012)에서 모두 높게 나타났고, 1년 내 스켈링을 받은 경우 단일문항 행복지수(p<0.001), 5문항 행복지수(p=0.003)모두 높게 나타났다. 칫솔질 횟수에서는 칫솔질 횟수가 많은 경우 단일문항 행복지수(p<0.001), 5문항 행복지수(p=0.023)으로 높았으며, 구강보건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 경우 단일문항 행복지수(p=0.041), 5문항 행복지수 모두에서 높게 나타났다. 근무지에 칫솔을 보관하는 경우에는 단일문항 행복지수(p=0.001), 5문항 행복지수(p<0.001) 모두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아플 때 즉시 치과방문이 가능한 경우 단일문항 행복지수(p<0.001), 5문항 행복지수(p<0.001)모두에서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산업장 근로자들의 행복지수를 높이기 위한 체계적인 구강건강프로그램이 마련되어야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act of the oral health behavior and self-rated oral health of workers on their happiness indexes in an attempt to provide information on oral health planning geared toward industrial worker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94 workers in North Gyeongsang Province.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health behavior and happiness indexes, the workers who got regular health checkups had higher happiness indexes for both single items(p=0.002) and entire five items(0.012), and those who had their teeth cleaned over the past year had higher happiness indexes for both single items(p<0.001) and entire five items(p=0.003). As for a toothbrushing frequency, the respondents who brushed their teeth more frequently had higher happiness indexes for both single items(p<0.001) and entire five items(p=0.023), and those who had ever received oral health education had higher happiness indexes for both single items(p=0.041) and entire five items. The workers who kept their toothbrushes at work had higher happiness indexes for both single items(p=0.001) and entire five items, and the respondents who could afford to visit a dental clinic immediately in case of having a toothache had higher happiness indexes for both single items(p<0.001) and entire five items(p<0.001). The findings of the study suggest that the preparation of systematic oral health programs is required to boost the happiness indexes of industrial workers.

      • KCI등재

        한국청소년행복지수 개발연구

        김신영(Kim Shinyoung),백혜정(Baek Hye-Jeong) 한국사회학회 2008 韓國社會學 Vol.42 No.6

        이 연구는 한국청소년들의 삶에 대한 행복감을 측정하기 위한 지표를 개발하고, 개발된 지표를 사용하여 ‘한국청소년행복지수’를 산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연구는 다음과 같은 단계를 거쳐 진행되었다. 첫째는 지수 개발에 앞서 ‘행복감’에 대한 국내외의 문헌을 검토하는 단계이다. 문헌검토에서 다루어진 내용들은 1) 행복감이란 무엇인가? 2) 행복감을 측정하는 지표들은 어떠한 것들이 있는가? 3) 행복감을 결정하는 요인들은 무엇이 있는가? 등이다. 둘째는 문헌검토를 토대로 한국청소년행복지수 산출을 위한 세부지표를 개발하는 단계이다. 마지막으로는 전국의 중학교 1, 2, 3학년생과 고등학교 1, 2, 3학년생들을 대상으로 조사된 자료에 근거하여 주성분분석을 통해 최종 행복지수를 구하였다. 개념 자체의 추상성으로 인해 포괄적(exhaustive)이고 상호배타적인(mutually exclusive) 영역의 구분은 불가능하지만, 국내 및 해외 문헌검토와 연구과정의 일부로 진행되었던 전문가 자문을 거친 결과 한국청소년의 행복감은 다음과 같은 여섯 가지 영역에 만족감 또는 평가로 구성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① 경제적 안녕(economic well-being), ② 자신에 대한 만족(satisfaction with self), ③ 안전(safety), ④ 학업성취(academic achievement), ⑤ 사회적 관계(social relationships), ⑥ 정서적 안녕(emotional well-being). 6개 영역에서 총 40개의 개별 문항이 생산되었으며 최종 결과로는 영역별 점수, 연령에 따른 영역별 점수의 증감, 각 영역이 최종 행복지수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최종 행복지수 값의 집단별 비교 등이 제시되었다. This study purports to develop indicators in order to measure the happiness status of Korean youth. Also, this study intends to build so-called Korean Youth Happiness Index(KYHI, hereafter) using those previously developed indicators. Broadly speaking, this study followed three steps. First, the question of "what is the conceptual scheme of happiness itself" was asked and the extensive review on domestic as well as foreign literature has been done. The authors addressed such issues as "what is happiness in general?", "what kinds of indicators have been used in previous literature?", and "what are the components of people's happiness?". The second step was to develop concrete indicators for KYHI and finally the construction of KYHI was followed using national survey data. While acknowledging the inexistence of perfectly exhaustive and mutually-exclusive classification of sub-areas of any abstract concept, the authors argue that measuring the happiness of Korean youth can be achieved by indirectly measuring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following six sub-areas: economic well-being, satisfaction with self, safety, academic achievement, social relationships, and emotional well-being. Forty indicators from six sub-areas have been developed and the final results of this study include the scores by areas, the changes in area scores by ages, the individual weights of each sub-area upon KYHI, and the KYHI scores by groups.

      • 행복연구의 방법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김상욱 培材大學校 人文科學硏究所 2020 人文論叢 Vol.37 No.-

        본 논문은 행복의 연구방법론에 대해 비판적으로 접근하고 있다. 경제발전 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행복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그리고 행복에 대한 연구도 여러 분야에서 시도되고 있다. 그러나 행복은 주관적인 특성이 강하기 때문에 실증분석에는 여러 가지 한계가 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 행복지수가 개발되고 있다. 행복지수는 행복을 정량적으로 접근하고 있기 때문에 상대적인 비교가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그러나 행복지수는 세 가지 측면에서 비판적으로 고민할 필요가 있다. 첫째는 행복에 대한 정의이다. 행복은 물질적인 측면과 비물질적인 측면을 동시에 포함하고 있기 때문이다. 두 번째는 행복지수의 구성요소이다. 행복지수의 구성요소에 따라서 지수의 결과가 다르기 때문이다. 물질적인 측면을 고려하는 객관적 요소와 비물질적인 측면을 고려하는 주관적 요소가 모두 필요하다. 셋째는 행복지 수의 가중치 문제이다. 행복지수의 구성요소가 복잡할수록 가중치의 문제도 더욱 복잡해진다. 그리고 주관적 지표와 객관적 지표의 가중치를 어떻게 구성하는가에 따라서 결과가 다르게 나타날 수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 세 가지 문제점을 제기하고 이에 대해 비판적인 접근 필요함을 강조하고 있다. This paper rethinks the happiness study methodology. Along with economic development higher, the interest to the happiness study also higher. And many research try to study the happiness. But because the happiness has subjective characteristics, the empirical study faced to many methodology problems. To improve this problem, we develops the happiness index. The happiness index approach from the quantity aspect, then has some advantage, that is relative comparison. But the happiness index need to rethink three problems. First is the happiness concept, because it includes physical aspect and non-physical aspect. Second is the component of happiness. Different component of happiness provides different results. And the component of happiness index needs objective component and subjective component, objective component is physical aspect, subjective component is non-physical aspect. Thirds is weight problems. The component of happiness index more complicate, the weight problem also more complicate. In subjective index and objective index, the different weight provides different result. And then, in order to develop the improvement of happiness study, this paper emphasizes the three problems.

      • KCI등재후보

        영재들은 행복한가? : 영재, 잠재적 영재, 일반학생의 행복관련 정서적 특성 비교

        한기순,김영미 韓國英才學會 2008 영재교육연구 Vol.18 No.3

        본 연구는 영재들의 행복에 관한 연구로 영재(201명), 잠재적 영재(124명), 일반학생들(241명)의 행복지수, 낙관성과 심리적 안녕감, 학교교육 행복지수를 분석하고 행복관련 정서적 특성의 성별 차이를 살펴보았으며 학생들의 배경변인이 행복지수 및 관련 정서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해 보았다. 연구결과 전반적으로 영재와 잠재적영재가 일반학생에 비하여 행복지수, 낙관성, 심리적 안녕감, 학교교육 행복지수 등 행복관련 정서적 특성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행복관련 정서적특성에 나타난 성차를 살펴보면 선발된 영재집단의 경우 여학생들이, 잠재적 영재집단의 경우 남학생들이 더 높은 행복감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나 성별과 집단 간에 유의미한 상호작용이 존재했다. 행복관련 정서적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배경변인으로는 행복지수, 낙관성, 심리적 안녕감, 학교교육 행복지수 전반에 걸쳐 또래관계와 가정행복감이 가장 설명력이 큰 변인으로 도출되었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emotional characteristics related to gifted children's happiness, such as happiness index, optimism,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chool education happiness. For the study, 201 gifted students who were currently enrolled in gifted education centers, 124 potentially gifted students who were nominated by teachers for their scientific interests and high performances, and 241 general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results indicated that both the gifted and the potentially gifted student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emotional characteristics related to happiness compared to the general studen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ifted and the potentially gifted in the diverse aspects of happiness. Interestingly,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gender and giftedness was found. Girls were happier when they were identified as the gifted, compared to the boys. Variables related to the happiness were also investigated, and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peer relationship and the family happiness were the most important variables that explained gifted children’s happiness in general.

      • 우리나라의 만족도 변화가 행복도 변화에 미치는 상호영향력에 관한 실증적 연구

        임병진(Byung Jin Yim) 행복한부자학회 2016 행복한부자연구 Vol.5 No.2

        모든 사람은 행복을 추구하며 살 수가 있고 모든 사람의 삶의 궁극적인 목적은 생각과 마음에 의존하는 행복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성경의 잠언 16장 20절 말씀에 의하면 행복과 관련한 복은 하나님의 의지하는 자이다. 신명기 33장 29절 말씀에 의하면 행복은 많은 물질과 만족에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 자기만족도와 행복지수를 1980년부터 2005년까지 26개의 자료를 사용하여 자기만족도와 행복지수의 상호 미친 영향을 알아보고자 분석한 실증적인 연구이다. 실증분석 방법으로는 자기만족도와 행복지수의 VAR모형을 이용한 예측오차의 분산분해기법과 충격함수분석 및 Granger인과관계(Granger causality)검정을 통하여 인과관계와 상호영향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중요한 결과들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만족도와 행복지수의 상관계수는 0.692002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만족도와 행복지수 자료의 원시계열자료에 대한 안정성검정 결과 불안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만족도와 행복지수의 자연로그 제1차 차분시계열자료에 안정성검정 결과는 모두 안정적임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자기만족도와 행복지수의 자연로그 차분 후에는 자기만족도와 행복지수 간에는 공적분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10% 유의수준에서 자기만족도와 행복지수 간의 각각 Granger Cause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s an empirical study on the mutual influence between the life satisfaction index and the happiness score of south Korean. In this study, since 1980, Life satisfaction index and the happiness score of South Korean by 2005 there are two indicators of the life satisfaction index and the happiness score of south Korea. We employ impulse response function based on VAR model as well as variance decomposition after unit root tests and cointegration test. An important result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of all, raw time series data of the life satisfaction index and the happiness score of south Korea has unit roots. Secondly, first differential data of the life satisfaction index and the happiness score of south Korea has no unit roots. Third, there is at least one cointegration among the life satisfaction index and the happiness score of south Korea. Finally, the correlation between of the correlation between of the life satisfaction index of South Korea and the happiness score of south Korea is (+) 0.692002.

      • KCI등재

        국민소득의 변화가 행복과 만족의 변화에 미치는 상호영향력에 관한 실증적 연구

        임병진(Byung Jin Yim),임태순(Tae Sun Im) 한국로고스경영학회 2016 로고스경영연구 Vol.14 No.4

        삶의 궁극적인 목적은 행복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성경의 잠언 16장 20절 말씀에 의하면 행복과 관련한 복은 하나님을 의지하는 자이다. 신명기 33장 29절 말씀에 의하면 행복은 많은 물질과 만족에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 국민소득과 자기만족도 및 행복지수를 1979년부터 2015년까지 27개의 자료를 사용하여 인당 국민소득, 자기만족도와 행복지수의 상호 미친 영향을 분석한 실증적인 연구이다. 실증분석 방법으로는 1인당 국민소득, 자기만족도와 행복지수 VAR모형과 VAR모형을 이용한 예측오차의 분산분해기법과 충격함수분석 및 Granger인과관계(Granger causality)검정을 통하여 인과관계와 상호영향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중요한 결과들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만족도와 행복지수의 상관계수는 0.705958이고, 행복지수과 1인당 국민소득의 상관계수는 0.150538이고, 1인당 국민소득과 자기만족도의 상관계수는 0.679849으로 나타났다. 둘째, 1인당 국민소득, 자기만족도와 행복지수 자료의 원시계열자료에 대한 안정성검정 결과 불안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1인당 국민소득, 자기만족도와 행복지수의 자연로그 제1차 차분시계열자료에 안정성검정 결과는 모두 안정적임을 알 수 있었다. 넷째, 1인당 국민소득, 자기만족도와 행복지수의 자연로그 차분 후에는 자기만족도과 행복지수 간에는 공적분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10% 유의수준에서 1인당 국민소득, 자기만족도와 행복지수 간의 각각 Granger Cause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s an empirical study on the mutual Influence among the Per capita income, the life satisfaction index and the happiness score of south Korea. In this study, since 1980, Life satisfaction index of South Korean and per capita income by 2005 there are three indicators of the Per capita income, the life satisfaction index and the happiness score of south Korea. We employ impulse response function based on VAR model as well as variance decomposition after unit root tests and cointegration test. An important result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of all, raw time series data of the Per capita income, the life satisfaction index and the happiness score of south Korea has unit roots. Secondly, first differential data of the Per capita income, the life satisfaction index and the happiness score of south Korea has no unit roots. Third, there is at least one cointegration among the Per capita income, the life satisfaction index and the happiness score of south Korea. Finally, the correlation between of the the life satisfaction index of South Korea and per capita income is (+) 0.679849, the correlation between of the life satisfaction index of South Korea and the happiness score of south Korea is (+) 0.705958, and the correlation between of the happiness score of south Korea and per capita income is (+) 0.150538.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