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들뢰즈의 『감각의 논리』에 관한 연구

        진기행(Jin, Gi-haeng) 대한철학회 2018 哲學硏究 Vol.145 No.-

        들뢰즈는 자신의 특유의 감각론을 『감각의 논리』에서 베이컨의 회화를 통하여 전개한다. 거기에서 문제가 되는 것이 광학적(optical) 시각과는 다른 ‘시선의 하나의 가능성’을 나타내는 〈햅틱 haptic〉이라는 감각이다. 우리말로 다양하게 번역되는 이 햅틱이라는 감각개념을 들뢰즈는 오스트리아 미술사학자 알로이스 리글(Alois Riegl)을 경유하여 수용하고 있다. 리글이 이집트의 저부조(bas-relief)에 대한 ‘근접 시각’(Nahsicht)의 의미를 가지고 이 개념을 사용했는데, 들뢰즈는 그의 발상을 이어받아 햅틱 개념을 적용하여 베이컨의 회화를 논하고 있다. 이집트의 저부조에 대하여 사용된 개념을 회화에 사용하는 이상, 들리즈의 회화론에는 리글에 의하여 제시되고 있는 것 이상의 의미가 았다. 다시 말하면 들뢰즈의 『감각의 논리』를 단순히 베이컨의 회화에 관한 논의(論議) 이상의 새로운 감각론을 전개한 것으로 파악할 경우, 중심이 되는 개념은 베이컨의 회화를 상징하는 햅틱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햅틱이란 도대체 어떠한 감각 개념인가? 또한 들뢰즈의 감각론은 도대체 무엇인가? 『감각의 논리』를 들뢰즈 자신의 감각론이 전개된 저작으로서 파악하고, 특히 햅틱이라는 감각에 주목하여 그의 감각론을 명확히 밝혀 보려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 Gilles Deleuze presents his distinctive logic of sensation in “Francis Bacon: The Logic of Sensation” with his own approach to Bacon’s paintings. What matters here is the sensation of ’haptic’ that is ‘one possibility of the eyes’ but different from optical perception. The concept of ‘haptic’ has been translated into Korean variously, and Gilles Deleuze adopted this concept from Austrian art historian, Alois Riegl. Alois Riegl had used the concept of ‘haptic’ to mean proximate view (Nahsicht in German) as in seeing Egyptian bas-relief. Gilles Deleuze was in succession to Alois Riegl’s way of thinking and used the concept of ‘haptic’ to discuss Bacon’s paintings. By the way, Alois Riegl had adopted this concept anyway to read Egyptian bas-reliefs, but Gilles Deleuze applies this concept to paintings. Actually, this concept in Gilles Deleuze’s theory of painting has more meanings than Alois Riegl’. That is to say, when we intend to understand “The Logic of Sensation” as a new logic of sensation to be represented more than just a discussion about Bacon’s paintings, we would say that key word is the concept of ‘haptic’ being symbolic of Bacon’s paintings. Yet, what kind of sensation is the ‘haptic’? And, what is Deleuze’s theory of sensation? I want to interpret “Francis Bacon: The Logic of Sensation” as a work being developed through his own theory of sensation, and further more I should like to draw special attention to the sensation of ‘haptic’ in order to make his theory of sensation with admirable clarity.

      • KCI등재

        스마트 물질 기반 햅틱 버튼 개발

        김태훈,윤인호,이혜선,김상연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2019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Vol.20 No.8

        본 논문에서는 초소형 디바이스에 탑재가 가능하면서 근 감각을 생성할 수 있는 햅틱 버튼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햅틱 버튼은 자기장의 세기에 따라 강성이 변하는 자기유변 탄성체와 솔레노이드 코일, 버튼 커버, 버튼 하우징으로 구성된다. 본 연구에서는 제안하는 모듈의 햅틱 성능을 극대화하기 위해 자속선 시뮬레이션을 수행한다. 또한, 제안하는 햅틱 버튼이 다양한 햅틱 감각을 생성할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정량적 실험을 수행한다. 이 실험에서는 입력 전류를 0 mA에서 500 mA까지 100 mA 단위로 변경하면서 눌러진 깊이에 따른 버튼의 저항력을 확인한다. 실험 결과, 제안하는 햅틱 버튼의 저항력은 9.2 N에서 15.4 N까지 증가한다. 소형이면서도 전기에 의해 동작하는 특성 때문에, 제안하는 햅틱 버튼은 VR 컨트롤러, 모바일 장치, 디지털카메라, 그리고 휴대용 광학 장비 등과 같은 소형 전자제품에 쉽게 탑재될 수 있다. In this paper, we propose a haptic button, which can easily be inserted into a tiny small device and generate a kinesthetic sensation. The proposed haptic button consists of a solenoid coil, button cover, button housing and magnetorheological elastomer whose stiffness changes according to the magnetic field. To maximize the haptic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odule, magnetic flux simulation is conducted. To investigate whether the proposed haptic button can create a variety of haptic sensations, We conduct a quantitative experiment. In this experiment, the resistive force is measured as a function of the pressed depth of the proposed button. During the experiment, the applied current is changed from 0 mA to 500 mA at 100 mA. As a result, the resistive force of the proposed haptic button increases from 9.2 N up to 15.4 N with increasing applied current from 0 mA to 500 mA. Due to its compact and electroactive characteristics, the proposed haptic module can be easily inserted into small consumer electronic devices, such as VR controllers, mobile devices, digital cameras, camcorders, and other portable optical devices.

      • KCI등재

        햅틱커뮤니케이션

        박선희(Sun-Hee Park)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016 언론과 사회 Vol.24 No.1

        이 논문은 모바일 미디어 이용을 육화의 관점에서 살펴봄으로써 인간-미디어-세계의 연계가 가진 함의를 찾아보려는 것이다. 환경으로서의 미디어는 인간의 감각과 인식에 영향을 미치고, 미디어 이용은 인간의 감각을 통해 세계를 이해하는 육화행위이며, 육화행위는 세계에 대한 인식과 소통방식을 변화시킬 수 있다는 논지로, 모바일 인터페이스의 상호감각성을 검토하고 촉각성이 중심인 인간과 미디어의 상호작용을 촉지적 육화행위로 설명한 후, 촉지적 육화행위가 일상화된 햅틱커뮤니케이션의 의미를 이용자 경험, 타자와의 관계, 그리고 사회적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햅틱커뮤니케이션 경험은 파편적 콘텐츠의 자극에 주의를 빼앗기는 정신산만함 속에서 습관적으로 모바일 미디어가 우리 몸에 스며드는 과정이며, 주체는 자신의 존재를 드러내기 위해 타자를 대상화하고 타자와의 관계속에서 주체성을 획득하지 못한 채 타자의 부재를 야기하며, 가상세계에의 몰입과 정신산만한 자극의 쇄도는 성찰과 사유에 필요한 거리두기를 허용하지 않고 세상을 통제하고 변화시킬 수 있다는 환상을 심어줌으로써 현실에 대한 비판과 개입을 억제하고 자발적으로 스스로를 통제하는 이차원 사회를 초래하게 된다. 우리의 사회적 존재양식이 된 촉지적 육화행위가 물리적 접촉으로서의 터칭에만 머물고 공감각으로서의 촉각성을 담지하지 못할 경우 햅틱커뮤니케이션이 지향하는 타자성이나 공동체성은 실현되기 힘들 것이다. The habitual use of mobile media calls for consideration of the relationship among human being, media, and world from the viewpoint of embodiment. Mobile media as an environment have an influence on the sensory extension and the perception of the world through an intersensorality that mobile interface presents. This paper theoretically reviews the phenomenological approaches to haptic communication in aspects of personal experience, the relation to the Other, and the society. Haptic communication is the distractive habit embodied by haptic activity such as touching in everyday life. Mobile user regards the Other as an object who exists only for identifying himself as a subject. The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and the deluge of the fragmented and stimulating contents prevent mobile user from critical thinking about human society, and the absence of this reflexivity makes two-dimensional society in which human being controls himself under the delusion that he possesses the power to change the world. Some implications of haptic communication as a way of social existence are discussed.

      • KCI등재

        학교 정원, 식물, 환경을 이용한 생태 미술 교육 프로젝트 연구

        장용석(Yong Sock Cha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5 No.5

        본 연구의 목적은 세 가지 개념, 햅틱(Haptic), 프레리(Freire)의 비평적 교수학, 존 듀이(John Dewey)의 “경험으로서의 예술”을 이용하여 생태미술 교육 프로젝트를 개발, 제시함에 있다. 햅틱(Haptic) 감각은 촉각으로 해석 할 수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햅틱(Haptic)을 단순히 촉각뿐만 아니라 공간, 움직임 등을 파악할 수 있는 종합적 감각을 의미한다. 이 생태 미술 프로젝트는 햅틱(Haptic) 감각을 이용하여 어린이들이 시감각(visual sense)적 미술에서 더 나아가 직접 사물을 만져보고 공간을 느끼고 탐구하며 자신과 자연과의 관계에 대해 깊이 생각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또한 작품의 완성과 결과물 보다는 미술작품의 제작과정에서 미술을 “경험”하고 “느끼는” 미술교육에 중점을 두었다. 그리고 미술작품이 원래 의도와 다르게 만들어지고, 예상과 다르게 진행되더라도 그 대안을 모색하거나 다른 방식을 찾아 그 작품의 의미를 만들어 가는데 목적이있다. 이 생태 미술 교육은 교사에 의한 지식 전달 수업이 아닌 어린이 스스로 문제를 탐구하고, 해결책을 고민하여 자신의 힘으로 지식을 구성하는 과정이다. 이를 통하여 어린이들이 세상에 대해 스스로의 안목을 가지고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생태미술 교육 프로젝트는 학교 정원이나 자연환경을 이용하였다. 따라서 학생들은 학교 안의 자연을 자세히 관찰하고 탐구며, 평소 무심히 지나쳤던 학교안의 생물들에 대해서 깊은 관심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러한 관심이 지역사회에 대한 애정으로 발전하여 지역 사회 발전의 기반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Children are aware of ecological problems. In fact, when asked recently what the biggest problem is in the world today, almost 50% of children cited ecological problems. This research is conducted to encourage art education as an instrument to address higher concerns about ecological problems and to actively find solutions to the problems suggested. The concept of the haptic?multi-sensory perceptual system (Lee, 2010) in visual culture, Freire’s concept of critical pedagogy, John Dewey’s “art as experience,” and ecology art will be investigated to accomplish the objective of creating an art project in which children can enthusiastically engage. To the children engaged in the project created with the concept listed above, the process will not only elicit a sense of awareness of ecological problems and their solutions, but also a chance to develop social commitment, spiritual growth, and intellectual growth as well. The main purpose of the study provides various ecology art education projects using school gardens, plants, and environments to develop a sense of haptic, critical thinking, caring for the nature, and empathy for others.

      • KCI등재
      • KCI등재

        소리 감각하기, 소리로 상상하기: 슈톡하우젠 《헬리콥터 현악사중주》의 구성과 수행, 소리 기능 연구

        김경화 서울대학교 서양음악연구소 2018 음악이론연구 Vol.30 No.-

        In June 1995, Stockhausen’s Helicopter String Quartet was premiered. Four string quartet players got on each helicopter and played separately, and the noise of the rotor blades were uniquely added to the music. While the players performed on the helicopter in the air, every process of the performance was transmitted through four different video monitors and loud speakers in real time to the audience in the concert hall. The only sounds the audience could hear were just the noise and vibration of the rotor blades, dramatic tremolos and glissandos of the quartet and the voice of the players. It makes us wonder what to listen to since it seems rather a special performance instead of a complete piece of music. However paradoxically, it could be another starting point of understanding what Stockhausen was pursuing in this music. This study began with a question, “What can we experience from the music dealing with sensuous features of sound?” This question was arisen, based on the sound that stimulates human senses, with the interest of various music/sound phenomenon of nowadays that are used as sensuous elements to make people experience the virtual space. In that point of view, Stockhausen’s Helicopter String Quartet could be a great reference that applied sonic characters and functions to music in as early as the 1990’s. This study analyzes how Stockhausen realized the Helicopter project and made the performance possible, and how he used the sonic elements including noise in music. Specifically, this paper covers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functions of sounds and how they stimulate human senses, and also further discusses Stockhausen’s purpose and the reason of using the sonic elements in the Helicopter String Quartet . This research is based on the documentary of the premiere of Helicopter String Quartet which was filmed in Amsterdam in 1995. 1995년 6월, 슈톡하우젠은 《헬리콥터 현악사중주》(Helicopter String Quartet)를 세상에 내 놓았다. 네 명의 현악사중주 연주자가 네 대의 헬리콥터에 각각 탑승하여 서로 분리된 채 연주하고, 헬리콥터의 로터 깃에서 발생하는 노이즈와 현악사중주의 사운드가 함께 음악을 만들어내는 곡이다. 실외 공중에서 이루어지는 연주는 무대에 놓여 있는 네 대의 비디오 모니터를 통해 연주회장 청중들에게 실시간으로 전송된다. 들리는 소리라고는 헬리콥터 로터 깃에서 계속되는 진동과 노이즈, 현의 드라마틱한 트레몰로와 글리산도, 연주자들의 목소리가 전부이다. 완결된 음악이라기보다는 이벤트에 가까워 보이는 이 작품은 우리가 그로부터 무엇을 들어야 할지, 어떻게 해석해야 할지 난감하게 만든다. 그러나 이 작품에서 오는 당혹감은 역설적으로 이 작품이 무엇을 지향하는지 파악하기 위한 출발점이 될 수 있다. 이 연구는 소리의 감각적 차원을 다루는 음악에서 우리는 무엇을 경험할 수 있는가?라는 질문에서 시작되었다. 이 질문은 다양한 소리 자극과 감각 경험 자체를 음악의 중요한 목표로 삼고, 소리가 가상의 공간 경험을 자극하는 감각적 요소로서 활용되고 있는 이 시대의 다양한 음악/소리 현상들에 대한 관심에서 온 것이다. 이 연구는 1995년 암스테르담에서 초연된 《헬리콥터 현악사중주》의 다큐멘터리 영상에 기초하여 슈톡하우젠이 헬리콥터 프로젝트를 어떻게 실현시키는지 전반적인 창작과 수행 과정을 살피고, 그가 어떻게 소리를 다루는지 분석한다. 또 분리된 연주 공간과 청중을 잇기 위해 어떤 기술적 방법이 활용되는지, 그 안에서 소리는 어떠한 역할을 담당하는지에 대해서도 검토한다. 궁극적으로 헬리콥터 프로젝트를 통해 구현하려고 하였던 소리의 감각적 특징은 무엇인지에 대한 해석을 시도한다.

      • TouchPhoto: 시각 장애인의 사진 촬영 및 감상을 위한 시스템의 구현

        임종호(Jongho Lim),유용재(Yongjae Yoo),조한슬(Hanseul Cho),최승문(Seungmoon Choi) 한국HCI학회 2018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8 No.1

        사진은 현재의 순간을 기록하거나 타인과 추억을 공유하기 위한 중요한 수단이지만, 시각 장애인들은 시각의 부재로 인해 사진과 관련된 활동에 제약을 받는다. 본 연구에서는 시각 장애인의 사진 활동에 대한 접근성을 향상하고자, 다양한 감각을 활용해 사진을 찍고, 감상할 수 있는 TouchPhoto 시스템을 제작하고, 사진 촬영 및 사진 촬영 경험에 대한 회상실험을 통하여 그 효용성을 확인하였다.

      • 시각 장애인을 위한 사진 촬영 및 감상 시스템의 구현

        임종호(Jongho Lim),조한슬(Hanseul Cho),고인석(Inseok Koh),서성호(Sungho Seo),유용재(Yongjae Yoo),최승문(Seungmoon Choi) 한국HCI학회 2017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7 No.2

        본 연구에서는 정전기 촉감 디스플레이가 적용된 태블릿을 이용, 시각 장애인이 스스로 사진을 찍고 고대비 시각화 및 촉각의 다중감각으로 감상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태블릿 상의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된 시스템은 촬영 보조와 감상의 두 가지 기능을 제공한다. 촬영 보조 기능은 피사체 (얼굴)을 추적하고, 피사체가 사진 중앙에 오도록 음성 안내를 통하여 유도한다. 감상기능에서는 사용자가 촬영한 사진을 윤곽선 추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시각적으로는 고대비 변환된 이미지를 제공하며, 태블릿 화면상의 윤곽선 주변을 터치 시 정전기 진동촉감을 제공, 사진을 촉각적으로 만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각 장애인들이 사진을 감상할 수 있도록 구현하였다.

      • 음악 요소의 열 촉감 렌더링

        최혜진(Hyejin Choi),유용재(Yongjae Yoo),최승문(Seungmoon Choi) 한국HCI학회 2017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7 No.2

        본 연구에서는 음악의 감성적 특성에 주목하여, 대표적인 요소(Salient feature)들인 멜로디, 음량, 가사를 열 촉감으로 매핑하였다. 이를 활용하여 장애가 없는 사용자에게는 음악과 열을 동시에 제공하여 음악을 청-촉각으로 동시에 느낄 수 있도록 하며, 청각 장애인에게는 음악을 촉각으로 느낄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을 제작하였다. 음악 경험자를 대상으로 한 사용자 실험에서는 3 종류의 음악장르(동요, Pop, Ballad)에 대하여 렌더링한 열 촉감자극의 사용자 경험에 대하여 정량, 정성적인 설문 조사를 수행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열 촉감을 이용한 음악 요소의 렌더링 가이드라인을 수립하였다.

      • KCI등재

        햅틱 글러브를 이용한 로봇 손 제어

        심지용(Ji Yong Shim),육도경(Do-Gyeong Yuk),손정우(Jung Woo Sohn)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23 한국소음진동공학회 논문집 Vol.33 No.4

        In this study, a master glove with a haptic function is proposed and its performance is verified through motion control experiments on a slave robot hand. A master glove is fabricated by attaching a sensor that can measure the bending of the users finger and a haptic actuator that can control the movement of the users finger to the back of the hand of a commercial glove. Moreover, a new type of slave robot hand that combines a wire-based driving method and a gear-based composition method is designed and manufactured. It is verified through experiments whether the robot hand can implement the users finger movements in the same way. It is also experimentally verified whether the user can receive the same feedback when the movement of the robot hand is restricted, such as grabbing an object. Using the proposed haptic master glove, it is confirmed that the motion of the slave robot hand is accurately implemented, and that the robot hand can grasp a flexible object without damage by conveying the state of the robot hand to the us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