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라틴아메리카 해방신학과 해방철학 비교연구: 주요 개념을 중심으로

        조영현(Jo, Young Hyun) 한국외국어대학교 중남미연구소 2020 중남미연구 Vol.39 No.4

        본 연구는 해방이라는 개념을 공유하는 두 학문의 유사성과 차이에 대해 명확히 하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두 사상의 구조와 흐름을 결정짓는 범주 혹은 개념상의 유사성과 차이점이 어떤 것인지 드러내려 한다. 본 연구의 의도는 해방, 유토피아, 가난한 사람들 혹은 타자의 개념들을 핵심 분석 대상으로 하고 이들이 어떤 연관성을 갖는지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해방신학을 대표하는 구스타보 구티에레스와 해방철학을 대표하는 엔리케 두셀의 사상을 중심으로 분석한다. 해방철학자들은 해방신학의 고민을 수용했지만 철학이라는 고유한 토대 위에서 자신들의 사유를 확장시켰다. 그들은 신과 신앙을 배제한 채 오로지 논리와 이성에 근거하여 현상과 현실을 설명했다. 두셀은 타자와 희생자 개념을 발전시켰고, 근대성 신화의 해체, 유럽중심주의 탈피, 탈식민성 기획 등 해방신학이 다루지 않는 영역에 대한 이론화 작업을 강화시켰다. 우리는 가난한 사람들, 해방, 유토피아 개념과 타자와 희생자, 인식에서의 해방, 트랜스모더니티 사이에서 상호보완적인 측면을 발견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clarify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two disciplines that share the concept of Liberation. It reveals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categories or concepts that determine the structure and content of the two ideas. Liberation, utopia, the poor or the concepts of the other are the target of analysis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m. This study focuses on the ideas of Gustavo Gutiérrez, who represents liberation theology, and Enrique Dussel, who represents liberation philosophy. Liberation philosophers accepted the concerns of such theology, but expanded their thinking on the sole basis of philosophy. They explained phenomena and reality, based on solely logic and reason, by way of excluding the almighty God and Faith. Dussel developed the concept of the other and the victim and strengthened the theorizing of areas not covered by liberation theology, such as the dissolution of modern mythology, the escape from Europeanism, and decolonial planning. We can find complementary aspects among the poor, liberation, the concept of utopia and the other and the victim, the liberation of conscience and transmodernity.

      • 병인양요 전후 해방론(海防論)의 전개

        백기인(Baek, Ki-in) 순천향대학교 이순신연구소 2011 이순신연구논총 Vol.- No.16

        조선 정부의 해방책은 사사로이 외국인과 교섭하는 것을 금지하는 ‘해금(海禁)’․‘변금(邊禁)’ 이 기본 원칙이었다. 그래서 의주나 동래 등 허가지역 외에서는 승인없이 상인들의 교역을 허용하지 않았다. 대외관계에서 외교적으로 사대교린을 유지하는 가운데 인근 연안에서 발생하는 대외적인 우발적 접촉이나 교류에 대해 ‘배타적 선린관계’로 처리하는 것이 조선의 중요한 해방 개념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해방관념은 무력충돌이 야기된 상황에서는 적합한 해방책일 수 없었다. 그런 의미에서 임진왜란 당시, 이순신이 보여준 해상전술은 적극적이고 창의적인 해방책의 일환이었다고 평가할 만하다. 18세기에 들어와서 조선 연해에 이양선이 출현하면서 새로운 해방론이 제기되기 시작했다. 공간적으로 일본은 물론 청의 침공을 가상한 해상방어론의 등장이 그것이다. 그러나 좀 더 의미있는 변화는 19세기의 해방론이었다. 근대의 전쟁 양상을 이해하기 시작한 조선 지식인들은 서양 세력의 침략적 본질을 간파하고 그 대책을 강구하고자 했다. 처음에는 서양의 침략에 대해 ‘내수적 대응’의 대책이 고작이었다. 그러던 중 1866년 병인양 요와 제너럴 셔먼호 사건을 겪은 이후 새로운 차원의 해방책이 마련되었다. 병인양요 전후로 제기된 조선의 해방론은 제도 개선 측면과 전략전술적 측면의 두 가지 방향에서 시무책으로 제기된 특징을 보인다. 제도 개선에서는 제한적이었지만 해방과 관련된 무기체계의 변화로 서양 함선을 격침시킬 무기 등이 제작되었다. 그러나 ‘수비로서 공격을 삼는다’는 지구전 전략과 무력충돌을 회피해야 한다는 견해가 지배적이었다. 전술적으로는 해상전투보다 강방 (江防)에 중점을 둔 임기응변의 미봉책에 지나지 않았다. 그런 의미에서 조선 말 해방론은 ‘부국강병’의 창으로서 역할을 하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It was fundamental principle that coastline regulation and borderline one be forbidden to contact with foreigners unofficially by the maritime defense policy in the Joseon government. Therefore, she did not allow trade with foreigner without approval area such as EuiJoo or DongRae, etc. In the maintaining submit to the China and good-neighbor policy in the foreign relations, her primary maritime defense concept was exclusive good neighbor relation to the accidental foreigner contact or interchange. But, this maritime defense thought was not suitable one under occurred armed clash situation. It can meaningful evaluation that Admiral Yi Sun-Sin at the Im-Jin Japanese Invasion displayed progressive and creative maritime defense tool. At the early 18th century, new maritime defense appearing began with foreign ship appearance at the Joseon inshore. It was the appearing maritime defense thought assumed China invasion and Japan of course as space side, too. However, the further meaningful change was maritime defense thoght at the 19th century, Joseon intellectuals began to understand modern war type, recognized the nature of western force invasion, intended to take counter measure. At first time, it was just waterproof reaction about western invasion. In the 1866, it provided new level maritime defense policy after Byung-in Western Invasion, General Sherman vessel accident. Joseon maritime policy in the period of Byung-in Western Invasion was coping polilcy was 2 directions, the one is institutional improvement side and strategic and tactical one. At the institutional improvement side, the change of weapon system related maritime defense manufactured weapon can destroy western vessel. But, it was dominant viewpoint to evade armed clash and attrition warfare strategy to consider defense as attack. It was just extemporaneous stopgap measure to emphasis river defense to induce enemy at the river than sea combat. Therefore, the lately Joseon maritime thought existed limitation role to the window of enhancing national and strengthening military.

      • KCI등재

        해방기 시의 건설 담론과 수사적 특징

        이경수(Lee, Kyung-Soo) 한국시학회 2016 한국시학연구 Vol.- No.45

        이 논문에서는 해방기에 출간된 네 권의 공동 시집인『해방기념시집』,『해방기념 시집 횃불』,『삼일기념시집』,『전위시인집』을 대상으로 해방기 시에 지배적으로 형성된 건설의 담론과 그것이 형성된 수사적 맥락을 짚어보았다. 특히 해방기 시에 집중적으로 드러난 새나라 건설의 담론이 마음과 감정 계열의 시어들과의 관련 속에서 펼쳐지고 있음에 주목하였다. 이 논문에서 새롭게 밝혀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해방 직후인 1945~1946년에 출간된 공동 시집에서는 공통적으로 새나라 건설의 열망이 집중적으로 드러났는데, 이는 대체로 해방 이전과 이후를 속박과 해방, 낡음과 새로움 등의 시적 표상의 대립을 통해 표출했다. 더 나아가 이분법적 대립을 넘어서 변증법적 극복을 통해 새 시대로 나아가고자 하는 시들도 눈에 띄었다. 둘째, 해방기 시의 건설 담론은 마음 은유를 통해 표현되는 경우가 많았다. 해방기 공동시집에서 마음 은유는 무게와 깊이를 지닌 공간화되고 신체화된 마음으로 구체화된다. 또한 어린이, 청년, 어머니라는 주체와 마음이 결합한 경우도 자주 눈에 띄는데 이를 통해 미래 역사의 주역으로서의 정당성과 겨레의 마음으로 확산될 수 있는 가능성을 획득하고자 했다. 셋째, 해방기 시에서는 감정어가 높은 빈도로 쓰였는데, 특히 흘러넘치고 분출하고 쏟아지는 범람의 상상력과 나부끼는 깃발의 이미지를 통해 탈경계의 상상력이 폭발적으로 쓰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표현상의 특징들은 해방기 시에 출간된 네 권의 공동 시집에서 공통적으로 발견되었다. 특히 해방기 시의 대표적인 주제라고도 할 수 있는 새 나라 건설의 담론이 마음 은유와 감정어의 사용, 탈경계의 상상력과 결합됨으로써 해방기 시 특유의 파토스의 분출에 이를 수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정제된 언어와는 거리가 먼 거친 언어의 사용, 격정적 분위기, 거리의 시 등으로 요약될 수 있는 해방기 시의 특징은 이 논문에서 살펴본 표현상의 특징과 긴밀히 관련된 것으로서, 해방기는 한국 현대 시사에서 가장 뜨겁게 시적 에너지가 분출되었던 시기라는 독보적인 자리를 차지하게 된다. This study set out to examine the construction discourse dominantly formed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and its rhetoric contexts with a focus on four collected poems of collaboration published during the period, Collection of Poems in Commemoration of Liberation, Torches, the Collection of Poems in Commemoration of Liberation, Collection of Poems in Commemoration of March 1, and Collection of Works of Avant-Garde Poets. The study especially paid attention to the fact that the discourse of new nation building, which was intensively revealed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developed in its relations with the poetic words of mind and emotion lines. The study led to the new conclusions as follows: first, there was an intensive description of desire for new nation building among the collected poems of collaboration published in 1945~1946 right after Liberation. It was expressed through a confrontation between different poetic representations before and after Liberation such as restriction and liberation and old and new. Furthermore, beyond the dichotomous opposition poems to moving into a new era through a dialectical overcoming also stood out. Secondly, the construction discourse in the poems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was expressed through the metaphor of mind in many cases. In the collected poems of collaboration of the Liberation Period, metaphor of mind is materialized as the mind that it was spatialized and embodied with the weight and depth. Also, it stands out cases that combined the subject as children, youth, and mother with the mind. Through this, they wanted to acquire the legitimacy as the protagonists of the future history and the possibility which can be spread to the minds of compatriots. Finally, emotion words were used in high frequency in the poems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with the explosive usage of trans-boundary imagination through the overflowing imagination that ran off, erupted, and poured down and the images of fluttering flags. Those expressive characteristics were found in all of the four collected poems of collaboration published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As the discourse of new nation building, which was the representative topic of poems during the period, was combined with the metaphor of mind, emotion words, and overflowing imagination, it amounted to the eruption of pathos unique to the poetry of Liberation period. Summarized in the usage of rough language distant from refined language, passionate atmosphere, and poems of the streets, the characteristics of poems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were closely related to the expressive characteristics examined in the present study. The poems of Liberation period got to hold a suggestive place in the history of contemporary Korean poetry as the period when the poetic energy erupted in the hottest fashion.

      • KCI등재

        해방기 시에 기입된 횡단의 흔적들

        신지연(Shin, Ji-yeon) 한국근대문학회 2015 한국근대문학연구 Vol.16 No.2

        이 논문은 해방기의 남과 북이 완전히 갈라지지 않은 ‘아직 하나의 공동체’였다는 점, 그리고 교류와 소통의 문이 열려 있었다는 점에 집중하여 이념적 · 공간적 횡단의 흔적과 징후를 텍스트 차원에서 검토하려는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1946년 4월 서울에서 발간된 해방기념시집 『횃불』의 성격을 검토하고 이 시집에 수록된 몇 편의 텍스트들이 그 창작자들의 월북과 함께 삼팔선을 넘어 어떤 의미 변경의 운명을 겪게 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프로문맹에 의해 기획된 해방기념시집 『횃불』은, ‘이미 온 해방’을 기뻐하기보다 ‘앞으로 또 한 번 맞아야 할 해방’을 꿈꾸는 성격이 강한 합동시집이었다. 시선은 미래로, 또한 삼팔선 이북으로 향하고 있었으며, 그런 점에서 실질적으로는 ‘해방기념시집’이라기보다 ‘해방기원시집’에 가까웠다. 그러나 시집이 나올 즈음 그 이념적 지향을 조직적으로 추동할 수 있는 기반이었던 프로문맹은 문건이 주도하는 ‘조선문학(가)동맹’으로 통합되고 말았고, 참여시인 중 박세영, 박석정 두 명은 월북하여 북조선예술총연맹의 창립을 함께 하게 된다. 『횃불』에 실린 이 두 시인의 시는 북예맹이 발족된 후 얼마 지나지 않아 발간된 ‘8.15 해방 1주년 기념시집’『거류』에 재수록되는데, 박세영의 시 「위원회 가는 길」과 「산천에 묻노라」는 수용공간이 남→북으로 옮겨감으로써 의미의 결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보여주는 작품이었다. 해방후 진정한 해방을 ‘다시 맞기 위한’ 결의를 다지는 남반부의 시집 『횃불』과 달리, 북반부의 거류는 새 나라 ‘민주조선’에 대한 벅찬 감격과 환희로 가득한 시집이었다. 이남의 현실을 배경으로 이남의 인민을 일차독자로 삼아 씌어진 박세영의 시들은 『거류』의 전반적인 정조 속에서 불균질함을 노출하였다. 이남에서 발표된 적은 없지만, 이남에서 창작되어『거류』에 실린 「그치라 요녀(妖女)의 소리」도 시 속에 사용된 어휘의 이질성에 의해 창작공간과 발표공간의 불일치를 표나게 드러내는 텍스트였다. 삼팔선을 건너며 이 시들에 발생한 의미의 불확정성은 이후 시선집 편찬, 문학사 서술, 작품 개작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literary texts that were written and published in South Korea at the Liberation period and then republished in North Korea across 38th parallel line. Especially, I focused on Park Se-young"s poems contained in both anthology, a Torch published in Seoul at April 1946 and the Grand stream published in Pyeongyang at August 1946. The theme of these poems written in chaotic South Korea was the intense aspiration toward the perfect liberation for all Korean People including laborers and farmers. It was very alien to the North Korea"s enviroment and was odd among the other poems in the Grand stream, which was full of delight. Consequently, this peculiarity made the original meaning obscure and has influenced on literary-historical appraisals about these poems.

      • KCI등재후보

        일제 식민지기 남성의 ‘여성해방’ 담론 소비 방식

        정일영(Jeong, Il-Yeong) 역사학연구소 2017 역사연구 Vol.- No.32

        1920년대 이후 식민지 조선에서는 제한적이나마 신문과 잡지 등 새로운 ‘담론의 장’이 등장했다. 이 공간 안에서 수많은 문제들이 논의되었는데, 여성해방 담론도 중요한 사회문제로 다루어졌다. 이 논문에서는 남성들이 생산한 여성해방 담론의 구성 및 작동 방식에 주목한다. 이 시기 남성 지식인들은 여성해방 담론을 시대의 유행으로서 소비하면서도, 은연중에 여성해방에 대한 두려움이나 거부감을 드러내며 여성해방 담론을 교묘히 사회의 주요 이슈에서 밀쳐내고 있었다. 특히 남성들은 ‘해방’이라는 단어에 자신들의 기득권을 위협하는 급진성을 느낄 수밖에 없었다. 1920년대 잡지에 게재된 여성해방을 다룬 남성들의 글을 보면, 이러한 급진성에 대한 본능적인 두려움이 드러난다. 잡지에 글을 투고한 식민지 남성 지식인들은 아직 도래하지도 않은 여성해방의 부작용부터 걱정했다. 특히 그들은 ‘조선의 여성해방’에 부정적이었다. 조선의 여성해방을 대하는 그들의 논리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하나는 조선에는 아직 이르다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해방을 논하기 전에 능력을 갖추어야 한다는 논리였다. 이 논리 속에서는 당시 사상적으로 격렬히 대립하던 좌우의 대립을 찾아볼 수 없었다. 이러한 여성해방에 대한 거부감은 잡지의 구성과 내용의 배치를 살펴보면 더욱 노골적으로 드러난다. 그것은 단순한 거부감이 아니라 전략적인 배제였다. 보통 풍자와 농담은 약자의 전략으로 간주되지만, 적어도 이 주제에 한해서는 강자의 무기로 작동했다. 잡지 속에서 심각하게 여성해방을 논하던 글의 바로 뒤에 여성을 비하하는 농담이 붙어서 여성해방 담론을 하찮은 것으로 만들었다. 그뿐 아니라 여성을 주제로 삼은 특집 기사의 배치나 구성도 마찬가지였다. 즉, 식민지기 남성 지식인들은 잡지라는 담론의 장을 전략적으로 이용하여 여성해방 담론을 신변잡기적인 것으로 격하시켰던 것이다. 이러한 담론의 작동 방식을 미시적으로 살펴보면, 이는 당시 남성 지식인의 한계가 아니라 전략이었다고 봐야한다. Since 1920’s, new ‘discourse spheres’ appeared restrictively in Japanese colonial period, for example, newspapers and magazines, etc. Women’s liberation was discussed in these discourse sphere in common with other social issues. This paper focuses on discourses of women’s liberation that were made by men and also gives attention to way of the discourses’ composition and working. Korean male intellectuals consumed the discourses as the trend but they also reveal their fear or repulsion behind the scene. Especially, they became aware some radicality at the word, ‘liberation’. Some writings in the magazines exposed their fear and repulsion in 1920’s. Korean male intellectuals worried about side effect of women’s liberation that was not be realized. Particularly, their opinion about ‘Korean women’s liberation’ was negative. There were two logic in their insistence. The first logic was that women’s liberation was premature in Korea, and the other was that Korean women had to have ability before they demanded the liberation. When we examine the magazines in 1920’s, their repulsion is exposed plainly. It was not just repulsion but strategical exclusion. Commonly, satire and joke is regarded as a strategic of the weak. In this situation, however, satire and joke was a weapon of the strong. Satire and joke was attached to some articles which were dealing with women’s liberation in the magazines and they belittled women’s liberation skillfully. Not only that the magazines’ editing was the same. In other words, Korean male intellectuals used the magazines strategically to degrade the discourses of women’s liberation. This was not their limitation but their strategy.

      • KCI등재

        해방시의 존재적 상황에 관한 출현 연구 -알랭바디우의 존재론을 중심으로-

        권성훈 동아인문학회 2019 동아인문학 Vol.46 No.-

        This essay focused on the tendency and poetic orientation of the poetry at that time by exploring the aspect of individualistic consciousness as a liberation poet who could express his voice in liberation in the ubiquity of various political ideologies and ideologie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Bilateral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esearch on the time before the liberation of the Japanese colonial era and immediately after the liberation has also been accumulated and shows a versatile history of era poetry literature. Politics and ideals such as ethnicity, tradition, inter-Korean, inheritance, performance, construction, etc. as a quest for the memory and testimony of the author who appeared in the liberation memorial poetry in many of the preceding studies are working significantly in the free space It is analyzing that. This article is also due to an extension of research at the time of release in that it actively accepts literary outcomes and poetic achievements at the time of release like the previous research. However, it was not a political ideology at the time of the text but as an ontological point that ignited with the appearance of liberation while viewing aesthetically. At that time it was regarded as existing in a fundamental sense at the time of release that appeared in situations leading to liberating space from the Japanese colonial era of mixed species and chaos. The poetic development at the time of liberation that appeared here with release was divided according to the character of this article into major literature trends of traditional sake, life principle, realistic, etc. Alain Badio u(1937~ ) is ontology We tried to observe in the direction of extrusion, peculiar as the phenomenon “transcendence and intrinsic” as argued with appearance. This is the point that Alain Badio u's ontological argument is more suitable than anything to penetrate the text when interpreting in the situation of 'emergence' when releasing with research method. The text which I noted in this paper is not the idea and the camp but the universal poetic recognition and tendency that appeared at the time of liberation was analyzed separately into traditional sake, life principle, realistic series. For example, at the time of “traditional poet”, it was used as the founder poet, at the time of Hangul activities, word sentences, ethnic education Lee Byeonggi(1891~1968), Lee Geukro(1893~1978), Lee Hou(1912~1970) under normal circumstances, “life principle poet”, seeking for human mental and life trends, It was oriented toward the inner side of existence of human beings, Saengmyeongpa and Cheongrokpa, as for the protruding situation through the poems of Jeong Jiyong(1902~1950), Park Dujin(1916~1998) and Cho Jihun(1920~1968), “realistic poet” poems of Hong Myeonghui(1888~1968), Park Seyeong(1902~1989) and Park Aji(1907~1953), which symbolize the dark reality of the people after the collapse of the Kaf, specific situations were discussed. 이 글은 일제강점기 다양한 정치적 이념과 사상들의 편재 속에서 해방을 맞아 한목소리를 담을 수 있었던 해방시 시의식을 탐구하면서 시단의 경향과 시적 지향을 존재적 관점에서 주목하였다. 여기서 해방과 함께 출현한 해방시의 시적 전개를 이 글의 성격에 맞게 전통주의, 생명주의, 현실주의 등 주요 문학 경향으로 구분하고, 알랭바디우(1937~ )가 존재론의 출현에서 주장한 ‘초월과 내재’ 현상으로서 정상, 돌출, 특이의 방향으로 관찰하였다. 논고는 선행연구와 같이 해방시를 문학적 성과와 시적 성취를 적극적으로 수용한다는 점에서 해방시 연구의 연장선에서 기인한다. 그렇지만 텍스트 시를 정치적 이데올로기가 아닌 심미적으로 바라보면서 해방의 출현으로 발화된 존재론적 입장으로 밝혔다. 당시 혼종과 혼돈이라는 일제강점기에서 해방공간으로 이어지는 상황 속에 출현한 해방시는 근원적인 의미에서 존재하는 것으로 보았다. 이때 해방과 함께 출현한 해방시의 시적 전개를 이 글의 성격에 맞게 전통주의, 생명주의, 현실주의 등 주요 문학 경향으로 구분하고, 알랭바디우가 존재론에서 출현과 함께 주장한 ‘초월과 내재’ 현상으로서 정상, 돌출, 특이의 방향으로 관찰했다. 이와 같이 연구방법에서 개진할 해방시를 ‘출현’이라는 상황으로 해석할 때 알랭바디우의 존재론적 논의가 텍스트를 관통하는데 무엇보다 적합하다는 점이다. 이처럼 본고에서 주목한 텍스트는 진영과 이념보다는 해방시에 나타난 보편적인 시적 인식과 경향으로서 전통주의, 생명주의, 현실주의 계열로 분리하고 분석하였다. 가령 ‘전통주의 시’에서는 시조시인으로서 한글 활동, 어문운동, 민족교육을 했던 이병기(1891~1968), 이극로(1893~1978), 이호우(1912~1970)의 시를 통해 정상적 상황에 대하여, ‘생명주의 시’에서는 인간의 정신적・생명적 경향을 추구, 인간 존재의 실존적인 내면을 지향했던 생명파와 청록파였던 정지용(1902~1950), 박두진(1916~1998), 조지훈(1920~1968)의 시를 통해 돌출적 상황에 대하여, ‘현실주의 시’에서는 식민지현실에서 카프 해산 후 민족의 암담한 현실을 형상화하며 민중들의 보편적 열망과 이상을 노래였던 홍명희(1888~1968), 박세영(1902~1989), 박아지(1907~1953)의 시를 통해 특이적 상황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KCI등재후보

        해방기 염상섭의 시대감각 연구- 해방기(1946~1949) 염상섭 단편소설을 중심으로

        박수빈 돈암어문학회 2017 돈암어문학 Vol.32 No.-

        In this article, I will examine how Yeom Sang Yeop perceived and signified this period through his short story. Before liberation, for ten years, he stopped writing as a writer, and during this time, he encountered liberation. As a writer and as an individual who underwent the colonial period, who was a realist who always wrote pieces inquiring into chronological problems of liberation period, it was a serious and a crucial moment for him. He depicted the meaning of national liberation through narration of paternal recovery. After liberation, he focused on the changed status of Joseon people and depicted the people who were placed in a situation where they had to choose their own ethnic identity. In the process of recovering from the past of colonization, he intactly depicted the chaos of liberation in his perspective. There is a twofold narration about Japan and Japanese people in his work. Japan (Japanese people) is ethnically the target of revenge in Joseon; however, in the sense of establishing the identity of Joseon people, they stanchly performed a role as a mirror. Since his story is meaningful in authentically emphasizing individuals, when signifying liberation, he focuses on the authority and detailed emotions that individuals acquire, which is the development of emotions and behaviors. Rather than to concentrate on ethnical⦁political signification, he focuses on the essential problems of people. In particular, if you look at his series, 「ihap」(1948)-「jaesaeng」(1948) even after liberation, everything is decided based on the different ideologies and logic behind politics, meaning that the situation between North and South are virtually the same as it was before liberation. So, aside from ideology, it comes to the conclusion that we all are victims in this historical reality. Yeom Sang Seop, as a writer who looks at this period by putting the problems of life in front, focused to realistically depict how people found themselves by encountering intense social chaos during liberation. In this process, ideology was put aside; however, the aspects of these people fully show realistic narrative attitude as well as the sensation of the marginal man, Yeom Sang Seop. 본고는 해방기 염상섭이 창작한 단편소설을 통해 그가 이 시기를 어떻게 인식하고 의미화 하였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그는 해방 전 10년간 작가로서는 절필상태에 있다가 해방을 맞이하였다. 항상 시대적 문제에 천착하여 작품을 썼던 리얼리스트 염상섭에게 있어 해방은 작가로서, 그리고 식민지기를 겪어낸 개인으로서 중대하고 결정적인 사건이었다. 염상섭은 민족해방의 의미를 부권회복의 서사를 통해 작품에 그려냈다. 특히 해방 후 달라진 조선인의 위상에 주목했고, 민족적 정체성을 스스로 선택해야 하는 상황에 놓인 인물을 그렸다. 이러한 식민지배의 과거를 회복하는 과정에는 그가 바라보는 해방기의 혼란상이 고스란히 담겼다. 염상섭은 일본과 일본인에 대한 서술을 통해 이중적 시선을 드러내기도 한다. 그의 소설 속에서 일본(인)은 해방기 조선에 민족적으로는 복수의 대상이면서도 조선인의 정체성 확립에 있어서 충실한 거울 역할을 하는 존재로 그려진다. 진정한 개인을 부각시키는 데에 염상섭 소설이 갖는 의미가 있기에 ‘해방’을 의미화 하는 데 있어서도 염상섭이 주목하는 것은 인간 개개인이 갖는 권력욕을 비롯한 세세한 감정, 그 감정과 행동의 추이 같은 것이다. 작품을 통해 민족적·정치적 의미화에 주력하기보다는 인간 본연의 문제에 집중하는 것이다. 특히 「이합」(1948)-「재회」(1948) 연작을 보면 해방 이후에도 서로 다른 이념과 정치논리에 따라 모든 것이 결정되고 평가되는 남과 북의 상황은 사실상 해방 이전과 다를 바가 없고, 이러한 역사적 현실 속에서 사상과 이념을 떠나 우리 모두가 결국 피해자라는 결론에 이른다. 생활의 문제를 전면에 내세워 시대를 바라보는 작가 염상섭은 해방기에도 극심한 사회적 혼란과 부딪히면서 자신을 찾아가는 사람들의 모습을 지극히 현실적으로 그려내는 데 주력했다. 그 과정에서 이데올로기는 뒤로 밀려났으나 이러한 생활인들의 면모는 리얼리즘적 시각과 함께 경계인 염상섭의 시대감각을 잘 보여주고 있다.

      • KCI등재

        해방10년, 보수주의문학의 역사와 논리

        이봉범(Lee Bong-beom) 한국근대문학회 2010 한국근대문학연구 Vol.11 No.2

        This thesis aims to go to the bottom of the history and the theology of liberation decade - conservatism literature from the point of institutional history. The year, 1996 is the inflection point about understanding history before and after the liberation, which is the point of view has been changed or intersected from empirical liberation to historical liberation. That’s why the liberation decade has been set as the unit. History and argument about 8.15liberation on journalism generally have a character to introspect liberation decade history as deformed and failure liberation and try to find out the second liberation. Regarding the point of literature, the Korean Writer Association Orthodox which led literary circles after liberation with this was agitated to monopolize the history of the liberation decade literature, which made a significant difference and rapture on submitted literary history as this production. This rapture was collected as the crisis of pure literature. Liberation decade conservatism literature has been bisected with converted place as its starting point. The literary history as conversion has four meanings. First, it was the innovative point to complete literary subjugation, forcing acculturation of literary subjects institutionally. Second, it caused literary dynamic structural changes. Third, it detonated the hegemony combat of the conservative powers which have cultural leadership complicatedly. Fourth, decisively, literary core subjects which were placed after liberation were distorted and collapsed. While conservatism literature, especially Korea Writer Association Orthodox was holding the power for all the literature, this process aimed to confirm the justice and power of its literature line, pure literature. After that, the history of conservative literature was the endless continuity of building boundary and expanding the territories. Literature / non- literature, that is the way to preserve the justice of pure literature, dividing into pure literature (right literature) and non-pure literature (wrong literature). Therefore, it had created non-pure literature endlessly, which was the way to adhere to pure literature through excluding the objection. 이 논문은 제도사의 관점에서 해방10년 보수주의문학의 역사와 논리를 규명하는데 주안점을 두고 있다. 해방10년을 단위로 설정한 것은 1955년이 해방 및 해방 후 역사에 대한 인식의 한 변곡점, 즉 경험으로서의 해방에서 역사로서의 해방으로 그 관점이 교차 내지 전환되었기 때문이다. 저널리즘의 8·15해방에 대한 역사화와 논조는 대체로 해방10년사를 불구의 해방, 실패한 해방으로 성찰하고 제2의 해방을 모색하는 특징을 보인다. 문학의 차원에서는 이와 더불어 해방 후 문단을 주도해온 문단주체세력(문협정통파)이 해방10년 문학사를 전유하고자 한 욕망이 비등했는데, 그 산물로 제출된 해방10년 문단사에는 많이 차이와 균열이 나타난다. 그 균열은 순수문학론의 위기로 수렴된다. 해방10년 보수주의문학의 역사는 전향공간을 기점으로 양분된다. 전향의 문학사적 의미는 첫째, 문학주체의 변용을 제도적으로 강제함으로써 문학적 사상 평정이 완성되는 결정적 계기였고 둘째, 문학적 역학의 구조변동을 야기했으며 셋째, 문화 주도권을 둘러싼 보수주의세력의 헤게모니투쟁을 복잡다단하게 촉발시켰으며 넷째, 해방 후 제기되었던 문학의 핵심 의제들이 결정적으로 왜곡, 와해된다. 그 과정은 보수주의문학, 특히 문협정통파가 문학 장 전반을 장악하는 가운데 그들의 문학노선인 순수문학론의 문학적 정당성과 권위를 확증하는 것이었다. 이후 보수주의문학의 역사는 끊임없는 ‘경계 짓고 영토화하기’의 연속이었다. 문학/비문학, 즉 순수문학(옳은 문학)/비순수문학(틀린 문학)으로 분할해 순수문학의 정당성을 보존하는 방식이었다. 따라서 그것은 비순수문학이란 타자를 끊임없이 창출해내고 이의 배제를 통해 순수문학의 원칙을 고수하는 과정일 수밖에 없었다. 순수문학/통속문학(1950년대), 순수문학/참여문학(1960년대), 순수문학/민족(민중)문학 및 상업주의문학(1970년대) 등 적어도 1970년대까지 보수주의문학은 이전략으로 일관한다. 그것은 다양한 문학적 가능성을 억제하고 스스로를 순수문학의 성채에 가둔 왜곡의 역사였다. 중요한 것은 그 역사의 마디마디에 첨예한 쟁점을 담고 있었던 순수문학과 결부된 논쟁들의 합리적 핵심을 파악해 의미화 하는 작업일 것이다.

      • KCI등재

        디아코니아학의 도움으로 “해방신학 유효하게 만들기”

        이범성(Beom-Seong Lee)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20 신학사상 Vol.0 No.190

        60년대에 라틴 아메리카에서 등장한 해방신학은 그 현장성과 역동성에도 불구하고 제도 교회로부터 거절되었다. 그 이유는 기성 권위를 부정하는 마르크스의 ‘계급 투쟁’ 이론을 해방신학이 취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90년대 동구 공산주의의 붕괴로 인하여 사회주의에 연계된 해방신학도 함께 사장될 것 같은 분위기였다. 그러나 해방신학은 세계적인 네트워크를 통해 여전히 활발한 활동을 보여주고 있으며, 해방신학에 대한 사회적 기대 또한 줄어들지 않았다. 교회는 해방신학이 공공연하게 선포한 교회의 표어, “가난한 사람들을 편드는 선택”을 저버리고는 교회가 될 수 없고 교회로서 활동할 수 없다. 그렇다면 이 목적을 수행하는 방법을 ‘계급 투쟁’이 아닌 다른 이론으로 대신할 수는 없는지 우리는 고민 한다. 해방신학의 동기와 목표를 유지한 채 방법을 바꾸려는 것이다. 해방신학의 목표 달성을 위한 사회학적 방법론을 신학적 방법론으로 교체하는 것이다. 우리는 이 글에서 제2차 바티칸 공의회, 메데인 주교회의, 그리고 푸에블라 주교회의에서 형성된 해방신학의 교회적 성격과 특징을 살펴보고, 구티에레즈 같은 해방신학자들이 이루어낸 신학적 공헌을 명료화한다. 그리고 해방신학과 그 영향에 대한 제도 교회의 긍정적이고 부정적인 반응을 <해방신학의 일부 측면에 관한 훈령>과 <그리스도교의 자유와 해방에 관한 훈령>에서 확인한다. 끝으로 마르크스의 ‘계급 투쟁’의 대안으로서 “가난한 사람들을 편드는 선택”으로서 디아코니아학의 ‘기독론’과 ‘구원론’, 장애인 신학의 디아코니아적 ‘교회론’을 제안한다. Liberation theology, which appeared in Latin America in the ‘60s, was rejected by the institutional church despite its realism and dynamics. The reason is that liberation theology is taking Marx’s theory of “class struggle” that denies established authority. In particular, due to the collapse of communism in the Eastern Bloc region in the 1990s, liberation theology linked to socialism was threatened with destruction. However, liberation theology is still activethrough a worldwide network, and social expectations for liberation theology have not declined. The church cannot be a church and act as a church if it abandons the principles proclaimed by liberation theology, the “Preferential Option for the Poor.” If so, we wonder whether the method of accomplishing this purpose can not be replaced with a theory other than ‘class struggle’. We are trying to change the method by maintaining the motivation and goals of liberation theology through this study. It is to replace the sociological methodology for achieving the goal of liberation theology with the theological methodology. In this article, we examine the ecclesiastical nature and characteristics of liberation theology formed in the Second Vatican Council, Medellin and Puebla Episcopal Conferences, and clarify the theological contributions made by liberation theologians such as Gutierrez. In addition, the positive and negative reactions of the institutional church to liberation theology and its influence are confirmed in the <Order on Some Aspects of Liberation Theology> and <The Instruction on Freedom and Liberation of Christianity>. Finally, as an alternative to Marx’s “class struggle,” we propose the “Christianity” and “Salvationism” of Diakonik, and the Diaconian “Ecclesiology” of “the theology of the disabled” as “Preferential Option for the Poor”.

      • KCI등재

        해방기 남북한의 문해정치와 여성독본의 자리 - 박영애의 『여성독본』과 최화성의 『조선여성독본』을 중심으로 -

        임세화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2 人文科學 Vol.- No.85

        해방기 여성들에게 ‘해방’이란 무엇이었을까. 탈식민국가의 여성에게 ‘해방’이란 제국주의와 봉건 가부장제로부터의 “이중적 해방”으로 칭해졌다. 이 글은 해방 이후 ‘다시 해방’되어야 했던 ‘여성해방’ 운동의 특수한 성격과 의미를 해방기 ‘문해정치’와 여성독본을 통해 살펴보았다. 좌우의 이념 대립과 체제 경쟁이 격화되어가는 상황 속에서 남북은 통치의 정당성과 우월성을 확립하고 안정을 꾀하려는 목적 하에 문해정치를 펼치기 시작한다. 해방기 남북의 교육 정책은 외연적으로는 문맹퇴치를 위시한 민족교육, 민주주의, 남녀평등의 민족 사업으로 선언되었지만, 그 근저에는 통치 체제에 대한 인민대중의 지지를 확보하고 이념화를 꾀하려는 목적이 있었다. 문해의 영향력과 여파를 이념 정치의 문제로 해석하는 냉전적 사고는 결과적으로 교육에 대한 조선인들의 열망과 이해관계가 일치하게 되었지만, 남북 교육정책의 출발과 방향성은 조선인들의 이상과는 근본적으로 상이한 것이었다. 조선의 문맹퇴치와 민족교육은 이미 그 출발에서부터 양단의 이질적인 이념성을 내장하고 있었고, 교육의 방향성은 점차로 미국과 소련이라는 두 점령국가의 이념 대결의 성격을 담지하게 되었다. ‘문맹퇴치 운동’ 저간의 이중성에서 드러나듯 남북이 각자의 상이한 목적을 가지고도 동일한 구호 아래 민족운동으로서 문해정치를 펼쳤던 것처럼, ‘여성해방’ 역시 전혀 다른 이념적 목적으로부터 출발했음에도 외연적으로는 동일한 기치와 선언 하에 그 노선이 생성되었다. 남북 모두 여권 신장과 평등 실현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이를 위한 여성문해교육을 정치적으로 전유하는 가운데, 해방기의 여성은 다시 한 번 민족의 ‘정치적 진보성’과 ‘근대성의 정도’를 드러내는 표지로서 작동하게 되었다. 남북 공히 내걸었던 ‘남녀평등의 민주주의 질서 확립’이라는 정책 기조는 각각 자본주의/공산주의 사회로의 재편이라는 점령의 기본 목표를 관철시키는 과정에서 수반되는 정치적 문제 해결과 사회 안정을 꾀하기 위한 것이었다. 여성 권익을 옹호하고 지위를 향상시킨다는 방침은 정책 추진 과정에서 여성의 지지와 참여를 이끌어내고 민주주의 이념의 실체와 효능감을 가시화하는 데에 더 큰 목적이 있었던 것이다. 역사상 여성독본은 당대적 현실, 사상적 변화와 통치 이데올로기, 성 역할을 담지하고 재생산하는 제도적 구성물이자 정치 기획물로 기능해왔다. 박영애의 『여성독본』과 최화성의 『조선여성독본』은 여성 사회주의자가 쓴 여성독본으로서, 근대계몽기 이래 여성에게 이중의 주박이 되었던 ‘독본’이라는 형식을 빌어 역설적으로 ‘여성해방’을 위한 문해를 설파했다. 이 두 권의 독본은 여성이 직접 쓴 ‘해방기 여성의 이상’으로서 해방기 독본류 발행의 경향에서나 여성운동사의 흐름에서 특수한 위상을 점한다. 이들은 특히 ‘경제적 주체’로서 여성이 바로 서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였고, 민족국가 건립과 혁명의 동지로서 소환되는 구도에서 벗어나 여성 스스로 해방의 주체가 되어야 함을 주장했다. 이 두 권의 책은 ‘여성해방’의 포문이 본격적으로 열리던 때에 통치 기획과 냉전 이념, 민족주의, 탈식민, 계몽이 결합되었던 근대여성운동의 상징적 사례이자 실체로서 주목을 요한다. 더불어 오랜 여성운동사에서 미완으로 머물던 이슈들을 현장 ... What did ‘liberation’ mean to Korean women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For the women in post-colonial state, the ‘liberation’ meant the “dual liberation” from imperialism and feudal patriarchy. This article examined the special nature and meaning of the ‘liberation movement’ of Korean women, who had to be ‘liberated again’ after Korea’s liberation from Japanese colonial rule, through “literacy politics” and textbooks for Korean woman women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In the situation where the ideological confrontation and the system competition between the left and the right were escalating, South and North Korea began to carry out literacy politics for the purpose of establishing the legitimacy and superiority of their ruling system and achieving stability. The education policy of the two Koreas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was outwardly declared as a national project for the eradication of illiteracy and the education of democracy and gender equality, but its underlying purpose was to secure public support for their ruling system and to seek for consolidating ideologies. The Cold War mode of thinking that interprets the influence and aftermath of literacy as a matter of ideological politics consequently became consistent with the aspirations of Koreans for education, but the start and direction of the education policy of the two Koreas was fundamentally different from the ideals of the Koreans. From the beginning, illiteracy eradication and national education in Korea already had the nature of extremely heterogeneous ideology, and the direction of the education gradually contained the nature of an ideological confrontation between the two occupying countries of the United States and the Soviet Union. As revealed in the duality of the ‘illiteracy eradication movement’, the two Koreas carried out literacy politics as a national movement under the same slogan despite their different goals. In the same way, the ‘women’s liberation’ also started from a completely different ideological purpose, but outwardly it was carried out under the same slogan and declaration. Both South and North Korea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the extension of women’s rights and the realization of gender equality while using women’s literacy education for political purposes. Therefore, Korean woman in the liberation period once again acted as a mark to reveal the ‘political progressiveness’ and ‘degree of modernity’ of the nation. The purpose of the policy direction to ‘establish a democratic order based on gender equality’, which was put forward by both South and North Korea, was to solve the political problems that occurred in the process of accomplishing the basic goal of the occupation of the two Koreas, namely, reorganizing South and North Korea into a capitalist/Communist society, respectively, and to seek social stability. However, the policy to advocate women’s rights and improve their status had actually served a wider political purpose in drawing women’s support and participation in the policy implementation process and visualizing the reality and efficacy of the democratic ideology. Historically, textbooks for women have functioned as an institutional strategy and a political project that represent and reproduce the reality of the times, ideological changes, ruling ideology, and gender roles. Park Young-ae’s Textbook for Women(女性讀本) and Choi Hwa-sung’s Textbook for Joseon’s Women(朝鮮女性讀本) were written by female socialists, who paradoxically preached literacy for ‘women’s liberation’ using the form of ‘textbooks’, which have been a double shackle for women since the modern enlightenment period. These two textbooks, containing the ‘ideology of women in the liberation period’, were written by women themselves, and hold a special position in the trend of textbook publication in the liberation period or in the history of women’s liberation mov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