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접경(Contact Zones)의 연쇄로서 해방 공간과 허위와 무위의 영화적 공간

        전우형(Chon, Woo Hyung) 동악어문학회 2018 동악어문학 Vol.75 No.-

        이 연구는 해방 공간의 한국영화사에서 가장 문제적인 인물로 꼽히는 최인규와 그의 작품 <자유만세>, <죄 없는 죄인>, <독립전야>에 내재하는 미완의 상태가 해방 이후 한국사회가 직면한 ‘접경’(Contact Zones)의 연쇄에 관한 영화적 표상임을 규명하고자 했다. 이러한 접근은 우선 해방 직후 최인규의 영화를 분석하고 해석하는 기존의 많은 논의들이 작품의 결핍을 주목하지 않은 채 그의 영화들을 해방 이후 한국영화의 기원이나 정전으로 호명하는 한계를 극복하기 위함이다. 아울러 이러한 미완 상태가 단순히 한국사회의 혼란이나 제작 환경의 곤궁함으로부터 기인한 것으로 주변화하는 시각을 경계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았다. 이 연구에서 주로 다루고 있는 텍스트는 최인규의 ‘광복영화’ 3부작 중에서 필름으로 남아있는 <자유만세>와 <독립전야>이다. 두 텍스트는 해방 이후 그의 영화에 대한 평가에 자주 등장하는 한국영화의 새로운 기원이라는 호명이 은폐하고 있는 미완의 상태를 확인하게 하고, 그것의 원인이 어디에 있는지를 잘 보여준다. 이를 통해 최인규의 해방 이후 영화는 후기 식민주의의 현상으로, 그리고 해방 공간의 한국사회가 맞닥뜨린 접경의 문화적 재현으로, 결국에는 민족국가 건설의 수행적 실천이 빚어낸 영화의 균열로서 의미 이동이 발생했다. 해방 공간의 미군정과 단정은 정치적 주체 사이의 갈등과 경제적 주체 사이의 불평등을 야기했다. <자유만세>와 <독립전야>의 숱한 미완의 흔적과 해방 직전의 서사화 등은 해방 공간의 후기 식민지성과 함께 민족국가 건설의 수행적 실천으로서 영화의 재현 불가능성을 증명하는 영화적 의장이었다. 두 작품의 영화적 공간은 동일성을 강요하는 해방 공간의 허위(hypocrisy)를 드러내고 이를 무위(inoperativeness)로 대응하는 데에서 접경성을 드러낸다. <독립전야>의 노골적인 미완상태와 텅 빈 기호를 자처하는 엔딩은 해방-미군정-단정으로 이어지는 접경의 연쇄가 전시하는 해방 공간의 위선과 무기력에 관해 최인규가 남긴 최초의 증언으로서 의미가 있다. This research explored to identify the unfavorable condition inherent in Hurrah! Freedom (1946), Sinless Sinner (1948) and Night Before Independence (1948) of that the works of Choi In-gyu, who one of the most problematic characters in the Korean film history of liberation space, as a cinematic representation of the chain of “Contact Zones” that Korean society faced after liberation. This approach is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naming Korean movies after the release of Korean films, without paying attention to the lack of works, in many existing discussions analyzing and interpreting Choi In-gyu"s movies shortly after liberation. In addition, this approach is to stop that this unfinished state was regarded as merging from merely the confusion of Korean society and the poverty of the production environment. The texts mainly covered in this study are the films Hurrah! Freedom and Night Before Independence, which are among the three trilogy of Choi In-gyu"s ‘liberation film’. Both texts identify the unfinished state concealed by the call of the new origin of Korean cinema, which often appears in the evaluation of his film after liberation, and shows where its cause is. Through this, after the liberation of Choi In-gyu, the film became a phenomenon of post-colonialism and the cultural representation of the contact zones Korean society faced by liberation space, resulting in a semantic shift as a crack in the film caused by the practice of nation state construction. The US military affairs and sole government in liberation space have a character of contact zones as a prototype of conflict between political subjects and radical inequality between economic subjects. The traces of the unfinished and the pre liberation stories of Hurrah! Freedom and Night Before Independence are a cinematic appratus that proves the impossibility of reproducing the film as a practical practice of the nation state construction together with the later colonization of liberation space. Moreover, the unfavorable unfinished state of the Night Before Independence and the empty sign in the ending are meaningful as the first testimony of Choi In-gyu on the reduction and closure of the cinematic space where the chain of contact zones leading to liberation-US military affairs-sole government accelerates.

      • KCI등재

        〈오발탄〉, 〈박서방〉, 〈혈맥〉의 스타일적 차이에 따른 해방촌 재현의 의미

        홍진혁(Hong, Jin-Hyuk) 동국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2017 씨네포럼 Vol.0 No.26

        본 연구는 1960년대 세 편의 가족드라마 〈오발탄〉(유현목, 1961), 〈박서방〉(강대진 1960), 〈혈맥〉(1963, 김수용)의 공통적인 배경인 해방촌에 초점을 맞추어 현실 공간이 영화 속에서 어떻게 재현되고 있는지 이를 스타일과 결부지어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는 영화 스타일을 통한 재현을 현실 공간에 대한 당대의 인식이자 하나의 담론 형성과정으로 보고 그 의미를 읽어내려는 작업이다. 각 영화의 인물과 해방촌과의 관계를 도식화해보면, 〈오발탄〉의 해방촌 공간은 중심인물이 끊임없이 달아나려고 시도하는 일종의 원심력 관계에 있다면, 다른 두 편 〈박서방〉, 〈혈맥〉은 그러한 공간을 통해서 가족이 화합하는 장으로 기능하는 일종의 구심력 관계에 놓여있다고 할 수 있다. 〈오발탄〉은 중심인물이 해방촌의 집으로 들어오는 장면을 의도적으로 배제한다. 이는 반복적인 쇼트 구성과 쇼트들의 조형적 일치를 통해 인물과 공간의 관계를 스타일에 새겨놓은 것이다. 〈박서방〉은 분절된 쇼트와 프레이밍을 통해 전근대와 근대의 공간을 나누어 제시한다. 이와 함께 중심인물이 근대의 공간에서 겪은 불편함과 갈등을 해방촌 공간에서 해소시키는 것으로 구성함으로써 해방촌을 고정된 삶의 터전으로 묘사한다. 〈혈맥〉은 항상 와이드 한 앵글을 통해 후경의 도시 공간과 함께 해방촌을 위치시키고, 여기에 움직임이 많은 카메라 워킹으로 해방촌 공간에 활력을 부여한다. 엔딩 쇼트는 이러한 스타일적 규범을 압축한 핵심적인 쇼트로 도약을 위한 활기찬 전통의 공간으로서의 해방촌을 묘사한다. 이는 영화의 재현이 그 자체로 이데올로기적인 것이며, 동일한 공간을 각기 다른 방식으로 묘사하는 영화 스타일은, 프레드릭 제임슨이 말을 빌자면, 미적 형식이나 서사 형식의 생산 역시 해결 불가능한 사회적 모순들에 상상적 또는 형식적 해결들을 제공하는 기능을 지닌, 그 자체로 이데올로기적인 행위임을 말해주는 것이다. This study focuses on Hea Bang Chon, the same narrative space of three films, Aimless Bullet, Mr. Park , Bloodlin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tyle of how real space is represented in film as narrative space. It is to regard the representation through film style as the perception of the contemporary. It is a process of forming a discourse and reading the meaning of i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s of each film and Hea Bang Chon space is as follows. The Hea Bang Chon space of Aimless Bullet is in a centrifugal relationship in which the person tries to escape constantly. In contrast to this, Mr. Park, Bloodline function as a place where family is harmonized through the Hea Bang Chon. This can be said to be a kind of centripetal relationship. Aimless Bullet intentionally excludes the scene where a character enters a house of Hea Bang Chon. It is a style that embodies the relationship of characters and spaces through repetitive shot set up and the visual match of the shorts. Mr. Park divides pre-modern and modern space through segmented shot and framing. In addition, it consists of resolving the discomfort and conflict experienced in the modern space in the Hea Bang Chon. This depicts the Hea Bang Chon as a stable living space. The Bloodline always places the Hea Bang Chon with a background of urban space through a wide angle. It gives the Hea Bang Chon a revitalization by using motion-intensive camera walking. Ending shot is a key shot that compresses this stylistic norm. The Hea Bang Chon is portrayed as a lively traditional space for the development. From this perspective, According to Fredric Jameson, ideology is not something which informs or invests symbolic production; rather the aesthetic act is itself ideological, and the production of aesthetic or narrative form is to be seen as an ideological act in its own right, with the function of inventing imaginary or formal solutions to unresolvable social contradictions.

      • KCI등재후보

        해방공간기 무용교육연구

        유미희 한국무용기록학회 2007 무용역사기록학 Vol.13 No.-

        본고는 해방공간기(1945년 8.15해방~1950년 6.25발발 이전)의 무용교육과 그 활동상황을 고찰함으로써 한국무용교육의 역사적 위상과 동향을 새로이 인식하고 향후 무용교육 발전방안 모색의 단초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해방공간은 우리 역사에 있어서 정치적 혼란 속에 각 분야에서 다양한 활동이 펼쳐진 시기로 민족의 해방을 기점으로 주체성 찾기에 여념이 없었으며 그 과정에서 혼돈과 반목을 거듭하면서 새로운 진로 모색에 집중한 시기였다고 할 수 있다. 무용의 역사에 있어서도 해방공간기는 시대적 변화와 조류에 편승하면서 현대 무용교육의 토대를 마련한 중요한 시기라 할 수 있다. 이에 본고는 이론적 배경으로서 해방공간의 사회 문화적 흐름과 교육계 동향을 살펴보고 무용에 있어서의 조직체를 중심으로 무용인들의 일반적 활동사항을 고찰한 후 그 속에서 전개되었던 무용교육의 흐름을 통해 해방공간기의 무용교육의 특징과 의의를 결론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연구방법은 평전, 신문, 잡지, 서적 등 문헌연구를 중심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해방공간기 무용교육의 특징은 '새교육'이라고 하는 미국의 신사조 열풍속에서 아동의 창의력과 개성에 입각한 교육 방법을 추구하고 있었으며 창작무용은 이러한 시대적 요구를 잘 반영하는 교육적 형태 중 하나였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조선교육무용연구소를 중심으로 전개된 교육활동은 해방공간기의 무용교육의 형태와 그 의의를 구체적으로 예시하고 있는 대표적 형태이며 이는 다음과 같다. 첫째, 춤 아카데미의 산실로서 네 개의 분과에 따른 다양한 교과과정의 배정, 이론과 실기를 분리한 교육내용으로 무용에 있어서 체계적인 교육과정을 전수했다고 할 수 있다. 둘째, 리드믹(rhythmic) 율동에 기초하여 감정과 연관된 신체운동의 조화를 꾀한 유리드믹의 훈련방법으로 개인의 내적감정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는 창작무용교육의 기틀을 제시했다는 점이다. 셋째, 무교추의(무용교과독립추진위원회)의 최초의 형태이며 무용교육인력을 배출했다고 할 수 있다. 무용교육을 목적으로 조직된 최초의 단체라는 점과 함귀봉을 비롯한 조선교육무용연구소의 활동뿐 아니라 김세택, 이병위 등을 통해 보급된 교육무용은 '신교육'이라고 하는 시대적 요구에 잘 부합되면서 개인의 자발성과 창의성을 중심으로 하는 새로운 교육방식의 하나로 전개되었다. 이 모든 움직임은 각종 강습회를 통해 교육무용을 지도할 교사의 배출을 가능케 했을 뿐 아니라 발표회와 예술제를 통해 교육 무용을 선보임으로써 무용에 대한 인식 전환과 대중화에 일조를 했다는데 그 의의가 크다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examines the dance education during the Post-Liberation Period in Korea (from the end of WWII up to the beginning of the Korean War: August 15, 1945 ~ June 25, 1950), which corresponded with radical changes in contemporary socio-political circumstances. By doing so, this paper further aims to understand the status and trend in dance education in Korea and make suggestions for future dance education. First, I will examine the trend in socio-cultural and educational arenas during the Post-Liberation Period and then, focusing on the organizational activities regarding dance, explore the activities performed by dancers in general; by considering the educational trend in such activities, I attempted to present major features and significance of the dance education during the Post-Liberation Period. The research has been mostly based on philological sources including biographies, newspapers, magazines, books, etc. From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the most conspicuous feature of the dance education during the Post-Liberation Period turned out to be a methodology to develop the creativity and personality of every individual child, which had been greatly influence by the so-called 'new education'-a newly adopted trend from America at the time. Creative dance was one of the educational forms that well reflected such demands of the Age. In particular, the educational activities exercised by Choseon Educational Dance Institute illustrate the forms and meanings of the dance education during the Post. Liberation Period as follows: First, diversity in curriculum divided by four separate departments and separation of theory from practice suggest that the Institute had a systematic curriculum for dance education. Second, the Institute utilized the urhythmic training method based on rhythmic movements, which aimed at physical exercise balanced with feeling, and therefore it paved the way for the creative dance education in the future where individuals' inner feelings can be freely articulated. Third, the Institute became a predecessor of the Committee for Promoting Dance as Separate Academic Subject and nurtured a number of professional dance educators. The first organization aiming at dance education and the educational dance popularized by Gui-bong Hahm, Sae-taek Kim, and Byongwi Lee satisfied the demands of the new education and was developed as a new educational methodology that centers on one's spontaneity and creativity. Through dance classes, presentations, and art festivals, the dance education during the post-liberation Period was able to produce more instructors to participate in the educational dance; and further, by insisting that dance be approved as a separate subject in the academic curriculum, it contributed to raising public awareness about dance and promoting its importance as a formal academic subject.

      • KCI등재

        해방기 시의 공간 표상 방식 연구

        장만호(Jang Man-ho) 韓國批評文學會 2011 批評文學 Vol.- No.39

        이 글은 해방기 시에 형상화된 공간의 양상을 고찰하여 해방기 시문학에 나타나는 공간 표상을 살피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당대의 현실 상황이 시적 주체의 인식과 상상력을 통해 어떻게 변용되는가를 살펴보고자 한 것이 이 논문의 목적이다. 해방공간의 서울은 식민지 시기의 ‘경성’이 지녔던 식민성을 재삼 확인하는 공간이며, 새로운 역사와 국가를 정립해야 하는 시발점으로 인식되었다. 대표적으로 오장환과 임화는 ‘서울’을 과거의 삶에 대한 반성과 ‘다가올 미래’에 대한 실천적 의지의 장으로 표상한다. 그러나 이후 다른 시인들의 시에서 서울은 구체적 공간성을 상실하고 ‘사건’이 발생한 ‘현장’으로 등장하거나 해방된 조선의 당대 현실을 제유하는 것으로 표현된다. 서울이라는 ‘해방기의 중심 공간’은 그 실감과 구체성을 상실하고 사건의 배경으로 등장하거나 하나의 관념적인 대상으로 성립되는 것이다. 서울이라는 공간이 시적 주체들이 삶을 영위하고 사회 · 정치 제도의 변화에 직간접적으로 관여하는 실제적인 공간이었다면 아시아, 소련, 미국 등의 공간은 일정 부분 지리학 및 언론 매체를 통해 습득한 간접 지식을 바탕으로 형상화된 ‘상상’의 공간이라 할 수 있다. 직접 체험하거나 거주하지 못한 장소나 공간을 문학적 대상으로 포섭하고자 할 때 필연적으로 개입되는 것이 시인의 상상력과 그 장소 및 공간의 특징들이다. 이런 점에서 이 공간들은 시적 주체의 상상력과 문화, 문학, 지리, 역사 등 실제 공간에 대한 예비적인 지식과 정치적 지향의 총체라고 할 수 있다. 박인환, 임화, 김기림 등은 아시아, 소련, 미국의 문화적 아이콘들을 호명하고 나열함으로써 해당 국가(공간)을 형상화하고 있는데, 나열의 방식을 통해 공간을 표상한다는 점에서 이 시들의 공간 표상 방식은 다분히 ‘환유적’ 방식에 기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spatial representation in poems by investigating the aspects of space in poems of the liberation period. Through this, it will look into how the reality of the period was transfigured with perception and imagination of the poetic subject.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Seoul was the space where people reconfirmed coloniality once Kyungseong had and had to be the starting point for the establishment of new history and nation. Oh, Jang-hwan and Im, Hwa represented Seoul as the space of self-reflection of the past life and practical will for the coming future. In poems of other poets after them, however, Seoul lost the concrete spatiality and was described as the site of events or as the synecdoche of the liberated Joseon’s reality. Seoul, the central space of the liberation period, lost its reality and concreteness and was appeared as the background of events or became an ideological object. While Seoul was the real space where poetic subjects lived their lives and directly and indirectly related to the change of social and political systems, Asia, the Soviet Unio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were imagined spaces formed with indirect knowledge attained through geography and mass media. When spaces or places where the poet has never been to or lived in were to be included into literary world, the poet's imagination and features of the spaces and places are necessarily intervened. In this respect, these spaces could be called as the whole of poetic subjects’ imagination, preliminary knowledges on real space such as culture, literature, geography and history, and political orientation. Park, In-hwan, Im, Hwa, Kim, Gi-rim embodied those nations(spaces) by calling and listing cultural icons of Asia, the Soviet Union and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In that they represented spaces with enumeration, the way of spatial representation in their poems seems to be relied upon metonymic method.

      • KCI등재

        해방기 오장환 시에 나타난 예세닌 시의 수용 양상 연구

        한세정(Han, Se-Jeong) 한국시학회 2015 한국시학연구 Vol.- No.44

        이 논문은 해방기 오장환 시에 나타난 예세닌 시의 수용 양상을 살피고 그것이 그의 시 세계에 미친 영향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해방 직후 오장환이 번역한『에세-닌 시집』은 해방기 오장환의 시적 모색을 살필 수 있는 중요한 단초를 제공한다. 창작시집보다도 먼저 간행된『에세-닌 시집』은 오장환이 ‘해방기’의 특별한 역사적 인식 아래서 기획적으로 번역한 창작물로 주목된다. ‘러시아 혁명’과 ‘식민지 해방’이라는 역사적 공감대 속에서 오장환에게 예세닌 시는 해방기 시단에 대응될 수 있는 문학적 가능성을 보여준 전범으로서 인식되었을 것으로 예상된다. 오장환 시에 나타난 예세닌 시의 수용 양상은 예세닌 시에서 ‘모스크바’로 표상되는 ‘내 나라’에 대한 인식과 관련되어 나타난다. 오장환은 ‘모스크바’ 표상을 통해 혁명기 러시아 현실에 적극적인 인식을 보여준 예세닌 시의 특징을 수용함으로써 해방 이후 ‘병든 서울’로 표상되는 조선의 현실을 직시하고 성찰하는 태도를 심화한다. 하지만 오장환의 시는 ‘모스크바’가 표상하는 소비에트 러시아의 현실에 부합하지 못하고 절망적 태도를 보이는 예세닌 시와는 달리 ‘병든 서울’이 표상하는 해방 후 현실을 목도하면서 새롭게 나아가야 할 방향성을 모색하는 변별점을 지닌다. 오장환 시에 나타난 또 다른 예세닌 시의 수용 양상은 고향 모티프로 이루어진 시편에서 확인된다. 해방기 오장환은 예세닌의 귀향 시편에 나타난 고향 모티프를 변주하여 ‘돌아가야 할 땅’으로 고향을 환기시키고 이념적 공간으로서 고향의 의미를 변주하고 확장한다. 예세닌 시에서 화자가 돌아온 고향의 현실에 절망하고 있었다면 오장환 시의 화자는 새로운 가능성을 지닌 공간으로서 고향을 인식한다. 오장환의 해방기 시에서 고향은 화자의 이념이 성취될 수 있는 긍정적인 공간으로 제시된다. 오장환은『에세-닌 시집』을 출간함으로써 해방 이후 자신의 문학적 입지점과 시적 전략을 명확히 제시하고 있었으며 예세닌 시를 독자적으로 수용함으로써 시 세계를 확장하는 양상을 보인다. 오장환은 예세닌 시를 통해 ‘지금 여기’에 대한 인식을 심화하는 동시에 그가 비판적으로 평가했던 예세닌 시의 특징을 쇄신함으로써 현실에 대한 적극적인 시적 방법론을 구축한다. 해방기 오장환 시에 나타난 예세닌 시의 수용 양상은 주체적인 관점에서 예세닌 시를 창조적으로 수용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발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cceptance patterns of Esenin’s poems in those of Oh, Jang-Hwan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and their effects on the poetic world of Oh, Jang-Hwan. Esenin’s Collection of Poems, which was translated by Oh, Jang-Hwan, offers important clues to understand his poetic searches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Being published before his collection of creative poems, the Collection attracts attention as a collection of creative works that he translated according to his plan based on the special historical perceptions of Liberation period. He must have taken Esenin’s poems as classics that demonstrated the literary possibilities to respond to the poetical circles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based on the historical consensus of ‘Russian Revolution’ and ‘liberation of colony’. The acceptance patterns of Esenin’s poems in the works of Oh, Jang-Hwan are related to Esenin’s perception of “my country” represented by “Moscow.” By accepting the characteristics of poems of Esenin, who exhibited active perceptions of Russian reality during the Revolution through the representation of “Moscow,” Oh, Jang-Hwan intensified his attitude of facing squarely and looking back on the reality of Joseon represented by “sick Seoul.” His poems are, however, distinguished from those of Esenin, who failed to correspond to the reality of Soviet Russia represented by “Moscow” and showed a desperate attitude, in that he searched for new directionality in the reality represented by “sick Seoul.” Another acceptance pattern of Esenin"s poems in Oh, Jang-Hwan’s works is found in his poems based on the hometown motif. Oh, Jang-Hwan aroused the significance of hometown as “land to return to” by altering the hometown motif in Esenin’s poems about homecoming and also altered and expanded the meanings of hometown as an ideological space. In Esenin’s poems, the speakers get frustrated with the reality of hometown and fail to fuse with it. In Oh, Jang-Hwan’s poems, on the other hand, the speakers perceive the hometown as a space of new possibilities, in which case the hometown is reorganized as a positive space where an ideology can be fulfilled. Oh, Jang-Hwan clearly presented his literary positions and poetic strategies after Liberation by publishing Esenin"s Collection of Poems and showed the pattern of expanding his poetic world by accepting Esenin’s works independently. He deepened his perception of “right now, right here” through Esenin’s poems and established a more active poetic methodology about the reality by renovating the characteristics of Esenin’s poems that he was critical of. The acceptance patterns of Esenin’s poems in the poems of Oh, Jang-Hwan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claim their significance in that he accepted Esenin’s poems in a creative manner from an independent perspective.

      • KCI등재

        해방공간, 장덕조 소설의 젠더화된 인식 고찰 -장편소설 『十字路』를 중심으로-

        김윤서(Kim, Yun-seo) 우리말글학회 2021 우리말 글 Vol.91 No.-

        본고는 해방공간인 1940년대 후반의 새로운 체제와 정비의 역동적이고 거시적인 흐름을 포착할 수 있는 장덕조의 장편소설 『十字路』를 대상으로 여성 이미지의 적확한 고찰과 변혁에 내재된 젠더 탐색에 주목하였다. 이에 본고에서는 장편소설 『十字路』를 발굴하여 장덕조 작가의 작품세계에서 상대적으로 논의가 미진하였던 해방공간의 젠더인식에 주목하였다. 연구 대상인 『十字路』를 통하여 해방공간 장덕조 문학에 내재된 젠더의식의 민감성, 감각성, 모성성의 발견으로 은폐되거나 변용된 부분을 포착, 유동적인 여성 젠더의 서사화를 규명하고자 하였으며, 궁극적으로 해방공간 문학의 지형 확장을 목적으로 한다. 첫째, 『十字路』에서는 주체성의 영역이 봉합되었던 지형을 벗어나 젠더화된 주체의 ‘선택’과 ‘자기 결정권’ 등 적극적인 사고의 이행과정에서 ‘민감성’이 발현된다. 둘째, 오은희․강명자․황금주 등 해방공간 소외된 계층의 성의식(性意識)에서 타자의 욕망을 기표로 하는 ‘감각성’을 확인할 수 있다. 셋째, 『十字路』에서 표출된 ‘모성성’은 은유로서의 모성과 실천행위 규범으로서 근대적 모성이 여성의 새로운 자리매김으로 확대된다. 『十字路』에서 발견된 젠더적 관점의 지속성과 변이의 추출 및 제도 내부에서의 역학관계, 권력화된 제도 간의 배제와 포섭 등 다양한 스펙트럼은 해방공간 장덕조 문학의 젠더적 특성을 이해하는 단초를 제공한다. 이는 해방공간에서 젠더 인식의 변화를 초래하는 복잡다단한 젠더 정치의 함의 과정이라고 볼 수 있으며, 당대 문화적·사회적·정치적 특수성의 젠더 관점을 구명(究明)하는 객관적 조망이라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장덕조 문학은 자료확보의 어려움으로 작가의 문학적 특성을 관통하는 세부적이고 심층적인 분석에는 한계가 있음을 밝힌다. Jang Deok-jo’s feature-length novel Crossroads offers a dynamic and macroscopic view of the new social system and the process of its establishment during the late 1940s post-liberation era. In this paper, we studied the image of women in Crossroads, focusing on gender explorations inherently found during the time of turbulence. When it comes to the works of Jang, attempts to perform an in-depth analysis on her literary characteristics have been limited due to lack of research materials. Thus, we sought the author’s feature-length novel Crossroads and focused on exploring perceptions of gender in the post-liberation era, a topic that was heretofore relatively undiscussed in relation to her works. In addition, we aimed to examine the sensitivity and sensibility of gender perceptions, as well as motherhood in Jang’s post-liberation literature, and identify their hidden or transformed aspects. Thus, we attempted to illustrate the narrativization of fluidity in the female gender and ultimately expand the topography of Korea’s post-liberation literature. First, “sensitivity” was expressed in the process of traversing beyond a space where subjectivity was denied to actively implement one’s thoughts, including “choice” and “self-determination.” Second, “sensibility” based on the other’s desire was observed in the sexual consciousness of the alienated class of the post-liberation period such as Oh Eun-hee, Kang Myung-ja, and Hwang Geum-ju. Third, the “motherhood” expressed in Crossroads consists of motherhood as metaphor and motherhood as a principle of behavior, which converges into a new positioning for women. The wide spectrum encompassing the persistence of gender perspectives and their variations, the dynamics within the system, and the exclusion and inclusion between power systems provide the basis for understanding the gender characteristics of Jang’s post-liberation literature. This can be viewed as the implicating process of the complex gender politics that led to changes in gender perceptions in the post-liberation period. Additionally, it offers an objective look at the gender perspectives of the time in terms of its cultural, social, and political particularities.

      • KCI등재

        해방 공간 황순원 단편소설 연구

        이익성 ( Lee Ick-seong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구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6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66 No.-

        본 논문은 황순원이 창작한 해방 공간의 단편소설을 대상으로 그 특징을 살펴보았다. 해방공간이라 함은 일제 식민지 시대가 끝난 1945년 8월 15일부터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되는 1948년 8월 15일까지를 말하는데, 이 시기는 미군정기와 일치한다. 황순원은 해방을 자기의 고향인 평북 평양 일원에서 맞이하였다. 북한이 소련군에 의해 점령당하고 이어 사회주의화됨에 따라 작가 황순원은 1946년 5월 월남하였고, 그 이후 남한에 정착하면서 창작활동을 지속하였다. 이 시기 황순원의 단편 소설은 (1) 월남민으로서 작가 자신의 신변의 일상사 속에서 혼란한 해방공간의 현실을 비판하면서 그 속에서의 인물들을 형상화한 작품들과 (2) 농촌을 배경으로 일제 식민지 시대로부터 궁핍한 삶을 이어나가는 농민들의 삶에 대한 묘사 작업을 통해 공출이 궁핍화의 원인이라고 진단하는 소설 작품들, 그리고 (3) 해방 공간이라는 격변기속에서 해방의 진정한 의미를 규명하는 면에서 일제 식민지시기에 저항하는 인물들에 대해 탐구를 진행하여 해방 공간의 이념적 갈등의 문제를 내면적으로 고민하는 소설작품으로 구분할수 있다. 이러한 황순원의 단편소설은 식민지 시대에 등단해서 발표했던 작품들과 암흑기에 창작했던 작품들의 경향에서 6ㆍ25 한국 전쟁과 전후의 소설적 경향으로 변모하는 변곡점임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rvey the characteristics of the short stories of Hwang Sun-won at the period of U.S. Military Regime in South-Korea. Hae-bang-gong-gan begun at the period when Japan declared the surrender to U.S. at fifteenth August 1945, and it finished at the period when the Republic of Korea declared the independence at fifteenth August 1948. So it was the same meanig the period of U.S. Military Regime in South-Korea. The Author Hwang Sun-won was in his home town near Pyeong-yang in North Korea at the National Liberation day, but he defected to South Korea because North Korea was occupied by U.S.S.R. military and U.S.S.R. military regime executed the socialistic policy. At the period of Hae-bang-gong-gan the short-stories of Hwang Sun-won was classified three types. In the first type of the short stories he criticized the reality of the disorder at the period of Hae-bang-gong-gan with the daily life of him. In the second type of the short stories he descrbed the poor farmers from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he made a diagnosis that the farmer’s poverty came from the delivery of rice to the government at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at the period of Hae-bang-gong-gan(U.S. Military Regime in South-Korea). In the third type of the short stories he investigated the characters who resisted to the Japanese colonialism, so his third type of the works presented the internal problems of the ideological conflicts at the period of Hae-bang-gong-gan(U.S. Military Regime in South-Korea). At the result we has noticed that the short-stories of Hwang Sun-won at the period of Hae-bang-gong-gan were transfigured from the short-stories of Hwang Sun-won at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ism.

      • KCI등재

        해방 공간의 재편과 접경/연대의 상상력 ―이광수의 『서울』을 중심으로―

        오태영 ( Oh Tae-young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8 民族文化硏究 Vol.79 No.-

        해방 이후 조선/남한사회의 공간은 체제 변동 과정에 조응해 이동하는 주체의 수행적 과정을 통해 재편되었다. 이광수의 『서울』은 1945년 해방에서 1948년 단독정부 수립을 거쳐 남북한 분단 체제가 성립되어가는 가운데 탈식민화와 미국화의 사회 구조 변동 과정에 조응해 재편된 남한사회의 축도로서 서울이라는 공간의 성격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그곳은 과거 식민의 체험과 기억을 극복하기 위한 탈식민화의 기획과 실천들이 수행되는 공간이다. 또한, 미군정 체제하 미국식 자본주의의 침투에 의한 소비문화가 유행하는 곳으로서, 개인의 욕망이 발현되고 사회적 향락이 만연한 공간이다. 그리하여 정치경제적 혼돈과 이질적인 문화들이 잡거하고 있었던 남한사회의 공간 질서를 재구축하기 위한 주체들의 이동이 다채롭게 분기하고 있었다. 특히 단독정부 수립 및 48년 체제가 구축되어가던 시점에서 정치적 이념보다는 자본주의적 질서에 기초해 자신의 삶을 영위하던 청년 세대들은 소비와 향락을 탐닉하는 데 여념이 없었지만, 상실되거나 훼손된 민족성 회복의 욕망과 함께 민족 해방을 위한 동아시아 연대의 움직임을 보였다. 그리고 그를 위해 사랑의 이념을 제시하면서 환대의 윤리를 설파하기도 하였다. 이처럼 해방과 분단, 전쟁과 전후로 연쇄하는 체제 변동 과정 속에서 남한사회의 다양하고 이질적인 공간들은 민족적 공간으로 회수되어 통합되었지만, 거기에는 그와 다른 분열증적이고 모순적인 공간(상상력)이 팰럼시스트 위의 글자들처럼 그 흔적을 남기고 있었다. After liberation, the space of Liberation Chosun/South Korea has been reorganized through the process of moving subject in accordance with the regime change. Lee Kwang-su’s Seoul symbolizes the feature of Seoul as a celebration of South Korean society that has been restructured in response to the structural change in society of postcolonialization and Americanization. It is a space marked by the experiences and memories of the colonial past, and is the space where the planning and practice of postcolonization are carried out to overcome them. In addition, as a place where consumption culture is infused by the penetration of American style capitalism under the US military system, personal desire is expressed and social enjoyment is prevalent. Thus, the movement of the subjects in order to reconstruct the spatial order of the South Korean society, where political and economic chaos and heterogeneous cultures were holding, diverged diversely. In particular, the young generations who were living their own lives based on capitalist order, rather than political ideology, were not inclined to indulge in consumption and enjoyment at the time of establishment of a sole government and so-called 48-year system. However, with the desire to recover lost or damaged nationality, it showed the movement of East Asian solidarity for national liberation. And for that, he presented the ideology of love and preached the ethics of hospitality. In this process of liberation, division, war and postwar change, the diverse and heterogeneous spaces of South Korean society were collected and integrated into the national space. There, however, other schizophrenic and contradictory spaces (imagination) were leaving traces like the letters on the palimpsest.

      • KCI등재

        해방 공간의 스파이 이야기와 정치적 함의

        임종명 ( Chong Myong Im ) 호남사학회(구 전남사학회) 2011 역사학연구 Vol.41 No.-

        1945년 8월 이후 3년간의 해방공간은 ``요동``과 ``혼란``이- 민족적 경계선과 관련해서도- 계속된 시·공간이었다. 이러한 상황에 직면해서, 당대 남한의 엘리트들은 민족 경계선을 분명하게 구획하여, 새로운 민족 국가 건설의 주체인 민족을, 또 그 운영의 주체인 국민을 주조해내야 했다. 이와 같은 당대 엘리트의 민족적 의제에 유념하면서, 본 논문은 해방 공간의 스파이 이야기의 분석을 통해 탈식민 시기 주체 구성의 문제를 해명하고자 한다. 해방 직후 적지 않은 스파이 이야기가 남한 담론장에 나타났다. 그 이야기들은 당대 남한사람들에게 자신들의 해방의 동인(動因)을 설명하는 것과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은 의미를 지닌 당대 스파이 이야기는 보다 구체적으로는 원자탄 개발을 둘러싼 정보전을 보여주거나, 과거 식민주의 하 한국인의 대일투쟁을 재현하기도 하였다. 또한 한국인의 해방 후 대일(對日) 경계심을 반영하는 스파이 이야기가 등장하였다. 미·소간의 초기 냉전의 진행에 따라, 제2차 대전 후의 국제 상황을 보여주는 스파이 이야기 또한 남한의 담론 공간에 나타난다. 이와 같이, 해방 후 남한의 담론장에 등장한 스파이 이야기들은 자신의 맥락들을 가지고 있었다. 지금부터는 그 이야기들이 가지고 있는 특징을 살펴보도록 하자. 해방 공간에 등장한 스파이 이야기는 ``민족·국민(the nation) 대(對) 비(非)민족·국민``과 ``아국(我國) 대(對) 적국(敵國)``이라는 민족·국민·국가주의적 틀에 기초하고 있다. 이와 같은 이항 대립틀에 기초한 스파이 이야기는 스파이를 비(非)민족·국민화하고 또 탈(脫)민족·국민화하면서, 그를 민족·국민·국가의 적대적 타자로 표상한다. 이와 같이 타자화된 스파이는 스파이 이야기에서 ``가면(假面)의 존재``로 표상된다. 또, 스파이는 기술적으로 발달한 비밀 통신수단을 이용하고 조직적으로 발전된 조직(체)을 운용하는 존재로 재현한다. 하지만 이들 스파이의 활동은, 스파이 이야기에서, 거의 항상 관계 당국에 의해 포착되고 추적 끝에 궤멸되는 것으로 재현된다. 그렇다면, 이와 같은 스파이 이야기의 당대 역사적 의미는 무엇일까? 스파이 이야기의 당대적 함의는 남한 사람들의 민족화와 국민화와 연관해서 파악될 수 있다. 스파이 이야기는 스파이가 탈민족·국민화되어 민족·국가의 경계 바깥으로 추방되는 모습을 보여주면서, 독자들에게 공포심을 불어넣었다. 공포심의 고취는 남한사람들에게 민족 구성원이 될 것과 장차 충성스러운 국민이 될 것을 요구하는 것이었다. 남한 사람들을 민족·국가의 주체로 변형시키는 것, 바로 이것이 당대 스파이 이야기의 정치적 함의였다. The three years after 1945 Korean liberation from Japanese colonialism was when and where the sudden collapse of Japanese empire not only led South Korean people to a state of bliss but also threw them into total confusion, even, as to national boundary. In the face of the national confusion, the contemporary South Korean elite had to draw a clear line of the nation to fashion the Korean nation and the Kungmin (國民) who would not only build a nation-state but also serve the state. With this in mind, the essay addresses the issue of post-colonial national subject by analyzing the contemporary spy stories. Right after the Korean Liberation, there appeared not a few spy stories in South Korean discursive space. Many of the stories were devoted to the explanation of the dynamics which brought the Korean people their de-colonization. In concrete, the stories narrated the intelligence war which fought for the secrets of atomic bomb. Also, the stories represented the Korean people`s struggles against Japanese imperialism. These stories were accompanied with stories, some of which expressed the Korean people`s concern about the Japanese re-invasion of Korean peninsula. At the same time, other stories told their audience of the evolution of international politics initiated by the superpowers of the U. S. A. and the U. S. S. R. after the World War Ⅱ, and the initial progress of the cold war between two superpowers, in specific. The stories employed the binary nationalist opposition of national self and other. They de-nationalized spies and at the same time represented them as a national Other, which was geared to expel them from national boundary. The de-nationalized Others were represented as those who put on a mask, and who organized and ran the highly developed spy network with high technology for their secret communication. The stories, almost always, ended their narratives with the collapse of the network and the arrests of the spies by the authorities concerned. Then, what was the contemporary implication of the spy stories? The post-colonial implication of spy story can be understood in relation to its nationalization of South Korean people. The story represented the fate of the spy who were de-nationalized and driven away from national boundary. This representation stroke fear into the hearts of South Korean people, calling upon them to transform themselves into a nation. This transformation constituted the contemporary political implication of spy story in South Korean Liberation Days(August 1945~August 1948).

      • KCI등재

        해방공간의 문화사-일상문화의 실연(實演)과 그 의미

        이봉범 상허학회 2009 상허학보 Vol.26 No.-

        This script grasps an aspect of the liberation cultural history in the liberation period by reconstructing reportage about the new cultural symbol and ordinary customs created upon the liberation. Seoul street that we can ascertain by reconstructing the reportage is quite different with active one, we used to imagine and evaluate, that had political passion for the democracy revolution based on anti-imperialism and anti-feudalism. That was chaos in where the survival will and the desire for a solution for the problem of daily food, clothing and shelter had been spreaded plainly, pondering on the disappoint and indignation on the idea - It's worse than the Japanese reign. The cultural symbol and ordinary customs of Seoul street that had been expressed as a confusion, an illusion and self-contradiction show the real world of chaos that bears down the fictions. That was a inevitable poisonous glass of the liberation that liberated Jo-sun should take under the conditions-politician than economy and production than consumption. We should regar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liberated Jo-sun based on this period have been inclused in that chaos enacted dissoluteness, corruption, pleasure and depravity. That was a heavy explosion against the extreme persecution of the Japanese on economy, ideas and pleasure. And that was a revelation of confirmed resignation of the general public because of a distortion on economy and political situation after the infection of westernism in noninterference policy. On the other hand, That was an inevitable poison flower of the framework of society, called Capitalism, that liberated Jo-sun had been moving toward. In addition, because there were not official rules and logics required institutionally when a society change, not only life customs, but also whole ordinary culture had been expressed as confusion connoting multiplicity. But We should pay attention on the fact that there were public desires to be reborn widely as the core of the brand new history, dreaming 'the independence' through the liberty in the gap between liberation and independence beyond the chaos. They were not frivolous pseudo liberalists who misused and dealt secretly their liberty. 이 글은 8ㆍ15 해방을 계기로 새롭게 조성된 문화적 표상과 일상적 풍속에 관한 당대 르포르타주를 재구성해 해방공간 문화사의 일면을 파악하고자 했다. 르포의 재구성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서울의 거리는 우리가 상상하고 평가해왔던 반제반봉건 민주주의혁명의 정치적 열정이 가득한 역동적인 서울의 모습과는 사뭇 다르다. ‘왜정 때보다도 못하다’는 실망과 분노를 곱씹으며 그날그날의 의식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생존의지와 욕망이 적나라하게 펼쳐진 카오스의 공간이었다. 혼란과 미망 때로는 자가당착적인 희극으로 표출된 서울거리의 문화적 표상과 일상적 풍속은 픽션에서나 가능한, 그 어떤 픽션도 제압하는 카오스의 현실세계를 역연하게 보여준다. 그것은 경제보다는 정치가, 생산보다는 소비가 압도하는 해방 조선이 겪을 수밖에 없는 해방의 불가피한 독배였다. 방종, 퇴폐, 향락, 타락으로 규정되는 그 카오스에는 해방조선의 시대성이 깊이 각인되어 있다고 봐야 한다. 일제의 경제, 사상 기타 오락 향락방면의 극심한 핍박에 대한 반동의 격렬한 폭발이었고, 자유방임정책에 따른 서구적 풍조의 전염과 해방 후 경제 및 정치상황의 왜곡에 따른 대중들의 만성화된 체념의 발현이었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해방조선이 향해 가고 있는 자본주의라는 사회구조의 필연적인 독화였다. 게다가 사회변화에 따라 요구되는 공식적인 규칙과 논리가 제도적 형태로 존재하지 못한 관계로 생활풍속 뿐만 아니라 일상적 문화전반이 다양성을 내포한 미정형의 혼란으로 표출된 것이다. 하지만 그 카오스의 저변에 해방과 독립의 간극 속에서 자유를 통해 ‘해방’을 꿈꾸며 새로운 역사의 주체로 신생하고자 했던 대중들의 욕망들이 광범하게 자리 잡고 있다는 사실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그들은 자유를 남용하고 해방을 밀매하는 부박한 사이비자유주의자가 아니었다. 지배와 저항, 파괴와 생성, 자유의지의 능동적 실현과 예속화가 모순적으로 현출된 해방공간의 역동적인 카오스, 그 해방의 드라마가 내포한 역사적 전망이 무엇이었는가는 문화담론 및 표상체계에 대한 면밀한 검토와 더불어 새롭게 논구돼야 할 과제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