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문제해결학습에서 학습자의 선수지식 수준에 따른 Worked-Out Example(WOE) 정보 유형의 효과 연구

        정재원(Jung, Jaewon),홍정화(Hong, Jeonghwa),신윤희(Shin, Yoon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5

        본 연구는 문제해결학습에서 학습자의 선수지식 수준에 따른 소거된 WOE 정보 유형이 인지부하와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고, 학습자의 선수지식을 고려한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WOE 소거 전략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참여자는 대학생 22명이었고, 연구 대상자는 선수지식 수준과 소거된 WOE 정보 유형에 따라 네 집단으로 나누어 문제해결학습을 진행하였다(선수지식 수준이 높고 ‘문제해결원리’ 정보가 소거된 WOE를 제공한 그룹, 선수지식 수준이 높고 ‘문제해결방법’ 정보가 소거된 WOE를 제공한 그룹, 선수지식 수준이 낮고 ‘문제해결원리’ 정보가 소거된 WOE를 제공한 그룹, 선수지식 수준이 낮고 ‘문제해결방법’ 정보가 소거된 WOE를 제공한 그룹). 학습이 끝난 후 인지부하와 문제해결력을 측정하여 이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선수지식이 높으면서 문제해결원리 정보가 소거된 WOE를 제공받은 그룹의 내재적, 외재적 인지부하가 가장 낮고 본유적 인지부하가 가장 높았으며 문제해결력도 가장 높았다. 반면 선수지식 수준이 낮으면서 문제해결방법 정보가 소거된 WOE를 제공받은 그룹의 내재적, 외재적 인지부하가 가장 높고 본유적 인지부하가 가장 낮았으며 문제해결력도 가장 낮았다. 이를 통해 선수지식 수준이 높은 경우 문제해결원리를 완성해 나가는 WOE 정보 유형이 효과적이며 선수지식 수준이 낮은 경우에도 문제해결방법을 소거한 WOE 보다는 문제해결원리를 소거한 WOE 정보 유형이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of faded information based on learners’ prior knowledge, cognitive load and problem-solving competency in problem-solving learning. The participants were 22 university students who were divided into 4 groups based on level of prior knowledge and type of faded information: a high prior knowledge with faded principle worked-out example (WOE) group, a high prior knowledge with faded-method WOE group, a low prior knowledge with faded principle WOE group and a low prior knowledge with faded-method WOE group. After problem-solving learning, the participants’ cognitive load and problem-solving competency were analysed using two-way ANOVA. The high prior knowledge with faded principle WOE group showed the lowest extraneous load, the highest germane load and the highest problem-solving competency. In addition, the faded principle WOE type was effective on the low prior knowledge group. Based on these results, a faded information strategy that considers learners’ prior knowledge is important, and a faded principle WOE strategy is more effective than a faded-method WOE strategy for both novices and experts.

      • KCI등재후보

        PBL 수업에서 해결된 예와 부분과제 제시가 흥미와 과제난이도 인식에 미치는 영향

        이은철(Eunchul Lee) 전남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21 교육연구 Vol.43 No.1

        본 연구는 해결된 예의 제시와 전체과제 제시 후 부분과제 수행이 PBL 수업에서 흥미와 과제난이도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해결된 예의 제시와 전체과제 제시 후 부분과제 수행이 PBL 수업에서 흥미 수준을 높이고, 과제난이도 인식을 감소시키는데 적절한 교수-학습적 지원 방안임을 확인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사범학부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3학년 학생 72명을 대상으로 실증적 검증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PBL 과제를 제시한 뒤, 사전에 PBL에 대한 흥미와 과제난이도 인식 수준을 측정하였다. PBL 수행을 위한 집단을 편성하고, PBL 과제를 수행하였다. PBL 수행 중에 비교집단은 교수-학습적 지원을 제공하지 않았고, 실험집단1은 전체과제 제시 후 부분과제 수행을 지원하였고, 실험집단2는 전체과제 제시 후 부분과제 수행과 해결된 예를 제시하였고, 실험집단3은 해결된 예를 제시하였다. PBL이 모두 종료된 이후에 사후 흥미와 과제난이도 인식 수준을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공변량분산분석(ANOVA)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전체과제 제시 후 부분과제 수행과 해결된 예를 모두 제시 받은 실험집단2는 비교집단, 실험집단1, 실험집단3 보다 사후 흥미 수준은 높았고, 사후 과제난이도 인식 수준은 낮았다. 이와 함께 전체과제 제시 후 부분과제를 수행한 실험집단1은 비교집단과 실험집단3 보다 사후 과제난이도 인식 수준이 낮았고, 해결된 예를 제시 받은 실험집단3은 비교집단과 실험집단1 보다 사후 흥미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xplored the effects of ‘worked-out examples’ and ‘part-task and whole-task’ on interest and task difficulty in the PBL class. This study reviewed previous studies. As a result, ‘worked-out examples’ and ‘part-task and whole-task’ were confirmed as appropriate support for interest and task difficulty in the PBL class. For empirical verifica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on 72 3rd grade students enrolled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Department. Students were presented with a PBL task, and their level of interest and task difficulty perception was measured. The students were divided into small groups and did PBL activities. Experimental treatment is as follows. The comparative group did not provide teaching-learning support. Experimental group 1 gave ‘part-task and whole-task’. Experimental group 2 gave ‘part-task and whole-task’ and ‘worked-out examples’. Experimental group 3 gave ‘worked-out examples’. After the completion of PBL, the level of interest and task difficulty perception were measur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ANOVA. As a result, experimental group 2 had a higher level of interest than the comparative group, experimental group 1, and experimental group 3. And the level of the task difficulty was low. Experimental group 1 had a lower level of task difficulty than the comparative group and experimental group 3. Experimental group 3 showed higher level of interest than the comparative group and experimental group 1.

      • KCI등재

        예비유아 교사의 메타인지와 사회적 문제해결기술의 관계연구

        정선영(Joung Sun young),김진영(Kim Jin 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1 No.3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가 인지하는 메타인지와 예비유아교사의 사회적 문제해결 기술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대상으로는 211명의 T광역시의 예비유 아교사가 참여했으며, 메타인지 검사도구로는 Schraw와 Dennison(1994)이 제작한 Meta-cognitive Skill 측정도구를, 사회적 문제해결기술은 D\ zurilla 와 Nezu(1990)가 제작한 사회적 문제해결능력 척도(SPSI: Social Problem-Solving Inventory)를 취하 여 본 연구에 부합되게 여러 차례 전문가 검토와 수정 및 보완 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메타인지가 높은 집단은 메타인지가 낮은 집단에 비해 사회적 문제 해결기술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메타인지의 하위요인인 계획하기, 정보관리하 기, 모니터링하기, 수정하기, 평가하기 모두 사회적 문제해결기술을 유의하게 예측하 는 요소로 나타났으며, 그 중 모니터링이 가장 유의한 핵심요소로 분석되었다. 메타 인지의 하위요소가 사회적 문제해결기술의 하위요소인 문제규정, 대안산출, 의사결 정, 실행확인을 예측하는 설명력을 알아본 결과 제규정을 예측하는 핵심요소는 정보 관리하기였고, 대안산출과 의사결정 및 실행확인을 예측하는 핵심요소는 모니터링 하기였다. 따라서, 메타인지의 5가지 하위요소 중 모니터링하기가 예비유아교사의 사회적 문제해결에서 가장 중요하게 작용함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 에서 예비유아교사를 양성하는 프로그램과 교육과정을 계획하고 실천하는데 유용한 시사점을 준다 The current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meta-cognition and social problem solving skills. The research subjects were 211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in T-city. For the measurement of meta-cognition, the Meta-cognitive Skill inventory developed by Scharaw and Dennison(1994), for the measurement of social problem solving skills, SPSI(Social Problem-Solving Inventory) developed by D zurilla and Nezu(1990) were used after expert reviews and several revisions to meet the research goal.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the groups with higher meta-cognition solved the social problems better than those with lower meta-cognition. Among the sub-components of meta-cognition, planning, information-managing, monitoring, debugging, and evaluating, all of them appeared to be significant factors. Particularly, monitoring was the most significant predictor. The results of investigating the prediction power of sub-components of meta-cognition, information management was the core predictor for problem definition. Also, monitoring was the most powerful predictor for solution generation, decision-making, and performance confirmation. Accordingly, meta-cognition, particularly monitoring among five sub-components of meta-cognition, is the most important predictor for social problem-solving. The current research suggests useful advices in planning and practicing educational programs and curriculum for kindergarten teachers.

      • KCI등재

        예비유아 교사의 셀프리더십과 사회적 문제해결기술의 관계

        정선영(Joung Sun young),김진영(Kim Jin 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2 No.3

        The current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self-leadership and problem-solving. The research subjects were 203 pre-service preschool teachers in T-city. For the measurement of self-leadership, RSLQ(Revised meta-cognition Questionnaire) by Houghton and Neck(2002), which was validated for Korean college students by Shin, Kim, and Han(2009); and for the measurement of social problem solving skills, SPSI(Social Problem-Solving Inventory) developed by D\ zurilla and Nezu(1990) were used after expert reviews and several revisions to meet the research goal.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the groups with higher self-leadersip had higher social problem-solving skills than those with lower self-leadership. Among the sub-components of self-leadership, behavior centered strategy and innovative thinking strategy except from natural compensation strategy appeared significant factors. Particularly, behavior centered strategy was the most significant predictor. The results of investigating the prediction power of sub-components of self-leadership on social problem-solving, the most significant predictor for problem definition was behavior centered strategy; that for solution generation was innovative thinking strategy; that for decision making was behavior centered strategy, that for execution confirmation was behavior centered strategy. The current research suggests useful advices in planning and practicing educational programs and curriculum for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가 인지하는 셀프리더십과 예비유아교사의 사회적 문제해 결기술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대상으로 203명의 T광역시에 거주하 는 예비유아교사가 참여했으며, 셀프리더십 검사도구로는 Houghton과 Neck(2002) 이 제작한 RSLQ(Revised Self-Leadership Questionnaire)를 신용국, 김명소, 한영석 (2009)이 우리나라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타당화 한 척도를 바탕으로 하고, 사회적 문 제해결기술은 D\ zurilla 와 Nezu(1990)가 제작한 사회적 문제해결능력 척도(SPSI: Social Problem-Solving Inventory)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 부합되게 여러 차례 전문 가 검토와 예비검사를 통해 수정 및 보완 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셀프 리더십이 높은 집단은 셀프리더십이 낮은 집단에 비해 사회적 문제해결기술이 더 높 은 것으로 나타났다. 셀프리더십의 하위요소 중 자연보상전략을 제외한 행동중심전 략과 건설사고전략이 사회적 문제해결 기술을 예측할 수 있는 유의한 요소로 나타났 으며, 그 중 행동중심전략이 가장 핵심적인 요소였다. 또한, 셀프리더십의 하위요소 가 사회적 문제해결기술의 하위요소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사회적 문제해결 기술의 하위요소인 문제규정을 예측할 수 있는 가장 핵심적인 요소는 행동중심전략 이었다. 사회적 문제해결기술의 하위요소인 대안산출을 예측할 수 있는 가장 핵심적 인 건설사고 전략이었다. 사회적 문제해결기술의 하위요소인 의사결정기술을 예측 할 수 있는 유일한 요소는 행동중심전략이었다. 사회적 문제해결기술의 하위요소인 실행확인을 예측할 수 있는 가장 핵심적인 요소는 행동중심전략이었다. 본 연구결과 는 예비유아교사의 교육프로그램 및 교육과정개발에 유용한 시사점을 줄 것이다.

      • KCI등재

        예비중등교사의 메타인지와 사회적 문제해결기술의 관계연구

        정선영(鄭善永),배성아(裵成娥)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1 아시아교육연구 Vol.12 No.3

        본 연구는 예비교사가 인지하는 메타인지와 사회적 문제해결기술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서울시의 예비중등교사 114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검사도구로는 Schraw와 Dennison(1994)가 제작한 Meta-cognitive Skill 측정도구와 D"zurilla 와 Nezu(1990)가 제작한 사회적 문제해결능력 척도(SPSI: Social Problem-Solving Inventory) 중에서 본 연구과 직접 관련되는 문항만을 취하여 여려 차례 전문가의 검토를 거쳐 수정?보완된 것이 사용되었다. 연구결과, 메타인지가 높은 집단은 메타인지가 낮은 집단에 비해 사회적 문제해결기술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메타인지의 하위요소 중에서 평가하기, 정보관리하기, 모니터링하기가 사회적 문제해결기술을 유의하게 예측하는 요소인 것으로 나타났는데, 그 중에서도 평가하기가 가장 유의한 핵심요소로 분석되었다. 또한, 메타인지의 하위요소가 사회적 문제해결기술의 하위요소인 문제규정, 대안산출, 의사결정, 해결실행을 예측하는 설명력을 알아본 결과, 사회적 문제해결기술의 하위요소 중 문제규정과 대안산출에서는 정보관리하기가 핵심요소로, 의사결정에서는 모니터링하기가 핵심요소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교사양성 교육과정에서 예비중등교사들이 다양한 문제해결과제를 통해 메타인지를 적용하는 능력을 키워나갈 수 있도록 하고, 문제해결 과정에서 스스로 정보를 관리하고, 모니터링하고, 평가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 주어야 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한다. This study aims at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pre-service teacher"s meta-cognition and social problem-solving skills. A total of 114 student-teachers entering a university in Seoul were chosen to conduct a survey, The pre-service teachers" meta-cognition was measured by Meta-cognitive Awareness Inventory developed by Schraw and Dennison (1994) and their social problem-solving skills were measured by Problem-Solving Inventory developed by D"zurilla and Nezu(1990) after several expert reviews and revisions to meet the needs of current study.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comparing to a low level of meta-cognition group, a high level of meta-cognition group showed higher level of social problem-solving skills. Some subordinate factors of meta-cognition(evaluating, information controlling, and monitoring) significantly predict one"s social problem-solving skills and evaluating was the most significant predictor. In addition, based on the analysis of subordinate factors of both meta-cognition and social problem-solving skills, information management and monitoring were the significant factor for problem identification, alternative generation, and decision making respectively. Based on these findings, it is considered that curriculum of pre-service teachers creates opportunities for pre-service teachers to develop meta-cognition through diverse problem-solving projects through which they could efficiently manage information, monitor and evaluate their performance by themselves.

      • KCI등재

        자연과 실생활 예를 활용한 수학기반 융합프로그램이 초등 영재의 수학적 성향과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이은경 ( Lee Eunkyung ),유미현 ( Yoo Mihyun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18 통합교육과정연구 Vol.12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 영재의 수학적 성향,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개발된 자연과 실생활 예를 활용한 수학기반 융합프로그램이 초등 영재의 수학적 성향,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소재 대학부설 영재교육원 초등 영재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초등학교 1학년 아동 16명이며, 실험연구에 적용한 설계는 단일집단 사전-사후 설계이다. 사전검사를 실시 후 자연과 실생활 예를 활용한 수학 기반 융합프로그램을 9차시에 걸쳐 적용한 후에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수학기반 융합프로그램 적용한 후 초등 영재의 수학적 성향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p<.05). 둘째, 수학기반 융합프로그램 적용한 후 초등 영재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p<.05). 결론적으로 자연과 실생활의 예를 활용한 수학기반 융합프로그램은 초등 영재의 수학적 성향,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향상 시키는데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특히, 수학기반 융합프로그램을 경험한 초등 영재의 수학에 관한 태도와 흥미와 같은 수학 관련 정의적 특성에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math-based convergence program on the mathematical personality,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ies to promote the attitude towards the mathematical personality,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ies of the elementary school gifted students. The participants were 16 elementary school 1nd grade students in a gifted class at a university located in Gyeong-gi province. After pretest regarding the mathematical personality, the creative problem-solving, 9 credit hours of the math-based convergence program using nature and real life examples was applied. An identical posttest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effec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fter applying math-based convergence program, the improvement of the mathematical personality of the gifted student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p<.05). Second, after applying math-based convergence program, the improvement of the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ies of the gifted student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p<.05). In conclusion, the math-based convergence program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the gifted students' the mathematical personality, creative problem-solving, mathematics career orientation. In particular, it was meaningful to identify that the gifted students changed positively in affective domains like as attitude and interest about mathematics through the math-based convergence program.

      • KCI등재

        ‘개방형 탐구실험’이 과학적 문제해결력과 과학적 의사소통능력 함양에 미치는 효과

        황혜경(Hwang, Hyekyung),우애자(Woo, AeJ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7

        본 연구의 목적은 개방형 탐구실험이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과학과 핵심역량 중 과학적 문제해결력과 과학적 의사소통능력 함양에 미치는 효과를 탐색하는 것이다. 서울 소재의 사범대학 예비과학교사를 대상으로 실험반과 비교반에 각각 ‘개방형 탐구화학실험’과 ‘안내된 탐구화학실험’을 한 학기 동안 9 차시에 걸쳐 진행하였다. 수업 처치 전과 후에 동일한 검사지를 사용하여 과학적 문제해결력과 과학적 의사소통능력에 대한 인식 검사와 사후에 개인 면담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적 문제해결력 분석 결과, 개방형 탐구와 안내된 탐구 사이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p>.05). 하위 영역 중 비판적 문제해결과 자료수집 및 분석 영역은 개방형 탐구의 효과가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p<.05). 둘째, 과학적 의사소통능력 분석 결과, 개방형 탐구가 안내된 탐구보다 유의미하게 긍정적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하위 영역 중 의사 표현 및 의견조정 영역에서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open inquiry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in developing scientific problem solving ability and scientific communication ability among science key competencies presented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We conducted ‘open inquiry chemistry experiment’ for the experimental group and ‘guided inquiry chemistry experiment’ for the comparative group for one semester. Before and after the class, we used the questionnaires and the personal interview to measure scientific problem solving ability and scientific communication abil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cientific problem solving ability between open inquiry and guided inquiry(p> .05). In that sub-area,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critical problem solving and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between the two groups(p< .05). Seco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cientific communication ability between open inquiry and guided inquiry(p< .05). In that sub-area,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expressing and coordinating opinions between the two groups(p< .05).

      • KCI등재

        예비교사들의 디자인사고 기반 문제해결 프로젝트 수행 경험 분석

        이지연(Lee, Jiy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2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iveness of a problem-solving project based on design thinking process for pre-service teachers and the change of their awareness of its activities. To achieve this, 54 pre-service teachers in a university participated in a design thing process based course, consisting of 5 stages proposed by the Stanford d.school. In before and after the class, the pre and post-tests using a personal problem-solving inventory (PSI) constructed by Heppner and Petersen (1982) were conducted. In addition to these tests, the deep interview with 6 participants randomly selected were implemented after projec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the design thinking process based project did not significantly effect the increase of pre-service teachers’ problem-solving ability in general. However, the personal control among three sub-categories of PSI was significantly increased. Secondly, through the deep interview, this study found that the participants felt the difficulty in conducting the project at first, but they gradually flew into the project with enjoyment and positive impression. Lastly, this study provided several implications for future relevant research. 본 연구의 목적은 사범대학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디자인사고 프로세스에 따라 창의적 문제해결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활동 참여자들의 문제해결능력 증진 정도와 활동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2018년 2학기 교직과목 강좌에 참여한 1학년 학생 50명을 대상으로 11월 3주간 각 팀이 자율적으로 선정한 교육 이슈해결방안 도출 중심의 활동을 수행하도록 하였다. 문제해결 프로젝트 활동은 스탠포드 디자인스쿨의 5단계 디자인사고 프로세스에 따라 진행되었으며, 활동 사전·후에 문제해결력 검사를 실시하고 사후에 참여했던 학생들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추가적으로 실시하였다. 문제해결능력 검사결과, 참여자들의 문제해결 자신감(problem-solving confidence)과 접근회피 스타일(approach avoidance style)은 프로젝트 수행 전후 간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으나, 자기통제(personal control)는 프로젝트 수행 전보다 유의미하게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양적 자료분석 결과를 뒷받침하기 위해 수행된 사후 인터뷰에서, 예비교사들은 이론만으로 알던 문제해결 활동을 수행하는데 따른 부담감과 아이디어를 내는데 익숙하지 않아 활동초기에 혼란을 가졌으나 이후 아이디어 구현 단계인 시제품을 만드는(prototyping) 과정에서 활동을 즐겼으며 결과적으로 디자인사고 활동에 대한 긍정적인 인상을 가졌던 것으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양적, 질적 자료 분석을 근거로 몇 가지 연구의 함의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CPS 기반 예비유아교사 수학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유효인(You, Hyo-In),조형숙(Cho, Hyung-Soo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1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 수학교육에서 CPS모형을 적용하여 CPS 기반 예비유아교사 수학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제 예비유아교사에게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CPS 기반 예비유아교사 수학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한 후, 경기도 소재 3년제 전문대학의 2학년 학생을 (실험집단 24, 비교집단21)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처치하였으며, 수학교수효능감, 수학교과교육학지식, 창의성에 대한 사전, 사후검사를 실시하여 독립표본 t 검증과 ANCOVA 분석을 실시하여 집단 간 차이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본 프로그램은 예비교사의 수학교수효능감 증진에서 개인능력 효능감, 결과기대 효능감 모두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둘째, 본 프로그램이 예비교사의 수학교과교육학지식에서 교육과정에 관한 지식, 교육내용에 관한 지식, 교수-학습방법에 관한 지식에 긍정적 효과가 있었다. 셋째, 본 프로그램이 예비교사의 유창성, 독창성, 정교성, 성급한 종결에 대한 저항에 긍정적 효과가 있었다.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이 예비교사의 수학교육에 적용하기에 적합하며 기존의 예비교사 대상 수학교육과 차별화된 프로그램으로서 가치가 있음을 시사해 주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Creative Problem Solving(CPS) based mathematics program for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then apply it to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and thus examining its effects. To conduct this research, we developed a preliminary early childhood teacher math education program based on CPS (Creative Problem Solving) and applied to the second-year students (Test Group of 24 people, Control Group of 21 people) of a three-year college in Gyeonggi-province. During the application, we conducted pre and post-test on teacher s mathematics teaching efficacy,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mathematics education, creativity, used 2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ANCOVA test to verify the differences between groups. In conclusion, the CPS based mathematics education program of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had positive effects on the preservice teacher s mathematical teaching efficacy,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mathematics education and creativity. This finding seems to present the fact that the CPS based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mathematics education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is appropriate for applying to the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education as a useful education program which has differentiated values from the conventional mathematics education programs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