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국어 동사 ‘오르다/내리다’와 중국어 동사 ‘上/下’의 의미 대조 분석

        최설남,이관식 시학과언어학회 2013 시학과 언어학 Vol.0 No.25

        한국어 동사 '오르다/내리다'와 중국어 동사 '上/下'는 의미상 매우 비슷하지만 둘 사이에는 뚜렷한 차이점이 있다. 본 논문은 한국어 동사 '오르다/내리다'와 중국어 동사 '上/下'의 의미 대조를 통해서 양자 간의 단어 대립관계의 대칭성 및 비대칭성을 밝히고자 한 연구이다. 연구 방법으로는 한국어 '오르다/내리다'와 중국어 '上/下'에 대한 대조 분석의 방법을 사용하였다. 구체적 방법으로는 한국어 사전인『표준국어대사전』,『우리말 큰사전』,『국어대사전』과 중국어 사전인『现代汉语词典』,『中韩大辞典』,『古代汉语词典』에 제시된 한국어 동사 '오르다/내리다'와 중국어 동사 '上/下'를 조사해, 각각 빈도가 높은 순서대로 의미를 수집하여 기본 의미와 확장 의미로 분류하고, 한ㆍ중 양어에서 의미항목과 의미적 대칭성을 대조 분석하였다. 한국어 '오르다/내리다'와 중국어 '上/下'의 의미 대조를 통한 연구 결과 동사 '오르다'와 동사 '上'의 의미 대조에서는 중국어 '上'이 한국어 '오르다'에 비해 더 다양하게 쓰이고 있었고, 한국어 동사 '내리다'와 중국어 동사 '下'의 의미대조 결과에서는 중국어 '下'가 한국어 ‘내리다’에 비해 더 다양하게 쓰이고 있음이 나타났다. 이어 동사 '오르다/내리다'와 동사 '上/下'의 의미 대립관계에 대한 대조에서는 동사 '上/下'가 동사 '오르다/내리다'보다 대립관계를 이루는 경우가 조금 더 빈번하게 나오는 것이 차이점으로 밝혀졌다. 본 논문은 한국어 동사 '오르다/내리다'와 중국어 동사 '上/下'의 의미 대조 분석을 통해 양국 언어 간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연구한 것으로서 한국어나 중국어를 배우는 학습자들이 두 언어에 대한 이해를 쉽게 하고 한국어와 중국어 학습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에 기여하고자 한다.

      • KCI등재

        독일 한국어학습자의 구어텍스트 산출전략에 관한 연구

        이해욱 한국독일어교육학회 2014 외국어로서의 독일어 Vol.34 No.-

        본 연구에서는 독일 한국어학습자의 구어텍스트 산출을 다루고자 하는데 구어텍스트 산출에서 중심이 되는 것은 바로 말하는 사람 즉 화자다. 화자는 텍스트를 계획하고 해당 상황에 적합한 언어적 표현들을 찾아내는 일련의 과정을 거친다. 텍스트를 성공적으로 산출하기 위해 화자가 어떤 단계를 거치며 어떤 결정을 내려야 할지 등을 검토하는 것이 따라서 중요하다. 이런 점에서 연구는 산출계획단계부터 구체적인 발화단계까지 포함해야하며 텍스트의 내적구조와 변이성의 검토가 요구된다. 언어산출과 관련하여 여러 가지 모델들이 제안되었는데 이들의 공통점은 언어산출이 여러 단계를 거쳐 진행된다는 것이다. 이렇게 볼 때 친구에게 어제 본 영화 줄거리를 이야기해 주는 것도 결코 쉽지 않은 일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하물며 이를 외국어로 이야기해야 하는 상황을 한번 생각해 보자. 우선 이야기 할 때 모국어의 개념구조를 그대로 이용하는지 아니면 처음부터 새롭게 계획하여 수행하는지, 이를 언어적으로 어떻게 표현하는지 등을 결정해야 하는데 이는 외국어학습자에게 분명 크나큰 도전이 아닐 수 없다. 본 연구에서는 이 과정을 알아보기 위해 독일 한국어학습자들의 구어텍스트 산출과정을 살펴본다. 그림을 설명하는 것과 같은 복합적 과제를 수행할 때 학습자가 어떤 언어적 요소를 선택하고 이를 통해 어떤 정보구조를 구성하는지 검토한다. 이를 위해 두 개의 그림이야기를 설명하는 과제를 실시한다. 우선 한국어화자 (이하 L1한국어)와 독일어화자 (이하 L1독일어)들이 산출한 텍스트를 시제와 상 Aspekt을 중심으로 분석하여 보편성과 개별언어적 특성을 검토한다. 이어 이를 독일 한국어학습자들 (L2한국어화자I, L2한국어화자II)의 구어텍스트와 비교 분석한다. 제 II장에서는 언어산출에 관한 선행연구들을 살펴보고, 제 III장에서는 독일 한국어학습자들이 산출한 구어텍스트의 분석을 통해 시제와 상 Aspekt의 사용을 알아보며, 마지막 제 IV장에서는 결론을 내린다. 본 연구는 성인언어습득자가 자신의 모국어를 기초로 하여 가지고 있는 시간개념구조가 제2언어습득에 영향을 준다는 가정을 독일 한국어학습자들의 자료분석을 통해 입증하고자 했다. 우선 각 실험군들이 사용한 시제유형을 분석한 결과, 독일어화자는 대부분 현재형을 사용한 반면에 한국어화자는 현재형과 과거형을 골고루 사용하였다. L2한국어화자의 경우는 전반적으로 학습기간이 길수록 목표어에 가까운 수치를 보였다. 한국어와 독일어의 동사체계는 진행상의 문법화에서 차이를 보이는데 이를 알아보기 위해 개별 실험군의 진행형 사용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독일어화자는 진행형을 거의 사용하지 않은 반면, 한국어화자는 상황에 맞게 진행형을 사용하였다. L2한국어화자의 경우는 역시 학습기간이 길수록 목표어에 가까운 수치를 나타냈다. 종합해볼 때, 동사의 상은 독일어화자와 달리 한국어화자의 개념화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는 한국어화자가 해당 의사소통상황 및 의사소통과제에 맞는 시간지시의 틀을 설정하는 것을 통해 알 수 있다. 이렇게 문법적 개념으로 형성된 상의 개념은 모국어화자의 장기 기억장치에 내재적 지식으로 깊숙이 저장되어있다고 가정할 수 있겠다. 따라서 구어산출에서 한국어화자의 상의 개념은 이미 발화계획 처음부터 도입된다고 볼 수 있다. ... In den letzten Jahren wurde der Einfluss grammatikalisierter Kategorien auf Prozesse der Konzeptualisierung in der mündlichen Textproduktion von mehreren Spracherwerbsforschern untersucht. In den Studien von Carroll & Lambert (2003) und Carroll, Stutterheim & Nüsse (2003) wurde für erwachsene Lerner von Zweitsprachen empirisch untersucht, inwiefern sie in der Konzeptualisierung konkret gegebener Sachverhalte Mustern ihrer Muttersprachen oder der verwendeten Zweitsprache folgen. Die Ergebnisse zeigen, dass es einzelsprachliche Präferenzen in der Weise der Konzeptualisierung gibt, die auf strukturelle Eigenschaften der betreffenden Sprache zurückzuführen sind und von den Sprechern auch dann beibehalten werden, wenn sie in ihrer L2-Sprache sprechen. In der vorliegenden Arbeit geht es um Konzeptualisierungsprozesse, die einer sprachlichen Äußerung vorausgehen. Umfangreiche kontrastive Untersuchungen zur Sprachproduktion haben gezeigt, dass Sprecher unterschiedlicher Sprachen(wie Arabisch, Deutsch, Englisch etc.) in der Rede über ein und dieselben Sachverhalte (in diesem Fall Zeitstrukturen) in systematisierter und vorhersagbarer Weise voneinander abweichen oder auch Entsprechungen aufweisen. Die Unterschiede in der Informationsauswahl und -strukturierung korellieren dabei mit den grammatikalisierten begrifflichen Kategorien im Bereich der Temporalität in den jeweiligen Sprachen, also beispielsweise dem ‘Aspekt’. In der vorliegenden Arbeit wurden Phänomene der Entwicklung vom Verbalaspekt an deutschen Lernern des Koreanischen untersucht. Diese Beobachtung ist besonders interessant, da es strukturelle Unterschiede zwischen beiden Sprachen gibt. Das Deutsche hat keine grammatikalisierten Aspektformen des Verbs, während im Koreanischen das Aspektsystem eine grammatische Kategorie des Verbs ist. Das heisst, während das Deutsche keine syntaktische Form zum Ausdruck des Progressivum hat, ist im Koreanischen eine Verbform wie ‘-go iss’ vorhanden. Für die Untersuchung wurden insgesamt 14 deutsche Lerner des Koreanischen in zwei unterschiedlichen Sprachniveaus getestet. 10 koreanische Muttersprachler und 3 deutsche Muttersprachler wurden als Kontrollgruppe getestet. Dabei wurden zwei Bildergeschichten (‘cat story’, ‘horse story’) verwendet. Die empirische Untersuchung hat ergeben, dass der Verbalaspekt beim Konzeptualisierungsprozess eines L1-Sprechers des Koreanischen eine zentrale Rolle spielt. Die Beständigkeit des Zeit-Referenzrahmens lässt sich darauf zurückführen, dass die aspektuellen Konzepte bei einem L1-Sprecher in all ihren Implikationen als implizites Wissen im Langzeitgedächtnis tief verankert sind. Demgegenüber spielen die Aspektkategorien des Koreanischen beim Konzeptualisierungsprozess eines L2-Sprechers des Koreanischen keine relevante Rolle. Das Wissen der Lerner über den koreanischen Verbalaspekt entspricht nicht dem Wissen des L1-Sprechers. Die Ergebnisse bestätigen die ‘Thinking for Speaking-Hypothese’, dass einzelsprachliche Prinzipien der Informationsorganisation durch die grammatikalisierten Konzepte mitbestimmt werden und gerade deshalb von den L2-Lernern, die sich bereits für ihre Muttersprache geltende Prinzipien angeeignet haben, schwer zu erwerben sind.

      • KCI등재

        한국어 교육의 시제와 상 교육 내용에 관한 연구

        김윤신 ( Kim Yoon-shin )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교육연구소 2018 외국어교육연구 Vol.32 No.3

        이 연구는 한국어 시제와 상에 대한 한국어 학습자들의 습득 양상이 한국어 교육의 교육 과정과 교재에 반영된 양상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서 한국어 시제와 상에 대한 학습자의 오류와 습득 양상에 대한 대표적인 연구를 분석하여 학습자의 습득 양상을 검토하고 정리 하였다. 그 결과, 학습자들은 시제나 상에 관련된 선어말 어미를 관형형 어미보다 먼저 습득하며 과거 시제를 다른 시제보다 먼저 습득한다. 그리고 과거 시제는 시상 가설의 예측대로 습득되지만 진행상을 그렇지 않은 경향을 보인다. 이러한 시제와 상의 습득 양상은 전반적으로 한국어 교육과정인 ‘표준 모형’과 한국어 교재에 어느 정도 반영되고 있다. 시제 선어 말 어미 ‘-었-’이 ‘표준 모형과 한국어 교재에서 가장 먼저 제시되는 것이 이러한 경향을 잘 반영하고 있다. 그러나 시제에 대한 내용에 비하여 상과 관련된 내용은 조금 덜 반영되는 경향이 있으며 이러한 경향은 교재에도 유사하게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Korean tense and aspect reflected in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the Standard Model and textbook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based on the learning patterns of Korean learners. Through analyzing representative studies of learner’s errors and learning patterns in the Korean tense and aspect, the learning patterns are summarized as follows: (i) learners learn the tense or aspectual prefinal endings before the adnominal ending, (ii) they learn the past tense prefinal ending ‘-eot-’ first, (iii) they also learn the past tense according to Aspect Hypothesis unlike the progressive. These learning patterns of Korean learners in the Korean tense and aspect are generally reflected in the Standard Model and Korean textbooks to some extent. The Standard Model and Korean textbooks present the past tense prefinal ending ‘-eot-’ firstly and more contents of the Korean tense than those of the Korean aspect.

      • KCI등재

        한국어와 러시아어의 상(相) 문법 표지 비교 연구

        최지영 ( Ji-young Choi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7 인문사회 21 Vol.8 No.5

        본 연구는 한국어와 러시아어의 상(相)의 개념과 문법적 특성을 비교하여 기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고에서는 러시아어학계와 한국어학계의 상 이론에 대한 흐름을 고찰하고 상의 의미 기능 및 문법 표지를 비교·대조하여 살펴보았다. 러시아어의 상은 완료와 미완료로 구분되며 접두사, 접미사를 통한 형태론적 표현을 통해 상과 동작류(aktionsart)의 문법 표지를 나타낸다. 반면 한국어의 상은 완료, 미완료로 구분되며 연결어미와 보조동사를 통한 통사론적인 표현을 통해 상과 동작류(aktionsart)의 문법 표지를 나타낸다. 러시아어는 동작 행위의 방법이 접사에 내포되어 완료상을 만들어 동작류의 어휘 의미를 부여하는 반면 한국어는 연결어미와 보조동사의 어휘 의미기능에 따라 동작류(진행, 지속, 종결, 반복)가 결정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러시아어와 한국어 학습자들의 동사 상 습득에 관한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the aspect, which is the grammatical feature of the Slavic-speaking world by comparing the concept of the aspect and the grammat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and Russian. This paper examined the flow on the aspect theory of Russian academia and Korean academia, and compared and contrasted the meaning functions and grammatical characteristics of the aspect. The aspect of Russian is dichotomous of completion and incompletion appears through prefixes and suffixes, such as aktionsart. On the other hand, the aspect of Korean shows the grammatical marker by the combination of the connecting ending and the auxiliary verb and is largely divided into complete, progressive and aktionsart (progress, continuation, termination, repetition) is determined depending on the vocabulary meaning function of the connecting ending and the auxiliary verb.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on the verbal aspect acquisition of Russian and Korean learners.

      • KCI등재

        L2 한국어에서의 상용어구 습득: [명사 + 동사] 구문중심으로

        이선영 ( Sun Young Lee )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교육연구소 2012 외국어교육연구 Vol.26 No.2

        이 논문은 제2언어습득에서 L2 학습자들의 한국어 상용어구 습득에 대한 연구이다. 특히, 영어 모국어 화자들의 한국어의 상용어구 습득현상을 [목적어+동사]형식의 어휘적 상용어구를 수용성판단테스트를 이용하여 알아보았다. 52명의 KFL학습자들의 실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i) 학습자들의 상용어구지식은 구어숙달도가 높아지면서 함께 발달하였다. (ii) 학습자들에게 L1 과 단어별 해석이 부합하는 L2 상용어구가 그렇지 않는 경우보다 더 쉬웠다. (iii) 헤리티지학습자가 그렇지 않은 제2언어학습자보다 더 높은 상용어구지식을 가지고 있었다. 이상의 결과에 대하여, 헤리티지학습자와 L2 학습자의 차이뿐만 아니라, 그 이전의 상용어구의 습득에 대한 연구결과에 대해 무엇을 의미하는지에 대한 논의한다. This study investigates L2 acquisition of Korean collocations. Korean-as- a-foreign-language (KFL) learners` knowledge of Korean collocations with [verb + noun]1) structure was measured with an acceptability judgment task. The experimental data from a total of 52 KFL learners and 14 native controls revealed (i) that L2 learners` knowledge of collocations developed with overall L2 oral proficiency, (ii) that L1-L2 matching collocations were easier than non-matching collocations and (iii) that heritage speakers were more competent than L2 learners with the same level of oral proficiency in their command of collocations in L2 Korean. Implications were discussed in relation to previous findings on L2 collocations as well as differences between heritage speakers and L2 learners.

      • KCI등재

        한국어적 발상을 고려한 일본어 자·타동사 교수-학습 방안

        김태희(Kim, TaeHee) 동아시아일본학회 2021 일본문화연구 Vol.- No.79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적 발상을 고려한 일본어 자 타동사 교수-학습 방안을 ⓐ, ⓑ, ⓒ, ⓓ의 단계로 제안하였다. 단계ⓐ는 한국어 자 타동사의 형태적 특징을 인식하도록 돕는 것, 단계ⓑ는 학습자가 일본어 자 타동사의 전체상을 확인하도록 돕는 것, 단계ⓒ는 한국어와 비교하며 일본어의 자 타동사를 확인하고 익히도록 돕는 것, 단계ⓓ는 한국어와 일본어 언어문화 차이를 드러내는 자 타동사문을 교수-학습하여 학습자가 두 언어 간 발상의 차이를 인식하도록 돕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교수-학습 방안은 한국어가 피동사와 자동사, 피동사와 사동사의 구별이 형태적으로 어렵다는 점과, 일본어가 한국어에 비해 자동사 표현을 많이 사용한다는 점에 주목한 것이다. 또한, 한국어 자 타동사 표현과 비교되는 일본어 자 타동사 표현의 심리적 어감에 주목하여 제안되었다. 이것은 곧 한국어와 일본어의 언어문화를 확인하여 학습효율을 높이게 될 것이라 기대한다. The study proposed a Japanese intransitive/transitive verbs teaching - learning measures in steps ⓐ, ⓑ, ⓒ, and ⓓ in consideration of Korean ideas. ⓐ Help learners recognize morphological features of Korean intransitives and transitive verbs, ⓑ Help learners recognize the whole image of Japanese intransitive/transitive verbs, ⓒ Help learners study Japanese intransitive/transitive verbs in comparison with Korean language, and ⓓ Present Korean examples so as to help learners recognize the difference in the way of thinking between the two languages. The proposed teaching-learning measures are presented by paying attention to the fact that it is difficult to distinguish morphologically between a passive and intransitive verb, passive and causative verb in the Korean language, and that the Japanese language uses more intransitive verb expressions than the Korean language. In addition, attention was paid to the psychological nuance of Japanese intransitive and transitive verb expressions compared to their Korean counterparts. This is linked to the study of the Korean and Japanese language.

      • KCI등재

        유형론에 기반한 한중 문법상(相)의 의미영역과 그 실현 양상

        황련화(Huang, Lian-Hua)(黄,莲,花) 대한중국학회 2021 중국학 Vol.75 No.-

        본고는 우선 의미적 범주에서의 상의 개념을 정리하고 문법상을 정의하였다. 유형론적 시각에서 상은 크게 ‘완전상-비완전상’의 대립을 가진 공간적 경계상과 ‘완료상-비완료상’의 대립을 가진 시간적 단계상으로 나뉘는데 한국어와 중국어는 ‘상황을 바라보는 시선의 위치’에 초첨을 두는 시간적 단계상에 속한다. 그리고 범언어적인 문법상의 하위 범주들을 검토하고 한국어와 중국어의 대응되는 상 표지를 살펴보고 문법상 체계를 구축하였으며 기존의 상 체계와의 공통점과 상이점을 제시하였다. 또한 전형적인 몇 가지 한중 문법상 표지의 구체적인 분포와 의미를 고찰하고 상응한 상 범주 유형과 의미영역을 탐구하였다. 마지막으로 한중 상 체계에서 한 형태표지가 여러 상 범주에 걸쳐 나타나는 현상에 관하여 상 표지의 문법화 과정을 제시함으로써 그 이유와 관련성을 설명하였다. In this paper, we first looked into the concepts of aspect from semantic point of view, and defined the meaning of grammatical aspects. On the basis of the typological study results, aspects across languages fall into two types: spatial viewpoint aspect and temporal viewpoint aspect, the former is represented by Russian and the later by English. Korean and Chinese grammatical aspects focus on the phase of the situation , therefore, they both belong to temporal viewpoint aspect type. Then, we reviewed the taxonomy of the most common grammatical aspect categories in the languages of the world. After observing the semantic meaning and various use of the aspect markers in Korean and Chinese intensely, we established the grammatical aspects system and analyzed the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from the existing aspect system. Next, we explored the distributional features and inflectional features of several typical Korean and Chinese aspect markers and defined the corresponding aspect category types and semantic domains. Finally, we explained the phenomenon of one aspect marker appears in multiple aspect subcategories by presenting the grammaticalization process and correlation of diverse aspects.

      • KCI등재

        자세동사의 상적 특성에 관한 한·중 대조 분석

        이승희 ( Lee Seung-hee ) 우리어문학회 2018 우리어문연구 Vol.60 No.-

        이 글은 한국어와 중국어(이하 ‘한·중’이라 칭함)의 자세동사(posture verbs)가 지닌 ‘상적 특성(aspectual character)’을 분석하고 이러한 특성에서 비롯된 한·중 자세동사의 통사적·의미적 특징을 대조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자세동사에 해당하는 ‘앉-(坐, zuo)’, ‘서-(站, zhan)’, ‘눕-(?, tang)’ 등은 양 언어의 시간적 특성에 따른 상이성(相異性)이 있다. 이러한 상이성은 한국어 화자와 중국어 화자 모두에게 ‘발화 시 의미하는 내용을 동일하게 전달할 수 없다’ 는 것을 의미한다. 모국어 화자가 자세동사를 사용할 때는 자세동사가 지닌 시간적 자질을 인식하지 않고 직관적으로 사용한다. 그러나 학습자가 목표어로서 바라보는 자세동사는 그 쓰임에 있어 통사적 오류가 발생한다. 이러한 오류는 서로 다른 상적 특성으로 인한 것임을 밝혔다. 또한 기존의 어휘상 판별 기준이 한국어와 중국어에 어떠한 양상으로 상호 적용되는지 비교하여 자세동사의 상 자질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서로 다른 상 자질이 어휘화 패턴에도 영향을 끼쳤으며 그 패턴 결과로 인한 통사상 특징을 대조 분석하였다. 이러한 대조 분석을 통해 한국어와 중국어로부터 존재하는 보편성과 상이성을 확인할 수 있으며 또한 상이성의 거리를 어휘상(lexical aspect)의 관점에서 파악하여 양 언어의 교육에 있어 지금까지 잘 설명되지 않았던 통사적·의미적 오류에 대한 원인을 규명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함에 중점을 두었다. The paper aims to analyze unique temporal features of Korean-Chinese posture verbs ,and compare and contrast syntactic and semantic features of Korean-Chinese posture verbs. Posture verbs such as ‘sit(坐)’, ‘stand(站)’, ‘lie down(?)’ shows syntactic features based on temporal features of Korean and Chinese. These difference can not be exactly same meaning when Korean native speakers and Chinese native speakers talk each other. Both Korean natives speakers and Chinese native speakers do not aware that posture verbs have particular aspectual character when they speak their first language. However the viewpoint of foreigner to a target language cause problems because of different usage of temporal features. In order to find semantic grounds which results in this semantic difference, as a preceding study, we first examine the reason why Korean and Chinese are categorized as different lexical aspect in relation with temporal features. In addition, we compare how existing qualification standard criteria is applied to both language, Korean and Chinese, and examine the qualification of aspect in order to study how differently recognized aspect qualification in Korean·Chinese posture verbs applied in vocabularies and language pattern, and also compare and analyze syntactic features. From the contrastive analysis, we could examine the universality and difference of Korean·Chinese and discuss the distance of difference based on lexical aspect to investigate cause of syntactic and semantic errors which have not been explained properly in educational setting of Korean-Chinese.

      • KCI등재

        한·몽 양국 언어 학습자를 위한 현대몽골어와 한국어의 평서문 대조 연구

        김기성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23 東洋學 Vol.- No.92

        Considering that both languages, Mongolian and Korean, form declarative sentences by attaching a final ending to a predicate verb, it can be said that the way of forming declarative sentences in both languages is fundamentally similar. However, the endings of declarative sentences in modern Mongolian have the functions of being a narrative and a statement, as well as including the meanings of each tense, aspect, and modality of the ‘tense terminating suffix(цагаар төгсгөх нөхцөл)’ or ‘attribute connective suffix(тодотгон холбох нөхцөл)’. In other words, tense terminating suffix show the ‘tense-modality’ meaning of the speaker’s direct and indirect perceptions in addition to the meaning of each tense, while the attribute connective suffix demonstrate ‘tense-aspect’ meaning of the action, such as ‘completion,’ ‘progress,’ ‘habit and repetition,’ and ‘future movement’ in addition to the meaning of each tense. On the other hand, the simple narrative final ending in Korean only indicates the system of honorification (treatment) of the listener and the meaning of a narrative and a statement according to the relative honorification method, where the meaning of tense, aspect, and modality as in Mongolian is not bore by the ending but by the ‘pre-final ending(선어말어미)’ that precedes the ending. In short, the final ending of Korean declarative sentences uses different ending forms according to the ranks of the relative honorification method. Thus, the functions and roles of the final ending in both languages vary, and are one of the main differences in declarative sentences in modern Mongolian and Korean. In modern Mongolian, an adjective or noun can take the place of an end of sentence predicate in its original form (Mongolian: adjective in original form, Korean: adjective stem + ‘-da’), which is deemed similar to Korean. In the case of Korean, however, adjectives can be used in themselves like verbs, which is not the case in Mongolian, where adjectives cannot be used in themselves. Instead, they are conjugated by taking the auxiliary verb ‘бай-’ (is), which takes on the role of a copula, after the adjective. This is different from Korean. This is because Mongolian adjectives have grammatical properties similar to nouns, while Korean adjectives have properties similar to verbs. 양 언어가 모두 서술어 동사에 종결어미를 연결해 평서문을 형성한다는 점에서만 본다면, 양 언어의 평서문 형성 방법은 기본적으로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현대몽골어 평서문의 종결어미는 서술, 진술 기능과 함께 ‘시제종결어미(цагаар төгсгөх нөхцөл)’나 ‘한정연결어미(тодотгон холбох нөхцөл)’가 지닌 각 시제와 동작, 행위의 상(양상), 양태 등의 의미가 함께 나타난다. 즉, 시제종결어미는 각 시제 의미와 더불어 화자의 ‘직접 인식’, ‘간접 인식’이라는 ‘시제‒양태’ 의미가 나타나며, 한정연결어미는 각 시제 의미와 더불어 동작, 행 위의 ‘완료’, ‘진행’, ‘습관·반복’, ‘기동’ 등의 ‘시제‒상’ 의미 등이 함께 나타난다. 한편, 한국어의 단순서술형 종결어미는 ‘상대높임법’에 따른 청자에 대한 높임(대우) 체계와 서술, 진술의 의미만이 나타날 뿐이며, 몽골어 와 같은 시제, 상, 양태 등의 의미는 종결어미가 아닌 종결어미의 앞에 오는 ‘선어말어미’가 그 역할을 담당한 다. 부연하자면 한국어 평서문 종결어미는 상대높임법의 등급에 따라 다른 어미 형태를 사용한다. 이처럼 양 언어의 종결어미는 그 기능과 역할이 차이가 있다. 이러한 점은 현대몽골어와 한국어 평서문의 주요한 차이점 이라 할 수 있다 . 현대몽골어에서는 형용사나 명사가 문장 끝 서술어의 자리에 기본형(몽골어: 형용사 원형, 한국어: 형용사 어간 + -다) 그대로 올 수 있는데 이러한 점은 한국어와 유사하다고 볼 수도 있다. 하지만 한국어의 경우는 형용사가 동사처럼 그 자체로 활용을 할 수 있지만, 몽골어의 경우는 형용사 자체로는 불가하고 그 대신 형용 사 뒤에 계사(copula) 역할의 보조동사 ‘бай-(이다)’를 취해 이를 활용시킨다. 이러한 점은 한국어와 다른 점 이다. 이것은 몽골어의 형용사가 명사와 비슷한 문법적 속성을 지녔다면 한국어의 형용사는 동사와 비슷한 속 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선어말 어미 ‘-었-’의 의미와 시상체계 연구에의 시사점

        최정진 한국어문학회 2020 語文學 Vol.0 No.148

        Despite is relatively recent occurrence, such a unclear characteristics of ‘-eoss-’ is the main controversial topic. Although ‘-eoss-’ has been discussed as a so-called ‘tense-aspectual’ marker, it is not easy to grasp the exact properties of ‘-eoss-’ because ‘tense-aspectual’ is a mixed concept that is neither ‘tense’ nor ‘aspect’. This study explores the possibility of resolving this controversy in the study of the modern Korean tense-aspect system (TAs). To do this, the study takes ‘grammatical function’ as a theoretical concept distinguishable from ‘meaning’. Based on such a distinction, the meaning of ‘-eoss-’ is analyzed as ‘punctuatedness’. The ‘punctuatedness’ of '-eoss-’ can function as both past tense and imperfective aspect, depending on the environment in which it is used. This was a trial for depicting the shape of existence of TAs. The study also discusses two important implications that can be obtained by analyzing the meaning of ‘-eoss-’ with ‘punctuatedness’. Previous studies on the change of the Korean TAs observed through literature the process of the settlement of '-eoss-' within the TAs of the modern Korean language. Until now, even though changes that might have existed in the process have been observed, it has been difficult to explain why. This study reviews the possibility of explaining the cause of that change. This possibility is based on an analysis of the meaning of ‘-eoss-’ as punctuatedness. Furthermore, it is also possible to suggest a renewed modern Korean TAs by focusing on ‘-eoss-’ in the contrastive patterns of Korean prefinal ending affixes. The assessment that ‘-eoss-’ is originally closer to aspect than to tense also be examined based on the modern TAs. 선어말 어미 ‘-었-’은 다른 선어말 어미에 비해 그 출현 시기가 늦음에도 불구하고 논란이 많은 연구 주제 중 하나이다. 시제도 아니고 상도 아닌 복합적인 ‘시상범주’로 논의되기는 하지만 그 정확한 성질을 포착할 수 있는 의미는 불분명한 상태이다. 본고에서는 문법 기능과 구별되는 ‘-었-’의 의미를 설정하여 그 동안의 논란을 해소하고자 시도하였다. 이를 위하여 ‘문법 기능’은 ‘의미’와는 구별될 수도 있는 이론적 개념임을 논의하고, 이에 기초하여 ‘-었-’의 의미를 ‘단결성(斷結性)’이라고 분석하였다. ‘-었-’의 의미인 ‘단결성’은 그 사용 환경에 따라서 시제소, 상 요소, 양태소 등으로 기능하는 것으로 파악하여 그 존재 양상을 보다 명확하게 드러내고자 시도하였다. ‘-었-’의 의미를 ‘단결성’으로 분석함으로 얻을 수 있는 두 가지 중요한 시사점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 한국어 시상체계의 변화에 대한 기존 연구는 ‘-었-’의 발달이 현대 한국어의 시상체계 내에 자리잡는 과정을 문헌을 통해 결과적으로 관찰하는 연구였다. 지금까지는 그 과정에 존재했을 것으로 여겨지는 변화의 이유를 설명하는 일은 어려웠다. 본고에서는 ‘-었-’의 의미를 ‘단결성’이라고 할 경우 그 변화의 원인에 대한 설명 가능성도 열릴 수 있음을 검토하였다. 현대 한국어의 문장 종결부와 관형절에서의 시상 체계 또한 ‘-었-’의 기능을 고려하여 재조명하고자 하였다. ‘-었-’은 시제소보다는 상 요소에 가깝다고 판단하는 과정도 현대의 시상 체계를 고려한 것이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