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태국인 한국어 전공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전공 교육과정 개선 방안 연구 - 씨나카린위롯대학교 한국어 전공 졸업생 요구조사를 중심으로 -

        도은정 한국태국학회 2022 한국태국학회논총 Vol.29 No.1

        본 연구는 태국 내 대학교 한국어과 졸업생을 대상으로 한국어 전공 교육과정과 관련한 요구조사를 실시하여 졸업생들의 보다 실질적이고 유의미한 요구 사항을 반영한 한국어 전공 교육과정의 설계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1장에서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을 제시 및 연구 대상과 연구 방법을 다루었으며, 2장에서는 태국 내 한국어 교육 현황과 태국 대학의 한국어 전공 교육과정을 통해 태국 내 한국어 교육의 내용 및 실태 등에 대해 알아보았다. 3장에서는 한국어 전공 졸업자를 대상으로 한국어 전공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요구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4장에서 기존 한국어 전공 교육과정의 문제점을 알아보고 개선 방안에 대해 살펴보았다. 5장에서는 4장의 요구분석을 통해 교육과정의 구체적인 목적 및 목표를 설정하고 교육과정 구성 및 교육 내용을 바탕으로 한국어 전공 교육과정의 실제를 제시하였다. 향후 태국의 한국어 전공 교육과정과 관련하여 비즈니스, 산업 한국어와 같은 직업목적의 교육과정에 중점을 둔 한국어 전공 교육과정 연구가 더 활발히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연계전공으로서 다문화 한국어교육 전공의 교육과정 개발 연구

        이관규 ( Lee Kwan Kyu ),정지현 ( Jeong Ji Hyeon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14 한국어문교육 Vol.16 No.-

        본고는 사범대학에 다문화 한국어교육 전공 교육과정이 마련되어야 한다는 문제의식 하에서 이 교육과정이 내용과 그 운영 방안에 대해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먼저, 교육과정 목표 수립을 위하여 사회, 학습자, 교과 요인을 분석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내용 체계를 세 범주로 구분하였다. 1) 다문화적인식·태도의 발달, 2) 한국어 교수의 지식·기능 습득, 3) 다문화 한국어 교수· 학습의 실제의 세 영역 하에 각 교과목 개발을 진행하였다. 개발된 교과목은 다음과 같다. 다문화적 인식·태도 발달 영역: <다문화 사회 이해>, <다문화 학습자 이해>, <다문화 교육의 이해> 한국어 교수의 지식·기능 습득 영역: <제2언어습득론>, <한국어교육개론>, <언어교수이론>, <한국 문화의 이해>, <한국어학의 이해>, <한국어음운론>, <한국어문법론>, <한국어어휘론>, <한국어화용론>, <한국어 문학교육론>, <매체를 활용한 한국어 교육>, <학습 한국어 교육>, <다문화 한국어 교육과정론>, <다문화 한국어 평가론>, <다문화 한국어 교재론>, <다문화 한국어 말하기·듣기 교육론>, <다문화 한국어 읽기교육론>, <다문화 한국어 쓰기교육론>, <다문화 한국어 발음 교육론>, <다문화 한국어 문법교육론>, <다문화 한국어 어휘교육론> 다문화 한국어 교수·학습의 실제 영역: <다문화 한국어 교수·학습 실제Ⅰ: 현장실습>, <다문화 한국어 교수· 학습 실제Ⅱ: 반성적 고찰> 마지막으로, 교육과정의 운영에 대해서는 연계전공으로 하며 각 강의는 교과목의 성격에 부합하는 각 영역의 전공자들이 담당하는 것으로 논의하였다. 이 교육과정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서는 학교, 다문화 교육 센터와의 연계가 요구된다. This study aimed to seek for what contents will be organized and how that curriculum will be implemented in ``Multicultural Korean Language Education`` curriculum of the college of education. First, society, student and subject as source are analysed for goal setting of this curriculum. Then, content systems are clarified into three categories for selection of education contents. That is 1) Development of multicultural awareness and attitude, 2) Aquisition of knowledge and skill for korean language teaching 3) teaching practice of multicultural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subjects are developed in the three categories. Finally, implementation of the curriculum is commenced as interdisciplinary course and each lectures are taught by the majors from each field that matches the character of the subjects. This curriculum requires cooperative schools and multicultural education centers for effective training.

      • KCI등재

        한국어교육 전공 학습자의 메타버스 활용 수업에 대한만족도 조사 및 요구 분석 연구

        공하림,김윤희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5

        Satisfaction Survey and Demand Analysis Study on Metaverse-usingClasses for Learners Majoring in Korean Language EducationHarim Kong & Yoonhee Kim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university Korean language education major class using Verbela metaverse, conduct a satisfaction survey and demand analysis after class, and to find ways to utilize metaverse in university major classes. A metaverse class was conducted in the major class for 17 Korean language education major learners at a university in Gwangju, and a request survey was conducted for 39 major and pre-major students who did not participate in the metaverse class. As a result of the class, the learners positively evaluated the metaverse class in terms of interaction, interest, and learner satisfaction. Next, after showing the metaverse class video to major and pre-major students who could not participate in the metaverse class, a survey was conducte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most learners had high expectations for using the metaverse class in their major clas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find a class-teaching plan that can improve learners' class performance by diversifying the design of classes using metaverse in future classes majoring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Key Words: Metabus, University Major Classes, Korean Language Education Major, Satisfaction Survey, Demand Analysis 한국어교육 전공 학습자의 메타버스 활용 수업에 대한만족도 조사 및 요구 분석 연구공 하 림**ㆍ김 윤 희*** 연구 목적: 본 연구는 버벨라(Verbela) 메타버스를 활용한 대학 한국어교육 전공 수업을 설계하여 수업 후의 만족도 조사 및 요구 분석을 실시하고, 대학 전공 수업에서 메타버스 활용 방안을 모색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 광주광역시 소재 한 대학교의 한국어교육 전공 학습자 17명을 대상으로 전공 수업에서 메타버스 수업을 실시하였고, 메타버스 수업에 참여하지 못한 전공생 및 예비 전공생 39명을 대상으로 요구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내용: 학습자들은 상호작용, 흥미, 학습자 만족도 등에서 메타버스 수업을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또한 메타버스 수업에 참여하지 못한 학생들에게 메타버스 수업 영상을 보여준 후 요구조사를 실시한 결과 전공 수업에서 메타버스 수업 활용에 대한 기대가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결론 및 제언: 향후 한국어교육 전공 수업에서 메타버스 활용 수업 설계를 다양화하여 학습자들의 수업 성과를 높일 수 있는 수업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핵심어: 메타버스, 대학 전공 수업, 한국어교육 전공, 만족도 조사, 요구 분석 □ 접수일: 2022년 10월 6일, 수정일: 2022년 10월 18일, 게재확정일: 2022년 10월 20일* 이 논문은 2022년도 광주대학교 교내연구비 지원에 의한 것임. ** 주저자, 광주대학교 한국어교육과 조교수(First Author, Professor, Gwangju Univ., Email: hrkong@gwangju.ac.kr)*** 교신저자, 광주대학교 한국어교육과 조교수(Corresponding Author, Professor, Gwangju Univ., Email: yhkim@gwangju.ac.kr)

      • KCI등재

        중국 4년제 대학의 한국어 교육 문제점과 새로운 교육 모델의 모색

        곽령 한중인문학회 2020 한중인문학연구 Vol.67 No.-

        In this paper, we analyzed the type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Chinese universities and also explained the problems of that. Korean language education at Chinese universities is divided into major education and non-major education. Korean language major education has slowed down since 2009 and some universities even canceled the Korean major in 2018. There are many reasons for the slow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departments, but the biggest one is the employment rate, which is not high. The reason for the low employment rate in the Korean major was analyzed and solutions were also given in this paper. Korean as a general elective course has a large number of students and is easy to open, but the problem is that there are not enough class hours. Korean as a second foreign language can provide students with a relatively long period to study Korean systematically, but there are still problems with a single curriculum and low expected results of education. As the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major education has become slow, the development of Korean studies has also encountered a bottleneck.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is article proposes a model of Korean Education with a minor course. This model can be implemented in many universities, so it can provide a large number of students with opportunities to learn Korean, and can look forward to tapping potential Korean talents. 본고는 중국 4년제 대학에서의 한국어 교육을 유형별로 분석하고 각각의 문제점을 논의하였다. 그리고 한국어 인재를 양성할 수 있는 ‘한국어 부전공 융합 교육 모델’도 제시하였다. 한국어 전공 교육은 2009년부터 발전의 속도가 느려지기 시작했고 2018년에 폐과가 나타났으며 현재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한국어 전공 교육의 발전 속도가 느린 것은 여러 원인이 있겠지만 그 중에서 높지 않은 취업률이 제일 큰 문제다. 본고에서는 한국어학과의 취업률이 낮은 원인을 분석하고 해결방안도 함께 제시하였다. 교양 한국어 교육은 수강 인원이 많고 개설하기 쉽지만 연계과목 개설, 수업시수 등 여러문제도 있다. 제2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은 상대적으로 긴 시간 동안 체계적으로 한국어를공부하는 기회를 제공하지만 교과과정 단일, 교육결과의 실용성 부족 등 문제도 안고 있다. 한국어 전공 교육의 발전이 둔화되면서 언어적으로의 한국학 발전도 지체기를 맞이하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고는 ‘한국어 부전공 융합 교육 모델’을 제시하였다. 이 교육 모델은 많은 대학에서 실시될 수 있으므로 수많은 학생들에게 한국어를 접하는 기회를 제공해 주고 한국어 잠재 인재를 발굴하는 기대효과도 있다.

      • KCI등재

        中外合作 교육프로그램 工學전공 學習者 대상 專攻深化韓國語 교육과정 改善 方案 연구

        유소소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23 어문연구(語文硏究) Vol.51 No.1

        This study identifies the problems of the major intensive Korean language curriculum offered for engineering learners in the Chinese-foreign cooperative education programs and explores improvement. As of January 2023, there are a total of 206 such education programs with Korea, among them, engineering programs have the largest share at 41%. Nevertheless, there are few studies on engineering learners in such programs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refore, such group of learners with specific academic purposes were selected as a research target and I focus on the relevant major intensive Korean language curriculum. To identify a direction to improve the current curriculum, the architecture major 3+2 program by Chengdu University and Yeungnam University was selected as a research case. Additionally,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 lecturers and students of the Major Intensive Korean course. As a result, this curriculum should be carried out for the purpose of preparing for specialized lectures given by professors from Korean universities, with improvements in four aspects of the curriculum provision, syllabus, faculty, and evaluation. After assessing the needs of the lecturers and students, the curriculum improvement plan was proposed, and the feasibility confirmed through an interview with the teaching managers. 유소소, 2023, 중외합작 교육프로그램 공학전공 학습자 대상 전공심화한국어 교육과정 개선 방안 연구, 어문연구, 197 : 301~330 본고는 중외합작 교육프로그램에서 공학전공 학습자를 대상으로 운영되고 있는 전공심화한국어 교육과정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2023년 1월 기준 한국과 공동 운영 중인 중외합작 교육프로그램이 총 206개에 이르며, 그 중에서 공학전공 프로그램이 점유율 41%로 가장 많다. 그럼에도 한국어교육 분야에서 중외합작 교육프로그램 공학전공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아직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고는 이 특수 학문 목적 학습자 집단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그들에게 제공되는 전공심화한국어 교육과정에 주안점을 두고자 하였다. 교육과정 개선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청두대-영남대 건축전공 3+2 프로그램을 연구 사례로 선정하여 이 프로그램에서 개설되는 <전공심화한국어> 교과목의 강의 교사와 수강생에게 요구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이 교육과정은 한국대학 교수특강을 대비하는 목적으로 운영되어야 하며, 운영 체계, 교수요목, 교수진, 평가 방식 네 가지 측면에서 개선되어야 한다. 강의자의 제안과 수강생의 요구를 종합적으로 가늠한 후 교육과정 개선 방안을 마련하였고, 그 실행 가능성을 교학관리자와의 면담을 통해 확인하였다.

      • KCI등재

        A Study on Korean Language Major Syllabus in India

        응아이테 랑칸쿱(Langkhankhup Ngaiht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

        본 논문은 인도 내 한국어 전공의 현재 교수요목을 분석하고 체계적인 한국어 전공 교수요목을 개발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인도에서 한국어 전공 과정은 아직 본격적으로 공부되지 않은 분야이다. 즉, 한국어 전공의 교수요목, 학생, 수업 내용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다. 이 분야의 연구 부족은 인도 내 한국어 전공에 대한 보다 더 구체적인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최근 인도 내에서 한국어 학습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인도 여러 대학에서 한국어 전공이 점점 생겨나고 있는 추세이다. 인도 대학의 한국어 전공 과정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이에 대한 교수요목, 교육과정, 그리고 학생들에 대한 현황과 문제점에 대한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40년 이상의 한국어 교육 역사를 가진 인도의 대표적인 한국어 교육기관인 JNU(네루대학교)의 한국어 전공 교수요목을 분석하였다. 교수요목을 목적과 목표, 내용 선정 및 배열, 최종 목표 위주로 분석하였다. 결과를 분석해보면 인도 내 한국어교육 전공 교수요목은 정확한 목적이나 목표가 없어 내용 선정이나 배열이 체계적이지 않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문제는 교수요목의 최종 목표, 학년별 등급 목표, 그리고 명확하지 않은 학습자의 졸업 수준 문제로 이어진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인도 내 한국어교육 전공 교수요목 개선점을 제안하였다. This paper analyzed the present syllabus of Korean language major in India and suggested ways to develop a more systematic Korean language major syllabus for India. The status of Korean language major in India is a subject which is not yet appropriately studied. However, with the recent increase in Korean language interest in India, Korean language major is also slowly emerging in various universities within the country. Without a proper study into the syllabus, curriculum, or students, it is impossible to know the status, problems, or provide suggestions to improve the quality of Korean language major in India. As such, this paper analyzed the syllabus of Korean language major in JNU (Jawaharlal Nehru University), the leading institute for Korean language in India. The syllabus was analyzed on the criteria of aim and objective, the course selection and sequence, and the target level. Analyzing the results, the syllabus of Korean language major in India does not have a precise aim and definite objective, which leads to a disorganized course selection and sequence. This problem also extends to the target level, where it is not clear what level the course is or the level at which the students graduate. Based on these findings, the paper suggests points to improve the syllabus of Korean language major in India.

      • KCI등재

        중국대학 한국어전공 환경과 개선방안 연구 -중국대학 교수와 학생 면담을 중심으로-

        성시일 한중사회과학학회 2021 한중사회과학연구 Vol.1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problems of Korean language majors in Chinese universities and to suggest ways to improve them. It focused on how to cooperate with Korean companies and universities. The study was conducted by classifying and analyzing interviews with professors of Korean language majors at Chinese universities and Korean language majors at Chinese universities studying in Korea. First, it is necessary to closely link with Korean universities to secure excellent professors and acquire doctoral degrees. A Korean university can consider a degree course in a convergence major. It is possible to improve not only the Korean level but also the degree of understanding of Korea, thereby solving the diversity and quality of education. Second, it is to provide opportunities to practice Korean. The poor Korean language practice conditions negatively affect the career path of Korean majors after graduation, so improvement is urgently needed. It supports the connection between companies and this Korean language major.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grasp social demand and incorporate it into the curriculum, enabling practical training. It can increase the competitiveness of Korean language majors as it is consistent with China’s educational reform. Third, it is the provision of educational contents. Support for Korean universities and institutions to produce digital textbooks and provide them online, and to use Korean images as textbooks. In reality, it is the best way to learn Korean-style Korean, and it is also away to establish standard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led by Korea. Since it is not only for Chinese students, it can increase the cost-effectiveness. 본 논문은 중국 대학의 한국어전공 문제점을 파악하고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한국 기업, 대학과 협력할 수 있는 방법에 중점을 두었다. 중국 대학 한국어전공 교수 면담과 본 연구자 전공에 복수학위제로 유학 온 중국 대학 한국어전공 학생 면담내용을 분류, 분석하는 방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 우수한 교수 확보와 박사학위 취득을 위해 한국 대학과 밀접한 연계를 할 필요가 있다. 한국 대학에서 한국어전공 교수를 대상으로 융합전공 학위과정을 고려해 볼 수 있다. 한국어 수준뿐만 아니라 한국에 대한 이해도를 높일 수 있어 교육의 다양성과 질적 향상을 해결할 수 있다. 둘째, 한국어 실습환경 제공이다. 각 지역 한인회, KOTRA 등 기관이 중심이 되어 한국기업 뿐만 아니라 한국과 거래하는 중국기업이 실습프로그램에 참여하도록 권장하고 한국어전공과 연계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산학협력을 통해 사회수요를 파악하여 교육과정에 접목시킬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되어 수요중심의 교육을 시행할 수 있고, 중국 교육부의 교육개혁에도 부합됨으로 한국어전공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전환점이 될 수 있다. 셋째, 교육콘텐츠 제공이다. 한국의 대학 및 기관을 주관조직으로 하여 디지털화된 교재를 제작하여 온라인으로 제공하고, 한국 영상물을 교재로 사용하는 것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중국 내 한국어 통·번역 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 정책의 변화 -MTI와 CATTI를 중심으로-

        임형재(Hyung Jae Lim) 대구대학교 다문화사회정책연구소 2021 현대사회와 다문화 Vol.11 No.1

        본 연구는 한국어 통·번역 인재양성 정책을 중심으로 중국에서 실시되고 있는 ‘한국어전공 4급과 8급(TKM4/8) 시험’, ‘한국어 MTI 교육과정’ 그리고 ‘한국어 CATTI 시험’을 살펴보고자 한다. 중국의 외국어교육 정책의 변화 방향에서 한국어교육도 예외가 될 수 없다. 한국어교육은 20세기 소수민족 언어로서의 조선어와 외국어로서의 한국어라는 모호함을 벗어나 외국어 정책에 맞춰 TKM 시험이 실시되고, MTI 교육과정에 포함되었다. 그리고 2020년에는 국가 통·번역사 자격증인 CATTI에 한국어 편입되었다. 이로써 한국어는 다른 주요 외국어와 동일한 정책적 범주에서 다루어질 수 있는 기틀이 마련된 것이다. 하지만 CATTI의 한국어 편입이 모두 긍정적일 수만은 없다. 이 시험은 중국 정부의 교육 국제화 정책과 국가 공인 자격이라는 강한 경쟁력이 더해져 국내 한국어교육 현장에 적지 않은 영향력을 미치게 될 것이다. 그리고 이 문제는 한국어교육에서 TOPIK 6급 이상의 한국어 학습자에 대한 평가와 인증에 대한 준비가 필요함을 이야기 하고 있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Level 4 and 8 Exams of Korean Language Major (TKM4/8)”, the Korean MTI curriculum, and the Korean CATTI exams, which are being conducted in China, focusing on the Korean translation and interpretation professionals nurturing policy. Korean language is no exception in the change of China’s foreign language education policy. Korean language education was carried out by foreign language policies, freeing from the ambiguity of the Chinese Korean language as a minority language and Chinese Korean/Korean as foreign languages in the 20th century, and was included in the MTI curriculum. In 2020, Korean was incorporated into CATTI, a national interpreter and translator certification. This laid the foundation for Korean to be dealt with in the same policy categories as other major foreign languages. However, CATTI’s inclusion of Korean language cannot all be positive.

      • KCI등재

        한국어교육 전공 핵심 역량에 대한 베트남인 학습자의 인식 연구

        김윤희 ( Yoonhee Kim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5

        본 연구는 A대학 한국어교육 전공 핵심 역량에 대한 베트남인 학습자의 인식을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 수행을 위해 A대학에서 한국어를 전공하는 베트남인 학습자에게 한국어교육 전공 핵심 역량 항목을 제공하고 학습자 스스로 자각하는 역량 정도를 체크하도록 하였다. 또한 A대학의 한국어교육 전공 핵심 역량으로 제시되지 않은 역량 항목의 필요도를 확인하였다. 더불어 개방형 질문을 통해 현재 A대학 한국어교육과 교육과정에 대한 베트남인 학습자의 인식을 면밀히 알아보았다. A대학 한국어교육과 수강생의 대다수를 차지하는 베트남인 학습자의 인식 조사 결과, 한국어교육 실무 역량과 의사소통 역량에 대한 척도가 타 역량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베트남인 학습자의 인식 조사 결과를 통해 A대학 한국어교육과의 교육과정 구축 및 개선에 도움이 될 자료들을 탐색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가 국내 대학에서 한국어교육을 전공하는 베트남인 학습자들의 전공 교과과정 및 비교과 교육과정 구축 및 개선에 작은 보탬이 되기를 희망한다.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Vietnamese learners who major in Korean at A university were provided with core competency item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checked the level of competence that learners themselves recognize. In addition, the necessity of competency items that were not presented as core competencie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majors of A university was confirmed. In addition, through open questions, the Vietnamese learner’s perception of the current Korean language education curriculum of A university was closely examined. As a result of the survey on the perception of Vietnamese learners who take up the majorit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students in A university, it was found that the scale of practical competence and communication competenc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was relatively lower than other competences. Also, through the results of the survey on the perception of Vietnamese learners, it was possible to explore the materials that will help to build and improve the curriculum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t A univers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and improvement of the major curriculum and comparative curriculum of Vietnamese learners majoring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t domestic universities.

      • KCI등재후보

        한국어교육적 관점에서 본 국내 대학 한국어문학과의 교육과정

        박나리 ( Na Ree Park ) 영주어문학회 2016 영주어문 Vol.32 No.-

        한국어문학과는 일반적으로 한국어 및 한국문학 전문가 양성을 그 목적으로 한다. 한국어문학은 모국어로서의 국어와 국문학이 아닌, 보다 객관적인 시각에서 한국어와 한국문학을 바라본다는 점에서 기존의 국어국문학과 분명한 차이를 갖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내 한국어문학과의 교육과정이 국어국문학과에 다만 한국어교육적인 요소를 추가한 예로부터 한국어교육에 집중한 경우에 이르기까지 그 변폭이 매우 크다는 문제의식 아래, 본 연구는 한국어문학과의 독자적인 영역을 확보하고 정체성을 확립하기 위한 하나의 방향적 제안을 해 보고자 하였다. 특히 국내외 학습자의 수요가 상당하며 한국어문학과의 개설 동인이 되기도 한 한국어교육에 초점을 두어 한국어교육적 관점에서 국내 한국어문학과의 현존하는 교육과정을 살피고, 그 문제점을 진단한 후 앞으로의 방향성을 제안해 봄으로써 향후 한국어교육적 요소를 교육과정에서 점차 확대시켜나가고자 할 때 일정한 시사점을 제공해 보고자 하였다.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department, basically, sees Korean language in an objective way. However, curriculum of many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department shows no big difference from that of National language and literature departm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urriculum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department especially in view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foreign learners which has been highly increasing for the last several years.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strong necessity for standardization in curriculum is insisted since the differences between curriculum in each college are so great that its graduates, namely, potential Korean language teachers are not likely to meet educatee`s general needs for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Korean culture, etc. Therefore, this study tries to suggest desirable directions in designing curriculum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department based on its own identity and the needs of both Korean language teachers and foreign Korean language learners which are expected to dedicate the standardiz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