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한국어-한국수어 기계번역 연구 경험에 관한 자문화기술지

        이준우 한국사회복지학회 2023 한국사회복지학 Vol.75 No.4

        본 연구는 한국농인의 언어인 한국수어로 한국어 문장을 번역하는 행위로서의 한국어-한국수어 기계번역 과정과 그 결과물의 활용에 대한 문제제기로 출발하였다. 한국어-한국수어 기계번역의 과정과 그로 인한 결과물은 농인의 정보접근성을 강화하여 농인들의 자기 역량을 강화하는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그 과정에서 한국수어에 대한 이해가 높은 농인 당사자의 역할이 강조되며, 농인의 수고와 노력을 통해서 산출된 한국어-한국수어 기계번역의 성과물은 농인들에게 우선적으로 환원되어야 한다. 이에 한국수어 기계번역 분야의 중진 학자로서 활동하는 연구자의 비판적 자문화기술지와 현지인 문화기술지를 혼용해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한국수어 기계번역의 과정은 한국농인에 의해 주도적으로 이뤄지지 못하고 있으며 오히려 정부 지원에 의존하는 데이터 가공 기업이 주도하고 있었다. 농인 연구자들과 연구 참여자들은 열악한 수어 기계번역 연구 과정에서 쏟아지는 민원과 소통의 부재를 경험하였다. 동일 작업의 반복이 심화되었고 이는 농인 연구 참여자들의 업무 능력의 부족으로 평가되어 결과적으로 자존감을 저하시켰다. 그러나 그 가운데서도 연구자 및 연구 참여자들은 연구 사업 참여를 통해 농인으로서의 자기 정체성과 자기 역량의 확장 기회를 모색하였다. 농 정체성에 대한 자부심이 발현되었고 자기 역량을 강화하고자 애씀과 동시에 새로운 자기 역량을 발견하였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세 가지 제언을 제시하였다. 첫째, 한국수어 저작권을 농인과 공유하는 방안을 적극 모색해야 한다. 둘째, 한국수어 기계번역 결과물들이 상용화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셋째, 일용직 내지 단기 계약직 형태가 아닌 수어번역 전문직으로 정규 직업화하여 양질의 일자리 창출 효과를 거둬야 한다. This research began by raising questions about the process of Korean-Korean Sign Language (KSL) machine translation, which involves translating Korean sentences into KSL, and the utilization of the resulting output. The aim of the Korean-KSL machine translation process and its outcomes is to enhance information accessibility for deaf individuals and empower them. Therefore, the role of deaf individuals who have a high understanding of KSL in this process is emphasized. The achievements of Korean-KSL machine translation, produced through the efforts and hard work of deaf individuals, should be prioritized for the benefit of the deaf community. This research was conducted using a mixture of critical autoethnography by a researcher working as a senior scholar in the field of KSL machine translation and native ethnography. The research findings revealed that the process of KSL machine translation is not being led proactively by deaf individuals themselves; rather, data processing companies reliant on government support are taking the lead. Deaf researchers and participants experienced a lack of complaints and communication in the poor KSL machine translation research process. The repetition of the same tasks deepened, which was evaluated as a result of the lack of job skills among deaf research participants, ultimately leading to a decrease in self-esteem. However, within this context, researchers and participants sought opportunities for expanding their identity and self-empowerment as deaf individuals through participation in research projects. Pride in deaf identity was expressed, and efforts were made to strengthen self-empowerment, while simultaneously discovering new capabilities.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three suggestions were put forth. Firstly, active efforts should be made to explore ways to share the copyright of KSL with the deaf community. Secondly, measures should be taken to commercialize the results of KSL machine translation. Thirdly, the professionalization of sign language translation should be pursued as a regular occupation, rather than being limited to temporary or short-term contracts, in order to generate high-quality employment opportunities.

      • KCI등재

        역사적 변천에 따른 한국수어 번역의 형태와 특성 연구

        이준우(Jun-Woo Lee)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5

        과학기술의 발달에 힘입은 혁신적인 번역 환경은 수어 번역의 확대 가능성과 실현성을 높이는 요소가 되고 있다. 한국수어 번역도 새로운 도전과 기회를 맞이하고 있다. 본 연구는 첫째, ‘한국수어 번역은 한국수어의 역사적 변천과정 속에서 언제 어떻게 나타났는가?’, 둘째, ‘한국수어 번역의 결과로 산출된 번역의 형태와 특성은 무엇인가?’, 셋째, ‘한국수어 번역의 현황과 전망은 어떠한가?’라는 연구 질문들을 제기하고 이에 대한 대답을 찾아간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통합적 문헌고찰 방법을 사용해 역사적으로 한국수어 번역이 어떻게 형성되었으며 한국수어 번역의 형태와 특성은 어떠한지를 고찰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수어번역 잠재기, 형성기, 확장기로 구분되는 역사적 변천과정에 따른 한국수어 번역의 형태와 특성이 나타났으며, 둘째, 한국수어 말뭉치사업과 기계번역에 따른 한국수어 번역의 형태와 특성이 도출되었다. 아울러 한국수어 번역의 현황을 파악하고, 향후 전망을 제시하였다. Innovative translation circumstances encouraged by scientific technique have become an element that increases realization and possibility of expanding sign language translation and Korean sign language translation is facing a new challenge and opportunity. This study raises following questions and search for answers. First, when and how did Korean sign language translation appear in the course of the historical changes in Korean sign language? Second, what is the form and characteristic of translation produced as a result of Korean sign language translation? Third, what is the present condition and prospect of Korean sign language translation? Accordingly, this study examined how Korean sign language translation was formed historically and the form and characteristics of Korean sign language translation using integrated literature review method.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 form and characteristics of Korean sign language translation classified according to the historical transition process into latent phase, formation phase, and expansion phase were revealed. Second, the forms and characteristics of Korean sign language translation according to the Korean sign language corpus project and machine translation were derived. In addition, it apprehends its present condition and proposes its future prospect.

      • KCI등재

        한국수어의 시간 은유에 대하여 - 한국어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최화니 원광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9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Vol.2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time metaphor of the Korean sign language with the Korean language, and synthesize the time metaphor of our culture. Using the Korean sign language dictionary and Korean sign language corpus(in KSLhub) provid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time related words, phrases and sentences in the Korean sign language were collected, and metaphor analysis was performed based on the conceptual metaphor theory of Lakoff(2003). The time metaphor that exists in our culture can be divided into structural metaphor, ontological metaphor, and orientational metaphor according to the type classification of conceptual metaphors. First, a structural metaphor of time that commonly exists in both the Korean sign language and the Korean language includes [Time is resource/money], [Time is space], and [Time is movement]. This metaphor is identified in various phrases and sentences related to time. Of the conceptual metaphors of time, the structural metaphor has the most similar features in both the Korean sign language and the Korean language. Next, an ontological metaphor of time that exists in both the Korean sign language and the Korean language includes [Time is an object]. This metaphor is also identified in phrases and sentences related to time. However, while the ontological metaphor of [Time is a container] and [Time is a person] appears in the Korean language, there is a difference in that it is difficult to find such metaphor in the Korean sign language. Lastly, an orientational metaphor of time is inherent in many words, and can be found in horizontal time metaphor and vertical time metaphor. First, in the Korean sign language, as a horizontal time metaphor, there are a metaphor of [The past is backward, the future is forward] and a metaphor of [The past is left, the future is right]. On the other hand, in the Korean language, there is a concurrent appearance of a metaphor of [The past is backward, the future is forward] and a metaphor of [The past is forward, the future is backward], which is contradictory to each other, and there is no metaphor of [The past is left, the future is right]. In the case of vertical time metaphor, a metaphor of [The past is upper and the future is lower] commonly exists in both the Korean sign language and the Korean language, and there are some differences in the range of use. The orientational metaphor of time is generally characterized by a wider range of appearance in the Korean sign language than in the Korean language. 본 연구는 한국수어의 시간 은유를 한국어와 비교하여 살펴보고, 우리 문화권에 존재하는 시간 은유를 종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국립국어원에서 제공하는 한국수어사전 및 한국수어 자료 통합 지원 시스템(KSLhub)의 말뭉치를 활용하여 한국수어에 존재하는 시간 관련 단어, 구, 문장 표현을 수집한 뒤, Lakoff(2003)의 개념적 은유 이론을 바탕으로 은유 분석을 수행하였다. 우리 문화권에 존재하는 시간 은유는 개념적 은유의 유형 분류에 따라 구조적 은유, 존재론적 은유, 방향적 은유로 나눌 수 있다. 먼저 한국수어와 한국어에 공통으로 존재하는 시간의 구조적 은유에는 [시간은 자원/돈이다], [시간은 공간이다], [시간은 이동이다]가 있다. 이러한 은유는 시간과 관련된 다양한 구, 문장에서 확인할 수 있다. 시간의 개념적 은유 중 구조적 은유는 한국수어와 한국어에서 가장 유사한 양상을 보이는 특징이 있다. 다음으로 한국수어와 한국어에 모두 존재하는 시간의 존재론적 은유에는 [시간은 사물이다]가 있다. 이러한 은유 또한 시간과 관련된 구, 문장에서 찾을 수 있다. 그런데 한국어에서는 [시간은 그릇이다], [시간은 사람이다]라는 존재론적 은유가 뚜렷하게 나타나는 반면에, 한국수어에서는 이와 같은 은유를 좀처럼 찾기 어렵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마지막으로 시간의 방향적 은유는 여러 가지 단어에 내재되어 있으며, 수평적 시간 은유와 수직적 시간 은유를 찾을 수 있다. 먼저 한국수어에서는 수평적 시간 은유로 [과거는 뒤쪽, 미래는 앞쪽] 은유와 [과거는 왼쪽, 미래는 오른쪽] 은유가 나타난다. 한편, 한국어에서는 [과거는 뒤쪽, 미래는 앞쪽] 은유와 [과거는 앞쪽, 미래는 뒤쪽] 은유가 동시에 나타나 외견상의 모순을 보여주며, [과거는 왼쪽, 미래는 오른쪽] 은유는 존재하지 않는다. 그리고 수직적 시간 은유의 경우에는 [과거는 위쪽, 미래는 아래쪽] 은유가 한국수어와 한국어에 공통적으로 존재하며, 사용 범위에서 다소 차이가 있다. 시간의 방향적 은유 표현은 대체로 한국어보다 한국수어에서 더 폭넓게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다.

      • KCI등재

        한국수어에 관한 헌법적 연구 - 헌법관습의 관점에서 -

        전지수 유럽헌법학회 2018 유럽헌법연구 Vol.0 No.26

        본 논문은 농인의 공용어인 한국수화언어에 관한 헌법적 의미와 가치를 검토하는 일련의 과정을 통해 소수자인 농인의 권리를 보다 공고히 다지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헌법재판소의 결정(신행정수도의건설을위한특별조치법위헌확인 2004헌마554·566(병합))에서 국가의 정체성을 표현하는 기본적 헌법사항으로 예시하였던 국어를 중심으로 헌법관습의 관점에서 한국수어의 헌법적 지위를 검토하였다. 한국수어에 대해서는 2016년 2월 3일에 한국수화언어법이 제정되었고, 같은 해 8월 4일부터 시행되었다. 한국수어는 대한민국 농문화 속에서 시각·동작 체계를 바탕으로 생겨난 고유한 형식의 언어로서 국어와 동등한 자격을 갖게 되었다. 여기에서 “국어와 동등한 자격”을 갖는다는 것은 어떠한 의미인지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의문이 제기된다. (ⅰ) 헌법재판소 논리의 범주와 같이 국어는 헌법사항인가? (ⅱ) 국어가 헌법사항이라면 국어는 한국어와 함께 한국수어도 포함되는가? (ⅲ) 한국어와 마찬가지로 한국수어를 필수적 헌법사항으로서 헌법관습으로서의 자격을 의미하는 것인지 혹은 한국수화언어법을 통한 법적 지위의 선언적 의미에 머무르는 것인지 그 해석의 상이함이 발생될 여지가 있다. 한국수어를 농인의 역사와 경험, 그리고 문화가 종합적으로 표출됨으로서 형성된 한국수어를 국어와 동등하게 국가의 정체성을 표현하는 실질적 헌법사항의 내용으로 보는 것이 타당한 것은 아닌지 의문으로 남기에 이에 대한 실증은 불가피하다고 인식된다. 물론, 헌법관습은 추상적 개념으로 머물러 있는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헌법관습이 형성될 가능성을 열어두고 한국수어의 헌법적 규범성을 논의함으로써, 결과적으로 한국어와 한국수어를 조화롭게 기본적 헌법사항인 국어로 인식할 수 있는 여지를 마련하려는 것이 본고의 한계이자 방향성이다. 따라서 학계에서 활발히 논의되었던 헌법관습에 관하여 환기하며 논증함으로서 농인의 공용어인 한국수어가 갖는 헌법적 함의를 중심으로 살펴보되, 헌법관습을 헌법재판의 헌법의 법원 인정 여부 및 헌법개정의 가능성에 대해서는 별론으로 제시하며 논의를 전개하고자 한다. In the Relocation of the Capital City Case(16-2 (B) KCCR 1, 2004Hun-Ma554, 566 (consolidated), October 21, 2004), majority and dissenting opinions are all Constitutional customs. In particular, it exemplifies capital, national language, Hangeul, territory as basic constitutional matters expressing national identity. The abstract concept of Constitutional customs became more public due to the decision of the Constitutional Court which recognized “Seoul is the capital.” as Constitutional customs. However, the discussion on National language is not enough, unlike the case of capital. The Constitutional Court understands the national language as a basic constitutional matter concerning the identity of the state, where Korean national language refers only to Korean language as official language of the Republic of Korea. However, the KOREAN SIGN LANGUAGE ACT was enacted on February 3, 2016, and was enforced on August 4, 2016. So, Korean sign language is a unique form of language based on visual and action system in Deaf culture of Korea, and it has “the same status with the Korean national language”. If so, there are three questions about what it means to have the same status with the Korean national language. (ⅰ) Is the national language constitutional, like the Constitutional Court's logic? (ⅱ) If the national language is constitutional, does Korean national language include Korean language as well as Korean sign language? (ⅲ) Like Korean language, does it mean Korean sign language as a constitutional qualification as Constitutional customs or just a declarative meaning of legal status through KOREAN SIGN LANGUAGE ACT? Therefore, we would like to discuss the constitutional implication of Korean sign language, which is the official language of Deaf, by venturing and demonstrating about Constitutional customs discussed in the academic world.

      • KCI등재

        한국수어 교재의 재구조화 방안 연구: 미국수어 교재와의 비교 분석을 중심으로

        이준우,김정석,조정환 한국인문사회질학회 2024 한국융합인문학 Vol.12 No.2

        본 연구는 한국수어 교육의 양적 확장이 이뤄졌음에도 농인들과의 의사소통이 가능한 청인들이 증가하지 않은 이유를 한국수어 교재의 문제점들에 주목하였다. 한국수어 교재들이 언어학적인 교육과정을 담아내야 한다는 전제하에 한국수어 교재들과 미국수어 교재들을 비교 분석하여 이를 토대로 한국수어 교재의 재구조화 방안을 제시하는 데에 연구목적을 설정하였다. 분석 대상은 한국수어 교재 12권과 미국수어 교재 2권이었다. 연구 결과, 외적 구성과 교재 내적인 차원에서의 전체 구성, 학습 내용에서의 주제와 어휘 및 회화 영역에서 한국과 미국 교재들 간의 뚜렷한 차이를 발견하였다. 이에 따른 몇 가지 논의사항은 첫째, 미국수어 교재의 외적 구성은 미국농인이 익숙하며 선호하는 시각적 정보화에 충실했다는 것이다. 둘째, 한국수어교재들은 미국수어 교재들에 비해 내적 구성에서 ‘계속성’과 ‘계열성’이 미흡하였다. 셋째, 양질의 수어교재들이 미국에서 개발될 수 있었던 계기들로는 수십 년에 걸친 기초연구들이 뒷받침되어 있었다. 넷째, 언어교수·학습을 위한 교재가 학습자들에게 유용하도록 짜임새 있게 구성되기 위해서는 언어이론에 근거한교재를 개발해야 한다. 본 연구의 제언으로는 첫째, 현재 진행 중인 국립국어원에서 발주하여 전문 연구진에의해 연구되고 있는 한국수어능력 등급별 평가기준 마련, 한국수어교원 2급 교육과정 개선, 한국수어교원1급 교육과정 개발 등이 최대한 빨리 이뤄져야 한다. 둘째, 미국수어 교재에서 적용하는 농인 친화적인외적 구성 형태를 모범으로 삼아야 한다. 셋째, 학습 주제, 학습 어휘 및 회화 등 실제 학습 내용을 구성하게끔하는 한국수어 교육과정의 이론과 방법이 모색되어야 한다. 넷째, 기존 교재들의 재구조화와 그에 따른향후 신규 개발된 한국수어 교재들을 지속적으로 평가하는 지침과 기준이 마련되어야 한다. Despite the quantitative expansion of KSL education in Korea, there has been almost no increase in the number of people who are able to communicate with deaf people. For this reason, this study examines the textbooks available for Korean Sign Language (KSL), focusing on areas for improvement. With the premise that KSL textbooks should incorporate linguistic educational content, the study compares and analyzes KSL textbooks along with American Sign Language (ASL) textbooks and seeks to suggest restructuring plans for KSL textbooks based on the results. For the analysis, the study targeted 12 KSL textbooks and 2 ASL textbooks. The results revealed clear differences between KSL and ASL textbooks in terms of overall external and internal composition as well as thematic content, vocabulary and conversational sections within the learning materials. Several points of discussion emerged from these findings. Firstly, the external composition of ASL textbooks in the United States adhered closely to the visual informatization that deaf people prefer and feel familiar to. Secondly, KSL textbooks lacked internal composition compared to ASL textbooks in terms of ‘continuity’ and ‘sequence.’ Thirdly, the development of high-quality ASL textbooks in the United States can be attributable to decades of foundational research. Fourthly, in order for KSL textbooks for language teaching and learning to be effectively planned for learners, it would be necessary to develop KSL textbooks based on linguistic theories. Therefore, the study makes the following suggestions: Firstly, it is necessary to speed up the efforts regarding establishment of evaluation criteria for KSL proficiency by grade level, improvement of the curriculum for KSL teachers at the 2nd level, and development of the curriculum for KSL teachers at the 1st level, all of which are currently underway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Secondly, external composition of ASL textbooks, designed to be deaf people friendly, should be taken as a model. Thirdly, theories and methods for composing actual learning content such as learning topics, vocabulary, and conversational exercises in KSL curriculum need to be explored. Fourthly, guidelines and criteria for the continuous evaluation need to be established for both restructuring the currently available KSL textbooks and any KSL textbook that will be developed in the future.

      • KCI등재

        한국수어(KSL), 또 하나의 한국어

        윤석민(Youn, Soeg-min) 국어문학회 2021 국어문학 Vol.78 No.-

        한국수어(KSL)는 한국 농인이 사용하는 공용어로서 음성한국어처럼 한국어이다. 한국수어는 시각과 동작을 기반으로 하는 고유한 언어로서 한국 농인 및 농사회의 정체성을 잘 보여준다. 농인과 청인 또는 농사회와 청사회의 원활한 소통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한국수어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이 글에서는 농인과 청인 또는 농사회와 청사회 사이의 불통 사례 분석을 통해 다른 방식으로 소통하는 상대를 이해하고 배려하는 것이 문제를 해결하는 올바른 방향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그리고 그러한 방향으로 나아가는 구체적인 노력은 한국수어에 대한 이해에서 출발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이런 이유 때문에 한국어 연구자들의 참여가 절실하다. 한국수어에 대한 연구는 또 다른 방식의 한국어에 대한 연구일 뿐만 아니라 농인과 청인 사이의 소통에도 기여하는 의미 있는 작업이다. Korean Sign Language(KSL) is the official language used by Korean Deaf peoples, and so is another Korean Language like common Korean Language based on sound. KSL is a unique language based on vision and movement, which illustrates the identity of Korean Deaf peoples or Deaf society. Understanding of KSL is necessary for successive communication between Deaf people and hearing people, or between Deaf society and hearing people’s society. This paper, through three case study of mis-communication between deaf people and hearing people or between deaf society and hearing people’s societies, confirms that understanding and consideration of people who use different languages is the right way to solve the mis-communication. This paper also emphasize reveals that the specific efforts for that way should be started from understanding and studying on Korean Sign Language. For that reason, Korean language researchers need to study and participate. The study of Korean Sign Language is not only another way of studying Korean language, but it can also contribute to communication between Deaf people and hearing people who are all same members of our Korean Community.

      • KCI등재

        성인 농인을 위한 한국수어 교육과정 개발의 방향과 실제

        윤석민(Youn, soegmin) 국어문학회 2018 국어문학 Vol.69 No.-

        이 글은 수어 의미론을 중심으로, 성인 농인을 대상으로 하는 한국수어 교육과정의 개발 방향과 실제 적용 가능성을 살펴보는 것이다. 2016년 제정된 〈한국수화언어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한국수어 교육 및 보급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한국수어 교육과정의 수립이 시급한 일이다. 그러나 현재 한국수어 교육과 보급은 체계적인 교육과정이 마련되지 않아 교육 기관에 따라 또는 교육 수요자에 따라 임시 방편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형편이다. 교육 내용 역시 단순히 수어 단어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어 한국수어 전반에 대한 교육이 없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이 글에서는 농인을 위한 한국수어 교육과정, 특히 농인 중에서도 농인 성인을 위한 교육과정의 개발이라는 점을 전제로 하여 개발의 방향을 살펴보고 나아가 수어 의미론을 중심으로 교육과정의 실제 모습을 제안하고 있다. 올바른 한국수어 교육과정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교육대상을 명확히 하고 교육 목표를 확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리고 이를 뒷받침하는 내용 요소를 교육 단계에 맞추어 한국수어에 특성을 반영하는 교육방법으로 교육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find the correct direction of the KSL(Korean Sign Language) curriculum for Deaf adults and to set up a new model of KSL curriculum based on it. The establishment of the KSL curriculum is most urgent in order to provide and educate Korean Sign Language as stipulated in KOREAN SIGN LANGUAGE ACT which was made in 2016 at last. However, because of the absence of the effective KSL curriculum, the education and dissemination of KSL are being operated on a temporary basis, depending on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educational demanders. The content of education is also based simply on sign words, so there is no systematic education on all units of KSL like as morph, word, phrase, sentence, expression etc. To overcome this problem, this article examines the correct direction of development of the KSL curriculum under the premise that it is the development of the KSL curriculum especially for Deaf adults, and suggests the actual model of the KSL curriculum centered to the sign semantics. In order to develop a proper KSL curriculum, it is important to clarify goals of education and finalize learners of education. And it is important to ensure that the content elements can be taught in a manner that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KSL according to the fitting level of education.

      • KCI등재

        한국어 교육과 한국수어 교육의 접점 모색

        진대연 중앙어문학회 2019 語文論集 Vol.80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and the scope of discussion on Korean sign language (KSL) education by examining it from the perspective of Korean language (KL) education and looking at the examples needed for its systematization. This research begins from the standpoint that seeking interface between the two areas through cross-referenced examples could lead to positive influences on each other. In Chapter 2 of this paper, I briefly summarize the flow of KSL education research, the structural system of KSL, and the acquisition and use of KSL as preconditions for this discussion, and in Chapter 3, I examine the phenomena of KSL education focusing on the curriculum, evaluation, teachers, and teaching materials. In Chapter 4, I explore the interface between KL education and KSL education by presenting bilingual education and the use of “plain language” in terms of policy. For I have tried to deal with the various issues of the two areas in a short space, some of the contents have been covered only superficial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would have to be overcome by experts of KL education and KSL education in the future. However, I hope that the discussion of this research could serve as a point of view to broaden the horizons of KSL education. 이 글의 목적은 한국어 교육의 입장에서 한국수어 교육을 조망하고 그 체계화에 필요한 사례들을 살핌으로써 한국수어 교육 논의의 폭을 확장하는 것이다. 이 글은 한국어 교육과 한국수어 교육에서 상호 참조할 수 있는 사례들을통해 두 분야의 접점을 모색할 수 있고 이러한 시도가 두 분야 간에 긍정적인영향력을 주고받게 할 수 있을 것이라는 문제의식에서 시작되었다. 이 글의 2장에서는 논의의 전제로서 수어 교육 연구의 흐름, 한국수어의 체계, 한국수어의 습득과 사용 등에 관해 간략히 정리하고 3장에서는 교육 차원에서 교육과정과 평가, 교사와 교재를 중심으로 한국수어 교육의 현상을 조망해 보았다. 그리고 4장에서는 정책 차원에서 이중언어 교육과 ‘쉬운 언어’ 사용을 제시함으로써 한국어 교육과 한국수어 교육의 접점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한국수어 교육의 체계화에 필요한 제반 문제를 언어 교육의 틀에서 다각도로 살폈다는 점, 인접 학문 분야인 한국어 교육의 성장 경험을 바탕으로 한국수어 교육에 학제적 접근을 하였다는 점, 한국어 교육 연구자들에게 생소한 영역이었던 한국수어 교육에 관한 인식을 확대하였다는 점 등에서 이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한국수어 음식 명사의 형성 -개념화와 언어화를 중심으로-

        정한데로(Jeong, Handero) 형태론 2018 형태론 Vol.20 No.2

        동일한 대상을 개념화하고 언어화하는 과정에 한국어와 한국수어는 서로 얼마나 유사하게, 또 얼마나 다른 방식으로 표현될 것인가? 이 글은 ‘대상의 개념화’와 ‘개념의 언어화’ 과정을 토대로 한국수어 음식 명사의 단어 형성 양상을 검토하며 그 물음의 답을 찾고자 하였다. 크게 다음의 세 가지 사항을 다루었다. 첫째, 한국수어는 단어 형성 과정에 구성성분 내 일부 형태소를 생략하는 방식으로 단어를 만들기도 하며, 한국어와는 다른 개념적 범주화를 보이기도 한다. 둘째, 한국어에서 드러나지 않은 방식의 구성성분 계열관계를 통해 한국수어 고유의 단어족을 확인할 수 있다. 셋째, ‘밥, 술, 국수, 가루, 빵’ 어휘장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한국수어의 단어 형성 방식이 확인된다. 한국어와 한국수어의 비교 관찰을 통해 보다 일반화된 차원에서 단어 형성을 연구할 수 있다. How similar or different are Korean and Korean Sign Language(KSL) when an object is conceptualized and verbalized?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nd the answer of this question by examining word formation of food nouns in KSL. We discussed three issues as follows. Firstly, some morpheme that compose a word can be omitted when complex words are formed in KSL, and there is some different conceptual categorization between Korean and KSL. Secondly, own word families of KSL were revealed through paradigmatic relations which we can not find in Korean. Thirdly, we discovered common word formation methods in KSL lexical fields of rice, liquor, noodle, powder, bread. We can make a generalization of word formation principle by observing Korean and KSL together.

      • KCI등재

        한국수어(KSL) 전문용어사전의 구축 방법론 연구

        윤석민(Yuon, Soeg-min),채규현(Chae, Gyu-hyeon) 국어문학회 2018 국어문학 Vol.67 No.-

        본 연구는 한국수어의 특성을 반영한 한국수어 전문용어사전 구축을 위한 방법론을 제안하고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사전을 구축할 전문 분야를 설정하고 용어를 수집하기 위한 조사 연구를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한국수어 화자를 대상으로 한 조사를 통해 ‘볼링’과 ‘축구’를 전문 분야로 설정하고, 방법론 수립을 위한 전문용어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렇게 조사된 용어를 중심으로 사전 구축을 위한 방법론을 수립하였다. 특히 방법론은 표제어 선정·표기·배열과 관련되는 거시구조와 뜻풀이 기술과 관련되는 미시구조로 나누어 구체적인 방법론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한국수어 전문용어사전은 기존 사전의 방법론을 수용하되, 한국수어만의 특성을 적절하게 반영하여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This study aims methodology of construction of Korean Sign Language Dictionary of Terminology, reflecting characteristics of Korean Sign Language. For this purpose, this study surveyed Specialty fields and terminology to construct dictionary. Specifically In this survey with Deaf peoples, this study selected ‘bowling’ and ‘soccer’ to specialty fields to construct dictionary. And this study collected terminology for establishment of methodology. This study established of methodology to construction of dictionary with collecting terminology. Especially, this study aimed methodology that composed of macro structure, related to selection·description·arrangement of headword, and micro structure, related to interpretation. In conclusion, We insist that Korean Sign Language Dictionary of Terminology must reflect characteristics of Korean Sign Langu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